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3552A - 계란좌판을 수납하기 위한 물류용 계란상자 - Google Patents

계란좌판을 수납하기 위한 물류용 계란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3552A
KR20030063552A KR1020020003718A KR20020003718A KR20030063552A KR 20030063552 A KR20030063552 A KR 20030063552A KR 1020020003718 A KR1020020003718 A KR 1020020003718A KR 20020003718 A KR20020003718 A KR 20020003718A KR 20030063552 A KR20030063552 A KR 20030063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
box
opening
vertical flang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3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2183B1 (ko
Inventor
윤선영
Original Assignee
윤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선영 filed Critical 윤선영
Priority to KR10-2002-0003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2183B1/ko
Priority to JP2003011865A priority patent/JP2003246383A/ja
Priority to PCT/KR2003/000135 priority patent/WO2003062098A1/en
Publication of KR20030063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2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21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eg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4Open-ended containers shaped to be nested when empty and to be superposed when full
    • B65D21/043Identical stackable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nesting after rotation around a vertical axis
    • B65D21/046Identical stackable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nesting after rotation around a vertical axis about 9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05Side walls formed with an aperture or a movable portion arranged to allow removal or insertion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란을 보관하거나 운반할 때 사용하는 물류용 계란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다수의 계란좌판을 용이하게 수납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측벽에 대응되는 개방부를 설치함과 아울러 개방부 설치에 따라 취약해지는 측벽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다수의 보강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좌판을 수납하기 위한 물류용 계란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계란좌판이 적재될 수 있는 사각형상의 수납공간과, 이 수납공간을 한정하기 위해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바닥판의 둘레를 따라 일체로 형성된 전후좌우 측벽을 포함하여 구성된 물류용 계란상자에 있어서, 상기 전후좌우 측벽 중 대응되는 두 개의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에 적재된 계란좌판으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손과 손목이 출입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가 형성된 측벽에 일체로 형성되며 외측으로는 돌출되고 내측으로는 요입되도록 절곡된 다수의 돌부와; 상기 전후좌우 측벽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수평플랜지와; 상기 수평플랜지의 외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 수직 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계란좌판을 수납하기 위한 물류용 계란상자{Container for containing egg crates}
본 발명은 계란을 운반하거나 보관 또한 판매할 때 사용하는 물류용 계란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계란좌판을 적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란좌판을 용이하게 수납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측벽에 작업자의 손과 손목이 출입할 수 있는 크기로 개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방부의 형성에 따라 취약해진 측벽을 보강하기 위해 다수의 보강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좌판을 수납하기 위한 물류용 계란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란은 깨지기 쉽기 때문에 종이나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계란좌판(egg crate)에 담겨져 유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계란좌판을 다층으로 적재할 수 있는 별도의 물류용 계란상자가 개발되지 못함으로써 계란을 보관하거나 운반할 때는 여러 개의 계란좌판을 그대로 적층하여 운반하거나 보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재생 펄프나 얇은 합성수지시트로 제작된 계란좌판은 자체의 강도가약하기 때문에 상부 하중이 그대로 계란에 전달되어 여러 층으로 쌓을 수 없다. 또한 컨테이너나 창고 등에 계란좌판을 적재할 때 작업자가 적재된 계란좌판을 밟고 올라설 수 없어 상부 적재공간을 제대로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수의 계란좌판을 일반 포장박스에 수납하여 운송하는 경우에는 박스 크기가 계란좌판에 맞지 않아 운반 도중에 계란좌판이 상자 내부에서 요동되어 계란이 깨지는 경우가 있었다, 반면에 계란좌판의 크기에 맞는 박스의 경우에는 계란좌판과 박스의 측벽사이에 작업자의 손이나 손목이 자유롭게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지 않아 계란좌판을 꺼내거나 수납할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다수의 계란좌판을 적재한 상태로 보관하거나 이송할 수 있는 계란좌판을 수납하기 위한 물류용 계란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계란좌판을 용이하게 수납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수납공간을 한정하는 측벽에 개방부가 형성된 물류용 계란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계란좌판의 수납여부에 따라 올려쌓기(stocking)와 포개쌓기(nesting)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 및 적재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물류용 