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648Y1 -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 - Google Patents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648Y1
KR200371648Y1 KR20-2004-0028685U KR20040028685U KR200371648Y1 KR 200371648 Y1 KR200371648 Y1 KR 200371648Y1 KR 20040028685 U KR20040028685 U KR 20040028685U KR 200371648 Y1 KR200371648 Y1 KR 2003716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reinforcement plate
elastic
elas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원
최우식
Original Assignee
김성원
최우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원, 최우식 filed Critical 김성원
Priority to KR20-2004-0028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6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6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교량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받침의 탄성체가 과도한 전단변형을받아 인장응력이 허용치를 초과될 경우에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탄성체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구조물에 고정되는 받침상판과, 하부구조물에 고정되는 받침하판과, 상기 받침상판과 받침하판 사이에 고무와 보강판을 상호 적층하여 성형되는 탄성체로 구성되는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상하 양 끝단부분에 구비되는 상측 보강판과 하측 보강판을 중간 보강판보다 더 큰 단면을 갖도록 구비시키고, 상기 상측 보강판과 하측 보강판에는 상측 및 하측 보강판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수단이 각각 구비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Steel-laminated elastomeric bearing for bridge}
본 고안은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교량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받침의 탄성체가 과도한 전단변형을받아 인장응력이 허용치를 초과될 경우에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탄성체의 변형을 억제하면서 동시에 기준온도와 시공시 온도와의 차이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는 프리세팅의 양을 현장에서 간편하게 보정할 수 있는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에 관한 것이다.
통상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는 수직하중을 지탱하면서 수평방향으로는 상부구조물의 변형을 자유롭게 하여 구속력을 없애기 위하여 교량받침을 설치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 배치의 일 예를 보이는 도면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교량 상판인 상부구조물(60)과 교각인 하부구조물(51, 52, 53)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상대운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지점에 고정단 탄성받침(20)을 배치하여 상기 상부구조물의 전체적인 수평방향 이동을 구속하고, 상기 고정단 탄성받침(20)을 제외한 나머지 지점에는, 교축방향과 교축직각방향으로, 상기 상부구조물의 수축과 팽창을 구속하지 않도록, 일방향 가동단 탄성받침(30) 및 전방향 가동단 탄성받침(40)을 배치하게 된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탄성받침을 자세히 도시한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받침 상판(1)은 교량의 상부구조물(60)과, 그리고 탄성받침 하판(2)은 교량의 하부구조물(51, 52, 53)과 스터드(6)을 통하여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탄성받침 상판(1)과 하판(2) 사이에는 고무(7)와 보강판(8, 9, 9')을 상호 적층하여 가황시킨 탄성체(3)가 구비되어 수직하중을 지탱하게 된다.
한편, 도 3은 상기 탄성받침에 수직하중과 동시에 수평하중이 작용할 경우 상기 탄성체가 전단변형을 하는 거동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상기 탄성체(3)가 상부구조물(60)의 수직하중으로 압축변형되면서 상기 상부구조물(60)과 하부구조물(51, 52, 53) 사이에 온도변화 등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상대운동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상부구조물(60)과 일체로 되어 있는 탄성받침 상판(1)이 동시에 이동하며, 수직하중에 의한 상기 탄성받침 상판(1)과 상기 탄성체(3)의 접촉면에서의 수평방향 마찰력에 의하여, 일방향 가동단 탄성받침(도 1의 30)과 전방향 가동단 탄성받침(도 1의 40)의 탄성체(3)는 전단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상기 전단변형이 커짐에 따라, 도 3의 상세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체 측면(17)이 늘어나면서 인장응력이 발생하고, 상기 탄성체(3)를 이루는 고무(7)와 