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7388A - 차량용 카펫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카펫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7388A
KR20030057388A KR1020020084139A KR20020084139A KR20030057388A KR 20030057388 A KR20030057388 A KR 20030057388A KR 1020020084139 A KR1020020084139 A KR 1020020084139A KR 20020084139 A KR20020084139 A KR 20020084139A KR 20030057388 A KR20030057388 A KR 20030057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pet
thermoplastic resin
resin powder
layer
sound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4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5641B1 (ko
Inventor
시미즈가즈후미
스기에신스케
Original Assignee
스미노에오리모노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노에오리모노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노에오리모노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57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7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6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07Heat-activated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of carp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7/00Flexible sheet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xtile threads, filaments, yarns or tow, glued on macromolecular material
    • D06N7/0063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 D06N7/0071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characterised by their backing, e.g. pre-coat, back coating, secondary backing, cushion backing
    • D06N7/0076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characterised by their backing, e.g. pre-coat, back coating, secondary backing, cushion backing the back coating or pre-coat being a thermoplastic material applied by, e.g. extrusion coating, powder coating or laminating a thermoplastic fil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7/00Flexible sheet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xtile threads, filaments, yarns or tow, glued on macromolecular material
    • D06N7/0063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 D06N7/0071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characterised by their backing, e.g. pre-coat, back coating, secondary backing, cushion backing
    • D06N7/0081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characterised by their backing, e.g. pre-coat, back coating, secondary backing, cushion backing with at least one extra fibrous layer at the backing, e.g. stabilizing fibrous layer, fibrous secondary b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07Heat-activated adhesive
    • B32B2037/1238Heat-activated adhesive in the form of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32B2262/0284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10Fibres of continuous length
    • B32B2305/20Fibres of continuous length in the form of a non-woven m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B32B2471/02Carp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or yarns
    • D06N2201/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or yarns
    • D06N2201/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D06N2201/0245Acrylic resin fib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or yarns
    • D06N2201/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D06N2201/0254Polyolefin fib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or yarns
    • D06N2201/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D06N2201/0263Polyamide fib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or yarns
    • D06N2201/04Vegetal fibres
    • D06N2201/042Cellulose fibres, e.g. cott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or yarns
    • D06N2201/06Animal fibres, e.g. hair, wool, sil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3/00Macromolecular materials of the coating layers
    • D06N2203/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N2203/042Polyolefin (co)polym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materials
    • D06N2205/10Particulate form, e.g. powder, granu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9/00Properties of the materials
    • D06N2209/02Properties of the materials having acoustical properties
    • D06N2209/025Insulating, sound absorb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9/00Properties of the materials
    • D06N2209/12Permeability or impermeability properties
    • D06N2209/121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11/00Specially adapted uses
    • D06N2211/12Decorative or sun protection articles
    • D06N2211/26Vehicles, transportation
    • D06N2211/263C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907Pile or nap type surface or component
    • Y10T428/23979Particular backing structure or com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707Woven fabric including a nonwoven fabric layer other than pa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40Knit fabric [i.e., knit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494Including a nonwoven fabric layer other than pa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59Including an additional nonwoven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pet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표피재층(2)과, 부직포 흡음층(3)을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를 가열 용융함으로써 형성된 통기성 접착 수지층(4)을 통하여 접착 일체화하고, 또한 카펫(1) 전체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를 1∼50(㎤/㎠ ·초)으로 설정한다. 이것으로, 하측에서 침입하는 소음은 물론, 지붕, 도어, 창문 등을 통하여 상방측에서 차 실내 공간으로 침입하는 소음에 대하여도 뛰어난 흡음성을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카펫은 표피재에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를 산포한 후, 이 파우더를 가열 용융시키고, 이어서 그 위에 부직포를 적층한 상태로 가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고, 입자 직경 90∼10000㎛의 파우더를 산포량 5∼500g/㎡으로 산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차량용 카펫 및 그 제조 방법{Carpet for veh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부설면 하측에서 침입해 오는 소음은 물론, 지붕, 도어, 창문 등에서 실내 공간으로 침입해 오는 상방측에서의 소음에 대하여도 뛰어난 흡음성(吸音性)을 발휘할 수 있어서 충분한 정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등의 차량용 카펫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편, 이 명세서에 있어서, 「통기도」란 JIS L1096-1999의 8. 27. 1의 A법으로 측정된 통기도이다.
종래부터 자동차 내의 플로어에는 제자리 걷기의 느낌을 양호하게 함과 더불어 바닥측에서의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플로어 카펫이 부설되어 있다.
