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4765A - 플라스틱 물품의 변색 방지용 세정 조성물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물품의 변색 방지용 세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4765A
KR20030074765A KR10-2003-7010121A KR20037010121A KR20030074765A KR 20030074765 A KR20030074765 A KR 20030074765A KR 20037010121 A KR20037010121 A KR 20037010121A KR 20030074765 A KR20030074765 A KR 20030074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leaning composition
bleach
copolymer
s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0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6765B1 (ko
Inventor
키스텐마처악셀
니트스테판
구츠만마르쿠스
비데만랄프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레킷트 벵키저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레킷트 벵키저 엔.브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30074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7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5Bleaching agents
    • C11D3/3955Organic bleach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4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57(Co)polymerised carboxylic acids, -anhydrides, -esters in solid and liquid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4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69(Co)polymerised monomers containing nitrogen, e.g. carbonamides, nitriles or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11D3/3902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combined with specific additives
    • C11D3/3905Bleach activators or bleach catalysts
    • C11D3/3907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11D3/3902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combined with specific additives
    • C11D3/3905Bleach activators or bleach catalysts
    • C11D3/3932Inorganic compounds or complex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11D3/3942Inorganic per-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11D3/3945Organic per-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5Bleaching agents
    • C11D3/3953Inorganic bleach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4Hard surfaces
    • C11D2111/18Glass; 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서 세척시 플라스틱 물품이 변색되는 것을 방지하는 세정 조성물과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세정 조성물은 a) a1) 모노에틸렌계 불포화된 C3-C10모노카르복실산 및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무수물의 군으로부터 유래한 1종 이상의 단량체 단위 (A) 10∼60 중량%, a2) 하기 화학식 I의 1종 이상의 단량체 단위 (B) 40∼90 중량%, 및 a3) 단량체 단위 (A) 및 (B)와 공중합가능하고, C1-C6(메트)아크릴 에스테르, C1-C6비닐 에스테르, C2-C8올레핀,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미드, 비닐포름아미드, 알릴 알코올, 비닐포스포네이트, 비닐-치환된 복소환 및 불포화된 오르가노설폰산으로 구성된 군에서 유래한 1종 이상의 추가의 단량체 단위 (C) 0∼30 중량%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b) 표백제, 표백 활성화제 및 표백 촉매로 구성된 군에서 유래한 1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표백계를 포함한다.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R1, R2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H, CH3, C2H5, C3H7, COOH 또는 OH이며,
Y는 -C(=O)-, -C(=O)-O-, -O-, -O-C(=O)-, -O-C(=O)-O- 또는 -C(=O)-NH-이고,
n은 0 또는 1이며,
R4는 7∼10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고리형 또는 비고리형 지방족 라디칼이다.

Description

플라스틱 물품의 변색 방지용 세정 조성물{CLEANER FORMULATIONS THAT PREVENT THE DISCOLORATION OF PLASTIC ARTICLES}
식기세척기에 사용하기 위한 세제는 그 조성과 작용 방식 측면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공급되고 있다. 이 중에서, 소비자는 특히 다루기 어려운 제품에 적합한 범용되는 클리너 또는 세제를 선택할 수 있다. 가정용과 산업 부문용의 세제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설겆이용 제품은 또 다른 그룹의 전문 세제를 구성한다. 이들 특정 세정 조성물은 특정 제품에 맞춘 성분의 비율을 특징으로 하며, 예를 들어 범용되는 클리너와 비교하여 세정력이 개선되고 및/또는 세척 조건이 더 온화하다. 세척 과정에서 생기는 특히 다루기 어려운 문제는, 유리재 상의 막과 얼룩 형성, 플라스틱 물품의 변색, 그리고 지방성이나 오일성 식품 찌꺼기의 제거이다.
EP-A 462 829호는 유리 상의 막 형성 및 얼룩 생성을 방지하는 데 적합한 식기세척기용 염소 무함유 세정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관련된 것으로 개시되어 있는 세정 제품 성분은 단량체 말레산, 이의 무수물 또는 말레산염과 1 이상의 중합성 단량체로 구성된 공중합체 뿐이다. 이 단량체는 탄소 원자 수가 4개 이상인 알칸, 알켄, 디엔, 알킨 또는 방향족 화합물, 특히 이소부틸렌, 디이소부틸렌, 스티렌, 데센 또는 에이코젠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WO 98/26 036호는 제품 표면에 지방이나 오일이 부착되는 것을 막는, 특히 설겆이용의 세정 조성물을 개시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관련 세정 제품 성분은 친수성 모구조와 소수성 측쇄를 갖는 중합체를 포함한다. 친수성 모구조는 음으로 하전되거나 중성이다. 적절한 단량체의 예로는 (메트)아크릴산, 크로톤산, 아크롤레인 및 비닐 메틸 에테르가 있다. 사용된 소수성 측쇄는 포화 또는 불포화된 C5-C24알킬 쇄를 포함한다.
착색 식품 성분은 식기세척기에서 플라스틱 물품을 세척할 때 특히 다루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세정 조성물은 플라스틱 물품의 표면으로부터 착색된 식품 성분을 완전히 제거하고 및/또는 이미 떨어진 찌꺼기가 세척하고자 하는 플라스틱 물품의 다른면에 재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능력이 충분하지 않다. 이러한 측면에서, US 5,827,808호는 변색을 방지할 목적으로 셀룰로스 에테르를 포함하는 세정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이 세정 조성물은 식기세척기 중에서 사용하기 특히 적합하다.
식기세척기 내에서 플라스틱 물품이 착색된 식품 성분에 의해 염색되는 문제는 현재까지 만족스럽게 해결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언급된 바와 같은 특정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세정 조성물과, 식기세척기에서의 세정 과정에서 플라스틱 물품의 변색을 방지하기 위한 세정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기세척기에서 세척시 착색된 식품 성분에 의해 플라스틱 물품이 변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세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공중합체와 필요에 따라서 표백계를 포함하는 세정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기 목적이 달성됨을 밝혀내었다.
공중합체는,
a) 모노에틸렌계 불포화된 C3-C10모노카르복실산 및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무수물의 군으로부터 유래한 1종 이상의 단량체 단위 (A) 10∼60 중량%,
b) 하기 화학식 I의 1종 이상의 단량체 단위 (B) 40∼90 중량%, 및
c) 단량체 단위 (A) 및 (B)와 공중합가능하고, C1-C6(메트)아크릴 에스테르, C1-C6비닐 에스테르, C2-C8올레핀,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미드, 비닐포름아미드, 알릴 알코올, 비닐포스포네이트, 비닐-치환된 복소환 및 불포화된 오르가노설폰산으로 구성된 군에서 유래한 1종 이상의 추가의 단량체 단위 (C) 0∼30 중량%
를 포함한다.
