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4388A - 연료 충전 장치 및 연료 누설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 충전 장치 및 연료 누설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4388A
KR20030074388A KR10-2003-0015424A KR20030015424A KR20030074388A KR 20030074388 A KR20030074388 A KR 20030074388A KR 20030015424 A KR20030015424 A KR 20030015424A KR 20030074388 A KR20030074388 A KR 20030074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illing
fuel supply
pressure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5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3645B1 (ko
Inventor
카즈토시 사토우
내유키 타카노
요시카즈 시라네
구니히코 고토우
고지 매츠모토
Original Assignee
닛폰산소 가부시키가이샤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산소 가부시키가이샤,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산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4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6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 B67D7/54Filling nozzles with means for preventing escape of liquid or vapour or for recovering escaped liquid or vapo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23Moun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number of vessels
    • F17C2205/013Two or more vessels
    • F17C2205/0134Two or more vessel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fluid connection between vessels
    • F17C2205/0142Two or more vessel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fluid connection between vessels bundl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26Valves electrically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35Check-valves or non-retur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7Quick connecting means, e.g. coup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2Hyd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4Methods for emptying or fi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4Methods for emptying or filling
    • F17C2227/043Methods for emptying or filling by pressure casca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4Indicating or measuring of parameters as input values
    • F17C2250/0404Parameters indicated or measured
    • F17C2250/0426Volu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4Indicating or measuring of parameters as input values
    • F17C2250/0404Parameters indicated or measured
    • F17C2250/0439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4Indicating or measuring of parameters as input values
    • F17C2250/0404Parameters indicated or measured
    • F17C2250/0443Flow or movement of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6Controlling or regulating of parameters as output values
    • F17C2250/0605Parameters
    • F17C2250/0636Flow or movement of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3Dealing with losses
    • F17C2260/035Dealing with losses of fluid
    • F17C2260/038Detecting leaked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6Fluid distribution
    • F17C2265/065Fluid distribution for refueling vehicle fuel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65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 F17C2270/0168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by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를 고압에서 충전하는 경우 장치의 패킹 열화를 방지하고, 또한 충전 노즐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연료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연료 공급 조정부1과, 연료 공급 조정부1로부터의 연료를 자동차W에 송급하는 연료 송급 도관11과, 자동차W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연료 송급 도관11로부터의 연료를 자동차에 공급하는 노즐21과, 연료 송급 도관11 내부의 연료를 외부로 방출하는 방출 수단9를 포함하는 연료 충전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료 충전 장치 및 연료 누설 검출 방법{Fuel Filling Device And Fuel Leakage Detection Method}
본 발명은 자동차에 수소 또는 압축 천연 가스를 연료로서 충전하는 연료 충전 장치 및 연료 충전 장치의 연료 누설을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의 자동차로서 수소 가스, 압축 천연 가스를 연료로서 이용한 수소 자동차, 압축 천연 가스 자동차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들 자동차는 탄산가스, NOx, SOx 등의 배출이 적다는 특징이 있다.
이들 자동차는, 연료 보급 시에 현재 가솔린 자동차와 유사하게 그 연료인 수소 가스, 압축 천연 가스를 충전하는 연료 충전 장치(디스펜서)를 마련한 충전기지까지 주행하여, 그 충전 기지에서 연료를 보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들 자동차 및 연료 충전 장치에서는 안전성 등이 검토되어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1: 사단 법인 일본 가스 협회, "압축 천연 가스 스탠드 안전 기술 지침", 평성 10년 4월, p.44에 기재된 것과 같다).
연료로서 압축 천연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연료 충전 장치로서 가정과 기업에 압축 천연 가스를 공급하는 지하 공급 배관이 이용되고 있다. 즉 가정과 기업에 압축 천연 가스를 송급하는 공급 배관으로부터 분기한 배관을 통하여 공급된 압축 천연가스는 압축기에서 승압되어, 이것이 다수개의 저장 탱크에 각각 다른 충전 압력으로 충전되어 유지 관리되게 된다.
압축 천연 가스를 자동차의 연료 탱크에 충전하는 경우에는, 다수개의 저장 탱크 중에서 충전 압력이 낮은 저장 탱크로부터 압축 천연 가스를 도출하여 공급을 시작하고, 자동차의 연료 탱크의 압력이 저장 탱크의 압력에 가깝게 되면, 이 저장 탱크보다도 충전 압력이 높은 다른 저장 탱크로 공급 경로를 바꾸도록 한다.
이와 같이 순차적으로 충전 압력이 높은 압력으로 충전되어 있는 저장 탱크로 바꾸면서 상기 탱크부터 압축 천연 가스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급격한 압력 변화를 수반하는 급속 충전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면서 충전을 한다.
종래 이용되고 있는 압축 천연가스의 연료 충전 설비에 마련된 저장 탱크의 최대 충전 압력은 25MPa이다.
연료로서 수소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주로 천연 가스와 물을 700~800℃의 고온에서 반응시켜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는 방법과, 물을 전기 분해하여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이들 방법에서 발생한 수소 가스는 격막식 승압기 등에 의해 승압하고, 다수개의 저장 탱크에 각각 다른 압력으로 충전하여 유지 관리된다.
연료 충전을 하는 때에는, 압축 천연 가스와 유사하게 다수개의 저장 탱크를 순차적으로 저압, 중압, 고압의 탱크로 바꾸면서 연료를 도출하고, 급속 충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면서 충전을 한다.
현재 시험적으로 설비된 수소 가스 연료 저장 탱크의 최대 압력은 약 40MPa이다.
도5는 수소 가스, 압축 천연 가스를 자동차의 연료 탱크에 충전하는 연료 충전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 연료 충전 장치50은, 연료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연료 공급 조정부51과, 여기에 연결된 자동차W의 연료 탱크T에 연료를 송급하는 충전 호스61과, 상기 충전 호스61의 끝부분에 배설되고, 자동차W의 연료 탱크T로 통하는 도관73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연료를 공급하는 노즐65와, 그 한쪽 끝부분은 노즐 65에 연결되고, 다른 끝부분은 공급 조정부51을 지나 밸브69를 통하여 공기 중으로 방출되는 방출 호스70을 포함하고 있다.
연료 공급 조정부51에는 연료원60으로부터 연료를 충전 호스61로 보내는 연료 유통 도관52가 설치되어 있다.
연료 유통 도관52에는 질량 유량계53, 유량 조정 밸브54, 차단 밸브55, 압력 스위치56이 설치되어 있다.
연료원60은, 연료가 서로 다른 압력, 즉 저압, 중압, 고압에서 충전된 다수개의 저장 탱크 60k, 60m, 60n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저장 탱크 60k, 60m, 60n은 교체 가능하게 연료 유통 도관52에 접속되어 있다.
노즐65는 3-웨이 밸브이며, 접속구 65a ~ 65c 중에서 접속구 65a에 충전 호스61이 접속되고, 접속구65b에 방출 호스70이 접속되어 있다. 나머지 접속구 65c는 충전구66에 위치하고, 충전구66은 자동차W의 연료 탱크T의 접속구인 리셉터클 71에 커넥터 구조에 의해 원터치로 착탈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자동차W는 잘못하여 충전 호스61과 방출 호스70을 접속한 상태에서 발진하거나 외적충격을 받거나 하여 충전 호스61, 방출 호스70에 일정 이상의 장력이 작용한 때에 연료 충전 장치가 파괴되거나, 연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전 호스61과 방출 호스70의 중간 위치에 소정의 장력이 작용하면 분리됨과 동시에, 호스 내부에 외기가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 기능을 갖는 긴급 이탈 커넥터62가 배설되어 있다.
