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8408A - 재봉틀의 실 장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재봉틀의 실 장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8408A
KR20030068408A KR10-2003-0007396A KR20030007396A KR20030068408A KR 20030068408 A KR20030068408 A KR 20030068408A KR 20030007396 A KR20030007396 A KR 20030007396A KR 20030068408 A KR20030068408 A KR 20030068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machine
tension
correction value
main body
machin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7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나카와타카요시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8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408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 D05B47/04Automatically-controlled tensio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재봉틀 마다 형성되는 솔기의 느낌을 일정하게 하여 봉제품질의 안정성 및 재현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이클 재봉틀 본체(2)에는 제어장치(8)에 의해 제어된다. 또 사이클 재봉틀 본체(2)에는 그 재봉틀 본체 고유의 보정치 △I를 기억하여 유지한 EEPROM(60)이 배치된다. 제어장치(8)는 조작패널(5)로 설정된 실장력치에 따른 레벨 I를 산출함과 동시에 EEPROM(60)에서 보정치 △I를 읽어낸다. 그리고 제어장치(8)는 레벨 I에 보정치 △I를 가산하여 이루어지는 레벨(I+△I)의 구동전류의 윗실용 솔레노이드(15)에 흐르게 한다. 재봉틀 본체 고유의 보정치 △I가 사이클 재봉틀 본체(2)의 EEPROM(60)에 기억되어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사이클 재봉틀 본체(2)와 제어장치(8)와의 조합이 어떤 식으로 되어도 레벨(I+△I)의 구동전류가 흐른다.

Description

재봉틀의 실 장력 조절장치{THREAD TENSION ADJUSTMENTING APPARATUS OF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전기적인 제어에 의해 실 장력을 변경할 수 있는 재봉틀의 실 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적인 제어에 의해 실 장력을 변경가능한 실장력 조절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재봉틀로서 예를들어 일본국 특개 2000-202183호 공보에 개시된 것과 같이 솔레노이드에 의해 실텐션기에 작용하는 추력을 부여하는 실장력 조절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 솔레노이드로서는 솔레노이드의 가동부로부터 실텐션기에 작용하는 추력이 가동부의 스트로크에 의지하지 않는 특정스트로크 구간을 갖는 것이 이용되고 있고, 이 경우 솔레노이드에 흐르는 전류가 일정하면 실텐션기로부터 실에 작용하는 실장력이 실의 굵기에 의해 달라지지 않는다. 따라서 솔레노이드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면 이론적으로는 실텐션기로부터 실에 작용하는 실장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실 장력 조절장치에 있어서는 제조단계에서의 부품의 고르지 못한 것 등에 의해 실장력 조절장치마다 실 텬션기의 실과의 마찰면의 표면거침이 다르거나, 실장력 조절장치마다 솔레노이드의 특성이 다르거나, 실장력 조절장치마다 실텐션기의 부착정도가 다르거나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각 실장력 조절장치의 솔레노이드에 흐르는 전류레벨을 같게 해도 실제로 실에 작용하는 장력은 실장력 조절장치마다 다른 경우가 있다.
한편 각각의 재봉틀의 조작패널로부터 같은 값의 실 장력을 설정한 경우 각 재봉틀의 제어장치에서는 실장력으로부터 전류에 환산하는 연산은 같기 때문에 또 같은 레벨의 전류가 솔레노이드에 흘러도 실장력 조절장치마다 실에 작용하는 실 장력이 다르기 때문에 개개의 재봉틀 사이에서 설정 데이터의 호환성이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조작패널에서 같은 값의 실 장력을 설정하여 그 설정치에 따른 레벨의 전류를 제어장치가 솔레노이드에 흘러도 재봉틀 마다 실장력 조절장치에 의해 실에 부여하는 실장력이 다르고, 재봉틀마다 형성되는 솔기의 느낌도 일정하게되지 않는 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재봉틀 마다 형성되는 솔기의 느낌을 일정하게 하여 봉제품질의 안정성 및 재현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봉제위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봉제장치에 구비되는 실텐션기 및 솔레노이드를 3면도법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상기 봉제위치의 제어계를 도시한 플록도.
도 4는 구동전류 일정시에 윗실용 솔레노이드의 스트로크 대 추력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특정스트로크 구간 W에서의 윗실용 솔레노이드의 구동전류 대 추력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상기 봉제장치 고유의 구동전류 대 장력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7은 상기 봉제장치에 구비되는 제어장치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8은 상기 봉제위치와는 별도 예의 제어장치의 제어계가 도시된 블록도.
도 9는 상기 봉제위치와는 별도 예의 봉제장치의 제어계가 도시된 블록도.
도10은 상기 봉제장치와는 별도 예의 봉제장치의 제어계가 도시된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봉제장치2: 사이클 재봉틀 본체(재봉틀 본체)
5: 조작패널(장력설정수단)8: 제어장치
13: 윗실용 실텐션기(실텐션기)
14: 밑실용 실텐션기(실텐션기)
15: 윗실용 솔레노이드(솔레노이드)
16: 밑실용 솔레노이드(솔레노이드)
22: 텐션 접시쌍
60: EEPROM(보정치 유지수단, 기억소자, 기억수단)
63: 가변저항기(보정치 유지수단, 저항기)
SW1~SWn: 스위치(보정치 유지수단, 스위치)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기재의 발명은 예를들어 도 3, 도 8,도 9 또는 도 10과 같이 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실텐션기(예를들어 윗실용 신텐션기(13) 또는 밑실용 실텐션기(14))와, 통전하는 구동전류와 선형 관계에 있는 추력을 상기 실텐션기에 부여하는 솔레노이드(예를들어 윗실용 솔레노이드(15) 또는 밑실용 솔레노이드(16))와 재봉틀 본체(2)와, 상기 실텐션기에 설정하는 장력치를 설정하는 장력설정수단(예를들어 조작패널(5))을 구비한 재봉틀의 실장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텐션기에 대응하여 구동전류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치를 유지하는 보정치 유지수단(예를들어 EEPROM(60), 스위치 SW1~SWn 또는 가변저항기(63))과, 상기 보정치 유지수단에서 상기 보정치를 읽어내어 상기 장력설정수단으로 설정된 장력치가 되도록 이 보정치를 기초로 상기 솔레노이드에 통전하는 구동전류를 변경가능한 제어장치(예를들어 제어장치(8))를 구비한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보정치 유지수단이 재봉틀 본체에 배치되고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예를들어 도 3과 같이 청구항 1기재의 재봉틀에있어서 상기 보정치 유지수단이 전원차단후도 상기 보정후를 유지하는 기억소자(예를들어 EEPROM(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예를들어 도 8과 같이 청구항 1기재의 재봉틀 본체에 있어서 상기 보정치 유지수단이 기계적으로 온 상태 또는 오프상태를 유지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스위치(예를들어 스위치 SW1~SWn)로 구성되고 각 스위치의 온상태 또는 오프상태에 의해 상기 보정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예를들어 도 9 또는 도10과 같이 청구항 1기재의 재봉틀 본체에 있어서 상기 보정치 유지수단이 저항기(예를들어 가변저항기(63))로 구성되고 이 저항기의 저항치에 의해 상기 보정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은 예를들어 도 6과 같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의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재봉틀 본체에 있어서 상기 보정치가 소정의 장력치(예를들어 기준장력 G)에 대응하는 기준설정치(예를들어 레벨 Is)와, 상기 소정의 장력치에 대응하는 설정치(예를들어 레벨(Is-△I1)) 와의 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내지 6의 어느 한 항 기재의 발명에서는 실텐션기에 대응하여 구동전류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치가 보정치 유지수단으로 유지되고, 그 보정치를 읽어낸 제어장치가 장력설정수단으로 설정된 장력치가 되도록 솔레노이드에 통전하는 구동전류를 제어하고 있다. 따라서 재봉틀 마다 실텐션기 혹은 솔레노이드의 특성이 달라도 어떤 재봉틀에서도 실텐션기로부터 실에 부여하는 장력은 늘 일정하게 되고, 재봉틀마다 형성되는 솔기의 느낌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즉 재봉틀 개개의 실 장력의 불균일을 저감하여 봉제품질의 안정성 및 재현성의 향상이 가능하게된다.