계란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비와 물류비가 최소화되도록 가능한 한 경량화 하되 수납공간을 한정하는 측벽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플랜지나다수의 돌부를 적절히 설치하여 측벽이 찢어지거나 그 형태가 변형되지 않는 물류용 계란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류용 계란상자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계란상자의 측벽에 형성된 개방부 및 돌부를 보여주는 부분 절단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돌부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라 개방부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수단을 보여주는 확대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부와 보강수단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계란상자를 포개쌓은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계란상자를 올려쌓은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리돌기와 걸리홈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확대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물류용 계란상자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11은 도10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물류용 계란상자 13 : 수납공간
15, 17 : 전후좌우 측벽 23 : 수평플랜지
25 : 수직플랜지 30 : 개방부
44 : 세로플랜지 47 : 내측부
49 : 외측부 50 : 중앙 돌부
53 : 중앙 수평플랜지 55 : 중앙수직 플랜지
60 : 계란좌판 70 : 적재용 돌기
73 : 수직부 75 : 경사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수의 계란좌판이 적재될 수 있는 사각형상의 수납공간과, 이 수납공간을 한정하기 위해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바닥판의 둘레를 따라 일체로 형성된 전후좌우 측벽을 포함하여 구성된 물류용 계란상자에 있어서, 상기 전후좌우 측벽 중 대응되는 두 개의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에 적재된 계란좌판에 작업자의 손이나 손목이 접근할 수 있도록 손이나 손목이 출입이 가능한 크기로 절개된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가 형성된 측벽에 형성되며 외측으로는 돌출되고 내측으로는 들어가도록 절곡된 다수의 돌부와; 상기 전후좌우 측벽의 상단에 형성된 수평플랜지와; 상기 수평플랜지의 외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 수직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후좌우 측벽과, 상기 개방부가 설치된 측벽에 형성된 돌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직플랜지는 개방부가 형성된 측벽 쪽에 형성된 수직플랜지의 길이가 개방부가 형성되지 않은 측벽 쪽에 형성된 수직플랜지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개방부가 형성되지 않는 측벽에 형성된 수직플랜지의 하부에는 상측상자를 하측상자에 포개쌓기 할 때 상측상자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토퍼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개방부의 하부에 형성된 중앙 돌부에는 돌부의 지지력을 높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수단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후좌우 측벽과, 상기 개방부가 설치된 측벽에 형성된 돌부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부와, 상하부의 폭이 동일한 수직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류용 계란상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류용 계란상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계란상자의 측벽에 형성된 개방부와 중앙 돌부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부분 절단 사시도 및 확대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 돌부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류용 계란상자(10)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바닥판(19)과 이 바닥판(19)의 둘레를 따라 상부로 연장된 전후좌우 측벽(15,17)과, 상기 전후좌우 측벽(15,17)에 의해 한정된 수납공간(13)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13)은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계란좌판(60)이 수납될 수 있으며, 이 수납공간(13)은 운반이나 수송 시 계란좌판(6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계란좌판(60)의 넓이와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수납공간(13)에 수납된 계란좌판(60)은 전후좌우 측벽(15,17)에 밀접하게 수납되어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계란좌판(60)이 계란상자(10)의 전후좌우 측벽(15,17)에 밀착되게 형성되면, 계란좌판(60)을 적재하거나 꺼내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응하는 어느 쪽 측벽에 작업자의 손과 손목이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는 개방부(30)를 설치한다. 즉,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측벽(15)의 중앙부에 손목과 손이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개방부(3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물류용 계란상자(10)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개방부(30)는 사출시 금형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개방부(30)를 통해 계란좌판(60)을 하나씩 꺼내거나 또는 여러 개를 한꺼번에 꺼내거나 넣을 수 있으므로 계란좌판(10)의 적재시간이 줄어들고 자동화가 가능하게 되어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대응되는 측벽(15)에 개방부(30)를 설치하게 되면, 측벽(15)의 구조가 취약해져 개방부(30)가 형성된 측벽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개방부(30) 하단이 찢어지거나 계란상자(10)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특히 다수의 계란상자(10)를 적층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계란상자(10)를 밟고 작업하는 경우 적층된 계란상자(10)들이 무너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방부(30)가 형성된 측벽(15)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한 여러 가지 보강수단이 구비된다.
