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260B1 -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260B1
KR101535260B1 KR1020140096977A KR20140096977A KR101535260B1 KR 101535260 B1 KR101535260 B1 KR 101535260B1 KR 1020140096977 A KR1020140096977 A KR 1020140096977A KR 20140096977 A KR20140096977 A KR 20140096977A KR 101535260 B1 KR101535260 B1 KR 101535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vertical portion
upper plates
coupled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구
현정환
Original Assignee
(주)디에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에스엘 filed Critical (주)디에스엘
Priority to KR1020140096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에 장착한 상태로 출고되어 신축이음장치의 시공 직전 간단한 조작만으로 상부플레이트 간 이격을 안정되게 프리세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신축이음장치의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하나에 지지되는 제1본체와;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나머지 하나와 결합되는 제2본체와; 상기 제1본체 및 제2본체와 결합되어 이들에게 상대적인 변위를 주면서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간 이격을 변화시키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신축이음장치{PRE SETTING MODULE FOR EXPANSION OF BRIDGE}
본 발명은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에 장착한 상태로 출고되어 신축이음장치의 시공 직전 간단한 조작만으로 상부플레이트 간 이격을 안정되게 프리세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동, 하절기와 같은 기온변화에 의한 신축, 콘크리트 재령에 따른 건조수축과 크리프, 활하중에 따른 상부구조의 이동을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교량 상판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그러므로 간격이 수시로 변화하는 교량 상판과 상판 사이 이음매를 연결하여 차량을 원활하게 통과시키기 위해서 신축이음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같은 신축이음장치는 교량 상판과 상판 사이 이음매에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가 서로 마주하도록 시공되어, 교량 상판이 신축되면서 그 사이 간격이 수시로 변화하더라도 시공된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가 교호하게 돌출된 타단부가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교량 상판 간 벌어진 틈새를 메울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이같은 신축이음장치를 교량에 시공할 때에는 시공 시점을 기준으로 교량의 신축량에 맞도록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신축이음장치 간 이격을 조절하는 작업이 필수적인 사항이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시공현장에서 작업자들이 다양한 수단들을 동원하여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를 벌려 이격을 주고 그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을 완료하였다.
그러나 이같은 임시방편적인 종래의 방법은 많은 작업자들이 동원되어야 하고 작업의 신뢰도 측면에서 바람직한 방법이 아니었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반드시 마련되어야 하는 실정이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2-0002808호(2012.04.24)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에 장착한 상태로 출고되어 신축이음장치의 시공 직전 간단한 조작만으로 상부플레이트 간 이격을 안정되게 프리세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은, 신축이음장치의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하나에 지지되는 제1본체와;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나머지 하나와 결합되는 제2본체와; 상기 제1본체 및 제2본체와 결합되어 이들에게 상대적인 변위를 주면서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간 이격을 변화시키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본체는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하나에 결합되는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의 일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수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본체는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상기 제1본체가 결합되지 않는 나머지 상부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제1수평부에 대하여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하는 제2수평부와 상기 제2수평부의 일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수직부와 대응하는 제2수직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제1수직부와 제2수직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수직부와 제2수직부 간 이격을 조절하면서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간 이격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본체는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하나에 결합되는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의 일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된 제1수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본체는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상기 제1본체가 결합되지 않는 나머지 상부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제1수평부에 대하여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하는 제2수평부와 상기 제2수평부의 일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수직부와 대응하는 제2수직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제1수직부와 제2수직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수직부와 제2수직부 간 이격을 조절하면서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간 이격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본체는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하나와 제1볼트에 의해 볼트체결되고, 상기 제2본체는 상기 제1볼트가 관통하되 교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2슬라이딩 장공을 구비하며, 상기 