상기 식에서,
R1, R2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H, CH3, C2H5, C3H7, COOH 또는 OH이며,
Y는 -C(=O)-, -C(=O)-O-, -O-, -O-C(=O)-, -O-C(=O)-O- 또는 -C(=O)-NH-이고,
n은 0 또는 1이며,
R4는 7∼10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고리형 또는 비고리형 지방족 라디칼이다.
표백계는 표백제, 표백 활성화제 및 표백 촉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개시된 세정 조성물의 본 발명에 따른 용도는 식기세척기에서 세척하는 동안 착색된 식품 성분에 의해 유발되는 플라스틱 물품의 변색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다. 가정 부문 및 산업 부분용의 식기세척기에서 플라스틱 물품을 세정하는 데 상기 세정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인데, 대부분의 시판용 세제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EP-A 462 829호는 일부 공중합체가 상기 정의한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의 공중합체 범위에 속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세정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EP-A 462 829호의 세정 조성물은 본 발명과는 대조적으로 표백계를 함유하지 않으며, 염소 표백제의 존재가 명백하게 배제된다. 또한 EP-A 462 829호는 플라스틱 물품의 변색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세정 조성물과 공중합체의 사용 가능성에 대해 개시하고 있지 않다.
세척 과정에서, 종래의 세제는 집어넣은 더러운 제품의 일부에 부착된 문제의 착색된 식품 찌꺼기를 그 부위로부터 떼어낸다. 식기세척기는 떨어진 식품 찌꺼기를 해당 식기세척기 내에 존재하는 제품 전체에 걸쳐 분배시키고, 착색된 식품 찌꺼기의 적어도 일부는 제품, 특히 플라스틱 물품에 재부착된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조성물을 사용하면, 이들이 포함하고 있는 공중합체에 의해서, 착색된 식품 찌꺼기 및/또는 이들이 포함하는 염료가 세척하고자 하는 플라스틱 물품 상에 재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이유에서, 세척의 결과로서 도입된 더러운 적재물에 의해 유발된 플라스틱 물품으로의 비가역적인 변색이 흔히 관찰되지 않는다.
세정 조성물은 공중합체 외에 표백계를 포함할 수 있다. 표백계는 종종 색상 이행을 감소시키는 공중합체의 효과를 지원한다. 공중합체와 표백계를 포함하는 세정 조성물은 빈번하게 표백계를 함유하지 않는 동일한 세정 조성물과 비교하여 개선된 세정 효과를 나타낸다. 표백계를 포함하지만 공중합체를 함유하지 않는 세정 조성물에 의한 색상 이행 감소 효과는 일반적으로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표백계를 포함하지 않는 세정 조성물의 효과보다 불량하다. 표백계는 표백제, 표백 활성화제 및 표백 촉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표백제, 표백 활성화제 및 표백 촉매의 예는 본 명세서의 하기 부분에 설명되어 있다.
전술한 공중합체는 모노에틸렌계 불포화된 C3-C10모노카르복실산 및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무수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 단위 (A) 10∼60 중량%를 포함한다.
적절한 단량체 단위 (A)의 예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푸마르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메틸렌말론산 및 크로톤산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사용된 단량체 단위 (A)는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및/또는 아크릴산을 포함한다.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I의 1종 이상의 단량체 단위 (B) 40∼90 중량%를 추가로 포함한다.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R1, R2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H, CH3, C2H5, C3H7, COOH 또는 OH이며,
Y는 -C(=O)-, -C(=O)-O-, -O-, -O-C(=O)-, -O-C(=O)-O- 또는 -C(=O)-NH-이고,
n은 0 또는 1이며,
R4는 7∼10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고리형 또는 비고리형지방족 라디칼이다.
적절한 단량체 단위 (B)의 예는 하기에 개시된 물질의 군을 포함한다.
탄소 원자 수가 10개 이상인 α-올레핀, 예컨대 1-데센, 1-도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과, C22α-올레핀,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1-도데센, 1-옥타데센 또는 C22α-올레핀;
C10-28α-올레핀의 올레핀 혼합물, 예컨대 C10-C12α-올레핀(C10또는 C12α-올레핀), C12-C14α-올레핀, C14-C18α-올레핀, C20-C24α-올레핀, C24-C28α-올레핀,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C20-C24α-올레핀;
C30이상의 상이한 α-올레핀 2 종 이상의 올레핀 혼합물, 예컨대 C30+ α-올레핀(C30α-올레핀과 탄소 원자 수가 30개 초과이고 짝수인 1종 이상의 추가의 α-올레핀의 올레핀 혼합물);
평균 C12-C100이고 α-올레핀 분율이 80% 이상인 폴리이소부텐, 예컨대 폴리이소부텐 1000(평균 몰 질량이 1000인 폴리이소부텐);
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 도데세노에이트, 비닐 스테아레이트, 도데실 비닐 에테르 및 옥타데실 비닐 에테르.
공중합체는 1종 이상의 추가의 단량체 단위 (C)를, 공중합체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3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단량체 단위 (A) 및 (B)와 공중합가능한 적절한 단량체 단위 (C)는, 예컨대 하기에 개시된 물질의 군을 포함한다.
C1-C6(메트)아크릴 에스테르, 예컨대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알킬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C1-C6비닐 에스테르, 예컨대 비닐 포르메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및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C2-C8올레핀, 예컨대 에텐, 프로펜, 부텐, 이소부텐, 펜텐, 시클로펜텐, 헥센, 시클로헥센, 1-옥텐 또는 (공업 등급) 디이소부텐,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펜텐, 헥센 또는 공업 등급 디이소부텐;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미드, 비닐포름아미드, 알릴 알코올 및 비닐 포스포네이트;
비닐-치환된 복소환, 예컨대 N-비닐피롤리돈 또는 N-비닐카프로락탐;
불포화된 오르가노설폰산, 예컨대 스티렌설폰산,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설폰산, 비닐설폰산 및 메트알릴설폰산.
공중합체는 유리산, 이의 염 또는 무수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부분적으로 중화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특히, 공중합체는 이의 나트륨, 칼륨 또는 암모늄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공중합체에 대해 추가의 반응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의 예로는 C1-C20알코올, 알킬폴리알킬렌 글리콜, 예컨대 평균 에톡실화도가 45인 메틸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알킬폴리에틸렌 글리콜-블록-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예컨대 에틸렌 옥시드 단위가 40이고 프로필렌 옥시드 단위가 5인 메틸폴리에틸렌 글리콜-블록-폴리프로필렌 글리콜과의 에스테르화 반응이 있다. 이 반응은 C1-C20아민 또는 알킬폴리알킬렌 글리콜 아민, 예컨대 평균 에톡실화도가 8인 메틸폴리에틸렌 글리콜 아민을 이용하여 유사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아미드 결합이 형성된다.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200,000, 바람직하게는 2,000∼5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0∼20,000이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공정으로 공중합체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는 단량체 단위 (A)로서 말레산 및/또는 말레산 무수물과, 1-도데센, C22α-올레핀, C20-C24α-올레핀 및 폴리이소부텐 1000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 단위 (B)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량체 단위 (A)로서 말레산 무수물과 단량체 단위 (B)로서 1-도데센, C22α-올레핀, C20-C24α-올레핀, 1-도데센과 폴리이소부텐 1000의 혼합물 또는 1-도데센과 C20-C24α-올레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공중합체는 알칼리 금속 염 또는암모늄 염의 형태로 존재하며, 나트륨염 또는 암모늄염의 형태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공중합체는 단량체 단위 (A)를 10∼40 중량% 포함한다.
