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8535A - 이부프로펜 캡슐 충전액 및 캡슐 제제 - Google Patents

이부프로펜 캡슐 충전액 및 캡슐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8535A
KR20030068535A KR10-2003-7002688A KR20037002688A KR20030068535A KR 20030068535 A KR20030068535 A KR 20030068535A KR 20037002688 A KR20037002688 A KR 20037002688A KR 20030068535 A KR20030068535 A KR 20030068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ibuprofen
weight
mentho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2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2115B1 (ko
Inventor
가토소이치로
쓰모리가쓰유키
시노다야스오
이나기도시오
Original Assignee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8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1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 A61K31/23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etretin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58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66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10Expect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14Antitussiv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2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peripheral neuropath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0Hypnotics; Sed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6Psychostimulants, e.g. nicotine, coc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61P29/02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without antiinflammatory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Abstract

이부프로펜, 폴리에틸렌 글리콜, 물 및 멘톨, 리모넨, 보르네올, dl-캄파, 박하유 등의 테르펜류와, 필요에 따라서 해열 진통제, 항히스타민제, 진해제, 거담제, 교감 신경 흥분제, 중추 흥분제, 최면 진정제 및 항염증제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약제, 가용화제, 점조제, pH 조절제, 착색제 등을 혼합한 캡슐 충전액을 사용하여 캡슐 제제를 제조하며, 복용시의 이부프로펜의 쓴맛 방지와 속효성의 양립을 도모한다.

Description

이부프로펜 캡슐 충전액 및 캡슐 제제{Ibuprofen solutions for capsule-filling and capsule preparations}
이부프로펜(Ibuprofen)은 페닐프로피온산계 해열 소염 진통제이며, 의료용 의약품으로서 만성관절 루머티즘, 관절통 및 신경통에 사용되고 있는 외에, 일반용 의약품에서는 해열 진통약이나 감기약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부프로펜 제제로서, 당의정, 필름정, 과립, 경질 캡슐(과립 충전)이 존재하지만, 복용시 이부프로펜의 쓴맛 방지와 속효성의 양립이 어렵다. 이러한 복용시의 이부프로펜의 쓴맛 방지와 속효성을 양립시킨 제제로서, 이부프로펜을 용해시킨 용액을 캡슐에 충전하는 제제를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캡슐 제제로서 이부프로펜 단신의 제제가 시판되고 있지만, 계면활성제가 사용되고 있다.
이부프로펜의 용해에 관한 것으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8-333246호, 제(평)8-333265호, 제(평)6-9381호, 제(평)5-310566호, 제(평)9-157162호 및 일본특허공보 제(평) 7-116021호에 기재된 기술 등이 공지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8-333246호 및 제(평)8-333265호에는, 쓴맛 마스킹을 위해, 이부프로펜에 멘톨 및 물을 배합한 이부프로펜 현탁액제, 및 이부프로펜에 계피 엑기스 또는 생강 엑기스 및 물을 배합한 이부프로펜 현탁액제가 기재되어 있지만, 캡슐 충전액으로서 사용하면 물의 함량이 60% 이상이기 때문에 캡슐의 연화가 일어난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8-333246호 및 제(평)6-9381호에 기재되어 있는 이부프로펜 제제에서는 이부프로펜은 용해되지 않으며, 현탁액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6-9381호, 제(평)5-310566호 및 제(평)9-157162호에 기재되어 있는 이부프로펜 제제는 계면활성제를 필수로 하며, 캡슐 피막과의 상호작용으로 캡슐의 연화가 우려된다. 일본 특허공보 제(평) 7-116021호에 기재된 이부프로펜 제제에서는, 이부프로펜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
이상의 점에서, 물을 배합해도 이부프로펜의 결정 석출이 발생하지 않는 이부프로펜을 용해시킨 캡슐 충전액은, 아직 만족할 만한 것은 수득되고 있지 않았다.
