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8669A -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8669A
KR20030078669A KR1020030018168A KR20030018168A KR20030078669A KR 20030078669 A KR20030078669 A KR 20030078669A KR 1020030018168 A KR1020030018168 A KR 1020030018168A KR 20030018168 A KR20030018168 A KR 20030018168A KR 20030078669 A KR20030078669 A KR 20030078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monofilament suture
suture
elastic modulus
gp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8201B1 (ko
Inventor
임정남
서장일
홍종택
배철민
윤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사
Publication of KR20030078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8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2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06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 A61L17/10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7/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glycolic acid or lactic acid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6Matrix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9Sutures thermoplastic, e.g. for bonding, welding, fusing or cutting the suture by melting 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계수(Young's modulus)가 서로 다른 폴리머를 복합 방사시켜 제조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탄성 계수가 큰 폴리머로 탄성계수가 작은 폴리머를 감싸는 형태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노필라멘트 봉합사는 매듭 안정성 및 유연성이 우수하면서도 봉합사로 사용하는데 적합한 매듭 강력을 가지고 있어서, 봉합사를 비롯한 많은 의료용구에 응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Monofilament Su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매듭 안정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노필라멘트 봉합사는 표면이 매끄러워 봉합사에 의한 조직 손상이 적을 뿐만 아니라, 멀티필라멘트에서 보이는 실간 공극이 없어서 모세관 현상등에 의한 세균 감염이 적다. 그러나, 모노필라멘트 봉합사는 단일 가닥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멀티필라멘트 봉합사에 비해 유연성이 떨어지고, 매듭 체결이 어려우며, 매듭 안정성이 좋지 않아 체결한 매듭이 다시 풀리기 쉬운 단점이 있다.
특히, 모노필라멘트 봉합사는 낮은 유연성으로 인하여 봉합사 시술시 다루기 (handling)가 어려워 매듭 체결이 어려우며, 더구나, 매듭 체결 후 체내에 존재하는 봉합사의 끝 부분(Knot's ear)이 봉합사 주변의 생체 조직을 자극해 환자들이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시판중인 모노필라멘트 봉합사는 상대적으로 유연한 봉합사라 하더라도 매듭을 체결했을 때 매듭이 다시 풀리기 쉽기 때문에 체결한 매듭이 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많은 횟수의 매듭을 지어야 한다. 매듭을 많이 지으면 체내 잔존하는 봉합사의 양이 증가하여 염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커지게 되는데, 이는 생체 적합성을 지닌 흡수성 봉합사라 하더라도 생체 내에 존재할 경우 이물질(foreign body)로 작용하여 주변 생체 조직의 염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체결된 매듭은 환자에게 이물감 또는 자극을 느끼게 하고, 매듭이 커질수록 그 증세도 증가하게 된다. (Van Rijssel EJC, et al., Mechanical performance of square knots and sliding knots in surgery: A comparative study, Am J Obstet Gynecol 1990; 162:93-7, Van Rijssel EJC, et al., Tissue reaction and surgical knots: the effect of suture size, knot configuration, and knot volume, Obstet Gynecol 1989; 74:64-8, Trimbos, J. B., Security of various knots of commonly used in surgical practice, Obstet Gynecol., 64:274-80, 1984)
상기와 같은 모노필라멘트 봉합사의 단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유연성을 향상시키려는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었다. 이는 단일 폴리머를 개질하여 이용하거나(USP 5,451,461), 공중합체 폴리머를 이용하여(Monocryl suture, a new ultra-pliable absorbable monofilament suture, Biomaterials, v16 , 1995, pp 1141-1148) 제조하는 방법이나, 이 방법은 봉합사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유연성이 향상되더라도 매듭 안정성은 개선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생분해성 폴리머는 각각 고유한 물성을 가지므로,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 보다 두 가지 이상의 폴리머를 조합하여 사용하면 각각의 폴리머가 가지는 단점들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롭게 발현되는 장점도 얻을 수 있다.
이성분계를 사용하여 봉합사를 제조하는 특허로는 USP 5,626,611; 5,641,501; 6,090,910; 6,162,537 등이 있으나 이들은 주로 흡수성 봉합사가 체내에서 분해되는 기간을 조절하기 위한 것들이다. USP 5,641,501 및 USP 6,090,910 는 두 종류의 폴리머를 물리적으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봉합사에 관한 것이다. 두 폴리머를 물리적으로 혼합하여 방사하면 용융된 두 폴리머간에 상분리가 일어나기 쉬워 방사하기가 어렵고, 두 폴리머를 균일하게 분포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어 제조한 봉합사가 균일한 물성을 나타내기 어렵다. USP 5,626,611는 봉합사의 분해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시쓰/코어 형태로 복합 방사하여 제조하는 봉합사에 관한 것으로, 시쓰나 코어에 사용된 폴리머 각각의 분해속도에 따라 분해 기간을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USP 6,162,537은 비흡수성 폴리머의 생체 반응을 개선하기 위해 비흡수성 폴리머와 흡수성 폴리머를 복합 방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상의 연구 등에서 알 수 있듯이, 현재까지 봉합사의 유연성 및 강력을 향상시키거나, 분해기간 조절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돼 왔으나 봉합사 사용에 있어서 중요한 지표의 하나인 매듭 안정성 향상에 관해서는 연구 성과가 미진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현재 시판중인 모노필라멘트 봉합사의 단점을극복한, 매듭 안정성 및 유연성이 향상된 봉합사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매듭 안정성 및 매듭 강력이 우수하고/하거나 유연성이 개선된 모노필라멘트 봉합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방사에 의한 봉합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와 1b는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최종 필라멘트 형태를 나타낸 개략사시도이다(1a: 해도형(sea-island type) 봉합사, 1b: 시쓰/코어형(sheath/core type) 봉합사).
도 2는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봉합사를 제조하는 방사 공정의 개략도이다.
도 3a와 3b는 본 발명에 사용한 방사팩(노즐팩)의 개략도이다(3a: 해도형 봉합사 제조용 방사팩, 3b: 시쓰/코어형 봉합사 제조용 방사팩).
도 4a는 탄성계수가 높은 폴리머로 탄성계수가 낮은 폴리머를 감싼 형태의 봉합사의 단면을 나타낸 SEM 사진이며, 도 4b는 탄성계수가 낮은 폴리머로 탄성계수가 높은 폴리머를 감싼 형태의 봉합사의 단면 형태를 나타낸 SEM 사진이다.
도 5a와 5b는 본 발명에서 얻은 봉합사를 사용해 체결한 매듭의 단면을 나타낸 SEM 사진이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서 얻은 봉합사의 SEM 사진으로, 도 6a는 폴리다이옥사논과 폴리카프로락톤을 사용해 해도형으로 복합방사시킨 것의 매듭 형태를나타낸 것이며, 도 6b는 폴리락타이드와 폴리카프로락톤을 사용해 해도형으로 복합방사 시킨 것이다. 도 6c는 폴리다이옥사논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봉합사의 매듭 형태를 나타낸 SEM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취지에 따라 제조한 모노필라멘트 봉합사의 성분비에 따른 단면 형태를 나타낸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제1폴리머인 해(sea) 영역의 성분비가 도 7a는 70%, 도 7b는 50%, 도 7c는 20%이다.