제2본체는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상기 제1본체가 볼트체결되지 않는 나머지 하나와 제2볼트에 의해 볼트체결되고, 상기 제1본체는 상기 제2볼트가 관통하되 교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1슬라이딩 장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본체는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하나에 결합되는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의 일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된 제1수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본체는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상기 제1본체가 결합되지 않는 나머지 상부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제1수평부를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슬라이딩 홀을 구비하는 제2수평부와 상기 제2수평부의 타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수직부와 대응하는 제2수직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제1수직부와 제2수직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수직부와 제2수직부 간 이격을 조절하면서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간 이격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본체는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하나의 마주하는 선단부에 접촉하는 제1수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본체는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상기 제1본체가 접촉하지 않는 나머지 상부플레이트의 외측단면에 접촉하는 접촉수직부와, 상기 접촉수직부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를 상측에서 가로지르는 제2수평부와, 상기 제2수평부의 일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수직부와 대응하는 제2수직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제1수직부와 제2수직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수직부와 제2수직부 간 이격을 조절하면서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간 이격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분할된 교량 상판과 교량 상판 사이 이격부위에 시공되며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대하여 수직하게 결합된 한 쌍의 수직부재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신축이음장치에서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하나의 하측에서 상기 수직부재에 지지되는 제1본체와;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상측을 가로질러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제1본체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하나와 결합되는 제2본체와; 상기 제1본체 및 제2본체와 결합하여 이들에게 상대적인 변위를 주면서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간 이격을 변화시키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본체는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근거리에 위치한 하나의 하측면에 접촉하는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의 일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수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본체는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상측을 가로질러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제1본체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하나와 결합되는 제2수평부와 상기 제2수평부의 일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수직부와 대응하는 제2수직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제1수직부와 제2수직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수직부와 제2수직부 간 이격을 조절하면서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간 이격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본체의 타단부에는 교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2슬라이딩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슬라이딩 장공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제1본체와 원거리에 위치한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제2본체를 체결하는 제1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본체의 제1수평부와, 상기 제2본체의 제2수평부와, 상기 제1본체와 근거리에 위치한 상부플레이트를 동시에 체결하는 제2볼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제1수직부와 제2수직부를 관통하되, 상기 제1수직부에 대해서는 공회전 하도록 관통하고, 제2수직부에 대해서는 진퇴시킬 수 있도록 나사결합된 조절볼트와, 상기 제1수직부를 전후하여 상기 조절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수직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 쌍의 이탈방지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조절볼트에 체결된 후 용접에 의해 고정된 너트 또는 멈춤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상측을 가로지르는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의 일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수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수평부의 타단부가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인근에 위치한 상부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1본체와; 상기 제1수직부를 교축방향으로 변위시키면서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간 이격을 변화시키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
여기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제1수직부를 관통한 상태로 나사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제1본체를 진퇴시키고 머리가 상기 수직부재에 접촉하는 조절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이 있다.
