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8967A - 금융자동화 기기의 잼 자동 제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금융자동화 기기의 잼 자동 제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8967A
KR20030048967A KR1020010079026A KR20010079026A KR20030048967A KR 20030048967 A KR20030048967 A KR 20030048967A KR 1020010079026 A KR1020010079026 A KR 1020010079026A KR 20010079026 A KR20010079026 A KR 20010079026A KR 20030048967 A KR20030048967 A KR 20030048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h
check
jam
transferred
bldc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2496B1 (ko
Inventor
이병목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1-0079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2496B1/ko
Publication of KR20030048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8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4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9Monitoring, auditing or diagnose of functioning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07D11/235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monitoring or 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malfunctions
    • G07D11/237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monitoring or 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malfunctions for detecting transport malfunctions, e.g. jams or misfee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 기기의 잼 자동 제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금 또는 수표가 방출될 때 그 방출되는 현금 또는 수표가 이송 벨트에서 걸리는 잼이 발생되면 현금 또는 수표를 자동으로 회수하여 잼을 제거하고 자동지급기를 정상 동작 상태로 복구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BLDC 모터(410)를 정방향으로 구동하여 현금 또는 수표 방출시 제1,제2 이송 경로(440)(450) 상에서 잼이 발생되는지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에서 잼 발생이 확인되면 BLDC 모터(410)를 간헐적으로 역방향 구동시켜 잼이 걸린 현금 또는 수표를 포함한 미방출된 현금 또는 수표를 제1 이송 경로(440) 상으로 회수하는 제2 단계와, 상기에서 미방출된 현금 또는 수표가 제1 이송 경로(440) 상으로 회수되면 게이트(480)를 절체하여 제2 이송 경로(450)를 차단하고 BLDC 모터(410)를 간헐적으로 정방향 구동시켜 미방출된 현금 또는 수표를 회수 경로(460)로 이송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에서 미방출된 현금 또는 수표의 회수가 종료되면 정상 동작 상태로 복구시키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금융자동화 기기의 잼 자동 제거 방법 및 장치{JAM AUTOMATION ELIMIN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ASH DISPENSER/AUTOMATIC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금 및 수표 자동지급기에 있어서 잼 자동 제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정보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금융기관을 찾는 고객들이 보다 신속하게 입,출금 등의 은행업무를 볼 수 있도록 현금 자동지급기가 개발되었다.
최근에는 고객이 지폐 및 수표를 선택하여 인출할 수 있도록 현금 및 수표 자동지급기가 개발되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현금 또는 수표가 2장 이상 겹친 상태로 방출되거나 이송벨트와의 마찰력에 의해 이송되지 못하는 잼(jam)이 발생하는 경우 관리자가 그 잼을 제거해주기 전까지는 자동지급기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고객이 카드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장시간 기다려야 하는 등의 불편이 발생함은 물론 자동지급기에 대한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현금 또는 수표가 방출될 때 그 방출되는 현금 또는 수표가 이송 벨트에서 걸리는 잼이 발생되면 현금 또는 수표를 자동으로 회수하여 잼을 제거하고 자동지급기를 정상 동작 상태로 복구하도록 창안한 금융자동화 기기의 잼 자동 제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있다.
