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169B1 - 앵커의 매립 위치 조절용 리버서블 위치 변환부재를 구비한 교량받침 - Google Patents

앵커의 매립 위치 조절용 리버서블 위치 변환부재를 구비한 교량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169B1
KR102598169B1 KR1020230046939A KR20230046939A KR102598169B1 KR 102598169 B1 KR102598169 B1 KR 102598169B1 KR 1020230046939 A KR1020230046939 A KR 1020230046939A KR 20230046939 A KR20230046939 A KR 20230046939A KR 102598169 B1 KR102598169 B1 KR 102598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olt hole
nut
bolt
fasten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6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Priority to KR1020230046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1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34Locking by deformable inserts or lik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앵커의 매립 위치 조절용 리버서블 위치 변환부재를 구비한 교량받침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하부구조물에 주철근 및 배력철근 등의 간섭으로 인해 앵커의 매립이 곤란한 경우 앵커의 매립 위치를 간단히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부 플레이트에서 볼트공은 체결볼트가 관통하는 위치를 일단부와 타단부 중 어느 한 편에 선택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장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볼트공을 메워주되 일단부에는 오목한 홈 또는 통공이 형성되어 일단부가 향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볼트공의 일단부와 타단부 중 어느 한 편에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하는 단공 형상의 빈 공간을 형성하도록 허용하는 상태로 상기 볼트공을 메워주는 리버서블 위치 변환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체결볼트 및 앵커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앵커의 매립 위치 조절용 리버서블 위치 변환부재를 구비한 교량받침{Bridge bearing with reversible position conversion member for adjusting anchor embedding position}
본 발명은 교량받침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의 하부구조물에 주철근 및 배력철근 등의 간섭으로 인해 앵커의 매립이 곤란한 경우 앵커의 매립 위치를 간단히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교량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는 상부구조물에서 작용하는 수직하중을 수용하고, 계절의 기온변화나 바람, 지진 등의 충격 등에 의한 상대변위나, 수평으로 작용하는 전단변위를 수용하여 교량의 내구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교량받침이 형성된다. 상기 교량받침은 교량의 특성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내구성, 시공성, 유지보수성, 경제성을 고려하여 설치되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교량받침은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및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된 중간 지지부재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성의 교량받침은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의 사이에 설치된다. 즉, 교량받침의 상부 플레이트는 상부구조물 측에 고정되고, 하부 플레이트는 하부구조물 측에 고정된다. 여기서, 중간 지지부재는 탄성체나 강재 등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탄성체인 경우 보강판과 고무가 순차적으로 다수겹 적층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같은 구성을 갖는 교량받침에 수직하중이 작용되면 중간 지지부재 내부의 고무가 팽출되게 되고 동시에 내부 보강판은 고무의 팽출을 방해하게 되어 수직하중에 대해 고무의 내하력을 증대시켜 수직하중을 수용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교량받침에 수평변위가 발생하는 경우 고무가 전단변형하여 변위를 흡수하게 되고, 교량받침이 회전변위를 받는 경우에도 고무의 탄성에 의해 회전 시 작용하는 힘을 수용하게 된다.
교량받침의 경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가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에 각각 모르타르에 의해 완전 고착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쉽지 않은데, 최근에는 도 1에 볼 수 있는 것처럼 앵커(13)를 하부구조물에 매립하고 하부 플레이트(12)는 체결볼트(14)를 이용하여 앵커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시공되기 때문에 하부 플레이트(12)를 하부구조물에서 분리하기가 한결 쉬웠다.
하지만, 이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교량받침의 경우 하부구조물에 매설된 주철근 및 배력철근으로 인해 간섭을 받아 앵커를 설치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 경우 하부구조물의 코킹부를 재시공해야 하는 최악의 상황에 이르기도 하였다.
