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765B1 - 교량용 탄성받침 조립체 - Google Patents

교량용 탄성받침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765B1
KR101705765B1 KR1020150021850A KR20150021850A KR101705765B1 KR 101705765 B1 KR101705765 B1 KR 101705765B1 KR 1020150021850 A KR1020150021850 A KR 1020150021850A KR 20150021850 A KR20150021850 A KR 20150021850A KR 101705765 B1 KR101705765 B1 KR 101705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elastic
support
bridge
low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9409A (ko
Inventor
신성식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21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765B1/ko
Publication of KR20160099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2Mechanical bearings
    • E01D19/046Spherical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용 탄성받침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받침의 프리셋팅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높여 교량에 탄성받침 시공시 작업 생산성을 극대화한 교량용 탄성받침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교량의 상부 구조물에 고정되는 상부 받침판과, 교량의 하부 구조물에 고정되는 하부 받침판과, 상부 받침판 및 하부 받침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구조물에 대한 하중을 지지하거나 완충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교량용 탄성받침에 있어서, 상기 탄성받침의 전단 변형을 미리 예측하여 상부 받침판과 하부 받침판 중 어느 하나를 일측으로 밀어 탄성체를 전단 변형한 상태로 유지하는 프리셋팅 지그를 탄성받침에 설치하고, 상기 프리셋팅 지그는, 상부 받침판과 하부 받침판 사이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측부와, 각 측부의 길이 방향으로 양단부에는 각각 측부의 상방과 하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부 받침판의 일측 단부와 하부 받침판의 타측 단부를 지지하여 어느 한 방향으로 밀려난 상부 받침판 및 하부 받침판이 복원되지 않도록 한 단턱부와, 상기 각 측부의 길이 방향으로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결합공을 포함하는 한 쌍의 지지판;상기 한 쌍의 지지판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과하여 한 쌍의 지지판을 연결하며, 결합공을 통해 노출된 양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부재;상기 한 쌍의 지지판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과하여 지지판을 연결하며, 결합공을 통해 노출된 양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부재;상기 연결부재의 양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부 받침판 및 하부 받침판으로부터 연결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탄성받침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교량용 탄성받침 조립체{Elastomeric Bearing Assembly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탄성받침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받침의 프리셋팅 시공에 대한 작업 편의성을 극대화한 교량용 탄성받침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일정간격으로 수직설치되는 교각들과, 이 교각들에 수평으로 얹혀지는 상판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판과 교각 사이에는 교량 받침대가 설치되어 상판의 변형을 완화하여 전달하게 된다.
즉, 교량 받침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슬라브 구조체인 상판(10)을 지지하는 교각(20) 상에 적절히 얹혀져서 상기 상판(10)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장치로서, 교량의 규격이나 지지하중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와 다양한 기능을 갖는다.
한편, 교량 받침대로 주로 많이 사용하는 탄성받침(30)은 하중지지 및 하중 전달기능뿐만 아니라 온도, 크리프, 건조수축 및 보의 처짐으로 발생 되는 교량의 상부구조에 대한 신축변위를 수용하는 기능 및 지진력을 각각의 교대 및 교각에 분산시켜 지진에 대비하는 내진 및 면진 설계개념이다.
이러한 탄성받침(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상부구조물이 적층되는 탄성받침 상판(31)과, 교량의 하부 구조물 위에 스터드(S)를 통해 일체로 설치된 탄성받침 하판(32)과, 탄성받침 상판(31)과 탄성받침 하판(32)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수직 하중 및 온도변화와 충격하중, 수평력을 완충 및 면진(또는 분산)하는 탄성체(33)가 설치된다.
