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370Y1 - 물류용 상자 - Google Patents

물류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370Y1
KR200262370Y1 KR2020010034516U KR20010034516U KR200262370Y1 KR 200262370 Y1 KR200262370 Y1 KR 200262370Y1 KR 2020010034516 U KR2020010034516 U KR 2020010034516U KR 20010034516 U KR20010034516 U KR 20010034516U KR 200262370 Y1 KR200262370 Y1 KR 2002623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loading
groove
front wal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5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선영
Original Assignee
윤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선영 filed Critical 윤선영
Priority to KR20200100345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3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3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370Y1/ko

Links

Landscapes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달걀 등 파손되기 쉬운 물품을 적재한 상태로 안전하게 운반하거나 보관할 수 있도록 된 물류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올려쌓기가 가능하도록 물류용 상자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전면벽과 좌우측벽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전면벽과 좌우측벽이 거의 수직에 가까운 수직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측 상자의 걸림홈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최대로 확대하여 적재 지지력을 향상시킨 물류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하로 적재되는 물류용 상장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측 상자의 내면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되거나 하측 상자의 플랜지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쳐지는 하나 이상의 적재용 돌조가 형성된 물류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적재용 돌조는 하측 상자의 요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그 전면벽 및 좌우측벽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상단부는 전면벽과 좌우측벽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는 전면벽과 좌우측벽이 거의 수직에 가까운 수직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측 상자의 걸림홈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최대로 확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류용 상자{Egg Container}
본 고안은 달걀 등 파손되기 쉬운 물품을 적재한 상태로 안전하게 운반하거나 보관할 수 있도록 된 물류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올려쌓기가 가능하도록 물류용 상자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전면벽과 좌우측벽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전면벽과 좌우측벽이 거의 수직에 가까운 수직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측 상자의 걸림홈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최대로 확대하여 적재 지지력을 향상시킨 물류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달걀은 깨지기 쉽기 때문에 에그 크레이트(egg crate) 등과 같은 보호부재를 이용하여 운반하거나 보관한다. 그러나 이러한 보호부재는 적재 지지력이 약하기 때문에 여러 층으로 적재할 때 달걀과 보호부재의 무게에 의하여 밑에 적재된 물품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물품을 트럭 등을 이용하여 운반하거나 창고에 보관하는 경우에 트럭이나 창고의 적재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므로 물류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실2000-0019931호 및 실2000-00018981호 등에서 달걀 등과 같은 물품이 수납된 상태에서는 상측 상자가 하측 상자에 얹혀진 상태로 올려쌓기(stacking)되어 상측 상자의 하중에 의해 하측 상자의 물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물품이 수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측 상자가 하측 상자의 수납공간으로 삽입된 상태로 포개쌓기(nesting)되어 적재 높이를 낮출 수 있는 물류용 상자를 제시한 바 있다.
즉,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물류용 상자는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면(11)과 전후면벽(22) 및 좌우측벽(44)에 의하여 정방형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상자로서, 전후면벽(22)의 외면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적재용 돌조(25)가 형성되고 그 내면에는 상기 적재용 돌조(25)와 대응되며 적재되는 상측 상자의 적재용 돌조(25)가 삽입 가능하도록 요홈(35)이 형성되며, 좌우측벽(44)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37)에는 상기 적재용 돌조(25)의 하단이 끼워져 걸리는 적재용 걸림홈(39)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 상자의 적재용 돌조(25)가 하측 상자의 요홈(35)에 삽입되도록 적재하면 포개쌓기가 이루어지고 상측 상자의 적재용 돌조(25)가 플랜지(37)의 걸리홈(39)에 걸리도록 적재하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올려쌓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물류용 상자는 전후면벽(22)의 외면에 형성된 적재용 돌조(25)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하측 상자(10b)의 걸리홈(39)에 접촉되는 적재용 돌조(25)의 접촉 면적이 매우 작게 된다. 즉, 종래의 적재용 돌조(25)는 하측 상자(10b)의 요홈(33)에많이 삽입되어 적재 높이를 낮출 수 있도록 적재용 돌조(25)의 전면벽과 좌우측벽을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한 것이나 이러한 결과로 적재용 돌조(25)의 하단 폭이 매우 좁아지게 되었다. 따라서 상측 상자(10a)에서 가해지는 하중이 과도하거나 장기간의 사용으로 하측 상자(10b)의 내구성이 떨어진 경우에는 적재된 상측 상자(10a) 및 수납된 물품의 무게에 의해 하측 상자(10b)의 전후면벽(22)이 바깥으로 벌어지면서 적재용 돌조(25)가 플랜지(37)에서 이탈되어 상측 상자(10a)가 하측 상자(10b)의 수납공간으로 빠지거나 옆으로 쓰러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물류용 상자는 적재용 돌조(25)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단의 접촉 면적이 좁아져 걸림홈(39)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적재용 돌조(25)의 형상을 개량하여 그 하단에 형성되는 접촉 면적을 최대로 하여 적재 지지력을 향상시키며 포개쌓기와 올려쌓기가 모두 가능한 물류용 상자에 관련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물류용 상자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적재용 돌조의 형상의 개량하여 그 하단의 접촉면적을 가능한 한 넓게 함으로써 적재 지지력을 향상시킨 물류용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물류용 상자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된 적재용 돌조의 하단 접촉면적을 최대로 확대시키는 동시에 상측 상자의 돌조가 하측 상자의 요홈에 원활히 삽입되도록 적재용 돌조의 상단부에 확대된 경사부를 형성한 물류용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물류용 상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물류용 상자를 올려쌓은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와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물류용 상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물류용 상자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물류용 상자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물류용 상자를 포개쌓은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물류용 상자를 올려쌓은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물류용 상자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바닥면 15 : 경사부
17 : 수직부 22 : 전후면벽
25 : 종래의 적재용 돌조 33 : 종래의 요홈
37 : 플랜지 39 : 걸림홈
42 : 걸림턱 44 : 좌우측벽