또한, 상기 제1수평부의 일단부에는 교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1슬라이딩 장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1슬라이딩 장공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체결되는 제1볼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은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에 장착한 상태로 출고되어 신축이음장치의 시공 직전 간단한 조작만으로 상부플레이트 간 이격을 안정되게 프리세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이 장착된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측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작용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4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4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4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5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신축이음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이 장착된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100)은 도시된 것처럼 처음부터 신축이음장치에 장착된 상태로 출고되어 이동 및 보관이 가능하며, 신축이음장치의 시공 직전에 간단한 조작만으로 상부플레이트(210) 간 이격을 안정되게 프리세팅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210) 및 수직부재(220), 배수시트(230) 및 앵커(240)로 이루어진 신축이음장치가 도시되었으나 보다 다양한 형태의 신축이음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이로써, 시공현장에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리세팅모듈(100)은 서로에 대하여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포개어진 형태로 구비된 제1본체(110) 및 제2본체(120)와, 상기 제1본체(110) 및 제2본체(120)와 결합되어 이들에게 상대적인 변위를 발생시키는 조절부재(130,140a,140b)를 주요 구성요소로 이루어져서, 상기 조절부재(130,140a,140b)에 의해 상기 제1본체(110) 및 제2본체(120)에 상대적인 변위를 발생시키면서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210) 간 이격을 변화시켜 프리세팅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주요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본체(110)는 신축이음장치의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210) 중 하나에 결합되는 제1수평부(110a)와 상기 제1수평부(110a)의 일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수직부(110b)로 이루어진 'ㄱ'자 형태의 부재이다. 여기서 상기 제1본체(110)는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210) 중 하나와 제1볼트(150a)에 의해 볼트체결되며, 이를 위해 일단부에 단공의 제1볼트공(112)을 하나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본체(110)의 타단부에는 교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1슬라이딩 장공(111)을 구비한다. 상기 제1슬라이딩 장공(111)은 상기 제2본체(120)를 신축이음장치의 상부플레이트(210)에 체결하기 위한 제2볼트(150b)가 관통한 상태에서도 상기 제2볼트(150b)가 느슨하게 체결된다면 상기 제1본체(110)의 교축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제2본체(120)는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210) 중 상기 제1본체(110)가 결합되지 않는 나머지 상부플레이트(210)에 결합되고 상기 제1수평부(110a)에 대하여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하는 제2수평부(120a)와 상기 제2수평부(120a)의 일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수직부(110b)와 대응하는 제2수직부(120b)로 이루어진 'ㄱ'자 형태의 부재이다. 이같은 제2본체(120)는 상기 제1본체(110)의 상측에 포개어진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제2본체(120)는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210) 중 상기 제1본체(110)가 체결되지 않는 나머지 하나와 제2볼트(150b)에 의해 볼트체결되며, 이를 위해 타단부에 단공의 제2볼트공(122)을 하나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2본체(120)의 타단부에는 교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2슬라이딩 장공(121)을 구비한다. 상기 제2슬라이딩 장공(121)은 상기 제1본체(110)를 신축이음장치의 상부플레이트(210)에 체결하기 위한 제1볼트(150a)가 관통한 상태에서도 상기 제1볼트(150a)가 느슨하게 체결된다면 상기 제2본체(120)의 교축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조절부재(130,140a,140b)는 제1본체(110) 및 제2본체(120)와 결합되어 이들에게 상대적인 변위를 주면서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210) 간 이격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조절부재(130,140a,140b)는 상기 제1수직부(110b)와 제2수직부(120b)를 관통하되, 상기 제1수직부(110b)에 대해서는 공회전 하도록 관통하고, 제2수직부(120b)에 대해서는 진퇴시킬 수 있도록 나사결합된 조절볼트(130)와, 상기 제1수직부(110b)를 전후하여 상기 조절볼트(130)에 결합되어 상기 제1수직부(110b)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 쌍의 이탈방지부재(140a,140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부재(140a,140b)는 간단히 한 쌍의 너트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 상기 너트를 제1수직부(110b)를 전후하여 조절볼트(130)에 체결한 후 용접 등의 접합작업을 하거나 멈춤너트를 사용하면 된다. 멈춤너트의 경우 조절볼트(130)에 체결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스스로 고착하기 때문에 용접 등의 작업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수직부(110b)에는 조절볼트(130)의 단순 관통을 위하여 텝핑되지 않은 관통공(113)이 형성되고, 제2수직부(120b)에는 나사체결되도록 텝핑된 체결공(12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작용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작용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이다.
교량 상판에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하기 직전에 교량 상판의 온도로 인한 신축 정도를 고려하여 프리세팅을 실시한다. 이를 위해 우선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프리세팅모듈(100)이 신축이음장치에 장착된 상태 그대로 제1볼트(150a)와 제2볼트(150b)를 약간만 풀어주어 느슨한 상태로 만들어준다. 그러면 상기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가 서로 간에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후 조절볼트(130)를 회전시켜주면 도 8과 같이 그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2본체(120)가 상기 조절볼트(130)의 길이방향(교축방향)을 따라 전진하거나 후퇴하게 된다(참고로 도면에서는 제2본체(120)가 후퇴하는 동작으로 도시되었음). 이로써, 상기 제1본체(110)에 결합된 상부플레이트(210)와 제2본체(120)에 결합된 상부플레이트(210) 간 이격이 좁혀지거나 넓혀지게 된다.