또 보정치 유지수단이 재봉틀 본체에 배치되고 있기 때문에 재봉틀 본체를 별도의 제어장치와 조합하여 제어해도 그 별도의 제어장치는 조합된 재봉틀 본체의 보정치 유지수단으로부터 보정치를 읽어내고, 그 보정치를 기초로 조합된 재봉틀 본체의 솔레노이드에 구동전류를 통전한다. 따라서 재봉틀 본체를 별도의 제어장치와 조합해도 재봉틀 본체에서는 설정된 장력치로 실에 장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재봉틀 본체는 모든 제어장치와 호환성을 갖고 있어, 재봉틀 본체와 제어장치가 따로 따로 출하된 결과 재봉틀 본체와 제어장치의 조합이 어떤식으로 되어도(즉 재봉틀 본체와 제어장치의 조합을 시장에 맡긴것이라고 해도) 개개의 재봉틀 본체사이의 실장력의 불균일이 없어져 어떠한 재봉틀 본체에서도 실 장력의 설정치가 같으면 솔기의 느낌은 같아진다.
청구항 7기재의 발명은 예를들어 도 3과 같이
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실텐션기(예를들어 윗실용 실텐션기(13) 또는 밑실용 실텐션기(14))와, 통전하는 구동전류와 선형 관계에 있는 추력을 상기 실텐션기에 부여하는 솔레노이드 예를들어, 윗실용 솔레노이드(15) 또는 밑실용 솔레노이드(16))와 재봉틀 본체(2), 상기 실텐션기에 설정하는 장력치를 설정하는 장력설정수단(예를들어 조작패널(5))을 구비한 재봉틀 실장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텐션기 및 상기 솔레노이드에 있어서 고유의 장력과 구동전류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구동데이터(예를들어 구동전류-장력특성선)를 기억한 기억수단(EEPROM)과,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구동데이터를 읽어내어 장력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장력치가 되도록 이 구동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솔레노이드에 통전하는 구동전류를 변경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예를들어 제어장치(8))가 배치되고 있다.
청구항 7기재의 발명에서는 실텐션기 및 솔레노이드 고유의 장력과 구동전류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구동데이터가 기억수단에 기억되고, 그 구동데이터를 읽어낸 제어장치가 장력설정수단으로 설정된 장력치가 되도록 솔레노이드에 통전하는 구동전류를 제어하고 있다.
따라서 재봉틀 마다 실텐션기 혹은 솔레노이드의 특성이 달라도 어떠한 재봉틀에서도 실텐션기로부터 실에 부여하는 장력은 늘 일정하게 되어 재봉틀 마다 형성되는 솔기의 느낌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즉 재봉틀 개개의 실 장력의 불균일을 저감하여 봉제품질의 안정성 및 재현성을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또 기억수단이 재봉틀 본체에 배치되고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즉 재봉틀 본체를 별도의 제어장치와 조합하여 제어해도 그 별도의 제어장치는 조합된 재봉틀 본체의 기억수단으로부터 구동데이터를 읽어내어 그 구동데이터를 기초로 조합된 재봉틀 본체의 솔레노이드에 구동전류를 통전한다. 따라서 재봉틀 본체를 별도의 제어장치와 조합해도 재봉틀 본체에서는 설정된 장력치로 실에 장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재봉틀 본체는 모든 제어장치와 호환성을 갖고 있어 재봉틀 본체와 제어장치가 별도로 출하된 결과 재봉틀 본체와 제어장치의 조합이 어떤 식으로 되어도(즉 재봉틀 본체와 제어장치의 조합을 시장에 맡긴것으로 해도) 개개의 재봉틀 본체간의 실장력의 불균일이 없어져 어떤 재봉틀 본체에서도 실장력의 설정치가 같으면 솔기의 느낌은 같아진다.
다음에 본 발명이 적용된 본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구체적인 양태를 설정한다. 단 발명의 범위는 도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하는 제어장치(1)는 아일렛 형상 또는 누운 눈 형상의 보턴구멍의 주위에 사뜨기 봉제를 실시하는 사이클 재봉틀인 재봉틀 본체(2)와, 기립한 각부(6)(6)를 갖고 있음과 동시에 각부(6)(6)상에 배치된 천판(7)을 갖는 재봉틀 테이블(3)과, 재봉틀 본체(2)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장치(8)(도 3에 도시)를 내장하는 전장박스(4)와, 작업자에 조작됨으로써 조작신호를 제어장치(8)에 출력하는 조작패널(5)을 구비한다.
재봉틀 본체(2)는 베드(9)와, 베드부(9)의 후단부에 입설된 종동부(10)와, 종동부(10)의 상부로부터 베드부(9)와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뻗어나오는 암부(11)로 이루어지는 재봉틀 프레임(9)을 구비함과 동시에 암부(1느에 앞단부에 있어서 상하이동동하는 바늘과, 베드부(9)에 있어서 상기 바늘과의 협동에 의해 천에 솔기를 형성하는 북 장치 또는 루퍼기구와 천을 보내는 천이송 기구와, 윗실 및 밑실을 절단하는 실절단기구와, 천에 보턴구멍을 넣는 천절단 기구 등을 구비한다. 또한 재봉틀 본체(2)는 저울(12)로부터 윗실용 실감는 측에서 윗실을 끼우는것으로 윗실에 압압력을 주는 윗실용 실텐션기(13)와, 밑실용 실감는부로부터 도출된 밑실을 끼우는것으로 밑실에 압압력을 주는 밑실용 실텐션기(14)(도 3에 도시)와, 윗실용 실텐션기(13)에 작용하는 윗실용 솔레노이드(15)(도 3에 참조)와, 밑실용 실텐션기(14)에 작용하는 밑실용 솔레노이드(16)(도 3에 참조)를 구비한다.
