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914B1 - 조립형 옹벽구조 - Google Patents
조립형 옹벽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2914B1 KR102322914B1 KR1020190118974A KR20190118974A KR102322914B1 KR 102322914 B1 KR102322914 B1 KR 102322914B1 KR 1020190118974 A KR1020190118974 A KR 1020190118974A KR 20190118974 A KR20190118974 A KR 20190118974A KR 102322914 B1 KR102322914 B1 KR 1023229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ove
- mounting
- block unit
- retaining wall
- flange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의 양측에 형성되는 장착홈과, 장착홈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인양고리와, 전면에 형성되는 문양부와, 하면에 형성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복수의 블록유닛; 인접하는 블록유닛의 장착홈에 의해 형성되는 장착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단과 상기 삽입단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유닛의 수용홈에 안치되는 머리를 포함하는 전단저항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옹벽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공이 용이하고 구조적 건전성이 우수한 옹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토압력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하는 벽체로써, 지표지반의 안정된 경사를 그것보다 가파른 경사로 하였을 경우에 일어나는 지반붕괴를 막기 위해 다수개의 블록을 조립한 구조물이다.
종래의 옹벽은 배후토사로부터 소정 이격공간을 두고 블록과 같은 복수의 표면재가 축조되고, 후단부가 배후토사 또는 앵커에 정착된 보강재의 일단이 표면재에 정착됨과 아울러 보강토가 배후토사와 표면재의 사이공간에 채움 및 다짐됨으로써 그 표면재의 붕괴를 방지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종래 선행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51966호에서는 배후토사의 전면에 복수층으로 축조된 복수의 표면재; 상기 복수층의 표면재 중 일부층을 후방으로 지지하도록, 후단이 배후토사 또는 앵커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 보강재; 상기 복수층의 표면재 중 다른 일부층에서 상하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표면재 상호의 접촉부에는 상호 진동을 허용하는 한편, 소정 한계 이상의 변형을 제한하도록 형성된 진동 허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진동 허용부는 상기 표면재의 상면 또는 저면에 인접 표면재와의 충격을 완충하도록 형성된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내진용 보강토 옹벽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의 경우 토압에 대해 취약포인트로 작용할 수 있는 블록 간의 접합부분에서 보강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불균일하게 가해질 수 있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충분히 기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조립된 블록이 일체로 거동토록 하고, 지진 등 횡하중에 있어 불균일한 하중분포에도 충분한 저항력을 발현할 수 있는 옹벽구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형 옹벽구조(이하 "본 발명의 구조"라함)는, 상면의 양측에 형성되는 장착홈과, 장착홈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인양고리와, 전면에 형성되는 문양부와, 하면에 형성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복수의 블록유닛; 인접하는 블록유닛의 장착홈에 의해 형성되는 장착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단과 상기 삽입단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유닛의 수용홈에 안치되는 머리를 포함하는 전단저항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전단저항키는 탄성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머리의 상면은 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머리의 형상과 대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블록유닛의 후면의 양측단에는 절곡된 형상으로 절곡홈이 형성되며, 인접하는 블록유닛의 절곡홈에 의해 T자형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에 일단부가 게재되며 타단부가 뒷채움재에 매립되는 앵커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앵커부는 탄성재질로 T자형 체결홈의 플랜지부분과 몸체부분의 교차지점에서 강제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는 구형의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서 돌출되어 체결홈의 플랜지부분에 게재되는 장착바와, 상기 고정구에서 돌출되며 상기 장착바와 직교하면서 상기 몸체부분에서 뒷채움재로 연장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 끝단에서 상기 연결바와 직교하며 뒷채움재에 정착되는 정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장착바 및 상기 연결바는 상기 체결홈의 플랜지부분 및 몸체부분에서 각각 상기 고정구를 축으로 회전연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블록유닛의 상면 전단에는 안치홈이 형성되며 인접하는 블록유닛 간 각각 안치홈에는 내부에 액상의 색상안료가 충진되며 탄성재질의 감지파이프가 게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조는, 조립이 용이하면서 블록 간 접합부를 포함하여 전체 옹벽이 토압, 지진 등 횡하중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는, 비균일 하게 작용될 수 있는 하중에 대해서도 이를 보완하여 완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조(1)는, 상면의 양측에 형성되는 장착홈(21)과, 장착홈(21)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인양고리(22)와, 전면에 형성되는 문양부(23)와, 하면에 형성되는 수용홈(24)을 포함하는 복수의 블록유닛(2); 인접하는 블록유닛(2)의 장착홈(21)에 의해 형성되는 장착공간(25)에 삽입되는 삽입단(31)과 상기 삽입단(31)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유닛(2)의 수용홈(24)에 안치되는 머리(32)를 포함하는 전단저항키(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구조(1)는 복수의 블록유닛(2)의 적층에 의해 옹벽구조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조립된 블록유닛(2)에는 각각 접합부에 전단저항키(3)가 체결되도록 하여 블록유닛(2) 간의 뒤틀림, 미끌림 등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전체 옹벽구조가 일체거동이 가능하도로 하는 것이다.