세정 조성물의 공중합체 함량은 세정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1∼5 중량%이다.
공중합체는 수용액 또는 수성 분산액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공중합체는 고체 형태, 예컨대 산제 또는 과립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예컨대 분무 건조와 가능한 후속 압축, 또는 분무 과립화로 얻을 수 있다. 건조 과정에서 보조과립화(cogranulation)를 위해서 추가의 수용성 물질, 예컨대 황산나트륨, 염화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구연산나트륨, 3인산5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또는 중합체, 에컨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 알코올, Sokalan(등록상표) CP5(폴리아크릴산과 말레산을 단량체로서 함유하는 공중합체), 셀룰로스 및 이의 유도체, 그리고 당 및 이의 유도체를 도입할 수 있다. 또한, 물에 잘 용해되지 않는 물질, 예컨대 제올라이트 및 침전된 실리카를 도입하고/또는 캐리어 물질로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적절한 (보조과립화된) 과립은 황산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및/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 10∼50 중량%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들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중합체는 액체, 겔, 산제, 과립 및 정제화된 세정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다른 조성물 성분과 함께 공중합체를 특정 구획부(예, 마이크로캡슐 또는 겔 캡슐)에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하게 정제의 다른 구획부와는 용해성이 상이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 세제 정제 내의 특정 구획부에 공중합체를 넣을 수 있다. 이들 구획부는 정제내로 움푹 들어가 있거나, 정제에 접착제로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정제에 둘러싸여 있는 특정 정제 층과 특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의 표백계에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표백제, 표백 활성화제 및 표백 촉매는 하기에 개시되어 있다.
표백제
표백제는 산소 표백제와 염소 표백제로 세분된다. 사용된 산소 표백제로는 알칼리 금속 과붕산염 및 이의 수화물, 그리고 알칼리 금속 과탄산염 등이 있다.
여기서 바람직한 표백제는 1수화물 또는 4수화물 형태의 과붕산나트륨, 과탄산나트륨 또는 과탄산나트륨의 수화물이다.
과황산염 및 과산화수소도 또한 산소 표백제로 사용하기 적절하다.
또한, 통상적인 산소 표백제로는 유기 과산, 예컨대 과벤조산, 퍼옥시-알파-나프토산, 퍼옥시라우르산, 퍼옥시스테아르산, 프탈이미도퍼옥시카프로산, 1,12-디퍼옥시도데칸2산, 1,9-디퍼옥시아젤라산, 디퍼옥소이소프탈산 또는 2-데실디퍼옥시부탄-1,4-2산 등이 있다.
또한, 하기 산소 표백제가 세정 조성물에 적용된 예를 찾아볼 수 있다.
특허 출원 US 5,422,028호, US 5,294,362호 및 US 5,292,447호에 개시된 양이온 퍼옥시산;
특허 출원 US 5,039,447호에 개시된 설포닐퍼옥시산.
산소 표백제는 전체 세정 조성물을 기준으로 0.5∼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2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3∼1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염소 표백제 및, 과산화물 표백제와 염소 표백제의 조합도 유사하게 사용될 수 있다. 공지된 염소 표백제의 예로는 1,3-디클로로-5,5-디메틸히단토인, N-클로로설파미드, 클로르아민 T, 디클로르아민 T, 클로르아민 B, N,N'-디클로로벤조일우레아, 디클로로-p-톨루엔설폰아미드 및 트리클로로에틸아민 등이 있다. 바람직한 염소 표백제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차아염소산칼슘, 차아염소산칼륨, 차아염소산마그네슘, 디클로로이소시아눌산칼륨 또는 디클로로이소시아눌산나트륨이다.
염소 표백제는 전체 세정 조성물을 기준으로 0.1∼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2∼1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3∼8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또한, 예를 들어 포스포네이트, 보레이트, 메타보레이트, 메타실리케이트 또는 마그네슘 염과 같은 표백 안정화제를 소량 첨가할 수 있다.
표백 활성화제
표백 활성화제는, 과도가수분해 조건 하에서 C1-C10, 특히 C2-C4의 지방족 퍼옥소카르복실산 및/또는 치환된 과벤조산을 제공하는 화합물이다. 적절한 화합물은 1 이상의 N- 및/또는 O-아실기 및/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벤조일기를 함유하는 것들, 예컨대 무수물, 에스테르, 이미드, 아실화된 이미다졸 또는 옥심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이다. 예로는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AED), 테트라아세틸메틸렌디아민(TAMD), 테트라아세틸글리콜우릴(TAGU), 테트라아세틸헥실렌디아민(TAHD), N-아실 이미드, 예컨대 N-노나노일숙신이미드(NOSI), 아실화된 페놀설포네이트, 예컨대 n-노나노일- 또는 이소노나노일옥시벤젠설포네이트(n- 또는 이소-NOBS), 펜타아세틸글루코스(PAG), 1,5-디아세틸-2,2-디옥소헥사히드로-1,3,5-트리아진(DADHT) 또는 이사토산 무수물(ISA) 등이 있다.
또한 적절한 표백 활성화제로는, 예를 들어 니트릴 쿼트(quats), 예컨대 N-메틸모르폴리늄-아크릴로니트륨 염(MMA 염) 또는 트리메틸암모늄아세토니트릴 염(TMAQ 염) 등이 있다.
적절한 표백 활성화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아실화된 알킬렌디아민, 특히 바람직하게는 TAED, N-아실이미드, 특히 바람직하게는 NOSI, 아실화된 페놀설포네이트, 특히 바람직하게는 n- 또는 이소-NOBS, MMA 및 TMAQ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 등이 있다.
또한, 하기 물질은 세정 조성물에서 표백 활성화제로서의 용도를 발견할 수 있다.