본 발명은 탄성계수가 서로 다른 폴리머를 복합 방사하여 제조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봉합사는 매듭 안정성 및 유연성이 우수하면서도 봉합사로 사용하는데 적합한 매듭 강력을 지닌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탄성계수"라 함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조건으로 방사하여 연신비를 3~12로 연신하여 제조한 실의 인장 강력을 측정할 때 얻어 지는 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생분해성 폴리머"또는 "흡수성 폴리머"라 함은 "생체 내에서 비독성성분으로 분해/붕괴될 수 있는 폴리머"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모노필라멘트 봉합사는 탄성계수가 높은 폴리머(제 1 폴리머)가 탄성계수가 낮은 폴리머(제 2 폴리머)를 감싸는 형태로 제 1 폴리머와 제 2 폴리머를 복합방사시켜 제조된다.
탄성계수가 높은 제 1 폴리머가 탄성계수가 낮은 제 2 폴리머를 감싸는 형태의 예로는, 탄성계수가 높은 제 1 폴리머를 해(sea) 성분으로 하고 탄성계수가 낮은 제 2 폴리머를 도(island) 성분으로 하여 제조한 해도형(sea/island type)과, 탄성계수가 높은 제 1 폴리머를 시쓰(sheath) 성분으로 하고 탄성계수가 낮은 제 2 폴리머를 코어(core) 성분으로 하여 제조한 시쓰/코어형(sheath/core type)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머는 탄성계수가 높은 제 1 폴리머가 탄성계수가 낮은 제 2 폴리머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면 될 뿐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제 1 폴리머" 또는 "제 2 폴리머"는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흡수성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글리콜라이드, 글리콜산, 락타이드, 젖산, 카프로락톤(caprolactone), 다이옥사논(dioxanone),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trimethylene carbonate), 에틸렌글리콜 등으로부터 제조되는 단독중합체나 이들의 유도체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제 2 폴리머로는 폴리카프로락톤 및 그의 공중합체, 폴리다이옥사논 및 그의 공중합체, 폴리락타이드의 공중합체, 폴리글리콜산의 공중합체,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의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제 1 폴리머로는 폴리글리콜산, 폴리다이옥사논, 폴리락타이드 등의 단독중합체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등을 사용하고, 제 2 폴리머로는 폴리카프로락톤,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DL-폴리락타이드 등의 단독중합체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른 실시예로는 제 2폴리머로 다이옥사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카프로락톤으로 구성되는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한 폴리머의 위치가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폴리머라 하더라도 복합 방사시 함께 사용하는 다른 폴리머의 탄성계수에 따라 제 1폴리머 또는 제 2 폴리머로 위치를 달리 하여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폴리다이옥사논과 폴리카프로락톤을 사용하여 해도형 봉합사를 제조할 경우 폴리다이옥사논이 폴리카프로락톤에 비해 탄성계수가 높으므로 폴리다이옥사논을 해성분으로 사용하고 폴리카프로락톤을 도성분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폴리다이옥사논과 폴리락타이드를 해도형으로 복합 방사할 경우 폴리다이옥사논의 탄성계수가 폴리락타이드에 비해 낮으므로, 폴리다이옥사논을 도 성분으로, 폴리락타이드를 해 성분으로 사용해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합 방사의 형태로는 해도형으로 복합 방사한 경우가 시쓰/코어형으로 복합 방사한 경우보다 바람직하다. 시쓰/코어형 보다는 해도형 복합 방사의 경우가 매듭 안정성, 유연성 및 매듭 강력이 우수한 봉합사를 얻을 수 있다. 사용한 두 폴리머(polymer)의 성분비가 같은 비율로 제조되었다고 하여도 해도형으로 복합방사된 봉합사의 경우가 매듭 체결에 의한 봉합사의 단면형태 변형이 크고 표면마찰력이 커져 매듭 안정성이 우수한 성질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섬유는 굽힘강성(Bending stiffness)이 작을수록 유연한데, 굽힘강성은 동일한 단면적이라 하더라도 그 단면형태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진다. 해도형 봉합사의 경우가 시쓰/코어형에 비해 유연한데, 이는 제 2 폴리머의 단면 형태 차이 때문으로, 해도형의 경우가 굽힘강성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해도형에서도 동일 성분비를 갖는다 하더라도 도성분의 개수나 그 배치에 따라 물성의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폴리머의 융점이 제 2 폴리머의 융점보다 큰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2 폴리머보다 탄성 계수가 낮고 융점이 낮은 폴리머를 제 1 폴리머로 사용하여 제조한 봉합사는 봉합사 물성 중에서 단면의 진원율(roundness)이 떨어지거나(참조 도 4 b), 낮은 매듭강력을 가져서 봉합사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게 된다. 단면의 진원율이 떨어지면 봉합사가 세포 조직에 손상을 일으키기 쉬워지므로 봉합사로 사용되는데 부적합하고, 봉합사에 바늘을 부착하는 경우 바늘의 부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폴리머의 함량은 10-90 부피%이고, 제 2 폴리머의 함량은 10-90 부피%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 폴리머의 함량이 10 부피% 미만인 경우에는 복합 방사했을 때 얻어지는 봉합사의 단면이 제 1 폴리머와 제 2 폴리머로, 즉 시쓰/코어 또는 해/도로 명확히 구분되지 않기 때문에 각각의 폴리머는 10 부피% 이상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제 1폴리머가 50~90 부피%이고, 제 2 폴리머가 10~50 부피%인 것이다. 제 2 폴리머의 함량이 50% 이상인 경우에는 제 1 폴리머의 두께가 너무 얇아져 제 2 폴리머가 봉합사 표면에 상당히 가까워져 연신을 할 때 실이 끊어지는 등의 작업성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봉합사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열처리 등의 공정을 거치는데 제 2 폴리머의 함량이 너무 많을 경우 제 2 폴리머가 제 1 폴리머 바깥쪽으로 노출되어 표면이 거칠어지기 쉽다. 봉합사 표면이 거칠어질 경우 상처 부위를 봉합할 때 봉합사가 생체 조직을 손상시키는 문제(tissue drag)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폴리머와 제 2 폴리머로 사용하는 폴리머는 탄성계수가 3.0GPa 이하인 것이 사용된다. 폴리머의 탄성계수가 3.0GPa 이상인 경우에는 복합 방사를 하더라도 유연성이 떨어져 모노필라멘트 봉합사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폴리머는 탄성계수가 2.0GPa 이하인 것을 사용한다. 제 1 폴리머의 탄성 계수가 크면 모노필라멘트의 형태변형과 표면굴곡 및/ 또는 매듭 체결시 크랙(crack) 등이 발생하기 쉬워 매듭 안정성이 향상되기 쉽다는 장점이 있으나, 제 1 폴리머의 탄성 계수가 너무 크면, 예를 들면 2.0GPa 이상이면, 복합방사를 하여 모노필라멘트를 제조하더라도 유연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2 폴리머는 탄성계수가 1.5 GPa이하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2 폴리머의 탄성계수가 1.2GPa이하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폴리머의 탄성계수가 작을수록 봉합사의 유연성이 향상된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탄성계수가 1.0∼1.5GPa인 폴리머를 제 1 폴리머로 사용하고, 제 2 폴리머의 탄성계수가 제 1 폴리머의 탄성계수보다 0.3 GPa 이상 작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 1 폴리머와 제 2 폴리머의 탄성계수 차가 클수록 매듭 체결시 두 폴리머간에 물성 차이에 의해 표면 굴곡이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탄성 계수가 0.4∼1.2GPa인 폴리머를 제 2 폴리머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진 봉합사는 매듭 안정성 및 유연성이 우수하여, 봉합사로서의 용도뿐만 아니라, 연조직 패치, 외과용 메쉬, 박막형 드레싱, 외과용 펠트, 인조혈관, 신경치료 보조재, 인조피부, 흉편막(sternum tape) 등으로 사용 가능하다.