연료 충전 장치50에서는 아래와 같은 일련의 조작으로 충전 작업이 행해진다.
대기 상태에서 연료 충전 장치50의 노즐65는, 충전 호스61과의 접속구65a가 닫히고, 자동차W측의 접속구65c와 방출 호스70측의 접속구 65b가 연통된 상태가 되게 된다.
자동차W로 연료 충전을 할 때에는 노즐65를 그 충전구66이 자동차W의 리셉터클71에 합쳐지도록 하여 접속한다.
이어서 노즐65의 핸들65d를 조작하여, 접속구65a와 접속구65c를 연통시키고, 충전 호스61과 자동차W의 리셉터클71이 연통되도록 한 후, 연료 충전 장치50의 공급 조정부51에 설치한 충전 개시 버튼(미도시)을 누르는 것에 의해, 연료원60으로부터 자동차W의 연료 탱크T로 연료를 충전한다.
연료는 공급 조정부51부터 충전 호스61, 노즐 접속구65a, 65c, 리셉터클71을 통하여 자동차W의 연료 탱크T에 충전된다.
이 충전 시에는 저장 탱크60k, 60m, 60n 중에서, 충전 개시시의 자동차W의 연료 탱크T의 압력보다도 높은, 또한 가장 연료 탱크T에 가까운 충전 압력의 저장 탱크가 사용된다. 동시에 차단 밸브55는 열리고, 방출기69는 닫힌다.
그리고 압력 스위치56에 의해 감지되는 연료 유통 도관52의 압력과 압력 스위치67에서 감지되는 저장 탱크 압력과의 차이로부터, 제어부68에 의해 유량 조정 밸브54에 공급하는 구동 공기를 제어하여 유량 조정 밸브54의 개도를 적절히 조정함과 동시에, 충전 호스61의 압력과 저장 탱크의 압력과의 압력 차이가 작아지게 되면, 충전 공급 압력이 다음으로 높은 저장 탱크로 교체되도록 하고, 순차 단계적으로 충전 압력을 높게 하여 충전을 한다.
연료는 소정의 압력치까지 충전되고, 압력 스위치56의 검출치가 소정의 압력에 도달하면, 제어부68을 통하여 압력 스위치56이 신호를 보내고 램프를 점등시켜(미도시) 충전이 종료된 것을 알림과 동시에, 차단 밸브55를 닫고 방출기69를 연다.
충전 종료 시에는 핸들65d에 의해 노즐65의 접속구를 교체한다. 즉 접속구65c와 접속구65b가 연통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노즐65의 핸들65d를 조작하고, 리셉터클71 측의 노즐의 접속구65c와 방출 호스70으로의 접속구65b를 연통하도록 교체하면, 노즐65와 자동차W의 연료 탱크T의 차단 밸브74와의 사이의 도관73에 체류하고 있는 연료는 방출 호스70을 통하여 대기로 방출된다.
이어서 리셉터클71로부터 노즐65를 떼어 내어 연료의 충전 작업이 종료한다.
노즐65는 3-웨이 밸브이기 때문에 핸들65d의 방향에 의해 접속구의 연통 방향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6은 이 연료 충전 장치50의 충전 조작 공정에 있어서 충전 호스61과 방출 호스70과의 압력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대기 상태에서 충전 호스61의 압력은 연료 탱크T의 충전 압력PF 상당의 압력을 유지하고, 충전 개시 시에 연결된 저장 탱크의 압력까지 급격히 강하하며, 순차적으로 높은 압력의 저장 탱크로 교체되어 소정의 압력까지 승압하고, 충전 종료와 동시에 그 최종 충전 압력PF가 되어 대기 상태가 된다.
한편, 방출 호스70 안의 압력은 대기 시간에 들어갈 때에는 충전 종료 시에 잔존하는 고압의 연료를 대기로 방출하기 위하여 높게 되는 것이지만, 그 이외의공정 중에는 거의 대기압이 된다.
종래의 연료 충전 장치50에 있어서는, 자동차W로의 연료 충전을 행하지 않는 대기 상태에 먼저 충전한 연료가 충전 호스61 내에 체류하고 있는 상태에 있다.
수소는 공기 중에 4.0 ~ 75.0%의 농도에서 발화원이 있으면 폭발할 가능성이 있는 가스이다. 또한 압축 천연 가스의 주성분인 메탄은, 공기 중에 5.3 ~ 14.0%의 농도에서 발화원이 있으면 폭발할 가능성이 있는 가스이다.
이 때문에 이들 가스를 호스 등의 배관 내에 체류시켜 두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현재의 자동차W용의 연료 탱크T로의 충전 압력으로, 자동차가 일회 연료 충전에 의해 주행할 수 있는 거리는 약 200㎞이다.
이 주행 거리는 자동차W에 탑재하고 있는 연료 탱크의 용량과 그 충전 압력에 따라 정해지나, 자동차W에 탑재하는 연료 탱크의 용량을 크게 하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주행 거리를 200㎞를 초과하여 연장하기 위하여 연료 탱크T로의 충전 압력을 높이는 것이 요구되며, 예를 들면 현재의 40㎫로부터 100㎫로 하면 보다 높은 충전 압력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렇지만 종래의 충전 장치50에서는 충전 압력을 높게 하면, 대기 상태에서 충전 호스61 등의 도관 내에 잔류한 연료가 높은 압력에서 그대로 체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고압 상태에서 연료를 도관 내에 체류시키면, 각 구성 기구에 사용하는 패킹에 연료가 투과에 의해 스며들고, 스며 든 연료는 충전 개시시의 압력 강하 시에 패킹 내부에서 팽창하는 것에 의해 패킹이 열화되게 된다.
특히 수소 가스는 분자가 작은 패킹에 대하여 투과성이 높기 때문에, 도관 내에 체류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았다.
