KR101922218B1 - 가공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구조 - Google Patents

가공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218B1
KR101922218B1 KR1020180057200A KR20180057200A KR101922218B1 KR 101922218 B1 KR101922218 B1 KR 101922218B1 KR 1020180057200 A KR1020180057200 A KR 1020180057200A KR 20180057200 A KR20180057200 A KR 20180057200A KR 101922218 B1 KR101922218 B1 KR 101922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ine
reinforcing plate
concrete structure
steel tower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삼
Original Assignee
(주)한빛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빛기술단 filed Critical (주)한빛기술단
Priority to KR1020180057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2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10Truss-lik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34Foundations for sinking or earthquake territ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립 고정되는 철탑의 기초부분과 지면에 노출되는 철탑의 노출부위에 지각변동에 의한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한 내진 보강부가 구비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외부 충격 또는 지각 변동에도 송전선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력유지부가 구비되어 송전선들이 상호간에 마찰에 의한 합선이나 단전 유발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공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공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구조{Steel Tower Structure Supporting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은 송전 기술 분야 중 가공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립 고정되는 철탑의 기초부분과 지면에 노출되는 철탑의 노출부위에 지각변동에 의한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한 내진 보강부가 구비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외부 충격 또는 지각 변동에도 송전선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력유지부가 구비되어 송전선들이 상호간에 마찰에 의한 합선이나 단전 유발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공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주지, 상가, 공장 등을 포함한 각종 건축물이 집중되어 있는데 도시 지역을 벗어난 지역에서는 송전선의 지지물로 송전 철탑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송전 철탑은 선로(線路)의 송전전력, 전압, 지형 등에 따라 다르며, 높이는 60m나 되는 것도 있다.
통상의 철탑은 수십 미터의 지상높이로 시공되는 트러스(truss)형태의 철제구조물로서, 자체 중량이 수십톤에서 수백톤에 이르는 고중량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철탑은 정방형으로 배치되는 4개의 다리를 가지며, 각 다리의 하단이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에 연결됨으로서 지상에 지지된다.
이와 같은 송전선로용 철탑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반을 터파기하여 수평으로 바탕콘크리트면을 평활하게 형성한 다음, 그 위에 정방형으로 배치되는 4개의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하고, 각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에 적당한 각도로 경사지게 매설되어 상단이 노출된 메인 기둥들에 일정길이를 갖는 앵글(angle)을 소요높이까지 트러스 형태로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완성시켜 나가게 된다.
또한, 송전선로용 철탑은 보통 3상 2회선, 즉 6개의 전선을 애자로 지지하고 있으며, 철탑 사이의 거리는 20~30m이고, 철탑에 가설한 전선의 지표(地表)로부터의 최저 높이는 전기 설비 기술에 의해 정해져 있는데, 예를 들면 15만V의 선로일 경우는 6m이다.
그리고, 선로가 넓은 강이나 깊은 계곡을 건널 경우에는 경간이 길고 이로 인한 전선의 장력이 커지므로 특히 강한 구조가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송전선로용 철탑은 강풍과 지반 침하, 지반 거동, 지각 변동 등에 의해 전도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주택가의 단전, 합선 등의 대형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부 온도가 높은 여름철의 경우에는 송전선이 늘어나서 하방으로 쳐지게 되고 늘어난 송전선이 바람에 의해 흔들려 주위의 다른 송전선과 부딪혀 상호간 마찰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문헌1]에서는 ‘송전용 철탑의 보강구조’를 제안하고 있는데, 송전용 철탑의 각각의 기둥에 보강 지지대가 더 구비됨으로써 강풍, 지반침하, 지반거동 등에 의한 전도 현상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문헌1]은 철(凸)자 형태로 이루어진 보강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부위가 하방에 비해 내구성이 약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의 측면에 터파기를 수행한 후 보강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을 타설하게 되므로, 시공에 필요한 면적이 많이 요구되기 때문에 소형, 중형 등의 철탑에는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1] 등록특허 제10-066288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지중에 매립 고정되는 철탑의 기초부분과 지면에 노출되는 철탑의 노출부위에 지각변동에 의한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한 내진 보강부가 구비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외부 충격 또는 지각 변동에도 송전선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력유지부가 구비되어 송전선들이 상호간에 마찰에 의한 합선이나 단전 유발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공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러스 구조물로, 정방형으로 배치되는 4개의 다리를 가지며, 각 다리의 하단이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에 연결됨으로써 지상에 지지되되, 상기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이를 지지하는 내진 보강부와, 송전선이 고정되는 암부재에 설치하여 송전선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유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진 보강부는,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에 