보강판(8, 9, 9')은 휘어져 상하 접촉면에서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만약 전단변형이 더욱더 진행되게 되면, 상기 보강판(8, 9, 9')의 휘어진 부분은 소성변형이 발생하여 영구변형으로 남아 있어 수평하중을 해제하더라도 상기탄성체(3)는 원래 상태로 회복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현상은 상대적으로 전단변형이 작은 교축직각방향으로 배치된 일방향 탄성받침 혹은 고정단 탄성받침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가동단 탄성받침의 탄성체에는 틈새가 생기는 문제는 적으나, 상대적으로 전단변형이 크고, 그리고 고정단 탄성받침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일방향 가동단 탄성받침과 전방향 가동단 탄성받침의 탄성체에서는 틈새가 크게 생기게 되며, 만약 이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균일한 접촉면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탄성체의 기능에 손상을 가할 염려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상기 탄성받침 탄성체의 이동현상을 보이는 단면도로써, 먼저 도 4(a)는 탄성받침 상판과 하판에 세팅되어 수직하중만 지지하는 상태, 도 4(b)는 +M만큼 전단변형을 한 상태, 도 4(c)는 -M만큼 전단변형을 한 상태, 그리고 도 4(d)는 다시 원래의 위치에 복귀된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탄성받침 탄성체(3)의 전단변형 거동은, 수직하중에 의한 상하 접촉면에서의 마찰력과 탄성체(3) 자체가 갖고 있는 복원력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수직하중에 비례하여 탄성체(3)의 상하 접촉면에서 마찰력이 존재하며,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상부구조물이 변형할 때, 마찰력이 탄성체(3)를 전단 변형시키는 하중으로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마찰력이 탄성체(3)의 복원력보다 큰 경우에는 상부구조물의 변형을 탄성체가 그대로 추종하면서 변형하지만, 마찰력이 탄성체(3)의 복원력보다 작은 경우에는 그 차이만큼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도 4(b)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받침상판(1)이 +M만큼 전단변형을 하는 경우, 탄성체(3)와 받침상판(1) 사이의 접촉면에서의 마찰력이 탄성체(3)의 복원력보다 작으면, 탄성체(3)는 원래 세팅위치 a에서 점 b의 위치로 복원력과 마찰력이 평형을 이루면서 탄성체(3)는 미끄러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도 4(c)에 도시한 것처럼, 다시 반대방향으로 -M만큼 받침상판(1)이 전단변형을 하는 경우, 점 c의 위치로 반대방향으로 미끄러짐이 발생하게 되며, 도 4(d)에 도시한 것처럼, 받침상판(1)이 원래 위치로 돌아오면, 점 d의 위치로 이동하며 원래 세팅위치 a와는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왕복변형이 반복되게 되면, 상기 탄성체(3)는 초기 세팅위치 a에서 점점 멀어져 한 쪽으로 계속하여 이동하여 원래자리에서 이탈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결국 교량받침으로서 원활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교량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 구비된 탄성받침의 탄성체에 전단변형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인장응력이 허용치를 초과할 경우에 고무와 보강판으로 이루어진 상기 탄성체에 변형이 생기게 되어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받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탄성체와 상부와 하부구조물 사이의 접촉면에서 수직하중에 의한 마찰력이 탄성체 자체의 복원력보다 작은 상태에서 전단변형을 하는 경우에 상기 복원력과 마찰력의 차이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만 움직이는 이동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받침을 제공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기준온도와 시공시 온도와의 차이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는 프리세팅의 양을 현장에서 간편하게 보정하면서 탄성체를 받침 상판과 하판에 고정할 수 있는 탄성받침을 제공하고자 하는데도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의 배치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탄성받침에서 수직하중이 작용할 경우의 탄성받침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수직하중과 동시에 수평하중이 작용할 경우 탄성받침의 전단변형 거동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탄성받침 탄성체의 이동현상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 3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 4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 5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받침상판 2....받침하판
3....탄성체 7....고무
8....중간 보강판 9, 9'....상측 및 하측 보강판
14...브라켓 15...브라켓 전면
16...탄성체 체결볼트 17...탄성체 측면
18...용접 21...전단키