또, 상처 치유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 1 폴리머나 제 2 폴리머에 소량의 약물을 첨가하거나, 매듭 안정성 및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량의 폴리머 및 첨가제를 넣고 복합 방사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취지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각기 다른 탄성계수를 갖는 두개의 생분해성 폴리머를 복합방사하여 모노필라멘트 봉합사로 제조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와 1b는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최종 필라멘트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해도형 필라멘트(10)은 해도사 형태로 복합 방사한 것으로, 도성분 (11)을 해 성분(12)가 감싸고 있는 형태이다. 시쓰/코어형 필라멘트(13)은 시쓰/코어 형태로 복합 방사한 것으로 코어 성분(14)를 시쓰 성분(15)가 감싸고 있는 형태이다. 각각의 필라멘트(10, 13)는 각각이 이루는 성분 및 그 구조가 전체 물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통상의 코팅과는 그 성격이 다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복합 방사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통상의 복합 방사기의 구조를 지닌다. 이를 자세히 살펴 보면, 복합 방사는 두 대의 압출기(21)를 이용하여 각각의 폴리머를 용융시킨다. 용융된 폴리머는 정량 펌프(22)를 통해 원하는 양만큼 토출시키는 것으로, 이를 조절함으로써 복합방사시 각 폴리머의 성분비를 조절할 수 있다.
정량펌프(22)를 통해 나온 용융된 폴리머는 도 3a 와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결합되어 방사블록(23)을 통해 한가닥의 실(24)로 복합 방사된다. 도 2에 단순화하여 보여지는 단일 필라멘트이지만, 그 방사구는 의도된 수의 방출구를 갖는 것으로 이해된다. 복합 방사된 실(24)은 냉각조(25)에서 고화(固化) 및 결정화가 이루어진다.
방사구와 냉각조 사이에는 공냉구간(air gap)이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냉구간(air gap)의 거리는 0.5 내지 100cm 가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30cm 가 좋다.
고화된 실(24)은 배향에 의한 물성 향상을 얻기 위해 통상의 연신 장치(26)를 통해 연신된 다음, 권취기(27)에 권취된다. 봉합사의 물성 향상을 위해서 선택적으로, 고화된 실(24)를 바로 연신하지 않고 미연신사의 형태로 권취한 후 적정 조건에서 숙성(aging)을 시킨 후 연신 장치 (26)을 통해 연신하여 연신사를 제조할 수도 있다. 연신공정한 봉합사의 물성 개선을 위해서 연신사(24)를 적정한 조건에서 열처리하기도 한다.
도 3a와 3b는 본 발명의 방사블록(23) 에 사용될 수 있는 노즐과 분배판으로 구성된 방사팩의 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압출기를 통해 용융된 각각의 제 1폴리머 및 제 2폴리머는 분배판 (31, 36)을 통해 노즐(32)로 각각 흘러 들어와 노즐을 통해 모노필라멘트가 된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그림 3a는 해도형 봉합사를 얻기 위한 방사팩으로 도 성분을 만들기 위해 다수의 핀(33)으로 구성된 분배판(31)을 통해 제 2 폴리머가흐르고, 분배판(31)의 해 성분용 유로(34)를 통해 흘러 나온 용융된 제 1폴리머가 제 2폴리머를 감싸는 형태를 이룬다. 분배판(31)의 다공핀(33)의 수는 얻고자 하는 최종 필라멘트의 물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만일 핀의 수가 1개이면 그림 3b 에서와 같은 시쓰/코어형의 복합 방사한 필라멘트가 된다. 도 3b는 시쓰/코어형 봉합사를 만드는 방법으로 중심부에 코어용 제 2폴리머가 분배판(36)의 코어 핀(37)을 통해 흐르고, 그 주위를 제 1폴리머가 분배판(36)을 통해 흘러 노즐(32)에서 한 가닥으로 합쳐지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제조공정을 통해 얻어지는 봉합사는 탄성계수, 강력 또는 융점 등이 서로 상이한 폴리머를 사용하여 각 폴리머의 성분비를 조절함으로써 매듭 안정성, 매듭 강력 및 유연성이 조절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해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봉합사 물성 평가 방법 - 매듭 안정성
매듭 안정성의 경우 매듭 미끄러짐성(knot slippage ratio)으로 평가하였는데 이는 외과의사의 매듭(surgeon`s knot (2=1=1)) 방법으로 매듭을 체결한 후 인장강도 시험기에 시료를 장착하여 인장하여 측정하였다. 시료를 인장하였을 때 매듭에서 끊어지지 않고 매듭이 풀리는지를 살펴 보았다. 시료를 각 10회 측정을 하여 매듭이 풀리는 비율로 매듭 미끄러짐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매듭 미끄러짐성이작을수록 매듭안정성이 우수한 봉합사를 나타낸다.
봉합사 물성 평가 방법 - 유연성
유연성의 지표로 직선 강력 측정시 탄성계수(Young's modulus)를 측정하는 방법도 있으나, 탄성계수는 폴리머의 고유 물성으로 봉합사의 직경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섬유길이 방향으로 인장 하중을 받았을 때 저항하는 정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유연성의 지표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유연성의 지표로 봉합사를 구부렸을 때의 저항하는 정도인 굽힘강성(Bending stiffness)을 측정하였는데 그 값이 작을수록 유연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봉합사의 물성 평가 방법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상대점도가 2.3dl/g(25℃ 0.1g/dl 인 HFIP 용액으로 측정)인 폴리다이옥사논을 제 1 폴리머로, 상대점도가 1.7dl/g(25℃ 0.2g/dl 인 클로로포름 용액으로 측정)인폴리카프로락톤을 제 2 폴리머로 사용하고 하기 표 2의 방법으로 복합 방사하여 해도형 모노필라멘트 봉합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봉합사는 상기에 설명한 물성 평가 방법에 따라 직경, 매듭 강력, 굽힘강성(stiffness) 및 매듭 미끄러짐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
상대점도가 1.4dl/g(25℃ 0.5g/dl 인 HFIP 용액으로 측정)인 폴리글리콜산-카프로락톤 75/25 공중합체를 제 1 폴리머로, 상대점도가 1.5dl/g(25℃ 0.2g/dl 인 클로로포름 용액으로 측정)인 폴리카프로락톤을 제 2 폴리머로 사용하여 하기 표 3의 방법으로 복합 방사하여 해도형 모노필라멘트 봉합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봉합사는 상기에 설명한 물성 평가 방법에 따라 직경, 매듭 강력, 굽힘강성 (stiffness) 및 매듭 미끄러짐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3.