이때, 탄성체(33)는 고무(33a)와, 고무(33a)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금속의 보강판(33b)으로 구성되며, 상기 보강판(33b)은 고무(33a_ 내부에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탄성받침(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상판(10)인 상부구조물과 교각(20)인 하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교량의 수평방향으로 상대운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지점에 설치된 고정단 탄성받침(30A)과, 상기 상부구조물의 전체적인 수평방향 이동을 구속하고, 상기 고정단 탄성받침(30A)을 제외한 나머지 지점에 설치되어 교축방향과 교축직각방향으로, 상기 상부구조물의 수축과 팽창이 구속되지 않도록, 일방향 가동단 탄성받침(30B) 및 전방향 가동단 탄성받침(30C)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탄성받침(30)은 받침적용에 따라 발생되는 온도변형, 크리프 및 건조수축변형 등의 상부 구조물 신축에 따른 과도한 전단변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도 4는 탄성받침(30)의 전단변형을 나타낸 것으로서, 탄성체(33)가 상부구조물(10)의 수직하중으로 압축변형되면서 상기 상부구조물(10)과 하부구조물(20)사이에 온도변화 등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상대운동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상부구조물(10)과 일체로 되어 있는 탄성받침 상판(31)이 동시에 이동하며, 수직하중에 의한 상기 탄성받침 상판(31)과 상기 탄성체(33)의 접촉면에서의 수평방향 마찰력에 의하여, 일방향 가동단 탄성받침(30B)과 전방향 가동단 탄성받침(30C)의 탄성체(33)는 전단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구조물(10)의 변위수용, 상부구조물(10)에 대한 하중지지 및 하중전달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하여 교량 구조물 전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부구조물(10)의 신축에 따른 탄성받침(30)의 전단 변형은 설치시점으로부터 각 시공공정별로 계산에 따른 예측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점을 이용하여, 탄성받침(30) 설치시 상부구조물(10)의 변형을 미리 예측하여 예측된 변형량만큼 탄성받침(30)을 미리 전단 변형시킴으로써 향후 발생될 탄성받침(30)의 최대 변형이 허용변형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프리셋팅(presetting) 개념이 도입되었다.
상기 프리셋팅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프리셋팅의 일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86818"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탄성받침의 프리셋팅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볼팅 작업에 따른 탄성받침 상판(31) 및 탄성받침 하판(32)에 볼트공을 시공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프리셋팅을 위한 자재 상승 비용에 따라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둘째, 프리셋팅이 교량의 시공 현장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시공 작업이 대형화되고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작업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시공 현장에서 탄성받침의 전단변형을 예측하여 일측으로 밀어낸 후, 용접 작업을 통해 탄성받침의 프리셋팅 작업을 마무리하는 일련의 시공 작업은 작업 공수가 많이 소요되어 작업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나아가, 화기 작업이 소요됨에 따라,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가 큰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8681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2941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에 탄성받침 시공시 시공에 대한 작업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탄성받침 제작시 탄성체의 전단변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프리셋팅 지그가 미리 결합되어 시공 현장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 탄성받침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량의 상부 구조물에 고정되는 상부 받침판과, 교량의 하부 구조물에 고정되는 하부 받침판과, 상부 받침판 및 하부 받침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구조물에 대한 하중을 지지하거나 완충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교량용 탄성받침에 있어서, 상기 탄성받침의 전단 변형을 미리 예측하여 상부 받침판과 하부 받침판 중 어느 하나를 일측으로 밀어 탄성체를 전단 변형한 상태로 유지하는 프리셋팅 지그를 탄성받침에 설치하고, 상기 프리셋팅 지그는, 상부 받침판과 하부 받침판 사이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측부와, 각 측부의 길이 방향으로 양단부에는 각각 측부의 상방과 하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부 받침판의 일측 단부와 하부 받침판의 타측 단부를 지지하여 어느 한 방향으로 밀려난 상부 받침판 및 하부 받침판이 복원되지 않도록 한 단턱부와, 상기 각 측부의 길이 방향으로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결합공을 포함하는 한 쌍의 지지판;상기 한 쌍의 지지판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과하여 한 쌍의 지지판을 연결하며, 결합공을 통해 노출된 양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부재;상기 한 쌍의 지지판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과하여 지지판을 연결하며, 결합공을 통해 노출된 양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부재;상기 연결부재의 양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부 받침판 및 하부 받침판으로부터 연결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탄성받침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지지판은 