51, 52, 53...하부구조물 60...상부구조물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구조물에 고정되는 받침상판과, 하부구조물에 고정되는 받침하판과, 상기 받침상판과 받침하판 사이에 고무와 보강판을 상호 적층하여 성형되는 탄성체로 구성되는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상하 양 끝단부분에 구비되는 상측 보강판과 하측 보강판을 중간 보강판보다 더 큰 단면을 갖도록 구비시키고, 상기 상측 보강판과 하측 보강판에는 상측 및 하측 보강판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수단이 각각 구비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상측 보강판과 하측 보강판의 양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측 보강판과 하측 보강판의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하는 브라켓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라켓은 받침상판과 받침하판에 각각 용접에 의해 상호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상측 보강판의 외측면과 받침상판, 그리고 상기 하측 보강판의 외측면과 받침하판을 각각 용접에 의해 상호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속수단은, 상측 보강판과 하측 보강판의 단부에 하나 이상의 구멍을 구비시키고 또한 받침상판과 받침하판에는 상기 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탭을 구비시킨 후, 상기 상측 보강판과 받침상판을, 그리고 하측 보강판과 받침하판을 각각 탄성체 체결볼트에 의해 상호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상측 보강판과 하측 보강판에 하나 이상의 홈을 구비시키고, 상기 홈에 대응하는 상기 받침상판과 받침하판에도 하나 이상의 홈을 위치시켜서 상기 받침상판과 상측 보강판, 그리고 받침하판과 하측 보강판 사이의 홈이 이루는 공간에 전단키를 각각 구비시켜 상호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본 고안에서는 과도한 전단변형을 받아 인장응력이 허용치를 초과될 경우에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탄성체의 변형을 억제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기초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도 5은 본 고안의 교량지지용 탄성받침의 실시예 1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구조물(60)과 하부구조물(51, 52, 53) 사이에 본 고안에 따른 탄성받침이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탄성받침은 상부구조물(60)에 고정되는 받침상판(1)과, 하부구조물(51, 52, 53)에 고정되는 받침하판(2), 그리고 상기 받침상판(1)과 하판(2) 사이에 고무(7)와 보강판(8, 9, 9')을 상호 적층하여 성형한 탄성체(3)를 구비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탄성체(3)의 상하 양 끝단부분에 구비되어 있는 상측 보강판(9)과 하측 보강판(9')을 중간 보강판(8)보다 더 큰 단면을 갖도록 구비되도록 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보강판(9)과 하측 보강판(9')의 양 단부가 중간 보강판(8)의 외측으로 보다 크게 형성되게 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중간 보강판(8)은 상측 보강판(9)과 하측 보강판(9') 사이에 위치한 보강판의 모두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는 차후 실시예의 경우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탄성받침에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상측 보강판(9)과 하측 보강판(9')에는 상측 및 하측 보강판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수단(C)이 각각 구비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의하면, 상기 구속수단(C)은, 상기 상측 보강판(9)과 하측 보강판(9')의 양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측 보강판(9)과 하측 보강판(9')의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을 구속하는 브라켓(1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라켓(14)은 받침상판(1)과 받침하판(2)에 각각 용접(18)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14) 형상은 상기 상측 보강판(9)과 하측 보강판(9')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탄성체(3)가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탄성체 측면(17)과 마주보는 브라켓 전면(15)은, 상기 탄성체(3)가 최대로 전단변형을 하더라도 상기 탄성체의 측면(17)과 브라켓 전면(15)과 접촉하지 않도록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상기 탄성체(3)와 일체로 가황 성형된 상측 보강판(9)과 하측 보강판(9')의 돌출된 부분은 고무(7)로 전부 피복되어 있으면 도장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이나, 상기 고무로 피복되어 있지 않더라도 작업완료 후 세심한 방청처리를 실시하면 사용에는 문제가 없다.
그리고 상기 상측 보강판(9)과 하측 보강판(9')의 두께는, 시공상의 허용범위 이내이면, 더 두꺼워져도 문제는 없으나 그대로 유지하면 규격화된 탄성체의 높이에 변화가 없으므로 바람직하게 된다.