부착장소에서 각부(6)(6)에 천판(7)이 부착되어 완성한 재봉틀 테이블(3)의천판(7)상에 재봉틀 본체(2)가 부착되고, 각부(6)(6)에 전장박스(4)가 부착된다. 또한 전장박스(4)와 재봉틀 본체(2)의 전기계통이 접속되는 것으로 봉제장치(1)가 완성된다.
다음에 윗실용 실텐션기(13) 및 윗실용 솔레노이드(15)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와 같이 윗실용 실텐션기(13)는 가동접시(21) 및 고정접시(20)를 구비하는 텐션접시쌍(22)과, 링크(23)와, 연결링크(24)와, 링크(25) 등을 구비한다. 고정접시(20)는 토대(26)에 대향배치되고, 토대(26)는 암부(11)에 고정된다. 토대(26) 및 고정접시(20)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토대(26) 및 고정접시(20)의 관통공에 축(27)이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도록 관통하고 있다. 가동접시(21)에도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에 축(27)이 접동이 자유롭도록 관통하고 있다. 축(27)의 일단축에는 플랜지(33a)를 갖는 넛트(33)가 나사부착되고 있다. 가동접시(21)는 플랜지(33a)와 고정접시(20) 사이에 배치되고 있어 고정접시(20)에 대해 대향배치되고 있다. 넛트(33)가 토대(26)로 끌리는 것으로 너트(33)와 토대(26) 사이에 가동접시(21) 및 고정접시(20)가 끼워져 고정되고, 고정접시(20)에 가동접시(21)가 닿도록 되어있다.
축(27)의 타단부에는 핀(28)이 부착되고 있다. 핀(28)은 접동이 자유롭고 또한 회전이 자유로우며, 링크(23)의 일단부에 연결하고 있다. 링크(23)는 L자모양을 하고 있어, 그 굴곡부가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토대(29)에 부착되고 있다. 토대(29)는 암부(11)에 고정되고 있다. 링크(23)의 타단부는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연결링크(24)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연결링크(24)의 타단부는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링크(25)의 일단부에 연결하고 있다. 링크(25)의 중간부는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토대(30)에 부착된다. 토대(30)는 윗실용 솔레노이드(15)에 부착됨과 동시에 암부(11)에 고정된다. 링크(25)의 타단부에는 플랜져 핀(31)이 연결하고 있으며, 플랜져 핀(31)은 링크(25)의 타단부에 대해 접동이 자유롭고 또한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플랜져 핀(31)은 윗실용 솔레노이드(15)의 플랜져(32)의 선단부에 연결하고 있다. 상기 축(27)의 위치와 플랜져(32)의 위치와의 관계는 넛트(33)의 조임에 의해 적절히 조정가능하다.
윗실용 솔레노이드(15)는 구동전류가 흐름으로써 플랜져(32)를 진퇴하는 것이다. 이 윗실용 솔레노이드(15)는 암부(11)에 고정된다.
이상의 구성의 윗실용 실텐션기(13)에서는 재봉틀 본체(2)에 의한 봉제중에 구동전류가 윗실용 솔레노이드(15)에 통전하면 윗실용 솔레노이드(15)로 추력(즉 플랜져(32)를 끄는 방향으로의 힘)이 발생하고, 이 추력이 링크(25), 연결링크(24) 및 링크(28)를 통해 축(27)에 작용하여 가동접시(21)가 고정접시(20)에 다가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가동접시(21) 및 고정접시(20)에 끼워지는 윗실에 압압력이 작용하여 장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윗실용 솔레노이드(15)의 추력이 변화하는 것으로 윗실용 실텐션기(13)로부터 윗실에 작용하는 압압력이 변화함과 동시에 윗실장력도 변화한다. 즉 윗실용 실텐션기(13)는 윗실용 솔레노이드(15)의 추력에 의해 압압력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소위 액티브텐션이다.
여기서 윗실용 솔레노이드(15)의 특성에 대해 도 4, 도 5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횡축은 플랜져(32)의 스트로크를 도시하고, 종축은 플랜져(32)의 추력을 도시한다. 도 5에 있어서 횡축은 윗실용 솔레노이드(15)에 통전하는 구동전류를 도시하고, 종축은 플랜져(32)의 추력을 도시한다.
추력이 플랜져(32)의 스트로크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하게 되는 특정스트로크 구간 W이 있다. 플랜져(32)의 스트로크를 S, 플랜저(32)의 추력을 F, 윗실용 솔레노이드(15)를 흐르는 구동전류를 I, 스트로크의 미소변화량을 △S, 추력의 미소변화량을 △F로 한 경우 특정스트로크 구간 W에서는 I가 일정할 때 △F/△S≒0이다.
윗실용 솔레노이드(15)는 특정스트로크 구간 W에서만 이용되고 있다. 즉 텐션접시쌍(22)에 작용할 수 있는 상태의 플랜져(32)의 스트로크 구간이 특정 스트로크 구간 W에 포함되도록 넛트(33)의 체결위치가 설정된다. 여기서 플랜져(32)가 텐션접시쌍(22)에 작용가능한 상태라 함은 가동접시(21)와 고정접시(20) 사이에 윗실이 끼워지지 않고 가동접시(21)와 고정접시(20)가 충분히 서로 접촉한 상태로부터 윗실이 가동접시(21)와 고정접시(20) 사이에 끼워진 상태까지를 가리킨다.
텐션접시쌍(22)에 작용할 때 플랜져(32)의 스트로크를 특정스트로크 구간 W에 설정하기 위해서는 예를들어 넛트(33)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플랜져(32)의 후단(32a)이 윗실용 솔레노이드(15) 본체의 후단(15a)에서의 돌출량 L을 계측하면서 가동접시(21) 및 고정접시(20)가 넛트(33)와 토대(30)와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넛트(33)의 체결위치를 조정하는 것으로 돌출량 L(도 2에 도시)을 도 4의 「Z」의 값에서 특정스트로크 구간 W에 대응하는 위치로 가져간다.
도 5와 같이 윗실용 솔레노이드(15)에 흐르는 구동전류와 추력과의 관계는 선형 관계에 있어 구동전류가 커짐에 따라 추력도 커진다. 특히 구동전류의 레벨이 구간 U내에 있는 경우에는 추력은 구동전류와 비례관계에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윗실용 솔레노이드(15)는 구간 U내에서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플랜저(32)에 작용하는 추력은 윗실용 실텐션기(13)에 의해 윗실에 작용하는 압압력으로 변환되고, 추력과 압압력은 비례관계에 있기 때문에 윗실에 작용하는 장력과 추력은 비례관계에 있다. 따라서 윗실용 솔레노이드(15)에 통전하는 구동전류의 증대에 따라 윗실에 작용하는 장력도 커진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전류의 레벨이 변화함에 따라서만 윗실에 작용하는 장력이 바뀌도록 되어있다. 구동전류의 레벨의 변화는 제어장치(8)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밑실용 실텐션기(14)는 베드부(9)에 배치되는 것을 빼고 윗실용 실텐션기(13)와 거의 같은 구성을 하고 있고, 밑실용 솔레노이드(16)는 베드부(9)에 배치되는 것을 빼고 윗실용 솔레노이드(15)와 거의 같은 구성 및 특성을 하고 있다.