또한 연료를 고압 상태에서 도관 내에 체류시킨 경우에는, 노즐65 내부가 고압이 되고, 노즐65 내부의 패킹과 당접하는 면에 대한 패킹의 압압력이 높게 되기 때문에, 노즐65의 밸브 개폐 조작 및 자동차W에 대한 착탈 조작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연료를 고압에서 충전하는 경우에 장치의 패킹 열화를 방지하고, 또한 충전 노즐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연료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연료 충전 장치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개략 구성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한 연료 충전 장치에 사용 가능한 긴급 분리 커넥터를 나타낸 것이고, 이탈한 상태의 일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3은 도1에 도시한 연료 충전 장치의 연료 충전시의 연료 송급 도관 내부의 압력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4는 도1에 도시한 연료 충전 장치의 연료 송급 도관과 연료 유통 도관과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5는 종래의 연료 충전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6은 도5에 도시한 연료 충전 장치의 연료 충전시의 충전 호스 내부와 방출 호스 내부의 압력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 … 연료 공급 조정부2 … 연료 유통 도관
3 … 질량 유량계4 … 유량 조정 밸브
5, 7, 74 … 차단 밸브6 … 압력 스위치
8, 75 … 역행 방지판9 … 연료 방출 도관
10 … 연료 충전 장치11 … 연료 송급 도관
18a, 18b … 패킹21 … 노즐
31 … 연료 누설 검출 장치W … 자동차
T … 연료탱크
본 발명의 연료 충전 장치는, 연료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연료 공급 조정부와, 연료 공급 조정부로부터의 연료를 자동차에 송급하는 연료 송급 도관과, 자동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연료 송급 도관으로부터의 연료를 자동차에 공급하는 노즐과, 연료 송급 도관 내부의 연료를 외부로 방출하는 방출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료 충전 장치는, 연료 공급 조정부가 연료를 연료 공급 도관에안내하는 연료 유통 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방출 수단은 연료 유통 도관에 접속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료 공급 조정부, 연료 송급 도관 또는 노즐에 사용하는 패킹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 수소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불소화 고무, 폴리아세탈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한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연료 공급 조정부, 연료 송급 도관 또는 노즐에 사용하는 패킹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한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료 충전 장치는, 연료 송급 도관과 연료 공급 조정부가 도전 부재로 연결되고, 연료 공급 조정부는 접지 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료 충전 장치는, 연료 공급 조정부에 연료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와, 연료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 밸브를 마련하고, 유량 조정 밸브의 개도와 상기 유량 조정 밸브의 상류측 압력, 하류측 압력의 압력 차이로부터 산출되는 연료의 유량에 기초하여 산출한 이론적 충전량과 유량계에서 검출한 실제의 충전량을 비교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료 충전 장치의 연료 누설 검출 방법은, 연료 충전 장치가 연료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연료 공급 조정부를 마련하고, 이 연료 공급 조정부는 연료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와 연료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 밸브를 마련하며, 유량 조정 밸브의 개도와 상기 유량 조정 밸브의 상류측 압력, 하류측 압력의 압력차이로부터 산출되는 연료의 유량에 기초하여 산출한 이론적 충전량과 유량계에서 검출한 실제의 충전량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연료 누설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료 충전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연료 충전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계통약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연료 충전 장치10은 연료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연료 공급 조정부1과, 연료 공급 조정부1로부터의 연료를 자동차W에 송급하는 연료 송급 도관11과, 상기 연료 송급 도관11의 끝부분에 배설된 자동차W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연료를 공급하는 노즐21과, 연료 송급 도관11 내의 연료를 외부로 방출하는 방출 수단이 되는 연료 방출 도관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료 공급 조정부1에는, 연료원60으로부터의 연료를 연료 송급 도관11에 보내는 연료 유통 도관2가 설치되어 있다. 연료 유통 도관2에는 질량 유량계3, 유량 조정 밸브4, 차단 밸브5, 압력 스위치6이 설치되어 있다.
연료원60에는, 연료가 서로 다른 압력, 즉 각각 저압, 중압, 고압으로 충전된 다수개의 저장 탱크 60k, 60m, 60n이 마련되어 있다. 저장 탱크 60k, 60m, 60n은 밸브 VK, VM, VN에 의해 교체 가능하도록 연료 유통 도관2에 접속되어 있다.
연료원60과 연료 유통 도관2를 연결하는 도관16에는 압력 스위치25가 설치되어 있다.
연료 방출 도관9에는 차단 밸브7 및 역행 방지판8이 마련되어 있고, 연료 공급 조정부1 내에서 한쪽 끝부분은 연료 유통 도관2에 접속되고, 다른 쪽 끝부분은 대기 중으로 방출되어 있다.
노즐21은 그 앞쪽 끝부분의 충전구22에서 자동차W의 리셉터클(접속부)71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노즐21 및 리셉터클71에는 이들이 분리되는 때에 대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 기구가 마련된 커넥터 구조72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료 송급 도관11의 중간부에는 긴급 분리 커넥터12가 설치되어 있다.
긴급 분리 커넥터12는 자동차W가 잘못하여 상기 연료 송급 도관11에 접속한 상태로 발진하거나 외적 충격이 부여되는 것 등에 의해 연료 송급 도관11에 소정 이상의 장력을 작용한 때에, 연료 충전 장치1이 파괴되거나 연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급 분리 커넥터12는 서로 착탈 가능한 상류측 부분12a와 하류측 부분12b를 마련하고 있다.
상류측 부분12a는 연료 유통부13a를 갖는 본체15a와 연료 유통부13a의 개구부16a를 폐지하는 상류측 차단체14a를 마련하고 있다.
하류측 부분12b는 연료 유통부13b를 갖는 본체15b와 연료 유통부13b의 개구부16b를 폐지하는 하류측 차단체14b를 마련하고 있다.
차단체14a, 14b는 진퇴 가능하며, 스프링17a, 17b에 의해 서로 접근하는 방향(전진 방향)으로 치우쳐 있다.
상류측 부분12a의 본체15a는 차단체14b를 후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압압부19a를 포함하며, 하류측 부분12b의 본체15b는 차단체14a를 후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압압부19b를 포함한다.
긴급 분리 커넥터12는 상류측 부분12a와 하류측 부분12b가 접속된 상태에서 차단체14a, 14b는 각각 후퇴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가 되도록 되어 있다.
차단체14a, 14b는 후퇴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본체15a, 15b에 설치된 개구부16a, 16b가 개방되어, 연료 유통부13a, 13b에서 연료가 유통하도록 한다.
이러한 접속 상태에서 연료가 연료 유통부13a, 13b를 흐르는 때에는 긴급 분리 커넥터12에 설치된 패킹에 연료가 접촉하게 된다.
연료가 접촉하는 가능성이 있는 패킹으로서는, 부호18a~18m으로 나타낸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연료 공급 조정부1, 연료 송급 도관11 또는 노즐21에 사용하는 패킹으로서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 수소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불소화 고무, 폴리아세탈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한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에서도 특히,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한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재료는 긴급 분리 커넥터12의 패킹18a ~ 18m에 적용된다. 또한 노즐21에 사용되는 패킹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밖에, 연료 충전 장치10의 구성 기구, 예를 들면 연료 공급 조정부1 내의 배관 연결 부분에 사용되는 패킹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재료의 사용에 의해, 고압 상태에서 연료에 접촉한 경우에도 패킹 내부로 연료가 스며들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패킹의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덕분에 장기에 걸쳐 연료 송급 도관11, 노즐21 등의 밀봉을 유지하고, 연료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연료 충전 장치10에 의한 충전 작업에 관하여 설명한다.
자동차W로 연료를 충전하는 때에는, 노즐21의 충전구22를 자동차W의 리셉터클71에 접속한다.
이어서, 연료 충전 장치10의 연료 공급 조정부1에 설치된 충전 개시 버튼(미도시)을 누르는 것에 의해, 연료 유통 도관2에 설치된 유량 조정 밸브4 및 차단 밸브5를 여는 것과 동시에, 연료 방출 도관9의 차단 밸브7을 닫는다.
이것에 의해, 저장 탱크60k, 60m, 60n으로부터의 연료를 연료 유통 도관2, 연료 송급 도관11을 통하여 자동차W에 도입하고, 도관73을 통하여 연료 탱크T에 충전한다.