발명의 개시
복용시의 이부프로펜의 쓴맛 방지와 속효성이 양립한 제제로서, 이부프로펜을 용해시킨 용액을 캡슐에 충전하는 제제가 요구되고 있다. 캡슐 제제는 젤라틴제 캡슐이 사용되고 있으며, 캡슐의 충전액의 전량에 대하여 물이 20중량% 미만인 배합이 아닌 경우에는 캡슐의 연화가 확인된다. 한편, 경질 캡슐제는, 캡슐의 충전액에 물이 배합되어 있지 않으면 캡슐의 균열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확인되며, 연질 캡슐제는, 성분에 따라서는 캡슐이 경화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물의 배합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부프로펜을 용해시킨 충전액에 물을 배합하면 이부프로펜의 결정 석출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물을 배합해도 이부프로펜의 결정 석출이 발생하지 않는 이부프로펜을 용해시킨 캡슐 충전액을 조제하는 것은 어려웠다.
본 발명은, 위의 관점으로부터 이루어진 것이며, 복용시의 이부프로펜의 쓴맛 방지와 속효성의 양립을 도모하기 위해서, 물을 배합해도 이부프로펜의 결정 석출이 발생하지 않는 이부프로펜을 용해시킨 캡슐 충전액 및 캡슐 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물을 배합해도 이부프로펜의 결정 석출이 발생하지 않는 이부프로펜을 용해시킨 캡슐 충전액의 배합 처방을 밝혀냈다. 즉, 이부프로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물의 용액에 테르펜류를 배합함으로서, 물을 배합해도 이부프로펜의 결정 석출이 발생하지 않는 캡슐 충전액을 수득할 수 있음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1) 이부프로펜, 폴리에틸렌 글리콜, 물 및 테르펜류를 함유하는 캡슐 충전액.
(2) (1)에 있어서, 테르펜류의 함유량이, 캡슐 충전액의 전량에 대하여 0.1 내지 15중량%인 캡슐 충전액.
(3) (1) 또는 (2)에 있어서, 테르펜류가 멘톨, 리모넨, 보르네올, dl-캄파및 박하유로부터 선택되는 캡슐 충전액.
(4) (3)에 있어서, 테르펜류가 멘톨 또는 박하유인 캡슐 충전액.
(5) (1)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해열 진통제, 항히스타민제, 진해제, 거담제, 교감 신경 흥분제, 중추 흥분제, 최면 진정제 및 항염증제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약제를 함유하는 캡슐 충전액.
(6) (1) 내지 (5)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르는 캡슐 충전액이 캡슐에 충전된 이부프로펜 캡슐 제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캡슐 충전액은, 이부프로펜, 폴리에틸렌 글리콜, 물 및 테르펜류를 배합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부프로펜의 1일 투여량은 200 내지 600mg,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600mg, 특히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600mg이다. 캡슐 충전액에 배합하는 이부프로펜의 양은, 캡슐당 충전액의 양(1캡슐당 통상 1mL 이하, 바람직하게는 0.7mL 이하), 1일 투여수(예를 들면, 3 내지 6캡슐/일)에 따라서, 투여량이 위의 범위가 되도록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부프로펜의 배합량은, 캡슐 충전액 전량에 대하여, 통상 5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중량%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평균 분자량은, 통상 100 내지 800,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700,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600이다.
물의 배합량은, 충전액 전량에 대하여, 통상 0.01중량% 이상 20중량% 미만,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20중량%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 18중량% 이하이다.
물과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중량비는 통상 0.01 내지 20 : 99.99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 99.9 내지 80,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 99 내지 80이다.