다음에 제어장치(8)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과 같이 제어장치(8)는 CPU(50)와, RAM(51)과, ROM(52)과, D/A변환기(53)(54)와, 이들을 접속하는 시스템 버스를 갖는 연산처리장치를 기본 구성으로 하고 있다.
ROM(52)에는 재봉틀을 제어하여 봉제동작을 행하게 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 및 이 제어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제어데이터 등이 격납되고 있다. CPU(50)는RAM(51)을 작업영역으로 하여 ROM(52)에 격납된 제어프로그램을 따른 연산을 행함과 동시에 조작패널(5) 및 스타트 스위치(6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여러가지 연산을 행한다. CPU(50)는 연산결과에 따른 도시하지 않은 여러가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장치(8)는 CPU(50)의 연산에 의해 제어할 수 있고 이로써 사이클 재봉틀은 보턴구멍 주위에 사뜨기를 행한다.
또한 제어장치(8)는 연산증폭기(55)등으로 구성되어 윗실용 솔레노이드(15)를 구동하기 위한 윗실용 솔레노이드 드라이버와, 연산증폭기(57)등으로 구성되어 밑실용 솔레노이드(16)를 구동하기 위한 밑실용 솔레노이드 드라이버를 구비한다.
연산증폭기(55)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D/A변환기(53)가 접속되고 연산증폭기(55)의 출력단자에 커넥터(59)를 통해 윗실용 솔레노이드(15)의 코일이 접속되고 있다. D/A변환기(53)에서는 CPU(5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로서의 전류지정치가 아날로그값으로 변환되어 전류지령치에 따른 레벨의 구동전류가 윗실용 솔레노이드(15)에 흐르도록 되어있다. 또 윗실용 솔레노이드(15)에 흐르는 구동전류의 레벨이 전류검출저항(56)으로 검출되어 구동전류의 레벨이 연산증폭기(55)의 반전입력단자에 피드백되고, 윗실용 솔레노이드(15)의 코일저항이 달라도 늘 전류지령치에 대응한 레벨의 구동전류가 윗실용 솔레노이드(15)에 흐르도록 되어있다.
D/A변환기(54), 연산증폭기(57), 전류검출저항(58) 및 밑실용 솔레노이드(16)의 기능도 D/A변환기(53), 연산증폭기(55) 및 전류검출 저항(56) 및 윗실용 솔레노이드(15)와 각각 같다. 또한 커넥터(59)는 전장박스(4)의 전기계통과 재봉틀 본체(2)의 전기계통을 접속하는 것이다.
그러나 제어데이터에는 솔기의 개소에 의해 다른 크기의 장력을 윗실 또는 밑실에 걸려지는 실장력 데이터가 포함된다. 예를들어 제어데이터에는 빗장고정부의 봉제시에 윗실 또는 밑실에 거는 장력에 관한 빗장고정부 실장력 데이터 및 측봉제부의 봉제시에 윗실 또는 밑실에 거는 장력에 관한 측봉제부 실장력 데이터가 포함된다. 여기서 재봉틀 본체(2)가 빗장고정부의 봉제를 행할 때에는 CPU(50)는 빗장고정부 실장력 데이터에 비례한 전류의 레벨을 설정하고, 그 설정레벨을 전류지령치로서 D/A변환기(53) 또는 D/Q변환기(54)를 통해 연산증폭기(55) 또는 연산증폭기(57)에 출력하는 것으로 설정레벨의 구동전류가 윗실용 솔레노이드(15) 또는 밑실용 솔레노이드(16)에 흐른다. 그리고 재봉틀 본체(2)가 측봉제부의 봉제로 이행하면 CPU(50)는 측봉제부 실장력 데이터에 비례한 전류의 레벨로 변경 설정하고, 그 설정레벨을 전류지령치로서 D/A변환기(53) 또는 D/A변환기(54)를 통해 연산증폭기(55) 또는 연산증폭기(57)에 출력하는 것으로 변경된 설정레벨의 구동전류가 윗실용 솔레노이드(15) 또는 밑실용 솔레노이드(16)에 흐른다.
또 CPU(50)는 조작패널(5)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윗실용 솔레노이드(15) 또는 밑실용 솔레노이드(16)에 흐르는 구동전류의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작업자 등이 조작패널(5)을 조작하여 장력을 입력한 경우 CPU(50)는 입력된 장력에 비례한 전류의 레벨을 설정하고, 그 설정레벨을 전류지령치로서 D/A변환기(53) 또는 D/A변환기(54)를 통해 연산증폭기(55) 또는 연산증폭기(57)에 출력하는 것으로 설정레벨의 구동전류가 윗실용 솔레노이드(15) 또는 밑실용 솔레노이드(16)에 흐른다.
그러나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재봉틀 본체(2)를 몇개 비교한 경우 윗실용 솔레노이드(15)에 흐르는 구동전류의 레벨이 각각의 재봉틀 본체로 같아도 윗실에 작용하는 장력이 각각의 재봉틀 본체마다 다른 경우가 있다. 즉 예를들어 윗실용 솔레노이드(15)에 흐르는 구동전류와 윗실에 작용하는 실제의 장력과의 관계를 도 6에 도시하면 사이클 재봉틀 본체 A,B,C(사이클 재봉틀 본체 A,B,C의 기본적인 구성은 재봉틀 본체(2)와 같다)마다 다른 특성을 하고 있다. 도 6과 같이 사이클 재봉틀 본체 A,C에서의 구동전류--장력특성선 α,γ는 사이클 재봉틀 본체 B에서의 구동전류-장력특성선 β와 대략 평행하게 된다. 이는 사이클 재봉틀 본체의 고체마다 윗실용 실텐션기(13)의 부착정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횡축은 CPU(10)에 의해 설정된 구동전류의 레벨을 도시하고(구동전류의 레벨은 조작패널(5)로부터의 신호 또는 제어데이터에 의해 설정된 장력의 크기에 대응하고 있고, 구동전류의 레벨로부터 장력의 크기로 환산가능하다) 종축은 윗실에 실제로 작용하는 장력의 크기를 도시한다.
이상과 같이 사이클 재봉틀 본체의 고체마다 구동전류-장력특성선이 다른 경우라도 설정된 구동전류의 레벨이 같으면 어떤 사이클 재봉틀 본체에서도 같은 레벨의 구동전류가 흐르도록 사이클 재봉틀 본체 개별로 구동전류의 레벨의 보정을 다음과 같이 행하고 있다.