이러한 보강수단은 먼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30)가 형성된 측벽(15)에 다수의 돌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돌부는 측벽(15)의 일부가 절곡되어 앞으로 돌출된 것으로서 안쪽에서 볼 경우 동일한 형태의 요입부가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돌부로는 측벽(15)의 가운데 하단에 형성된 중앙 돌부(50)와 상기 중앙 돌부(50)의 양측에 형성된 적재용 돌부(70)가 있다.
먼저, 중앙 돌부(50)는 개방부(30)의 하부에 형성되며 개방부 하단의 측벽(15)을 보강할 수 있도록 돌출되는 동시에 개방부(30)를 통해 삽입된 손이 계란상자의 바닥면(19)에 닿을 수 있도록 내면에 동일한 형태의 요입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개방부(30)와 상기 중앙 돌부(5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져 상측상자와 하층상자를 포개쌓기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적재용 돌부(70)는 상기 측벽(15)의 구조적 특성을 좋게 하는 동시에 상측상자와 하측상자를 포개쌓기 할 때는 가이드 역할을 하고 올려쌓기 할 때는 상측상자의 적재용 돌부(70)의 하단이 하측상자의 플랜지(23)에 걸쳐지도록 하여 하측상자에 수납되어 있는 계란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른 계란상자(10)의 구조적 특성을 좋게 하기 위한 보강수단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전후좌우 측벽(15,17)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수평플랜지(23)와 수직플랜지(25)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직플랜지(25)는 수평플랜지(23)의 가장자리로부터 거의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계란상자(10)의 구조적 강도를 좋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개방부(30)가 형성된 측벽(15) 쪽의 수직플랜지(55)의 길이를 개방부(30)가 형성되지 않은 측벽(17) 쪽의 수직플랜지(25)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하여 개방부(30)가 형성된 측벽(15)의 구조적 취약점을 보완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개방부(30)가 형성된 측벽(15) 쪽의 수직플랜지(25)는 그렇지 않은 측벽(17) 쪽의 수직플랜지(25)보다 약1.5배 이상 길게 형성된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개방부(30)가 형성되지 않은 측벽(17)의 양단에 형성된 수직플랜지(25)도 개방부(30)가 형성된 측벽(15) 쪽에 형성된 수직플랜지(25)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함으로써 측벽(15)을 보다 보강할 수 있으며 형태적으로도 안정감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개방부(30)가 형성되지 않은 측벽(17)에는 별도의 스토퍼(27)를 설치하여 포개쌓기 된 상측상자가 하측상자의 수납공간(13)으로 삽입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수평플랜지(23)와 수직플랜지(25)는 개방부(30)의 하단에 형성된 중앙 돌부(50)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되어 개방부(30)와 중앙 돌부(50)의 강도를 보강한다. 즉, 상기 중앙 돌부(50)의 상단에 중앙 수평플랜지(53)를 형성하고 상기 중앙 수평플랜지(53)의 외측을 따라 중앙수직 플랜지(55)를 설치한다.