연료 충전시에는, 압력 스위치6에 의해 감지되는 연료 유통 도관2의 압력과, 압력 스위치25에 감지되는 저장 탱크 압력과의 차압에 기초하여, 제어부30에 의해 유량 조정 밸브4로 공급하는 구동 공기를 제어하고 유량 조정 밸브4의 개도를 적절하게 조정하여 연료를 일정 유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료 충전을 할 때에는, 저장 탱크60k, 60m, 60n 중에서 충전 개시시의 자동차W의 연료 탱크T의 압력보다도 높게, 또한 가장 연료 탱크T에 가까운 충전 압력의 저장 탱크가 사용된다.
압력 스위치6에 의해 감지되는 연료 송급 도관11의 압력과, 압력 스위치25에서의 저장 탱크 압력의 압력차가 작게 되면, 충전 공급 압력이 다음으로 높은 저장 탱크로 교체하도록 밸브 Vk, Vm, Vn가 교체 조작되며, 순차 단계적으로 충전 압력이 높게 되도록 하여 연료가 충전되게 된다.
연료가 소정의 압력치까지 자동차W의 연료 탱크에 충전되면, 압력 스위치6이 소정의 그 압력을 감지하고, 신호를 보내어 램프 등을 점등시켜(미도시) 충전이 종료된 것을 알린다. 동시에, 자동차W의 연료 탱크T의 차단 밸브74를 닫는다.
연료 탱크T로의 충전 압력을 고압(예를 들면, 50 ~ 100㎫)으로 하는 경우에는, 연료 충전에서 연료 유통 도관2 및 연료 송급 도관11의 내부가 고압(예를 들면, 50 ~ 100㎫)이 된다.
이 후, 제어부30에 의해 연료원60의 각 저장 탱크의 밸브 Vk, Vm, Vn 및 차단 밸브5를 차단함과 동시에, 차단 밸브7을 연다.
이에 의해, 연료 송급 도관11에 체류하는 연료는 연료 방출 도관9를 통하여 대기로 방출되고, 연료 송급 도관11 내의 압력은 대기압에 가까운 값으로 저하된다.
이어서, 리셉터클71로부터 노즐21을 떼어 내면, 연료의 충전 작업이 종료되며, 이후 연료 충전을 필요로 하는 자동차가 오는 것을 대기한다.
이 대기 상태에서는, 연료 충전 도관2 및 연료 송급 도관11 내의 압력은 대기압에 가까운 값으로 유지된다.
연료 충전 장치10의 충전 작업에서의 연료 송급 도관11 내부의 압력 변화를 도3에 도시하였다.
도3에 의하면, 연료 송급 도관11 내부의 압력은 대기 상태에서는 대기압에 가까운 압력 P0가 된다.
이 압력은 충전을 개시하면, 연결된 저장 탱크의 압력까지 상승하고, 순차적으로 높은 압력의 저장 탱크로 교체되는 것에 의해, 그 저장 탱크의 압력에 상당하는 압력까지 승압되어, 소망하는 충전 압력 PF까지 상승한다.
충전 종료와 동시에, 연료 송급 도관11 내부의 연료는 연료 방출 도관9를 통하여 대기로 방출되기 때문에, 연료 송급 도관11 내부의 압력은 대기압에 가까운 P0으로 떨어져 대기 상태가 된다.
이 후, 대기, 충전을 되풀이함에 따라서, 연료 송급 도관11 내부의 압력은 P0(대기시의 압력) - PF(충전시의 압력) - P0(대기시의 압력) - PF(충전시의 압력)을 되풀이한다.
본 실시 형태의 연료 충전 장치10에서는 연료 송급 도관11 내부의 연료를 외부로 방출하는 연료 방출 도관9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연료 충전 종료 후, 연료 송급 도관 등11 내부의 연료를 바로 연료 방출 도관9로부터 방출하고, 연료 송급 도관11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에 가까워질 때까지 저하시킨 상태에서 대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대기 상태에서는 연료 충전 장치10을 구성하는 각 구성 기구에 사용하는 패킹(예를 들면, 긴급 분리 커넥터12의 패킹 18a ~ 18m)이 고압 상태의 연료에 장기간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연료가 패킹에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연료의 투과에 의한 스며듦을 원인으로 하여 패킹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연료 누설 등의 사고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대기 상태에서 노즐21 내부를 저압으로 하고, 착탈 등의 조작 등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연료 방출 도관9에 역행 방지판8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충전 종료 후 압력이 급격히 저하되어도, 연료 송급 도관11과 이것에 연결된 계통 내로의 대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계 내부를 저압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충전 작업 종료시의 압력 변화를 적게 하고, 이것의 패킹에 대한 영향을 억제하고, 패킹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역행 방지판8의 설치에 의해 다음으로 오는 자동차W에 연료를 충전하는 때에, 자동차W의 연료 탱크T로의 대기 성분의 혼입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연료 충전 시 노즐21의 충전구22와 자동차W에 배설한 역행 방지판75와의 사이에 잔존하는 대기가 연료 탱크T에 혼입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연료 탱크T에 충전하기 전에 공기가 혼입 되어 있는 경로에 '가압 충전-대기 방출' 조작을 여러 번 되풀이하는 것에 의해 대기의 혼입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조작의 회수는 가압 충전 압력과 자동차W에 허용되는 대기 성분의 양에 따라 수시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압 충전-대기 방출'의 되풀이 조작은 충전 개시 버튼(미도시)을 누르면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료 충전 장치10을 구성하는 기기 중에서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기기의 연결부, 특히 접속 부재 사이에 절연성의 밀봉 테이프를 개재시킨 연결부는 도전체로 도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접지(earth)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는 연료 유통 도관2와 연료 송급 도관11과의 연결부20을 나타낸 것으로서, 여기에 나타낸 연결부20은 연료 유통 도관2 측의 접속 부재2a와 연료 송급 도관11측의 접속 부재11a가 밀봉 테이프(미도시)를 통하여 나사에 의해 결합한 상태로 접속되어 있다.
접속 부재2a는 연료 공급 조정부1을 통하여 접지(earth)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연결부20에는 금속 등의 도전체로 이루어진 선 형상의 도전 부재23의 한쪽 끝부분 및 다른 쪽 끝부분이, 접속 부재2a와 접속 부재11a에 매달려 있고, 이것에 의해 접속 부재2a와 접속 부재11a와의 사이가 도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료 송급 도관11은 관 형상의 수지제, 또는 고무제의 본체와 그 원주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금속제의 보호 철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세로 방향으로 도전 가능하게 된다. 즉 연료 송급 도관은 수지성 보다도 고무제 편이 유연성이 있으므로, 조작성을 고려하면 고무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 부재23을 이용하여 연료 유통 도관2와 연료 송급 도관11을 연결하는 것에 의해, 연료 송급 도관11, 노즐21 등의 구성 기구에서, 연료가 흐르는 때와 노즐 접속 시의 마찰로 발생하는 정전기를 접속 부재11a, 도전 부재23, 접속 부재2a, 연료 공급 조정부1을 통하여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자동차W 측에서 정전기가 발생한 경우(예를 들면 자동차W의 리셉터클71에 노즐21을 접속하는 때에 정전기가 발생한 경우), 이 정전기를 연료 송급 도관11, 접속 부재11a, 도전 부재23, 접속 부재2a, 연료 공급 조정부1을 통하여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정전기를 원인으로 하는 발화 사고를 방지하고, 안전하게 연료 충전 장치10을 운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는 두 개의 접속 부재가 밀봉 테이프를 통하여 접속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2개의 접속 부재가 O링을 통하여 접속한 경우에도 유사하게 정전기를 제거하고, 발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료 충전 장치10에는 계 내에서의 연료 누설을 검출하는 연료 누설 검출 장치31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료 누설 검출 장치31은 유량 조정 밸브4로부터 상류측인 연료 유통 도관2의 압력을 압력 스위치25에서 감지하고, 유량 조정 밸브4로부터 하류측의 압력은 압력 스위치6에서 감지하여, 이들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제어부30으로 송신한다.