또한, 체결볼트(14)만으로 전단하중을 저항해야 하기 때문에 상시 활하중 및 내진 시 체결볼트(14)의 파단이 쉽게 발생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체결볼트(14)의 규격을 최대한 크게 해야만 하는데 이 경우 자주 교체되는 체결볼트(14)를 규격화된 일반적인 것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전용의 것으로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731514호(2007.06.1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의 하부구조물에 주철근 및 배력철근 등의 간섭으로 인해 앵커의 매립이 곤란한 경우 앵커의 매립 위치를 간단히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교량받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교량받침은,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면서 상부 플레이트의 변위를 수용하는 중간 지지부재, 교량의 하부구조물에 매립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상측으로부터 관통한 상태의 체결볼트 하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복수의 앵커를 포함하여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는 교량받침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서 볼트공은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하는 위치를 일단부와 타단부 중 어느 한 편에 선택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장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볼트공을 메워주되 일단부에는 오목한 홈 또는 통공이 형성되어 일단부가 향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볼트공의 일단부와 타단부 중 어느 한 편에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하는 단공 형상의 빈 공간을 형성하도록 허용하는 상태로 상기 볼트공을 메워주는 리버서블 위치 변환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체결볼트 및 앵커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볼트공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각각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위치 변환부재의 일단부는 반원형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볼트공의 일단부와 타단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함께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하는 원형 단공 형상의 빈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공은 상부 볼트공과 상기 상부 볼트공보다 더 넓은 폭을 갖는 하부 볼트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 변환부재는 상기 상부 볼트공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체결볼트의 하단부에 나사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볼트를 따라 승강 및 하강하며, 승강 시 상기 하부 볼트공의 내측면에 대하여 외측면 6면 중 4면이 밀접하게 접촉하면서 상기 체결볼트의 전단력을 보강해주는 전단보강 너트와, 상기 하부 볼트공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하부 볼트공을 메워주되 일단부에는 오목한 쐐기형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전단보강 너트의 외측면 6면 중 상기 하부 볼트공의 내측면에 접하지 않은 나머지 2면을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위치 변환부재를 따라 상기 쐐기형 홈이 상기 하부 볼트공의 일단부와 타단부 중 어느 한 편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리버서블 너트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앵커의 상면에는 상기 전단보강 너트를 수용하는 너트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단보강 너트의 하단부에는 외측면 6면과 외접하는 형상으로 원판형의 스토퍼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앵커의 상면에는 상기 너트 수용홈 입구 주변을 따라 확장된 형태로 매립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매립홈에 매립된 형태로 삽입되어 설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전단보강 너트에 대응하는 육각홀을 구비하여 상기 전단보강 너트의 승강을 허용하지만 그 하단부에 형성된 스토퍼부를 걸어주어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너트 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볼트공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각각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위치 변환부재의 일단부는 반원형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볼트공의 일단부와 타단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함께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하는 원형 단공 형상의 빈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공에 삽입되어 상기 볼트공 내주면에 밀착되며 상기 체결볼트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나사홀을 구비한 원관 형상의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단부에서 둘레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체결볼트의 헤드부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서 압착되는 링 형상의 압착부로 이루어진 차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수부재의 압착부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원형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차수부재의 압착부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되는 한 쌍의 오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공은 상부 볼트공과 상기 상부 볼트공보다 더 넓은 폭을 갖는 하부 