상대점도가 2.3dl/g(25℃ 0.1g/dl 인 HFIP 용액으로 측정)인 폴리다이옥사논을 제 1 폴리머로, 분자량(Mw)이 약 200,000(GPC로 측정)인 폴리락타이드-카프로락톤 90/10 공중합체를 제 2 폴리머로 사용하여 하기 표 4의 방법으로 복합 방사하여 해도형 모노필라멘트 봉합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봉합사는 상기에 설명한 물성 평가 방법에 따라 직경, 매듭 강력, 굽힘강성 (stiffness) 및 매듭 미끄러짐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4.
상대점도가 2.6dl/g(25℃ 0.1g/dl 인 HFIP 용액으로 측정)인 폴리다이옥사논을제 1 폴리머로, 상대점도가 2.2dl/g(25℃ 0.1g/dl 인 HFIP 용액으로 측정)인 다이옥사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카프로락톤으로 구성된 트리블럭공중합체를 제 2 폴리머로 사용하여 하기 표 5의 방법으로 복합 방사하여 해도형 모노필라멘트 봉합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봉합사는 상기에 설명한 물성 평가 방법에 따라 직경, 매듭 강력, 굽힘강성(stiffness) 및 매듭 미끄러짐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5.
상대점도가 2.4dl/g(25℃ 0.1g/dl 인 HFIP 용액으로 측정)인 폴리다이옥사논을 제 1 폴리머로, 상대점도가 1.7dl/g(25℃ 0.2g/dl 인 클로로포름용액으로 측정)인폴리카프로락톤을 제 2 폴리머로 사용하여 하기 표 6의 방법으로 복합 방사하여 시쓰/코어형 모노필라멘트 봉합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봉합사는 상기에 설명한 물성 평가 방법에 따라 직경, 매듭 강력, 굽힘강성(stiffness) 및 매듭 미끄러짐성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1.
상대점도가 1.7dl/g(25℃ 0.2g/dl 인 클로로포름용액으로 측정)인 폴리카프로락톤을 해성분으로, 상대점도가 2.3dl/g(25℃ 0.1g/dl 인 클로로포름용액으로 측정)인 폴리다이옥사논을 도성분으로 사용하여 하기 표 7의 방법으로 해도형 모노필라멘트 봉합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봉합사는 상기에 설명한 물성 평가 방법에 따라 직경, 매듭 강력, 굽힘강성 (stiffness) 및 매듭 미끄러짐성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2.
상대점도가 1.7dl/g(25℃ 0.2g/dl 인 클로로포름용액으로 측정)인 폴리카프로락톤을 해성분으로, 상대점도가 1.5dl/g(25℃ 0.5g/dl 인 클로로포름용액으로 측정)인 폴리글리콜산-카프로락톤 75/25 공중합체를 도성분으로 사용하여 하기 표 8의 방법으로 해도형 모노필라멘트 봉합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봉합사는 상기에 설명한 물성 평가 방법에 따라 직경, 매듭 강력, 굽힘강성 (stiffness) 및 매듭 미끄러짐성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3.
분자량(Mw)이 약 200,000(GPC로 측정)인 폴리락타이드-카프로락톤 공중합체를 해성분으로, 상대점도가 2.3dl/g(25℃ 0.1g/dl 인 HFIP용액으로 측정)인 폴리다이옥사논을 도성분으로 사용하여 하기 표 9의 방법으로 해도형 모노필라멘트 봉합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봉합사는 상기에 설명한 물성 평가 방법에 따라 직경, 매듭 강력, 굽힘강성 (stiffness) 및 매듭 미끄러짐성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4.
상대점도가 2.2dl/g(25℃ 0.1g/dl 인 HFIP용액으로 측정)인 다이옥사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카프로락톤으로 구성된 90/9/1 트리블럭공중합체를 해성분으로, 상대점도가 2.6dl/g(25℃ 0.1g/dl 인 HFIP용액으로 측정)인 폴리다이옥사논을 도성분으로 사용하여 하기 표 10의 방법으로 해도형 모노필라멘트 봉합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봉합사는 상기에 설명한 물성 평가 방법에 따라 직경, 매듭 강력, 굽힘강성 (stiffness) 및 매듭 미끄러짐성을 측정하였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봉합사의 물성을 하기 표 11에 정리하였다.
측정항목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4
크기(Size) EP4 EP4 EP3 EP3.5 EP4 EP4 EP4 EP3 EP3.5
직경(mm) 0.549 0.532 0.373 0.487 0.545 0.552 0.535 0.370 0.463
매듭강력(kgf) 5.5 6.0 3.3 6.21 4.9 3.13 3.5 1.8 4.19
굽힘강성(mgf/mm2) 80 72 55 65 106 100 85 73 59
매듭미끄럼짐성(%) 0 0 10 0 0 10 30 40 20
표 1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물성을 비교해 보면 동일한 폴리머를 사용하더라도 본 발명에 취지에 따라 탄성계수가 높은 폴리머를 제 1 폴리머로 사용하여 모노필라멘트 봉합사를 제조한 경우 매듭 안정성이 우수하고 유연하며, 매듭 강력이 우수한 모노필라멘트 봉합사를 제조할 수 있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실시예 1과 비교예 1은 폴리다이옥사논과 폴리카프로락톤을 사용하여 복합 방사한 봉합사로 두 봉합사 모두 EP 4 크기(size)로 직경이 유사하다. 그러나, 유사한 직경이라 하더라도 탄성계수가 높은 폴리다이옥사논을 제 1 폴리머로 사용한 실시예 1의 경우 굽힘강성(Bending stiffness)이 비교예 1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할 경우 더 유연한 봉합사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모노필라멘트 봉합사를 제조한 경우 매듭 미끄러짐성이 0% 이며, 체결한 매듭부분에서 전혀 미끄러지지 않지만, 비교예들의 경우에서처럼 탄성계수가 낮은 폴리머가 탄성계수가 높은 폴리머를 감싸는 형태로 복합방사하여 제조한 경우 매듭 안정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나타냈다.또, 탄성계수가 낮은 폴리머가 탄성계수가 높은 폴리머를 감싸는 형태로 제조하면 비교예 1에서처럼 매듭 강력이 상당히 떨어진다. 매듭 강력을 높이기 위해 연신비를 크게 하면,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진원율을 나타내기 쉽다. 이는 감싸는 폴리머로 사용한 탄성 계수가 낮은 폴리머가 연신 공정중에 힘을 받았을 때 쉽게 변형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비교 실험예 1.