유량 조정 밸브4의 개도를 일정(유량Q)하게 한 때에 유량 조정 밸브4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차압에 따른 연료의 순간 유량이 결정된다.
제어부30에서는 미리 순간 유량과 차압과의 관계에 관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작성하여 두고, 압력 스위치25와 압력 스위치6의 검출 치로부터 산출된 충전시의차압을 순차적으로 읽고, 이 차압과 유량(Q)으로부터 산출된 순간 유량을 계산하는 것에 의해 이론적 충전량(F0)을 계산하여 기록한다.
한편 질량 유량계3에서는 연료가 연료원60으로부터 실제로 공급된 충전량(F)이 계측되며, 이 실제로 측량한 충전량(F)은 제어부30에 송신된다.
제어부30에서는 이론 충전량(F0)과 실측 충전량(F)을 비교하여, 그 차이 ΔF= F0 - F를 계산하고, 이를 누설량(ΔF)로서 표시부32에 표시한다.
연료 누설 검출 장치31에서는 이론 충전량(F0)과 실측 충전량(F)을 비교하여, 연료 누설을 검출한다. 즉 이론 충전량(F0)과 실제 충전량(F)과의 차이 ΔF의 크기에 의해 연료 누설의 유무를 측정한다. 예를 들면, 차이 ΔF가 규정치α를 초과한 때(또는 못 미치는 때)에는, 연료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연료 누설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연료 누설이 일어나기 쉬운 곳에 설치된 연료 센서에 의해 연료 누설을 검출하는 종래의 검출 방법에 비하여, 여기에 개시한 검출 장치31을 이용한 검출 방법에서는 이론 충전량(F0)과 실측 충전량(F)과의 비교에 의해 연료 누설을 검출하기 때문에, 연료 누설이 발생한 곳에 관계없이 연료 누설을 바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차이 ΔF가 규정치α를 초과한 시점(또는 못 미치는 때)에 경보를 울리도록 하면 연료의 누설 검출을 조속히 행할 수 있다.
특히, 이 시점에서 차단 밸브5를 조작하여 연료의 공급을 막으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데이터의 가스 온도를 측정하고, 온도 보정을 하는 것에 의해 보다 엄밀하게 감시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누설 검출 방법은 자동차W의 연료 충전 장치1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른 연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도 적용이 가능하고, 안전한 연료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패킹의 내구성 시험을 다음에 나타내었다. 시험에 이용한 표본을 이하에 나타내었다.
(1) 고무계 재료
(a) 재질: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 수소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불소화 고무, 염소화 부틸
(b) 형상: 아령(JIS K 6251 3호형) 및 O 링(AS568A-116)
(2) 수지계 재료
(a) 재질: 폴리옥시메틸렌(폴리아세탈), 나일론(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b) 형상: 아령(ASTM1형 두께 3㎜)
(3) 수지(피복)계 재료
(a) 재질: 본체; 실리콘 수지, 불소화 수지, 피복; 테프론(등록 상표)
(b) 형상: O 링(AS568A-116)
시험 방법은 이하와 같다.
표본을 용기에 넣고, 이 용기 안에 수소 가스를 충전하며, 이 압력을 35㎫로 한 상태에서 1주간 방치한 후, 용기 내의 수소 가스를 배출시킨다. 수소 가스를 배출할 때에는 용기 내의 압력이 급격히 감소하도록 약 30분에 걸쳐 배출을 완료하였다.
아령 형상의 표본에 관하여는 외관, 장력의 세기, 신장, 평행 부분의 두께, 평행 부분의 폭 및 굳기를 평가하였다. O링 형상의 표본에 관하여는 외관, 두께, 및 내경을 평가하였다.
장력의 세기 및 신장의 시험 방법은 JIS K 6258에 의하였다.
이 시험에서 고무계 재료로 된 아령 형상의 표본의 경우, 기준 사이의 거리를 20㎜로 하고, 장력 속도를 500㎜/분으로 하였다. 수지계 재료로 된 아령 형상의 표본의 경우에는 기준 사이의 거리를 50㎜로 하고, 장력 속도를 10㎜/분으로 하였다.
두께는 다이얼 게이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폭 및 내경은 투영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굳기는 월리스 경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의 각 평가 시험에서는 3개의 표본을 샘플로 하여 이용하였다. 또한 시험 전의 측정치와 시험 후의 측정치로부터, 각 항목에 관하여 시험 전후의 변화량 및 변화율을 산출하였다. 시험 결과를 표1~5에 나타내었다.
표본 재질 종별 형상 외관 장력의 세기 신 장
시험전(㎫) 시험후(㎫) 변화율(%) 시험전(%) 시험전(%) 변화율(%)
123 NBR 고무 아령 - 20.420.720.1 19.618.819.6 -4-9-2 365378358 349321355 -4-15-1
456 NBR 고무 아령 - 17.521.718.8 18.116.218.5 4-25-1 168213168 170152178 1-296
789 HNBR 고무 아령 배껍질(梨地) 20.319.519.9 17.418.819.9 -14-40 166154150 149147156 -10-54
101112 HNBR 고무 아령 발포가 매우 많음 22.121.322.8 12.518.220.6 -43-15-10 143140149 82115138 -43-18-7
131415 EPR 고무 아령 - 19.117.419.6 18.517.917.3 -33-12 238228238 231223217 -3-2-9
161718 EPR 고무 아령 일부발포 15.815.615.5 14.814.114.9 -6-10-4 143153143 135130135 -6-15-6
192021 FKM 고무 아령 - 16.013.814.8 12.515.015.6 -2285 320284289 220498316 -31769
222324 FKM 고무 아령 일부배껍질(梨地) 15.115.215.0 14.713.814.8 -2-9-2 262280265 268315266 2130
252627 FKM 고무 아령 - 17.516.416.2 14.914.914.9 -15-9-8 212183199 179170177 -16-7-11
282930 BC 고무 아령 - 16.315.816.3 11.913.211.1 -27-16-32 232227230 222180168 -4-21-27
NBR: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FKM: 불소화 고무
HNBR: 수소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고무: 고무계 재료
EPR: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BC: 염소화 부틸
표본 재질 종별 형상 두 께 굳 기
시험전(㎜) 시험후(㎜) 변화율(%) 시험전(㎜) 시험후(㎜) 변화율(%) 시험전(-) 시험후(-) 변화량(-)
123 NBR 고무 아령 2.2052.2502.172 2.2532.3032.213 222 5.0705.0155.060 5.1045.0205.065 100 68.069.068.5 69.070.069.0 110.5
456 NBR 고무 아령 2.1702.2002.190 2.3072.3332.323 666 5.0545.0525.054 5.1965.1905.208 333 84.083.584.0 86.084.086.0 20.52
789 HNBR 고무 아령 2.5302.5102.470 2.4802.5172.543 -203 5.0435.0555.051 5.0465.0065.121 0-11 73.073.073.0 74.075.074.0 121
101112 HNBR 고무 아령 2.2302.1802.350 2.2172.1802.347 -100 5.0425.0475.044 5.0684.9995.104 1-11 83.584.085.0 87.086.087.0 3.522
131415 EPR 고무 아령 2.3402.2132.345 2.3332.2102.343 000 5.0545.0515.059 5.0745.1195.087 011 72.071.070.5 73.074.074.0 133.5