통상 상부 구조물은 항상 온도변화에 신축하며, 시공을 기준온도에 맞출 수가 없기 때문에 시공시 온도와 기준온도와의 차이에 따른 변형만큼 미리 탄성체에 전단변형을 주어 시공, 소위 프리세팅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탄성받침은 큰 전단변형을 받으며, 이동현상이 생기기 쉬운, 그리고 현장에서 프리세팅을 필요로 하는 탄성받침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도 6은 본 고안의 교량지지용 탄성받침의 실시예 2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구조물(60)과 하부구조물(51, 52, 53) 사이에 본 고안에 따른 탄성받침이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탄성받침은 상부구조물(60)에 고정되는 받침상판(1)과, 하부구조물(51, 52, 53)에 고정되는 받침하판(2), 그리고 상기 받침상판(1)과 하판(2) 사이에 고무(7)와 보강판(8, 9, 9')을 상호 적층하여 성형한 탄성체(3)를 구비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탄성체(3)의 상하 양 끝단부분에 구비되어 있는 상측 보강판(9)과 하측 보강판(9')을 중간 보강판(8)보다 더 큰 단면을 갖도록 구비되도록 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보강판(9)과 하측 보강판(9')의 양 단부가 중간 보강판(8)의 외측으로 보다 크게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탄성받침에서 상기 상측 보강판(9)과 하측 보강판(9')에는 상측 및 하측 보강판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수단(C)이 각각 구비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의하면 상기 구속수단(C)은, 상기 상측 보강판(9)의 외측면과 받침상판(1), 그리고 상기 하측 보강판(9')의 외측면과 받침하판(2)을 각각 용접(18)에 의해 상호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측 보강판(9)과 하측 보강판(9')의 돌출된 부분은 고무(7)로 전부 피복되어 있으면 도장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이나, 용접작업시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며, 상기 고무(7)로 일부 피복되어 있거나 피복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능에 문제가 없으나 작업완료 후 상기 고무(7)가 피복되지 않은 부분과 용접부분에 세심한 방청처리가 필요하다.
그리고 상기 상측 보강판(9)과 하측 보강판(9')의 두께는, 시공상의 허용범위 이내이면, 더 두꺼워져도 문제는 없으나 그대로 유지하면 규격화된 탄성체의 높이에 변화가 없으므로 바람직하게 된다.
이상의 본 고안에 의한 상기 탄성받침 역시 큰 전단변형을 받으며, 이동현상이 생기기 쉬운 그리고 현장에서 프리세팅을 필요로 하는 탄성받침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3)
도 7은 본 고안의 교량지지용 탄성받침의 실시예 3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구조물(60)과 하부구조물(51, 52, 53) 사이에 본 고안에 따른 탄성받침이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탄성받침은 상부구조물(60)에 고정되는 받침상판(1)과, 하부구조물(51, 52, 53)에 고정되는 받침하판(2), 그리고 상기 받침상판과 하판 사이에 고무(7)와 보강판(8, 9, 9')을 상호 적층하여 성형한 탄성체(3)를 구비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탄성체(3)의 상하 양 끝단부분에 구비되어 있는 상측 보강판(9)과 하측 보강판(9')을 중간 보강판(8)보다 더 큰 단면을 갖도록 구비되도록 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보강판(9)과 하측 보강판(9')의 양 단부가 중간 보강판(8)의 외측으로 보다 크게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탄성받침에서 상기 상측 보강판(9)과 하측 보강판(9')에는 상측 및 하측 보강판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수단(C)이 각각 구비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 3에 의하면, 상기 구속수단(C)은 상측 보강판(9)과 하측 보강판(9)의 단부에 하나 이상의 구멍을 구비시키고, 또한 받침상판(1)과 받침하판(2)에는 상기 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탭을 구비시킨 후, 상기 상측 보강판(9)과 받침상판(1)을, 그리고 하측 보강판(9')과 받침하판(2)을 각각 탄성체 체결볼트(16)에 의해 상호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측 보강판(9)과 하측 보강판(9')의 돌출된 부분은 고무(7)로전부 피복되어 있으면 도장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이나, 상기 고무(7)로 일부 피복되어 있거나 피복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능에 문제가 없으나 작업완료 후 상기 고무(7)가 피복되지 않은 부분에 세심한 방청처리가 필요하다.