본 발명에서 테르펜류란, 테르펜류 및 테르펜류를 함유하는 정유를 포함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리모넨, 피넨, 캄펜, 사이멘, 시네올, 시트로네롤, 게라니올, 네롤, 리나롤, 멘톨, 테르피올, 로디놀, 보르네올, 이소보르네올, 멘톤, 캄파, 오이게놀, 신제이라놀 등의 테르펜류, 등피유, 오렌지유, 박하유, 장뇌백유, 유카리유, 테레핀유, 레몬유, 생강유, 정향유, 계피유, 라벤다유, 회향유, 카멜레유, 차조기유, 스페아민트유 등의 테르펜류를 함유하는 정유를 예시할 수 있다. 테르펜류는 1종이나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테르펜류의 배합량은, 충전액의 전량에 대하여, 통상 0.1 내지 15중량%,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5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2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멘톨이란 l-멘톨 또는 dl-멘톨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캡슐 충전액은, 이부프로펜과 함께 다른 약제를 병용할 수 있다. 이부프로펜 이외의 약제로서는, 해열 진통제, 항히스타민제, 진해제, 거담제, 교감 신경 흥분제, 중추 흥분제, 최면 진정제, 항염증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약효 성분은 이부프로펜에 대하여,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 이들의 약효 성분으로서 바람직한 것을 몇 개 예시하지만, 반드시 이러한 예시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해열 진통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스피린, 아스피린알루미늄, 아세트아미노펜, 에텐자미드, 살살레이트, 살리실아미드, 락틸페네티진, 살리실산나트륨 등의 각종 해열 진통제를 예시할 수 있다. 해열 진통제는, 이부프로펜의 양에 대하여, 통상 50 내지 1500중량%,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50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50중량%이다.
바람직한 항히스타민제로서는, 예를 들면, 염산 이소티펜딜, 염산 디페닐피랄린, 염산 디펜히드라민, 염산 디페테롤, 염산 트리프롤리딘, 염산 트리페렌아민, 염산 톤질아민, 염산 페네타진, 염산 메토질아진, 염산 프로메타진, 살리실산 디펜히드라민, 디페닐디술폰산 카르부빅스아민, 타르타르산 알리메마진, 탄닌산 디펜히드라민, 디페닐피랄린 테오클레이트, 메브하이드롤린 나파지실레이트, 프로메타진메틸렌 디살리실산염, 말레산 카르비녹사민, dl-말레산 클로로페닐아민, d-말레산 클로로페닐아민, 인산 디페테롤 등의 각종 항히스타민제를 예시할 수 있다. 항히스타민제는, 이부프로펜의 양에 대하여, 통상 0.3 내지 1500중량%,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50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0중량%이다.
바람직한 진해제로서는, 예를 들면, 염산 아로클아미드, 염산 클로펠라스틴, 시트르산 카르베타펜탄, 시트르산 티페피딘, 나트륨 디부네이트, 덱스트로메토르판 하이드로브로마이드, 덱스트로메토르판 페놀프탈레이트, 히벤즈산 티페피딘, 클로로펠라스틴 펜디조에이트, 인산 코데인, 인산 디하이드로코데인, 염산 노스카핀,노스카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진해제는, 이부프로펜의 양에 대하여, 통상 1 내지 25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중량%이다.
바람직한 거담제로서는, 예를 들면, 칼륨 구아야콜설포네이트나, 구아이페네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거담제는, 이부프로펜의 양에 대하여, 통상 20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중량%이다.
바람직한 교감 신경 흥분제로서는, 예를 들면, dl-염산 메틸에페드린이나, dl-메틸 에페드린사카린염, 염산 페닐프로판올아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교감 신경 흥분제는, 이부프로펜의 양에 대하여, 통상 5 내지 25중량%,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2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중량%이다.
바람직한 중추 흥분제로서는, 예를 들면, 무수 카페인이나, 카페인, 나트륨 카페인 벤조에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중추 흥분제는 이부프로펜의 양에 대해서 통상 3 내지 75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7 내지 25중량%이다.
바람직한 최면 진정제로서는, 브로모발레릴 요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최면 진정제는, 이부프로펜의 양에 대하여, 통상 5 내지 150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0중량%이다.
바람직한 항염증제로서는, 트라넥삼산, 글리틸리틴산 및 이의 동족물질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항염증제는, 이부프로펜의 양에 대하여, 통상 1 내지 1500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0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0중량%이다.