55 : 본 고안의 적재용 돌조 63 : 본 고안의 요홈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상하로 적재되는 물류용 상장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측 상자의 내면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되거나 하측 상자의 플랜지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쳐지는 하나 이상의 적재용 돌조가 형성된 물류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적재용 돌조는 하측 상자의 요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그 전면벽 및 좌우측벽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상단부는 전면벽과 좌우측벽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는 전면벽과 좌우측벽이 거의 수직에 가까운 수직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측 상자의 걸림홈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최대로 확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물류용 상자의 사시도이고, 도4는 상기 물류용 상자의 정면도이며 도5는 상기 물류용 상자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물류용 상자(10)는 바닥면(11)과 전후면벽(22) 및 좌우측벽(44)으로 이루어지며 상지 전후면벽(22)과 좌우측벽(44)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포개쌓기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물류용 상자(10)의 외면, 예를 들어 전후면벽(22)에는 테이퍼 형상의 물류용 상자(10)를 올려쌓기 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적재용 돌조(55)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내면에는 포개쌓기 할 때 상기 적재용 돌조(55)가 삽입되는 요홈(63)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적재용 돌조(55)는 전체적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상단부에는 전면벽과 좌우측벽이 바깥으로 벌어지도록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부(15)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는 거의 수직에 가까운 수직부(1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적재용 돌조(55)는 그 하단부에 수직부(1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단의 접촉면적을 확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도6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적재용 돌조(25)는 포개쌓기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단일의 경사각으로 경사져 있어 적재용 돌조(25)의 폭이 매우 좁게 된다. 이에 비해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본 고안에 따른 적재용 돌조(55)는 하단부에 수직부(1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폭이 "D"만큼 늘어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확대는 좌우측벽에서 일어나므로 전체적으로 하단의 접촉면적이 확대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적재용 돌조(55)의 하단부에 수직부(17)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적재용 돌조(55)의 하단의 폭이 늘어나므로 포개쌓기를 할 때 상기 적재용 돌조(55)가 하측 상자의 요홈(63)에 원활히 삽입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적재용 돌조(55) 상단부의 전면벽과 좌우측벽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부(15)를 형성함으로써 상측 상자(10a)의 적재용 돌조(55)가 하측 상자(10b) 요홈(63)에 원활히 삽입되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수직부(17)는 상측 상자(10b)를 하측 상자(10a)에 포개쌓을 때 하측 상자(10a)의 상부로 노출되는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수직부(17)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하단의 접촉면적은 증대되나 수직부(17)의 길이가 너무 길어짐에 따라 삽입되는 길이가 짧아져 적재 높이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측 상자(10a)의 상부로 노출되는 길이보다 짧은 범위 내에서 수직부(17)를 형성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물류용 상자와 동일하거나 적은 적재 높이를 유지하면서 적재 지지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물류용 상자(10)는 그 상단에 플랜지(37)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벽(44)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37)에는 상기 적재용 돌조(55)의 하단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걸림홈(3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물류용 상자(10)의 다른 실시예는 도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적재용 돌조(55)의 하단에 일체로 돌출된 걸림돌기(45)가 걸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홈(39) 내에 소정의 걸림턱(42)을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걸리홈(39)에는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관통공(46)이 천공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물류용 상자(10)를 상하로 적재할 경우, 상기 적재용 돌조(55)의 하단이 하측 상자(10b)의 플랜지(37)에 형성된 걸림홈(39)에 안착되도록 적재하면 올려쌓기가 이루어지고, 반대로 상측 상자(10a)를 하측 상자(10b)에 대하여 수평으로 90도 회전시켜 상측 상자(10a)의 적재용 돌조(55)가 하측 상자(10b)의 요홈(63)에 삽입되도록 쌓으면 포개쌓기가 이루어진다. 즉, 물품이 수납되지 않은 빈 물류용 상자를 보관하거나 운반할 때는 상측 상자(10a)의 적재용 돌조(55)가 하측 상자(10b)의 요홈(63)에 삽입되도록 포개쌓음으로써 적재 높이를 줄여 트럭이나 창고의 적재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물품이 수납된 물류용 상자를 보관하거나 운반할 때는 상측 상자(10a)의 적재용 돌조(55)가 하측 상자(10b)의 플랜지(37)의 결림홈(39)에 걸쳐지도록 올려쌓음으로써 수납공간에 수납된 물품이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물류용 상자(10)는 도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점선으로 도시된 종래의 적재용 돌조(25)에 비해 그 하단의 접촉면적이 확대되므로 상측 상자(10a)에 의해 가중되는 하중이 커서 하측 상자(10b)의 좌우측벽(44)이 어느 정도 바깥쪽으로 벌어지더라도 상기 적재용 돌조(55)가 걸림홈(39)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걸림홈(39)에 걸림턱(42)을 형성하고 적재용 돌조(55)의 하단에 걸림돌기(45)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적재용 돌조(55)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물류용 상자는 적재용 돌조의 상단부에 경사부를 형성하고 그 하단부에는 수직부를 형성함으로써 하단의 접촉면적을 가능한 한 넓힘으로써 적재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상측 상자의 돌조가 하측 상자의 요홈에 원활히 삽입되도록 하여 적재 높이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하로 적재되는 물류용 상장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측 상자의 내면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되거나 하측 상자의 플랜지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쳐지는 하나 이상의 적재용 돌조가 형성된 물류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적재용 돌조는 하측 상자의 요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그 전면벽 및 좌우측벽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상단부는 전면벽과 좌우측벽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는 전면벽과 좌우측벽이 거의 수직에 가까운 수직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측 상자의 걸림홈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최대로 확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용 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용 돌조의 하단에는 걸리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 내에는 걸리턱이 일체로 형성되어 적재용 돌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용 상자.
KR2020010034516U 2001-11-09 2001-11-09 물류용 상자 KR2002623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516U KR200262370Y1 (ko) 2001-11-09 2001-11-09 물류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516U KR200262370Y1 (ko) 2001-11-09 2001-11-09 물류용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370Y1 true KR200262370Y1 (ko) 2002-03-18