볼트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 변환부재는 상기 상부 볼트공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상부 볼트공을 메워주되 일단부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하는 원형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하부 볼트공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하부 볼트공을 메워주되 일단부에는 상기 위치 변환부재의 원형 통공보다 더 넓은 폭을 갖고 상기 원형 통공과 연통하는 육각형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할 수 있도록 한 너트 지지부재가 상기 위치 변환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볼트의 하단부에 나사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볼트를 따라 승강 및 하강하며, 승강 시 상기 너트 지지부재의 육각형 통공에 상단부가 삽입된 상태가 되어 상기 체결볼트의 전단력을 보강해주는 전단보강 너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앵커의 상면에는 상기 전단보강 너트를 수용하는 너트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교량받침은 위치 변환부재의 일단부와 타단부 방향을 변경하여 설치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교량의 하부구조물에 주철근 및 배력철근 등의 간섭으로 인해 앵커의 매립이 곤란한 경우 앵커의 매립 위치를 간단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 변환부재를 이용하여 체결볼트 및 앵커의 위치를 간단히 변경할 수 있으면서도 전단보강 너트에 의해 체결볼트의 전단력을 보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차수부재에 의해 체결볼트와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 볼트공 사이의 틈새로 침투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교량받침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에서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 볼트공에 위치 변환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에서 하부 플레이트의 하부 볼트공에 너트 지지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에서 위치 변환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에서 전단보강 너트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에서 너트 지지부재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에서 너트 이탈방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에서 차수부재의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에서 위치 변환부재와 너트 지지부재가 반대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를 보인 일련의 참조도
도 13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에서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 볼트공에 위치 변환부재가 일체형 모듈의 형태로 설치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에서 하부 플레이트의 하부 볼트공에 너트 지지부재가 일체형 모듈의 형태로 설치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에서 위치 변환부재 및 너트 지지부재가 일체화된 일체형 모듈의 사시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교량받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 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에서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 볼트공에 위치 변환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에서 하부 플레이트의 하부 볼트공에 너트 지지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은 상부 플레이트(10) 및 하부 플레이트(20),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와 하부 플레이트(20)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 지지부재(30)와 더불어 위치 변환부재(110), 체결볼트(120), 전단보강 너트(130), 너트 지지부재(140), 너트 이탈방지부재(150) 및 차수부재(160)를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이같은 주요 구성요소들에 의해 교량의 하부구조물에 주철근 및 배력철근 등의 간섭으로 인해 앵커(40)의 매립이 곤란한 경우 앵커(40)의 매립 위치를 간단히 변경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전단하중에 대한 저항 및 차수 기능도 보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0)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강재 소재인 사각의 넓은 판으로 교량의 상부구조물 측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구구조물과 상부 플레이트(10) 간에는 솔플레이트가 개입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20)는 상부 플레이트(10)와 마찬가지로 강재 소재인 사각의 넓은 판으로 구비되고 교량의 하부구조물 측에 부분 매설되어 고정되는 앵커(40)와 그에 결합되는 체결볼트(12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중간 지지부재(30)는 상부 플레이트(10)와 하부 플레이트(20) 사이에 설치되며, 상부 플레이트(10)를 지지하면서 상부 플레이트(10)의 변위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같은 중간 지지부재(30)는 고무계열의 것으로 구비되거나 강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어느 한 종류의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중간 지지부재(30)가 강판과 고무가 순차 적층된 형태의 것으로 구비되는 경우 교량의 상부구조물로부터 수직하중이 작용하면 중간 지지부재(30) 내부의 고무가 팽출되고 내부 보강판은 고무의 팽출을 방해하면서 고무의 내하력을 증대시켜 수직하중을 수용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교량의 상부구조물이 수평변위를 일으키는 경우 고무가 전단변형하여 변위를 흡수하게 되고, 회전변위를 일으키는 경우 고무의 탄성에 의해 회전력을 수용하게 된다.
