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1893B1 -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지지용 탄성받침 - Google Patents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지지용 탄성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1893B1
KR100831893B1 KR1020070129187A KR20070129187A KR100831893B1 KR 100831893 B1 KR100831893 B1 KR 100831893B1 KR 1020070129187 A KR1020070129187 A KR 1020070129187A KR 20070129187 A KR20070129187 A KR 20070129187A KR 100831893 B1 KR100831893 B1 KR 100831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bridge
plate
fixed
rubber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석
박동현
강창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66505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3189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알
Priority to KR1020070129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18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2Mechanical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지지용 탄성받침은, 교량의 상부구조물의 밑면에 고정되는 상부판(2); 교각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하부판(3); 상부판(2)과 하부판(3)의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패드(4); 고무패드(4)의 주변에서 상부판(2)의 밑면에 고정된 상부쐐기(20); 및 상부쐐기(20)와 근접한 위치에서 하부판(3)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부판(2)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하부쐐기(30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쐐기(20)는 용접에 의해 상부판(2)의 밑면에 고정되고, 하부쐐기(300)는 고무패드(4)의 주변에서 하부판(3)위에 고정된 수평빔(360)과 상기 수평빔(360)의 상면 중 고무패드(4)로부터 먼 부분에 용접으로 고정된 수직빔(350)에 의해 L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수평빔(360)은 쐐기 고정볼트(321)에 의해 하부판(3)에 결합되고, 수직빔(350)의 표면에는 노치부(353)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하부쐐기가 파손된 후에 볼트를 풀고 체결하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파손된 쐐기를 쉽게 제거하고 새 것으로 갈아 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탄성받침, 베어링, 교량, 교각, 상부구조물, 하부구조물, 앵커볼트, 고무, 고무패드, 보강판, 지진, 부반력, 쐐기

Description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지지용 탄성받침{Elastic bearing for supporting a bridge, which facilitates easy maintenance and repairing}
본 발명은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지지용 탄성받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받침에 있어서 고무패드의 이동을 막기 위해 설치된 쐐기들이 지진 등의 강력한 외력에 의해 파손되었을 경우 이 파손된 쐐기들을 용이하게 보수하고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쐐기의 구조를 개량한 교량지지용 탄성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이루는 거더(girder)와 하부구조물을 이루는 교각의 사이에는, 상부구조물에 작용하는 수직하중을 수용하고 계절의 온도변화나 바람, 지진 등의 충격 등에 의한 상대변위 및 수평방향의 전단변위를 수용하여 교량의 내구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탄성받침이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받침은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가해지는 각종 하중들, 즉 교량 자체의 하중과 차량의 충격하중 및 소음을 흡수하여 교량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도1 내지 도3을 참고하여 종래의 교량지지용 탄성받침의 구성과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종래의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부판(2)과 하부판(3) 및 상기 상부판(2)과 하부판(3)의 사이에 설치된 고무패드(4)로 구성되며, 수직하중이 가해졌을 때에는 고무패드(4)가 팽출하면서 완충력 및 저항력을 발휘하고, 수평방향의 전단변형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고무패드(4)가 그 두께의 약 150% 정도까지 변형됨으로써 전단변형에 저항하도록 되어 있다(도3 참조).
도1 및 도2를 참고하면 상기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의 상부판(2)은 앵커볼트(21)에 의해 교량의 상부구조물(5) 측에 고정되고, 하부판(3)은 앵커볼트(31)에 의해 교량의 하부구조물(6)(즉, 교각)에 고정되며, 고무패드(4)는 그 내부에 다수 적층된 금속제의 보강판들(42)이 고무재질을 잡아줌으로써 수직하중에 대한 내하력을 높이고 있다.
한편, 상기 탄성받침(1')에는 특정 방향으로의 수평변위는 허용하되 기타 다른 방향으로의 수평변위는 제한하기 위해 상하부 쐐기들(20,30)이 설치된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종래의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은 일방향 탄성받침으로서 상기 상하부 쐐기들(20,30)이 설치되지 않은 쪽의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고, 상하부 쐐기들(20,30)이 설치된 방향으로는 쐐기들(20,30)이 서로 걸리기 때문에 이동이 제한된다.