해도형 봉합사와 시쓰/코어형 봉합사를 비교 평가하기 위해 제 1 폴리머로 폴리다이옥사논을 사용하고, 제 2 폴리머로 폴리카프로락톤을 사용하여 방사/연신하여 봉합사를 제조하고 이들의 물성을 확인하였다. 이때 해도형의 경우는 도성분의 홀(hole) 개수를 7개로 하였다.
표 12에서와 같이 해도형으로 복합 방사한 경우가 시쓰/코어형으로 방사한경우보다 매듭 강력이 우수하였고, 굽힘강성도 작아 유연성이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비교 실험예 2.
탄성 계수가 낮고 융점이 낮은 폴리머가 탄성계수가 높고 융점이 높은 폴리머를 감싸는 형태로 제조하면 연신 공정을 거치는 동안 진원율이 크게 떨어지기 쉽다. 도 4a의 경우 실시예 1의 조건으로 탄성계수가 높으면서 융점이 높은 폴리다이옥사논을 해성분으로 사용하고, 탄성계수가 작으면서 융점이 낮은 폴리카프로락톤을 도성분으로 사용한 경우로 단면의 진원율이 양호하며 그 형태가 안정돼 있음을 보여준다. 도 4b는 본 발명의 취지와 반대의 경우로, 비교예 1과 같이 폴리카프로락톤을 해성분으로 사용하고 폴리다이옥사논을 도성분으로 사용했을 때의 단면 사진을 나타낸 것으로 단면의 진원율이 현저하게 떨어져 봉합사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형태를 나타낸다. 봉합사가 도 4b와 같은 단면을 가질 경우 봉합사로 사용하기 위한 바늘 부착이 어렵고 실제 사용시 단면의 형태가 평면에 가까워져 이러한 형태의 봉합사를 사용할 경우 상처 부위를 봉합할 때 봉합사가 생체 조직을 손상시키기 쉽다.
비교 실험예 3.
본 발명의 효과를 살펴 보기 위해, 폴리다이옥사논과 폴리카프로락톤을 각각단독으로 사용하여 방사한 경우와 공중합체 폴리머(MONOCRYLTM )를 사용하여 유연성을 개선시킨 시료와 본 발명을 비교 평가하여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표 13에서와 같이 폴리다이옥사논을 단독 방사하는 것에 비해, 폴리카프로락톤과 함께 복합 방사하거나 공중합체를 이용하는 경우 유연성이 상당히 향상되어 굽힘강성(Bending stiffness)이 낮아진다. 그러나, 굽힘강성이 유사하더라도 그 제조 방법에 따라 매듭 안정성의 지표인 매듭 미끄러짐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폴리다이옥사논과 폴리카프로락톤을 복합 방사한 경우 매듭이 전혀 미끄러지지 않아 매듭 미끄러짐성이 0%를 나타낸 반면 폴리다이옥사논 단독 폴리머, 폴리카프로락톤 단독 폴리머, 폴리글리콜라이드-카프로락톤 공중합체의 경우 매듭 미끄러짐성이 50% 이상으로 매듭 안정성이 상당히 떨어졌다.
매듭 체결시 필라멘트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힘(normal force)이 가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탄성계수가 큰 폴리머를 제 1 폴리머로 사용하면 도 5a와 5b 에서와 같이 매듭 체결시 힘을 받는 매듭 부분에서 크랙(crack)등이 발생해 표면 굴곡과 같은 형태 변형이 쉽게 일어나 필라멘트의 표면마찰 계수가 커짐으로써 매듭 안정성이 향상된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서 얻은 봉합사와 기존의 봉합사의 매듭 체결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SEM 사진을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얻은 해도형 모노필라멘트 봉합사의 매듭 체결상태를 나타내며, 도 6b는 본 발명의 비교 실시예 5에서 얻은 폴리락타이드와 폴리카프로락톤을 사용한 해도형 모노필라멘트의 매듭 체결 상태를 나타내며, 도 6c는 기존의 봉합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폴리다이옥사논만을 사용하여 제조한 모노필라멘트 봉합사의 매듭 체결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와 도 6b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통해 얻은 봉합사의 경우 매듭 체결에 의한 형태 변형이 일어나 봉합사 사이에 공간이 거의 없을 정도로 매듭이 단단히 매어진다. 이에 반해 도 6c의 경우 매듭을 체결할 때 봉합사간의 공간이 많이 생겨 체결한 매듭이 풀리기 쉽다.
비교 실험예 4.
제 1 폴리머와 제 2 폴리머간의 성분비와 단면 형태의 관계를 살펴 보기 위해 도성분의 홀(hole) 개수를 7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에서 방사 및 연신을 하였다. 이때의 단면 모양을 나타낸 것이 도 7로, 도 7a의 경우 제1 폴리머의 함량이 70%이며 도 7b의 경우 제 1 폴리머의 함량이 50%, 도 7c의 경우 제 1 폴리머의 함량이 20%인 것이다.
도 7c에서와 같이 제 1 폴리머의 함량이 20% 정도로 작은 경우에는 제 2 폴리머가 차지하는 영역이 커지므로 제 2 폴리머를 감싸고 있는 제 1 폴리머의 두께가 얇아져 봉합사 제조시 연신성이 떨어지기 쉽고 봉합사를 제조하더라도 열처리 공정 등에 의해 그 형태가 변형되어 봉합사의 표면이 거칠어지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의 취지에 적합한 봉합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제 1 폴리머의 함량이 2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제 1 폴리머의 함량을 50%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비교 실험예 5.
탄성 계수가 2.7GPa이고 분자량(Mw)이 약 450,000(GPC로 측정)인 폴리락타이드를 제 1 폴리머로, 폴리카프로락톤은 제 2 폴리머로 사용하여 하기 표 14의 방법으로 복합방사하여 해도형 모노필라멘트 봉합사를 제조하였다.
물성 비교를 위해 탄성 계수가 1.3GPa인 폴리다이옥사논을 제 1 폴리머로 사용하고 폴리카프로락톤은 제 2 폴리머로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권취 속도와 연신 온도만을 달리하여 방사하였다.
제조된 봉합사는 상기에 설명한 물성 평가 방법에 따라 직경, 매듭 강력, 굽힘강성 (stiffness) 및 매듭 미끄러짐성을 측정하였다.
표 1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취지에 따라 복합방사하여 모노필라멘트 봉합사를 제조할 경우 두 조성 모두 매듭 미끄러짐성이 0%로 매듭 안정성이 우수하였다. 그러나, 폴리다이옥사논을 제 1 폴리머로 사용한 경우가 굽힘 강성이 작아 유연하고 매듭 안정성이 우수하였으나, 폴리락타이드를 제 1 폴리머로 사용한 경우에는 폴리락타이드의 탄성계수가 커 유연성이 떨어졌다. 따라서, 매듭 안정성이 우수하고 유연성이 우수한 모노필라멘트 봉합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탄성 계수가 2GPa 이하인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탄성계수가 서로 다른 폴리머를 복합 방사하여 탄성계수가 높은 폴리머로 탄성계수가 낮은 폴리머를 감싸는 형태의 모노필라멘트 봉합사를 제조함으로써 봉합사의 매듭 안정성 및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진 봉합사는 봉합사로서의 용도뿐만 아니라, 인조 힘줄(tendon), 연조직 패치, 외과용 메시, 박막형 드레싱, 외과용 펠트, 인조혈관, 인조피부, 흉편막(sternum tape) 등의 의료용구로 응용이 가능하다.