상기 위치 변환부재(110)는 정방향으로 설치된 도 4 및 도 5와 그 반대방향으로 설치된 도 11 및 도 12를 비교해 볼 수 있는 것처럼 체결볼트(120)가 관통할 수 있는 위치를 변경하여 앵커(40)와 체결볼트(120)의 설치위치를 선택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적인 구성요소이다. 이같은 위치 변환부재(110)의 설치와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먼저 하부 플레이트(20)의 볼트공(210,220)이 체결볼트(120)가 관통하는 위치를 일단부와 타단부 중 어느 한 편에 선택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단공이 아닌 장공의 형태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같은 장공 형태의 볼트공(210,220)을 기반으로 하여 위치 변환부재(110)는 장공의 볼트공(210,220)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볼트공(210,220)을 메워주되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일단부에는 반원형 홈(112)으로 형성되어 일단부가 향하는 방향에 따라 볼트공(210,220)의 일단부와 타단부 중 어느 한 편에 체결볼트(120)가 관통하는 단공 형상의 빈 공간을 형성하도록 허용한다. 이같은 위치 변환부재(110)를 구비한 구성에 의해 체결볼트(120) 및 앵커(40)의 설치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부 플레이트(20)의 볼트공(210,220)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볼트공(210)과 상기 상부 볼트공(210)보다 더 넓은 폭을 갖는 하부 볼트공(220)으로 이루어지고 위치 변환부재(110)는 상부 볼트공(210)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부 볼트공(210)은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위치 변환부재(110)의 일단부는 반원형 홈(112)으로 형성되며 타단부는 반원형 돌부(111)로 형성된다. 이로써 위치 변환부재(110)의 반원형 홈(112)과 상부 볼트공(210)의 일단부가 원형 단공의 빈 공간을 이루거나, 위치 변환부재(110)의 반원형 홈과 상부 볼트공(210)의 타단부가 원형 단공의 빈 공간을 이루게 되며, 체결볼트(120)가 이 원형 단공의 빈 공간을 통해 관통한 상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위치 변환부재(110)의 일단부가 향하는 방향을 반대로 하여 상부 볼트공(210)에 삽입하는 방법으로 간단히 체결볼트(120)의 위치 및 앵커(40)의 매립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전단보강 너트(130)는 체결볼트(120)만으로는 부족한 전단저항 면적을 확장하여 전단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단보강 너트(130)는 너트 몸체(130a) 중앙에 암나사홀(131)을 구비하여 체결볼트(120)의 하단부에 나사체결된 상태에서 체결볼트(120)를 따라 승강 및 하강하며, 승강 시 하부 플레이트(20)의 하부 볼트공(220)의 내측면에 대하여 외측면 6면 중 4면이 밀접하게 접촉하면서 체결볼트(120)의 전단력을 보강해준다. 이때 전단보강 너트(130)의 외측면 중 하부 볼트공(220)이 접하지 않는 2면은 너트 지지부재(140)에 의해 지지되어 전단부강 너트(130)의 외측면이 완전히 둘러싸인 형태로 지지된다. 여기서 하부 플레이트(20)의 하부 볼트공(220)은 전술된 것처럼 상부 볼트공(210)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며 일단부와 타단부는 최측면 6면 중 4면이 밀접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각진 형태로 형성된다. 이같은 너트 지지부재(140)를 구비함에 따라 앵커(40)의 상면에는 전단보강 너트(130)를 수용하는 너트 수용홈(410)이 형성된다. 상기 너트 수용홈(410)은 아래에서 설명될 원판형의 스토퍼부(130b)를 고려하여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단보강 너트(130)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너트 몸체(130a) 하단부에 외측면 6면과 외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원판형의 스토퍼부(130b)를 일체로 구비한다. 상기 스토퍼부(130b)는 앵커(40) 상면에 설치된 너트 이탈방지부재(150)에 걸리면서 전단보강 너트(130)가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너트 이탈방지부재(150)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앵커(40)의 상면에서 너트 수용홈(410) 입구 주변을 따라 확장된 형태로 형성된 매립홈(420)에 매립된 형태로 삽입되어 설치되고 중앙에는 전단보강 너트(130)에 대응하는 육각홀(151)을 구비한다. 이로써 상기 너트 이탈방지부재(150)는 전단보강 너트(130)의 승강을 허용하지만 그 하단부에 형성된 스토퍼부(130b)를 걸어주어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너트 지지부재(140)는 하부 플레이트(20)의 하부 볼트공(220)에서 전단보강 너트(1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부 플레이트(20)의 하부 볼트공(220)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하부 볼트공(220)을 메워준다. 