그런데, 자동차의 플로어에서는 진동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의 소음도 침입해 오지만, 이러한 플로어를 통하여 침입해 오는 외부 소음은 플로어 카펫에 의해 어느 정도는 저감되지만, 그 저감량은 충분한 것이 아니다. 그래서, 이러한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에 있어서도 흡음 성능을 갖춘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표면측에 파일이 심어진 카펫 생지의 이면에 접착용 필름을 통하여 부직포 흡음층을 적층하여 열 프레스함으로써 이들이 접착 일체화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자동차의 실내 공간에 들어오는 외부 소음으로서는 플로어에서의 침입뿐만 아니라, 지붕, 도어, 창문 등에서 실내 공간으로 침입해 오는 소음도 있으며, 이러한 소음에 대하여도 흡음 효과가 발휘될 때 자동차의 실내 공간에 있어서의 정숙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 구성의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에서는 자동차의 플로어에서 침입해 오는 외부 소음에 대하여는 하측의 흡음층의 존재에 의해 양호한 흡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지붕, 도어, 창문 등에서 실내 공간으로 침입해 온 소음은 플로어 카펫의 접착용 필름층에 의해 실내측으로 반사되어 실내 공간에 되돌려지므로, 거의 흡음되지 않는다는 것이 실상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배경에 비추어 행하여진 것이며, 부설면 하측에서 침입해 오는 소음은 물론, 지붕, 도어, 창문 등을 통하여 상방측에서 차 실내 공간으로 침입해 오는 소음에 대하여도 뛰어난 흡음성을 발휘할 수 있어서 충분한 정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카펫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카펫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카펫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차량용 카펫2 ···표피재층
3 ···부직포 흡음층4 ···통기성 접착 수지층
10 ···라텍스층22 ···표피재
23 ···부직포24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
25 ···스캣터27 ···가압 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는 예의 연구의 결과, 표피재와 부직포 흡음층을 접착하는 수지층을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를 가열 용융해서 고화시킴으로써 형성된 통기성 수지층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하며, 또한 카펫 전체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를 특정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소망의 카펫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기에 도달하여, 이 발명을 완성했다.
다시 말해, 제1 발명의 차량용 카펫은 표피재층과,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흡음층이 접착 수지층을 통하여 접착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용 카펫에 있어서, 상기 접착 수지층이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를 가열 용융함으로써 형성된 통기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카펫 전체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가 1∼50(㎤/㎠ ·초)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하측에 부직포 흡음층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자동차 플로어 등의 부설면의하측에서 침입해 오는 소음에 대하여 뛰어난 흡음성이 발휘된다. 또, 접착 수지층은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를 가열 용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기성을 가진 것이 되고, 지붕, 도어, 창문 등을 통하여 상방측에서 차 실내 공간으로 침입해 오는 소음은 이 접착 수지층을 통과해서 부직포 흡음층에 도달해서 여기서 흡음되므로, 차 실내 공간에 있어서 정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카펫 전체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가 1(㎤/㎠ ·초) 이상으로 규정되어 있으므로, 상방측에서 침입해 오는 소음이 접착 수지층에서 그다지 반사되는 일 없이 효율적으로 접착 수지층을 통과하는 것이 되고, 이것으로 뛰어난 흡음 성능이 발휘되는 것이 되어서 충분한 정숙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더불어, 카펫 전체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가 50(㎤/㎠ ·초) 이하로 규정되어 있으므로, 부설면의 하측에서 침입해 오는 소음이 커서 이를 흡음층에서 확실하게 완전히 흡음되지 못 한 경우에서도, 차 실내 공간 내로의 소음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서, 이렇게 통기도가 상기 특정 범위로 규정됨으로써, 어떠한 조건 하에서도 양호한 정숙성을 확실하게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카펫 전체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는 표피재층, 접착 수지층, 부직포 흡음층이 적층 일체화된 상태로 측정되는 수치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접착 수지층의 통기도를 크게 반영한 것이 되고, 일반적으로는 접착 수지층의 통기도와 대략 동등으로 추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적층 일체화된 상태로 접착 수지층 단독의 통기도를 측정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도저히 곤란하므로, 카펫 전체에서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를 규정한 것이다.
또, 본 발명자는 부직포 시트의 열용융에 의해 통기성 접착 수지층을 형성시킨 구성이나, 망목 형상 시트의 열용융에 의해 통기성 접착 수지층을 형성시킨 구성도 검토했지만, 이들 구성에서는 뛰어난 흡음 특성과 높은 접착 강도의 양립을 달성하는 것은 곤란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카펫에 있어서, 흡음층으로서는 그 두께가 0.3∼15㎜, 그 단위 무게가 10∼1000g/㎡, 구성 섬유의 섬도가 0.1∼30데시텍스의 범위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으로, 저주파로부터 고주파에 걸쳐서 폭넓은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충분한 흡음 성능이 발휘되는 것이 된다.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파우더가 이용되는 것이 접착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리사이클하기 쉬워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제2 발명은 상기 제1 발명의 차량용 카펫을 제조하는 방법을 특정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본 제2 발명의 차량용 카펫의 제조 방법은 적층면을 위로 해서 배치된 표피재의 이 적층면 상에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를 산포한 후, 이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를 가열 용융시키고, 이어서 그 위에 부직포를 적층한 상태로 가압함으로써, 표피재와 부직포를 통기성 수지층을 통하여 접착 일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직포 상에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를 산포한 경우에는, 용융시에 파우더가 부직포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이 염려되지만, 이 제법에서는 표피재 상에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를 산포해서 용융시키므로, 파우더가 표피재 중으로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이것으로 표피재와 부직포를 양호한 상태로 접착할 수있다. 또, 위에 부직포를 적층하지 않은 상태로 파우더의 가열을 행하므로, 효율적으로 파우더를 가열 용융할 수 있어, 생산성이 뛰어나다. 또한, 이들 일련의 공정을 연속 공정으로 행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생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의 입자 직경은 90∼10000㎛로 하며, 이 파우더의 산포량은 5∼500g/㎡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 직경 및 산포량을 이러한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제1 발명의 차량용 카펫을 확실하게 제조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통기도가 1∼50(㎤/㎠ ·초)의 범위로 설정된 차량용 카펫을 확실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로서는 그 멜트 플로우 레이트 값이 2∼520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으로 통기도가 1∼50(㎤/㎠ ·초)의 범위로 설정된 차량용 카펫을 보다 확실히 제조할 수 있다.
