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0587A - 프로텍터 및 유치 바늘 조립체 - Google Patents

프로텍터 및 유치 바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0587A
KR20030070587A KR10-2003-7008072A KR20037008072A KR20030070587A KR 20030070587 A KR20030070587 A KR 20030070587A KR 20037008072 A KR20037008072 A KR 20037008072A KR 20030070587 A KR20030070587 A KR 20030070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protector
tip
posture
need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8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7691B1 (ko
Inventor
무라시타다카토
Original Assignee
데루모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루모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데루모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0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0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6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7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freely sliding on needle shaft without connection to syringe or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45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e.g. to improve manipulation or functioning
    • A61M2005/3247Means to impede repositioning of protection sleeve from needle covering to needle uncovering position
    • A61M2005/3249Means to disalign the needle tip and the distal needle passage of a needle protection sleeve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으로 사용후의 바늘 몸체의 바늘 끝을 수납할 수 있고, 폐기 처리 등을 할 때 안전성이 높은 프로텍터 및 유치 바늘 조립체를 제공한다.
선단에 예리한 바늘 끝을 갖는 바늘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제1의 자세와, 상기 바늘 몸체의 바늘 끝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바늘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적인 이동이 금지되는 제2의 자세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프로텍터로서, 상기 바늘 몸체가 관통 가능한 구멍이 형성된 판 형상의 브레이크부를 가지며, 상기 제2의 자세에 있을 때 상기 바늘 몸체에 대한 상기 브레이크부의 경사각도가 상기 제l의 자세의 때보다 작아지는 것에 의하여, 상기 브레이크부의 구멍의 내면과 상기 바늘 몸체의 외주면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 또는 증대하여, 이것에 의해 상기 바늘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적인 이동이 금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프로텍터 및 유치 바늘 조립체{PROTECTOR AND STORAGE NEEDLE ASSEMBLY}
환자에 대하여 수액을 행하거나 할 때에는 수액 라인과 접속된 유치 바늘을 환자의 혈관에 관통 삽입하여 억류시킨 상태로 행한다. 이와 같은 유치 바늘은, 중공의 외측 바늘과, 외측 바늘의 기단(基端)에 고정된 외측 바늘 허브와, 상기 외측 바늘 내에 삽입되어 선단에 예리한 바늘 끝을 갖는 내측 바늘과, 내측 바늘의 기단에 고정된 내측 바늘 허브로 구성되어 있다.
이 유치 바늘을 환자의 혈관에 관통 삽입할 때에는, 내측 바늘을 외측 바늘 내에 삽입하고, 내측 바늘의 바늘 끝을 외측 바늘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킨 상태에서 관통 삽입하는 조작을 행한다. 그리고, 내측 바늘의 바늘 끝이 혈관 내에 도달하면 바늘 끝의 개구로부터 유입되는 혈액은 내측 바늘의 내공을 통과하여 투명한 내측 바늘 허브의 내부로 유입된다(플래시백).이로써, 내측 바늘이 혈관을 확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플래시백을 확인하면, 내측 바늘 및 외측 바늘을 조금 더 진행시켜 외측바늘의 선단을 혈관 내에 삽입한다. 뒤이어, 외측 바늘을 손으로 파지하면서 내측 바늘 외측 바늘로부터 빼내어 외측 바늘 허브에 수액 라인의 커넥터를 접속한다. 그리고, 접속된 수액 라인 및 외측 바늘을 이용하여 수액의 투여를 행한다.
그런데, 외측 바늘로부터 빠져 나온 내측 바늘은 불필요하기 때문에 폐기하도록 되지만, 이것을 그대로 폐기하면 폐기 작업자 등이 잘못하여 내측 바늘의 바늘 끝으로 손가락 등을 찌르는 사고가 일어날 우려가 있다. 특히, 내측 바늘의 표면이나 내부에는 혈액이 부착 ·잔류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실수로 인한 찔림에 의해 감염을 일으킬 우려도 있다. 따라서, 사용이 끝난 내측 바늘은 바늘 끝에 찔리지 않도록 경질의 튼튼한 전용 용기에 수납하여 폐기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러한 전용 용기를 항상 휴대하고서 각 환자에게 유지시키는 것은 업무의 효율화의 관점으로부터 곤란하기 때문에, 현재 상태로는 사용이 끝난 내측 바늘은 유치 바늘 키트를 수납하고 있던 개봉이 끝난 포장재에 넣고 폐기하거나 또는 바늘 끝에 캡을 씌워 파기하는 등의 대책이 취해지고 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내측 바늘을 포장재로 감싸는 작업이나 캡을 씌우는 작업 시에도 내측 바늘의 바늘 끝으로 작업자의 손을 실수로 찌르거나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안 되며, 사용 후의 내측 바늘의 폐기 처리에 막대한 수고를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조작으로 사용후의 바늘 몸체의 바늘 끝을 수납할 수 있고, 폐기 처리 등을 할 때에도 안전성이 높은 프로텍터 및 이러한 프로텍터를 구비한 유치 바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프로텍터 및 유치(留置) 바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수액(輸液)이나 채혈 시에 혈관 등에 관통 삽입하여 사용되는 바늘 몸체의 프로텍터 및 이를 구비한 유치 바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를 갖는 관통삽입구(주사 바늘)를 나타내는 측면도(사용 상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를 갖는 관통삽입구(주사 바늘)를 나타내는 측면도(바늘 끝 수납 상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를 갖는 관통삽입구(주사 바늘)를 나타내는 측면도(사용 상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를 갖는 관통삽입구(주사 바늘)를 나타내는 측면도(바늘 끝 수납 상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를 갖는 관통삽입구(주사 바늘)를 나타내는 측면도(사용 상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를 갖는 관통삽입구(주사 바늘)를 나타내는 측면도(바늘 끝 수납 상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를 바늘 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측면도이고, 프로텍터는 제1의 자세로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를 바늘 몸체에 장착한 상태를나타내는 측면도이고, 프로텍터는 제1의 자세로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를 바늘 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프로텍터는 제1의 자세로 도시되어 있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프로텍터를 제2의 자세로 나타낸 단면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를 바늘 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측면도이고, 프로텍터는 제2의 자세로 도시되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유치 바늘 조립체(조립 상태)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그림 12에 도시된 유치 바늘 조립체에 있어서, 내측 바늘 허브를 외측 바늘 허브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기단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프로텍터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기 위한 본 발명의 유치 바늘 조립체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연결 수단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기 위한 조립 상태에서의 외측 바늘 허브 부근의 종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목적은 하기의 (1)∼(25)의 본 발명에 의하여 달성된다.
(1) 선단에 예리한 바늘 끝을 갖는 바늘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제1의 자세와, 상기 바늘 몸체의 바늘 끝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바늘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적인 이동이 금지되는 제2의 자세로 변위 가능한 프로텍터에 있어서,
상기 바늘 몸체는 관통 가능한 구멍이 형성된 판 형상의 브레이크부를 가지며,
상기 제2의 자세에서의 상기 바늘 몸체에 대한 상기 브레이크부의 경사 각도가 상기 제1의 자세에서보다 작아지는 것에 의하여, 상기 브레이크부의 구멍의 내면과 상기 바늘 몸체의 외주면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 또는 증대하여, 이것에 의해 상기 바늘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대적인 이동이 금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2) 상기 바늘 몸체에 대한 상기 브레이크부의 경사 각도가 작아지도록 상기 브레이크부에 힘을 가하는 힘 작용 수단과,
상기 제1의 자세에서 상기 바늘 몸체에 대한 상기 브레이크부의 경사를 규정하는 경사 규정 수단을 가지며,
상기 바늘 몸체의 선단부까지 이동할 때에 상기 경사 규정 수단에 의한 규정이 해제되며, 이것에 의해 상기 제1의 자세로부터 상기 제2의 자세가 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1)에 기재된 프로텍터.
(3) 선단에 예리한 바늘 끝을 갖는 바늘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제1의 자세와, 상기 바늘 몸체의 바늘 끝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바늘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대적인 이동이 금지되는 제2의 자세로 변위 가능한 프로텍터에 있어서,
탄성을 갖는 판 형상의 부재를 변형한 본체부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에 상기 바늘 몸체가 관통 가능한 제1의 구멍과 제2의 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의 바늘 끝측에 상기 바늘 몸체가 관통 가능한 관통부가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제1의 자세에서, 상기 바늘 몸체가 상기 제1의 구멍, 상기 제2의 구멍 및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며, 그 상태로부터 상기 바늘 몸체에 대하여 선단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관통부와 상기 바늘 몸체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바늘 몸체에 대한 상기 제1의 구멍 부근의 판 형상 부재의 경사 각도가 상기 제1의 자세의 때보다 작아지도록 탄성적으로 변형하고 상기 제2의 자세로 되어, 이것에 의해 상기 제1의 구멍의 내면과 상기 바늘 몸체의 외주면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 또는 증대하고 상기 바늘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대적인 이동이 금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4) 상기 제2의 자세일 때, 상기 본체부의 선단부가 상기 바늘 몸체의 바늘 끝을 덮는 상기 (3)에 기재된 프로텍터.
(5) 상기 본체부는 전체 형상으로서 거의 S자 모양을 하며, 상기 제1의 구멍은 상기 본체부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의 구멍은 상기 본체부의 바늘 근원측에 형성되는 상기 (3) 또는 (4)에 기재된 프로텍터.
(6) 상기 관통부와 상기 제1의 구멍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의 자세에서 상기 바늘 몸체의 바늘 끝의 횡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횡방향 어긋남 방지 부재를 갖는 상기 (3)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로텍터.
(7) 상기 관통부와 상기 제1의 구멍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의 자세에서 상기 바늘 몸체의 바늘 끝을 덮는 캡 부재를 갖는 상기 (3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로텍터.
(8) 상기 제2의 자세에서 상기 프로텍터의 선단부를 기단 방향으로 누를 때, 상기 브레이크부 또는 상기 제1의 구멍 부근의 판 형상 부재에 대하여, 상기 경사 각도가 보다 작아지도록 힘을 작용하는 수단을 갖는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로텍터.
(9) 상기 제1의 자세일 때, 상기 바늘 몸체에 대한 상기 브레이크부 또는 상기 제1의 구멍 부근의 판 형상 부재의 경사 각도는 거의 직각이 되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로텍터.
(10) 상기 제1의 구멍(상기 구멍)의 내경은 상기 바늘 몸체의 외경보다 0.01 ∼1mm 더 큰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로텍터.
(11) 상기 브레이크부 또는 상기 판 형상 부재의 두께는 0.05∼2mm인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로텍터.
(12) 선단에 예리한 바늘 끝을 갖는 바늘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제1의 자세와, 상기 바늘 몸체의 바늘 끝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바늘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대적인 이동이 금지되는 제2의 자세로 변위 가능한 프로텍터에 있어서,
금속재료로 구성되어, 상기 바늘 몸체가 관통 가능한 구멍이 형성된 판 형상의 브레이크부와,
상기 브레이크부의 상기 바늘 몸체에 대한 경사 각도가 작아지도록 상기 브레이크부에 힘을 가하는 힘 부여 수단과,
상기 브레이크부로부터 바늘 끝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의 자세일 때 상기 바늘 몸체에 접합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브레이크부의 상기 바늘 몸체에 대한 경사 각도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수지 재료로 구성된 바늘 몸체 접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의 자세로부터 상기 바늘 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선단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바늘 몸체 접합부가 상기 바늘 끝을 통과하고 상기 바늘 몸체로부터 이격되는 것에 의해, 상기 힘 부여 수단에 의하여 상기 바늘 몸체에 대한 상기 브레이크부의 경사 각도가 상기 제1의 자세의 때보다 작아지도록 변형되고 상기 제2의 자세로 되며, 이것에 의해 상기 구멍의 내면과 상기 바늘 몸체의 표면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 또는 증대하고 상기 바늘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대적인 이동이 금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13) 상기 힘 부여 수단은 상기 브레이크부로부터 연속된 판 형상의 부재이며 그 탄성력에 의하여 힘을 가하는 상기 (12)에 기재된 프로텍터.
(14) 상기 제1의 자세일 때, 상기 바늘 몸체 접합부의 상기 바늘 몸체에 대한 미끄럼 운동 저항이 상기 브레이크부의 상기 바늘 몸체에 대한 미끄럼 운동 저항보다 작은 상기(12) 또는 (13)에 기재된 프로텍터.