이부프로펜 이외의 약제는, 승인 기준의 경우는 나타낸 1일 최대 분량 및 1회 최대 분량의 범위내 또는 기준외 처방으로, 용법 및 용량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캡슐 충전액에는, 추가로 가용화제, 점조제, pH 조절제, 착색제 등의 경구액제에 배합되어 있는 성분을, 일반적으로 배합되는 양으로 배합할 수 있다.
아래에, 예로서 배합하는 데 바람직한 화합물을 나타내지만, 반드시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용화제로서는,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가용화제는, 충전액의 전량에 대하여, 통상 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2중량%이다.
점조제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점조제는, 충전액의 전량에 대하여, 통상 3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이다.
pH 조절제로서는, 시트르산, 인산 및 이들의 가식성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절제는, 충전액의 전량에 대하여, 통상 1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7.5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캡슐 충전액의 pH는 2 내지 7,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색제로서는, 식용성 색소, 캬라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착색제는, 충전액의 전량에 대하여, 통상 1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캡슐 충전액은, 일반적인 제조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가온한 물, 폴리에틸렌 글리콜, 가용화제의 혼합 용액에 위의 각 성분을 혼합하여, 가온 교반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캡슐 충전액은, 연질 캡슐 또는 경질 캡슐에 충전 가능하며, 쉽게 삼킬 수 있는 정도로 적은 용액량(1 캡슐당 통상 1mL 이하, 바람직하게는 0.7mL 이하)으로 의약품을 캡슐에 봉입하는 수단을 제공하기 때문에 유용하다. 캡슐 충전액을 캡슐에 충전한 후에는, 실온 또는 차가운 곳에서도 결정 석출이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물을 배합해도 이부프로펜의 결정 석출이 발생하지 않는 이부프로펜을 용해시킨 캡슐 충전액 및 캡슐 제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274g과 정제수 50g을 혼합한 후, 약 60℃로 가온하여, 여기에 이부프로펜 75g과 l-멘톨 1g을 가하고, 교반 용해시켜 무색 투명한 용액을 수득한다. 위의 투명 용액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1캡슐당 400mg씩 충전하여, 경질 캡슐제 1000개를 제조한다.
실시예 2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성분을 사용하여, 실시예 2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캡슐제를 제조한다.
실시예 7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221.4g과 정제수 40g을 혼합한 후, 약 60℃로 가온하여, 여기에 이부프로펜 75g, d-말레산 클로로페닐아민 0.6g, dl-염산 메틸에페드린 10g, 인산 디하이드로코데인 4g, 구아이페네신 42g 및 l-멘톨 7g을 가하고 교반 용해시켜, 무색 투명한 용액을 수득한다. 위의 투명 용액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1캡슐당 400mg씩 충전하여, 경질 캡슐제 1000개를 제조한다.
실시예 8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245g과 정제수 45g을 혼합한 후, 약 60℃로 가온하여, 여기에 이부프로펜 75g, 무수 카페인 7g, dl-염산 메틸에페드린 10g, 덱스트로메토르판 하이드로브로마이드 4g, 구아이페네신 42g, l-멘톨 7g 및 시트르산 15g을 가하고, 교반 용해시켜 무색 투명한 용액을 수득한다. 위의 투명 용액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1캡슐당 450mg씩 충전하여, 경질 캡슐제 1000개를 제조한다.
실시예 9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228.5g과 정제수 40g을 혼합한 후, 약 60℃로 가온하여, 여기에 이부프로펜 75g, 염산 디펜히드라민 12.5g, dl-염산 메틸에페드린 10g,인산 디하이드로코데인 4g, 염산 노스카핀 8g, l-멘톨 7g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15g을 가하고, 교반 용해시켜 무색 투명한 용액을 수득한다. 위의 투명 용액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1캡슐당 400mg씩 충전하여, 경질 캡슐제 1000개를 제조한다.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캡슐제의 평가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캡슐제에 관해서, 외관 및 충전액이 캡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외관의 평가는, 제조 직후 및 -5℃에서 2주간 보존한 후의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서 실시한다. 이부프로펜의 결정 석출이 발생하지 않은 결과를 0으로 나타내고, 이부프로펜의 결정 석출이 생긴 결과를 X로 나타낸다. 캡슐에 대한 영향의 평가는, 캡슐에 충전액을 충전한 후, 실온에서 1주간, 직립 방치후의 캡슐의 모양을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서 실시한다. 또한, 캡슐에 대한 영향이 확인되지 않은 결과를 0으로 나타내고, 캡슐에 대하여 특히 영향이 확인된 결과(캡슐 균열 또는 캡슐의 연화)를 X로 나타낸다.