카르복실산 무수물, 예컨대 프탈산 무수물;
아실화된 다가 알코올, 예컨대 트리아세틴, 에틸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또는 2,5-디아세톡시-2,5-디히드로푸란;
DE-A 196 16 693 및 DE-A 196 16 767로부터 공지된 엔올 에스테르와, EP-A 525 239에 개시된 아세틸화된 소르비톨 및 만니톨과 이의 혼합물;
문헌 WO 94/27 970, WO 94/28 102, WO 94/28 103, WO 95/00 626, WO 95/14 759, 및 WO 95/17 498로부터 공지된 아실화된 당 유도체, 특히펜타아세틸글루코스(PAG), 펜타아세틸프럭토스, 테트라아세틸크실로스 및 옥타아세틸락토스, 그리고 또한 아세틸화, 비알킬화 또는 N-알킬화된 글루카민 및 글루코노락톤, 및/또는 N-아실화된 락탐, 예컨대 N-벤조일카프로락탐;
DE-A 196 16 769에 개시된 친수성으로 치환된 아실 아세탈, 그리고 DE-A 196 16 770 및 WO 95/14 075에 개시된 아실 락탐은 DE-A 44 43 177로부터 공지된 종래의 표백 활성화제의 조합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표백 활성화제는 전체 세정 조성물을 기준으로 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9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5∼8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표백 촉매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은, 상기 개시된 종래의 표백 활성화제와 함께 또는 이들 활성화제 대신에, EP-A 446 982 및 EP-A 453 003에 개시된 표백 촉진 전이 금속 염 또는 전이 금속 착체 및/또는 설폰 이민(이들 화합물은 표백 촉매로서 알려져 있음)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전이 금속 화합물은, 예컨대 DE-A 195 29 905로부터 공지된 망간, 철, 코발트, 루테늄 또는 몰리브덴 살렌(salen) 착체와 DE-A 196 20 267로부터 공지된 이들의 N-유사체 화합물; DE-A 195 36 082로부터 공지된 망간, 철, 코발트 루테늄 또는 몰리브덴 카르보닐 착체; DE-A 196 05 688에 개시된 질소성 3각 리간드와의 망간, 철, 코발트, 루테늄, 몰리브덴, 티탄, 바나듐 및 구리의 착체; DE-A 196 20 411로부터 공지된 코발트, 철, 구리 및 루테늄 아민 착체; DE-A 44 16 438에 개시된 망간, 구리 및 코발트 착체; EP-A 272 030에 개시된 코발트 착체; EP-A 693 550으로부터 공지된 망간 착체; EP-A 392 592로부터 공지된 망간, 철, 코발트 및 구리 착체; 및/또는 EP-A 443 651, EP-A 458 397, EP-A 458 398, EP-A 549 271, EP-A 549 272, EP-A 544 490 및 EP-A 544 519에 개시된 망간 착체 등이 있다. 표백 활성화제와 전이 금속 표백 촉매의 조합은, 예컨대 DE-A 196 13 103 및 WO 95/27 775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1,4,7-트리메틸-1,4,7-트리아자시클로노난(TMTACN), 예컨대 [(TMTACN)2MnIVMnIV(μ-O)3]2+(PF6 -)2를 함유하는 2핵 망간 착체도 효과적인 표백 촉매로서 적절하다. 이들 망간 착체도 전술한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적절한 표백 촉매는 바람직하게는 망간의 염 및 착체와 코발트의 염 및 착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표백 촉진 전이 금속 착체 또는 전이 금속 염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표백 촉매는 코발트 아민 착체, 코발트 아세테이토 착체, 코발트 카르보닐 착체, 코발트 또는 망간의 염화물, 황산망간 또는 [(TMTACN)2MnIVMnIV(μ-O)3]2+(PF6 -)2를 포함한다.
표백 촉매는 전체 세정 조성물을 기준으로 0.000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25∼1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0.2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정 조성물은 임의의 종류의 플라스틱 물품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가정용 부문 또는 산업용 부문에서 공통으로 발견되는 플라스틱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카르보네이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플라스틱, 스티렌-부타디엔 플라스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플라스틱,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 플라스틱,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옥시메틸렌, 폴리페닐렌 옥시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페놀-포름알데히드 플라스틱, 우레아-포름알데히드 플라스틱 및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플라스틱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조성물은 폴리에틸렌(LLPE, LLDPE) 및 폴리프로필렌의 플라스틱 물품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하지 않는 플라스틱 변색 측면에서 중요한 오염 적재물의 종류는 모든 형태의 착색된 식품 찌꺼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토마토, 토마토 케찹, 토마토 푸레, 들장미열매, 당근, 고추(red pepper), 사프란, 고추(capsicum), 파프라카, 또는 시금치, 장미열매 차, 그리고 과일과 야채 쥬스, 예컨대 오렌지 쥬스, 토마토 쥬스, 당근 쥬스 또는 체리 쥬스의 식품 찌꺼기일 수 있다. 이들 식품이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카로테노이드 염료, 예컨대 β-카로텐, 리코펜, 제아크산틴, 칸타크산틴, 크립토크산틴, 로도크산틴, 크로세틴, 캅소루빈 또는 β-시트라우린은 플라스틱 변색의 경우에 주요 원인으로서 간주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조성물은 전술한 식품 찌꺼기, 특히 카로테노이드를 함유하는 것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플라스틱 물품의 변색을 방지하는 데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전술한 공중합체와 적절한 표백계 외에도,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첨가 성분들을 포함한다. 이들의 예는 하기에 개시되어 있다.
증강제
수용성 증강제 및 수불용성 증강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의 기본적인 작용은 칼슘 및 마그네슘을 결합시키는 것이다. 세정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10∼90 중량%의 양으로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통상의 증강제는 포스페이트, 예컨대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 및 중합체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 등이 있으며, 이들은 알칼리, 중성 또는 산성 암모늄, 나트륨 또는 칼륨 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들의 예로는 인산3나트륨, 2인산4나트륨, 인산2수소2나트륨, 트리폴리인산5나트륨, 헥사메타인산나트륨으로서 알려진 화합물, 올리고머 정도가 5∼1000, 특히 5∼50인 올리고머 인산3나트륨, 및 상응하는 칼륨염, 또는 헥사메타인산나트륨 및 상응하는 칼륨염의 혼합물, 또는 나트륨 염과 칼륨 염의 혼합물 등이 있다. 이들 인산염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고 무수 활성 물질로서 계산할 때 5∼65 중량%의 범위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강제로서 하기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저분자량 카르복실산 및 이의 염, 예컨대 알칼리 금속 구연산염, 특히 무수 구연산3나트륨 또는 구연산3나트륨 2수화물, 알칼리 금속 숙신산염, 알칼리 금속 말론산염, 지방산 설폰산염, 옥시디숙신산염, 알킬- 또는 알케닐디숙신산염, 글루콘산, 옥사디아세트산염, 카르복시메틸옥시숙신산염, 주석산염 모노숙신산염, 주석산염 디숙신산염, 주석산염 모노아세트산염, 주석산염 디아세트산염 및 α-히드록시프로피온산;
산화된 전분 및 산화된 다당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폴리카르복실산 및 이의 염, 예컨대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및 말레산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모노에틸렌계 불포화된 모노카르복실산 및/또는 디카르복실산의 단당류, 올리고당류, 다당류 또는 폴리아스파르트산 상에서의 그래프트 중합체;
아미노폴리카르복실레이트 및 폴리아스파르트산;
착화제 및 포스포네이트 및 이의 염, 예컨대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 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트리아세트산, 메틸글리신디아세트산, 2-포스포노-1,2,4-부탄트리카르복실산, 아미노트리(메틸렌포스폰산), 1-히드록시에틸렌(1,1-디포스폰산), 에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포스폰산, 헥사메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포스폰산 또는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메틸렌포스폰산;
규산염, 예컨대 이규산나트륨 및 메타규산나트륨;
수불용성 증강제, 예컨대 제올라이트 및 결정질 필로실리케이트.