배치되며,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측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를 이루며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고, 어느 일측에는 타측의 절곡된 선단부가 안치되는 안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사이에 충진공간을 형성하는 보강판과, 금속재의 봉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단부가 보강판의 일면에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되며 타측단부는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에 관통 삽입되는 관통철심과, 상기 충진공간에 충진되어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과 보강판을 일체로 고정하는 것으로, 우레탄 또는 모르타르 또는 접착제가 함유된 폐타이어 칩 또는 콘크리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충진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유지부는, 철탑의 암에 고정되고 하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 상부몸체와,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 하부몸체가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실린더와, 송전선이 결합된 애자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봉에 구비된 장력감지센서 및 상기 장력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값을 연산하고, 이를 통해 구동모터의 구동 및 회전 방향을 결정한 후 구동모터를 구동하고, 동시에 실린더의 로드를 출입시키는 명령을 제어 및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지반침하, 지반거동, 지각변동 등에 의해서도 철탑의 매립 지지부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송전선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송전선들이 상호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화재, 합선, 단전 등의 대형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내진 보강부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내진 보강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보강판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장력유지부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장력유지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구조(1)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구조(1)는,
트러스 구조물로, 정방형으로 배치되는 4개의 다리를 가지며, 각 다리의 하단이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에 연결됨으로써 지상에 지지되되,
상기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이를 지지하는 내진보강부(10)와, 송전선이 고정되는 암부재에 설치하여 송전선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유지부(20)를 포함한다.
상기 내진보강부(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A10)의 외측에 배치되며 일면에 다수개의 관통철심(12)이 구비된 보강판(11)과, 상기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A10)과 보강판(11)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재(13)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판(11)은,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A10)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강도가 강한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A10)의 외측 사방에 모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보강판(11)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보강판(11)은 한 쌍의 측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를 이루도록 하고, 어느 일측의 보강판(11)에는 타측의 보강판(11)의 절곡된 선단부가 안치되는 안치부(111)가 더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치부(111)는 타측의 절곡된 선단부가 안치된 상태에서 보강판(11)의 외면이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안치부(111)에 타측 보강판의 절곡된 선단부를 안치한 후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치부(11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A10)에 따라 위치 가변이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연장 형성한다.
즉,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A10)은 철탑을 하방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철탑의 크기에 따라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양도 변경되고, 이로 인해 타설 후의 크기도 철탑의 크기에 따라서 달라진다. 따라서 철탑의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로 성형된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A10)에 상응하는 각각의 보강판(11)을 구비해야 하나, 이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보강판(11)을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 및 보관에 필요한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강판(11)은 상기 안치부(111)의 길이를 길게 연장 형성함으로써 안치부(111)에 맞닿은 타측 보강판의 절곡된 선단부의 위치를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맞닿은 한 쌍의 보강판을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함으로써 크기가 서로 다른 다양한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A10)에 하나의 형태 및 크기를 가지는 보강판(11)의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보강판(1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서 요(凹)자 형태로 형성된 요홈부(112)가 형성되는데, 상기 요홈부(112)는 후술하는 충진재(13)가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A10)과 보강판(11)사이에 충진된 후 보강판(11)의 외주면을 감싸며 배치되어 보강판(11)의 위치를 고정함과 동시에 지각변동 등에 의해서도 보강판(11)이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A10)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하는 체결고정부재(113)가 결합된다.
상기 체결고정부재(113)는 탄소섬유(CFRP)를 소재로 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탄소섬유는 금속보다 가벼우면서도 금속에 비해 높은 인장강도와 탄성계수를 가진 것으로, 상기 요홈부(112)에 여러 겹이 중첩하여 감싸도록 배치된다.