상부 받침판 또는 하부 받침판의 측면 길이에 비해 길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판의 길이는 상부 받침판 또는 하부 받침판의 측면 길이에 탄성체를 전단변형시키기 위하여 상부 받침판 또는 하부 받침판을 밀어낸 거리를 더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부의 높이는 상부 받침판과 하부 받침판 사이의 높이에 비해 작게 형성되고, 단턱부의 최고점은 상부 받침판의 최고점보다 낮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턱부와 상부 받침판의 대향면에는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 받침판이 상방으로 밀리는 힘을 억제하기 위한 밀림방지부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밀림방지부는, 단턱부와 상부 받침판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밀림방지돌기와, 단턱부와 상부 받침판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밀림방지돌기가 수용되는 밀림방지홈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받침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탄성받침에 프리셋팅 지그가 결합된 상태로, 시공 현장에 제공됨에 따라 현장에서의 프리셋팅 작업이 소요되지 않으므로 작업 공수를 줄이고 탄성받침 시공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미리 예측하여 전단변형시킨 탄성받침을 프리셋팅 지그로 하여금 유지시킨 상태로 공장으로부터 현장에 공급되므로, 작업 편의성을 높여 작업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탄성받침에 대한 시공이 완료된 후 탄성받침으로부터 프리셋팅 지그를 분리하는 작업 역시, 너트를 풀어 연결부재만 제거하면 되므로 프리셋팅 지그에 대한 제거 작업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교량에 탄성받침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탄성받침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3은 탄성받침에 의해 교량의 상부구조물이 가동되는 방향을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탄성받침의 전단변형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받침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받침 조립체의 프리셋팅 지그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받침 조립체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받침 조립체를 나타낸 측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받침 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탄성받침 조립체는 탄성받침의 프리셋팅 시공에 대한 작업편의성을 높여 작업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탄성받침 조립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받침(100)과, 프리셋팅 지그(200)로 구성된다.
탄성받침(100)은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구성하는 상판(10: 도 1참조)과 교량의 하부 구조물을 구성하는 교각(20: 도 1참조) 및 교대 사이에 설치되어 상판의 하중을 지지하고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탄성받침(100)은 온도변화 및 주변 환경 변화에 따른 상판(10)의 이동 또는 처짐 등에 대한 가동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탄성받침(100)은 상부 받침판(110)과, 하부 받침판(120)과, 상부 받침판(110) 및 하부 받침판(120) 사이에 고정된 탄성체(130)로 구성된다.
상부 받침판(110)은 탄성받침(100)의 상부를 구성하며, 상판(10)의 저면에 밀착된다.
하부 받침판(120)은 탄성받침(100)의 하부를 구성하며, 교각(20)이나 교대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부 받침판(110)과 하부 받침판(120)은 상,하 방향으로 대향되며, 동일 크기로 형성된 사각 플레이트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탄성체(130)는 상판(10)의 가동을 원활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며, 상부 받침판(110)과, 하부 받침판(120) 사이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프리셋팅 지그(200)는 탄성받침(100)의 프리셋팅 시공에 대한 작업 편의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탄성 받침(1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으로 제공된다.
즉, 프리셋팅 지그(200)는 탄성받침(100) 제작시, 미리 예측된 전단변형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탄성받침(100)에 함께 결합되어 제공됨으로써 시공 현장에서의 탄성받침에 대한 프리셋팅 작업이 소요되지 않아 작업 공수를 줄이고 작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탄성받침(100)이 시공된 후에, 탄성받침(100)으로부터 프리셋팅 지그(200)를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편의성까지도 높임으로써 작업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프리셋팅 지그(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판(210)과, 연결부재(220)와, 결합부재(230)를 포함한다.
지지판(210)은 전단변형된 탄성받침(100)의 상태를 유지시키며, 탄성받침(1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지지판(210)의 양단부는, 강제로 전단변형된 탄성받침(100)이 교량에 시공되는 동안만 원상태로 복원되지 않도록 단턱(210a)을 형성한다.
그리고, 지지판(210)의 길이는 상부 받침판(110)과 하부 받침판(120)의 길이에 비해 길게 형성된다.
이는, 상부 받침판(110)과 하부 받침판(12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려났을 때 탄성받침(100) 측면의 최대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이다.
즉, 지지판(210)의 길이는 상부 받침판(110) 또는 하부 받침판(120)의 측면 길이에, 전단변형을 위해 상부 받침판(110) 또는 하부 받침판(120)이 밀려난 거리를 더한 길이인 것이다.
상기 지지판(210)은 측부(211)와 단턱부(212)로 구성된다.
측부(211)는 상부 받침판(110)과 하부 받침판(120) 사이에 개재되는 부위이다.