그리고 상기 상측 보강판(9)과 하측 보강판(9')의 두께는, 시공상의 허용범위 이내이면, 더 두꺼워져도 문제는 없으나 그대로 유지하면 규격화된 탄성체의 높이에 변화가 없으므로 바람직하게 된다.
이상의 본 고안에 의한 상기 탄성받침은 큰 전단변형을 받으나 프리세팅을 하는 양이 작아 공장에서 미리 체결하여도 허용치 이내일 정도의 프리세팅이 거의 필요로 하지 않는, 그리고 이동현상이 생기기 쉬운 탄성받침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4)
도 8은 본 고안의 교량지지용 탄성받침의 실시예 4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 4는, 구속수단(C)가 상측 보강판(9)과 하측 보강판(9)의 단부에 하나 이상의 구멍을 구비시키고, 또한 받침상판(1)과 받침하판(2)에는 상기 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탭을 구비시킨 후, 상기 상측 보강판(9)과 받침상판(1)을, 그리고 하측 보강판(9')과 받침하판(2)을 각각 탄성체 체결볼트(16)에 의해 상호 고정되게 되도록 된 실시예 3에 더하여, 상기 상측 보강판(9)의 외측면과 받침상판(1), 그리고 상기 하측 보강판(9')의 외측면과 받침하판(2)을 용접(18)에 의해 상호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역시 상기 탄성체 단부 보강판의 돌출된 부분은 고무(7)로 전부 피복되어 있으면 도장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이나 용접 작업시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며, 상기 고무(7)로 일부 피복되어 있거나 피복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능에는 문제가 없으나 작업완료 후 상기 고무가 피복되지 않은 부분과 용접부분에 세심한 방청처리가 필요하다.
또한 상기 상측 보강판(9)과 하측 보강판(9')의 두께는, 시공상의 허용범위 이내이면, 더 두꺼워져도 문제는 없으나 그대로 유지하면 규격화된 탄성체의 높이에 변화가 없으므로 바람직하게 된다.
이상의 본 고안에 의한 탄성받침은 큰 전단변형을 받으나 프리세팅을 하는 양이 작아 공장에서 미리 체결하여도 허용치 이내일 정도의 프리세팅이 거의 필요로 하지 않는 그리고 이동현상이 생기기 쉬운 탄성받침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5)
도 9은 본 고안의 교량지지용 탄성받침의 실시예 5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구조물(60)과 하부구조물(51, 52, 53) 사이에 본 고안에 따른 탄성받침이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탄성받침은 상부구조물(60)에 고정되는 받침상판(1)과, 하부구조물(51, 52, 53)에 고정되는 받침하판(2), 그리고 상기 받침상판과 하판 사이에 고무(7)와 보강판(8, 9, 9')을 상호 적층하여 성형한 탄성체(3)를 구비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탄성체(3)의 상하 양 끝단부분에 구비되어 있는 상측 보강판(9)과 하측 보강판(9')을 중간 보강판(8)보다 더 큰 단면을 갖도록 구비되도록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보강판(9)과 하측 보강판(9')의 양 단부가 중간 보강판(8)의 외측으로 보다 크게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탄성받침에서 상기 상측 보강판(9)과 하측 보강판(9')에는 상측 및 하측 보강판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수단(C)이 각각 구비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 5에 의하면 상기 구속수단(C)은, 상기 상측 보강판(9)과 하측 보강판(9’)에 하나 이상의 홈을 구비시키고, 상기 홈에 대응하는 상기 받침상판(1)과 받침하판(2)에도 하나 이상의 홈을 위치시켜서 상기 받침상판(1)과 상측 보강판(9), 그리고 받침하판(2)과 하측 보강판(9') 사이의 홈이 이루는 공간에 전단키(21)를 각각 구비시켜 상호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단키(21)는 효율적인 구속을 위하여 가능한 상측 보강판(9)과 하측 보강판(9')의 중앙부 근처에 형성되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 상기 상측 보강판(9)과 하측 보강판(9')을 중간 보강판(8)과 동일한 단면을 갖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전탄키(21)를 설치할 수도 있음을 물론이다.