또한 측벽(15) 상단에 형성된 수직플랜지(25)와 상기 중앙수직 플랜지(55)를 연결하는 세로플랜지(44)를 더 형성하여 개방부(30)의 구조를 보강한다. 이때 상기 세로플랜지(44)는 도4 및 도5의 부분 확대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구조적 강도를 더욱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상측상자와 하측상자의 포개쌓기를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세로플랜지(44)는 도4 및 도5 에서 음영 처리된 부분으로서, 계란상자의 측벽(15)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개방부(30) 쪽으로 향하는 내측부(47)와 일정길이 연장된 후 다시 개방부(30)의 반대쪽 즉, 적재용 돌부(70)쪽으로 꺾여져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측부(49)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세로플랜지(44)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전후좌우의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로플랜지(44)는 내측부(47)와 외측부(49)가 소정 각도로 꺾여져 있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좁게 형성됨으로써 개방부(30)를 보강하는 동시에 상측상자와 하측상자의 포개쌓기를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상기 세로플랜지(44)의 가장자리는 둥글게 된 보강 띠(29)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이나 손목이 다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란상자(10)는 개방부(30)를 형성함으로써 생기는 측벽(15)의 구조적으로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돌부, 수평 및 수직플랜지 그리고 세로플랜지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보강수단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해 분야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돌부(50)의 외측 상단에는 중앙 돌부(50)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63)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중앙 돌부(50)의 안쪽 면에는 전체적으로 보강판(65)을 더 형성되어 있다.
이어 도7과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물류용 계란상자(10)를 포개쌓기 한 경우와 올려쌓기 한 경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류용 계란상자(10)는 상측상자(10a)와 하측상자(10b)를 수평으로 90° 회전시킴에 따라 포개쌓기와 올려쌓기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류용 계란상자(10)는 전후좌우 측벽(15,17), 적재용 돌부(70) 및 중앙 돌부(50)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이며, 상기 적재용 돌부(70)와 중앙 돌부(50)는 돌출부와 요입부가 대응되도록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상측상자(10a)의 적재용 돌부(70a)를 하측상자(10b)의 적재용 돌부(70b)에 대응되게 적재하면 상층상자(10a)가 하측 상자(10b)의 수납공간(13b)에 삽입되어 포개쌓기가 된다.
반면 도8과 같이, 상측상자(10a)를 하측상자(10b) 위에 적층하는 경우에는상측상자(10a)와 하측상자(10b)를 수평으로 90° 회전시키면 상측상자(10a)의 적재용 돌부(70a)와 중앙 돌부(50a)의 하단이 하측상자(10b)의 수평플랜지(23) 위에 걸치게 되어 하측상자(10b)의 수납공간(13b)으로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하측상자(10b)에 적재된 계란을 손상시키지 않고 올려쌓기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측상자(10a)를 하측상자(10b)에 올려쌓은 때는 상측상자(10a)의 돌부(50,70) 하단에 일체로 돌출된 걸림돌기(74)가 하측상자(10a)의 수평플랜지(23)에 형성된 걸림홈(26)에 안착됨으로써 상측상자(10a)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도9는 상기 걸림돌기(74)와 걸림홈(26)과의 결합관계를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서 미설명 부호 24는 물이나 이물질이 배출되는 구멍이다.
한편, 도10과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란좌판을 수납하기 위한 계란상자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단면도로서, 상술한 전후좌우 측벽(15,17)과 중앙 돌부(50) 및 적재용 돌부(70)에 상부의 폭과 하부의 폭이 동일한 수직부(73)를 형성한 것이다. 즉, 전술한 실시예는 포개쌓기가 가능하도록 전후좌우 측벽(15,17)과 중앙 돌부(50) 및 적재용 돌부(70)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부에서 하부로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동일한 각으로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경우, 도11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하단의 폭(d)에 비해 상단의 폭(D)이 계란상자의 높이에 비례하여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상단의 폭(W)을 가능한 한 줄이기 위해 계란상자 하단부의 일정 높이까지는 상부와 하부의 폭이 동일한 수직부(73)를 형성한 것이다. 