단턱부(212)는 강제로 전단변형된 상부 받침판(110) 및 하부 받침판(120)이 복원되지 않도록 단턱(210a)이 형성된 부위이며, 상기 측부(211)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단턱부(212)는 측부(211)의 양단부로부터 상부 받침판(110) 및 하부 받침판(120)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때, 각각의 단턱부(212)에는 양측을 관통하는 결합공(212a)이 형성된다.
결합공(212a)은 연결부재(220)를 지지판(210)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다음으로, 연결부재(220)는 한 쌍의 지지판(210)을 서로 연결하여 탄성받침(100)으로부터 프리셋팅 지그(200)가 쉽게 이탈되지 못하도록 구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연결부재(220)는 바 형태로 형성이 되며, 그의 양단부에는 너트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연결부재(220)는 탄성받침(100)의 전,후 방향에 각각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부재(220)의 길이는 지지판(210) 사이의 간격 너비에 비해 길게 형성되어 연결부재(220)의 양단부가 지지판(21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결합부재(230)는 지지판(210) 사이에 결합된 연결부재(220)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탄성받침(100)에 지지판(21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부재(230)는 지지판(210)의 결합공(212a)을 통해 노출된 연결부재(220)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너트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탄성받침 조립체의 제작 및 시공에 대하여 설펴보도록 한다.
탄성받침 조립체는 온도변화, 크리프, 건조수축 등으로 인한 탄성받침의 전단변형을 미리 예측하여 공장에서 프리셋팅된 상태로 제작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먼저 탄성 받침(100)을 제작한 후,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탄성받침(100)을 프리셋팅 시킨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받침판(110)을 도면상 우측으로 밀어내어 탄성체를 변형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부 받침판(110)을 밀어내는 장치로는 잭 램 등의 유압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후, 탄성받침(100)의 프리셋팅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프리셋팅 지그(200)를 탄성 받침(100)의 양측에 각각 고정시킨다.
이때, 지지판(210)의 일측에 형성된 단턱부(212)는 상부 받침판(110)의 일단부를 지지하면서 상부 받침판(110)이 원위치 되지 않도록 하며, 지지판(210)의 타측에 형성된 단턱부(212)는 하부 받침판(120)의 일단부를 지지하면서 고정이 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판(210)이 탄성받침(100)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부재(220)를 결합시킨다.
이때, 연결부재(220)의 양단부는 각각, 지지판(210)의 결합공(212a)을 통해 지지판(210)의 외측으로 노출이 된다.
다음으로, 지지판(210)의 외측으로 노출된 연결부재(220)의 양단부에 너트(230)를 결합시킴으로써, 탄성받침 조립체의 제작이 완료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제작된 탄성받침 조립체는 교량의 시공 현장으로 공급된다.
이후, 탄성 받침 조립체는 교량의 하부 구조물(20)에 고정되며, 탄성받침 조립체의 상부에는 교량의 상판(10)이 안착된다.
이후, 연결부재(220)의 양단부에 결합된 너트(230)를 풀어낸 후, 탄성받침(100)의 양측으로부터 지지판(210) 및 연결부재(220)를 분리해냄으로써, 탄성받침(100)에 대한 시공이 완료된다.
이때, 지지판(210)을 분리하더라도 교량의 상판(10) 하중으로 인해 탄성받침(100)의 프리셋팅된 상태는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탄성받침 조립체의 프리셋팅 지그(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211)의 높이가 상부 받침판(110)과 하부 받침판(120) 사이의 높이에 비해 작게 형성되고, 단턱부(212)의 최고점은 상부 받침판(110)의 최고점보다 낮게 구성하여 하부 받침판(120)의 상면에 안착되는 한편 상부는 상부 받침판(110)의 저부에서 이격됨으로써 분리가 용이하게 구성된다.