다른 목적 및 특징은 첨부 도면과 함께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밝혀질 것이다.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차량용 카펫(1)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피재층(2)과,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흡음층(3)이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24)를 가열 용융함으로써 형성된 통기성 접착 수지층(4)을 통하여 접착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며, 또한 카펫(1) 전체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가 1∼50(㎤/㎠ ·초)의 범위로 설정되어 이루어진다.
이 차량용 카펫(1)에서는 산포된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24)의 가열 용융에의해 접착 수지층(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착 수지층(4)은 통기성을 구비한 것이 되고, 게다가 카펫(1) 전체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를 상기 특정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발명에서는 카펫(1) 전체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가 1∼50(㎤/㎠ ·초)의 범위로 설정될 필요가 있지만, 그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한다. 다시 말해, 통기도가 1(㎤/㎠ ·초) 미만에서는 지붕, 창문, 도어 등을 통하여 상방측에서 침입한 소음은 접착 수지층(4)에서 반사되어 흡음되는 것 없이 차 실내 공간에 되돌아오는 것이 어느 정도 발생하여 충분한 정숙성을 확보할 수 없다. 또, 통기도가 50(㎤/㎠ ·초)을 초과할 경우에는, 부설면의 하측에서 침입해 오는 소음이 커서 이를 흡음층에서 확실하게 전부 흡음할 수 없었을 때에, 접착 수지층(4)을 통하여 차 실내 공간 내로 누출되는 소음이 어느 정도 발생하여 충분한 정숙성을 확보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다시 말해 어떠한 조건 하에서도 양호한 정숙성을 확실하게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통기도를 상기 특정 범위로 한정한 것이다. 그 중에서도, 카펫(1) 전체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는 2∼30(㎤/㎠ ·초)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24)의 수지 종류는 열가소성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수지 (EVA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혹은 염화 비닐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올레핀계 수지 파우더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에는, 접착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 후에 리사이클 이용하기 쉬운 것이된다. 이 폴리올레핀계 수지 파우더 중에서도 특히 바람직한 것은 폴리에틸렌 파우더이며, 이 경우에는, 상기 이점에 덧붙여 비용을 한층 더 저감할 수 있다.
상기 표피재층(2)으로서는 그 표면에 파일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파일을 가지지 않고 있더라도 어느 쪽이어도 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전자의 예로서, 예를 들면 카펫 기재의 표면에 파일이 심어진 것, 터프티드 카펫, 직물 카펫, 편물 카펫, 전착 카펫 등을 예시할 수 있고, 후자의 예로서 예를 들면 니들 펀치 부직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카펫 기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아크릴 섬유 등의 합성 섬유, 혹은 마, 면, 양모 등의 천연 섬유 등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실을 제편직한 천 이외, 각종 섬유나 실을 니들링 등에 의해 기계적으로 결속하거나, 혹은 접착제 등에 의해 화학적으로 결속한 부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파일 소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아크릴 섬유, 레이온 섬유 등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그 외, 마, 면, 양모 등의 천연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파일층의 형성 수단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모켓 등과 같이 경 파일 직물, 위 파일 직물 등의 제직에 의해 파일층을 형성하는 수단, 터프팅 머신 등에 의해 파일사를 식모해서 파일층을 형성하는 수단, 편기에 의해 파일층을 형성하는 수단, 접착제를 이용해서 파일사를 접착해서 파일층을 형성하는 수단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파일 형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컷 파일, 루프 파일 등 어느 형태여도 된다.
상기 흡음층(3)을 구성하는 부직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 없이 어떤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니들 펀치 부직포, 워터 니들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양모 펠트 등의 펠트 등이 이용된다. 이 부직포 흡음층(3)을 구성하는 섬유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아크릴 섬유, 천연 섬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흡음층(3)의 두께는 0.3∼15㎜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0.3㎜ 미만에서는 충분한 흡음 효과가 얻어지지 않게 되고, 한편 15㎜을 초과하면 차 실내 공간의 높이를 저감하게 되어서 차 실내 스페이스로서 여유감이 충분히 얻어지기 어려워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흡음층(3)의 단위 무게는 10∼1000g/㎡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g/㎡ 미만에서는 충분한 흡음 효과가 얻어지지 않게 되고, 한편 1000g/㎡을 초과하면 차량용 카펫(1)으로서 경량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흡음층(3)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0.1∼30데시텍스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0.1데시텍스 미만에서는 저주파의 소음이 흡수되기 어려워지고, 쿠션성도 저하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30데시텍스를 초과하면 고주파의 소음이 흡수되기 어려워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 중에서도 흡음층(3)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0.1∼15데시텍스의 범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흡음층(3)의 하측에는 특별히 아무것도 적층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만, 특별히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흡음층(3)의 하측에 미끄럼 방지용 수지층(예를 들면 SBR 등의 고무계 라텍스 도공층 등)을 적층 일체화한 구성을 채용해도 되고, 기타 필요에 따라서 다수층을 적층 일체화한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단지,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카펫(1) 전체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가 1∼50(㎤/㎠ ·초)의 범위로 되도록 설계할 필요가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피재층(2)의 하면에 파일 빠짐 방지용 라텍스층(10) 등을 형성해도 좋다. 다시 말해, 표피재층(2)과 접착 수지층(4)의 사이에 라텍스층(10)이 개재된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카펫(1) 전체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가 1∼50(㎤/㎠ ·초)의 범위로 되도록 설계하지 않으면 안 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카펫(1)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해서 제조할 수 있다. 우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피재(22)를, 그 적층면을 위로 한 상태로, 다시 말해 예를 들면 표피재(22)가 파일을 가지는 것인 경우에는, 이 파일면을 하측으로 한 상태로, 도면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일정 속도로 반송한다.