(15) 상기 제2의 자세일 때, 상기 바늘 끝을 선단측으로부터 덮는 바늘 끝 수용부를 갖는 상기 (12)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로텍터.
(16) 적어도 상기 바늘 몸체 접합부 부근의 부위를 덮는 커버부를 가지며, 그 커버부는 상기 제2의 자세일 때 상기 바늘 몸체 접합부 부근의 부위를 선단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을 방해하는 기능을 갖는 상기 (12)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로텍터.
(17) 상기 브레이크부로부터 바늘 근원측에 상기 바늘 몸체가 관통 가능한 제2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l2)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로텍터.
(18) 상기 제2의 구멍 부근의 부재로부터 연속되게 설치되어, 적어도 상기 바늘 몸체 접합부 부근의 부위를 덮는 커버부를 갖고,
상기 제2의 자세에서 상기 커버부에 기단 방향 및/또는 선단 방향의 외력을 부여할 때, 상기 제2의 구멍 부근의 부재에 대하여 상기 바늘 몸체에 대한 상기 제2의 구멍 부근의 부재의 경사 각도가 작아지도록 힘을 가하는 상기 (17)에 기재된 프로텍터.
(19) 상기 제2의 자세일 때, 상기 바늘 몸체의 바늘 끝을 거의 전체 둘레로부터 덮는 상기 (12)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로텍터.
(20) 선단에 예리한 바늘 끝을 갖는 내측 바늘과, 상기 내측 바늘에 장착된 상기 (1)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로텍터와,
상기 내측 바늘의 기단측에 설치된 내측 바늘 허브와,
상기 내측 바늘이 삽입 가능한 중공의 외측 바늘과,
상기 외측 바늘의 기단측에 설치된 외측 단부 허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치 바늘 조립체.
(21) 상기 외측 바늘 허브와 상기 프로텍터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갖는 상기 (20)에 기재된 유치 바늘 조립체.
(22) 상기 내측 바늘 허브를 상기 외측 바늘 허브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기단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하여, 상기 프로텍터가 상기 내측 바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선단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의 자세로부터 상기 제2의 자세로 변위할 때까지 상기 프로텍터와 상기 허브 부착 외측 바늘과의 연결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프로텍터가 상기 제2의 자세에 변위한 후, 상기 프로텍터와 상기 외측 바늘 허브가 분리 가능한 상기 (21)에 기재된 유치 바늘 조립체.
(23)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프로텍터와 상기 외측 바늘 허브가 분리할 때에 파단되는 파단부를 갖는 상기 (21) 또는 (22)에 기재된 유치 바늘 조립체.
(24)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프로텍터에 기단측으로부터 접합하는 접합 부재를 갖는 상기 (21)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치 바늘 조립체.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으로 신속하면서 안전하게 사용 후의 바늘 몸체를 프로텍터로 덮는 것이 가능하고, 폐기 처리 등을 할 때에는 잘못하여 바늘 끝으로 손가락 등을 찌르게 되는 사고가 없고, 위생 및 안전 면에서 극히 우수한 프로텍터 및 유치 바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극히 소형의 프로텍터로 상기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프로텍터는 사용 상태에서는 바늘 근원부의 작은 스페이스에 수납된다. 이 때문에, 프로텍터 설치 스페이스의 확보가 용이하고, 특별한 구조를 갖지 않는 통상적인 바늘 몸체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수지 재료로 구성된 바늘 몸체 접합부를 갖는 본 발명의 프로텍터는 제1의 자세에서 바늘 몸체에 대하여 원활히(비교적 작은 조작력으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프로텍터로 바늘 끝을 덮는 조작을 신속·용이하며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프로텍터의 본체부를 판 형상의 부재를 변형하여 형성한 경우에는 극히 간단한 구조로 상기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 횡방향 어긋남 방지 부재를 갖는 경우에는, 프로텍터에 대하여 강한 횡방향의 외력이 작용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도 바늘 끝의 돌출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유치 바늘 조립체로는 내측 바늘(바늘 몸체)에 대하여 프로텍터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공{요부(凹部)나 철부(凸部)를 형성하는 등)가 불필요하다. 이것에 의해, 내측 바늘의 선단부를 원활한 외주면을 갖게 할 수 있고, 내측 바늘의 강도의 저하나 관통 저항의 증대 등을 초래하지 않음과 동시에제조가 용이하다.
또, 본 발명의 유치 바늘 조립체에 있어 연결 수단을 설치한 경우에는, 보다 간단한 조작으로 보다 확실하게 내측 바늘의 바늘 끝을 프로텍터로 덮는 것이 가능하고, 안전성·조작성의 새로운 향상이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프로텍터를 첨부 도면에 도시된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프로텍터의 제 1 실시 형태>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l 및 도 2에서의 바늘 끝측을 「선단」, 허브측을 「기단」으로 하여, 선단을 위로 한 경우의 좌측을 「일단」, 우측을 「타단」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림 1 및 그림 2에 나타내는 관통삽입구(1A)는 선단부에 예리한 바늘 끝(41)을 갖는 바늘 관(바늘 몸체)(4)과, 이 바늘 관(4)에 장착되어 바늘 관(4)의 바늘 끝(41)을 수납 가능한 프로텍터(2A)와, 바늘 관(4)의 기단부에 고정된 허브(5)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각 부분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바늘 관(4)은 중공 바늘이며,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강,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티탄 또는 티탄 합금과 같은 금속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바늘 관(4)의 선단부에는 예리한 바늘 끝(4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바늘 끝(4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늘 관(4)의 축선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진 에지면(edge surface)을 갖는 형상을 하고 있다.
바늘 관(4)의 기단부에는 허브(5)가 액체 밀폐되게 고착(고정)되어, 바늘 관(4)의 내부 구멍과 허브(5)의 내부가 연통하고 있다.
바늘 관(4)의 허브(5)에 대한 고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코킹, 융착(열융착, 고주파 융착 등),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허브(5)는 거의 통 모양의 부재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투명(무색 투명),착색 투명 또는 반투명의 수지로 구성되어 그 내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 허브(5)는 기단 방향을 향하여 그 외경 및 내경이 점차로 증가하는 테이퍼 모양을 하고 있다. 이 테이퍼 모양 부분에는 예를 들면, 시린지(주사기: 도시하지 않음)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관통삽입구(1A)가 시린지에 장착된다.
허브(5)의 구성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폴리부타디엔,에틸렌 초산 비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 염화 비닐,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아크릴계 수지,ABS 수지,AS 수지, 이오노머, 폴리 아세탈, 폴리페닐렌 황화물, 폴리 에테르 에테르 케톤 등의 각종 수지 재료를 들 수 있다.
프로텍터(2A)는 탄성을 갖는 판 형상의 부재를 변형하여(굽힘 가공하여) 형성하며, 길이 방향의 거의 중앙에 위치한 제1의 부위(브레이크부)(21)와, 바늘 근원측(기단측)에 위치한 제2의 부위(22)와, 바늘 끝측(선단측)에 위치한 제3의 부위(23)와, 제1의 부위(21)와 제2의 부위(22)의 타단부 사이를 접속하는 후방 접속부(24)와, 제1의 부위(21)와 제3의 부위(23)의 일단부 사이를 접속하는 전방 접속부(25)를 갖는다. 이것에 의해, 프로텍터(2A)는 전체 형상으로서 거의 S 자 모양을 하고 있다.
프로텍터(2A)의 제1의 부위(21)에는 거의 원형을 이루는 제1의 구멍(31)이 설치되어 있고, 제2의 부위(22)에는 제2의 구멍(32)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3의 부위(23)에는 제3의 구멍(33)이 구비되어 있다. 이들 제1의 구멍(31), 제2의 구멍(32) 및 제3의 구멍(33)은 바늘 관(4)이 관통 가능한 구멍이다.
또, 도시된 구성에서는, 제3의 부위(23)의 타단부에는 내측에 만곡(굴곡)된커버부(26)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프로텍터(2A)는 관통삽입구(1A)의 사용시(생체 등에 관통 삽입할 때)에, 도 1에 도시된 자세, 즉 제1의 구멍(31), 제2의 구멍(32) 및 제3의 구멍(33)을 바늘 관(4)이 관통(삽통)한 자세(이 자세를 이하에서는, 「제1의 자세」라 한다.)가 된다. 이 제1의 자세에 있을 때, 프로텍터(2A)는 바늘 관(4)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통상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프로텍터(2A)가 바늘 관(4)의 기단부에 위치한 상태(이 상태를 이하,「사용 상태」라고 한다.)로 관통삽입구(1A)를 사용한다.
도시의 구성에서는, 제1의 자세에 있을 때, 제1의 부위(21),제2의 부위(22) 및 제3의 부위(23)는 각각 바늘 관(4)에 대하여 거의 수직이 되며, 후방 접속부(24)와 전방 접속부(25)는 각각 바늘 관(4)과 거의 평행이 된다. 이것에 의해, 제1의 자세에서 제1의 부위(21)와 후방 접속부(24)가 이루어지는 각도는 거의 직각이 된다.
이에 대하여, 프로텍터(2A)가 바늘 관(4)에 장착되지 않고 외력이 걸려 있지 않는 자연 상태(외력을 부여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1의 부위(21)와 후방 접속부(24)가 이루어지는 각도는 도 2에 도시된 상태보다도 작게 설정된다. 즉, 프로텍터(2A)는 제1의 부위(21)와 후방 접속부(24)가 서로 벌어지도록 변형(탄성 변형)되게 한 상태에서 바늘 관(4)에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변형에 의하여, 프로텍터(2A)가 바늘 관(4)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제1의 부위(21)는 바늘 관(4)에 대한 경사각도(도 1에서의 θ 및 도 2에서의 θ'으로나타내는 각도)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다시 말하면, 프로텍터(2A)에 있어서 제1의 부위(21)와 후방 접속부(24) 사이의 부분은 그 탄성에 의하여 제1의 부위(21)의 바늘 관(4)에 대한 경사각도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제1의 부위(21)에 힘을 가하는 힘 부여 수단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1의 부위(21)의 바늘 관(4)에 대한 경사각도는 제1의 부위(21)와 바늘 관(4)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 중 어느 쪽을 기준으로 선택하는가에 따라 2개의 값으로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제1의 부위(21)의 바늘 관(4)에 대한 경사각도」란 후술하는 제2의 자세에 있을 때 90。미만이 되는 각(작은 쪽의 각)의 각도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1에서의 θ 및 도 2에서의 θ'로 나타내는 각도이다. 이 각도를 이하에서는, 「제1의 부위 경사각도」라 한다.
도 1에 도시된 제1의 자세에서는, 제3의 부위(23)에 형성된 제3의 구멍(33)을 바늘 관(4)이 관통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힘 부여 수단의 작용력에 의하여 제1의 부위 경사각도가 작아지도록 프로텍터(2A)가 변형되는 것이 저지되어, 전술한 것처럼 제1의 자세에 있어서 제1의 부위 경사각도(θ)는 거의 직각으로 유지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제3의 구멍(33)은 제1의 자세에서 바늘 관(4)과 맞물리는 것에 의하여 제1의 부위 경사각도(θ)를 거의 직각으로 규정하는 경사 규정 수단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경사 규정 수단은 제3의 구멍(33)에 한하지 않고, 바늘 관(4)이 관통하여 맞물림 가능한 관통부로 되어도 좋고, 예를 들면주위의 일부가 결손된 후크 형상의 것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사용 상태(제1의 자세)로부터, 프로텍터(2A)를 바늘 관(4)에 대하여 선단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바늘 끝(41)이 제3의 부위(23)의 제3의 구멍 (33)을 통과하면, 바늘 관(4)과 제3의 구멍(33)과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것에 의하여 프로텍터(2A)는 상기 힘 부여 수단의 작용력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자세(이 자세를 이하에서는,「제2의 자세」라고 한다.)로 변위(변형)한다.
즉, 제2의 자세에서는 프로텍터(2A)는 제1의 자세에 있을 때와 비교하여, 제1의 부위(21)가 후방 접속부(24)(바늘 관(4))에 대하여 도 1에서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변위(변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1의 부위 경사각도는 제1의 자세일 때보다 작아지며, θ' <θ인 θ'이 된다.