결정질 필로실리케이트는 특히 화학식 NaMSixO2x+1*yH2O[여기서 M은 나트륨 또는 수소이고, x는 1.9∼22, 바람직하게는 1.9∼4이고, y는 0∼33의 수임]에 해당한다. 주지되어 있는 예로는 특히 α-Na2Si2O5, β-Na2Si2O5및 δ-Na2Si2O5등이 있다. 전술한 증강제 물질의 혼합물도 포함된다. 구연산3나트륨 및/또는 트리폴리인산5나트륨 및/또는 탄산나트륨 및/또는 중탄산나트륨 및/또는 글루콘산염 및/또는 디실리케이트 및/또는 메타실리케이트의 종류로부터 선택된 규산 증강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칼리 캐리어
존재할 수 있는 세정 조성물의 추가의 성분으로는 알칼리 캐리어가 있다. 알칼리 캐리어는 암모늄 및/또는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암모늄 및/또는 알칼리 금속 탄산염, 암모늄 및/또는 알칼리 금속 수소 탄산염, 암모늄 및/또는 알칼리 금속 세스퀴탄산염, 암모늄 및/또는 알칼리 금속 규산염, 암모늄 및/또는 알칼리 금속 메타규산염, 및 전술한 물질의 혼합물이며, 암모늄 및/또는 알칼리 금속 탄산염, 특히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또는 세스퀴탄산나트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강제 및 알칼리 캐리어의 바람직한 조합은 트리폴리포스페이트와 탄산나트륨의 혼합물 또는 트리폴리포스페이트, 탄산나트륨과 이규산나트륨의 혼합물이다.
계면활성제
세정 조성물은 추가의 성분으로서 저발포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0.1∼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1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25∼4 중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들은, 예컨대 제품명 Plurafac(등록상표)(BASF 아게), 특히 Plurafac LF 500, 또는 Dehypon(등록상표)(코그니스)로 시판되는, 하기 화학식 II의 지방산 알코올 알콕실레이트 군으로부터 선택된 계면활성제이다.
R2-O-(CH2-CH2-O)p-(CHR1-CH2-O)m-R3
상기 식에서,
R1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CnH2n+1이고 n은 1∼4이며,
R2는 CnH2n+1이고 n은 3∼30이며,
m 및 p는 서로 독립적으로 0∼300이다.
Pluronic(등록상표)(BASF 아게) 또는 Tetronic(등록상표)(BASF 코포레이션)으로 시판되는, 에틸렌 옥시드와 프로필렌 옥시드로 구성된 이블록 및 다중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에틸렌 옥시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시드의 반응 생성물을 이용할 수 있다. 아민 산화물 또는 알킬 글리코시드도 적절하다. 일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개요는 EP-A 851 023 및 DE-A 198 19 187호에 개시되어 있다.
조성물은 음이온성 또는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의 혼합물로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음이온성 및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는 EP-A 851 023 및 DE-A 198 19 187에 명기되어 있다.
내식제
특히, 트리아졸, 벤조트리아졸, 비스벤조트리아졸, 아미노트리아졸, 알킬아미노트리아졸 및 전이 금속 염 또는 전이 금속 착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은 보호제를 사용할 수 있다. 벤조트리아졸 및/또는 알킬아미노트리아졸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은 표면의 부식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활성 염소제를 사용하는 것은 세정 조성물에서 일반적이다. 염소 무함유 세정 제품에서는 산소 및 질소를 함유하는 유기 산화환원 활성 화합물, 예를 들어 2가 및 3가 페놀류, 예컨대 히드로퀴논, 피로카테콜, 히드록시히드로퀴논, 갈산, 플로로글루시놀, 피로갈롤 및/또는 이의 화합물의 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염유사 및 착체유사 무기 화합물, 예컨대 금속 Mn, Ti, Zr, Hf, V, Co 및 Ce의 염이 사용된 예가 종종 발견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망간 및/또는 코발트 염 및/또는 망간 및/또는 코발트 착체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전이 금속 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코발트 아민 착체, 코발트 아세테이토 착체, 코발트 카르보닐 착체, 코발트 또는 망간의 염화물, 및 황산망간의 군에서 선택된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연 화합물 또는 비스무트 화합물도 제품 상의 부식을 방지하는 데 유사하게 사용될 수 있다.
효소
전체 제제를 기준으로 효소 0∼5 중량%를 세정 세품에 첨가하여 비교적 온화한 조건 하에서 그 성능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동일한 세정력을 유지할 수 있다. 효소 중에서 리파제, 아밀라제, 셀룰라제 및 프로테아제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에스테라제, 펙티나제, 락타제 및 퍼옥시다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한 프로테아제의 예로는 BLAP(등록상표)140 (바이오짐), Optimase(등록상표) M-440 및 Opticlean(등록상표) M-250 (솔베이 엔자임즈), Maxacal(등록상표) CX, Maxapem(등록상표), Esperase(등록상표) (기스트 브로케이드), Savinase(등록상표) (노보) 또는 Purafect OxP (제넨코르) 등이 있다. 특히 적절한 셀룰라제 및 리파제는 Celluzym(등록상표) 0,7T 및 Lipolase(등록상표) 30T (노보 노르디스크)가 있다. 특별히 사용된 아밀라제는 Duramyl(등록상표), Termamyl(등록상표) 60 T 및 Termamyl(등록상표) 90 T (노보), Amylase-LT(등록상표) (솔베이 엔자임즈), Maxamyl(등록상표) P5000 (기스트 브로케이즈) 또는 Purafect(등록상표) OxAm (제넨코르) 등이 있다.