비록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탄성받침(1')에서 사방으로 쐐기들이 설치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는 고정식 탄성받침으로서 모든 방향으로의 수평변위가 제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일방향 탄성받침 혹은 고정식 탄성받침에서 수평방향으로 의 변위가 제한되는 기능은 평상시의 경우에만 발휘되어야 하며, 지진과 같이 교량 자체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큰 외력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쐐기들(20,30)이 탈락함으로써 탄성받침이 보다 큰 전단변형을 수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만약 지진의 발생시 탄성받침의 쐐기가 탈락하지 않고 저항한다면 강재받침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교량의 고정단에 지진하중이 집중되어 교량의 설계시 고려했던 수평력보다 과다한 수평력이 교각에 전달되기 때문에 교량 자체가 붕괴될 위험이 있다.
도1에서 미설명부호 22는 상부판(2)과 고무패드(4)를 연결하는 패드 고정볼트를 가리키며, 41은 고무패드(4)에 형성된 볼트체결공을 가리킨다.
도2는 평상시의 탄성받침(1')의 작동상태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며, 도3은 지진 발생시의 탄성받침(1')의 작동상태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3을 참고하면, 지진 발생시 탄성받침('1)이 전단변형을 받음으로써 탄성받침(1')의 상부판(2)과 하부판(3)이 수평방향으로 서로 반대쪽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상하부 쐐기들(20,30)이 파손되어 탈락하게 된다. 상하부 쐐기들(20,30)은 용접에 의해 상부판(2) 및 하부판(3)에 부착되어 있는데, 그 용접부(20a,30a)의 강도는 미리 설계되어 있어서 그 설정된 한계를 넘는 전단변형을 받으면 상하부 쐐기들(20,30)이 떨어져 나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쐐기들(20,30)이 파손된 후에는, 상부판(2) 및 하부판(3)의 용접부위(20a,30a)를 매끈하게 다듬은 다음 새로운 쐐기들을 용접하여 붙여야 한다. 그러나, 상부판(2)과 하부판(3)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서 기존의 용접부위(20a,30a)를 청소하고 새로운 쐐기들을 용접해 붙이는 작업은 쉽지 않으며, 더욱이 고무패드(4)의 근처에서 용접을 할 때 용접열에 의해 고무패드(4)가 파손될 위험도 있었다. 이와 같이 기존의 교량지지용 탄성받침은 지진에 의해 쐐기들이 파손된 후에 새로운 쐐기들을 교체해 설치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지진에 의해 쐐기가 파손된 후에 새로운 쐐기를 설치해 넣기가 용이하도록 쐐기의 설치구조를 개량한 교량지지용 탄성받침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지지용 탄성받침은, 교량의 상부구조물의 밑면에 고정되는 상부판(2); 교각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하부판(3); 상기 상부판(2)과 하부판(3)의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패드(4); 상기 고무패드(4)의 주변에서 상기 상부판(2)의 밑면에 고정된 상부쐐기(20); 및 상기 상부쐐기(20)와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하부판(3)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판(2)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하부쐐기(30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쐐기(20)는 용접에 의해 상기 상부판(2)의 밑면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쐐기(300)는 상기 고무패드(4)의 주변에서 상기 하부판(3)위에 고정된 수평빔(360)과 상기 수평빔(360)의 상면 중 상기 고무패드(4)로부터 먼 부분에 용접으로 고정된 수직빔(350)에 의해 L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평빔(360)은 그 윗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삽입된 쐐기 고정볼트(321)에 의해 상기 하부판(3)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빔(350)의 표면에는 상기 하부쐐기(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이 파여져 노치부(35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지지용 탄성받침은 지진발생시 쐐기가 파괴됨으로써 교량이 안전성을 보장하며, 쐐기가 파손된 후에 쉽고 빠르게 파손된 쐐기를 제거하고 새 쐐기를 끼워 넣을 수 있는 개량된 탄성받침의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설명된 교량지지용 탄성받침은 하부쐐기가 파손된 후에 볼트를 풀고 체결하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파손된 쐐기를 쉽게 제거하고 새 것으로 갈아 낄 수 있으며, 특히 볼트체결부를 하부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주로 설치함으로써 작업자의 보수 유지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려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지지용 탄성받침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4를 비롯한 이하의 도면들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데 있어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종래의 탄성받침(1')과 동일한 구조를 가진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의 단면도이다. 도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은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고정되는 상부판(2)과 교각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하부판(3)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판(2)과 하부판(3)의 사이에는 수직하중에 대해서 탄성력을 발휘하는 고무패드(4)가 설치된다. 상기 고무패드(4)의 내부에는 금속제의 보강판들(42)이 다수 적층되어 있어서, 수직하중이 가해졌을 때 고무패드(4)의 고무 재질이 측면으로 팽출되는 것을 억제하여 수직하중에 대한 내하력을 증대시킨다.