상기 블록유닛(2)은 상면의 양측에 형성되는 장착홈(21)과, 장착홈(21)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인양고리(22)와, 전면에 형성되는 문양부(23)와, 하면에 형성되는 수용홈(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홈(21)은 블록유닛(2)의 상면 양측에 요홈형상으로 구성되어 인접하는 블록유닛(2)의 대향하는 장착홈(21)에 의해 장착공간(25)이 형성되며 이러한 장착공간(25)으로 상기 전단저항키(3)의 삽입단(31)이 삽입되어 인접하는 블록유닛(2)간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인양고리(22)는 블록유닛(2)의 상면에 구성되는 것으로 현장에서 시공위치에 블록유닛(2)을 인양시 사용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문양부(23)는 블록유닛(2)의 전면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되는 형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외부에 노출되어 심미감을 부여토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수용홈(24)은 상기 블록유닛(2)의 하면에 요홈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유닛(2)의 수용홈(24)에 하부에 적층되는 블록유닛(2)에 장착된 전단저항키(3)와 인양고리(22)가 수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전단저항키(3)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블록유닛(2)의 장착홈(21)에 의해 형성되는 장착공간(25)에 삽입되는 삽입단(31)과 상기 삽입단(31)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유닛(2)의 수용홈(24)에 안치되는 머리(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단저항키(3)의 단면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의 머리(32)와 상기 머리(32) 하면에서 상기 머리(32)보다 작은 너비로 돌출되는 삽입단(31)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전단저항키(3)가 구성되어 1개의 전단저항키(3)의 구성에 의해 접합부 즉 하부에 적층 조립되는 2개의 블록유닛(2)과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유닛(2)이 일체거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체 옹벽구조의 구조적 건전성이 도모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은 실시예를 제시하고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토압, 지진 등 횡하중에 대해 상,하로 적층되는 블록유닛(2)의 접합부에서 이러한 하중을 완화시켜 옹벽구조 일부 또는 전체가 전복되는 것을 제어토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단저항키(3)는 탄성재질로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 머리(32)의 상면은 곡면을 형성하토록 하며, 상기 수용홈(24)은 상기 머리(32)의 형상과 대향하도록 구성되는 예를 제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의해 블록유닛(2)간 접합부에서 토압, 지진 등 횡방향 하중을 탄성재질의 전단저항키(3)가 완화토록 하는 것이며, 특히 라운드 된 머리(32)와 이에 대향하는 수용홈(24)이 마찰저항을 일으켜 설계하중 보다 큰 하중이 작용하에 상부에 적층된 블록유닛(2)은 힌지연동을 하여 하중에 의한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힌지연동에 의해 접합부 파손을 방지함으로서 옹벽구조 전체의 구조적 건전성을 도모토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전단저항키(3)는 고무 등 탄성재질로 구성하여 재질에 의해서 접합부의 하중을 완화토록 하는 것이며, 단면의 형상이 곡면을 형성하는 머리(32)와 머리(32)보다 너비가 작은 삽입단(31)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곡면을 형성하는 머리(32)에서 상부에 적층된 블록유닛(2)이 힌지연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횡방향 하중에 의한 에너지를 소산시키도록 하여 구조적 건전성이 도모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구조(1)에 있어 상기에서 언급한 구성에 더하여 앵커부(4)가 더 포함되도록 하여 블록유닛(2)의 조립에 의한 옹벽구조를 상기 앵커부(4)가 지지토록 함으로써 지내력을 더욱 향상시킨 구조가 제시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록유닛(2)의 후면의 양측단에는 절곡된 형상으로 절곡홈(26)이 형성되며, 인접하는 블록유닛(2)의 절곡홈(26)에 의해 T자형 체결홈(27)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27)에 일단부가 게재되며 타단부가 뒷채움재(6)에 매립되는 앵커부(4)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홈(27)은 인접하는 블록유닛(2)의 절곡홈(26)에 의해 형성되는 구성이다. 상기 체결홈(27)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T자형으로 플랜지부분(271)과 상기 플랜지부분(271)과 연통함과 동시에 외부와 연통하는 몸체부분(272)으로 구성된다.