추가의 첨가제
경우에 따라서 액체 파라핀 및 실리콘 오일을 소포제로서, 그리고 플라스틱 및 금속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소포제는 일반적으로 0.001%∼5%의 비율로 첨가된다. 또한, Patent Blue 등의 염료, Kathon CG 등의 보존제, 향료(perfume) 및 기타 향수(fragrances)를 세정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정용 부문 및 산업용 부문의 세정 조성물에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산업용 클리너는 일반적으로 3인산5나트륨 및/또는 구연산나트륨 및/또는 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와 같은 착화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증강제계를 포함한다. 산업용 클리너는 가정용 클리너와는 달리 알칼리 캐리어로서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을 사용하여 조작되는 일이 흔하다. 또한, 빈번하게 사용되는 표백제는 염소 화합물, 예컨대 나트륨 디클로로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실시예 1-14
색상 이행 억제를 시험하기 위한 방법의 기재
·가루 세제 조성물
가루 세정 조성물 중의 변색 억제제의 효능 시험은 경도 9°dH[독일 경도]인 물을 사용하여 65℃ 대량 프로그램으로 조작한 Bosch SMS 5062 식기세척기에서 실시하였다. 실시예 1 내지 6의 세정 조성물과 실시예 7 내지 12의 세정 조성물을 서로 비교하였다. 각 사례에서 식기세척기의 계량부를 통해 세정 조성물 40 g(실시예 1∼6) 및 20 g(실시예 7-12)을 투입하였다. 주요 세척 사이클의 개시시, 식기세척기의 세척수에 50 g의 토마토 케찹을 넣었다.
사용된 플라스틱 시험 물품은 폴리에틸렌(시판용 도마 및 냉동고 상자 덮개) 및 폴리프로필렌(시판용 냉동고 상자)이었다.
표에 제시된 실시예 1 내지 14에 대한 모든 수치는 중량%이다. 변색 억제제(DI)는 플라스틱 물품의 변색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공중합체 1이다. 공중합체 1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4500이고 단량체 단위 (A)로서 말레산 무수물 25.5 중량%와 단량체 단위 (B)로서 C22α-올레핀 74.5 중량%를 포함한다. 공중합체 1은 나트륨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사용된 효소는 1;1 비율의 아밀라제 및 프로테아제이다.
·겔 형태의 세정 조성물
실시예 13 및 14에서 겔 형태의 세정 조성물 중의 변색 억제제의 효능 시험은 경도 10°dH이고 60℃의 온도인 물을 사용하여 보통의 세척/가열 건조 프로그램으로 조작한 General Electric Profile 식기세척기에서 실시하였다. 식기세척기의 계량부를 통해 세척전 사이클에 대해서는 45 g, 주요 세척 사이클에 대해서는 60 g의 세정 조성물을 각각 투입하였다. 식기세척 프로그램을 개시하기 전에, 식기세척기에 50 g의 토마토 케찹을 넣었다. 사용된 플라스틱 시험 물품은 폴리에틸렌(시판용 도마 및 냉동고 상자 덮개) 및 폴리프로필렌(시판용 냉동고 상자)이었다.
시험 결과
색상 궤적 값 a 및 b는, Mahlo 4790-KI 색상 궤적 측정 기기를 사용하여 세척 사이클 전후에 각 시험 항목에 대해 표면의 10 개소에서 측정하였다. 시험 표면의 색상 궤적은 측정값을 평균하여 결정한다. 플라스틱 시험 물품의 변색은 색상 궤적에서의 이동에 해당하며, 벡터로서 표시할 수 있다. 벡터의 길이는 표면 변색의 척도이다. 변색 억제제를 사용하지 않은 시험과 비교하여 변색 억제제(DI)를 사용한 시험으로부터 얻은 벡터의 길이 감소율(%)은 변색 억제율의 척도이다(100%=변색 없음).
표 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변색 억제제를 포함하는 세정 조성물은, 변색 억제제를 함유하지 않는 세정 조성물과는 달리 플라스틱 물품의 변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14와 실시예 4 및 5 및 11 및 12를 각각 비교한 결과 변색 억제제 외에 표백계를 포함하는 세정 조성물은 플라스틱 물품의 변색을 더욱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및 11에서, 사용된 변색 억제제의 양이 실시예 14에 개시된 양보다 낮음에도 불구하고 조사된 플라스틱 물품 상에서 변색 억제율은 더욱 개선된 것으로 밝혀졌다. 표백계만 존재하는 경우(변색 억제제를함유하지 않음)에는 플라스틱 물품의 변색을 방지하는 데 만족할 만한 결과가 산출되지 않았다(실시예 1 및 7).
실시예 15-25
시험법
별도의 100 ㎖ 유리 비이커 내의 식기 세척기에 도입되었던 규명된 염료 함유 시험 얼룩과 함께 가정용 부문의 새로운 시판용 플라스틱 물품을 산업용 식기세척기에서 세척하였다. 사용한 세정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라 변색 억제제를 첨가한 산업용 식기세척 세제였다. 이 시험을 평가하기 위해서, 세척 사이클 전후(세척전/세척후)에 각 사례에 대해 4 개소에서 플라스틱 물품 상에서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는 초기값의 %로서(100% 변색 없음), 세척 사이클 후의 반사율(ref.)로 보고하였다. 각 사례에 대해서 상이한 측정점, 상이한 플라스틱 물품 및 반복 시험(실시예당 총 3회 시험)으로 평균을 결정하였다.
세정 조성물(CF)CF의 양변색 억제제(DI)DI의 양 표 2의 실시예 720 g표 6세정 조성물(고형분)을 기준으로 2 중량%
식기세척기 Miele G 661 SC / G 686 SC
시험 오염물 토마토 케찹 50 g
물의 경도 17°dH
온도 65℃
플라스틱 물품 폴리에틸렌 도마폴리에틸렌 냉동고 상자 덮개폴리프로필렌 냉동고 상자
반사율 측정 기기 ELREPHO 2000; d / 8°; 460 nm
세척 사이클 전후의 반사율 측정 측정점: 상자=8; 덮개=4; 도마=3
반사율 계산 반사율(%)=ref.(세척후) ×100/ref.(세척전)측정점, 시험 물품 및 반복회수의 평균
중합체 변색 억제제에 대한 데이타는 중량% 기준임.
약어:
MSA: 말레산 무수물, PIB: 폴리이소부텐(평균 분자량 = 1000),
공중합체: 언급한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
변색 억제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1, 7, 13, 25)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라 변색 억제제를 사용한 모든 실시예(2-6, 8-12, 14-24)는 조사된 모든 플라스틱 표면의 변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관찰된다.