즉 미리 어떤 사이클 재봉틀 본체를 기준사이클 재봉틀 본체로서 상정하고, 이 기준사이클 재봉틀 본체에 있어서 윗실에 실제로 작용하는 소정의 장력을 기준장력으로 정한다. 기본적으로 기준장력은 구간 U내에 포함되는 장력이다. 그리고이 기준사이클 재봉틀 본체에 기준장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전류 또는 설정치(다음 기준구동치라 함)를 구한다. 또한 개개의 사이클 재봉틀 본체에 기준장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전류 혹은 설정치(다음 개별 구동치라 함)를 구한다. 그리고 개별구동치로부터 기준구동치를 뺀 값을 개개의 사이클 재봉틀 본체 고유의 보정치로서 구한다. 이와같은 보정치를 개개의 사이클 재봉틀 본체마다 미리 준비해 둔다.
그리고 제어장치(8)에 있어서는 CPU(50)가 실장력 데이터의 장력 또는 조작패널(5)에 의해 설정된 장력으로부터 기준사이클 재봉틀 본체의 구동전류-장력특성선에 의해 구동전류의 설정레벨을 환산하고, 또한 CPU(50)는 미리 개개의 사이클 재봉틀 본체에 준비된 보정치를, 환산한 설정레벨에 가산함으로써 새로운 구동전류의 레벨을 산출한다. 새로운 레벨의 구동전류가 개개의 사이클 재봉틀 본체의 윗실용 솔레노이드(15)에 흐름으로써 설정된 장력과 같은 크기의 장력이 개개의 사이클 재봉틀 본체의 윗실용 텐션기(13)로부터 윗실에 작용한다. 또한 제어장치(8)의 ROM(52)에는 기준 사이클 재봉틀 본체의 구동전류-장력특성선 등과 같은 구동전류와 장력과의 관계를 대응시킨 기준구동 데이터가 제어데이터로서 기억되고 있다.
예를들어 도 6에 도시한 사이클 재봉틀 본체 B를 기준으로 하여 상정하고, 사이클 재봉틀 본체 B에 있어서 윗실에 실제로 작용하는 기준장력 G를 정한다. 그리고 사이클 재봉틀 본체 B의 구동전류-장력특성선 β로부터 기준장력 G을 발생하는 기준구동전류레벨 Is를 구한다. 사이클 재봉틀 본체 A의 구동전류-장력특성선α로부터 기준장력 G를 발생하는 구동전류의 레벨(Is-△I1)을 구하고,
사이클 재봉틀 본체 C의 구동전류-장력특성선γ으로부터 기준장력 G를 발생하는 구동전류의 레벨(Is+△I2)을 구한다. 그리고 사이클 재봉틀 본체 A에서는 레벨(Is-△I1)로부터 기준구동전류레벨 Is를 뺀 값(-△I1)을 보정치로 하여 사이클 재봉틀 본체 A에 준비하고, 사이클 재봉틀 본체 C에서는 레벨(Is+△I2)로부터 기준구동 전류레벨 Is을 뺀 값 △I2를 보정치로 하여 사이클 재봉틀 본체 C에 준비해 둔다.
사이클 재봉틀 본체 A를 제어하는 제어장치(8)에 있어서는 CPU(50)가 실장력 데이터의 장력 또는 조작패널(5)에 의해 설정된 장력으로부터 구동전류의 설정레벨 I로 환산하고, CPU(50)는 환산한 설정레벨 I에, 미리 사이클 재봉틀 본체 A에 준비된 보정치(-△I1)를 가산함으로써 새로운 구동전류의 레벨(I-△I1)을 산출한다. CPU(50)가 레벨(I-△I1)을 전류지령치로 하여 연산증폭기(55)에 출력하는 것으로 레벨(I-△I1)의 구동전류가 윗실용 솔레노이드(15)에 흐른다. 사이클 재봉틀 본체 C를 제어하는 제어장치(8)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CPU(50)가 설정된 장력으로부터 구동전류의 설정레벨 I로 환산하고, CPU(50)는 환산한 설정레벨 I에 미리 사이클 재봉틀 본체 C에 준비된 보정치 △I2를 가산함으로써 새로운 구동전류의 레벨(I+△I2)를 산출하며, 레벨(I+△I2)의 구동전류가 윗실용 솔레노이드(15)에 흐른다. 따라서 보정치(-△I1)는 사이클 재봉틀 본체 A에 배치된 윗실용 실텐션기(13)에 대응하여 구동전류를 보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이클 재봉틀 본체 A의 윗실용 실텐션기(13) 고유의 것이다. 마찬가지로 보정치 △I2는 사이클 재봉틀 본체 C의 윗실용 실텐션기(13) 고유의 것이다.
그러나 상술과 같이 재봉틀 본체(2)와 제어장치(8)는 별도로 제조되어, 이들이 설치장소에 반송되고나서 부착된다. 여기서 재봉틀 본체(2)의 고체마다 구동전류의 보정치 △I를 미리 준비하고 있기 때문에 보정치 △I는 재봉틀 본체(2)마다 대응해 둘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과 같이 재봉틀 본체(2)에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전기적으로 기입도 소거도 가능한 읽기전용 메모리)(60)이 배치되고, 재봉틀 본체(2) 고유의 정보로서 미리 준비된 보정치 △I가 EEPROM(60)에 기억되어 유지된다. 도 6의 예이면 사이클 재봉틀 본체 A의 EEPROM(60)에 보정치 △I가 기억되어 유지되고 있으며, 사이클 재봉틀 본체 C의 EEPROM(60)에 보정치 △I2가 기억되어 유지되고 있고, 사이클 재봉틀 본체 B의 EEPROM(60)에는 보정치 △I1로서 0이 기억되어 유지되고 있다. 또한 EEPROM(60)은 불휘발성의 기억소자이므로 전원차단후도 EEPROM(60)에는 보정치 △I가 기억되어 유지되고 있다.
전원박스(4)와 재봉틀 본체(2)의 전기계통이 접속되면 EEPROM(60)은 커넥터(59) 및 시스템 버스를 통해 CPU(50)에 접속된다. 따라서 CPU(50)는 EEPROM(60)에 기억되어 유지된 보정치 △I를 읽어내고, 보정치 △I를 기초로 새로운 구동전류의 레벨(I+△I)을 산출하여 레벨(I+△I)의 구동전류를 윗실용 솔레노이드(15)에 흐르게 할 수 있다. 또한 EEPROM(60)에는 윗실용 솔레노이드(15)용의 보정치 △I와는 별개로 밑실용 솔레노이드(16)용의 보정치가 기억되어 유지되고, 윗실용 솔레노이드(1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CPU(50)는 밑실용 솔레노이드(16)의 새로운 구동전류의 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재봉틀 본체(2) 고유의 보정치 △I를 기억하여 유지한EEPROM(50)이 재봉틀 본체(2)에 배치되고 있고, 제어장치(8)는 보정치 △I를 읽어내어 새로운 구동전류의 레벨(I+△I)을 산출하고 있다. 따라서 재봉틀 본체(2)에 배치된 윗실용 실텐션기(13) 또는 밑실용 실텐션기(14) 고유에 적합한 레벨(I+△I)의 구동전류가 윗실용 솔레노이드(15) 또는 밑실용 솔레노이드(16)에 흐르기 때문에 조작패널(5) 또는 실장력 데이터에 의해 설정된 실장력치의 장력이 윗실 또는 밑실에 작용한다.