다음에, 상방에 배치된 스캣터(25)로부터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24)를 표피재(22) 상에 산포한다. 이 스캣터(25)는 그 하측의 산포구에 있어서, 표면에 골프 볼과 같은 딤플(오목한 부분)이 다수 형성된 롤러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딤플에 들어간 파우더를 순차로 하방으로 산포하는 장치이며, 이 스캣터(25)를 이용함으로써, 저류된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24)를 소망의 일정량으로 산포할 수 있다.
이어서, 가열 장치(26)를 이용하여, 표피재(22) 상에 산포된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24)를 가열 용융시킨 후, 그 위에 부직포(23)를 적층하면서 가압 롤(27, 27)로 가압함으로써, 표피재층(2)과 부직포 흡음층(3)이 통기성 수지층(4)을 통하여 접착 일체화된 카펫(1)을 연속 공정으로 제조한다.
한편, 상기 가압 롤(27)로서는 냉각 가압 롤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냉각 가압 롤로 가압하는 것으로 하면, 적층 직후에 강제 냉각할 수 있으므로, 용융한 파우더의 고화를 빠르게 할 수 있어서 가공 속도(생산성)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고온 상태에서의 가압에 의한, 열가소성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23)의 수축이나 표피재(22)의 파일 쓰러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24)로서는 그 입자 직경이 90∼10000㎛인 것을 이용하고, 또한 파우더(24)의 산포량을 5∼500g/㎡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 직경이 90㎛ 미만에서는 분말이 날리기 쉬워져 제조시에 있어서의 작업 환경이 저하하고, 파우더(24)가 표피재(2) 중으로 침입하기 쉬워져 양호한 상태로 접착하는 것이 어려워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입자 직경이 10000㎛을 초과하면,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24)가 용융하기 어려워 충분한 접착 강도가 얻어지기 어려워지고, 목적으로 하는 통기도 1∼50(㎤/㎠ ·초)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 산포량이 5g/㎡ 미만에서는 충분한 접착 강도가 얻어지기 어려워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산포량이 500g/㎡을 초과하면 통기성이 충분히 얻어지기 어려워지고, 목적으로 하는 통기도1∼50(㎤/㎠ ·초)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 중에서도,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24)로서 그 입자 직경이 90∼5000㎛의 것을 이용하여, 파우더(24)의 산포량을 100∼400g/㎡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24)로서는 그 멜트 플로우 레이트 값이 2∼520의 범위에 있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20을 초과하면 지나치게 침투해서 충분한 접착 강도가 얻어지기 어려워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2 미만에서는 통기성이 충분히 얻어지기 어려워지고, 목적으로 하는 통기도 1∼50(㎤/㎠ ·초)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이 멜트 플로우 레이트 값은 JIS K6924-2 1997에 기초해서 측정되는 값이다.
또, 가열 장치(26)의 가열 온도는 접착시의 열가소성 수지 자체의 온도가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24)의 융점에 대하여 10∼70℃ 높은 온도로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람직한 범위의 하한치를 밑돌면, 접착 강도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아 내구성이 저하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 바람직한 범위의 상한치를 상회하면, 표피재층(2)이나 흡음층(3) 등에 열 열화 등의 악영향을 끼치는 것이 염려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본 발명의 차량용 카펫(1)은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의 차량용 카펫(1)은 상술한 바와 같은 뛰어난 흡음 특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자동차 바닥면 형상에 맞쳐 성형된 카펫, 그 위에 까는 매트 등을 포함)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되지만, 특별히 이 용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 재료>
표피재 A: 단위 무게 120g/㎡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부직포(카펫 기재)에 나일론 섬유로 이루어지는 파일사가 터프팅된 것(파일 단위 무게 500g/㎡)
표피재 B: 니들 펀치 부직포(단위 무게 400g/㎡)
부직포 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3.3데시텍스/4.4데시텍스 = 60중량%/40중량%)로 이루어지는 두께 4㎜, 단위 무게 500g/㎡의 니들 펀치 부직포
부직포 B: 1.6데시텍스의 폴리에틸렌 섬유와 0.2데시텍스의 분할 섬유형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가 등량 혼합된 섬유로 이루어지는 두께 0.5㎜, 단위 무게 50g/㎡의 스펀본드 부직포
부직포 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6.6데시텍스/4.4데시텍스 = 70중량%/30중량%)로 이루어지는 두께 2.5㎜, 단위 무게 300g/㎡의 니들 펀치 부직포
부직포 D: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3.3데시텍스/4.4데시텍스 = 60중량%/40중량%)로 이루어지는 두께 6㎜, 단위 무게 800g/㎡의 니들 펀치 부직포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 A: 폴리에틸렌 파우더(평균 입자 직경 355㎛, 멜트 플로우 레이트 값 200, 융점 107℃)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 B: EVA 파우더(평균 입자 직경 4000㎛, 멜트 플로우 레이트 값 420, 융점 64℃)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 C: EVA 파우더(평균 입자 직경 150㎛, 멜트 플로우 레이트 값 420, 융점 64℃).