Claims (18)

  1. a) a1) 모노에틸렌계 불포화된 C3-C10모노카르복실산 및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무수물의 군으로부터 유래한 1종 이상의 단량체 단위 (A) 10∼60 중량%,
    a2) 하기 화학식 I의 1종 이상의 단량체 단위 (B) 40∼90 중량%, 및
    a3) 단량체 단위 (A) 및 (B)와 공중합가능하고, C1-C6(메트)아크릴 에스테르, C1-C6비닐 에스테르, C2-C8올레핀,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미드, 비닐포름아미드, 알릴 알코올, 비닐포스포네이트, 비닐-치환된 복소환 및 불포화된 오르가노설폰산으로 구성된 군에서 유래한 1종 이상의 추가의 단량체 단위 (C) 0∼30 중량%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b) 표백제, 표백 활성화제 및 표백 촉매로 구성된 군에서 유래한 1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표백계
    를 포함하는 세정 조성물: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R1, R2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H, CH3, C2H5, C3H7, COOH 또는 OH이고,
    Y는 -C(=O)-, -C(=O)-O-, -O-, -O-C(=O)-, -O-C(=O)-O- 또는 -C(=O)-NH-이며,
    n은 0 또는 1이고,
    R4는 7∼10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고리형 또는 비고리형 지방족 라디칼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단량체 단위 (A)는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및/또는 아크릴산인 것인 세정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량체 단위 (B)는 1-도데센, 1-옥타데센, 폴리이소부텐 1000, C22α-올레핀 및/또는 C20-C24α-올레핀의 올레핀 혼합물인 것인 세정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단량체 단위 (C)는 시클로펜텐, 헥센 및/또는 공업 등급의 디이소부텐인 것인 세정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는 유리산, 이의 염또는 무수물의 형태, 특히 나트륨염 또는 암모늄염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인 세정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는 단량체 단위 (A)로서 말레산 무수물과 단량체 단위 (B)로서 1-도데센, C22α-올레핀, C20-C24α-올레핀, 1-도데센과 폴리이소부텐 1000의 혼합물 또는 1-도데센과 C20-C24α-올레핀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나트륨염 또는 암모늄염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인 세정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200,000, 바람직하게는 2,000∼5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0∼20,000인 것인 세정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는 알코올 또는 아민과 추가로 반응하여 각각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것인 세정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 함량이 0.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1∼5 중량%인 것인 세정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는 수용액 또는 수성 분산액의 형태, 산제 또는 과립과 같은 고체 형태, 또는 마이크로캡슐 또는 겔 캡슐의 형태로서 사용되는 것인 세정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과립은 공중합체와 황산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및/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 10∼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세정 조성물.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공중합체는 상기 조성물의 특정 구획부로 도입되고, 정제 형태의 조성물에 경우에는 구획부는 특히 정제 내에 있거나, 정제에 결합되거나 또는 정제를 둘러싸는 정제 층 및/또는 형상인 것인 세정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표백제는 1수화물 또는 4수화물 형태의 과붕산나트륨, 과탄산나트륨, 과탄산나트륨의 수화물, 차아염소산나트륨, 차아염소산칼슘, 차아염소산칼륨, 차아염소산마그네슘, 디클로로이소시아눌산칼륨 및/또는 디클로로이소시아눌산나트륨인 것인 세정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표백 활성화제는 TAED, NOSI, n-NOBS, 이소-NOBS, MMA 및/또는 TMAQ인 것인 세정 조성물.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표백 촉매는 코발트 아민 착체, 코발트 아세테이토 착체, 코발트 카르보닐 착체, 코발트의 염화물, 망간의 염화물, 황산망간 및/또는 [(TMTACN)2MnIVMnIV(μ-O)3]2+(PF6 -)2인 것인 세정 조성물.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a) 1종 이상의 산소 표백제 0.5∼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2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3∼15 중량%,
    b) 1종 이상의 염소 표백제 0.1∼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2∼1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3∼8 중량%,
    c) 1종 이상의 표백 활성화제 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9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5∼8 중량%, 및/또는
    d) 1종 이상의 표백 촉매 0.000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25∼1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0.2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세정 조성물.
  17. 식기세척기에서 세척하는 동안 플라스틱 물품의 변색을 방지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성분을 포함하는 세정 조성물의 용도.
  18. 식기세척기에서 세척하는 동안 플라스틱 물품의 변색을 방지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조성물 중의 공중합체의 용도.
KR1020037010121A 2001-02-01 2002-01-30 플라스틱 물품의 변색 방지용 세정 조성물 KR1008567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04470A DE10104470A1 (de) 2001-02-01 2001-02-01 Reinigerformulierungen zur Verhinderung der Verfärbung von Kunststoffgegenständen
DE10104470.4 2001-02-01
PCT/EP2002/000962 WO2002064720A1 (de) 2001-02-01 2002-01-30 Reinigerformulierungen zur verhinderung der verfärbung von kunststoffgegenständ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765A true KR20030074765A (ko) 2003-09-19
KR100856765B1 KR100856765B1 (ko) 2008-09-05

Family

ID=7672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0121A KR100856765B1 (ko) 2001-02-01 2002-01-30 플라스틱 물품의 변색 방지용 세정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40072716A1 (ko)
EP (1) EP1373450B1 (ko)
JP (1) JP4141256B2 (ko)
KR (1) KR100856765B1 (ko)
AT (1) ATE431392T1 (ko)
CA (1) CA2436359C (ko)
DE (2) DE10104470A1 (ko)
ES (1) ES2325682T3 (ko)
WO (1) WO20020647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907A (ko) 2017-09-28 2019-04-05 (주)아모레퍼시픽 친환경 추출 기술을 이용한 영지 추출물의 제조 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영지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4904B2 (en) * 2003-06-18 2008-01-01 Baker Hughes Incorporated Functionalized polyalphaolefins
ES2272854T5 (es) 2003-06-28 2014-12-10 Dalli-Werke Gmbh & Co. Kg Granulados de alfa-olefina y alfa-olefina/celulosa como disgregantes
DE10342632A1 (de) * 2003-09-15 2005-04-07 Henkel Kgaa Maschinelle Geschirrspülmittel mit speziellen Polymeren
DE102004044402A1 (de) * 2004-09-14 2006-03-30 Basf Ag Klarspülmittel enthaltend hydrophob modifizierte Polycarboxylate
DE102004044411A1 (de) * 2004-09-14 2006-03-30 Basf Ag Reinigungsformulierungen für die maschinelle Geschirrreinigung enthaltend hydrophob modifizierte Polycarboxylate
US20060069003A1 (en) * 2004-09-28 2006-03-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utomatic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potassium tripolyphosphate formed by in-situ hydrolysis
US20060069004A1 (en) * 2004-09-28 2006-03-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cleaning dishware using automatic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potassium tripolyphosphate formed by in-situ hydrolysis
US20070015674A1 (en) 2005-06-30 2007-01-18 Xinbei Song Low phosphate automatic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
DE102005047833A1 (de) * 2005-10-05 2007-04-19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ranulären oder pulverförmigen Waschmittelzusammensetzungen
DE102005049701A1 (de) * 2005-10-14 2007-04-26 Basf Ag Verfahren zur Stabilisierung von Flüssigwaschmittelzusammensetzungen und Flüssigwaschmittelzusammensetzungen
ES2339485T3 (es) * 2005-12-14 2010-05-2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mposiciones detergentes que contienen compuestos iniciadores de tipo azo para una capacidad de blanqueo mejorada y ventajas de eliminacion de manchas.