Family

ID=73082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516U KR200262370Y1 (ko) 2001-11-09 2001-11-09 물류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3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2098A1 (en) * 2002-01-22 2003-07-31 Sun-Young Yun Container for containing egg crat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2098A1 (en) * 2002-01-22 2003-07-31 Sun-Young Yun Container for containing egg crat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0138B2 (en) Stackable container apparatus and methods
US3638824A (en) Plastic container
US7234599B2 (en) Portable storage container
US20060113303A1 (en) Article storage case
JP4572899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US7334683B2 (en) Portable storage container
KR200262370Y1 (ko) 물류용 상자
KR100432183B1 (ko) 계란좌판을 수납하기 위한 물류용 계란상자
JP2003034330A (ja) 運搬用パレット
JP4105306B2 (ja) 運搬用容器
KR200416610Y1 (ko) 구조개선된 과일 포장용 상자
KR102060325B1 (ko)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
KR200260178Y1 (ko) 물류용 상자
JP4216402B2 (ja) 運搬用パレット
JP3954839B2 (ja) 運搬用パレット
JP7213519B2 (ja) コンテナ
JP2000190971A (ja) ダンボ―ル箱
JPH09323727A (ja) 運搬用パレット
KR200294343Y1 (ko) 다단으로 적층되는 수납 바구니
JP2006096366A (ja) 合成樹脂製容器
JP4866172B2 (ja) 運搬用容器
US20090050639A1 (en) Storage container
JPH1159674A (ja) 運搬用パレット
JP3135850B2 (ja) 容 器
KR200435245Y1 (ko) 계란 판의 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