161718 EPR 고무 아령 2.0622.0722.100 2.0632.0702.103 000 5.0395.0375.045 5.0225.0445.085 001 72.074.578.0 87.086.086.0 1511.58
192021 FKM 고무 아령 2.1052.0622.060 2.1702.1302.137 334 5.0515.0665.073 5.1195.1375.182 112 66.066.066.0 67.068.068.0 122
222324 FKM 고무 아령 2.0752.1602.100 2.1402.2272.170 333 5.0675.0615.065 5.1425.1515.142 122 84.084.584.5 86.086.084.0 21.5-0.5
252627 FKM 고무 아령 2.4102.3902.420 2.4872.4932.497 343 5.1355.0815.139 5.1955.1945.116 120 79.581.081.0 81.082.083.0 1.512
282930 BC 고무 아령 2.3501.8802.010 2.6432.0872.287 121112 5.1735.1895.166 5.6505.5075.756 9611 66.566.066.0 62.063.062.0 -4.5-3-4
NBR: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FKM: 불소화 고무
HNBR: 수소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BC: 염소화 부틸
EPR: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고무: 고무계 재료
표본 재질 종별 형상 외관 두 께 내 경
시험전(㎜) 시험후(㎜) 변화율(%) 시험전(㎜) 시험후(㎜) 변화율(%)
313233 NBR 고무 O 링 - 2.6052.6132.602 2.6002.6102.595 -0.19-0.11-0.25 18.77918.75318.730 18.79118.74718.698 -0.05-0.03-0.17
343536 NBR 고무 O 링 - 2.6652.6472.655 2.6952.6752.685 1.131.061.15 18.75018.78018.727 18.81918.83518.784 0.370.290.31
373839 HNBR 고무 O 링 - 2.6402.6282.617 2.6352.6202.615 -0.19-0.30-0.08 18.70318.69718.733 18.65918.64918.729 -0.24-0.25-0.02
404142 HNBR 고무 O 링 - 2.6262.6312.629 2.6152.6352.640 -0.420.150.42 18.73818.72518.695 18.70618.69418.689 -0.17-0.17-0.03
434445 EPR 고무 O 링 - 2.6292.6342.644 2.6302.6352.645 0.040.040.06 18.71118.76318.639 18.69218.76018.626 -0.10-0.02-0.07
464748 EPR 고무 O 링 - 2.6422.6572.626 2.6352.6452.625 -0.25-0.43-0.02 18.71818.67218.712 18.70718.65018.865 -0.06-0.120.81
NBR: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HNBR: 수소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EPR: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고무: 고무계 재료
표본 재질 종별 형상 외관 두 께 내 경
시험전(㎜) 시험후(㎜) 변화율(%) 시험전(㎜) 시험후(㎜) 변화율(%)
495051 FKM 고무 O 링 - 2.6052.6162.618 2.5952.6102.615 -0.38-0.23-0.10 18.53318.46518.513 18.50518.45518.479 -0.15-0.06-0.18
525354 FKM 고무 O 링 - 2.6432.6332.634 2.6502.6602.645 0.281.040.42 18.61418.62918.581 18.69618.67718.633 0.440.260.28
555657 FKM 고무 O 링 - 2.5422.5422.541 2.5452.5552.560 0.140.510.77 18.46718.50318.470 18.52418.55618.481 0.310.290.06
585960 BC 고무 O 링 발포가 많음 2.5732.5822.574 2.6502.6502.635 3.012.632.39 18.69618.70018.664 19.15719.16919.044 2.472.512.03
616263 *1 피복 O 링 파손 3.6453.6143.573 3.6403.5803.565 -0.12-0.93-0.21 --- --- ---
64656667 *2 피복 O 링 파손 3.6193.5913.6973.654 3.6653.6003.7503.720 1.270.251.431.81 ---- ---- ----
FKM: 불소화 고무
BC: 염소화 부틸
*1: 본체는 실리콘 수지, 피복은 테프론
*2: 본체는 불소화 수지, 피복은 테프론
고무: 고무계 재료
피복: 수지(피복)계 재료
표본 재질 종별 형상 외관 장력의 세기 신 장 두 께
시험전(㎫) 시험후(㎫) 변화율(%) 시험전(%) 시험후(%) 변화율(%) 시험전(㎜) 시험후(㎜) 변화율(%) 시험전(㎜) 시험후(㎜) 변화율(%)
686970 POM 수지 아령 - 87.587.788.5 56.856.957.3 -35-35-35 426161 9411094 1248155 3.1653.1653.165 3.3433.1773.240 602 12.7312.7312.73 12.7012.7712.72 000
717273 PA 수지 아령 - 103.296.197.6 88.088.285.6 -15-8-12 --- --- --- 4.0054.0004.005 3.9733.9803.977 -10-1 9.9299.9519.942 9.8819.9429.919 000
747576 PA 수지 아령 - 210.7220.3227.0 212.4190.1203.2 1-14-10 --- --- --- 3.9153.9073.915 4.0234.0134.027 333 10.019.9809.994 9.9619.9789.985 -100
777879 PPS 수지 아령 일부발포 77.579.478.6 75.376.373.3 -2.8-3.9-6.7 -431 777 -292181822 3.1083.1103.100 3.1403.1273.157 112 12.6312.5512.62 12.6812.6512.59 010
POM: 폴리옥시메틸렌(폴리아세탈)
PA: 폴리아미드
PPS: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수지계 재료
표1~5에 나타낸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기준에 의하여 각 표본을 평가하였다.
(a) 외관: 발포, 갈라진 금 등의 이상이 없는 것
(b) 장력의 세기: 제품 규격에 비하여 대폭의 감소가 없는 것
(c) 신장: 제품 규격에 비하여 대폭의 감소가 없는 것
(d) 두께: 시험 전의 치수에 비하여 대폭의 변화가 없는 것
(e) 폭 또는 내경: 시험 전의 치수에 비하여 대폭의 변화가 없는 것
(f) 굳기: 제품 규격에 비하여 대폭의 경화 또는 연화가 없는 것
상기 시험 결과에 의해 이하의 고찰이 가능하다.
(1)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 수소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불소화 고무, 폴리옥시메틸렌(폴리아세탈), 나일론(폴리아미드)은 기계적 특성(장력의 세기, 신장, 굳기)과 치수의 변화가 작고, 외관상의 변화도 비교적 작다.
(2) 특히,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나일론(폴리아미드)은 기계적 특성과 치수의 변화가 작고, 외관상의 변화도 비교적 작다.
(3)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를 이용하는 경우, 시험 전의 굳기가 75이하인 표본1~3은 굳기가 75를 초과하는 표본4~6에 비해, 기계적 특성의 변화가 작다.
(4)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를 이용하는 경우, 시험 전의 굳기가 72이하인 표본13~15는 굳기가 72를 초과하는 표본에 비해, 기계적 특성의 변화가 작고, 외관상의 변화도 작다.
(5) 수지(피층)계 재료를 이용하는 경우, 피층의 파손이 발생하였다.