이는, 교량으로부터 탄성받침을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더욱 높이기 위함이며, 이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프리셋팅 지그(200)는 상방의 상부 구조물(10)에 접촉되지 않는 구성이므로, 상부 구조물(10)에 대한 하중을 전달받지 않기 때문에 교량에 시공된 탄성받침(100)으로부터 상기 프리셋팅 지그(200)를 더욱 용이하게 분리해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탄성받침(100)과 프리셋팅 지그(200) 사이에는 밀림방지부(300)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림방지부(300)는 전단변형된 탄성받침(100)에 프리셋팅 지그(20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탄성체(130)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 받침판(110)이 상방으로 밀려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탄성 받침(100) 및 프리셋팅 지그(200)에 밀림방지부(300)가 형성된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첨부된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셋팅 지그(200)의 단턱부(212)와 탄성받침(100)의 상부 받침편(110)에는 밀림방지부(30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밀림방지부(300)에 의해 상부 받침판(110)과 프리셋팅 지그(200)의 결합력은 더욱 견고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탄성체(130)를 전단 변형시켜놓은 상태이므로, 탄성체(130)는 복원력을 발생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부 받침판(110)이 상방으로 밀려 올라가려고 하는 것을 억제시켜준다.
이에 따라, 탄성받침(100)과 프리셋팅 지그(200)의 결합력은 더욱 견고해질 수 있는 것이다.
밀림방지부(300)는 상부 받침판(110)과 단턱부(212)의 각 대향면에 밀림방지돌기(310) 및 밀림방지홈(320)이 형성된다.
이때, 밀림방지돌기(310) 및 밀림방지홈(320)의 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단턱부(212)와 상부 받침편(110) 중 어느 하나에 밀림방지돌기(310)가 형성되며, 다른 하나에는 밀림방지홈(320)이 형성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받침 조립체는 교량에 프리셋팅된 탄성받침 시공에 대한 작업 편의성을 높여 작업 생산성을 극대화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프리셋팅 지그로 하여금 탄성받침의 프리셋팅을 용이하게 유지시켜 현장에서의 탄성받침 프리셋팅 시공 작업성을 높이고, 탄성받침으로부터 상기 프리셋팅 지그가 용이하게 분리됨으로써 작업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탄성받침 110 : 상부 받침판
120 : 하부 받침판 130 : 탄성체
200 : 프리셋팅 지그 210 : 지지판
210a : 단턱 211 : 측부
212 : 단턱부 212a : 결합공
220 : 연결부재 230 : 결합부재
300 : 밀림방지부 310 : 밀림방지돌기
320 : 밀림방지홈

Claims (6)

  1. 교량의 상부 구조물에 고정되는 사각 플레이트인 상부 받침판(110)과, 교량의 하부 구조물에 고정되는 사각 플레이트인 하부 받침판(120)과, 상부 받침판(110) 및 하부 받침판(120)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구조물에 대한 하중을 지지하거나 완충시키는 탄성체(1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교량용 탄성받침과;
    상기 탄성받침의 전단 변형을 미리 예측하여 상부 받침판(110)과 하부 받침판(120) 중 어느 하나를 일측으로 밀어 탄성체(130)를 전단 변형한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상부 받침판과 상기 하부 받침판이 각각 상기 교량의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에 고정된 후 상기 교량용 탄성받침으로부터 분리되는 프리셋팅 지그(200)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셋팅 지그(200)는,
    상기 상부 받침판과 하부 받침판의 측면 길이에 비해 길게 형성되며 상부 받침판(110)과 하부 받침판(120) 사이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부(211)와, 각 측부(211)의 길이 방향으로 양단부에 각각 측부(211)의 상방과 하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부 받침판(110)의 일측 단부와 하부 받침판(120)의 타측 단부를 지지하여 어느 한 방향으로 밀려난 상부 받침판(110) 및 하부 받침판(120)이 복원되지 않도록 하는 단턱부(212)와, 상기 단턱부에 양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결합공(212a)을 포함하는 한 쌍의 지지판(210);
    상기 한 쌍의 지지판(210) 사이의 간격 너비에 비해 길게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판(210)에 형성된 결합공(212a)을 통과하여 한 쌍의 지지판을 연결하며, 결합공(212a)을 통해 노출된 양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부재(220);
    상기 연결부재(220)의 양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부 받침판(110) 및 하부 받침판(120)으로부터 연결부재(22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 결합부재(230):를 포함하며,