본 발명의 탄성받침(1)에 있어서 고무패드(4)의 좌우측면에는 상부판(2) 및 하부판(3)에 각각 상부쐐기(20) 및 하부쐐기(300)가 설치된다. 상부쐐기(20)는 용접에 의해 상부판(2)의 밑면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쐐기(20)의 바깥쪽으로는 하부쐐기(300)가 하부판(3) 위에 설치된다. 도면부호 20a는 용접부를 가리킨다.
그리고 하부쐐기(300)는 수직빔(350)과 수평빔(360)의 2개의 조각이 결합되어 L자형 단면 형상을 가진다. 상기 수평빔(360)과 수직빔(360)은 긴 막대형의 빔(beam) 형상을 가지며, 수평빔(360)은 넓은 면이 하부판(3)위에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쐐기 고정볼트(321)에 의해 하부판(3)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빔(360)은 상기 수평빔(360)의 상면에 용접에 의해 부착되되, 상기 고무패드(4)로부터 먼 방향 쪽으로 치우쳐서 부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직빔(360)이 상기 수평빔(350)의 상면 중 한쪽 가장자리에 치우쳐서 부착됨으로써, 상기 하부쐐기(300)는 전체적으로 L자형의 단면 형상을 갖게 된다. 도4에서 미설명 부호 350a는 수직빔(350)을 수평빔(360)에 부착하는 용접부를 가리킨다.
그리고, 상기 수직빔(350)의 표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홈이 파여져서 노치부(353)가 형성된다.
도4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의하면,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은 상부쐐기(20) 가 고무패드(4)로부터 충분히 이격되어 있어서, 지진발생시 탄성받침(1)이 전단변형을 일으킨다고 하더라도 상부쐐기(20)가 고무패드(4)와 직접 접촉하여 파괴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부쐐기(20)의 용접부(20a)의 강도보다 하부쐐기(300)의 노치부(353)의 강도가 약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지진발생시 탄성받침(1)의 전단변형이 발생하면 상부쐐기(20)에 밀려서 하부쐐기(300)의 노치부(353)가 우선적으로 파괴된다.
하부쐐기(300)의 노치부(353)가 부러지면 쐐기 고정볼트(321)를 풀어 하부쐐기(300)를 분리한 다음 새 하부쐐기를 갈아 낄 수 있다. 이때, 파괴된 하부쐐기(300) 위에 남아 있는 부러진 수직빔(350)을 완전히 제거한 후 용접부(350a)를 청소하고 새 수직빔을 용접하여 부착함으로써 재활용한 하부쐐기를 끼울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완전히 새 하부쐐기를 끼울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쐐기(20)와 하부쐐기(300)가 소정의 간극을 둔 상태에서 서로 접촉 지지가능하게 되어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좌우측 방향으로 전단 변형되는 것이 억제되며, 지진 발생과 같이 강한 외력을 받은 경우에만 하부쐐기(300) 중의 수직빔(350)이 부러져서 전단 변형을 허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쐐기(300)가 충격에 대해 견디는 한계 강도는 노치부(353)의 단면형상에 의해 비교적 정확히 예측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은 지진발생시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하부쐐기(300)가 실수없이 파손되도록 하여 지진에 대한 교량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a)의 단면도이다. 도5를 참고하면,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a)은 L자형 단면을 가지는 상부쐐기(200)가 상부판(2)의 밑면에 용접으로 부착되며, "
Figure 112007089415817-pat00001
"자형 단면을 가지는 하부쐐기(300)가 하부판(3)의 상면에 쐐기 고정볼트(321)로 부착된다.
상기 L자형의 상부쐐기(200)는 수직빔 부분(201)과 수평굴절부(202)가 일체로 구성되는데, 상기 수직빔 부분(201)은 용접에 의해 상부판(2)의 밑면에 고정되고, 상기 수평굴절부(202)는 수직빔 부분(201)의 하단에서 상기 고무패드(4)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수평으로 굴절되어 연장된다. 도5에서 도면부호 200a는 상부쐐기(200)의 용접부를 가리킨다.