(6) 염소화 부틸은 장력의 세기, 신장, 두께의 감소가 크다. 또한 O 링 형상의 것에 관하여는 발포가 발견되었다.
(7) 폴리페닐렌설파이드는 장력의 세기의 감소가 크다.
또한, 이들 고찰은 특정의 시험으로부터 얻어진 것은 아니며 상기 각 시험의결과를 종합하여 얻어진 판단에 기초한 것이다. 또한 폴리아미드 수지의 신장 시험은 측정치의 신뢰성이 낮기 때문에 표5로부터 삭제하였다.
본 발명의 연료 충전 장치는 연료 송급 도관 내부의 연료를 외부로 방출하는 방출 수단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연료 충전 종료 후, 연료 송급 도관 등 내부의 연료를 바로 방출하고, 연료 송급 도관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에 가깝게 저하시킨 상태에서 대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덕분에, 대기 상태에서 연료 충전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 기구에 사용하는 패킹이 고압상태의 연료에 장시간 노출되는 것을 막고, 연료가 패킹에 스며드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연료의 스며듦을 원인으로 패킹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연료 누설 등의 사고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대기 상태에서 노즐 내부를 저압으로 하고, 노즐 착탈 등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7)

  1. 수소 가스 또는 압축 천연 가스를 연료로써 자동차의 연료 탱크에 충전하는 연료 충전 장치로서,
    연료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연료 공급 조정부,
    상기 연료 공급 조정부로부터 연료를 자동차에 송급하는 연료 송급 도관,
    자동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료 송급 도관으로부터의 연료를 자동차에 공급하는 노즐, 및
    상기 연료 송급 도관 내의 연료를 외부로 방출하는 방출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 조정부는 연료를 연료 송급 도관에 안내하는 연료 유통 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방출 수단은 상기 연료 유통 도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충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 조정부, 연료 송급 도관 또는 노즐에 사용하는 패킹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 수소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불소화 고무, 폴리아세탈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한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충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 조정부, 연료 송급 도관 또는 노즐에 사용하는 패킹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한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충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송급 도관과 연료 공급 조정부는 도전 부재로 연결되고, 상기 연료 공급 조정부는 접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충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 조정부에 연료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와, 연료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 밸브를 마련하고,
    상기 유량 조정 밸브의 개도와 상기 유량 조정 밸브의 상류측 압력, 하류측 압력의 압력 차이로부터 산출되는 연료의 유량에 기초하여 산출한 이론적 충전량과 상기 유량계에서 검출한 실제의 충전량을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충전 장치.
  7. 수소 가스 또는 압축 천연 가스를 연료로써 자동차의 연료 탱크에 충전하는 연료 충전 장치의 연료 누설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연료 충전 장치는 연료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연료 공급 조정부를 마련하고,
    상기 연료 공급 조정부는 연료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와 연료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 밸브를 마련하며,
    상기 유량 조정 밸브의 개도와 상기 유량 조정 밸브의 상류측 압력, 하류측 압력의 압력차이로부터 산출되는 연료의 유량에 기초하여 산출한 이론적 충전량과 상기 유량계에서 검출한 실제의 충전량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연료 누설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누설 검출 방법.
KR1020030015424A 2002-03-13 2003-03-12 연료 충전 장치 및 연료 누설 검출 방법 KR1009236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69086 2002-03-13
JPJP-P-2002-00069086 2002-03-13
JP2003041014A JP2003336795A (ja) 2002-03-13 2003-02-19 燃料充填装置および燃料漏れ検出方法
JPJP-P-2003-00041014 2003-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388A true KR20030074388A (ko) 2003-09-19
KR100923645B1 KR100923645B1 (ko) 2009-10-28

Family

ID=28043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5424A KR100923645B1 (ko) 2002-03-13 2003-03-12 연료 충전 장치 및 연료 누설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04944B2 (ko)
JP (1) JP2003336795A (ko)
KR (1) KR100923645B1 (ko)
CN (1) CN1285853C (ko)
CA (1) CA242138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93502A1 (en) * 2002-09-25 2004-04-22 Taiyo Nippon Sanso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fuel
US7527056B2 (en) * 2006-08-16 2009-05-05 Rescure Air Systems, Inc. Breathable air safety system and method having an air storage sub-system
JP2008049869A (ja) * 2006-08-25 2008-03-06 Toyota Motor Corp レセプタクル
JP4614978B2 (ja) 2007-02-08 2011-0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高圧水素容器用シール材料及び高圧水素容器
JP4811604B2 (ja) * 2007-07-31 2011-11-09 株式会社タツノ・メカトロニクス ガス充填システム
JP4311486B2 (ja) * 2007-09-25 2009-08-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ガス燃料車両
US7621302B2 (en) * 2007-09-28 2009-11-24 Airgas, Inc. Coriolis dosing system for filling gas cylinders
JP2009138755A (ja) * 2007-12-03 2009-06-25 Chuo Motor Wheel Co Ltd Dme燃料充填システム
CN102245958B (zh) * 2008-12-11 2013-10-23 丰田自动车株式会社 气体填充系统以及燃料补给站
JP5427158B2 (ja) * 2010-10-19 2014-02-2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燃料ガス供給充填システム
EP2683977A1 (en) * 2011-03-11 2014-01-15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Hydrogen dispensing process and system
JP5839546B2 (ja) * 2011-06-30 2016-01-0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水素ステーション
US20130187075A1 (en) * 2012-01-23 2013-07-25 Jomar International, Ltd. Dielectric union valve for liquid propane
US10214410B2 (en) * 2012-02-08 2019-02-26 Brigham Young University Self calibrating fuel dispensing method and system
DE102013002431A1 (de) * 2013-02-12 2014-08-14 Linde Aktiengesellschaft Befüllung von Speicherbehältern mit einem gasförmigen, unter Druck stehenden Medium, insbesondere Wasserstoff
CA3002762A1 (en) * 2013-03-15 2014-09-15 Bpc Acquisition Company Lng dispenser
KR102392438B1 (ko) 2013-05-17 2022-04-28 엔테그리스, 아이엔씨. 고압 bf3/h2 혼합물의 제조
US9464609B2 (en) * 2013-09-06 2016-10-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uel delivery system including integrated check valve
JP5886820B2 (ja) * 2013-12-13 2016-03-1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ガス充填装置及びガス充填方法
CN106030186B (zh) * 2014-02-21 2019-04-30 株式会社神户制钢所 气体供给系统以及加氢站
CN103822090B (zh) * 2014-03-11 2016-06-29 成都深冷凌泰机电科技有限公司 自动检测内漏的液化天然气加气机及其检测内漏的方法
CN106170658B (zh) * 2014-04-09 2019-06-28 沃尔沃卡车集团 排放和重新填充车辆燃料箱低温燃料的工具、系统和方法
WO2015170670A1 (ja) * 2014-05-07 2015-11-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ガス充填システム及び燃料ガス充填方法
JP6352699B2 (ja) * 2014-06-30 2018-07-04 株式会社キッツ ボールバルブ用ボールシートの固着構造とその固着方法及びトラニオン型ボールバルブとこのバルブを用いた水素ステーション