또한 개개의 사이클 재봉틀 본체에 배치한 EEPROM(60)에 보정치를 기억하여 유지시킬 때에는 제어장치(8)에, 보정치 기입모드를 배치함과 동시에 이 보정치 기입모드가 선택될 때 조작패널(5)등의 소정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EEPROM(60)에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것이 가능한 기입수단을 배치함으로써 가능하다. 즉 제어장치(8)를 상기 보정치 기입모드에 설정하고, 개개의 사이클 재봉틀 본체의 윗실용 실텐션기(13) 또는 밑실용 실텐션기(14)의 장력을 측정하면서 제어장치(8)로부터 출력하는 구동전류를 증감시켜 윗실용 실텐션기(13) 또는 밑실용 실텐션기(14)로부터 발생하는 장력이 기준장력에 도달할 때 상기 기입수단을 조작하여 이 때의 구동전류의 레벨과, 상기 기준구동치(기준사이클 재봉틀 본체가 기준장력을 발생하는 구동전류의 레벨)와의 차를, 상기 기입수단에 의해 EEPROM(60)에 기억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혹은 제어장치(8)와는 별도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전용의 보정치 기입장치를 준비하여 EEPROM(60)에 기입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제어장치(8)의 처리의 흐름에 대해 도 7의 플로우챠트를 기초로 설명한다.
통상 재봉틀 본체(2)가 동작할 때에는 전원 투입시로부터 소정의 장력이 윗실 및 밑실에 부여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어장치(8)는 윗실용 솔레노이드(15) 및 밑실용 솔레노이드(16)에 구동지령을 부여하고, 소정의 장력설정치로부터 환산된 레벨의 구동전류가 윗실용 솔레노이드(15) 및 밑실용 솔레노이드(16)에 흐른다(스텝 S1).
이어서 조작패널(5)로부터 입력된 실장력 데이터의 실장력 설정치 또는 봉제패턴의 제어데이터에 포함되는 실장력 데이터(예를들어 빗장고정부 실장력 데이터나 측봉제부 실장력 데이터)의 실장력 설정치를 제어장치(8)가 읽어내고(스텝 S2), 제어장치(8)는 실장력 설정치를 구동전류의 레벨I로 환산한다(스텝 S3). 이어서 제어장치(8)는 재봉틀 본체(2)에 배치된 EEPROM(60)에 기억되어 유지된 보정치 △I를 읽어들인다(스텝 S4). 계속해서 제어장치(8)는 환산한 구동전류의 레벨 I에, 읽어들인 보정치 △I를 가산하여, 새로운 구동전류의 레벨(I+△I)를 산출한다(스텝 S5). 그리고 제어장치(8)는 새로운 구동전류의 레벨(I+△I)을 전류지령치로 하여 D/A변환기(53) 또는 D/A변환기(54)에 출력하고, 레벨(I+△I)의 전류가 윗실용 솔레노이드(15) 또는 밑실용 솔레노이드(16)에 흐른다(스텝 S6).
이어서 제어장치(8)는 실장력의 설정치가 변경되었는 지를 판단한다(스텝 S7). 실장력의 설정치가 변경된 경우에는(스텝 S7: Yes), 제어장치(8)의 처리는 스텝 S2으로 되돌아 가고, 상기 스텝 S2~스텝 S7의 처리가 반복된다. 한편 실장력의 설정치가 변경되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S7: No) 제어장치(8)의 처리는 스텝 S8로 이행한다. 또한 실장력의 변경은 조작패널(5)에 있어 행해지는 조작, 제어데이터에 포함되는 실장력 데이터 또는 재봉틀 구동시와 정지시와의 변환 등에 의해 행해진다.
스텝 S8에 있어서는 제어장치(8)는 전원이 차단되었는 지를 판단한다(스텝 S8).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는(스텝 S8: Yes) 제어장치(8)의 처리는 종료한다. 한편 전원이 차단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8: No) 제어장치(8)의 처리는 스텝 S6으로 되돌아 가고, 현재의 레벨에서 윗실용 솔레노이드(15) 또는 밑실용 솔레노이드(16)로 흘러 현재의 실 장력이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재봉틀 본체(2)의 EEPROM(60)에 기억되어 유지된 보정치 △I를 기초로 고유의 레벨(I+△I)의 구동전류가 윗실용 솔레노이드(15)또는 밑실용 솔레노이드(16)에 흐른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어떠한 사이클 재봉틀 본체 A~C에 구비된 제어장치(8)의 어디에서나 조작패널(5)로 설정된 장력이 같으면 스텝 S3에서 산출하는 레벨 I는 같다. 그러나 사이클 재봉틀 본체 A의 EEPROM(60)에는 보정치(-△I1)가 기억되어 유지되고, 사이클 재봉틀 본체 B의 EEPROM(60)에는 보정치로서 0이 기억되어 유지되고 있으며, 사이클 재봉틀 본체 C의 EEPROM(60)에는 보정치 △I2가 기억되어 유지된다.
따라서 스텝 S5에 있어서 산출된 레벨(I+△I)은 사이클 재봉틀 본체 A~C마다 다르다. 즉 사이클 재봉틀 본체 A의 제어장치(8)는 스텝 S5에 있어서 레벨 I를 산출하고, 사이클 재봉틀 본체 B의 제어장치(8)는 스텝 S5에 있어서 레벨 I를 산출하며, 사이클 재봉틀 본체 C의 제어장치(8)는 스텝 S5에 있어서 레벨(I+△I2)을 산출한다. 이에 따라 사이클 재봉틀 본체 A~C에서는 고유의 레벨(I+△I)의 구동전류가 윗실용 솔레노이드(15) 또는 밑실용 솔레노이드(16)에 흐른다.
사이클 재봉틀 본체 A~C의 어느것이나 같은 실장력치가 조작패널(5)에 의해 설정되면 윗실 또는 밑실에 작용하는 장력의 크기는 어떤 사이클 재봉틀 본체 A~C라도 같아진다. 따라서 어떠한 사이클 재봉틀 본체 A~C에서도 솔기의 느낌을 일정하게 할 수 있고, 각 사이클 재봉틀 본체 A~C간의 실 장력의 불균일을 저감하여 봉제품질의 안정성 및 재현성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또 예를들어 사이클 재봉틀 본체 A를 사이클 재봉틀 본체 C의 제어장치(8)에 조합시킨 것으로 해도 구동전류의 레벨은 레벨(I+△I2)로 산출되지 않고 레벨(I-△I1)로 산출된다. 즉 어떠한 사이클 재봉틀 본체 A~C에서도 제어장치(8)의 호환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사이클 재봉틀 본체 A~C와 제어장치(8)와의 조합이 어떤식으로 되어도 사이클 재봉틀 본체 A~C간의 실 장력의 불균일이 없어져 어떠한 사이클 재봉틀 본체에서도 실 장력의 설정치가 같으면 솔기의 느낌은 같아진다.