이후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210) 간 이격이 원하는 정도가 되었을 때 앞서 느슨하게 풀어주었던 제1볼트(150a) 및 제2볼트(150b)를 조여주어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 간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해준다. 그러면 신축이음장치에서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210) 간 이격은 물론 수평위치까지 잡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프리세팅이 간단히 완료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리세팅모듈(100)은 신축이음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필요로 하는 프리세팅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해준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들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프리세팅모듈(100)은, 제1본체(110)가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210) 중 하나에 결합되는 제1수평부(110a)와 상기 제1수평부(110a)의 일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된 제1수직부(110b)로 이루어지고, 제2본체(120)는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210) 중 제1본체(110)가 결합되지 않는 나머지 상부플레이트(210)에 결합되고 상기 제1수평부(110a)에 대하여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하는 제2수평부(120a)와 상기 제2수평부(120a)의 일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수직부(110b)와 대응하는 제2수직부(120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제1변형실시예의 구성은 변형 전 실시예와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다르지 않으며 상하방향을 거꾸로 하여 장착한 것이지만, 이같이 응용하여 장착하게 되면 상기 제1수직부(110b) 및 제2수직부(120b)가 매립 영역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게 되면서 신축이음장치의 시공 이후 상기 프리세팅모듈(100)을 제거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프리세팅모듈(100)은, 제1본체(110)가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210) 중 하나에 결합되는 제1수평부(110a)와 상기 제1수평부(110a)의 일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된 제1수직부(110b)로 이루어지고, 제2본체(120)는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210) 중 상기 제1본체(110)가 결합되지 않는 나머지 상부플레이트(210)에 결합되고 상기 제1수평부(110a)를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슬라이딩 홀(125)을 구비하는 제2수평부(120a)와 상기 제2수평부(120a)의 타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수직부(110b)와 대응하는 제2수직부(120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제2변형실시예의 구성은 제1본체(110)의 제1수평부(110a)가 제2본체(120)의 제2수평부(120a)에 형성된 슬라이딩 홀(125)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딩 동작을 안정적으로 구현하는 동시에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 간 단차를 두지 않는 구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장착 과정을 보여주는 일련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프리세팅모듈(100)은, 제1본체(170)가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210) 중 하나의 선단부에 접촉하는 제1수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본체(120)는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210) 중 상기 제1본체(170)가 접촉하지 않는 나머지 상부플레이트(210)의 후단부에 접촉하는 접촉수직부(160c)와, 상기 접촉수직부(160c)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210)를 상측에서 가로지르는 제2수평부(160a)와, 상기 제2수평부(160a)의 일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수직부와 대응하는 제2수직부(160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접촉수직부(160a)의 하단에는 안착홈(165)이 형성되어 상부플레이트(210)의 후단부에 안정적으로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제3변형실시예의 구성은 제1본체(170)를 제1수직부만으로 이루어진 평판부재로 구비하고, 제2본체(160)는 역 'U'자 형태의 부재로 구비함으로서 제1본체(170)의 구성을 간단히 하는 대신 제2본체(160)의 구성을 상대적으로 복잡하게 한 것이다.
참고로, 도 15의 (a), (b), (c)는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프리세팅모듈의 장착방법의 변환과정을 보여주는 것인데, 도 15의 (a)에서 제1본체(170)가 상부플레이트(210)의 선단부에 접촉하도록 한 것으로부터 도 15의 (c)와 제1본체(170)가 상부플레이트(210)의 후단부에 접촉하도록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4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제4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변형실시예에 의한 프리세팅모듈(100)은, 제1본체(110)가 신축이음장치에서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210) 중 하나의 하측에서 상기 수직부재(220)에 지지되고, 제2본체(120)가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210) 상측을 가로질러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210) 중 제1본체(110)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하나와 결합된다. 그리고, 조절부재(130,140a,140b)는 앞선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조절부재(130,140a,140b)는 제1본체(110) 및 제2본체(120)와 결합하여 이들에게 상대적인 변위를 주면서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210) 간 이격을 변화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본체(110)는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210) 중 근거리에 위치한 하나의 하측면에 접촉하는 제1수평부(110a)와 상기 제1수평부(110a)의 일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수직부(110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본체(120)는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210) 상측을 가로질러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210) 중 제1본체(110)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하나와 결합되는 제2수평부(120a)와 상기 제2수평부(120a)의 일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수직부(110b)와 대응하는 제2수직부(120b)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부재(130,140a,140b)는 상기 제1수직부(110b)와 제2수직부(120b)와 결합되어 상기 제1수직부(110b)와 제2수직부(120b) 간 이격을 조절하면서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210) 간 이격을 변화시킨다.