도1은 일반적인 현금 자동지급기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잼 자동 제거 장치의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잼 자동 제거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현금 자동지급기의 내부 좌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410 : BLDC 모터420 : 구동 로울러
430 : 방출 로울러 440,450 : 이송 경로
460 : 회수 경로 471~474 : 감지 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금 또는 수표 방출시 잼이 발생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잼 발생이 확인되면 BLDC 모터를 간헐적으로 역방향 구동시켜 잼이 걸린 현금 또는 수표를 포함한 미방출된 현금 또는 수표를 제1 이송 경로로 회수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미방출된 현금 또는 수표가 제1 이송 경로 상으로 회수되면 게이트를 절체하여 제2 이송 경로를 차단하고 BLDC 모터를 간헐적으로 정방향 구동시켜 미방출된 현금 또는 수표를 회수 경로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에서 미방출된 현금 또는 수표의 회수가 종료되면 정상 동작 상태로 복구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금 또는 수표가 수납되어 있는 카세트로부터 방출된 현금 또는 수표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1 이송 경로와, 상기 제1 이송 경로에서 이송된 현금 또는 수표를 방출통으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 경로와, 현금 또는 수표를 회수통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회수 경로와, 상기 제1,제2 이송 경로 및 회수 경로의 구동을 위해 구동 로울러를 회전시키는 BLDC 모터와, 현금 또는 수표 인출시 상기 BLDC 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제1,제2 이송 경로를 통해 현금 또는 수표를 방출통으로 이송시키며 현금 또는 수표 이송중 잼(jam) 발생이 검출되면 상기 BLDC 모터를 간헐적으로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제2 이송 경로로부터 제1 이송 경로로 잼이 걸린 현금 또는 수표를 포함한 미방출된 현금 또는 수표를 이송시킨 후 상기 BLDC 모터를 간헐적으로 정방향으로 구동하여제1 이송 경로에 이송되어 있는 미방출된 현금 또는 수표를 회수 경로로 이송시키고 상기에서 잼이 걸린 현금 또는 수표를 포함한 미방출된 현금 또는 수표가 회수통으로 모두 이송되면 정상 동작 상태로 복구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현금 자동지급기는 도1의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중앙부에 조작 버튼(110)과, 메뉴 또는 거래 내역 표시 및 키 입력을 위한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창(120)과, 카드 삽입구(130)와, 영수증 방출구(140)와, 현금 방출구(150)와, 통장 투입구(16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현금 자동지급기는 고객이 카드삽입구(130)로 카드를 삽입한 후 표시창(120)에 표시되는 내용에 따라 조작버튼(110) 또는 상기 표시창(120)에 일체형으로 장착된 터치스크린을 눌러 거래를 진행시키고 거래 진행이 정상적으로 종료되면 현금 방출구(140)가 열려 고객이 현금 또는 수표를 인출할 수 있다.
또한, 통장 투입구(160)로 통장을 투입하여 통장 정리를 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현금 자동지급기의 내부 좌측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금 또는 수표를 수납할 수 있는 카세트 전면에 방출 로울러(430)에 의해 방출된 현금 또는 수표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1 이송 경로(440)를 이송 벨트(441)(442)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제1 이송 경로(440)로부터 분기하여현금 또는 수표를 방출하기 위한 제2 이송 경로(450)를 이송 벨트(441)(443)에 의해 형성하며 상기 제1 이송 경로(440)로부터 분기하여 잼이 발생된 현금 또는 수표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 경로(460)를 이송 벨트(442)(444)에 의해 형성한다.
또한, 이송 벨트(441~444)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동 로울러(420)를 회전시키기 위한 BLDC 모터(410)를 구비하고 제1 이송 경로(440)로부터 제2 이송 경로(450) 또는 회수 경로(460)로 현금 또는 수표를 선별 이송하기 위하여 솔레노이드에 의해 동작하는 게이트(480)를 장착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방출 로울러(430)의 전면에 방출되는 현금 또는 수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471)를 장착하고 제1 이송 경로(440) 상에서 이송되는 현금 또는 수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472)를 장착하며 제2 이송 경로(450) 상에서 이송되는 현금 또는 수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473)를 장착하며 회수 경로(460) 상에서 잼 발생 등으로 회수되는 현금 또는 수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474)를 장착하여 구성한다.