즉,상측상자와 하측상자를 포개쌓기 할 때, 상층상자가 삽입되지 않아 접촉되지 않는 높이만큼 수직부(73)를 형성함으로써 그 길이에 해당하는 상단의 폭(W)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포개쌓기가 가능하도록 상측상자가 삽입되는 상단부에는 경사부(75)를 형성하되 상측상자가 삽입되지 않는 하단부에는 수직부(73)를 형성함으로써 계란상자의 폭(W)을 가능한 한 적게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류용 계란상자는 다수의 계란좌판을 적재한 상태로 보관하거나 이송할 수 있으며 수납공간을 한정하는 측벽에 개방부를 형성하여 계란좌판을 용이하게 수납하거나 꺼내거나 넣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란좌판의 수납여부에 따라 올려쌓기와 포개쌓기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 및 적재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제조비와 물류비가 최소화되도록 가능한 한 경량화 하되 수납공간을 한정하는 측벽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플랜지나 돌부를 적절히 설치함으로써 측벽이 찢어지거나 상자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는 물류용 계란상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개방부의 주변에 외측으로 절곡된 세로플랜지를 구비함으로써 개방부의 구조를 좋게 하는 동시에 작업자의 손이나 손목이 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다수의 계란좌판이 적재될 수 있는 사각형상의 수납공간과, 이 수납공간을 한정하기 위해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바닥판의 둘레를 따라 일체로 형성된 전후좌우 측벽을 포함하여 구성된 물류용 계란상자에 있어서,
    상기 전후좌우 측벽 중 대응되는 두 개의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에 적재된 계란좌판에 작업자의 손이나 손목이 접근할 수 있도록 손이나 손목이 출입이 가능한 크기로 절개된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가 형성된 측벽에 형성되며 외측으로는 돌출되고 내측으로는 요입되도록 절곡된 다수의 돌부와;
    상기 전후좌우 측벽의 상단에 형성된 수평플랜지와;
    상기 수평플랜지의 외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 수직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좌판을 수납하기 위한 물류용 계란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좌우 측벽과, 상기 개방부가 설치된 측벽에 형성된 돌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좌판을 수납하기 위한 물류용 계란상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플랜지는 개방부가 형성된 측벽에 형성된 수직플랜지의 길이가 개방부가 형성되지 않은 수직플랜지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좌판을 수납하기 위한 물류용 계란상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가 형성되지 않는 측벽에 형성된 수직플랜지에는 상측상자를 하측상자에 포개쌓기 할 때 상측상자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좌판을 수납하기 위한 물류용 계란상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의 하부에 형성된 중앙 돌부의 상단에는 중앙 수평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중앙 수평플랜지의 외측을 따라 중앙 수직플랜지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좌판을 수납하기 위한 물류용 계란상자.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플랜지와 상기 중앙수직 플랜지를 연결하는 세로플랜지를 더 형성하여 상기 측벽 및 개방부의 구조를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좌판을 수납하기 위한 물류용 계란상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플랜지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개방부 쪽을 향하는 내측부와 일정길이 연장된 후 다시 개방부의 반대쪽으로 꺾여져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측부로 구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전후좌우의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좌판을 수납하기 위한 물류용 계란상자.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돌부의 상단에 보강리브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좌판을 수납하기 위한 물류용 계란상자.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돌부의 안쪽에 보강판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좌판을 수납하기 위한 물류용 계란상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좌우 측벽과, 상기 개방부가 설치된 측벽에 형성된 돌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부가 상단에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되고, 그 하부로는 상부와 하부의 폭일 동일한 수직부가 일정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좌판을 수납하기 위한 물류용 계란상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부의 하단에는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플랜지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도록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좌판을 수납하기 위한 물류용 계란상자.