<실시예 1>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표피재 A(22)를 그 파일면을 하측으로 해서 일정 속도로 반송하면서, 스캣터(25)로부터 상기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 A(24)를 표피재 A(22) 상에 산포량 300g/㎡으로 산포하고, 이어서 가열 장치(26)에 의해 150℃에서 파우더 A(24)를 가열 용융시킨 후, 그 위에 상기 부직포 A를 적층하면서 수랭식 냉각 가압 롤(27, 27)로 가압하여, 차량용 카펫(1)을 얻었다. 이 카펫(1)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는 18(㎤/㎠ ·초)이었다.
<실시예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표피재 B(22)를 그 파일면을 하측으로 해서 일정 속도로 반송하면서, 스캣터(25)로부터 상기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 B(24)를 표피재 B(22) 상에 산포량 400g/㎡으로 산포하고, 이어서 가열 장치(26)에 의해 130℃에서 파우더 B(24)를 가열 용융시킨 후, 그 위에 상기 부직포 A를 적층하면서 수랭식 냉각 가압 롤(27, 27)로 가압하여, 차량용 카펫(1)을 얻었다. 이 카펫(1)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는 20(㎤/㎠ ·초)이었다.
<실시예 3>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표피재 B(22)를 그 파일면을 하측으로 해서 일정 속도로 반송하면서, 스캣터(25)로부터 상기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 C(24)를 표피재 B(22) 상에 산포량 50g/㎡으로 산포하고, 이어서 가열 장치(26)에 의해 120℃에서 파우더 C(24)를 가열 용융시킨 후, 그 위에 상기 부직포 B를 적층하면서 수랭식 냉각 가압 롤(27, 27)로 가압하여, 차량용 카펫(1)을 얻었다. 이 카펫(1)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는 30(㎤/㎠ ·초)이었다.
<실시예 4>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표피재 A(22)를 그 파일면을 하측으로 해서 일정 속도로 반송하면서, 스캣터(25)로부터 상기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 A(24)를 표피재 A(22) 상에 산포량 250g/㎡으로 산포하고, 이어서 가열 장치(26)에 의해 150℃에서 파우더 A(24)를 가열 용융시킨 후, 그 위에 상기 부직포 C를 적층하면서 수랭식 냉각 가압 롤(27, 27)로 가압하여, 차량용 카펫(1)을 얻었다. 이 카펫(1)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는 38(㎤/㎠ ·초)이었다.
<실시예 5>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표피재 A(22)를 그 파일면을 하측으로 해서 일정 속도로 반송하면서, 스캣터(25)로부터 상기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 A(24)를 표피재 A(22) 상에 산포량 300g/㎡으로 산포하고, 이어서 가열 장치(26)에 의해 150℃에서 파우더 A(24)를 가열 용융시킨 후, 그 위에 상기 부직포 D를 적층하면서 수랭식 냉각 가압 롤(27, 27)로 가압하여, 차량용 카펫(1)을 얻었다. 이 카펫(1)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는 8이었다.
<표 1>
<비교예 1>
상기 표피재 A를 그 파일면을 하측으로 해서 배치하고, 그 위에 400g/㎡의 폴리에틸렌 핫 멜트 필름, 부직포 A를 이 순차로 적층하여 동시에 라미네이트함으로써 차량용 카펫을 얻었다. 이 카펫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는 0(㎤/㎠ ·초)이었다.
<비교예 2>
400g/㎡의 폴리에틸렌 핫 멜트 필름 대신에, 150g/㎡의 폴리에틸렌 핫 멜트 필름을 이용한 이외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차량용 카펫을 얻었다. 이 카펫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는 0.5(㎤/㎠ ·초)이었다.
<비교예 3>
폴리에틸렌 핫 멜트 필름 대신에, 폴리에스테르제 망목 형상(네트 형상) 시트(30g/㎡)를 이용한 이외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차량용 카펫을 얻었다. 이 카펫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는 45(㎤/㎠ ·초)이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얻어진 각 카펫에 대하여 하기 평가법에 기초해서 흡음 특성, 접착 강도를 조사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흡음 특성 평가법>
ASTEM E1050의 수직 입사 흡음률 측정법에 준거해서 흡음률을 측정했다.
<정숙성 평가법>
상기 흡음 특성의 평가 결과, 1000㎐, 2000㎐의 어느 쪽에서도 매우 뛰어난 흡음 특성이 얻어진 것을 「◎」으로 하며, 뛰어난 흡음 특성이 얻어진 것을 「」으로 하며, 적어도 어느 한 쪽의 흡음 특성이 불충분한 것을 「 ×」로 했다.
<접착 강도 평가법>
표피재와 부직포 흡음층의 접착 강도가 50N 이상인 것을 「」으로 하며, 20N 이상 50N 미만인 것을 「△」 로 하며, 20N 미만인 것을 「 ×」로 했다.
<표 2>
표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5의 카펫은 표피재와 부직포 흡음층이 충분한 접착 강도로 접착됨과 더불어, 흡음 특성이 뛰어나서 충분한정숙성이 얻어진다.
이것에 대하여, 비교예 1에서는 정숙성을 확보할 수 없고, 비교예 2에서는 접착 강도가 불충분하고, 카펫의 통기도가 작아져 충분한 정숙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또, 비교예 3에서는 1∼50(㎤/㎠ ·초) 범위의 통기도가 얻어져서 충분한 정숙성이 얻어지지만, 접착 강도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아 접착 내구성이 떨어졌다.