이를 통해 지각변동 등과 같이 지반의 흔들림이 있는 경우에도 보강판(11)은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A10)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설치된 위치를 유지함으로써 지속적인 보강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요홈부(112)는 상기 보강판(11)이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A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되어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체결고정부재(113)가 보강판(11)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어 보다 견고한 결합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요홈부(112)는 결합된 체결고정부재(11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구된 부위의 테두리가 상호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된 걸림편(11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편(114)을 통해 요홈부(112)에 결합된 체결고정부재(113)는 요홈부(112)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고 여기에 여러겹으로 충첩 배치된 체결고정부재(113)를 상호 접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접착제를 더 도포함으로써 체결고정부재(113)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요홈부(112)에는, 후술하는 충진재(13)를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A10)과 보강판(11) 사이에 형성되는 충진공간(30)으로 투입하기 위한 충진재투입공(115)이 더 형성된다.
상기 충진재투입공(115)은, 상기 요홈부(112)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여기서 상기 보강판(11)의 내면에는 상기 충진공간(30)측으로 돌출 된 다수개의 점착편(116)이 더 구비된다.
상기 충진재투입공(115)을 통해 후술하는 충진재(13)는 충진공간(30)으로 투입되고, 투입된 충진재(13)는 점착편(116)에 접착됨으로써 보강판(11)과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관통철심(12)은,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A10)과 보강판(11)을 일체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재의 봉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단부가 보강판(11)의 일면에 용접을 통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관통철심(12)은,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선단부가 쐐기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A10)에는 관통철심(12)이 삽입되는 삽입공(A20)이 형성되고, 관통철심(12)이 삽입공(A20)에 삽입된 후 관통철심(12)과 삽입공(A20) 사이의 간격을 채우기 위한 보충재가 투입될 수 있고, 여기서 보충재는 점착성을 가지는 액체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나, 발포 콘크리트 등과 같이 간격을 채울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관통철심(12)은 상기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A10)의 외면과 보강판(11)의 내면이 직접 맞닿지 않은 상태로 배치되면서도 보강판(11)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A10)과 보강판(11) 사이에는 충진공간(30)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충진재(13)가 충진된다.
상기 충진재(13)는,
상기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A10)과 보강판(11) 사이에 형성되는 충진공간(30)에 충진되어 이들을 일체로 고정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및 분산하기 위한 것으로,
우레탄 또는 모르타르 또는 접착제가 함유된 폐타이어 칩 또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충진재(13)는 충진재투입공(115)을 통해 충진공간(30)으로 투입되고, 충진재로 선택된 재료에 따라 소정의 양생 시간을 거치면서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A10)과 보강판(11)을 일체로 고정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보강판(11)의 내면에 형성된 점착편(116)과 상기 관통철심(12)에 접착됨으로써 보다 견고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어 외부충격, 지반침하, 지각변동 등에 의해 발생한 힘을 흡수 및 분산함으로써 철탑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보강판(11)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장력유지부(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선(A30)의 장력을 일정하기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21)과, 구동모터(22)와, 상기 구동모터(22)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실린더(23)와, 상기 하우징(21)의 양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송전선(A30)이 결합된 애자(A40)의 일측에 결합된 결합봉(A50)에 구비된 장력감지센서(24) 및 제어부(25)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1)은 철탑의 암(A60)에 고정되는 상부몸체(211)와 상기 상부몸체(211)와 결합하는 하부몸체(212)로 이루어지며,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에 애자(A40)의 결합봉(A50)이 출입하는 출입공(21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몸체(211)는 하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몸체(212)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이들이 다수의 고정볼트 및 고정너트를 통해 일체로 결합된다. 여기서 결합부위에는 습기, 비, 눈,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킷(도면 중 미도시됨)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모터(22)는, 상기 하우징(21)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며 구동모터(22)의 모터베이스를 관통하는 장착볼트를 통해 상기 하부몸체(212)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실린더(23)는, 상기 구동모터(22)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안내수단(231)을 통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수단(231)은,
상기 구동모터(22)의 구동시 실린더(23)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단이 상기 실린더(23)의 단부에 고정되며 타단은 구동모터(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스크류(232)와, 상기 하부몸체(212)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실린더(23)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233)과, 상기 레일(233)의 상면에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실린더(23)의 단부와 맞닿음으로써 실린더(23)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돌기(234)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23)는 구동모터(22)의 구동시 맞물린 스크류(23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동시 레일(233)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234)에 의해 제한된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크류(232)는 한 쌍의 실린더(23)에서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돌기(234)에는 충격감지센서(도면 중 미도시됨)가 더 구비되어 실린더(23)의 단부가 걸림돌기(234)에 닿는 것을 감지한 후 이를 구동모터(22)를 제어하는 제어부(25)로 전달하여 구동모터(22)의 구동을 정지시켜 실린더(23)의 파손 방지 및 실린더(23)에 연결된 결합봉(A50), 애자(A40)를 통해 송전선(A30)으로 전달되는 힘을 제어하여 송전선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실린더(23)는 상기 스크류(232)가 결합된 몸체(235)와, 상기 몸체(235)로 출입하는 로드(236)를 포함한 것으로, 상기 로드(236)의 선단부에는 결합봉(A50)과의 결합을 위한 소켓(237)이 더 구비된다.