이상의 본 고안에 의한 탄성받침은 작은 전단변형을 받고 프리세팅이 거의 필요로 하지 않는 그리고 이동현상이 생기기 쉬운 탄성받침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상기 탄성받침들은, 먼저 탄성체(3)와 일체로 성형된 상측 보강판(9)과 하측 보강판(9')이 각각 받침상판(1)과 받침하판(2)에 각각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단변형에 의해 탄성체 측면(17)에인장응력이 발생하더라도 받침상판(1) 및 받침하판(2)과 탄성체(3)의 접촉면에서는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되며(실시예 1 ~ 4 경우), 또한 이동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기 탄성체(3)는 원래 세팅위치를 항상 유지하게 된다(실시 예 1 ~ 5).
그리고 상기 탄성체 보강판 두께를 시공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측 및 하측 보강판(9, 9')의 크기만 크게 하였기 때문에 기존 규격화된 받침높이에는 거의 변화가 없어 설계상 혹은 시공상 특별한 변경이 필요가 없게 된다(실시예 1 ~ 5).
그리고 브라켓(14)을 현장에서 임의 위치에 용접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기 탄성체를 프리세팅 양만큼 미리 전단변형을 시킨 후, 현장에서 시공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며(실시예 1 ~ 2), 제작비용이 종래의 탄성받침과 거의 유사하게 된다(실시예 1 ~ 5).
즉 교량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 구비된 탄성받침의 탄성체가 전단변형을 받아 탄성체의 측면이 늘어나게 되고 변형량이 수직하중에 의한 압축량을 초과하면 탄성체의 측면은 인장응력을 받기 시작하는데, 상기 전단변형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인장응력이 허용치를 초과하더라도 고무와 보강판 등에 변형이 생지지 않게 되므로 받침상판 및 받침하판과 탄성체의 접촉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탄성체와 상부와 하부구조물 사이의 접촉면에서 수직하중에 의한 마찰력이 탄성체 자체의 복원력보다 작은 상태에서 전단변형을 하는 경우에도, 상기 복원력과 마찰력의 차이에 의해, 한 쪽 방향으로만 움직이는 이동현상이 원천적으로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기준온도와 시공시온도와의 차이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는 프리세팅의 양을 현장에서 간편하게 보정하면서 탄성체를 받침 상판과 하판에 고정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실시 예를 통하여,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모두 해결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기술적 내용의 범위내에서 당업자라면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종래 탄성받침 시공 후, 가장 문제시 되었던 작은 전단변형 하에서도 탄성받침이 지지하는 수직하중이 작은 경우 발생하는 이동현상에 의해 원래 세팅위치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상기 모든 실시 예에 의하여 해결할 수가 있으며, 큰 전단변형을 받는 탄성받침에서 발생하는 접촉면에서의 틈새 발생 혹은 영구 소성변형에 의한 탄성받침의 찌그러짐 등은 현상응 실시예 1 ~ 4를 통하여 해결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기준온도와 시공시온도와의 차이에 의해 프리세팅을 실시하는 경우 실시예 1과 2에 의하여 해결할 수가 있으며, 만일 프리세팅이 필요 없는 고정단 주위의 일방향 가동받침의 이동현상 방지는 실시예 5를 통하여 해결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 모든 실시예에서 보듯이 탄성받침의 두께에는 기존의 규격화된 탄성받침(예를 들면 KS F 4420 교량지지용 탄성받침)과 거의 차이가 없으므로 저렴한 제작비로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Claims (6)

  1. 상부구조물(60)에 고정되는 받침상판(1)과, 하부구조물(51, 52, 53)에 고정되는 받침하판(2)과, 상기 받침상판과 받침하판 사이에 고무(7)와 보강판(8, 9, 9')을 상호 적층하여 성형되는 탄성체(3)로 구성되는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3)의 상하 양 끝단부분에 구비되는 상측 보강판(9)과 하측 보강판(9’)을 중간 보강판(8)보다 더 큰 단면을 갖도록 구비시키고, 상기 상측 보강판과 하측 보강판에는 상측 및 하측 보강판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수단(C)이 각각 구비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C)은, 상기 상측 보강판과 하측 보강판의 양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측 보강판과 하측 보강판의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하는 브라켓(1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라켓은 받침상판과 받침하판에 각각 용접(18)에 의해 상호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C)은, 