Claims (38)

  1. 흡수성인 제 1 폴리머와, 탄성계수가 제 1 폴리머보다 낮은 흡수성인 제 2 폴리머를 복합방사시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폴리머가 제 2 폴리머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폴리머가 10∼90 부피%이고 제 2 폴리머가 10∼90 부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3.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폴리머가 50∼90 부피%이고 제 2 폴리머가 10∼50 부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폴리머 및 제 2 폴리머는 글리콜라이드, 글리콜산, 락타이드(lactide), 젖산(lactic acid), 카프로락톤(caprolactone), 다이옥사논(dioxanone),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tri- methylene carbonate), 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독중합체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1 폴리머로는 글리콜라이드, 글리콜산, 다이옥사논, 락타이드 등의 단독중합체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모노필라멘트 봉합사.
  6. 제 4 항에 있어서, 제 2 폴리머로는 카프로락톤,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DL-락타이드, 에틸렌글리콜 등의 단독중합체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7. 제 6 항에 있어서, 제 2 폴리머로는 다이옥사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및 , 카프로락톤으로 구성되는 공중합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8.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폴리머의 융점이 제 2 폴리머의 융점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9.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폴리머와 제 2 폴리머로 사용하는 폴리머의 탄성계수는 3.0GPa 이하이고, 제 1 폴리머와 제 2 폴리머의 탄성계수 차이는 0.3G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 1 폴리머의 탄성계수는 2.0GPa 이하이고, 제 2폴리머의 탄성계수는 1.5GP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제 1 폴리머의 탄성계수는 1.0~1.5GPa이고, 제 2 폴리머의 탄성계수는 1.2GP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 2 폴리머의 탄성계수는 0.4~1.2GPa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13. 흡수성인 제 1 폴리머와, 탄성계수가 제 1 폴리머보다 낮은 흡수성인 제 2 폴리머를 복합방사시켜 이루어지고 제 1 폴리머를 해(sea) 성분으로 하고, 제 2 폴리머를 도(island) 성분으로 하는 해도형(sea-island type)모노필라멘트 봉합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제 1 폴리머가 10∼90 부피%이고 제 2 폴리머가 10∼90 부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제 1 폴리머가 50∼90 부피%이고 제 2 폴리머가 10∼50 부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16. 제 13 항에 있어서, 제 1 폴리머 및 제 2 폴리머는 글리콜라이드, 글리콜산, 락타이드(lactide), 젖산(lactic acid), 카프로락톤(caprolactone), 다이옥사논(dioxanone),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tri- methylene carbonate), 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독중합체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모노필라멘트 봉합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제 1 폴리머로는 글리콜라이드, 글리콜산, 다이옥사논, 락타이드 등의 단독중합체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18. 제 16 항에 있어서, 제 2 폴리머로는 카프로락톤,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DL-락타이드, 에틸렌글리콜 등의 단독중합체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제 2 폴리머로는 다이옥사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및 카프로락톤으로 구성되는 공중합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20. 제 13 항에 있어서, 제 1 폴리머의 융점이 제 2 폴리머의 융점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21. 제 13 항에 있어서, 제 1 폴리머와 제 2 폴리머로 사용하는 폴리머의 탄성계수는 3.0GPa 이하이고, 제 1 폴리머와 제 2 폴리머의 탄성계수 차이는 0.3G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22. 제 21 항에 있어서, 제 1 폴리머의 탄성계수는 2.0GPa 이하이고, 제 2폴리머의 탄성계수는 1.5GP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23. 제 22 항에 있어서, 제 1 폴리머의 탄성계수는 1.0~1.5GPa이고, 제 2 폴리머의 탄성계수는 1.2GP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24. 제 23 항에 있어서, 제 2 폴리머의 탄성계수는 0.4~1.2GPa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25. 흡수성인 제 1 폴리머와, 탄성계수가 제 1 폴리머보다 낮은 흡수성인 제 2 폴리머를 복합방사시켜 이루어지고 제 1 폴리머를 시쓰(sheath) 성분으로 하고, 제 2 폴리머를 코어(core) 성분으로 한 시쓰/코어형(sheath-core type)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26. 제 25 항에 있어서, 제 1 폴리머가 10∼90 부피%이고 제 2 폴리머가 10∼90 부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27. 제 26 항에 있어서, 제 1 폴리머가 50∼90 부피%이고 제 2 폴리머가 10∼50 부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28. 제 25 항에 있어서, 제 1 폴리머 및 제 2 폴리머는 글리콜라이드, 글리콜산,락타이드(lactide), 젖산(lactic acid), 카프로락톤(caprolactone), 다이옥사논(dioxanone),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tri- methylene carbonate), 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독중합체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모노필라멘트 봉합사.
  29. 제 28 항에 있어서, 제 1 폴리머로는 글리콜라이드, 글리콜산, 다이옥사논, 락타이드 등의 단독중합체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30. 제 28 항에 있어서, 제 2 폴리머로는 카프로락톤,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DL-락타이드, 에틸렌글리콜 등의 단독중합체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31. 제 30 항에 있어서, 제 2 폴리머로는 다이옥사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및 카프로락톤으로 구성되는 공중합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32. 제 25 항에 있어서, 제 1 폴리머의 융점이 제 2 폴리머의 융점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33. 제 25 항에 있어서, 제 1 폴리머와 제 2 폴리머로 사용하는 폴리머의 탄성계수는 3.0GPa 이하이고, 제 1 폴리머와 제 2 폴리머의 탄성계수 차이는 0.3G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34. 제 33 항에 있어서, 제 1 폴리머의 탄성계수는 2.0GPa 이하이고, 제 2폴리머의 탄성계수는 1.5GP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35. 제 34 항에 있어서, 제 1 폴리머의 탄성계수는 1.0~1.5GPa이고, 제 2 폴리머의 탄성계수는 1.2GP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36. 제 35 항에 있어서, 제 2 폴리머의 탄성계수는 0.4~1.2GPa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37. 탄성계수가 서로 다른 흡수성 폴리머를 각각 용융시키고, 탄성계수가 높은 폴리머(제 1 폴리머)를 해 성분 또는 시쓰 성분으로 하고, 탄성계수가 낮은 폴리머(제 2 폴리머)를 도 성분 또는 코어 성분으로 하여 복합방사시킨 다음, 얻어진 실을 고화결정화시키고, 연신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제조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제 1 폴리머의 융점이 제 2 폴리머의 융점보다 높은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제조방법.