상기 소켓(237)은 양단이 개구되어 일단에 상기 로드(236)가 결합되고 타단에 결합봉(A50)이 결합되는 것으로, 외면으로부터 내면으로 관통 결합되며 조임 및 해제가 가능한 조임나사(도면 중 미도시됨)를 통해 결합된 로드(236)와 결합봉(A50)을 고정한다.
상기 장력감지센서(24)는, 송전선(A30)의 장력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 송전선(A30)은 절연을 위한 구비된 애자(A40)에 결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애자(A40)의 일측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봉(A5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결합봉(A50)은 실린더(23)의 로드(236)와 소켓(237)을 통해 결합되어 로드(236)의 움직임에 따라 애자(A40) 및 이에 결합된 송전선(A30)을 당기거나 밀어내어 장력을 유지한다.
여기서 송전선(A30)의 장력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장력감지센서(24)를 상기 결합봉(A50)에 구비하는데, 송전선(A30)의 장력에 따라 결합봉(A50)에 가해지는 힘의 강도가 달라지게 되며, 상기 장력감지센서(24)는 결합봉(A50)에 가해지는 힘의 강도를 확인하여 송전선(A30)의 장력을 확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장력감지센서(24)는 결합봉(A50)에서 애자(A40)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장 또는 압축에 의한 힘의 변화를 감지하는 로드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는,
상기 장력감지센서(24)를 통해 감지된 값을 연산하고, 이를 근거로 구동모터(22)의 구동 및 회전 방향을 결정한 후 구동모터(22)를 구동하고, 동시에 실린더(23)의 로드(236)를 출입시키는 명령을 제어 및 전달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 배치되며 배터리를 통해 인가된 전원으로 동작한다.
이러한 제어부(25)의 구성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도면 중 도시 및 상세한 구조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배터리는 철탑의 상부에 배치된 하우징에 구비되기 때문에 태양전지판 및 이를 이용한 축전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구조
10 : 내진보강부
11 : 보강판 12 : 관통철심
13 : 충진재 20 : 장력유지부
21 : 하우징 22 : 구동모터
23 : 실린더 24 : 장력감지센서
25 : 제어부 30 : 충진공간

Claims (1)

  1. 트러스 구조물로, 정방형으로 배치되는 4개의 다리를 가지며, 각 다리의 하단이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에 연결됨으로써 지상에 지지되되,
    상기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이를 지지하는 내진보강부(10)와, 송전선이 고정되는 암부재에 설치하여 송전선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유지부(20)를 포함하되,
    상기 내진보강부(10)는,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A10)의 외측에 배치되며,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측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를 이루며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고, 어느 일측에는 타측의 절곡된 선단부가 안치되는 안치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A10)과의 사이에 충진공간(30)을 형성하는 보강판(11);과,
    금속재의 봉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단부가 보강판(11)의 일면에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되며 타측단부는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A10)에 관통 삽입되는 관통철심(12);과,
    상기 충진공간(30)에 충진되어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A10)과 보강판(11)을 일체로 고정하는 것으로, 우레탄 또는 모르타르 또는 접착제가 함유된 폐타이어 칩 또는 콘크리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충진재(13);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유지부(20)는,
    철탑의 암(A60)에 고정되고 하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 상부몸체(211)와,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 하부몸체(212)가 결합되는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는 구동모터(22);와,
    상기 구동모터(22)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실린더(23);와,
    송전선이 결합된 애자(A40)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21)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봉(A50)에 구비된 장력감지센서(24); 및
    상기 장력감지센서(24)를 통해 감지된 값을 연산하고, 이를 통해 구동모터(22)의 구동 및 회전 방향을 결정한 후 구동모터(22)를 구동하고, 동시에 실린더(23)의 로드(236)를 출입시키는 명령을 제어 및 전달하는 제어부(25)를 포함하며,
    상기 안치부(111)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개구된 부위의 테두리가 상호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된 걸림편(114)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보강판(11)은 외주면에 요(凹)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충진재(13)를 상기 충진공간(30)에 투입하기 위한 충진재투입공(115)이 형성된 요홈부(112)가 구비되고,
    상기 요홈부(112)를 여러 겹 중첩하여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걸림편(114)에 의해 위치 이탈이 방지되는 탄소섬유(CFRP)를 소재로 하여 형성된 체결고정부재(113)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강판(11)의 내면에는 상기 충진재투입공(115)을 통해 충진된 충진재(13)가 접착되는 다수개의 점착편(116)이 상기 충진공간(30)을 향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구조.