다음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 2실시예에서는 재봉틀 본체(2)에 EEPROM(60)이 배치되는 대신에 도 8과 같이 재봉틀 본체(2)에 여러개의 기계적인 스위치 SW1~SWn이 배치된다.
각 스위치 SW1~SWn의 일단은 접지되고 타단은 커넥터(59) 및 인터페이스(62)를 통해 CPU(50)에 접속된다. 각 스위치 SW1~SWn의 온, 오프의 셋트상태는 2진법의 「1」또는 「0」을 나타내는 비트에 대응하고, 각 스위치 SW1~SWn은 각각 2진법의 수에 겹쳐진다.
또 어느 하나의 스위치(예를들어 스위치 SW1)는 부호비트로서 할당되어 마이너스 수의 설정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보정치 △I는 제 1실시예에 있어서 유지수단(EEPROM(60))이 보정치를 유지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들 여러개의 스위치 SW1~SWn의 셋트상태에 의해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이 제 2실시예에서의 CPU(50)의 제어는 윗실용 실텐션기(13) 또는 밑실용 실텐션기(14)에 구동전류를 출력하는데 있어 보정치로서 EERPROM(60)에 기억되어 유지되는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대신에 이들 스위치 SW1~SWn의 셋트상태를 읽어들이는 이외는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스위치 SW1~SWn에 보정치를 설정(유지)시킬 때에는 스위치 SW1~SWn을 보정치가 0이 되는 소정의 셋트상태(예를들어 전부 오프)로 하고, 제어장치(8)에 의해 상기 기준구동치를 출력시켜 개개의 사이클 재봉틀 본체의 윗실용 실텐션기(13) 또는 밑실용 실텐션기(14)로부터 발생하는 장력을 측정하면서 설정된 실 장력이 기준장력이 되도록 스위치 SW1~SWn을 조작함으로써 설정가능하다. 이와같이 하여 설정된 보정치가 기준설정치와의 차인 것은 물론이다. 또 제어장치(8)를 이용하지 않아도 같은 기능을 갖는 전용의 설정장치를 이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 3실시예에서는 재봉틀 본체(2)에 EEPROM(60)이 배치되는 대신에 도 9와 같이 재봉틀 본체(2)에 가변저항기(63)가 배치된다.
가변저항기(63)는 일단(단자 B)이 접지되고, 타단(단자 A)이 전원 Vdd에 접속된다. 그리고 가변저항기(63)의 제어단자 S가 일단과 타단 사이에 접속가능함과 동시에 A/D변환기(64)에 접속되고 있다. A/D변환기(64)는 CPU(50)에 접속되고 있고, 제어단자 S의 전압이 A/D변환기(64)에 의해 디지털 변환되어 CPU(50)로 출력되도록 되어있다. 이 제어단자 S의 전압이 CPU(50)에 의해 보정치 △I로 환산되도록 되어있다. 즉 미리 준비된 보정치 △I가 가변저항기(6)의 제어단자 S의 전압레벨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함으로써 보정치는 가변저항기(63)의 제어단자 S와 단자 A사이의 저항치 및 제어단자 S와 단자 B사이의 저항치에 의해 유지되게 된다.
또 도 10에 일 예를 도시한 것과 같이 제어단자 S를 단자 B에 단락시킴과 동시에 저항치(66)를 통해 접지하고, 이 저항(66)과 제어단자 S와의 접점을 A/D변환기(64)에 접속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는 보정치는 제어단자 S와 단자 A사이의 저항치에 의해 유지되게 된다.
또 미리 보정치를 아는 경우는 가변저항기를 이용하지 않아도 그 보정치가 출력되는 고정저항기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이 가변저항기(63)에 보정치를 유지시키는 데는 보정치가 0이 되도록 소정의 상태(예를들어 가변저항기(63)의 제어단자 S의 전압이 Vdd/2가 되는 상태)를 정하여 가변저항기(63)를 이 보정치 0의 상태로 해 두고, 제 2실시예에서의 스위치 SW1~S\n에 보정치를 설정시키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어장치(8)에서 상기 기준구동치를 출력시켜 개개의 사이클 재봉틀 본체의 윗실용 실텐션기(13) 또는 밑실용 실텐션기(14)로부터 발생하는 장력을 측정하면서 측정된 실 장력이 기준장력이되도록 가변저항기(63)를 조작함으로써 설정한다. 이 경우도 제어장치(8)를 이용하지 않아도 동일 기능을 갖는 설정장치를 이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도 1~도 2에 도시하는 구성, 도 4~도 6에 도시하는 특성, 도 7에 도시하는 처리의 흐름은 제 2 또는 제 3실시예에 있어서도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도 8, 도 9 및 도 10에 대해서는 도 3과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가지 개량 및 설계의 변경을 행해도 된다.
예를들어 EEPROM(60)에는 재봉틀 본체(2) 고유의 보정치 △I가 기억되어 유지되고 있지만 보정치 △I가 아닌 재봉틀 본체(2) 고유의 구동전류-장력특성선에 관한 구동데이터가 기억되어 유지되어도 된다. 예를들어 사이클 재봉틀 본체 A에서는 고유의 구동전류-장력특성선α에 관한 구동데이터가 사이클 재봉틀 본체 A의 EEPROM(60)에 기억되어 유지되어도 좋고, 사이클 재봉틀 본체 C에서는 고유의 구동전류-장력특성선γ에 관한 구동데이터가 사이클 본체 C의 EEPROM(60)에 기어되어 유지되어도 된다. 즉 사이클 재봉틀 본체 A에 있어서는 설정된 구동전류의 레벨과, 그 레벨로 구동전류가 사이클 재봉틀 본체 A의 윗실용 솔레노이드(15)에 흐른 경우에 윗실에 작용하는 장력과의 관계를 대응시킨 정보가 사이클 재봉틀 본체 A의 EEPROM(60)에 기억되어 유지되어도 된다.
이 경우 사이클 재봉틀 본체 A에 부착된 제어장치(8)는 조작패널(5)에 의해 장력이 설정된 경우 스텝 S3에서는 구동전류-장력특성선 β로부터 구동전류의 레벨I를 산출하는 것이 아니라 EEPROM(60)에서 읽어들인 구동전류-장력특성선 α로 부터 구동전류의 레벨 I를 산출한다. 그리고 스텝 S4, 스텝 S5의 처리는 행하지 않고 스텝 S6에서는 구동전류-장력특성선α를 기초로 산출된 레벨 I의 구동전류가 윗실용 솔레노이드(15)에 흐른다.