이에 따라, 제3의 부위(23),전방 접속부(25) 및 커버부(26)도 후방 접속부(24)(바늘 관(4))에 대하여 변위(회동)하며, 바늘 관(4)의 바늘 끝(41)의 말단은 커버부(26)에 의하여 덮인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프로텍터(2A)가 바늘 관(4)의 바늘 끝(41)을 덮은 상태, 즉 도 2에 나타내는 상태를 이하에서는 「바늘 끝 수납 상태」라고 한다.
이와 같은 제2의 자세(바늘 끝 수납 상태)일 때, 프로텍터(2A)의 제1의 부위(21)가 바늘 관(4)에 대하여 브레이크로서 기능하는 것에 의하여 프로텍터(2A)는 바늘 관(4)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대적인 이동이 금지(저지)된다. 즉, 상기 힘 부여 수단의 작용력에 의하여 제1의 부위 경사각도가 제1의 자세의 때보다 작아지는 것에 의하여, 제1의 구멍(31)의 내면이 바늘 관(4)의 외주면에 압접되어 제1의구멍(31)의 내면과 바늘 관(4)의 외주면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 또는 증대된다. 이 마찰력이 프로텍터(2A)에 제동력으로 작용하여, 바늘 관(4)의 길이 방향을 따른 프로텍터(2A)의 이동을 금지(저지)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관통삽입구(1A)에 있어서는, 일단 바늘 끝 수납 상태가 되면, 바늘 관(4)의 바늘 끝(41)이 프로텍터(2A)를 초과하여 돌출하지 않게 된다. 이것에 의해, 폐기 처리 등을 할 때, 실수로 찔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성이 높다.
또, 프로텍터(2A)는 제1의 부위(21)의 브레이크 작용에 의하여 바늘 관(4) 에 대한 길이 방향의 이동이 금지되기 때문에, 바늘 관(4)에 프로텍터(2A)를 계지하기 위한 특별한 구조(예를 들면, 국소적으로 외경을 두껍게 하거나, 외주부에 볼록한 부분을 설치하거나, 허브(5)와 프로텍터(2A)를 끈으로 연결하거나 하는 것과 같은 구조)가 불필요하다. 이것에 의해, 바늘 관(4)의 선단부를 특별한 가공 등을 행하지 않고 원활한 외주면을 갖게 할 수 있고, 강도의 저하나 삽입 관통 저항의 증대를 초래하지 않게 된다. 또, 동일한 이유로부터 프로텍터(2A)는 기존의 바늘 몸체와 조합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범용성이 높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2A)는 제2의 자세에서 프로텍터(2A)의 선단부를 기단 방향으로 눌려질 때, 제1의 부위(21)(제1의 구멍(31) 부근의 판 형상 부재)에 대하여 제1의 부위 경사각도(θ')가 보다 작아지도록 힘을 작용하는 수단을 갖는다.
즉, 프로텍터(2A)에 대하여 도 2에 화살표 A로 표시된 것과 같은 누르는 힘을 가하게 될 때, 이 누르는 힘(A)은 제3의 부위(23) 및 전방 접속부(25)를 통해서 제1의 부위(21)에 전달되어, 제1의 부위 경사각도(θ')가 작아지도록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제1의 구멍(31)의 내면과 바늘 관(4)의 외주면 사이의 마찰력(프로텍터(2A)에 작용하는 제동력)이 또한 증대하고 누르는 힘(A)에 대항하여 프로텍터(2A)의 이동을 보다 확실하게 금지(저지)한다. 이 때문에, 누르는 힘(A)을 가한 경우에도, 바늘 끝(41)이 프로텍터(2A)를 초과하여 돌출하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되어, 특히 안전성이 높다.
또한, 특히 강하게 누르는 힘(A)이 작용하여 만일 프로텍터(2A)가 기단 방향으로 약간 이동하는 경우에도, 바늘 끝(41)은 커버부(26)의 내면에 접합하기 때문에 바늘 끝(41)이 프로텍터(2A)를 초과하여 돌출하지 않는다.
또, 프로텍터(2A)에 대하여 도 2의 화살표 B로 표시된 것과 같은 누르는 힘을 가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제1의 부위 경사각도(θ')가 작아지도록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누르는 힘(B)을 가한 경우에도 프로텍터(2A)가 바늘 끝(41)으로부터 이탈하는(빠지는)것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되어, 특히 안전성이 높다.
제1의 자세에서 제1의 부위 경사각도(θ)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거의 직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제1의 구멍(31)의 내경(D)은 바늘 관(4)의 외경(d)에 따라 그 바람직한 크기가 다르지만, 통상적으로는 바늘 관(4)의 외경(d) 보다 0.01∼1mm 정도 더 큰 것이 바람직하고, 0.05∼0.2mm 정도 더 큰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의 자세에서 제1의 부위 경사각도(θ)와 제1의 구멍(31)의 내경(D)이 상기 범위에 있는 것에 의하여, 제2의 자세에서 제1의 구멍(31)의 내면과 바늘 관(4)의 외주면 사이의 마찰력(프로텍터(2A)에 작용하는 제동력)이 커지고, 바늘 관(4)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대적인 이동이 보다 확실하게 금지(저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의 구멍(31)은 주위의 일부가 결손된 것(C 자 모양 의 것 등)이라도 좋다(제2의 구멍(3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또, 제2의 구멍(32)이나 제3의 구멍(33)의 형상은 바늘 관(4)에 대하여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한 한 원형으로 국한되지는 않지만, 원형인 경우에는 그 내경이 제1의 자세에서 미끄럼 운동 저항을 경감한 관점으로부터 제1의 구멍(31)의 내경(D) 보다 0.05∼1mm 정도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텍터(2A)를 형성하는 판 형상 부재(제1의 부위(21))의 두께는 그 구성재료나 바늘 관(4)의 외경 등에 따라 그 바람직한 값은 다르지만, 통상적으로는 0.05∼2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0.06∼0.2mm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비교적 두꺼운 것으로 한 경우에는 제2의 자세에서 프로텍터(2A)에 작용하는 제동력이나 바늘 끝(41)의 보호성이 특히 우수하게 되며, 비교적 얇은 것으로 한 경우에는 가공성이나 제1의 자세에서 바늘 관(4)에 대한 슬라이딩 운동의 용이성이 특히 우수하게 된다.
프로텍터(2A)를 형성하는 판 형상 부재의 구성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동,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철, 니켈 합금, 티탄 또는 티탄 합금, 동 또는 동계열의 합금 등의 각종 금속재료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타디엔, 에틸렌 초산 비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 염화 비닐,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아크릴계 수지,ABS 수지,AS 수지, 이오노머, 폴리 아세탈, 폴리페닐렌 황화물, 폴리 에테르 에테르 케톤 등의 각종 수지 재료를 들 수 있지만, 각종 금속재료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술하는 것 같은 재료를 2종 이상 조합시켜 사용해도 좋다.
다음에, 관통삽입구(1A)의 사용 방법의 일례에 관하여, 도 1 및 도 2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관통삽입구(1A)를 사용 상태(도1에 나타내는 상태)로 하여, 허브(5)의 기단부에 시린지(도시하지 않음)의 선단부를 삽입하여 관통삽입구(1A)를 시린지에 장착한다. 이 상태에서, 바늘 관(4)을 환자의 혈관(생체)에 관통 삽입하고, 시린지가 구비한 플런저를 조작하여 환자에 대하여 혈액의 채취 또는 약액을 주입한다.
다음에, 혈액의 채취 또는 약액의 주입을 종료하면, 바늘 관(4)을 환자의 혈관으로부터 빼낸다.
이 후, 허브(5)를 손으로 파지하고 고정하여, 다른 편의 손 또는 핀셋 등을 이용하여 프로텍터(2A)를 바늘 관(4)에 대하여 선단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에서, 종래의 관통 삽입 조작에서는 바늘 끝(41)을 생체로부터 빼낸 후, 바늘 관(4)에 캡을 씌우고 있지만, 캡의 일단부의 개구 내에 바늘 관(4)을 그 바늘 끝(41)으로부터 삽입하여 행하기 때문에, 바늘 끝(41)이 그 개구를 벗어난 경우에는 캡을 쥐고 있는 손가락을 바늘 관(4)의 바늘 끝(41)으로 실수로 찌르는 사고가생길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프로텍터(2A)가 바늘 관(4)의 선단 방향으로 이동하고 바늘 끝(41)을 덮기 때문에 전술하는 것과 같이 실수로 찌르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프로텍터(2A)의 선단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바늘 관(4)의 바늘 끝(41)이 제3의 구멍(33)을 통과하면 바늘 관(4)과 제3의 구멍(33)과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프로텍터(2A)는 탄성적으로(자신의 탄성에 의하여)변형하여 도 2에 가리키는 제2의 자세가 된다.
프로텍터(2A)가 제2의 자세가 되면, 제1의 부위(21)의 브레이크 작용에 의하여 프로텍터(2A)는 바늘 관(4)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이동이 금지(저지)되어, 바늘 끝(4l)이 제1의 구멍(31)을 통과하기 전에 바늘 관(4)에 대하여 정지(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제2의 관통삽입구(1A)는 도 2에 나타내는 바늘 끝 수납 상태로 된다.
바늘 관(4)의 바늘 끝(41)이 프로텍터(2A) 안에 수납되면, 허브(5)에 장착하고 있는 시린지를 분리하여 관통삽입구(1A)와 시린지를 분리한다. 그리고, 관통삽입구(1A) 및 시린지는 각각 별개로 폐기된다. 이 관통삽입구(1A)는 전술한 것처럼 바늘 끝 수납 상태에서는 바늘 끝(41)이 프로텍터(2A) 안에 수납되어 있어, 바늘 끝(41)이 프로텍터(2A)를 초과하여 돌출하거나 프로텍터(2A)가 바늘 끝(41)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폐기 처리 등을 행할 때, 바늘 끝(41)으로 잘못하고 손가락 등을 찌르는 사고가 방지되어 안전성이 높다.
<프로텍터의 제 2 실시 형태>
도 3과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를 갖는 관통삽입구(주사 바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3 및 도 4에서의 바늘 끝측을 「선단」, 허브측을 「기단」으로 하여, 선단을 위로 한 경우의 좌측을 「일단」,우측을 「타단」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하, 이러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프로텍터의 제 2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전술한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사항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2B)는, 제2의 자세에서 바늘 관(4)의 바늘 끝(41)의 횡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횡방향 어긋남 방지 부재로서 통 모양 부재(6)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2A)와 마찬가지이다. 즉, 본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2B)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2A)와 동일한 프로텍터 본체(본체부)(2')와 ,통 모양 부재(6)로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관통삽입구(1B)는 이와 같은 프로텍터(2B)와, 상기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바늘 관(4) 및 허브(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횡방향 어긋남 방지 부재로서의 통 모양 부재(6)는 바늘 관(4)이 관통(삽통)가능한 중공부를 갖는 원통모양을 하며, 프로텍터 본체(2')의 제3의 부위 (23)에 형성된 제3의 구멍(33)과 제1의 부위(21)에 형성된 제l의 구멍(31)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즉, 도 3에 도시되는 제1의 자세(사용 상태)에서, 바늘 관(4)은 프로텍터(2B)의 제2의 구멍(32),제1의 구멍(31),통 모양 부재(6)의 중공부 및 제3의 구멍(33)을 이 순서로 관통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되는 제2의 자세(바늘 끝 수납 상태)에서, 바늘 끝(41)은 통 모양 부재(6)의 내부에 위치하여 통 모양 부재(6)로 덮인 상태가 된다.
또, 통 모양 부재(6)의 선단 개구는 프로텍터 본체(2')의 커버부(26)에 의하여 덮여 밀봉된다. 즉, 통 모양 부재(6)는 제2의 자세에 있을 때 바늘 끝(41)을 덮는 갭 부재로서의 기능도 겸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2B)로는 상기 제 1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2A)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제2의 자세에서 바늘 끝(41)이 횡방향(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바늘 끝 수납 상태에서, 프로텍터(2B)에 대하여 예를 들면 횡방향으로 강한 외력이 작용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도 바늘 끝(41)의 돌출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보다 안전성이 높다.