상기 상측 보강판의 외측면과 받침상판, 그리고 상기 하측 보강판의 외측면과 받침하판을 각각 용접(18)에 의해 상호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C)은, 상측 보강판과 하측 보강판의 단부에 하나 이상의 구멍을 구비시키고 또한 받침상판과 받침하판에는 상기 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탭을 구비시킨 후, 상기 상측 보강판과 받침상판을, 그리고 하측 보강판과 받침하판을 각각 탄성체 체결볼트(16)에 의해 상호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보강판의 외측면과 받침상판, 그리고 상기 하측 보강판의 외측면과 받침하판을 용접(18)에 의해 상호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C)은, 상기 상측 보강판(9)과 하측 보강판(9’)에 하나 이상의 홈을 구비시키고, 상기 홈에 대응하는 상기 받침상판과 받침하판에도 하나 이상의 홈을 위치시켜서 상기 받침상판과 상측 보강판, 그리고 받침하판과 하측 보강판 사이의 홈이 이루는 공간에 전단키(21)를 각각 구비시켜 상호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
KR20-2004-0028685U 2004-10-11 2004-10-11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 KR2003716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685U KR200371648Y1 (ko) 2004-10-11 2004-10-11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685U KR200371648Y1 (ko) 2004-10-11 2004-10-11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648Y1 true KR200371648Y1 (ko) 2005-01-03

Family

ID=49443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685U KR200371648Y1 (ko) 2004-10-11 2004-10-11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64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340B1 (ko) * 2007-04-10 2007-08-17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교량용 탄성받침
KR100949292B1 (ko) * 2009-06-01 2010-03-23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온도신축의 영향을 받지않는 가설교량의 지점부 시공방법
KR101013054B1 (ko) 2010-02-03 2011-02-14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교량용 고감쇠 탄성 받침
KR101920698B1 (ko) * 2018-07-06 2018-11-21 한국도로공사 유지관리가 용이한 탄성받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340B1 (ko) * 2007-04-10 2007-08-17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교량용 탄성받침
KR100949292B1 (ko) * 2009-06-01 2010-03-23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온도신축의 영향을 받지않는 가설교량의 지점부 시공방법
KR101013054B1 (ko) 2010-02-03 2011-02-14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교량용 고감쇠 탄성 받침
KR101920698B1 (ko) * 2018-07-06 2018-11-21 한국도로공사 유지관리가 용이한 탄성받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5617B1 (en) Vibration-proof structure
KR102263416B1 (ko) 전단보강장치
KR101103983B1 (ko) 완충기구 및 이를 갖는 구조물 지지장치
KR102135337B1 (ko) 내진 보강용 이력 댐퍼
KR102170121B1 (ko) 마찰진자형 교량 면진 받침
KR200371648Y1 (ko)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
JPH09210121A (ja) 支承装置
US4033005A (en) Bearing pad assembly
KR102085478B1 (ko) 고차변형 모드형 비좌굴 가새
KR101483071B1 (ko) 부반력 저항 면진 시스템
JP2009079464A (ja) 支承構造
JP2007263341A (ja) 防振装置
JP2019523840A (ja) 一体型耐震ドアフレーム
KR101051059B1 (ko) 면진용 디스크 받침
JP4061818B2 (ja) 免震装置
KR101117297B1 (ko) 자체복원능력을 갖는 지진격리장치
JPH03202525A (ja) すべり支承装置
JP2660828B2 (ja) 横桁支承用弾性支承装置およびその据付方法
JP7050553B2 (ja) 構造物用支承装置
KR101705765B1 (ko) 교량용 탄성받침 조립체
JP2005344459A (ja) 免震装置
KR20110047948A (ko) 면진성능이 향상된 납 면진 받침장치
US6412982B1 (en) High ground pressure elastic support
JP4748091B2 (ja) 滑りゴム支承体
JP5646845B2 (ja) 橋桁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