또 EEPROM(60)에는 재봉틀 본체(2) 고유의 정보로서 윗실용 실텐션기(13) 또는 밑실용 실텐션기(14)를 구동할 때의 보정치 △I가 기억되어 유지되지만 재봉틀 본체(2) 고유의 데이터이면 윗실용 실텐션기(13) 또는 밑실용 실텐션기(14)를 구동할 때의 보정치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장치(예를들어 천 이송장치)를 구동할 때의 고유데이터(예를들어 천이송 장치의 경우, 천이송 장치의 설정이송량에 대한 이송량의 오차를 보정하는 보정데이터)라도 좋다. 이 경우 제어장치(8)는 고유데이터를 기초로 재봉틀 본체(2)를 제어하는 것은 물론이다.
또 본 발명은 보턴구멍 사뜨기를 행하는 재봉틀 본체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턴 다는 마무리 봉제 재봉틀 본체, 구슬테두리 봉제장치의 2개 바늘 재봉틀 본체, 락스티치 재봉틀 본체, 체인스티치 본체, 그 외의 여러가지 재봉틀 본체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봉틀 본체와 제어장치가 별도로 출하되고 재봉틀 본체와 제어장치가 어떤 식으로 조합된다고 해도 어떠한 재봉틀 본체에서도 실 장력을 설정한 대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솔기의 느낌을 같게 할 수 있다.

Claims (8)

  1. 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실텐션기와,
    통전하는 구동전류와 선형 관계에 있는 추력을 상기 실텐션기에 부여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실텐션기에 설정하는 장력치를 설정하는 장력설정수단을 구비한 재봉틀의 실장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텐션기에 대응하여 구동전류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치를 유지하는 보정치 유지수단과,
    상기 보정치 유지수단에서 상기 보정치를 읽어내어 상기 장력설정수단으로 설정된 장력치가 되도록 이 보정치를 기초로 상기 솔레노이드에 통전하는 구동전류를 변경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 장력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치 유지수단이 재봉틀 본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장력 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치 유지수단이 전원차단후도 상기 보정후를 유지하는 기억소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장력 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치 유지수단이 기계적으로 온 상태 또는 오프상태를 유지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스위치로 구성되고, 각 스위치의 온상태 또는 오프상태에 의해 상기 보정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장력 조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치 유지수단이 저항기로 구성되고, 이 저항기의 저항치에 의해 상기 보정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장력 조절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치가 소정의 장력치에 대응하는 기준설정치와, 상기 소정의 장력치에 대응하는 설정치와의 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장력 조절장치.
  7. 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실텐션기와,
    상기 실텐션기에 설정하는 장력치를 설정하는 장력설정수단을 구비한 재봉틀 실장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텐션기 및 상기 솔레노이드에 있어서 고유의 장력과 구동전류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구동데이터를 기억한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구동데이터를 읽어내어 장력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되는 장력치가 되도록 이 구동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솔레노이드에 통전하는 구동전류를 변경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장력 조절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이 재봉틀 본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장력 조절장치.
KR10-2003-0007396A 2002-02-13 2003-02-06 재봉틀의 실 장력 조절장치 KR200300684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35650 2002-02-13
JP2002035650A JP2003230784A (ja) 2002-02-13 2002-02-13 ミシン本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408A true KR20030068408A (ko) 2003-08-21

Family

ID=27678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7396A KR20030068408A (ko) 2002-02-13 2003-02-06 재봉틀의 실 장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3230784A (ko)
KR (1) KR20030068408A (ko)
CN (1) CN100507125C (ko)
DE (1) DE10304780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677B1 (ko) * 2009-08-10 2010-03-18 한국봉제기술연구소 자수기용 북집 밑실의 장력 조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8693A (ja) * 2005-09-06 2007-03-22 Juki Corp ミシンの糸調子装置
JP2008036192A (ja) * 2006-08-08 2008-02-21 Brother Ind Ltd ミシンの糸調子装置
JP5174414B2 (ja) * 2007-10-05 2013-04-03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糸張力制御装置
JP5427438B2 (ja) * 2009-02-27 2014-02-26 Juki株式会社 ミシン
CH709666A1 (de) 2014-05-16 2015-11-30 Bernina Int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einflussen der Lage von Knoten zwischen Oberfaden und Unterfaden beim Nähen mit einer Nähmaschine.
JP2019005502A (ja) * 2017-06-28 2019-01-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3073A (en) * 1979-06-06 1980-12-18 Janome Sewing Machine Co Ltd Device for automatically setting tension of cotton of sewing machine
JPS60142888A (ja) * 1983-12-29 1985-07-29 ジューキ株式会社 自動縫いミシンの糸締め制御装置
IT1217796B (it) * 1988-06-07 1990-03-30 Rockwell Rimoldi Spa Dispositivo elettronico per la gestione dell'autosetting in macchine per cucire industriali.
JP4046431B2 (ja) * 1999-01-18 2008-02-13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糸調子装置
JP2002113274A (ja) * 2000-10-06 2002-04-16 Juki Corp ミシンの糸調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677B1 (ko) * 2009-08-10 2010-03-18 한국봉제기술연구소 자수기용 북집 밑실의 장력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38376A (zh) 2003-08-27
JP2003230784A (ja) 2003-08-19
CN100507125C (zh) 2009-07-01
DE10304780B4 (de) 2008-04-17
DE10304780A1 (de) 200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00990A (ko) 재봉장치
KR101240387B1 (ko) 재봉기의 천두께변화 검출장치
KR20030068408A (ko) 재봉틀의 실 장력 조절장치
US4873931A (en) Programmed thread regulating apparatus for a sewing machine
JP2007111527A (ja) ミシン
JP5208700B2 (ja) ミシン
JP4046431B2 (ja) ミシンの糸調子装置
JP4722510B2 (ja) ミシン
JP4043642B2 (ja) 電磁ソレノイドによるミシンの糸調子装置
JP2007068693A (ja) ミシンの糸調子装置
JP5410707B2 (ja) ループ材供給装置
JP5808886B2 (ja) ミシン
CN103696166A (zh) 缝纫机
KR100816564B1 (ko) 보턴마무리 재봉틀
CN1321236C (zh) 缝纫机的调线装置
KR20040083367A (ko) 재봉기
US5211119A (en) Main-presser driving apparatus for automatic binding sewing machine
JP4555497B2 (ja) 上下送りミシン
JP2002210279A (ja) ミシンの糸調子装置
JPH09276577A (ja) ミシンの上糸張力調整装置
JP2775875B2 (ja) ミシン用布厚検出装置
JPS6352913B2 (ko)
JP2829420B2 (ja) 織機の送り出し装置
JPH11333173A (ja) ミシンの糸調子装置
JP2003033589A (ja) 多針刺繍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