상기 하부쐐기(300)는 수평고정부(304), 수직빔 부분(301) 및 수평굴절부(302)가 일체로 구성되는데, 상기 수평고정부(304)는 고무패드(4)의 주변에서 쐐기 고정볼트(321)에 의해 상기 하부판(3)위에 고정되며, 상기 수직빔 부분(301)은 수평고정부(304)의 고무패드(4)쪽에 인접한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굴절되어 연장되고, 상기 수평굴절부(302)는 수직빔 부분(301)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고무패드(4) 쪽을 향하여 수평으로 굴절되어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쐐기(300) 중의 수직빔 부분(301)에는 하부쐐기(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이 파여져 형성된 노치부(303)가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a)은 상부쐐기(200)와 하부쐐기(300)가 서로 마주보면서 L자형으로 굴절되어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서로를 구속할 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으로도 서로를 구속하므로 교량의 한쪽 측면에 하중이 집중될 때 다른 쪽 측면이 들뜨게 되는 부반력(負反力)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의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a)은 하부쐐기(300)의 노치부(303)의 단면이 작으므로 강한 전단변형 혹은 수직방향의 변형을 받았을 때에 노치부(303)가 절단되게 된다. 노치부(303)가 절단된 하부쐐기(300)는 쐐기 고정볼트(321)를 풀어 하부판(3)으로부터 해체할 수 있으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손쉽게 새로운 하부쐐기를 교체 설치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b)의 단면도이다. 도6을 참고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b)은 L자형 단면을 가진 상부쐐기(200)가 상부판(2)의 밑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며, 전체적으로 "
Figure 112007089415817-pat00002
"자형 단면을 가진 하부쐐기(300)가 쐐기 고정볼트(321)에 의해 하부판(3)에 부착된다.
상부쐐기(200)는 상술한 제2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하부쐐기(300)는 수평빔(320)이 쐐기 고정볼트(321)에 의해서 하부판(3)위에 부착되고, 역L자형의 수직빔(301)이 용접에 의해 상기 수평빔(320) 위에 고정된다. 이때 용접부(301a)의 강도에 의해서 하부쐐기의 강도가 결정된다. 따라서, 용접부(301a)의 접합력 보다 강한 전단력이나 부반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하부쐐기(300)의 용접부(301a)가 파괴되면서 수직빔(301)이 수평빔(320)으로부터 탈락하게 된다.
제3실시예의 경우에도 하부쐐기(300)가 파손된 후에 쐐기 고정볼트(321)를 풀어 손쉽게 파손된 하부쐐기를 새 것으로 갈아 낄 수 있다.
도7 및 도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c)의 단면 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7 및 도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c)은 상부쐐기(20)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그러나, 하부쐐기는 복수 개의 봉들로 나누어 제작되며, 각 하부쐐기봉(330)은 중간 부분에 홈이 파여져 형성된 노치부(333)를 가지고 있고, 상기 노치부(333)의 아래로는 수나사부(334)가 형성되어 하부판(3)안에 나사식으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하부쐐기봉들(330)이 고무패드(4)의 한쪽 측면에 총 3개가 설치된다고 할 때, 각 노치부(333)의 단면은 각각 Va, Vb 및 Vc가 되는데, 3개의 노치부들의 총 단면적(V)은 V=Va+Vb+Vc가 되며, 노치부의 총 단면적(V)에 의해서 하부쐐기봉들(330)의 전체 전단저항력을 구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각 노치부의 단면은 동일한 크기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Va=Vb=Vc).
도8에서 미설명부호 33은 하부판(3)에 형성된 쐐기 체결봉(33)이며, 상기 쐐기 체결봉(33)의 내벽면에는 하부쐐기봉(330)의 수나사부(334)에 대응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제4실시예에 의한 탄성받침(1c)은 지진에 의해 하부쐐기봉들(330)의 노치부(333)가 부러진 후에 하부쐐기봉(330)의 남아 있는 부분을 공구로 잡고 돌려 뺀 다음 새 하부쐐기봉들을 끼워 넣으면 되므로, 탄성받침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도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d)의 단면도이다. 도9를 참고하면, 제5실시예에 따른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d)은 상부쐐기(20)는 상 술한 제1실시예 및 제4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쐐기(300)는 수직빔(310)과 수평빔(320)의 2개의 조각이 결합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수평빔(320)의 밑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삽입되어 수평빔(320)을 관통한 후 수직빔(310)까지 들어간 접시머리 볼트(311)에 의해 상기 수평빔(320)과 수직빔(310)이 서로 결합되며, 상기 수평빔(320)은 수직빔(310)의 바깥쪽에서 아래 방향으로 삽입된 쐐기 고정볼트(321)에 의해 하부판(3)과 결합한다.