또, 바늘 끝(41)의 전체가 통 모양 부재(6)와 커버부(26)로 덮여 있기 때문에, 바늘 끝(41)의 주위나 내부에 잔류한 혈액(체액)이 흘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억제) 할 수 있고, 혈액(체액)에 의한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통 모양 부재(6)의 구성 재료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강,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티탄 또는 티탄 합금, 철, 니켈 합금, 동 또는 동계열의 합금 등의 각종 금속재료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타디엔, 에틸렌 초산 비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 염화비닐,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아크릴계 수지,ABS 수지, AS 수지, 이오노머, 폴리 아세탈, 폴리페닐렌 황화물, 폴리 에테르 에테르 케톤 등의 각종 수지 재료나, 각종 고무 재료, 각종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 을 들 수 있고, 이러한 재료를 2종 이상 조합시켜 사용해도 좋다.
통 모양 부재(6)의 구성 재료를 각종 고무 재료나 각종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한 것으로 하는 경우에는, 제2의 자세에 있을 때 커버부(26)가 통 모양 부재(6)의 선단 개구에 대해 보다 밀착되어, 바늘 끝(41)의 주위나 내부에 잔류한 혈액(체액)이 흘러 떨어지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프로텍터의 제 3 실시 형태>
도 5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를 갖는 관통삽입구(주사 바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5 및 도 6에서의 바늘 끝측을 「선단」,허브측을 「기단」으로 하고, 선단을 위로 한 경우의 좌측을 「일단」,우측을 「타단」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하, 이러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프로텍터의 제 3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전술한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사항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2C)는 상기 횡방향 어긋남 방지 부재로서의 통 모양 부재의 형상이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2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2B)와 마찬가지이다. 즉, 본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2C)는, 상기 제 1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2B)와 동일한 프로텍터 본체(본체부)(2")와, 통 모양 부재(6)로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관통삽입구(1C)는 이와 같은 프로텍터(2C)와, 상기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바늘 관(4) 및 허브(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횡방향 어긋남 방지 부재로서의 통 모양 부재(6)는 바늘 관(4)이 관통(삽통)가능한 중공부를 갖는 원통 형상을 하며, 프로텍터 본체(2")의 제3의 부위(23)에 형성된 제3의 구멍(33)과 제1의 부위(21)에 형성된 제1의 구멍(31)의 사이에 위치한다.
즉, 도 5에 도시되는 제1의 자세(사용 상태)에서, 바늘 관(4)은 프로텍터(2C)의 제2의 구멍(32),제1의 구멍(31),통 모양 부재(6)의 중공부 및 제3의 구멍(33)을 이 순서로 관통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통 모양 부재(6)의 기단면(基端面)은 바늘 관(4)과 수직의 면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61)으로 되어 있다. 이 경사면(61)의 경사 방향은 도 6에 도시되는 제2의 자세(바늘 끝 수납 상태)에서 제1의 부위(21)의 경사 방향과 동일하게 된다.
또한, 도시를 생략하지만, 프로텍터(2C)에는 통 모양 부재(6)의 프로텍터 본체(2")에 대한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2C)에서는 상기 제 1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2A)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 2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2B)와 마찬가지로 제2의 자세에서 바늘 끝(41)이 횡방향(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의 자세에서 프로텍터(2C)에 대하여 도6 에서 화살표 C로 도시된 것과 같은 누르는 힘이 작용할 때, 즉 통 모양 부재(6)의선단부를 기단 방향으로 누를 때, 제1의 부위(21)(제1의 구멍(31) 부근의 판 형상 부재)에 대하여 제1의 부위 경사각도(θ')가 보다 작아지게 힘을 가하는 수단(경사면(61))을 갖는다.
즉, 상기 누르는 힘(C)은 통 모양 부재(6)의 경사면(61)을 통해 제1의 부위(21)에 전달되어, 제1의 부위 경사각도(θ')가 작아지도록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제1의 구멍(31)의 내면과 바늘 관(4)의 외주면 사이의 마찰력(프로텍터(2C)에 작용하는 제동력)이 또한 증대되고 누르는 힘(C)에 대항하여 프로텍터(2C)의 이동을 보다 확실하게 금지(저지)한다. 이 때문에, 누르는 힘(C)을 가한 경우에도, 바늘 끝(41)이 프로텍터(2)를 초과하여 돌출하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되어 특히 안전성이 높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도 상기 제 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2의 자세에서 커버부(26)가 통 모양 부재(6)의 선단 개구를 밀봉하는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프로텍터의 제 4 실시 형태>
도 7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를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각각 도 7에 도시된 프로텍터의 측면도와 사시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7, 도 8 및 도 10에서, 바늘 끝측을 「선단」,허브측을 「기단」으로 하고, 선단을 위로 한 경우의 좌측을 「일단」,우측을 「타단」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도면에서, 프로텍터(7A)는 선단부에 예리한 바늘 끝(41)을 가지며,그 기단부가 허브(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된 바늘 관(바늘 몸체)(4)에 장착되고 관통삽입구의 일부가 되고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7A)는 상기 제 1∼제 3의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의 제1의 자세에 상응하는 자세, 즉 바늘 관(4)의 길이 방향(축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자세(본 실시 형태를 포함하여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도 제1의 자세라고 부른다.)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10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프로텍터(7A)는 상기 제 1∼제 3의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의 제2의 자세에 상응하는 자세, 즉 바늘 관(4)의 바늘 끝(41)을 덮은 상태에서 바늘 관(4)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상대적인 이동이 금지된 자세(본 실시 형태를 포함하여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도 제2의 자세라고 부른다.)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7A)는 금속재료로 구성된 판 형상 부재를 변형하여(굽힘 가공하여) 형성된 프로텍터 본체(7')와, 그 프로텍터 본체(7')에 고정(고착)된 플라스틱 부재(10)를 갖는다.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프로텍터 본체(7')는 제1의 구멍(孔)(81)이 형성된 제1의 부위(브레이크부)(71)와, 그 제1의 부위(71)의 기단측(바늘 근원측)에 설치되어 제2의 구멍(82)이 형성된 제2의 부위(72)와, 제1의 부위(71)와 제2의 부위(72)의 타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3의 부위(73)를 갖는다.
즉, 측면에서 보았을 때(도 7), 제1의 부위(71)와, 제2의 부위(72)와, 제3의 부위(73)는 전체로서 대략「⊃」자 모양(또는 대략「C」자 모양)을 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의 구멍(81) 및 제2의 구멍(82)에는 바늘 관(4)이 관통하고 있다. 제1의 구멍(81)의 형상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프로텍터 본체(7')는 제1의 부위(71)의 일단부에서 선단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제4의 부위(74)와 그 제4의 부위(74)의 양쪽의 측부에서 각각 타단 방향으로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게 설치된 제5의 부위(75, 75)를 갖는다.
즉, 도 7의 측면에서 본 도면에 대하여 바늘 끝측에서 정면으로 본 경우에, 제4의 부위(74)와, 제5의 부위(75, 75)는 전체로서 대략「⊃」자 모양을 하도록 형성되고 있고, 두개의 제5의 부위(75, 75)는 바늘 관(4)을 양측에서 끼우도록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 관계는 도 9에 명확하게 나타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의 부위(75, 75)에는 각각 대략 장방형(타원형상)의 기다란 구멍(長孔)(751)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서 제4의 부위(74)는 제1의 자세에 있을 때 선단 방향을 향하여 바늘 관(4)에 근접하도록 경사지게 구비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제2의 자세로 변위(변형)된 때에 제4의 부위(74)가 외측으로 길게 노출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프로텍터(7A) 전체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이와 같은 프로텍터 본체(7')는 금속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의 자세에 있을 때, 제1의 구멍(81)의 내면과 바늘 관(4)의 표면 사이의 마찰력이 충분히 커져서, 제1의 부위(71)(브레이크부)의 브레이크 작용이 확실하게 발휘된다. 프로텍터 본체(7')를 구성하는 금속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강,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철, 니켈 합금, 티탄 또는 티탄 합금, 동 또는 동계열의 합금 등의 각종 금속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프로텍터 본체(7')는 그 각 부분이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프로텍터 본체(7')가 2 이상의 부품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프로텍터 본체(7')의 두 개의 제5의 부위(75, 75)의 사이에는 플라스틱 부재(10)가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플라스틱 부재(10)는 제5의 부위(75,75)의 내측에 각각 배치된 측벽부(101, 101)와, 양측벽부(101, 101)의 타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벽(102)을 갖는다.
측벽부(101, 101)는 각각 제5의 부위(75, 75)와 거의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다. 즉, 측벽부(101, 101)와, 연결벽(102)을 정면에서 본 경우에 전체로서 대략「⊃」자 모양을 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7A)는 측벽부(101, 101)와, 연결벽(102)으로 둘러싸여 형성된 바늘 끝 수납 공간(9)을 갖는다.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제2의 자세가 될 때, 바늘 관(4)의 바늘 끝(41)은 이 바늘 끝 수납 공간(9)에 수납된다.
또, 바늘 끝(41)은 제2의 자세가 되어 바늘 끝 수납 공간(9)에 수납될 때, 제1의 부위(71)와, 제4의 부위(74)와, 측벽부(101, 101)와, 연결벽(102)에 의하여 대체로 전체 둘레에서 덮여진다. 이것에 의해, 바늘 끝(41)의 표면이나 내부에 잔류한 혈액 등이 작업자나 주위의 물건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어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측벽부(101, 101)로부터는 외측으로 돌출한 돌출부(105, 10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8과 도 9에 나타낸 것처럼, 이 돌출부(105)는 제5의 부위(75)의 기다란 구멍(751)에 대응되는 형상을 하고 있으며, 각 돌출부(105, 105)는 각각 기다란 구멍(751, 751)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플라스틱 부재(10)는 프로텍터 본체(7')에 대하여 고정(고착)되어 있다. 또한, 플라스틱 부재(10)와 프로텍터 본체(7')와의 고정 방법은 이와 같은 구성에 국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 어떠한 방법이라도 좋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플라스틱 부재(10)는 또한 바늘 끝 수납 공간(9)을 선단측에서 덮는 선단벽(103)을 갖고 있다. 도 9와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이 선단벽(103)의 도 7의 상측에는 절결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제1의 자세에 있을 때, 바늘 관(4)은 이 절결부(106)를 통과하여 프로텍터(7A)로부터 선단 방향으로 돌출한다.
절결부(106)의 에지부는 제l의 자세일 때 바늘 관(4)에 접하는 바늘 몸체 접촉부(104)로 되어 있다. 바늘 몸체 접촉부(104)는 바늘 몸체의 표면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의 만곡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늘 몸체 접촉부(104)는 제1의 자세일 때 바늘 관(4)에 접한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로텍터 본체(7')의 제1의 부위(71)와 제3의 부위(73)의 일부의 탄성(스프링 성질)에 의하여 플라스틱 부재(10)는 도 7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는 방향으로 힘을 받으며, 이러한 작용력에 의하여, 제1의 자세일 때 바늘 몸체 접촉부(1O4)는 바늘 관(4)에 압접된 상태가 된다.
또한, 플라스틱 부재(10)는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에 국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바늘 몸체 접촉부를 구멍으로서 갖는 통 모양의 형상을 한 것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바늘 몸체 접촉부(104)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부재(10)는 수지 재료(합성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의 자세에 있을 때, 바늘 몸체 접촉부(104)와 바늘 관(4)의 표면의 사이에 마찰 저항이 경감되어, 프로텍터(7A)의 바늘 관(4)에 대한 미끄럼 운동 저항이 작아진다. 그 결과, 제1의 자세에 있을 때, 프로텍터(7A)는 바늘 관(4)의 길이 방향(축방향)을 따라 원활히(비교적 작은 조작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플라스틱 부재(10)(바늘 몸체 접촉부(104))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ABS 수지, AS 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 아세탈 등의 각종 수지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바늘 몸체 접촉부(1O4)가 전술하는 것과 같은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전술한 불소계 수지 와 같은 특히 마찰 계수(마찰 저항)가 작은 재료로 바늘 몸체 접촉부(104)의 표면을 구성(피복)하여도 좋다.
또한, 바늘 몸체 접촉부(l04)의 바늘 관(4)에 대한 접촉면은, 예를 들면, 평면 형상, 「V」자 형상, 「⊃」자 형상 등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프로텍터(7A)는 관통삽입구의 사용시(생체 등에 관통 삽입할 때)에는 도 7 내지 도 9에 가리키는 제1의 자세로 바늘 관(4)의 바늘 근원측에 위치한 상태로 된다.