<평가 결과>
결과를 표 1 내지 3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이부프로펜 75 75 75 75
1-멘톨 - 1 3 7
정제수 50 50 50 50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275 274 272 268
전량 400 400 400 400
평가 제조 직후
-5℃ 2주간 ×
캡슐에 대한 영향
비교예 2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3
이부프로펜 75 75 75 75 75
1-멘톨 7 7 7 7 7
정제수 - 10 30 60 80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318 308 288 258 238
전량 400 400 400 400 400
평가 제조 직후
캡슐에 대한 영향 × ×
성분명 실시예 7배합량(mg) 실시예 8배합량(mg) 실시예 9배합량(mg)
이부프로펜 75 75 75
d-말레산 클로로페닐아민 0.6 - -
dl-염산 메틸에페드린 10 10 10
인산 디하이드로코데인 4 - 4
구아이페네신 42 42 -
무수 카페인 - 7 -
덱스트로메토르판 하이드로브로마이드 - 4 -
염산 디펜하이드라민 - - 12.5
염산 노스카핀 - - 8
1-멘톨 7 7 7
폴리비닐피롤리돈 - - 15
시트르산 - 15 -
정제수 40 45 40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221.4 245 228.5
전량 400 450 400
평가 제조 직후
-5℃ 2주간
캡슐에 대한 영향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을 비교하면, 이부프로펜을 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에 용해시킨 캡슐 충전액에 l-멘톨을 배합하여 캡슐에 충전함으로서, 이부프로펜의 결정 석출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4 내지 6 및 비교예 2 내지 3을 비교하면, 이부프로펜을 용해시킨 캡슐 충전액에 물이 배합되어 있지 않으면 캡슐 균열이 확인되며, 한편, 물의 양이 캡슐 충전액의 20중량%를 초과하면 캡슐의 연화가 확인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내지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부프로펜을 용해시킨 캡슐 충전액에 해열 진통제, 항히스타민제, 진해제, 거담제, 교감 신경 흥분제, 중추 흥분제, 최면 진정제, 항염증제 등의 약제를 배합하더라도, 이부프로펜의 결정 석출은 확인되지 않는다.
또한, 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 및 물의 양이 캡슐 충전액의 20중량%를 초과하는 비교예 3의 캡슐 이외에는, 충전액의 캡슐에 대한 영향은 특별히 확인되지 않는다.
또한, 위의 각 실시예의 캡슐을, 경질 캡슐 대신에 연질 캡슐을 사용하여 제조한 경우도, 동일한 결과이다.
실시예 10
l-멘톨 대신에 리모넨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경질 캡슐제 1000개를 제조한다.
실시예 11
l-멘톨 대신에 보르네올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경질 캡슐제 1000개를 제조한다.
실시예 12
l-멘톨 대신에 dl-캄파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경질 캡슐제 1000개를 제조한다.
실시예 13
l-멘톨 대신에 박하유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경질 캡슐제 1000개를 제조한다.
실시예 10 내지 13의 캡슐제의 평가
실시예 10 내지 13의 캡슐제에 관해서, -5℃에서 2주간 보존한 후의 외관을 평가한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이부프로펜 75 75 75 75
리모넨 7 - - -
보르네올 - 7 - -
dl-캄파 - - 10 -
박하유 - - - 7
정제수 50 50 50 50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268 268 265 268
전량 400 400 400 400
-5℃ 2주간
이러한 결과로부터, l-멘톨과 마찬가지로, 테르펜류 또는 테르펜류를 포함하는 정유에서도, 이부프로펜의 결정 석출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물을 배합해도 이부프로펜의 결정 석출이 발생하지 않는 이부프로펜을 용해시킨 캡슐 충전액 및 캡슐 제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캡슐제는, 복용시의 이부프로펜의 쓴맛 방지와 속효성을 양립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이부프로펜, 폴리에틸렌 글리콜, 물 및 테르펜류를 함유하는 캡슐 충전액.