KR1020180057200A 2018-05-18 2018-05-18 가공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구조 KR101922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200A KR101922218B1 (ko) 2018-05-18 2018-05-18 가공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200A KR101922218B1 (ko) 2018-05-18 2018-05-18 가공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2218B1 true KR101922218B1 (ko) 2018-11-26

Family

ID=64603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200A KR101922218B1 (ko) 2018-05-18 2018-05-18 가공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2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878B1 (ko) 2019-07-26 2020-03-26 대화전설(주) 가공 송전선로와 철탑의 연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1549A (ja) * 2008-07-29 2010-02-12 Victaulic Co Of Japan Ltd 柱体補強構造
KR101466138B1 (ko) * 2014-05-09 2014-11-27 (주)한국나이스이앤씨 송전용 가공전선의 송전철탑용 장력완화장치
CN106760888A (zh) * 2016-11-24 2017-05-31 国网河南省电力公司周口供电公司 防震杆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1549A (ja) * 2008-07-29 2010-02-12 Victaulic Co Of Japan Ltd 柱体補強構造
KR101466138B1 (ko) * 2014-05-09 2014-11-27 (주)한국나이스이앤씨 송전용 가공전선의 송전철탑용 장력완화장치
CN106760888A (zh) * 2016-11-24 2017-05-31 国网河南省电力公司周口供电公司 防震杆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878B1 (ko) 2019-07-26 2020-03-26 대화전설(주) 가공 송전선로와 철탑의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42514B (zh) 附加隐藏式阻尼器的装配式柔性混凝土框架节点结构
CN108612188B (zh) 一种装配式自复位预应力混凝土框架
CN107816129B (zh) 一种预应力装配式节点的耗能套筒及其安装、工作方法
KR10165802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파일 접합 구조체
KR101922218B1 (ko) 가공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구조
CN108661196B (zh) 一种装配式自复位摇摆钢-木组合结构及方法
CN212834956U (zh) 一种装配式桥梁的连接结构
JP2967876B1 (ja) コンクリート床版の形成方法及び上路式吊構造橋の構築方法
CN110924522B (zh) 一种钢筋混凝土梁与柱的钢板界面连接结构及连接方法
CN110130485B (zh) 一种带齿板的预制装配式梁柱节点及其装配方法
CN206859033U (zh) 一种可快速拼装的桥梁
JP2008285952A (ja) 免震建物構造
JP3297413B2 (ja) 摩擦減衰機構を備える制振架構
JP4038822B2 (ja) 道路拡張構造
CN111173143B (zh) 大跨度管桁架球形铰支座及施工方法
CN210827121U (zh) 一种用于立柱的上下分节预埋临时连接结构
KR101381410B1 (ko) 일체거동식 입체거더 교량
KR101548215B1 (ko) 보춤이 높은 합성pc보, 이와 합성pc기둥과의 연결구조
JPH10331267A (ja) ユニット建物
CN215887923U (zh) 一种桥梁工程高荷载不易形变的小型桥梁的结构
KR20150118896A (ko) 합성pc보, 이와 합성pc기둥과의 연결구조
KR20090067927A (ko) 수직 강선을 이용한 아웃리거 보강구조
JPH0542553B2 (ko)
CN211229121U (zh) 一种屋面防震结构
CN220848011U (zh) 一种耗能减震加强型装配式梁柱连接节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