본원은 2001년 12월 27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원 2001-396240호의 우선권 주장을 따른 것이며, 그 개시 내용은 그대로 본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이용된 용어, 표현은 설명을 위해 이용된 것이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개시되어 기술된 특징과 균등한 것까지 배제하는 것이 아니고, 청구된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의 각종 설계 변경도 허용하는 것이라고 해석되지 않으면 안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카펫(제1 발명)은 표피재층과,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흡음층이 접착 수지층을 통하여 접착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용 카펫에 있어서, 접착 수지층이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를 가열 용융함으로써 형성된 통기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카펫 전체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가 1∼50(㎤/㎠ ·초)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방측에서 침입한 소음이 접착 수지층에서 거의 반사되는 일 없이 효율적으로 접착 수지층을 통과하는 것이 되고, 이것으로 흡음층에 있어서 뛰어난 흡음 성능이 발휘되는 것이 되어서 충분한 정숙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 부설면의 하측에서 침입해 오는 소음이 커서 이를 흡음층에서 확실하게 완전히 흡음되지 못 한 경우에서도, 차 실내 공간 내로의 소음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서, 이렇게 어떠한 조건 하에서도 양호한 정숙성을 확실하게 가질 수 있게 된다.
흡음층의 두께가 0.3∼15㎜, 흡음층의 단위 무게가 10∼1000g/㎡, 흡음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가 0.1∼30데시텍스의 범위인 경우에는, 저주파로부터 고주파에 걸쳐서 폭넓은 주파수 영역의 소음을 확실하게 흡음할 수 있게 된다.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파우더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접착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어, 리사이클 특성에도 뛰어난 것이 된다.
또, 제2 발명(제조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발명의 차량용 카펫으로서 접착 강도를 보다 향상시킨 것을 생산 효율이 좋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의 입자 직경이 90∼10000㎛이며, 이 파우더의 산포량이 5∼500g/㎡인 경우에는, 제1 발명의 차량용 카펫을 확실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 값이 2∼520인 경우에는, 제1 발명의 차량용 카펫을 보다 확실히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5)

  1. 표피재층과,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흡음층이 접착 수지층을 통하여 접착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용 카펫에 있어서,
    상기 접착 수지층이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를 가열 용융함으로써 형성된 통기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카펫 전체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가 1∼50(㎤/㎠ ·초)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펫.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펫 전체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가 2∼30(㎤/㎠ ·초)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펫.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층의 두께가 0.3∼1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펫.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층의 단위 무게가 10∼1000g/㎡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펫.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가 0.1∼30데시텍스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펫.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가 0.1∼15데시텍스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펫.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층의 두께가 0.3∼15㎜, 상기 흡음층의 단위 무게가 10∼1000g/㎡, 상기 흡음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가 0.1∼30데시텍스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펫.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파우더가 이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펫.
  9. 제1항에 있어서,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으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펫.
  10. 적층면을 위로 해서 배치된 표피재의 이 적층면 상에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를 산포한 후, 이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를 가열 용융시키고, 이어서 그 위에 부직포를 적층한 상태로 가압함으로써, 표피재와 부직포를 통기성 수지층을 통하여 접착 일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펫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의 입자 직경이 90∼10000㎛이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의 산포량이 5∼5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펫의 제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의 입자 직경이 90∼5000㎛이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의 산포량이 100∼4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펫의 제조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 값이 2∼5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펫의 제조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을 냉각 가압 롤을 이용해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펫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가압 롤이 수랭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펫의 제조 방법.
KR1020020084139A 2001-12-27 2002-12-26 차량용 카펫 및 그 제조 방법 KR1009656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96240 2001-12-27
JP2001396240A JP4139593B2 (ja) 2001-12-27 2001-12-27 車輌用カーペ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7388A true KR20030057388A (ko) 2003-07-04
KR100965641B1 KR100965641B1 (ko) 2010-06-23

Family

ID=19189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4139A KR100965641B1 (ko) 2001-12-27 2002-12-26 차량용 카펫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20030152742A1 (ko)