KR10-2003-0018168A 2002-03-30 2003-03-24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982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17609 2002-03-30
KR1020020017609 2002-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669A true KR20030078669A (ko) 2003-10-08
KR100498201B1 KR100498201B1 (ko) 2005-07-01

Family

ID=36120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168A KR100498201B1 (ko) 2002-03-30 2003-03-24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070610B2 (ko)
EP (1) EP1348449B1 (ko)
JP (1) JP4071661B2 (ko)
KR (1) KR100498201B1 (ko)
CN (1) CN1308507C (ko)
AT (1) ATE297763T1 (ko)
AU (1) AU2002324358A1 (ko)
BR (1) BR0215669B8 (ko)
DE (1) DE60300832T2 (ko)
ES (1) ES2240878T3 (ko)
MX (1) MXPA04009439A (ko)
WO (1) WO2003083191A1 (ko)
ZA (1) ZA200407847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253B1 (ko) * 2004-12-06 2007-01-09 한완석 세포재생 촉진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0946338B1 (ko) * 2005-12-22 2010-03-08 주식회사 삼양사 모노필라멘트를 이용한 유연성 및 생체적합성이 향상된요실금 수술용 메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138915A1 (ko) * 2018-12-27 2020-07-02 비비씨 주식회사 분기형 칫솔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68655B1 (ko) * 2019-11-06 2020-10-21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생분해성 이종소재 복합 시스-코어 필라멘트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생분해성 이종소재 복합 시스-코어 필라멘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5332B2 (en) 2002-09-30 2014-08-05 Ethicon, Inc. Barbed sutures
US6241747B1 (en) 1993-05-03 2001-06-05 Quill Medical, Inc. Barbed Bodily tissue connector
US5931855A (en) 1997-05-21 1999-08-03 Frank Hoffman Surgical methods using one-way suture
US7056331B2 (en) 2001-06-29 2006-06-06 Quill Medical, Inc. Suture method
US6848152B2 (en) 2001-08-31 2005-02-01 Quill Medical, Inc. Method of forming barbs on a suture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ame
US6773450B2 (en) 2002-08-09 2004-08-10 Quill Medical, Inc. Suture anchor and method
US8100940B2 (en) 2002-09-30 2012-01-24 Quill Medical, Inc. Barb configurations for barbed sutures
US20040088003A1 (en) 2002-09-30 2004-05-06 Leung Jeffrey C. Barbed suture in combination with surgical needle
US7624487B2 (en) 2003-05-13 2009-12-01 Quill Medic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barbs on a suture
US7357810B2 (en) 2003-12-18 2008-04-15 Ethicon, Inc. High strength suture with absorbable core and suture anchor combination
US7329271B2 (en) * 2003-12-18 2008-02-12 Ethicon, Inc. High strength suture with absorbable core
ES2638301T3 (es) 2004-05-14 2017-10-19 Ethicon Llc Dispositivos de sutura
WO2006062342A1 (en) * 2004-12-06 2006-06-15 Wan-Seok Han A medical device with enhanced effect of cell regeneration and the method thereof
JP4827838B2 (ja) * 2004-12-29 2011-11-30 サムヤン コーポレーション モノフィラメント、これを利用した柔軟性及び生体適合性が向上した脱腸手術用メッシュ、及びその製造方法
US9393343B2 (en) 2004-12-29 2016-07-19 Samyang Biopharmaceuticals Corporation Monofilament sutu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DE102005004318A1 (de) * 2005-01-31 2006-08-10 Ethicon Gmbh Chirurgisches Nahtsystem
ATE523214T1 (de) 2005-05-04 2011-09-15 Synthes Gmbh Langsam kontrahierendes, steifes verbindungselement für medizin und andere verwendungen
US20080221618A1 (en) * 2007-03-09 2008-09-11 Gaoyuan Chen Co-extruded tissue grasping monofilament
US20080255612A1 (en) 2007-04-13 2008-10-16 Angiotech Pharmaceuticals, Inc. Self-retaining systems for surgical procedures
US8747436B2 (en) 2007-06-13 2014-06-10 Ethicon, Inc. Bi-directional barbed suture
US8562644B2 (en) * 2007-08-06 2013-10-22 Ethicon, Inc. Barbed suture with non-symmetric barbs
ES2488406T3 (es) 2007-09-27 2014-08-27 Ethicon Llc Suturas de auto-retención que incluyen elementos de retención a tejido con resistencia mejorada
US8916077B1 (en) 2007-12-19 2014-12-23 Ethicon, Inc. Self-retaining sutures with retainers formed from molten material
WO2009086172A2 (en) 2007-12-19 2009-07-09 Angiotech Pharmaceuticals, Inc. Self-retaining sutures with heat-contact mediated retainers
US8118834B1 (en) 2007-12-20 2012-02-21 Angiotech Pharmaceuticals, Inc. Composite self-retaining sutures and method
US8615856B1 (en) 2008-01-30 2013-12-31 Ethico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self-retaining sutures
EP2242430B1 (en) 2008-01-30 2016-08-17 Ethicon,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self-retaining sutures
EP3533399A3 (en) 2008-02-21 2019-10-23 Ethicon LLC Method for elevating retainers on self-retaining sutures
US8216273B1 (en) 2008-02-25 2012-07-10 Ethicon, Inc. Self-retainers with supporting structures on a suture
US8641732B1 (en) 2008-02-26 2014-02-04 Ethicon, Inc. Self-retaining suture with variable dimension filament and method
CA2720847C (en) 2008-04-15 2016-06-28 Angiotech Pharmaceuticals, Inc. Self-retaining sutures with bi-directional retainers or uni-directional retainers
SG196767A1 (en) 2008-11-03 2014-02-13 Ethicon Llc Length of self-retaining suture and method and device for using the same
DE102008057216A1 (de) * 2008-11-06 2010-05-12 Aesculap Ag Chirurgischer Faden mit Kern-Mantel-Aufbau
WO2011090628A2 (en) 2009-12-29 2011-07-28 Angiotech Pharmaceuticals, Inc. Bidirectional self-retaining sutures with laser-marked and/or non-laser marked indicia and methods
NZ603886A (en) 2010-05-04 2014-12-24 Ethicon Llc Self-retaining systems having laser-cut retainers
BR112012031606B1 (pt) 2010-06-11 2020-11-10 Ethicon Llc distribuidor de sutura
EP2425865A1 (en) 2010-08-06 2012-03-07 Aesculap AG Medicinal thread having a polyhydroxyalkanoate coating
RU2608237C2 (ru) 2010-11-03 2017-01-17 ЭТИКОН ЭлЭлСи Самоудерживающиеся шовные материалы, выделяющие лекарственные средства, и относящиеся к ним методы
NZ704802A (en) 2010-11-09 2015-12-24 Ethicon Llc Emergency self-retaining sutures and packaging
US8360765B2 (en) 2011-01-07 2013-01-29 Covidien Lp Systems and method for forming a coaxial implant
JP5913287B2 (ja) * 2011-03-15 2016-04-27 グンゼ株式会社 生体吸収性縫合糸及び生体吸収性縫合糸の製造方法
AU2012230716B2 (en) 2011-03-23 2016-05-19 Ethicon Llc Self-retaining variable loop sutures
US20130172931A1 (en) 2011-06-06 2013-07-04 Jeffrey M. Gross Methods and devices for soft palate tissue elevation procedures