    상기 측부(211)의 높이는 상부 받침판(110)과 하부 받침판(120) 사이의 높이에 비해 작게 형성되고, 단턱부(212)의 최고점은 상부 받침판(110)의 최고점보다 낮게 형성되어 저부가 상기 하부 받침판의 상면에 안착되는 한편 상부는 상기 상부 받침판의 저부에서 이격됨으로써 상기 지지판과 연결부재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턱부(212)와 상부 받침판(110)의 대향면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 받침판(110)이 상방으로 밀리는 힘을 억제하기 위한 밀림방지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밀림방지부(300)는,
    단턱부(212)와 상부 받침판(11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밀림방지돌기(310)와, 단턱부(212)와 상부 받침판(11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밀림방지돌기(310)가 수용되는 밀림방지홈(320)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210)의 길이는 상부 받침판(110) 또는 하부 받침판(120)의 측면 길이에 탄성체(130)를 전단변형시키기 위하여 상부 받침판(110) 또는 하부 받침판(120)을 밀어낸 거리를 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탄성받침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021850A 2015-02-12 2015-02-12 교량용 탄성받침 조립체 KR101705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850A KR101705765B1 (ko) 2015-02-12 2015-02-12 교량용 탄성받침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850A KR101705765B1 (ko) 2015-02-12 2015-02-12 교량용 탄성받침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409A KR20160099409A (ko) 2016-08-22
KR101705765B1 true KR101705765B1 (ko) 2017-02-10

Family

ID=56854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850A KR101705765B1 (ko) 2015-02-12 2015-02-12 교량용 탄성받침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7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665B1 (ko) * 2018-05-23 2019-07-31 진형건설(주) 프리셋팅된 교량 받침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238B1 (ko) * 2009-01-30 2013-07-09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교량 면진받침의 변형량조절장치
JP6039767B1 (ja) * 2015-08-11 2016-12-07 株式会社妃呂 車体レンタルシステム、サーバ装置、ユーザ端末装置、及び、レンタル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5803A (ja) * 1985-08-22 1987-02-27 株式会社 ビ−ビ−エム ゴム支承の予備せん断変形保持装置
KR100829412B1 (ko) 2007-10-08 2008-05-15 주식회사비스타이엔씨 교량용 탄성받침
KR100886818B1 (ko) 2008-04-02 2009-03-04 유니슨이앤씨(주) 프리셋팅이 용이한 교량용 탄성받침 및 그의 프리셋팅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238B1 (ko) * 2009-01-30 2013-07-09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교량 면진받침의 변형량조절장치
JP6039767B1 (ja) * 2015-08-11 2016-12-07 株式会社妃呂 車体レンタルシステム、サーバ装置、ユーザ端末装置、及び、レンタル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665B1 (ko) * 2018-05-23 2019-07-31 진형건설(주) 프리셋팅된 교량 받침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409A (ko) 2016-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1893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지지용 탄성받침
KR101146627B1 (ko) 위치이동이 가능한 교량받침용 앵커소켓 구조물
KR101705765B1 (ko) 교량용 탄성받침 조립체
JP4331184B2 (ja) 変位調整機能付き落橋防止装置
KR100732346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용 탄성받침
KR101783034B1 (ko) 거푸집 덱 지지용 소켓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벽체 거푸집, 보 거푸집, 기둥 거푸집
KR101093573B1 (ko) 유지 보수형 스페리컬 교좌장치
KR100808855B1 (ko) 교량의 파운딩 방지를 위한 면진용 완충식 핑거 조인트
KR101822905B1 (ko) 교량용 면진장치
KR101051059B1 (ko) 면진용 디스크 받침
KR101326640B1 (ko) 오토프리세팅이 가능한 탄성받침, 그 시공방법
KR101193470B1 (ko) 교량받침 및 교량의 시공방법
JP6359136B2 (ja) 移動制限装置
JP6181393B2 (ja) 移動制限装置
KR102055918B1 (ko) 면진용 교좌 교체 시공 방법
KR101488790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분리형 교량 받침장치
JP2017122365A (ja) 橋梁の機能分離型制振構造
KR101962665B1 (ko) 프리셋팅된 교량 받침 어셈블리
KR101962663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 받침
KR200371648Y1 (ko)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
KR100448486B1 (ko) 교좌장치
JP7071315B2 (ja) ビーム支持装置
KR100730802B1 (ko) 일체형 탄성받침
KR200460662Y1 (ko) 테이퍼형 가이드블록이 형성된 부반력 방지 탄성받침
KR101914232B1 (ko) 건축물의 보강구조 및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