DE102007006628A1 (de) 2007-02-06 2008-08-07 Henkel Ag & Co. Kgaa Reinigungsmittel
WO2008095554A2 (de) * 2007-02-06 2008-08-14 Henkel Ag & Co. Kgaa Reinigungsmittel
DE102007006630A1 (de) 2007-02-06 2008-08-07 Henkel Ag & Co. Kgaa Reinigungsmittel
DE102007006627A1 (de) * 2007-02-06 2008-08-07 Henkel Ag & Co. Kgaa Reinigungsmittel
DE102007006629A1 (de) * 2007-02-06 2008-08-07 Henkel Ag & Co. Kgaa Reinigungsmittel
DE102009004524A1 (de) * 2009-01-09 2010-07-15 Henkel Ag & Co. Kgaa Farbschützendes maschinelles Geschirrspülmittel
DE102010039815A1 (de) 2010-08-26 2012-03-01 Henkel Ag & Co. Kgaa Verwendung eines maschinellen Geschirrspülmittels zur Verhinderung der Kunststoffverfärbung
JP5923109B2 (ja) * 2010-12-13 2016-05-24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漂白触媒
CN102153690B (zh) * 2010-12-20 2013-06-12 广州天赐高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含季铵盐侧基的交替或无规共聚物及其制备方法
RU2014113179A (ru) 2011-09-05 2015-10-20 Басф Се Способ отбеливания кухонной утвари в посудомоечной машине
DE102011085998A1 (de) 2011-11-09 2013-05-16 Henkel Ag & Co. Kgaa Geschirrspülmittel enthaltend Emulgatoren
DE102012200402A1 (de) 2012-01-12 2013-07-18 Henkel Ag & Co. Kgaa Wasch- und Reinigungsmittel enthaltend Glycerinester
DE102012212553A1 (de) 2012-07-18 2014-01-23 Henkel Ag & Co. Kgaa Wasch- oder Reinigungsmittel enthaltend Thiosulfat
DE102012213949A1 (de) 2012-08-07 2014-02-13 Henkel Ag & Co. Kgaa Maschinelles Geschirrspülmittel enthaltend hydrophob modifizierte Polysaccharide
DE102012214027A1 (de) 2012-08-08 2014-02-13 Henkel Ag & Co. Kgaa Verwendung von anionischen Tensiden
EP2733194A1 (de) 2012-11-16 2014-05-21 Henkel AG&Co. KGAA Maschinelles Geschirrspülmittel enthaltend Block-Copolymere von Polyalkylenglykolen
FR2998571B1 (fr) 2012-11-23 2015-08-21 Henkel Ag & Co Kgaa Copolymeres sequences amphiphiles et detergents pour lave-vaisselle les contenant
US9701931B2 (en) * 2013-09-30 2017-07-11 Chemlink Laboratories, Llc Environmentally preferred antimicrobial compositions
US10858573B2 (en) * 2014-01-16 2020-12-08 Wilmar Trading Pte Ltd Olefinic ester compositions and their use as cleaning agents
US11407965B2 (en) * 2017-07-31 2022-08-0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Detergent additive
WO2019027635A1 (en) * 2017-07-31 2019-02-0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DETERGENT ADDITIVE
GB202209521D0 (en) * 2022-06-29 2022-08-10 Reckitt Benckiser Finish Bv A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 a water-soluble container, and an autodosing automatic dishwash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3005A (en) 1984-11-19 1986-07-29 S. C. Johnson & Son, Inc. Cleaning compositions containing alpha olefin/maleic anhydride terpolymers
US5205960A (en) * 1987-12-09 1993-04-27 S. C. Johnson & Son, Inc. Method of making clear, stable prespotter laundry detergent
DE3837013A1 (de) * 1988-10-31 1990-05-03 Basf Ag Verwendung von partiell veresterten copolymerisaten in fluessigwaschmitteln
GB8919669D0 (en) * 1989-08-31 1989-10-11 Unilever Plc Fabric-softening compositions
CA2044093A1 (en) * 1990-06-20 1991-12-21 Charles E. Jones Chlorine-free machine dishwashing detergent
WO1996000277A1 (en) * 1994-06-23 1996-01-04 Unilever N.V. Dishwashing compositions
FR2739866A1 (fr) * 1995-10-13 1997-04-18 Rohm & Haas France Compositions de nettoyage contenant un dispersant de savon de chaux et leur procede de preparation
JP4240535B2 (ja) * 1996-03-26 2009-03-18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改善された洗剤およびすすぎ洗い助剤
US5827808A (en) * 1997-01-31 1998-10-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hwashing method
US5981456A (en) * 1997-07-23 1999-11-09 Lever Brothers Company Automatic dishwashing compositions containing water soluble cationic or amphoteric polym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907A (ko) 2017-09-28 2019-04-05 (주)아모레퍼시픽 친환경 추출 기술을 이용한 영지 추출물의 제조 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영지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213547D1 (de) 2009-06-25
JP4141256B2 (ja) 2008-08-27
KR100856765B1 (ko) 2008-09-05
CA2436359C (en) 2010-05-18
CA2436359A1 (en) 2002-08-22
ES2325682T3 (es) 2009-09-14
WO2002064720A8 (de) 2002-11-14
US20040072716A1 (en) 2004-04-15
ATE431392T1 (de) 2009-05-15
EP1373450A1 (de) 2004-01-02
EP1373450B1 (de) 2009-05-13
JP2004523622A (ja) 2004-08-05
WO2002064720A1 (de) 2002-08-22
DE10104470A1 (de) 200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6765B1 (ko) 플라스틱 물품의 변색 방지용 세정 조성물
CA2435487C (en) Copolymers for preventing glass corrosion
JP5065027B2 (ja) 疎水性に変性されたポリカルボン酸塩を有する機械式食器洗浄のための洗浄調製物
ES2399311T5 (es) Composición detergente
CA2258218A1 (en) Low-alkaline mgda-containing dishwasher rinsing agent
JP2013503932A5 (ja) 洗剤組成物
US20100144576A1 (en) Dish detergent
US20180362890A1 (en) Automatic dishwashing cleaning composition
EP2457988A1 (en) Improved bleaching of food stains
WO2021016633A1 (en) Automatic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
AU2021226049B2 (en) Dishwash detergent product
WO2014011849A1 (en) Dishwashing compositions containing an esterified substituted benzene sulfonate
JP2018503732A (ja) スルホン化ポリマーの新たな使用法
WO2018236810A1 (en) CLEANING COMPOSITION FOR AUTOMATIC DISHWASHER
AU2021226695B2 (en) Dishwash detergent product
WO2018236839A1 (en) CLEANING COMPOSITION FOR AUTOMATIC DISHWASHER
US20230126126A1 (en) Package comprising detergent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