이 제1의 자세에 있을 때, 바늘 관(4)은 제2의 구멍(82) 및 제1의 구멍(81)을 관통하고, 또한, 바늘 끝 수납 공간(9) 및 절결부(106)를 통과하여 프로텍터(7A)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한다.
또, 제1의 자세에 있을 때, 제1의 부위(71)와, 제2의 부위(72)는 각각 바늘 관(4)에 대하여 거의 수직의 자세가 된다.
프로텍터(7A)는 이와 같은 제1의 자세로부터 도 10에 도시되는 제2의 자세에 변위(변형)되어 바늘 끝(41)을 덮는 것이 가능하다. 이 제2의 자세에서는, 프로텍터 본체(7')에 있어서 제1의 부위(71)와 제3의 부위(73)가 이루어지는 각도가 제1 자세의 때보다 작아진다. 즉, 프로텍터(7A)는 제l의 부위(71)와 제3의 부위(73)가 닫혀지도록(제1의 부위(71)가 제3의 부위(73)에 근접하도록)변형하는 것에 의하여 제1의 자세로부터 제2의 자세로 변위(변형)한다.
이와 같은 제1의 자세로부터 제2의 자세로의 변위(변형)는, 프로텍터 본체(7')에서의 제1의 부위(71)와 제3의 부위(73)의 일부의 탄성(탄성력)에 의하여 생기게 되어 있다.
즉, 프로텍터(7A)에 외력을 부여하지 않는 자연 상태(프로텍터(7A)를 바늘 관(4)에 장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의 부위(71)와 제3의 부위(73)가 이루는 각도는 도 10에 나타내는 상태보다도 더 작은 상태로 있으며, 프로텍터(7A)는 이와 같은 자연 상태에서 제1의 부위(71)와 제3의 부위(73)가 열리도록(제1의부위(71)가 제3의 부위(73)로부터 멀어지도록) 변형(탄성 변형)된 상태가 되어 바늘 관(4)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프로텍터(7A)가 바늘 관(4)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제1의 부위(71)가 바늘 관(4)에 대한 경사각도(도 8에서 θ1및 도 10에서 θ1'로 나타내는 각도)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즉, 프로텍터(7A)에 있어서 제1의 부위(71)와 제3의 부위(73)의 일부는 그 탄성에 의하여 제1의 부위(71)의 바늘 관(4)에 대한 경사각도(θ)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제1의 부위(71)에 힘을 가하는 힘 부여 수단으로 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제1의 자세에서는 바늘 몸체 접촉부(l04)가 바늘 관(4)의 표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힘 부여 수단의 작용력에 의하여 제1의 부위 경사각도가 작아지도록 프로텍터(7A)가 변형되는 것이 저지되며, 이것에 의해, 전술한 것처럼 제1의 자세에 있어서 제1의 부위 경사각도(θ1)는 거의 직각으로 유지된다. 본 명세서에서,「제1의 부위(71)의 바늘 관(4)에 대한 경사각도」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제1의 부위(21)의 바늘 관(4)에 대한 경사각도」와 마찬가지로 정의한다.
따라서, 제1의 자세에서는 제1의 구멍(81)과 바늘 관(4)과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며, 제1의 구멍(81)의 내면과 바늘 관(4)의 표면 사이의 마찰력은 실질적으로 작용하고 있지 않거나 또는 비교적 작은 상태가 된다. 즉, 제1의 자세에서는 제1의 부위(71)가 브레이크 작용이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바늘 몸체 접촉부(104)는 제l의 자세에 있을 때 바늘 관(4)에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제1의 부위 경사각도가 작아지는(변화하는)것을 방지하고, 제1의 부위(71)의 브레이크 작용을 유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즉, 제1의 자세에서 프로텍터(7A)는 바늘 몸체 접촉부(104)가 바늘 관(4)에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브레이크 작용 유보 상태가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l의 자세에서는 바늘 몸체 접촉부(104)가 상기 힘 부여 수단의 작용력에 의하여 바늘 관(4)의 표면에 압접된 상태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것처럼 바늘 몸체 접촉부(104)가 수지 재료로 구성되고 있으므로, 프로텍터(7A)는 바늘 관(4)에 대하여 원활히(비교적 작은 조작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제1의 자세로부터 프로텍터(7A)를 바늘 관(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선단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바늘 몸체 접촉부(104)가 바늘 끝(41을 통과하면, 바늘 몸체 접촉부(104)는 바늘 관(4)으로부터 분리(이탈)된다. 이것에 의해, 프로텍터(7A)는 브레이크 작용 유보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힘 부여 수단의 작용력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제2의 자세로 변위(변형)된다.
제2의 자세에서, 프로텍터(7A)는 제l의 자세에 있을 때와 비교하여 제1의 부위(71)가 제3의 부위(73)(바늘 관(74))에 대하여 도 7 및 도 8과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변위(변형)된다. 이것에 의해,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제1의 부위 경사각도는 제1의 자세에 있을 때보다 작아지며, θ1'<θ1인 θl' 이 된다.
이에 따라, 제4의 부위(74), 제5의 부위(75) 및 플라스틱 부재(10)는 제3의 부위(73)(바늘 관(4))에 대하여 변위(회동)하며, 바늘 끝(41)의 선단은 선단벽(103)에 의하여 선단측에서 덮인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제2의 자세에서는, 프로텍터(7A)의 제1의 부위(71)가 바늘 관(4)에 대하여 브레이크로서 기능하는 것에 의하여, 프로텍터(7A)는 바늘 관(4)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상대적인 이동이 금지(저지)된다. 즉, 상기 힘 부여 수단의 작용력에 의하여 제1의 부위 경사각도가 제1의 자세 때보다 작아지는 것에 의하여, 제1의 구멍(81)의 내면이 바늘 관(4)의 표면(외주면)에 압접되어, 제1의 구멍(81)의 내면과 바늘 관(4)의 표면(외주면)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 또는 증대된다. 이 마찰력이 프로텍터(7A)에 제동력으로 작용하여 바늘 관(4)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프로텍터(7A)의 이동을 금지(저지)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바늘 끝(41)이 바늘 끝 수납 공간(9)에 수납되면(제2의 자세가 됨), 바늘 끝(41)은 프로텍터(7A)를 초과하여 돌출하지 않는다.
제1의 자세에서 제1의 부위 경사각도(θ1)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6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거의 직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제1의 구멍(81)의 내경(D)은 바늘 관(4)의 외경(d)에 따라 그 바람직한 크기는 다르지만, 통상적으로는 바늘 관(4)의 외경(d)보다 0.01∼1mm 정도 큰 것이 바람직하고, 0.05∼0.2mm 정도 큰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의 자세에서 제1의 부위 경사각도(θ1)와 제l의 구멍(81)의 내경(D)이 상기 범위에 있는 것에 의하여, 제2의 자세에서 제1의 구멍(81)의 내면과 바늘 관(4)의 표면 사이의 마찰력(프로텍터(7A)에 작용하는 제동력)이 커지고, 바늘 관(4)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대적인 이동이 보다 확실하게 금지(저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의 구멍(81)은 둘레 방향의 일부가 결손된 것(C자 모양의 것 등) 이어도 좋다(제2의 구멍(8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제2의 구멍(82)의 형상은 바늘 관(4)에 대하여 미끄럼 운동 가능할 수 있으면 원형으로 국한되지는 않으며, 원형인 있는 경우에는 그 내경은 제1의 자세에 있어서 미끄럼 운동 저항을 경감한 관점으로부터 제l의 구멍(81)의 내경(D)보다 0.05∼1mm 정도 큰 것이 좋다.
또, 본 발명에서는 제2의 구멍(82)의 부근의 부위(바늘 관(4)과의 접촉면)를 전술한 것과 같은 수지 재료로 구성하거나, 굽힘 가공을 행한 것 등에 의하여 바늘 관(4)과의 접촉면을 매끈매끈하게 하는 것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제2의 구멍(82)의 내면과 바늘 관(4)의 표면 사이의 마찰력이 경감된다. 따라서, 제1의 자세에 있어서 프로텍터(7A)의 바늘 관(4)에 대한 미끄럼 운동 저항을 보다 경감할 수 있고, 그 결과, 프로텍터(7A)를 바늘 관(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선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조작(프로텍터(7A)로 바늘 끝(41)을 덮는 조작)을 더욱 용이하고 원활히 행할 수 있다.
프로텍터 본체(7')를 형성한 판 형상 부재(특히, 제1의 부위(71))의 두께는그 구성 재료나 바늘 관(4)의 외경 등에 따라 그 바람직한 값은 다르지만, 통상적으로는 0.05∼2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0.06∼0.2mm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 있어서, 비교적 두꺼운 것으로 한 경우에는 제2의 자세에서 프로텍터(7A)에 작용하는 제동력이나 바늘 끝(41)의 보호성이 특히 우수하게 되며, 비교적 얇은 것으로 한 경우에는 가공성이나 제1의 자세에서 바늘 관(3)에 대한 미끄럼 운동의 용이성이 특히 우수하게 된다.
이와 같은 프로텍터(7A)는 제2의 자세에서 그 선단부(플라스틱 부재(10) 등)를 기단 방향으로 누를 때, 제1의 부위(71)(제1의 구멍(81) 부근의 판 형상 부재)에 대하여 제1의 부위 경사각도(θ1')가 보다 작아지게 하는 힘을 작용하는 수단을 갖는다.
즉, 예를 들면 플라스틱 부재(10)의 선단부에 대하여 도 10의 화살표(A)로 나타낸 것과 같은 누르는 힘을 가할 때, 이 누르는 힘(A)은 제4의 부위(74)를 통하여 제1의 부위(71)로 전달되어 제1의 부위 경사각도(θ1')가 작아지도록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제1의 구멍(81)의 내면과 바늘 관(4)의 표면 사이의 마찰력(프로텍터(7A)에 작용하는 제동력)이 또한 증대되고 상기 누르는 힘(A)에 대항하여 프로텍터(7A)의 이동을 보다 확실하게 금지(저지)한다.
또한, 특히 강하게 누르는 힘(A)이 작용하여 프로텍터(7A)가 기단 방향으로 약간 이동한 경우에도, 바늘 끝(41)은 연결벽(102)과 선단벽(103)과의 에지부의 내측(바늘 끝 수납부)에 접촉되기 때문에 바늘 끝(41)이 프로텍터(7A)를 초과하여 돌출하지 않는다.
다음에, 프로텍터(7A)의 사용 방법의 일례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 제1의 자세에 있는 프로텍터(7A)를 바늘 관(4)의 기단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바늘 관(4)을 환자의 혈관(생체)등에 천공 삽입하여 혈액의 채취나 약액의 주입을 행한다.
[2] 혈액의 채취 또는 약액의 주입을 종료하면, 바늘 관(4)을 환자의 혈관으로부터 빼낸다.
[3] 뒤이어, 손 또는 핀셋 등을 이용하여 프로텍터(7A)를 바늘 관(4)에 대하여 선단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것처럼 바늘 몸체 접촉부(104)가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서 프로텍터(7A)를 비교적 작은 조작력으로 바늘 관(4)에 대하여 선단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 조작을 원활하고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4] 프로텍터(7A)의 선단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바늘 몸체 접촉부(104)가 바늘 끝(41)을 통과하여 바늘 관(4)으로부터 분리되면, 프로텍터(7A)는 탄성적으로(자신의 탄성에 의하여)변형되어 도 10에 도시되는 제2의 자세로 된다.
프로텍터(7A)가 제2의 자세로 되면, 제1의 부위(71)의 브레이크 작용에 의하여 프로텍터(7A)는 바늘 관(4)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이동이 금지(저지)되어, 바늘 끝(41)이 제1의 구멍(81)을 통과하기 전에 바늘 관(4)에 대하여 정지(停止 또는 靜止)한다.
[5] 바늘 관(4)의 바늘 끝(41)이 프로텍터(7A) 내(바늘 끝 수납 공간(9))에수납되면, 이들은 폐기 처리된다.