도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d)은 하부쐐기(300)의 구조에 있어서 수평빔(320)의 면적 중 고무패드(4)에 가까운 쪽에 접시머리 볼트(311)에 의해 수직빔(310)을 L자형으로 세워 고정함으로써, 지진발생에 의해 수직빔(310)이 상부쐐기(20)와의 충돌로 탈락된 후에는, 쐐기 고정볼트(321)를 풀기만 하면 파손된 하부쐐기(30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파손된 하부쐐기(300)를 분리한 후에는, 수직빔(310)이 수평빔(320) 위에 L자형으로 결합되어 있는 새로운 하부쐐기(300)를 기존에 하부쐐기가 설치되어 있었던 자리에 갖다 놓은 후 쐐기 고정볼트(321)를 채우는 방식으로 손쉽게 하부쐐기(300)의 재설치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도9에 도시된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d)은 상부쐐기(20)와 하부쐐기(300)가 소정의 간극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접촉 지지가능하게 인접 설치되어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좌우측 방향으로 전단 변형되는 것이 억제되며, 지진 발생과 같이 강한 외력을 받은 경우에만 하부쐐기(300) 중의 수직빔(310)이 부러져서 전단 변형을 허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쐐기(300)가 충격에 대해 견디는 한계 강도는 접시머리 볼트(311)가 수직빔(310)에 대해 발휘하는 전단마찰력에 의해 비교적 정확히 예측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d)은 지진발생시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하부쐐기가 실수없이 파손되도록 하여 지진에 대한 교량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e)의 단면도이다. 도10을 참고하면, 제6실시예에 따른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e)은 상부쐐기(20)의 구조가 상술한 제1실시예, 제4실시예 및 제5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며, 하부쐐기판(400)은 하부판(3)의 상면이 아니라 측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하부쐐기판(400)은 고정핀(401)에 의해서 하부판(3)과 결합되는데, 상기 고정핀(401)은 그 표면에 형성된 나사부(401a)에 의해서 하부판(3) 안에 삽입 고정될 수 있고, 하부쐐기판(400)안에 삽입된 후에는 고정핀(401)의 머리 부분을 구부려 둠으로써 하부쐐기판(400)이 하부판(3)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고정핀(401)의 나사부(401a)와 하부판(3)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 보다 큰 외력이 하부쐐기판(400)에 가해지면 하부쐐기판(400)이 파손되어 분리된다. 그리고, 하부쐐기판(400)이 떨어져 나간 탄성받침(1e)은 새 하부쐐기판(400)을 고정시킴으로써 손쉽게 보수할 수 있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f)의 단면도이다. 도11을 참고하면, 제7실시예에 따른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f)은 하부쐐기판(410)이 체결볼트(413)에 의해서 하부판(3)의 측면에 부착되고, 하부쐐기판(410)의 길이방 향으로 노치부(412)가 형성되어 있어서 지진이 발생하면 노치부(412)가 부러지게 된다.
노치부(412)가 부러진 경우에는 체결볼트(413)를 풀어 파손된 하부쐐기판(410)을 하부판(3)으로부터 분리한 후 새 하부쐐기판을 결합시키면 되므로 교량지지용 탄성받침의 유지 보수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제6실시예 및 제7실시예에 따른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e,1f)은 하부쐐기판(400,410)이 하부판(3)의 상면이 아닌 측면에 부착되므로 작업자가 접근하기 용이하여 보다 쉽게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4 내지 도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7실시예에 따른 교량지지용 탄성받침들(1,1a,1b,1c,1d,1e,1f)은 편의상 고무패드의 양 측면 방향에 상하부 쐐기들이 설치된 일방향 탄성받침의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고무패드의 주변 사방에 모두 상하부 쐐기들이 설치된 고정식 탄성받침의 경우에도 상기 각 실시예의 상하부 쐐기들의 단면 구조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제시된 교량지지용 탄성받침에 관한 상하부 쐐기들의 설치구조 및 결합구조는 일방향 탄성받침과 고정식 탄성받침에 대해서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3은 종래의 교량지지용 탄성받침의 구성 및 작용을 도시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의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a)의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b)의 단면도이다.