EP (1) EP1323577B1 (ko)
JP (1) JP4139593B2 (ko)
KR (1) KR100965641B1 (ko)
CN (1) CN100400335C (ko)
DE (1) DE60233924D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825B1 (ko) * 2004-03-03 2006-03-10 주식회사 익성 차량용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832351B1 (ko) * 2007-07-18 2008-05-26 주식회사 효성 자동차용 흡음 카펫
KR100832350B1 (ko) * 2007-07-18 2008-05-26 주식회사 효성 자동차용 흡음 카펫
KR101411398B1 (ko) * 2012-11-02 2014-06-25 주식회사 부림케미칼 열가소성 파우다 부착방식 차량용 흡차음재 제조방법 및 차량용 흡차음재
KR101866287B1 (ko) * 2016-07-20 2018-06-11 박성탁 차량용 언더플로워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63498B2 (en) * 2001-12-27 2009-07-21 Suminoe Textile Co., Ltd. Carpet for vehicles
JP4139593B2 (ja) 2001-12-27 2008-08-27 住江織物株式会社 車輌用カーペ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4136457B2 (ja) * 2002-05-24 2008-08-20 住江織物株式会社 車両用カーペ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50136212A1 (en) * 2003-12-19 2005-06-23 Lear Corporation Porous interior trim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4001588B2 (ja) * 2004-04-09 2007-10-31 株式会社林技術研究所 自動車用成形敷設内装材
US20060003142A1 (en) * 2004-05-28 2006-01-05 Suminoe Textile Co., Ltd. Sound absorbing carp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6014994A (ja) * 2004-07-02 2006-01-19 Tajima Inc 空調用通風性カーペットタイ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6019491A2 (en) * 2004-07-19 2006-02-23 Barrier-Bac, Inc. Synthetic turf and method for applying adhesive
US8277882B2 (en) * 2004-09-29 2012-10-02 Garland Industries, Inc. Roofing and/or siding material and a method of forming thereof
US7291358B1 (en) 2004-09-29 2007-11-06 The Garland Company, Inc. Method of forming a prefabricated roofing or siding material
JP4681861B2 (ja) * 2004-11-29 2011-05-11 レイテック株式会社 タフテッド・パイル地
JP2006204603A (ja) * 2005-01-28 2006-08-10 Suminoe Textile Co Ltd 消臭カ−ペット
SE529385C2 (sv) * 2005-02-15 2007-07-24 Forbo Project Vinyl Ab Förfarande för golvtillverkning med termoplastiskt material
US20060240217A1 (en) * 2005-04-21 2006-10-26 Foss Manufacturing Co., Inc. Fire-retardant, lightweight aircraft carpet
US20110165810A1 (en) * 2005-04-28 2011-07-07 Masayuki Mori Fiber composi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7023403A (ja) * 2005-07-14 2007-02-01 Suminoe Textile Co Ltd 自動車用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4696819B2 (ja) * 2005-09-28 2011-06-0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フロアカーペット及び車両用フロアカーペットの製造方法
JP4394638B2 (ja) * 2005-12-15 2010-01-06 株式会社林技術研究所 自動車用成形敷設内装材
JP2007203919A (ja) * 2006-02-02 2007-08-16 Suminoe Textile Co Ltd 自動車用フロアーカーペ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70254130A1 (en) * 2006-05-01 2007-11-01 Cheek Glenn E Laminates with sound absorbing porperties
EP2011919B1 (en) * 2007-07-06 2014-03-19 Mondo S.p.A. Flooring material and methods of manufacture
FR2925133B1 (fr) * 2007-12-13 2013-06-28 Itw De France Attache de fixation d'un sur-tapis a un tapis
JP5296454B2 (ja) * 2008-08-25 2013-09-25 呉羽テック株式会社 吸音遮水マット
JP5131985B2 (ja) * 2008-11-28 2013-01-30 住江織物株式会社 通気性と止水性のあるカーペット
DE102009003473A1 (de) * 2009-02-12 2010-09-23 Fsd Folienservice Deutschland Gmbh Kaschierverfahren sowie Kaschiervorrichtung
JP2010260045A (ja) * 2009-04-09 2010-11-18 Toyota Boshoku Corp 表皮材
JP5213182B2 (ja) * 2009-06-25 2013-06-19 住江織物株式会社 軽量タイルカーペット。
US9511566B2 (en) 2011-05-13 2016-12-06 Polyglass Usa, Inc. Building construction material with high solar reflectivity
DE102012104656A1 (de) * 2012-05-30 2013-12-19 Ideal Automotive Oelsnitz Gmbh Einlegematte für Kraftfahrzeuge zum Auflegen auf eine Bodenteppichstruktur des Kraftfahrzeuges
KR101401674B1 (ko) 2012-06-04 2014-06-03 주식회사 금토일산업 자동차용 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바닥재
KR101421674B1 (ko) 2012-12-26 2014-07-30 원풍물산주식회사 자동차용 플로어 카페트
KR101446261B1 (ko) * 2013-03-12 2014-10-01 (주) 금토일산업 흡음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바닥재
FR3020781A1 (fr) * 2014-05-12 2015-11-13 Carbody Panneau d'isolation acoustique
JP2016020158A (ja) * 2014-07-14 2016-02-04 寿屋フロンテ株式会社 自動車用内装材
ITUB20152696A1 (it) * 2015-07-31 2017-01-31 Emmevi Mv S P A Tappetino antiscivolo riciclabile
WO2018075654A1 (en) * 2016-10-21 2018-04-26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Noise-absorbent and odor-adsorbent fabric cover systems for vehicle interiors
JP6889438B2 (ja) * 2017-01-11 2021-06-1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フロアカーペ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EP3354453B1 (en) * 2017-01-26 2020-09-23 Autoneum Management AG Acoustic carpet for vehicles
EP3663478A1 (de) * 2018-12-03 2020-06-10 alwitra GmbH & Co. Klaus Göbel Folienförmiger baustoff zur abdichtung von flachdächer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20220105701A1 (en) * 2019-02-14 2022-04-07 Zephyros, Inc. Cushioning flooring underlayment
WO2020180781A1 (en) * 2019-03-01 2020-09-10 Engineered Floors LLC Needle-punched structures containing recycled fibers