상기 앵커부(4)는 탄성재질로 T자형 체결홈(27)의 플랜지부분(271)과 몸체부분(272)의 교차지점에서 강제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는 구형의 고정구(41)와, 상기 고정구(41)에서 돌출되어 체결홈(72)의 플랜지부분(271)에 게재되는 장착바(42)와, 상기 고정구(41)에서 돌출되며 상기 장착바(42)와 직교하면서 상기 몸체부분(272)에서 뒷채움재(6)로 연장되는 연결바(43)와, 상기 연결바(43) 끝단에서 상기 연결바(43)와 직교하며 뒷채움재(6)에 정착되는 정착판(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바(42), 상기 연결바(43) 및 정착판(44)은 각각 용접 등 공지의 부착기술에 의해 부착되는 구성이며, 상기 고정구(41)는 상기 장착바(42)와 상기 연결바(43)의 접합부분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결홈(72)의 플랜지부분(271) 및 몸체부분(272)의 너비보다 상기 장착바(42) 및 상기 연결바(43)의 직경이 작게 구성되도록 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체결홈(72)의 플랜지부분(271) 및 몸체부분(272)에서 상기 장착바(42) 및 상기 연결바(43)의 연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구(41)의 직경은 체결홈(72)의 플랜지부분(271) 및 몸체부분(272)의 너비보다 크게 구성하여 플랜지부분(271)과 몸체부분(272)의 교차지점에서 강제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앵커부(4)가 체결홈(72)에서 장착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정착판(44)은 판형상으로 뒷채움재(6)의 내부에 정착되어 옹벽구조에 지지력을 부과토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장착바(42) 및 상기 연결바(43)는 상기 체결홈(72)의 플랜지부분(271) 및 몸체부분(272)에서 각각 상기 고정구(41)를 축으로 회전연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의해 토압에 더하여 지진 등 횡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탄성재질의 고정구(41)에 의해 횡하중을 어느 정도 완충시키도록 하는 것이며, 또한 하방향에 위치하는 앵커부(4)일수록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더 크게 발현하여야 함에 따라 탄성재질의 고정구(41)에 부여된 탄성복원력에 의해 이러한 지지력의 차이가 보정되도록 하여 하단부에 위치하는 블록유닛(2)의 깨짐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장착바(42) 및 연결바(43)의 회전연동에 의해 토압의 비균일성에 대한 보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특히 지진 등 횡하중의 방향성에 구애됨 없이 앵커부(4)의 완충작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록유닛(2)의 상면 전단에 안치홈(28)이 형성되도록 하고, 인접하는 블록유닛(2) 간 각각 안치홈(28)에는 내부에 액상의 색상안료(52)가 충진되며 탄성재질의 감지파이프(5)가 게재되도록 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안치홈(28)은 블록유닛(2)의 상면 전단에 구성되고 인접하는 블록유닛(2)의 각 안치홈(28)이 상호 연통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상호 연통하도록 하는 안치홈(28)에 상기 감지파이프(5)가 게재되도록 하고 상부에 블록유닛(2)의 적층에 의해 조립된 블록유닛(2)들에는 감지파이프(5)가 내재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감지파이프(5)는 중공을 형성하며 탄성재질의 외피(51)와 상기 중공에 충진되는 액상의 색상안료(5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감지파이프(5)가 조립된 블록유닛(2)들에 내재되도록 하는 이유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압에 의해 블록유닛(2)들에 있어 특정 블록유닛(2)의 접합부에서 뒤틀림 등이 발생되는 경우 이러한 외압에 의해 상기 감지파이프(5)가 파단이 되면서 감지파이프(5) 내부의 색상안료(52)가 누출되어 외부에서 이렇게 하자가 발생된 접합부 부분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 및 관리의 용이성을 도모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색상안료(52)의 누출을 육안으로 감지함으로써 보수 및 보강이 이루어져야 함을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 보수 및 보강이 이루어져야 하는 포인트를 감지하여 적정의 보수 및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2 : 블록유닛 3 : 전단저항키