도7 및 도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c)의 단면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d)의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e)의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교량지지용 탄성받침(1f)의 단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1a, 1b, 1c, 1d, 1e, 1f: 교량지지용 탄성받침
2: 상부판 3: 하부판
4: 고무패드 5: 상부구조물
6: 하부구조물 20, 200: 상부쐐기
20a, 200a: 용접부 21: 앵커볼트
22: 패드 고정볼트 30, 300: 하부쐐기
30a: 용접부 31: 앵커볼트
33: 쐐기 체결봉 41: 볼트고정공
42: 보강판 201: 수직빔 부분
202: 수평굴절부 301: 수직빔 부분
301a: 용접부 302: 수평굴절부
303: 노치부 304: 수평고정부
310: 수직빔 311: 접시머리 볼트
320: 수평빔 321: 쐐기 고정볼트
330: 하부쐐기봉 333: 노치부
334: 수나사부 350: 수직빔
350a: 용접부 353: 노치부
360: 수평빔 400, 410: 하부쐐기판
401: 고정핀 401a: 나사부
412: 노치부 413: 체결볼트
413a: 나사부

Claims (7)

  1. 교량의 상부구조물의 밑면에 고정되는 상부판(2);
    교각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하부판(3);
    상기 상부판(2)과 하부판(3)의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패드(4);
    상기 고무패드(4)의 주변에서 상기 상부판(2)의 밑면에 고정된 상부쐐기(20); 및
    상기 상부쐐기(20)와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하부판(3)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판(2)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하부쐐기(30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쐐기(20)는 용접에 의해 상기 상부판(2)의 밑면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쐐기(300)는 상기 고무패드(4)의 주변에서 상기 하부판(3)위에 고정된 수평빔(360)과 상기 수평빔(360)의 상면 중 상기 고무패드(4)로부터 먼 부분에 용접으로 고정된 수직빔(350)에 의해 L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평빔(360)은 그 윗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삽입된 쐐기 고정볼트(321)에 의해 상기 하부판(3)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빔(350)의 표면에는 상기 하부쐐기(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이 파여져 노치부(35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지지용 탄성받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70129187A 2007-12-12 2007-12-12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지지용 탄성받침 KR100831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187A KR100831893B1 (ko) 2007-12-12 2007-12-12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지지용 탄성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187A KR100831893B1 (ko) 2007-12-12 2007-12-12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지지용 탄성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1893B1 true KR100831893B1 (ko) 2008-05-23

Family

ID=39665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187A KR100831893B1 (ko) 2007-12-12 2007-12-12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지지용 탄성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1893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989B1 (ko) * 2008-11-04 2010-02-17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교량용 탄성받침
KR101064598B1 (ko) 2009-11-09 2011-09-15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교량용 탄성받침
KR200460662Y1 (ko) * 2009-11-03 2012-06-08 제이.알 도시 환경산업(주) 테이퍼형 가이드블록이 형성된 부반력 방지 탄성받침
KR101317464B1 (ko) * 2011-07-15 2013-10-11 포인텍이앤씨(주) 교량용 슬라이딩 탄성받침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받침방법
KR101504617B1 (ko) * 2013-06-04 2015-03-2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풍하중 저항부재가 구비된 면진 장치