CN102560709B (zh) * 2012-01-04 2015-09-23 江苏省纺织研究所股份有限公司 生物可降解热粘合双组份复合长丝纤维的生产方法
KR101285831B1 (ko) 2012-01-19 2013-07-15 임기표 고체 필러
TWI556785B (zh) 2012-03-01 2016-11-11 信迪思有限公司 具軟質芯材之手術用縫合線
EP2896726A4 (en) * 2012-09-14 2017-03-15 Kureha Corporation Water-disintegrating composite fib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10617505B2 (en) * 2012-10-01 2020-04-1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Conductive and degradable implant for pelvic tissue treatment
ES2807178T3 (es) 2014-08-15 2021-02-22 Tepha Inc Suturas de autorretención de poli-4-hidroxibutirato y copolímeros del mismo
EP3020398A1 (en) 2014-11-17 2016-05-18 Nitto Denko Corporation Compounds and formulations for reducing scarring
CN107653516B (zh) * 2017-09-30 2021-05-11 中国纺织科学研究院有限公司 聚乙丙交酯与乙交酯-三亚甲基碳酸酯共聚物复合纤维、其制备方法、用途和手术缝合线
CN109234843B (zh) * 2018-07-10 2021-07-06 中国纺织科学研究院有限公司 聚丙交酯与聚对二氧环己酮复合纤维、其制备方法、用途和手术缝合线
US11136696B2 (en) 2018-11-08 2021-10-05 Ethicon, Inc. Extrusion process for manufacturing of absorbable suture fibers
US20210068826A1 (en) * 2019-09-10 2021-03-11 Eurothreads LLC Six-dimensional barbed surgical thread
US20210346018A1 (en) * 2020-04-26 2021-11-11 Eurothreads LLC Ten-dimensional barbed surgical thread
US20230398257A1 (en) 2020-10-26 2023-12-14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Bioabsorbable fibrous medical material
CN114470323B (zh) * 2022-01-10 2023-02-24 浙江脉通智造科技(集团)有限公司 血管缝合线、人造分支血管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0941A (en) 1982-06-02 1984-09-11 Bioresearch Inc. Preparation of composite surgical sutures
US4620542A (en) 1982-10-04 1986-11-04 Ethicon, Inc. Ethylene-propylene copolymer sutures
US5451461A (en) 1989-09-01 1995-09-19 Ethicon, Inc. Thermal treatment of thermoplastic filaments for the preparation of surgical sutures
CA2060635A1 (en) 1991-02-12 1992-08-13 Keith D'alessio Bioabsorbable medical implants
US5225520A (en) * 1991-04-17 1993-07-06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Absorbable composition
US5456696A (en) 1993-07-20 1995-10-10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Monofilament suture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US6315788B1 (en) 1994-02-10 2001-11-13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Composite materials and surgical articles made therefrom
US5626611A (en) 1994-02-10 1997-05-06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Composite bioabsorbable materials and surgical articles made therefrom
US6093200A (en) 1994-02-10 2000-07-25 United States Surgical Composite bioabsorbable materials and surgical articles made therefrom
US5641501A (en) 1994-10-11 1997-06-24 Ethicon, Inc. Absorbable polymer blends
US5997568A (en) 1996-01-19 1999-12-07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Absorbable polymer blends and surgical articles fabricated therefrom
US6191236B1 (en) 1996-10-11 2001-02-20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Bioabsorbable suture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US6162537A (en) 1996-11-12 2000-12-19 Solutia Inc. Implantable fibers and medical articles
US6090910A (en) 1996-12-10 2000-07-18 Mitsui Chemicals, Inc. Degradable monofilament and preparation process thereof
KR19990010319A (ko) 1997-07-16 1999-02-18 김윤 강력 유지율 및 생분해성이 조절가능한 2성분계 수술용 봉합사
US6511748B1 (en) 1998-01-06 2003-01-28 Aderans Research Institute, Inc. Bioabsorbable fibers and reinforced composites produced therefrom
GB9814609D0 (en) 1998-07-07 1998-09-02 Smith & Nephew Polymers
US6183499B1 (en) 1998-09-11 2001-02-06 Ethicon, Inc. Surgical filament construction
US6235869B1 (en) 1998-10-20 2001-05-22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Absorbable polymers and surgical articles fabricated therefrom
EP1123048B1 (en) 1998-10-20 2009-10-14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Absorbable polymers and surgical articles fabricated therefrom
US6342065B1 (en) 1999-03-17 2002-01-29 Poly-Med, Inc. High strength fibers of L-lactide copolymers ε-caprolactone and trimethylene carbonate and absorbable medical constructs thereof
US6197043B1 (en) 1999-08-18 2001-03-06 James A. Davidson Isoelastic suture material and device
US20040010286A1 (en) * 2000-03-16 2004-01-15 Gieringer Robert E. Arthroscopic suture thread and method of use
CA2365376C (en) 2000-12-21 2006-03-28 Ethicon, Inc. Use of reinforced foam implants with enhanced integrity for soft tissue repair and regenera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253B1 (ko) * 2004-12-06 2007-01-09 한완석 세포재생 촉진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0946338B1 (ko) * 2005-12-22 2010-03-08 주식회사 삼양사 모노필라멘트를 이용한 유연성 및 생체적합성이 향상된요실금 수술용 메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138915A1 (ko) * 2018-12-27 2020-07-02 비비씨 주식회사 분기형 칫솔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68655B1 (ko) * 2019-11-06 2020-10-21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생분해성 이종소재 복합 시스-코어 필라멘트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생분해성 이종소재 복합 시스-코어 필라멘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97763T1 (de) 2005-07-15
KR100498201B1 (ko) 2005-07-01
CN1308507C (zh) 2007-04-04
MXPA04009439A (es) 2005-01-25
EP1348449B1 (en) 2005-06-15
DE60300832T2 (de) 2006-04-20
WO2003083191A1 (en) 2003-10-09
ES2240878T3 (es) 2005-10-16
ZA200407847B (en) 2006-05-31
EP1348449A1 (en) 2003-10-01
JP2003339849A (ja) 2003-12-02
CN1623016A (zh) 2005-06-01
AU2002324358A1 (en) 2003-10-13
BR0215669B8 (pt) 2021-07-27
US20030187476A1 (en) 2003-10-02
BR0215669A (pt) 2005-02-01
US7070610B2 (en) 2006-07-04
BR0215669B1 (pt) 2014-02-04
JP4071661B2 (ja) 2008-04-02
DE60300832D1 (de) 2005-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8201B1 (ko)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US10624632B2 (en) High strength suture with absorbable core and suture anchor combination
EP1543782B1 (en) High strength suture with absorbable core
JP3740521B2 (ja) トリブロック三元共重合体、外科用縫合糸材料へのその使用およびその製法
KR100673596B1 (ko)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040098049A1 (en) Monofilament su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9990010319A (ko) 강력 유지율 및 생분해성이 조절가능한 2성분계 수술용 봉합사
KR100946757B1 (ko) 강력 및 생체내 강력유지율이 우수한 흡수성 멀티 필라멘트봉합사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