EP3848193A1 (en) * 2020-01-07 2021-07-14 Aladdin Manufacturing Corporation Single pass carpet-production method and carpets prepared u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0024A (en) * 1960-09-20 1964-09-22 Magee Carpet Co Method and apparatus for laminating a layer of plastic and scrim on the backing of carpet
US3150023A (en) * 1960-12-01 1964-09-22 Magee Carpet Co Method and apparatus for laminating a layer of plastic and scrim on the backing of carpet
US3503777A (en) * 1966-03-21 1970-03-31 Nat Distillers Chem Corp Backing for carpet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US3821066A (en) * 1972-12-06 1974-06-28 Tillotson Corp Carpet and method of making
DE2834468C2 (de) * 1978-08-05 1982-07-15 Fa. Carl Freudenberg, 6940 Weinheim Dreidimensional verformbarer Teppichboden
US4828898A (en) * 1985-05-03 1989-05-09 Bob Bailey Auto accessory floor mat
JPS636U (ko) * 1986-06-20 1988-01-05
JPH0550874A (ja) * 1991-08-22 1993-03-02 Kotobukiya Furonte Kk 自動車用フロアカーペツト
JPH0747557A (ja) * 1993-08-05 1995-02-21 Kotobukiya Furonte Kk 自動車フロアカーペットの製造方法
US5685637A (en) * 1995-09-08 1997-11-11 Jimmy G. Cook Dual spectrum illumination system
US5658430A (en) * 1995-11-17 1997-08-19 Burlington Industries, Inc. Carpet over carpet installation adhesive
JPH10155633A (ja) * 1996-11-29 1998-06-16 Suminoe Textile Co Ltd カーペット
EP0963475A1 (en) * 1997-02-28 1999-12-15 Shaw Industries, Inc. Carpet, carpet backings and methods
JP3342817B2 (ja) * 1997-03-04 2002-11-11 カネボウ株式会社 遮音構造体
AU2573899A (en) * 1998-02-04 1999-08-23 Mannington Mills Inc. Surface coverings containing fused recycled material and processes of making thesame
JP2000014522A (ja) * 1998-04-30 2000-01-18 Nagoya Oil Chem Co Ltd カーペットの製造方法及びカーペット
JP3422698B2 (ja) * 1998-11-27 2003-06-30 株式会社林技術研究所 自動車フロアー用構造体
WO2000052110A1 (fr) * 1999-02-26 2000-09-08 Nagoya Oilchemical Co., Ltd. Dispersion de particules d'adhesif thermofusible, feuille thermosoudable, materiau interieur, feuille textile thermoformable et tapis
CN2412790Y (zh) * 1999-12-27 2001-01-03 圣州企业股份有限公司 汽车内装用的垫物
DE50105790D1 (de) * 2000-09-09 2005-05-04 Hp Chem Pelzer Res & Dev Ltd Bodenbelag mit hoher geräuschmindernder wirkung
NL1017941C2 (nl) * 2001-04-25 2002-10-29 Dsm Nv Smeltlijmsamenstelling en werkwijze voor het maken van een textiel voortbrengsel.
WO2003053675A1 (fr) * 2001-12-20 2003-07-03 Meisei & Company, Ltd. Tapis absorbant les bruits et interceptant l'eau
JP4139593B2 (ja) 2001-12-27 2008-08-27 住江織物株式会社 車輌用カーペ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897599B2 (ja) * 2002-01-10 2007-03-28 株式会社林技術研究所 フロア敷設材
US20050136212A1 (en) * 2003-12-19 2005-06-23 Lear Corporation Porous interior trim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825B1 (ko) * 2004-03-03 2006-03-10 주식회사 익성 차량용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832351B1 (ko) * 2007-07-18 2008-05-26 주식회사 효성 자동차용 흡음 카펫
KR100832350B1 (ko) * 2007-07-18 2008-05-26 주식회사 효성 자동차용 흡음 카펫
KR101411398B1 (ko) * 2012-11-02 2014-06-25 주식회사 부림케미칼 열가소성 파우다 부착방식 차량용 흡차음재 제조방법 및 차량용 흡차음재
KR101866287B1 (ko) * 2016-07-20 2018-06-11 박성탁 차량용 언더플로워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39593B2 (ja) 2008-08-27
EP1323577A2 (en) 2003-07-02
US20050287335A1 (en) 2005-12-29
JP2002219989A (ja) 2002-08-06
CN100400335C (zh) 2008-07-09
CN1428258A (zh) 2003-07-09
DE60233924D1 (de) 2009-11-19
KR100965641B1 (ko) 2010-06-23
EP1323577B1 (en) 2009-10-07
US20030152742A1 (en) 2003-08-14
EP1323577A3 (en) 2007-10-03
US20050208261A1 (en) 200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5641B1 (ko) 차량용 카펫 및 그 제조 방법
US7563498B2 (en) Carpet for vehicles
US8574700B2 (en) Carpet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for
JP2007203919A (ja) 自動車用フロアーカーペ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40048036A1 (en) Floor mat for automobile
US7464791B2 (en) Acoustic mat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JP7159050B2 (ja) 吸音性及び不織布補強性多層
US20070254130A1 (en) Laminates with sound absorbing porperties
JP4136457B2 (ja) 車両用カーペ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60003142A1 (en) Sound absorbing carp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07041622A2 (en) Automotive carpet with noise reducing layer
JP2008162399A (ja) 吸音性置き敷きカーマット
CN107921913B (zh) 机动车用内外装件及其制造方法
KR100832350B1 (ko) 자동차용 흡음 카펫
EP1473706B1 (en) Floor laying material, piece mat, and arranging structure thereof
JP2008200288A (ja) 自動車用フロアマ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184078A (ja) 車両用吸音・遮音カーペット
KR100832351B1 (ko) 자동차용 흡음 카펫
KR200358665Y1 (ko) 흡음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갖는 차량용 카페트
JP2011031649A (ja) 車両用フロアカーペ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345363A (ja) 車両用吸音材
US20090191382A1 (en) Floor mat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JP2007276722A (ja) 吸音効果のある自動車用軽量フロアーマット
JP2008155865A (ja) 滑り防止性に優れた自動車用マット
JP4431442B2 (ja) 吸音カーペ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