이 때, 전술한 것처럼 바늘 끝(41)은 프로텍터(7A) 안에 수납되어 있어, 바늘 끝(41)이 프로텍터(7A)를 초과하여 돌출하거나, 프로텍터(7A)가 바늘 끝(41)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것에 의해, 폐기 처리 등을 할 때 바늘 끝(41)으로 잘못하고 손가락 등을 찌르게 되는 사고가 방지된다.
<프로텍터의 제 5 실시 형태>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를 나타내는 단면 측면도이고, 프로텍터는 제2의 자세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프로텍터의 제 5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전술한 제 4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사항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7B)는 플라스틱 부재(10)(바늘 몸체 접촉부(104) 부근의 부위)를 덮는 커버부(1000, 1000)를 갖고 있는 것 이외에는 상기 제 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커버부(1000, 1000)는 제2의 부위(72)의 일단부로부터 선단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제6의 부위(76)의 양쪽 측부로부터 각각 타단 방향(도 10의 아래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며, 제1의 부위(71)나 제2의 부위(72) 등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두 커버부(1000, 1000)는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제6의 부위(76)와 커버부(1000,1000)는 정면에서 보면 전체로서 대략「⊃」자 모양을 하고 있다.
이 커버부(1000, 1000)는 각각 제1의 부위(71), 제4의 부위(74),제5의 부위(75) 및 플라스틱 부재(10)를 측면으로부터 덮고 있다.
이와 같은 커버부(1000, 1000)는 제2의 자세에 있을 때 바늘 몸체 접촉부(104) 부근의 부위를 선단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을 방해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플라스틱 부재(1O)의 선단부(바늘 몸체 접촉부(1O4) 부근의 부위)에 대하여, 예를 들면 도 11의 화살표(B)로 나타낸 것과 같은 당기는 힘을 손가락 등으로 가하려고 할 때, 플라스틱 부재(10)의 선단부는 그 측면이 커버부(1000, 1000)로 덮여 있기 때문에, 이것을 손가락 등으로 접촉할 수 없고 따라서 이 조작을 행할 수 없다.
이와 같은 구성과 달리, 플라스틱 부재(l0)의 선단부에 상기 당기는 힘을 가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당기는 힘은 제4의 부위(74)를 통해서 제1의 부위(71)에 전달되어 제1의 부위 경사각도(θ1')가 커지도록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제1의 구멍(81)의 내면과 바늘 관(4)의 표면 사이의 마찰력(프로텍터(7B)에 작용하는 제동력)이 감소하여 프로텍터(7B)가 바늘 관(4)으로부터 이탈하는(빠지는) 것이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프로텍터(7B)에서는 전술한 것처럼 커버부(1000, 1000)가 구비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상기 당기는 힘(B)과 같은 외력을 가하는 조작이 방해되기 때문에, 상술된 것과 같은 프로텍터(7B)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따라서, 프로텍터(7B)에서는, 예를 들면, 고의로 바늘 관(4)으로부터 이탈시키려는 것과 같은 경우에도 바늘 관(4)으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안전성이 높다.
또, 이와 같은 프로텍터(7B)는 제2의 자세에서 커버부(1000, 1000)에 기단 방향 또는 선단 방향의 외력이 작용할 때, 제2의 부위(72)(제2의 구멍(82) 부근의 판 형상 부재)의 상기 바늘 관(4)에 대한 경사각도가 작아지게 하는 힘을 작용하는 수단을 갖고 있다.
즉, 예를 들면 커버부(1000, 1000)의 선단부에 도 11의 화살표(C)로 표시된 것과 같은 당기는 힘이 부가되는 것에 의하여 커버부(1000,1000)에 선단 방향의 외력이 작용하면, 이러한 당기는 힘(C)은 제6의 부위(76)를 통해서 제2의 부위(72)에 전달되어 제2의 부위(72)의 바늘 관(4)에 대한 경사각도(도 11의 β로 나타내는 각도)가 작아지도록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제2의 구멍(82)의 내면과 바늘 관(4)의 표면 사이에 마찰력(프로텍터(7B)에 작용하는 제동력)이 발생 또는 증대하여 당기는 힘에 대항한다. 즉, 제1의 부위(71)에 더하여 제2의 부위(72)도 바늘 관(4)에 대한 브레이크 작용을 하여, 프로텍터(7B)의 이동을 보다 확실하게 금지(저지)한다. 또한, 프로텍터(7B)의 기단부에 대하여 예를 들면 도 11의 화살표(E)로 나타내는 누르는 힘을 가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제2의 부위(72)의 바늘 관(4)에 대한 경사각도(β)가 작아지도록 작용한다.
또, 상기 당기는 힘(C)은 제2의 부위(72)로부터 제3의 부위(73)를 통해서제1의 부위(71)로 전달되어 제1의 부위 경사각도(θ1')가 더 작아지도록 작용한다.
또한, 제2의 구멍(82)의 크기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상기 경사각도(α,β)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부(1000, 1000)에 대하여 선단 방향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도 프로텍터(7B)가 바늘 관(4)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커버부(1000, 1000)는 적어도 바늘 몸체 접촉부(104) 부근의 부위를 덮는 것이면 충분하다.
<유치 바늘 조립체의 실시 형태>
도12 및 도 13은 각각 본 발명의 유치 바늘 조립체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2 및 도 13의 바늘 끝측을 「선단」, 허브측을 「기단」으로 하고, 선단을 위로 한 경우의 좌측을 「일단」, 우측을 「타단」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하, 이러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유치 바늘 조립체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전술한 프로텍터의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사항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도면에 도시되는 유치 바늘 조립체(11)는 외측 바늘과 내측 바늘을 구비하는 것으로, 특히 수액용의 유치 바늘 조립체를 구성하며, 유치 바늘인 외측 바늘(121)과 외측 바늘(121)의 기단측에 설치된 외측 바늘 허브(122)로 구성된 허브 부착 외측 바늘(12)과, 외측 바늘(121)안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내측 바늘(131)과 내측 바늘(131)의 기단측에 설치된 내측 바늘 허브(l32)로 구성된 허브 부착 내측 바늘(13)과, 내측 바늘(131)에 장착된 상기 제4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7A)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각 부분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외측 바늘(121)은 중공 형상을 하며 어느 정도의 가요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외측 바늘(121)의 구성 재료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에틸렌 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우레탄, 폴리 에테르 나일론 수지 등의 각종 연질 수지가 바람직하다.
외측 바늘(121)의 선단부는 생체로의 관통삽입이 용이하고 적은 정도의 절개가 행해지도록, 외경이 선단 방향을 향하여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 모양을 하고 있다.
외측 바늘(121)의 기단부에는 외측 바늘 허브(122)가 액에 밀폐 상태로 고정되며, 외측 바늘(121)의 내부 구멍과 외측 바늘 허브(122)의 내부가 연통하고 있다. 외측 바늘 허브(122)는 의 통 형상의 부재이며, 기단 방향을 향하여 그 외경 및 내경이 점증하는 테이퍼 모양을 하고 있다.
내측 바늘(바늘 몸체)(131)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바늘 관(4)과 동일한 재료 및 형상 등으로 된다.
이 내측 바늘(131)은 외측 바늘(121)의 내부 구멍에 삽입된 상태, 즉 도 12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사용된다. 이하, 이 상태를 「조립 상태」라고 한다.
내측 바늘(131)의 길이는 조립 상태로 했을 때 적어도 바늘 끝(1311)이 외측바늘(121)의 선단 개구(1211)로부터 돌출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설정된다.
내측 바늘(131)의 기단부는 내측 바늘 허브(132)의 선단부에 고정되고, 내측 바늘(131)의 내부 구멍은 내측 바늘 허브(132)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내측 바늘 허브(132)는 거의 원통 형상의 중공부재로 구성되고 있고, 본체부(1321)와, 그 본체부(1321)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본체부(1321)보다 직경이 작은 세경부(細徑部)(1322)를 갖고 있다.
이 내측 바늘 허브(132)는 바람직하게는 투명(무색 투명),착색 투명 또는 반투명의 수지로 구성되어 그 내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바늘 끝(l311)이 혈관을 확보할 때 내측 바늘(131)을 통해서 유입한 혈액의 플래시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내측 바늘 허브(132)의 기단부의 개구에는 그 개구를 덮도록, 기체는 투과하지만 액체는 차단하는 성질을 갖는 통기 필터(14)가 설치되어 있다.
외측 바늘 허브(122) 및 내측 바늘 허브(132)의 구성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각종 수지 재료가 사용할 수 있다.
프로텍터(7A)는 내측 바늘(131)에 장착되고 있고, 도 12에 나타낸 것처럼 조립 상태에서는 외측 바늘 허브(122)의 내부 공간에 수납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유치 바늘 조립체(11)는 조립 상태에서 프로텍터(7A)와 외측 바늘 허브(122)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15)을 갖고 있다. 이 연결 수단(15)은 원통 형상을 한 원통부재(접촉 부재)(151)와, 그 원통부재(151)와 외측 바늘 허브(122)를 연결하는 테이프(152)를 갖는다.
원통부재(151)는 기단 개구를 가지며, 조립 상태에서는 그 기단 개구를 통해서 원통부재(151)의 내측으로 내측 바늘 허브(132)의 세경부(1322)가 삽입되어 느슨한 끼워맞춤 상태가 된다.
원통부재(151)의 선단부에는 선단벽(바닥부)(1511)이 마련되어 있다. 선단벽(1511)의 중앙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있으며, 내측 바늘(131)은 그 구멍을 관통하고 있다.
조립 상태에서는, 원통부재(151)의 선단측의 일부는 외측 바늘 허브(122)의 내측에 삽입되어 느슨한 끼워맞춤 상태가 된다. 또, 조립 상태에서는 원통부재(151)의 선단부(선단벽(1511)의 외면)는 프로텍터(7A)의 기단부에 접촉 또는 근접한 상태가 된다.
테이프(152)는 가요성을 갖는 시트 형상의 부재이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종이, 부직포 등으로 구성되어, 그 기단부는 원통부재(151)의 외면에 열융착 또는 점착되어 있고, 그 선단부는 외측 바늘 허브(122)의 외면에 열융착 또는 점착되어 있다. 즉, 테이프(152)는 외측 바늘 허브(122)의 기단 외주에 설치된 플랜지(1221)를 넘도록 구비되어 있다.
테이프(152)에는 프로텍터(7A)와 외측 바늘 허브(122)가 분리할 때에 파단되는 파단부로서 미싱 눈금(1521)이 테이프(152)를 횡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조립 상태에서는 외측 바늘 허브(122)와 프로텍터(7A)가 연결 수단(15)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결 수단(15)이 마련되어 있음으로 인해, 유치 바늘 조립체(11)의 조립 상태에서 허브 부착 내측 바늘(13)을 허브 부착 외측 바늘(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기단 방향으로 이동시키면(허브 부착 내측 바늘(13)의 내측 바늘(131)을 허브 부착 외측 바늘(12)의 외측 바늘(121)로부터 잡아당기면), 프로텍터(7A)는 원통부재(151)의 선단부에 접촉함으로써 기단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되어 허브 부착 외측 바늘(12)측 상에 유지된다. 즉, 프로텍터(7A)는 내측 바늘(131)에 대해서는 제1의 자세를 유지하면서 상대적으로 선단 방향으로 이동하고, 내측 바늘(131)의 바늘 끝(1311)이 바늘 몸체 접촉부(104)를 통과하면, 그 제1의 자세로부터 내측 바늘(131)의 바늘 끝(l311)을 덮는 제2의 자세로 변위한다.
프로텍터(7A)는 전술한 것처럼 제2의 자세가 되면, 내측 바늘(131)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이 금지(저지)된다. 따라서, 프로텍터(7A)가 제2의 자세로 된 상태에서, 또한 허브 부착 내측 바늘(13)을 허브 부착 외측 바늘(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기단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그 조작력(잡아당기는 힘)이 원통부재(151)를 통해서 테이프(152)에 작용하여 미싱 눈금(1521)이 파단된다. 이것에 의해, 프로텍터(7A)는 허브 부착 외측 바늘(12)(외측 바늘 허브(122))로부터 분리되어 내측 바늘(131)의 선단에 남아있게 되어, 그 바늘 끝(1311)을 보호한다(덮는다).