상기 너트 지지부재(140)의 일단부에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전단보강 너트(130)의 외측면 6면 중 2면이 접하는 오목한 쐐기형 홈(142)이 형성되어 하부 볼트공(220)의 내측면에 접하지 않은 나머지 2면을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타단부에는 쐐기형 돌부(141)가 형성된다. 상기 너트 지지부재(140)는 상부 볼트공(210)에 설치된 위치 변환부재(110)가 향하는 방향을 따라 쐐기형 홈(142)이 하부 볼트공(220)의 일단부와 타단부 중 어느 한 편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차수부재(160)는 하부 플레이트(20)의 상부 볼트공(210)과 체결볼트(120)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차수부재(160)는 하부 플레이트(20)의 상부 볼트공(210)에 삽입되어 상부 볼트공(210) 내주면에 밀착된다. 상기 차수부재(160)는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체결볼트(120)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나사홀(161)을 구비하는 원관 형상의 삽입부(160a)와, 상기 삽입부(160a)의 상단부에서 둘레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체결볼트(120)의 헤드부와 하부 플레이트(20) 사이에서 압착되는 링 형상의 압착부(160b)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수부재(160)의 압착부(160b)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원형의 안착홈(162)이 형성되어 그 안착홈(162) 각각에 한 쌍의 오링이 안착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처럼 차수부재(160)를 구비한 구성에 의해 하부 플레이트(20)의 상부 볼트공(210)과 체결볼트(120) 사이를 통해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완벽하게 차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은 교량의 하부구조물에 주철근 및 배력철근 등의 간섭으로 인해 앵커의 매립이 곤란한 경우 위치 변환부재(110)의 일단부와 타단부 방향을 반대로 변경하여 설치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앵커(40)의 매립 위치를 간단히 변경할 수 있으며, 전단보강 너트(130)에 의해 체결볼트(120)의 전단력을 보강하는 것이 가능하고, 차수부재(160)에 의해 체결볼트(120)와 하부 플레이트(20)의 상부 볼트공(210) 사이의 틈새로 침투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에서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 볼트공에 위치 변환부재가 일체형 모듈의 형태로 설치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에서 하부 플레이트의 하부 볼트공에 너트 지지부재가 일체형 모듈의 형태로 설치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에서 위치 변환부재 및 너트 지지부재가 일체화된 일체형 모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서는 변형 전과 비교하여 위치 변환부재(170a)와 위치 변환부재(170b)가 일체화되어 일체형 모듈(170)로 성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 상기 위치 변환부재(170a)는 상부 볼트공(210)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상부 볼트공(210)을 메워주는 것은 변형 전과 동일하지만 일단부에 체결볼트(120)가 관통하는 원형 통공(171)이 반원형 홈 대신 형성되어 체결볼트(120)가 관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위치 변환부재(170b)는 하부 볼트공(220)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하부 볼트공(220)을 메워주는 것은 변형 전과 동일하지만 일단부에 위치 변환부재(170a)의 원형 통공(171)보다 더 넓은 폭을 갖고 원형 통공과 연통하는 육각형 통공(172)이 쐐기형 홈 대신 형성되어 체결볼트(120)가 관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부 볼트공(210)과 하부 볼트공(220) 모두 일단부와 타단부가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그에 대응하여 위치 변환부재(170a)와 위치 변환부재(170b) 모두 일단부와 타단부가 반원형 돌부로 형태로 형성된다.
이처럼 위치 변환부재(170a)와 위치 변환부재(170b)가 일체형 모듈(170)로 형성된 구성에 따르면 부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간단한 시공이 가능하며, 체결볼트(120) 및 전단보강 너트(13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을 갖게 된다.