  2. 제1항에 있어서, 테르펜류의 함유량이 캡슐 충전액의 전량에 대하여 0.1 내지 15중량%인 캡슐 충전액.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테르펜류가 멘톨, 리모넨, 보르네올, dl-캄파 및 박하유로부터 선택되는 캡슐 충전액.
  4. 제3항에 있어서, 테르펜류가 멘톨 또는 박하유인 캡슐 충전액.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해열 진통제, 항히스타민제, 진해제, 거담제, 교감 신경 흥분제, 중추 흥분제, 최면 진정제 및 항염증제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약제를 함유하는 캡슐 충전액.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캡슐 충전액이 캡슐에 충전된 이부프로펜 캡슐 제제.
KR1020037002688A 2000-08-25 2001-08-23 이부프로펜 캡슐 충전액 및 캡슐 제제 KR1007621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55827 2000-08-25
JPJP-P-2000-00255827 2000-08-25
PCT/JP2001/007223 WO2002015900A1 (fr) 2000-08-25 2001-08-23 Solutions d'ibuprofene destinees a etre mises en gelules et preparations en gelu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535A true KR20030068535A (ko) 2003-08-21
KR100762115B1 KR100762115B1 (ko) 2007-10-04

Family

ID=18744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688A KR100762115B1 (ko) 2000-08-25 2001-08-23 이부프로펜 캡슐 충전액 및 캡슐 제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030187070A1 (ko)
EP (1) EP1321140B1 (ko)
JP (1) JP3553562B2 (ko)
KR (1) KR100762115B1 (ko)
CN (1) CN1215837C (ko)
AT (1) ATE292461T1 (ko)
AU (1) AU2001280124A1 (ko)
CA (1) CA2419147C (ko)
DE (1) DE60109945T2 (ko)
EA (1) EA005494B1 (ko)
ES (1) ES2240492T3 (ko)
PT (1) PT1321140E (ko)
TW (1) TWI285115B (ko)
WO (1) WO20020159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506764A (pt) * 2004-01-09 2007-05-22 Wyeth Corp microemulsões para composições farmacêuticas
JP2005289905A (ja) * 2004-03-31 2005-10-20 Zeria Pharmaceut Co Ltd 医薬組成物
JP4710240B2 (ja) * 2004-03-31 2011-06-29 ゼリア新薬工業株式会社 医薬組成物
US20060088590A1 (en) * 2004-10-22 2006-04-27 Banner Pharmacaps, Inc. Non-blooming gelatin and non-gelatin formulations
EP1942877A4 (en) * 2005-11-02 2011-09-14 Teikoku Pharma Usa Inc ORGANOLEPTICALLY ACCEPTABLE ORAL DOSAGE FORMS OF IBUPROFEN, MANUFACTURING METHOD AND APPLICATION
US20070224261A1 (en) * 2006-03-22 2007-09-27 Peter Draper Eutectic liquid drug formulation
ES2363964B1 (es) 2009-11-20 2012-08-22 Gp Pharm, S.A. Cápsulas de principios activos farmacéuticos y ésteres de ácidos grasos poliinsaturados.