21 : 장착홈 22 : 인양고리
23 : 문양부 24 : 수용홈
25 : 장착공간 31 : 삽입단
21 : 장착홈 22 : 인양고리
23 : 문양부 24 : 수용홈
25 : 장착공간 31 : 삽입단
Claims (6)
- 요홈형상으로 상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장착홈과, 양측 장착홈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인양고리와, 전면에 형성되는 문양부와, 요홈형상으로 하면에 형성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복수의 블록유닛; 및
인접하는 블록유닛의 장착홈에 의해 형성되는 장착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단과 상기 삽입단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유닛의 수용홈에 안치되는 머리를 포함하는 전단저항키;를 포함하며,
상기 전단저항키는 탄성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머리의 상면은 곡면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머리의 형상과 대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블록유닛의 후면의 양측단에는 절곡된 형상으로 절곡홈이 형성되며, 인접하는 블록유닛의 절곡홈에 의해 플랜지 부분 및 상기 플랜지 부분과 연통하면서 외부와 연통하는 몸체부분으로 구성되는 T자형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에 일단부가 게재되며 타단부가 뒷채움재에 매립되는 앵커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앵커부는,
탄성재질로 T자형 체결홈의 플랜지 부분과 몸체 부분의 교차지점에서 강제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는 구형의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서 돌출되어 체결홈의 플랜지 부분에 게재되는 장착바와, 상기 고정구에서 돌출되며 상기 장착바와 직교하면서 상기 몸체부분에서 뒷채움재로 연장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 끝단에서 상기 연결바와 직교하며 뒷채움재에 정착되는 정착판을 포함하며,
상기 블록유닛의 상면 전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안치홈이 형성되어 인접하는 블록유닛의 안치홈과 상호 연통되고, 인접하는 블록유닛 간 각각의 안치홈에는 탄성재질로 내부에 중공 형성되는 외피와 상기 외피의 중공에 충진되는 색상안료를 포함하는 감지파이프가 게재되어, 상부에 블록유닛의 적층에 의해 조립된 블록유닛 사이에 감지파이프가 내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옹벽구조.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바 및 상기 연결바는 상기 체결홈의 플랜지부분 및 몸체부분에서 각각 상기 고정구를 축으로 회전연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옹벽구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8974A KR102322914B1 (ko) | 2019-09-26 | 2019-09-26 | 조립형 옹벽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8974A KR102322914B1 (ko) | 2019-09-26 | 2019-09-26 | 조립형 옹벽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6670A KR20210036670A (ko) | 2021-04-05 |
KR102322914B1 true KR102322914B1 (ko) | 2021-11-05 |
Family
ID=75461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8974A KR102322914B1 (ko) | 2019-09-26 | 2019-09-26 | 조립형 옹벽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2914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03494A (ja) * | 2001-06-26 | 2003-01-08 | Yamatomi Sangyo Kk | 構築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を使用した擁壁 |