CN104652291A (zh) * 2014-12-31 2015-05-27 郑州航空工业管理学院 桥梁支座的压力注浆更换方法
KR101583339B1 (ko) * 2015-07-01 2016-01-08 포인텍이앤씨(주) 신축성 쐐기를 구비한 펜듈럼 타입의 지진 격리용 구조물 지지장치
KR102004334B1 (ko) * 2018-11-12 2019-07-26 매이크앤 주식회사 탄성받침
KR102031150B1 (ko) 2018-11-12 2019-10-11 이춘구 내진성이 우수한 탄성받침
KR102201925B1 (ko) * 2020-08-10 2021-01-12 (주)디에스엘 교량용 탄성 받침
KR20210100342A (ko) 2020-02-06 2021-08-17 매크로드 주식회사 롤 오버 방지용 탄성받침 및 이의 제작방법
CN114232458A (zh) * 2021-11-17 2022-03-25 洛阳双瑞特种装备有限公司 一种组合运动式减震榫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990Y1 (ko) * 2002-06-19 2002-09-27 조영철 교량용 탄성받침대
KR200407129Y1 (ko) * 2005-08-30 2006-01-25 주식회사 케이.알 면진교량받침의 가이드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990Y1 (ko) * 2002-06-19 2002-09-27 조영철 교량용 탄성받침대
KR200407129Y1 (ko) * 2005-08-30 2006-01-25 주식회사 케이.알 면진교량받침의 가이드구조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989B1 (ko) * 2008-11-04 2010-02-17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교량용 탄성받침
KR200460662Y1 (ko) * 2009-11-03 2012-06-08 제이.알 도시 환경산업(주) 테이퍼형 가이드블록이 형성된 부반력 방지 탄성받침
KR101064598B1 (ko) 2009-11-09 2011-09-15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교량용 탄성받침
KR101317464B1 (ko) * 2011-07-15 2013-10-11 포인텍이앤씨(주) 교량용 슬라이딩 탄성받침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받침방법
KR101504617B1 (ko) * 2013-06-04 2015-03-2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풍하중 저항부재가 구비된 면진 장치
CN104652291B (zh) * 2014-12-31 2016-05-04 郑州航空工业管理学院 桥梁支座的压力注浆更换方法
CN104652291A (zh) * 2014-12-31 2015-05-27 郑州航空工业管理学院 桥梁支座的压力注浆更换方法
KR101583339B1 (ko) * 2015-07-01 2016-01-08 포인텍이앤씨(주) 신축성 쐐기를 구비한 펜듈럼 타입의 지진 격리용 구조물 지지장치
KR102004334B1 (ko) * 2018-11-12 2019-07-26 매이크앤 주식회사 탄성받침
KR102031150B1 (ko) 2018-11-12 2019-10-11 이춘구 내진성이 우수한 탄성받침
KR20210100342A (ko) 2020-02-06 2021-08-17 매크로드 주식회사 롤 오버 방지용 탄성받침 및 이의 제작방법
KR102411496B1 (ko) 2020-02-06 2022-06-21 매크로드 주식회사 롤 오버 방지용 탄성받침 및 이의 제작방법
KR102201925B1 (ko) * 2020-08-10 2021-01-12 (주)디에스엘 교량용 탄성 받침
CN114232458A (zh) * 2021-11-17 2022-03-25 洛阳双瑞特种装备有限公司 一种组合运动式减震榫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1893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지지용 탄성받침
JP6173553B1 (ja) 橋梁用制震装置
KR100589289B1 (ko) 환봉을 이용한 교량용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내진보강공법
KR100731514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용 탄성받침
KR100732346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용 탄성받침
JP7093942B2 (ja) 連結構造体
KR101104341B1 (ko) 횡 방향 변위를 허용하는 신축 이음장치
KR100808855B1 (ko) 교량의 파운딩 방지를 위한 면진용 완충식 핑거 조인트
KR100722220B1 (ko) 교량 포트받침용 내진 보강장치
KR101317464B1 (ko) 교량용 슬라이딩 탄성받침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받침방법
JP5209327B2 (ja) 橋梁の張出架設工法及び張出架設構造
KR101032740B1 (ko) 교량의 교좌장치
KR102152740B1 (ko) 교량구조물의 교량받침 배치방법
KR101105642B1 (ko) 일체형 교량받침
KR101409400B1 (ko) 모자형 강재댐퍼를 구비한 고무탄성받침
CN210685070U (zh) 一种可更换的内置型钢斜撑装配式预应力耗能剪力墙
JP4798625B2 (ja) 移動制限装置
CN111749353A (zh) 一种用于自复位剪力墙的可更换耗能连接装置
KR200460662Y1 (ko) 테이퍼형 가이드블록이 형성된 부반력 방지 탄성받침
KR20150106654A (ko) 보수가 용이한 교량용 탄성받침 및 그의 보수공법
JP6473426B2 (ja) 落橋防止構造
KR20210041813A (ko) 거더 조인트
KR101705765B1 (ko) 교량용 탄성받침 조립체
JP4077273B2 (ja) 移動制限機構を備える構造物用支承及び構造物系における移動制限機構
JP2015086562A (ja) 橋台補強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