RU2596989C2 (ru) 2010-04-15 2016-09-10 Крафт Фудс Груп Брэндс Ллс Соединения,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для снижения или устранения горького вкуса
NZ623729A (en) 2011-10-20 2016-09-30 Kraft Foods Group Brands Llc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bitter taste
WO2016001643A1 (en) * 2014-06-30 2016-01-07 Mitochondrial Substrate Invention Limited Nutrients solutions for enhancement of cognitive function
WO2016084099A1 (en) * 2014-11-25 2016-06-02 Biological E Limited Soft gelatin capsule composition of anti-tussive agents
WO2020074361A1 (en) 2018-10-08 2020-04-16 Chanelle Pharmaceuticals Manufacturing Ltd. A soft-gel capsule formulation,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1643A (en) * 1986-10-17 1991-12-10 R. P. Scherer Corporation Solvent system enhancing the solubility of pharmaceuticals for encapsulation
US4843099A (en) * 1987-07-20 1989-06-27 Colgate-Palmolive Company Device and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the gums
US4861797A (en) * 1987-10-15 1989-08-29 Oratech Pharmaceutical Development Corporation Liquid ibuprof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m
ATE195417T1 (de) * 1991-05-13 2000-09-15 Boots Co Plc Ibuprofen-salz enthaltende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
US5376688A (en) * 1992-12-18 1994-12-27 R. P. Scherer Corporation Enhanced solubility pharmaceutical solutions
WO1994025009A1 (en) * 1993-04-30 1994-1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a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N1106259A (zh) * 1994-02-05 1995-08-09 日东制药株式会社 含有作为有效成分的丙酸类非类固醇性药物的新颖消炎镇痛外用凝胶制剂
JPH08333246A (ja) * 1995-06-07 1996-12-17 Taisho Pharmaceut Co Ltd イブプロフェン懸濁液剤
ZA976189B (en) * 1996-07-12 1999-01-11 Novartis Consumer Health Sa Oral pharmaceutical combinations
US5914129A (en) * 1996-07-23 1999-06-22 Mauskop; Alexander Analgesic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migraine headaches
US6846495B2 (en) * 1999-01-11 2005-01-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delivery of actives
JP2003509350A (ja) * 1999-09-11 2003-03-11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注加可能な液体賦形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005494B1 (ru) 2005-02-24
WO2002015900A1 (fr) 2002-02-28
ES2240492T3 (es) 2005-10-16
CA2419147A1 (en) 2003-02-10
JP3553562B2 (ja) 2004-08-11
ATE292461T1 (de) 2005-04-15
KR100762115B1 (ko) 2007-10-04
TWI285115B (en) 2007-08-11
CN1471389A (zh) 2004-01-28
EP1321140A4 (en) 2004-01-21
EA200300292A1 (ru) 2003-10-30
AU2001280124A1 (en) 2002-03-04
CN1215837C (zh) 2005-08-24
EP1321140B1 (en) 2005-04-06
EP1321140A1 (en) 2003-06-25
JPWO2002015900A1 (ja) 2004-06-10
PT1321140E (pt) 2005-06-30
DE60109945D1 (de) 2005-05-12
DE60109945T2 (de) 2006-04-27
US20030187070A1 (en) 2003-10-02
CA2419147C (en) 200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13795B2 (ja) ロキソプロフェン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5
US9744133B2 (en) Enhanced stability of novel liquid compositions
CA2146637C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old symptoms
KR100762115B1 (ko) 이부프로펜 캡슐 충전액 및 캡슐 제제
JP2018021002A (ja) ロキソプロフェンを含有してなる医薬製剤
JP2022009982A (ja) ロキソプロフェンを含有する医薬製剤(さん)
JP3382076B2 (ja) イブプロフェンを溶解してなるかぜ薬軟カプ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1113221A (ja) ロキソプロフェン含有の医薬製剤(に)
JP2007055924A (ja) イブプロフェン及び塩酸アンブロキソール含有固形製剤
JP2017155042A (ja) ロキソプロフェン含有的医薬製剤
JP2017197537A (ja) ロキソプロフェン含む医薬の製剤
JPH0656677A (ja) 制酸剤組成物
IE913792A1 (en) Dextromethorphan antitussive compositions
JP2006089415A (ja) カフェイン含有カプセル製剤
JP2003081846A (ja) 液状鎮咳去痰薬
JP2006062999A (ja) カフェイン含有カプセル製剤
JP3027696B2 (ja) 安定な水性医薬組成物
ES2565653T3 (es) Uso de betanecol para tratamiento de xerostomía
JP2020045315A (ja) ロキソプロフェンを含有する医薬製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