KR100722503B1 (ko) * | 2006-04-27 | 2007-05-28 | 김락동 | 생태 옹벽용 블록 |
KR100743424B1 (ko) * | 2007-05-09 | 2007-07-30 |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 안전진단 구조물이 설치된 도로의 옹벽 |
KR101209846B1 (ko) * | 2011-09-19 | 2012-12-07 | 나라앤텍 주식회사 | 붕괴인식 감지기능을 갖는 스마트 블록 |
KR101993403B1 (ko) * | 2018-08-09 | 2019-06-26 | 강현재 | 스트립형 섬유보강재와 블록 사이의 연결용 연결부재, 이를 구비한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7042B1 (ko) * | 2002-12-20 | 2005-01-24 | 임종덕 | 옹벽용 조립식 블록 |
KR101051966B1 (ko) | 2008-11-27 | 2011-07-26 | 홍나영 | 복합형 내진용 보강토 옹벽 |
-
2019
- 2019-09-26 KR KR1020190118974A patent/KR10232291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03494A (ja) * | 2001-06-26 | 2003-01-08 | Yamatomi Sangyo Kk | 構築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を使用した擁壁 |
KR100722503B1 (ko) * | 2006-04-27 | 2007-05-28 | 김락동 | 생태 옹벽용 블록 |
KR100743424B1 (ko) * | 2007-05-09 | 2007-07-30 |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 안전진단 구조물이 설치된 도로의 옹벽 |
KR101209846B1 (ko) * | 2011-09-19 | 2012-12-07 | 나라앤텍 주식회사 | 붕괴인식 감지기능을 갖는 스마트 블록 |
KR101993403B1 (ko) * | 2018-08-09 | 2019-06-26 | 강현재 | 스트립형 섬유보강재와 블록 사이의 연결용 연결부재, 이를 구비한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6670A (ko) | 2021-04-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719293B2 (ja) | 杭基礎の耐震補強構造 | |
KR101700830B1 (ko) | 보강토 옹벽블록과 그리드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 |
KR102093234B1 (ko) | 장착바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구조 | |
KR101284122B1 (ko) |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
KR102322914B1 (ko) | 조립형 옹벽구조 | |
KR101803335B1 (ko) | 교대-말뚝 결합부에 회전수용장치를 갖는 일체식 교대교량 | |
KR101742438B1 (ko) | 교대-말뚝 결합부에 회전수용장치를 갖는 일체식 교대교량 | |
KR101095700B1 (ko) | 성토층의 보강구조를 가진 전면 패널벽체를 이용한 성토층 지지옹벽 및 이러한 성토층 지지옹벽의 시공방법 | |
US8684220B2 (en) | Storage tank with flexible shear pad | |
JP6030873B2 (ja) | 杭基礎構造体 | |
KR200422408Y1 (ko) | 포트 타입의 교량받침 | |
JP4614928B2 (ja) | 軽量盛土工法 | |
KR102085723B1 (ko) | 보강토옹벽 보강장치 | |
KR101005352B1 (ko) |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옹벽 | |
KR20200006648A (ko) | 토류벽 및 그 시공방법 | |
KR100382053B1 (ko) | 마이크로파일을 이용한 직접기초옹벽의 시공방법 | |
KR102190256B1 (ko) | 이중 전단키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옹벽 | |
KR100545398B1 (ko) | 보강토 옹벽 및 그 설치방법 | |
KR102080588B1 (ko) | 보강토 옹벽 구조 | |
JP5551943B2 (ja) | 地盤改良体を用いた基礎構造 | |
KR20100060526A (ko) | 내진용 벽체 구조물 | |
KR101861733B1 (ko) | 다지점 지지 스트럿 | |
KR101803767B1 (ko) | 강관 파일의 두부 보강용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강관 파일 어셈블리 | |
JP5925497B2 (ja) | 管状体の補強構造 | |
KR200163588Y1 (ko) | 보강토의옹벽구축용지오그리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