이와 같이, 유치 바늘 조립체(11)에서는 허브 부착 내측 바늘(13)을 허브 부착 외측 바늘(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기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조작만으로도 프로텍터(7A)로 내측 바늘(131)의 바늘 끝(1311)을 덮을 수 있고 또한 프로텍터(7A)를 허브 부착 외측 바늘(12)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서, 프로텍터(7A)로 내측 바늘(131)의 바늘 끝(1311)을 덮기 위한 별도의 조작이 불필요하다. 이것에 의해, 내측바늘(131)의 바늘 끝(1311)을 프로텍터(7A)로 극히 용이하면서 확실하게 덮는(수납하는)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유치 바늘 조립체(11)의 사용 방법의 일례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 유치 바늘 조립체(11)를 조립한 상태로 내측 바늘 허브(132) 등을 손으로 파지하면서, 내측 바늘(131) 및 외측 바늘(121)을 환자의 혈관(정맥 또는 동맥)에 관통 삽입한다.
[2] 내측 바늘(131)의 바늘 끝(1311)이 혈관에 관통 삽입되면, 혈관의 내압(혈압)에 의하여 혈액이 내측 바늘(131)의 내부를 기단 방향으로 역류하여, 내측 바늘 허브(132) 안으로 도입되며,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내측 바늘 허브(132)를 통해서 이 플래시백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내측 바늘(131)의 바늘 끝(1311)이 혈관을 확보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혈액의 유입에 수반하여 내측 바늘 허브(132) 안의 공기는 통기 필터(14)를 통하여 배출되지만, 혈액은 통기 필터(14)를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외부로 누설이 발생하지 않는다.
[3] 또한, 내측 바늘(131) 및 외측 바늘(121)을 미소한 거리만큼 선단 방향으로 더 진행시키면, 외측 바늘(121)의 선단 개구(1211)가 혈관 내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외측 바늘(121)이 혈관을 확보한다.
[4] 혈관에 억류되는 외측 바늘(121)을 손으로 누르면서, 다른 쪽 손으로는 내측 바늘 허브(132)를 파지하여 기단 방향으로 당긴다. 이것에 의해, 내측바늘(131)이 외측 바늘(121)로부터 빠져 나온다. 이 때, 프로텍터(7A)는 외측 바늘 허브(122)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허브 부착 외측 바늘(12)측 상에 유지된다. 즉, 프로텍터(7A)는 내측 바늘(131)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선단 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것처럼 프로텍터(7A)가 바늘 관(4)에 대하여 원활히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약간의 조작력으로도 내측 바늘(131)을 외측 바늘(121)로부터 빼내는 것이 가능하며, 이 조작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프로텍터(7A)가 제2의 자세가 되기도 전에 연결 수단(15)에 의한 연결이 해제되어 버리는(미싱 눈금(1521)이 파단되어 버리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5] 또한, 내측 바늘 허브(132)를 기단 방향으로 당기면, 전술한 것처럼 내측 바늘(131)의 바늘 끝(131l)이 바늘 몸체 접촉부(104)를 통과하여, 바늘 몸체 접촉부(104)에 의한 브레이크 작용 유보 상태가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 프로텍터(7A)는 탄성적으로 (자신의 탄성에 의하여) 변형되어 도 13에 가리키는 제2의 자세로 된다.
프로텍터(7A)가 제2의 자세로 되면, 제1의 부위(71)의 브레이크 작용에 의하여, 프로텍터(7A)는 바늘 끝(1311)이 제1의 구멍(81)을 통과하기 전에 내측 바늘(131)에 대하여 정지(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프로텍터(7A)는 내측 바늘(131)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이동이 금지(저지)되어, 내측 바늘(131)의 바늘 끝(1311)을 덮은(수납한) 상태를 유지한다.
[6] 프로텍터(7A)가 제2의 자세로 된 상태에서, 내측 바늘 허브(132)를 기단방향으로 더 당기면, 그 당기는 힘이 연결 수단(15)에 작용하여 미싱 눈금(1521)이 파단된다. 이것에 의해, 프로텍터(7A)는 허브 부착 외측 바늘(12)(외측 바늘 허브(122))로부터 분리되어 내측 바늘(131)의 선단에 머물러 있는다(도 13 참조).
[7] 내측 바늘(131)이 빠져 나온 허브 부착 외측 바늘(12)의 외측 바늘 허브(122)에 수액 세트의 커넥터 등(도시하지 않음)을 재빠르게 접속하여 규정된 방법에 따라 수액의 투여를 개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외측 바늘(121)로부터 내측 바늘(131)을 빼낸 후에는, 허브 부착 내측 바늘(13)은 불필요하기 때문에 폐기처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유치 바늘 조립체(11)에 의하면, 허브 부착 외측 바늘(12)로부터 빼내어진 허브 부착 내측 바늘(13)의 바늘 끝(1311)이 프로텍터(7A) 안에 수납되므로, 특히, 바늘 끝(131l)이 프로텍터(7A)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거나 프로텍터(7A)가 내측 바늘(131)로부터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폐기 처리를 행하는 사람 등이 바늘 끝(1311)으로 잘못하여 손가락 등을 찌르게 되는 사고가 방지된다.
도 14는 프로텍터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2의 프로텍터(7A) 대용으로 제 1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2A)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유치 바늘 조립체(11)는 상기 제 1 실시 형태 내지 제 3 실시 형태 및 제 5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를 구비한 것이어도 좋다.
도 15는 연결 수단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으로, 조립 상태에 있는 외측 바늘 허브 부근의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유치 바늘 조립체에서의 연결 수단의 다른 구성예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전술한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사항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유치 바늘 조립체에 있어서 연결 수단은 내측 바늘(131)이 관통(삽통)하는 구멍(1531)을 갖는 링 형상(원판 형상) 또는 대략 C 자 형상의 링 부재(153)로 구성되어 있다.
이 링 부재(153)의 외주부는, 조립 상태에서는 외측 바늘 허브(122)의 내측에 형성된 오목부(1222)(홈부)에 삽입되며(잠겨지며), 그 선단면은 프로텍터(7A)의 기단부에 접촉 또는 근접하고 있다. 또, 링 부재(153)는 프로텍터(7A)에 기단측에서 접촉할 수 있는 접촉 부재로서의 기능도 갖는다.
이와 같은 조립 상태에서 허브 부착 내측 바늘(13)을 허브 부착 외측 바늘(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기단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프로텍터(7A)는 링 부재(153)의 선단면에 접촉함으로써 기단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되어 허브 부착 외측 바늘(12)측 상에 유지된다. 즉, 프로텍터(7A)는 내측 바늘(131)에 대해서는 제1의 자세를 유지하면서 상대적으로 선단 방향으로 이동하며, 내측 바늘(131)의 바늘 끝(1311)이 바늘 몸체 접촉부(104)를 통과하면 그 제1의 자세로부터 내측 바늘(131)의 바늘 끝(1311)을 덮는 제2의 자세로 변위한다.
이 상태에서 허브 부착 내측 바늘(13)을 허브 부착 외측 바늘(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기단 방향으로 더 이동시키면, 그 조작력(당기는 힘)에 의하여 링 부재(153)는 외관의 외경이 작아지도록 변형되고, 오목부(1222)로부터 벗어나서 외측 바늘 허브(122)에 대하여 기단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하여, 링 부재(153)의 외측 바늘 허브(122)에 대한 잠김 상태가 해제되며, 프로텍터(7A)는 외측 바늘 허브(122)로부터 분리되어 내측 바늘(131)의 선단에 유지되어 그 바늘 끝(1311)을 보호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프로텍터 및 유치 바늘 조립체를 도시된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프로텍터 및 유치 바늘 조립체를 구성하는 각 부분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임의의 구성의 것으로도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실시 형태 내지 제 3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의 본체부는 전체 형상으로서 거의 S자 모양의 것에 국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거의「e」자 모양의 것 등이어도 좋다.
또, 상기 제 1 실시 형태 내지 제 3 실시 형태의 프로텍터에 대해서도, 프로텍터의 본체부가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판 형상의 브레이크부와, 그 브레이크부를 바늘 몸체에 대한 경사각도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힘 부여 부재(스프링)가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본 발명의 프로텍터는 각종 주사 바늘에 국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유치 바늘(외측 바늘)과 조합 상태로 사용되는 유치 바늘 조립체에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유치 바늘 조립체에 있어서 연결 수단은 도시와 같은 구성에 국한되지 않고, 프로텍터가 제1의 자세로부터 제2의 자세로 변위(변형)할 때까지프로텍터와 외측 바늘 허브와의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연결 수단이어도 좋다. 또, 그러한 연결 수단을 갖지 않는 것이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로텍터 및 유치 바늘 조립체, 특히, 수액이나 채혈을 할 때 혈관 등에 관통 삽입하여 사용되는 바늘 몸체의 프로텍터 및 이를 구비한 유치 바늘 조립체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선단에 예리한 바늘 끝을 갖는 바늘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제1의 자세와, 상기 바늘 몸체의 바늘 끝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바늘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적인 이동이 금지되는 제2의 자세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프로텍터에 있어서,
    상기 바늘 몸체가 관통 가능한 구멍이 형성된 판 형상의 브레이크부를 가지며,
    상기 제2의 자세에 있을 때, 상기 바늘 몸체에 대한 상기 브레이크부의 경사각도가 상기 제1의 자세에 있을 때보다 작아지는 것에 의하여, 상기 브레이크부의 구멍의 내면과 상기 바늘 몸체의 외주면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 또는 증대하며, 이것에 의해 상기 바늘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대적인 이동이 금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몸체에 대한 상기 브레이크부의 경사각도가 작아지도록 상기 브레이크부에 힘을 가하는 힘 부여 수단과,
    상기 제1의 자세에 있을 때, 상기 바늘 몸체에 대한 상기 브레이크부의 경사를 규정하는 경사 규정 수단을 가지며,
    상기 바늘 몸체의 선단부까지 이동할 때에 상기 경사 규정 수단에 의한 규정이 해제되며, 이것에 의해 상기 제1의 자세로부터 상기 제2의 자세가 되도록 구성되는 프로텍터.
  3. 선단에 예리한 바늘 끝을 갖는 바늘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제1의 자세와, 상기 바늘 몸체의 바늘 끝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바늘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적인 이동이 금지되는 제2의 자세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프로텍터에 있어서,
    탄성을 갖는 판 형상 부재를 변형시켜 형성한 본체부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에 상기 바늘 몸체가 관통 가능한 제1의 구멍 및 제2의 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있고,
    상기 본체부의 바늘 끝측에 상기 바늘 몸체가 관통 가능한 관통부가 형성되고 있고,
    상기 제l의 자세에 있을 때, 상기 바늘 몸체가 상기 제1의 구멍, 상기 제2의 구멍 및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고 있고, 그 상태에서 상기 바늘 몸체에 대하여 선단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관통부와 상기 바늘 몸체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바늘 몸체에 대한 상기 제1의 구멍 부근의 판 형상 부재의 경사각도가 상기 제1의 자세에 있을 때보다 작아지도록 탄성적으로 변형하고 상기 제2의 자세로 되며, 이것에 의해 상기 제1의 구멍의 내면과 상기 바늘 몸체의 외주면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 또는 증대하여 상기 바늘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적인 이동이 금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자세에 있을 때, 상기 본체부의 선단부가 상기 바늘 몸체의 바늘 끝을 덮는 프로텍터.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전체적인 형상으로서 거의 S자 모양을 하며, 상기 제1의 구멍은 상기 본체부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의 구멍은 상기 본체부의 바늘 근원측에 형성되어 있는 프로텍터.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와 상기 제1의 구멍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의 자세에 있을 때 상기 바늘 몸체의 바늘 끝을 덮는 캡 부재를 갖는 프로텍터.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자세에서 상기 프로텍터의 선단부를 기단 방향으로 누를 때, 상기 브레이크부 또는 상기 제1의 구멍 부근의 판 형상 부재에 대하여 상기 경사각도가 보다 작아지게 하는 힘을 가하는 수단을 갖는 프로텍터.