CN104763875B (zh) * 2014-11-29 2016-08-17 山东泰山钢铁集团有限公司 液化天然气或煤气卸液方法
JP6333714B2 (ja) * 2014-12-15 2018-05-30 岩谷産業株式会社 試料採取装置及び試料採取方法
JP6526984B2 (ja) 2015-02-20 2019-06-0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ガス充填システム
FR3033867B1 (fr) * 2015-03-17 2018-06-29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Procede de remplissage de reservoirs avec du gaz sous pression
FR3033866B1 (fr) 2015-03-17 2017-03-10 Air Liquide Procede et dispositif de remplissage de reservoirs
JP6150839B2 (ja) * 2015-04-14 2017-06-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充填システム及びその燃料充填方法
KR20170000967U (ko) 2015-09-04 2017-03-14 주식회사 경동도시가스 압축천연가스 충전기의 가스 주입 장치
CN105423123A (zh) * 2015-12-18 2016-03-23 陕西铭泽燃气工程有限公司 一种压缩天然气地下储气及供气装置
US9903395B2 (en) * 2016-02-24 2018-02-27 Mac Valves, Inc. Proportional pressure controller with isolation valve assembly
FI126967B (en) * 2016-03-03 2017-08-31 Skangas AS Pneumatic emergency stop system
JP2017180748A (ja) * 2016-03-31 2017-10-0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メジャメント株式会社 燃料ガス充填装置
US10364906B1 (en) 2016-07-13 2019-07-30 Engineered Controls International, Llc Dielectric regulator
KR101813932B1 (ko) * 2016-08-10 2018-01-31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가스충전 측정 시스템
DE102016220259A1 (de) * 2016-10-17 2018-04-1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r Tankanlage
JP6516207B2 (ja) * 2016-11-16 2019-05-22 株式会社タツノ 充填装置
FR3065068B1 (fr) * 2017-04-07 2019-08-02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Procede pour mesurer la quantite de gaz introduite dans un reservoir et station de remplissage
JP6575825B2 (ja) * 2017-07-11 2019-09-18 株式会社タツノ 充填装置
CN108775506A (zh) * 2018-03-16 2018-11-09 浙江昊凡科技有限公司 一种加氢站氢能源快速充装的方法及系统
CN108843969B (zh) * 2018-08-17 2024-04-19 熊绪军 一种醇基液体燃料灌装机
JP6800254B2 (ja) * 2019-01-25 2020-12-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ガスの充填方法
CN109723964A (zh) * 2019-01-31 2019-05-07 郑州大学 一种甲醇或液氨用充装装置及其充装方法
JP6600430B1 (ja) 2019-02-01 2019-10-30 岩谷産業株式会社 水素ガスディスペンサーの検査装置
FR3093160B1 (fr) * 2019-02-26 2021-01-22 Air Liquide Procédé et dispositif de remplissage de réservoirs avec du gaz sous pression.
CN110526197A (zh) * 2019-09-04 2019-12-03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海洋平台用加油系统
CN112324745B (zh) * 2019-09-24 2022-06-10 杨丽璇 便携式液压系统泄漏信号采集装置及其采集方法
JP7477953B2 (ja) 2019-10-03 2024-05-02 大陽日酸株式会社 水素ステーションの気密試験方法
CN111376797B (zh) * 2020-03-24 2021-10-29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氢燃料电池汽车氢泄露检测控制方法及其系统
CA3185964A1 (en) 2020-07-13 2022-01-20 Darryl E. POLLICA Hydrogen fueling systems and methods
US20230272883A1 (en) * 2020-10-27 2023-08-31 H2 Clipp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hydrogen
JP7341193B2 (ja) * 2021-08-30 2023-09-08 岩谷産業株式会社 船舶用ガス充填装置
CN115451329A (zh) * 2022-08-17 2022-12-09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百色供电局 一种自动控制sf6设备带电充气装置
CN117432932B (zh) * 2023-12-18 2024-03-15 北京海德利森科技有限公司 一种加氢站及加氢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0742A (en) * 1973-04-04 1975-01-14 Jonas Medney Connection of plastic pipes with ground wires embedded therein
US5201493A (en) * 1992-03-12 1993-04-13 Kim Young M Electrically insulated ball valve device
JP3571453B2 (ja) * 1996-03-19 2004-09-29 トキコテクノ株式会社 ガス供給装置
JP3688824B2 (ja) 1996-09-27 2005-08-31 トキコテクノ株式会社 ガス供給装置
JP3517773B2 (ja) * 1998-04-07 2004-04-12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ホース用樹脂製継手
JP2000074009A (ja) * 1998-08-31 2000-03-07 Mitsubishi Plastics Ind Ltd 耐熱用エアシリンダー
JP2000104746A (ja) * 1998-09-30 2000-04-11 Ntn Corp 針状ころ軸受
US6152191A (en) * 1999-04-07 2000-11-28 Fuelmake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prevention of venting of gaseous fuel to atmosphere from a vehicle tank at completion of a fuelling process
JP2001275743A (ja) 2000-03-29 2001-10-09 Shiseido Co Ltd パッキン付き容器
US6401767B1 (en) * 2001-05-22 2002-06-11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grounding compressed fuel fueling op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209282A1 (en) 2003-11-13
CA2421385A1 (en) 2003-09-13
CA2421385C (en) 2008-04-22
JP2003336795A (ja) 2003-11-28
CN1285853C (zh) 2006-11-22
US6904944B2 (en) 2005-06-14
KR100923645B1 (ko) 2009-10-28
CN1443964A (zh) 2003-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645B1 (ko) 연료 충전 장치 및 연료 누설 검출 방법
US585003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kage testing of pressurized/suction piping systems
US90452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uelling an aircraft tank system
WO2015036669A1 (fr) Dispositif d'échantillonnage de gaz et station de remplissage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CN110985881A (zh) 一种气体加注系统以及加注方法
US20100043912A1 (en) Kit and device for connecting and transferring fluid and the use of said device
EP1450097A2 (en) Fuel filling device and fuel leakage detection method
CN211600219U (zh) 一种气体加注系统
JP4811604B2 (ja) ガス充填システム
KR100831567B1 (ko) 연료전지차량용 연비측정 장치 및 방법
JP2009074586A (ja) ガス供給装置
CA2328269C (en) Fuel system leakage detector
CN106855483B (zh) 氢气压力疲劳破断及氢致滞后断裂敏感性试验装置及方法
KR20110038736A (ko) 진공 시스템의 전체 누출률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진공 시스템
KR101659368B1 (ko) 플랜트용 스팀관의 누증 보수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누증 보수 장치 및 방법
US9242552B2 (en) Insert for a capless fuel tank filler neck to test a fuel tank for leaks
KR100778553B1 (ko) 관로용 수밀시험장비
KR102233305B1 (ko) 고압 수소 용기용 라이너 투과성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고압 수소 용기용 라이너 투과성 시험방법
US6978665B2 (en) Hydrogen supply apparatus and hydrogen supply method for measuring fuel consumption of hydrogen fuel vehicle
JPH11183301A (ja) 燃料ガスの漏れ検出方法と燃料ガスの漏れ検出を容易にする燃料ガス圧縮装置及び燃料タンク
KR102311799B1 (ko)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의 리크 검사 장치
KR100317955B1 (ko) 가스배관의누설방지및감지장치
CN105526491B (zh) 液压式天然气汽车加气子站回油系统及回油方法
RU2157981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для испытания герметичности замкнутых объемов
CN114062056B (zh) 一种适用于负压和正压气体管道的取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