참고로, 이같은 변형실시예에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구성들의 경우 변형 전과 대동소이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210: 상부 볼트공 220: 하부 볼투공
110, 170a: 위치 변환부재 120, 170b: 체결볼트
130: 전단보강 너트 140: 너트 지지부재
150: 너트 이탈방지부재 160: 차수부재

Claims (10)

  1.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면서 상부 플레이트의 변위를 수용하는 중간 지지부재, 교량의 하부구조물에 매립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상측으로부터 관통한 상태의 체결볼트 하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복수의 앵커를 포함하여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는 교량받침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서 볼트공은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하는 위치를 일단부와 타단부 중 어느 한 편에 선택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장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볼트공을 메워주되 일단부에는 오목한 홈 또는 통공이 형성되어 일단부가 향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볼트공의 일단부와 타단부 중 어느 한 편에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하는 단공 형상의 빈 공간을 형성하도록 허용하는 상태로 상기 볼트공을 메워주는 리버서블 위치 변환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체결볼트 및 앵커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볼트공은 상부 볼트공과 상기 상부 볼트공보다 더 넓은 폭을 갖는 하부 볼트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 변환부재는 상기 상부 볼트공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체결볼트의 하단부에 나사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볼트를 따라 승강 및 하강하며, 승강 시 상기 하부 볼트공의 내측면에 대하여 외측면 6면 중 4면이 밀접하게 접촉하면서 상기 체결볼트의 전단력을 보강해주는 전단보강 너트와, 상기 하부 볼트공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하부 볼트공을 메워주되 일단부에는 오목한 쐐기형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전단보강 너트의 외측면 6면 중 상기 하부 볼트공의 내측면에 접하지 않은 나머지 2면을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위치 변환부재를 따라 상기 쐐기형 홈이 상기 하부 볼트공의 일단부와 타단부 중 어느 한 편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리버서블 너트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앵커의 상면에는 상기 전단보강 너트를 수용하는 너트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보강 너트의 하단부에는 외측면 6면과 외접하는 형상으로 원판형의 스토퍼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앵커의 상면에는 상기 너트 수용홈 입구 주변을 따라 확장된 형태로 매립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매립홈에 매립된 형태로 삽입되어 설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전단보강 너트에 대응하는 육각홀을 구비하여 상기 전단보강 너트의 승강을 허용하지만 그 하단부에 형성된 스토퍼부를 걸어주어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너트 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볼트공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각각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위치 변환부재의 일단부는 반원형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볼트공의 일단부와 타단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함께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하는 원형 단공 형상의 빈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6. 삭제
  7. 삭제
  8.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면서 상부 플레이트의 변위를 수용하는 중간 지지부재, 교량의 하부구조물에 매립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상측으로부터 관통한 상태의 체결볼트 하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복수의 앵커를 포함하여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는 교량받침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서 볼트공은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하는 위치를 일단부와 타단부 중 어느 한 편에 선택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장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볼트공을 메워주되 일단부에는 오목한 홈 또는 통공이 형성되어 일단부가 향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볼트공의 일단부와 타단부 중 어느 한 편에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하는 단공 형상의 빈 공간을 형성하도록 허용하는 상태로 상기 볼트공을 메워주는 리버서블 위치 변환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체결볼트 및 앵커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볼트공은 상부 볼트공과 상기 상부 볼트공보다 더 넓은 폭을 갖는 하부 볼트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 변환부재는 상기 상부 볼트공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상부 볼트공을 메워주되 일단부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하는 원형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하부 볼트공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하부 볼트공을 메워주되 일단부에는 상기 위치 변환부재의 원형 통공보다 더 넓은 폭을 갖고 상기 원형 통공과 연통하는 육각형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할 수 있도록 한 너트 지지부재가 상기 위치 변환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볼트의 하단부에 나사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볼트를 