  8. 선단에 예리한 바늘 끝을 갖는 바늘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제1의 자세와, 상기 바늘 몸체의 바늘 끝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바늘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적인 이동이 금지되는 제2의 자세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프로텍터에 있어서,
    금속재료로 구성되어 상기 바늘 몸체가 관통 가능한 구멍이 형성된 판 형상의 브레이크부와,
    상기 브레이크부의 상기 바늘 몸체에 대한 경사각도가 작아지도록 상기 브레이크부에 힘을 가하는 힘 부여 수단과,
    상기 브레이크부보다 바늘 끝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의 자세에 있을 때 상기 바늘 몸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브레이크부의 상기 바늘 몸체에 대한 경사각도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수지 재료로 구성된 바늘 몸체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의 자세로부터 상기 바늘 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선단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바늘 몸체 접촉부가 상기 바늘 끝을 통과하여 상기 바늘 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힘 부여 수단에 의하여 상기 바늘 몸체에 대한 상기 브레이크부의 경사각도가 상기 제1의 자세의 때보다 작아지도록 변형되어 상기 제2의 자세로 되며, 이것에 의해 상기 구멍의 내면과 상기 바늘 몸체의 표면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 또는 증대하여 상기 바늘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적인 이동이 금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힘 부여 수단은 상기 브레이크부로부터 연속된 판 형상의 부재이며, 그 탄성력에 의하여 그 작용력을 내는 프로텍터.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자세에서, 상기 바늘 끝을 선단측으로부터 덮는 바늘 끝 수납부 를 갖는 프로텍터.
  11.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부보다 바늘 근원측에, 상기 바늘 몸체가 관통 가능한 제2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프로텍터.
  12. 선단에 예리한 바늘 끝을 갖는 내측 바늘과,
    상기 내측 바늘에 장착된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프로텍터와,
    상기 내측 바늘의 기단측에 설치된 내측 바늘 허브와,
    상기 내측 바늘이 삽입 가능한 중공의 외측 바늘과,
    상기 외측 바늘의 기단측에 설치된 외측 바늘 허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치 바늘 조립체.
KR1020037008072A 2000-12-18 2001-12-05 프로텍터 및 유치 바늘 조립체 KR1007876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84370 2000-12-18
JPJP-P-2000-00384370 2000-12-18
JPJP-P-2001-00097558 2001-03-29
JP2001097558 2001-03-29
PCT/JP2001/010625 WO2002049696A1 (fr) 2000-12-18 2001-12-05 Element de protection et ensemble logement-aiguil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587A true KR20030070587A (ko) 2003-08-30
KR100787691B1 KR100787691B1 (ko) 2007-12-21

Family

ID=26606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072A KR100787691B1 (ko) 2000-12-18 2001-12-05 프로텍터 및 유치 바늘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47148B2 (ko)
EP (1) EP1344544A4 (ko)
JP (1) JP4252799B2 (ko)
KR (1) KR100787691B1 (ko)
CN (1) CN1276781C (ko)
AU (2) AU2105402A (ko)
WO (1) WO20020496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2546B2 (en) * 2001-03-15 2005-06-07 Specialized Health Products, Inc. Safety shield for medical needles
US7004927B2 (en) * 2001-03-15 2006-02-28 Specialized Health Products, Inc. Safety shield for medical needles
US7413562B2 (en) 2001-03-15 2008-08-19 Specialized Health Products, Inc. Safety shield for medical needles
EP3175880B1 (en) 2002-06-20 2018-08-1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Apparatus for shielding the tip of a catheter introducer needle
EP3159032B1 (en) * 2002-06-20 2020-01-1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atheter and introducer needle assembly with needle shield
JP2004073403A (ja) * 2002-08-14 2004-03-11 Terumo Corp 留置針組立体
JP2004113394A (ja) * 2002-09-25 2004-04-15 Terumo Corp プロテクタ
JP2004113523A (ja) * 2002-09-26 2004-04-15 Terumo Corp プロテクタ
JP2004113524A (ja) * 2002-09-26 2004-04-15 Terumo Corp プロテクタ
US20050075609A1 (en) * 2003-10-01 2005-04-07 Latona Patrick C. Protective needle clips
DE602005016820D1 (de) 2004-09-03 2009-11-05 Terumo Corp Verweilnadelanordnung
US7850650B2 (en) 2005-07-11 2010-12-14 Covidien Ag Needle safety shield with reset
US7905857B2 (en) 2005-07-11 2011-03-15 Covidien Ag Needle assembly including obturator with safety reset
US7828773B2 (en) 2005-07-11 2010-11-09 Covidien Ag Safety reset key and needle assembly
EP2497523B1 (en) * 2005-03-07 2016-11-16 Erskine Medical LLC Catheter introducer with needle shield
US20060276747A1 (en) 2005-06-06 2006-12-07 Sherwood Services Ag Needle assembly with removable depth stop
US7731692B2 (en) 2005-07-11 2010-06-08 Covidien Ag Device for shielding a sharp tip of a cannula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7654735B2 (en) 2005-11-03 2010-02-02 Covidien Ag Electronic thermometer
JPWO2007132732A1 (ja) * 2006-05-17 2009-09-24 テルモ株式会社 留置針組立体
US8382718B2 (en) 2006-07-31 2013-02-26 B. Braun Melsungen Ag Needle assembly and components thereof
JP4994775B2 (ja) 2006-10-12 2012-08-08 日本コヴィディエン株式会社 針先保護具
US8357104B2 (en) 2007-11-01 2013-01-22 Coviden Lp Active stylet safety shield
ES2788079T3 (es) * 2007-11-21 2020-10-20 Becton Dickinson Co Dispositivo de seguridad de aguja
AU2013263723B2 (en) * 2007-11-21 2016-01-1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Needle safety device
CA2706585C (en) 2007-11-21 2013-07-16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afety needle guard
US20100114067A1 (en) * 2008-10-31 2010-05-06 Warsaw Orthopedic, Inc. Multi-Chamber Mixing System
CH700159B1 (it) * 2008-12-30 2013-05-31 Tripomed S R L Dispositivo protettivo per ago.
SE534021C2 (sv) * 2009-08-13 2011-04-05 Vigmed Ab Skyddsanordning för en kateternålspets
JP5148590B2 (ja) * 2009-12-24 2013-02-20 株式会社若本製作所 格子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フェンス、溝蓋
WO2012039672A1 (en) 2010-09-23 2012-03-29 Vigmed Ab Needle tip shielding device
EP2646091A4 (en) 2010-12-02 2015-12-23 Erskine Medical Llc NEEDLE PROTECTION ASSEMBLY WITH PAGILLON ENGAGEMENT ELEMENT FOR NEEDLE DEVICE
ES2725777T3 (es) 2010-12-02 2019-09-27 Erskine Medical Llc Mecanismo de liberación para usar con dispositivos de protección de agujas
US8764711B2 (en) * 2011-02-28 2014-07-01 Injectimed, Inc. Needle guard
US9238104B2 (en) 2011-02-28 2016-01-19 Injectimed, Inc. Needle guard
AU2015200294B2 (en) * 2011-02-28 2017-02-09 Injectimed, Inc. Needle guard
CN103608060B (zh) * 2011-04-07 2016-01-27 厄斯金医学有限公司 针头屏蔽装置
US8486024B2 (en) * 2011-04-27 2013-07-16 Covidien Lp Safety IV catheter assemblies
US8591467B2 (en) 2011-07-25 2013-11-26 Covidien Lp Vascular access assembly and safety device
CN202761816U (zh) * 2011-09-13 2013-03-06 张焕娥 一次性使用输液针
EP2760520A1 (en) 2011-09-26 2014-08-06 Covidien LP Safety catheter
US8834422B2 (en) 2011-10-14 2014-09-16 Covidien Lp Vascular access assembly and safety device
WO2013070789A2 (en) 2011-11-07 2013-05-16 Safety Syringes, Inc. Contact trigger release needle guard
CN102641529B (zh) * 2012-05-08 2014-04-16 江苏苏云医疗器材有限公司 留置针
CN102641528A (zh) * 2012-05-08 2012-08-22 江苏苏云医疗器材有限公司 安全留置针
CA2881423C (en) * 2012-08-27 2020-01-07 Injectimed, Inc. Needle guard
US11224724B2 (en) 2013-03-12 2022-01-18 Teleflex Medical Incorporated Catheter insertion device
US10357635B2 (en) 2013-03-12 2019-07-23 Teleflex Medical Incorporated Catheter insertion device
US9717886B2 (en) 2013-03-12 2017-08-01 Teleflex Medical Incorporated Safety clip for a needle
GB2508466C (en) 2013-08-21 2017-11-08 Braun Melsungen Ag Catheter Assembly
CN103736170A (zh) * 2013-10-12 2014-04-23 苏州市雅思精密模具有限公司 防刺伤留置针
EP3357532B1 (en) * 2015-09-29 2020-08-12 Terumo Kabushiki Kaisha Medical elongate member
BR112018009202B1 (pt) * 2015-11-05 2023-03-14 Tsk Laboratory Europe B.V Método para conectar dois objetos utilizando uma composição de polímero
EP3275484A1 (en) 2016-07-26 2018-01-31 Delta Med S.p.A. Protective element for medical needle assemblies
US10183124B2 (en) * 2016-10-12 2019-01-22 Repro-Med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ergonomic needle protector
WO2018191361A1 (en) 2017-04-13 2018-10-18 Teleflex Medical Incorporated Catheter insertion device
CN107115109B (zh) * 2017-05-26 2018-10-19 徐州医科大学 防护型动脉穿刺留置针
CN107789704A (zh) * 2017-11-27 2018-03-13 昆山伊诺特精密部件有限公司 一种留置针安全夹组件
CN113456987B (zh) * 2021-05-31 2023-08-08 泰尔茂医疗产品(杭州)有限公司 插管器防护装置、套管部件、套管组合体及套管装置
CN116407186B (zh) * 2023-05-31 2023-08-15 瀚芯医疗科技(深圳)有限公司 穿刺锁定装置及缝合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45691C (en) * 1989-02-01 2005-09-27 Richard C. Sircom Disposable automatic hypodermic needle guard
US5601532A (en) * 1993-07-20 1997-02-11 Graphic Controls Corporation Locking safety cover for sharp instruments
GB2292525B (en) 1994-08-24 1998-07-01 Sterimatic Holdings Ltd Catheter placement units
US6012213A (en) * 1995-06-07 2000-01-11 Chang; Joseph J. Method for forming a rib on a cannula for a tip protection device
US5882337A (en) * 1995-06-07 1999-03-16 Johnson & Johnson Medical, Inc. Tip protection device
US6117108A (en) * 1997-08-20 2000-09-12 Braun Melsungen Ag Spring clip safety IV catheter
US20040049155A1 (en) * 2002-06-06 2004-03-11 Schramm John B. Needle tip prot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49163A1 (en) 2004-03-11
CN1276781C (zh) 2006-09-27
CN1501822A (zh) 2004-06-02
EP1344544A4 (en) 2008-09-03
WO2002049696A1 (fr) 2002-06-27
JPWO2002049696A1 (ja) 2004-04-15
AU2105402A (en) 2002-07-01
JP4252799B2 (ja) 2009-04-08
EP1344544A1 (en) 2003-09-17
KR100787691B1 (ko) 2007-12-21
AU2002221054B2 (en) 2006-08-17
US7247148B2 (en) 200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691B1 (ko) 프로텍터 및 유치 바늘 조립체
CN101610809B (zh) 导管组件及其构件
JP5096322B2 (ja) プロテクタ
AU2006307253B2 (en) Indwelling needle assembly
WO2009123025A1 (ja) 留置針組立体
US20080103449A1 (en) Indwelling Needle Assembly
EP1862193A1 (en) Indwelling needle device
SG173383A1 (en) Catheter and introducer needle assembly with safety device
JP2004073403A (ja) 留置針組立体
JP4942256B2 (ja) 穿刺具および留置針組立体
JP2002248168A (ja) 留置針組立体
WO2016133138A1 (ja) 留置針組立体
CN112689522B (zh) 针头安全系统
US20050124938A1 (en) One-shot needle safety cover
JP3835882B2 (ja) 留置針組立体
JP4116770B2 (ja) プロテクタ
JP4404571B2 (ja) 留置針組立体
JPH1157002A (ja) 留置針組立体
JP2004154364A (ja) プロテクタ
JP4849021B2 (ja) 留置針組立体
JP2004267323A (ja) 留置針組立体
KR200195392Y1 (ko) 나비 손잡이를 갖는 안전주사기
JP2019034192A (ja) 留置針
JP2021040853A (ja) 針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