또한 상기 제2본체(120)의 타단부에는 교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2슬라이딩 장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슬라이딩 장공(121)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제1본체(110)와 원거리에 위치한 상부플레이트(210)와 상기 제2본체(120)를 체결하는 제1볼트(150a)를 구비하며, 상기 제1본체(110)의 제1수평부(110a)와 상기 제2본체(120)의 제2수평부(120a)와 상기 제1본체(110)와 근거리에 위치한 상부플레이트(210)를 동시에 체결하는 제2볼트(150b)를 더 구비한다.
이같은 제4변형실시예의 구성은 변형 전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본체(110)의 제1수평부(110a)와 제2본체(120)의 제2수평부(120a)를 상부플레이트(210)의 상측과 하측에 위치시켰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5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변형실시예에 의한 프리세팅모듈(100)은, 제2본체(120) 없이 제1본체(110)로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본체(110)는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210) 상측을 가로지르는 제1수평부(110a)와 상기 제1수평부(110a)의 일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수직부(110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수평부(110a)의 타단부가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210) 중 인근에 위치한 상부플레이트(210)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수평부(110a)의 일단부에는 교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1슬라이딩 장공(111)이 구비되고, 상기 제1슬라이딩 장공(111)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상부플레이트(210)에 체결되는 제1볼트(150a)가 구비된다.
또한, 조절부재(130,140a,140b)는 상기 제1수직부(110b)를 교축방향으로 변위시키면서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210) 간 이격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제1수직부(110b)를 관통한 상태로 나사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제1본체(110)를 진퇴시키고 머리가 상기 수직부재(220)에 접촉하는 조절볼트(130)로 이루어진다.
이같은 제5변형실시예의 구성은 변형 전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본체(120) 없이 제1본체(110)와 조절부재(130,140a,140b)만으로 하여 매우 간단한 구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큰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제1본체 110a : 제1수평부
110b : 제1수직부 111 : 제1슬라이딩 장공
120 : 제2본체 120a : 제2수평부
120b : 제2수직부 121 : 제2슬라이딩 장공
130 : 조절볼트 140a,140b : 이탈방지부재

Claims (16)

  1. 삭제
  2. 분할된 교량 상판과 교량 상판 사이 이격부위에 시공되기 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신축이음장치의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하나에 지지되는 제1본체와;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나머지 하나와 결합되는 제2본체와; 상기 제1본체 및 제2본체와 결합되어 이들에게 상대적인 변위를 주면서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간 이격을 변화시키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본체는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하나에 결합되는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의 일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수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본체는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상기 제1본체가 결합되지 않는 나머지 상부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제1수평부에 대하여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하는 제2수평부와 상기 제2수평부의 일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수직부와 대응하는 제2수직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제1수직부와 제2수직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수직부와 제2수직부 간 이격을 조절하면서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간 이격을 변화시키되,
    상기 제1본체는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하나와 제1볼트에 의해 볼트체결되고, 상기 제2본체는 상기 제1볼트가 관통하되 교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2슬라이딩 장공을 구비하며, 상기 제2본체는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상기 제1본체가 볼트체결되지 않는 나머지 하나와 제2볼트에 의해 볼트체결되고, 상기 제1본체는 상기 제2볼트가 관통하되 교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1슬라이딩 장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
  3. 분할된 교량 상판과 교량 상판 사이 이격부위에 시공되기 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신축이음장치의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하나에 지지되는 제1본체와;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나머지 하나와 결합되는 제2본체와; 상기 제1본체 및 제2본체와 결합되어 이들에게 상대적인 변위를 주면서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간 이격을 변화시키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본체는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하나에 결합되는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의 일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된 제1수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본체는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상기 제1본체가 결합되지 않는 나머지 상부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제1수평부에 대하여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하는 제2수평부와 상기 제2수평부의 일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수직부와 대응하는 제2수직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제1수직부와 제2수직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수직부와 제2수직부 간 이격을 조절하면서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간 이격을 변화시키되,