따라 승강 및 하강하며, 승강 시 상기 너트 지지부재의 육각형 통공에 상단부가 삽입된 상태가 되어 상기 체결볼트의 전단력을 보강해주는 전단보강 너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앵커의 상면에는 상기 전단보강 너트를 수용하는 너트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보강 너트의 하단부에는 외측면 6면과 외접하는 형상으로 원판형의 스토퍼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앵커의 상면에는 상기 너트 수용홈 입구 주변을 따라 확장된 형태로 매립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매립홈에 매립된 형태로 삽입되어 설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전단보강 너트에 대응하는 육각홀을 구비하여 상기 전단보강 너트의 승강을 허용하지만 그 하단부에 형성된 스토퍼부를 걸어주어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너트 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볼트공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각각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볼트공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각각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위치 변환부재의 원형 통공에 삽입되어 그 내주면에 밀착되며 상기 체결볼트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나사홀을 구비한 원관 형상의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단부에서 둘레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체결볼트의 헤드부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서 압착되는 링 형상의 압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압착부 상면과 하면에 각각 원형의 안착홈이 형성된 차수부재 및 상기 차수부재의 압착부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되는 한 쌍의 오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KR1020230046939A 2023-04-10 2023-04-10 앵커의 매립 위치 조절용 리버서블 위치 변환부재를 구비한 교량받침 KR102598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6939A KR102598169B1 (ko) 2023-04-10 2023-04-10 앵커의 매립 위치 조절용 리버서블 위치 변환부재를 구비한 교량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6939A KR102598169B1 (ko) 2023-04-10 2023-04-10 앵커의 매립 위치 조절용 리버서블 위치 변환부재를 구비한 교량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169B1 true KR102598169B1 (ko) 2023-11-06

Family

ID=88748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6939A KR102598169B1 (ko) 2023-04-10 2023-04-10 앵커의 매립 위치 조절용 리버서블 위치 변환부재를 구비한 교량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1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772Y1 (ko) * 2003-02-05 2003-05-13 조영철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
KR100731514B1 (ko) 2005-08-02 2007-06-25 유니슨 주식회사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용 탄성받침
KR101146627B1 (ko) * 2011-01-18 2012-05-16 진형건설(주) 위치이동이 가능한 교량받침용 앵커소켓 구조물
KR102151069B1 (ko) * 2019-11-19 2020-09-02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볼트체결에 의한 분리형 앵커복합체를 구비한 교량받침 및 그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772Y1 (ko) * 2003-02-05 2003-05-13 조영철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
KR100731514B1 (ko) 2005-08-02 2007-06-25 유니슨 주식회사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용 탄성받침
KR101146627B1 (ko) * 2011-01-18 2012-05-16 진형건설(주) 위치이동이 가능한 교량받침용 앵커소켓 구조물
KR102151069B1 (ko) * 2019-11-19 2020-09-02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볼트체결에 의한 분리형 앵커복합체를 구비한 교량받침 및 그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1478B2 (en) Ratcheting take-up device
KR102455887B1 (ko) 중력식 석션 앵커
US102809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trofitting walls with retaining ties
KR101572046B1 (ko) 교량받침구조
KR102151069B1 (ko) 볼트체결에 의한 분리형 앵커복합체를 구비한 교량받침 및 그의 시공방법
CA2686262C (en) Roof to post adjustable hold down device
KR102598169B1 (ko) 앵커의 매립 위치 조절용 리버서블 위치 변환부재를 구비한 교량받침
KR101161173B1 (ko)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
KR102081297B1 (ko) 교량용 교좌장치
KR100659470B1 (ko) 낙교방지를 위한 교량 교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보수보강방법
JP4274557B2 (ja) 水平荷重弾性支持装置
KR102598836B1 (ko) 승강조절이 가능한 앵커장치가 적용된 교량받침
KR101955477B1 (ko) 전단 보강 교량받침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40084030A (ko) 핀이 구비된 면진베어링
KR102360307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587900B1 (ko) 볼트 풀림 방지 및 강도 보강형 앵커조립체를 구비한 교량받침
JP3913647B2 (ja) 斜張橋における落橋および浮き上がり防止構造
KR102627952B1 (ko) 조립형 앵커를 가지는 교량받침
CN107143050B (zh) 一种装配式框架结构软钢摩擦耗能阻尼器
US20030091247A1 (en) Bearing assembly for a bridge
JP7457557B2 (ja) 木質軸部材の接合構造
CN115977245B (zh) 一种高耗能高承载力自复位梁柱节点
KR102322914B1 (ko) 조립형 옹벽구조
KR102174860B1 (ko) 보강형 받침 구조
CN216141884U (zh) 一种具有可伸缩锚固结构的调高支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