KR10-2002-0003718A 2002-01-22 2002-01-22 계란좌판을 수납하기 위한 물류용 계란상자 KR100432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718A KR100432183B1 (ko) 2002-01-22 2002-01-22 계란좌판을 수납하기 위한 물류용 계란상자
JP2003011865A JP2003246383A (ja) 2002-01-22 2003-01-21 卵座を収納するための物流用卵箱
PCT/KR2003/000135 WO2003062098A1 (en) 2002-01-22 2003-01-22 Container for containing egg crat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718A KR100432183B1 (ko) 2002-01-22 2002-01-22 계란좌판을 수납하기 위한 물류용 계란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552A true KR20030063552A (ko) 2003-07-31
KR100432183B1 KR100432183B1 (ko) 2004-05-22

Family

ID=27607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718A KR100432183B1 (ko) 2002-01-22 2002-01-22 계란좌판을 수납하기 위한 물류용 계란상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3246383A (ko)
KR (1) KR100432183B1 (ko)
WO (1) WO20030620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8008289U1 (de) * 2008-06-20 2008-08-28 Rotho Kunststoff Ag Behälter
JP5608348B2 (ja) * 2009-08-12 2014-10-15 東洋アルミエコープロダクツ株式会社 収納容器
US9521815B2 (en) 2011-04-11 2016-12-20 Nutrifield Pty Ltd Container
JP5909072B2 (ja) * 2011-10-31 2016-04-26 株式会社岡村製作所 トレー及びその収納棚
JP2014177310A (ja) * 2014-05-28 2014-09-25 Toyo Aluminum Ekco Products Kk 充填容器及び充填容器群
JP6815089B2 (ja) * 2016-03-31 2021-01-20 東洋アルミエコープロダクツ株式会社 収納容器
CN207312041U (zh) * 2017-10-25 2018-05-04 米亚索乐装备集成(福建)有限公司 柔性太阳能电池芯片包装盒
JP7233092B2 (ja) * 2019-06-10 2023-03-06 三甲株式会社 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3070A (en) * 1977-03-09 1978-06-06 Pinckney Molded Plastics, Inc. Stacking and nesting container
US4316540A (en) * 1979-05-31 1982-02-23 Lapham Sidney D Nesting or stacking box
JPS5894633U (ja) * 1981-12-21 1983-06-27 和泉化成株式会社 容器
US4993554A (en) * 1987-10-14 1991-02-19 Spectrum International, Inc. Nestable beverage case
JP3230546B2 (ja) * 1993-05-24 2001-11-19 三甲株式会社 運搬用容器
JP2928457B2 (ja) * 1994-05-10 1999-08-03 立花容器株式会社 蓋付容器
JP3713072B2 (ja) * 1995-08-03 2005-11-02 三甲株式会社 箱型容器
JPH10211935A (ja) * 1997-01-28 1998-08-11 Showa Alum Corp プラスチック製通い容器
DE69825034D1 (de) * 1998-04-29 2004-08-19 Allibert Equipement Nanterre Ineinandersetzbare und stapelbare Kästen mit zwei Stapelhöhen
KR200262370Y1 (ko) * 2001-11-09 2002-03-18 윤선영 물류용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62098A1 (en) 2003-07-31
JP2003246383A (ja) 2003-09-02
KR100432183B1 (ko) 200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0688B2 (en) Stacking crates
US5328048A (en) Tote box
US5071026A (en) Case for bottles of different sizes
US7252196B1 (en) Crate for bottles and other containers
US7481316B2 (en) Article storage case
US7322475B2 (en) Nestable crate for containers
US5320245A (en) Full-depth bottle case assembly
KR100432183B1 (ko) 계란좌판을 수납하기 위한 물류용 계란상자
WO2006026783A1 (en) Nestable crate for containers
US3362561A (en) Beverage bottle container
SK18098A3 (en) Stacking and nesting containers
US10315801B2 (en) Collapsible box
JP2003034330A (ja) 運搬用パレット
JP7123382B2 (ja) 容器
JP2899560B2 (ja) 積み重ね可能な容器
JP2004010129A (ja) パレットボックス
JP2007099321A (ja) 運搬用容器
KR20210091706A (ko) 적층 가능한 열가소성 계란판과 계란 포장 카톤
KR200263506Y1 (ko) 적재용 계란상자
JP2549500B2 (ja) 花の搬送容器
JP4118410B2 (ja) 運搬用容器
KR200260178Y1 (ko) 물류용 상자
KR200262370Y1 (ko) 물류용 상자
JP4054904B2 (ja) 鶏卵包装用容器
US5975289A (en) Container for transport of printed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