    상기 제1본체는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하나와 제1볼트에 의해 볼트체결되고, 상기 제2본체는 상기 제1볼트가 관통하되 교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2슬라이딩 장공을 구비하며, 상기 제2본체는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상기 제1본체가 볼트체결되지 않는 나머지 하나와 제2볼트에 의해 볼트체결되고, 상기 제1본체는 상기 제2볼트가 관통하되 교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1슬라이딩 장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제1수직부와 제2수직부를 관통하되, 상기 제1수직부에 대해서는 공회전 하도록 관통하고, 제2수직부에 대해서는 진퇴시킬 수 있도록 나사결합된 조절볼트와, 상기 제1수직부를 전후하여 상기 조절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수직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 쌍의 이탈방지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조절볼트에 체결된 후 용접에 의해 고정된 너트 또는 멈춤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2항 또는 제3항의 프리세팅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1020140096977A 2014-07-30 2014-07-30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신축이음장치 KR101535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977A KR101535260B1 (ko) 2014-07-30 2014-07-30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977A KR101535260B1 (ko) 2014-07-30 2014-07-30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5260B1 true KR101535260B1 (ko) 2015-07-09

Family

ID=53792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977A KR101535260B1 (ko) 2014-07-30 2014-07-30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2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53244A (zh) * 2022-03-25 2022-07-15 江苏平山交通设施有限公司 一种临时转永久分体节段装配式模数伸缩装置
KR20230100874A (ko) 2021-12-29 2023-07-06 미래이에스씨 주식회사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451U (ko) * 1998-06-25 2000-01-25 최영륜 교량 상판용 신축이음의 유간 조절장치
KR200300671Y1 (ko) * 2002-05-30 2003-01-14 강명석 신축이음장치 상부 수평유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451U (ko) * 1998-06-25 2000-01-25 최영륜 교량 상판용 신축이음의 유간 조절장치
KR200300671Y1 (ko) * 2002-05-30 2003-01-14 강명석 신축이음장치 상부 수평유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0874A (ko) 2021-12-29 2023-07-06 미래이에스씨 주식회사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
CN114753244A (zh) * 2022-03-25 2022-07-15 江苏平山交通设施有限公司 一种临时转永久分体节段装配式模数伸缩装置
CN114753244B (zh) * 2022-03-25 2024-01-26 江苏平山交通设施有限公司 一种临时转永久分体节段装配式模数伸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258B1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신축이음장치
JP5588227B2 (ja) 屋根上設置物の取付装置
KR101535260B1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신축이음장치
KR101880084B1 (ko) 내진력이 강화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RU2710694C1 (ru)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болта с потайной головкой
US20190128013A1 (en) Device for attaching flexible fabrics for indoor and outdoor use in architecture
EP3047070B1 (de) Elektrisch isolierende unterlegplatte zur schienenbesfestigung
CN204000596U (zh) 桥梁菱形伸缩缝
KR101869726B1 (ko) 유간 조절이 용이한 신축이음장치
KR101503394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레일 교체시공방법
KR20120053106A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 보수공법
DE102010016677A1 (de) Punkthalter für Solarmodule
CN107326813B (zh) 一种应用于工字钢与贝雷片连接的连接结构
US9567748B2 (en) Pinnacle truss
DE4314450C2 (de) Befestigungselement für die Befestigung von Dämmstoffplatten
JP6342713B2 (ja) 免震すべり支承設置装置
KR101481029B1 (ko) 육방향 자유도를 갖는 저소음 신축이음장치
KR101840822B1 (ko)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교량의 내진 보강장치
CN209066622U (zh) 一种建筑工程用可拆卸式伸缩缝装置
KR101583339B1 (ko) 신축성 쐐기를 구비한 펜듈럼 타입의 지진 격리용 구조물 지지장치
CN206127872U (zh) 防水胶条具有下支承的模数式伸缩装置以及桥梁
CN204179434U (zh) 一种母线连接件
KR20140059043A (ko) H형강 기둥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h형강 기둥의 보강방법
JP6474575B2 (ja) 既存建物のブレース耐震補強構造および耐震補強方法
JP6642869B2 (ja) 伸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