도4에서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현금 또는 수표를 수납하기 위한 카세트를 하나만을 도시하였으나, 다수개의 카세트를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2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장치의 블럭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금 또는 수표를 방출통 또는 회수통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이송벨트(441~444), 구동 로울러(420), 방출 로울러(430) 등의 다수의 로울러 및 BLDC 모터(410)를 구비한 지폐 이송부(210)와, 이 지폐 이송부(210)에 의해 제1,제2 이송 경로(440)(450) 또는 회수 경로(460) 상으로 이송되는 지폐를 감지하기 위하여 감지 센서(471~474)를 구비하는 이송지폐 감지부(220)와, 조작 버튼(110)의 눌림 감지, 표시창(120) 상의 메뉴 또는 거래 내역 표시를 제어하며 거래에 따른 현금 또는 수표를 카세트로부터 방출하도록 상기 지폐 이송부(210)에 구비된 BLDC 모터(41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킨 후 상기 이송지폐 감지부(220)에서의 감지 신호를 점검하여 이송 지폐 매수를 산출하면서 잼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잼 발생으로 판단되면 상기 BLDC 모터(410)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 현재 방출된 현금 또는 수표와 미방출된 현금 또는 수표의 매수를 산출하고 상기 BLDC 모터(410)을 역방향으로 간헐 구동시켜 잼이 걸린 현금 또는 수표를 제1 이송 경로(440)로 회수한 후 상기 BLDC 모터(410)를 정방향으로 간헐 구동하여 회수 경로(460)를 통해 잼이 걸린 현금 또는 수표를 포함한 미방출된 현금 또는 수표를 회수하고 정상 동작 상태로 복구시키는 제어부(230)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도3의 동작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객이 카드 삽입구(130)에 카드를 삽입한 후 조작 버튼(110)를 이용하여 현금/수표 인출, 인출 매수 등을 설정하면 제어부(230)는 지폐 이송부(2BLDC 모터(410)를 구동하여 구동 로울러(42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구동 로울러(420)의 회전에 따라 이송 벨트(441~444) 및 방출 로울러(430)을 포함한 다수의 로울러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카세트에 수납되어 있는 현금 또는 수표가 고객이 선택한 매수만큼 방출 로울러(430)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방출되어 이송 벨트(441)(442)에 의해 형성된 제1 이송 경로(440)를 통해 상향 이송된다.
이때, 방출 로울러(430)에 의해 카세트로부터 방출되는 현금 또는 수표는 감지 센서(471)가 감지하고 상기 제1 이송 경로(440)를 통해 이송되는 현금 또는 수표는 감지 센서(472)가 감지한다.
이후, 제1 이송 경로(440)를 통해 이송된 현금 또는 수표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회수 경로(460)를 막고 있는 게이트(480)에 의해 제2 이송 경로(450)로 이송되며 그 제2 이송 경로(450)로 이송된 현금 또는 수표는 이송 벨트(441)(443)에 의해 방출통으로 이송된다.
이때, 감지 센서(473)는 제2 이송 경로(450)로부터 방출통으로 이송되는 현금 또는 수표를 감지하여 제어부(230)로 알리게 된다.
이후, 제어부(230)는 감지 센서(471~473)의 감지 신호를 점검하여 고객이 선택한 매수만큼의 현금 또는 수표가 제1,제2 이송경로(440)(450)을 통해 방출통으로 이송되었음이 확인되면 현금 또는 수표 이송을 위한 BLDC 모터(41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카드 삽입구(130)에 삽입된 카드를 방출하면서 영수증 방출구(140)로 거래 내역이 인쇄된 영수증을 방출시킨 후 고객이 현금 또는 수표를 인출할 수 있도록 현금 방출부(150)를 열게 된다.
그런데, 카세트에 방출된 현금 또는 수표가 제1,제2 이송 경로 상으로 이송되는 중에 2장이상이 겹쳐진 상태로 이송되거나 이송벨트(441~443)와의 마찰력의 불균형 등으로 정상적으로 이송되지 못하고 상기 이송벨트(441~443)내에 걸리는 잼이 발생되면 제어부(230)는 BLDC 모터(41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현재까지 방출된 매수 및 미방출된 매수를 산출한다.
즉, 제어부(230)는 감지 센서(471~473)의 감지 신호를 연산하여 각 경로 상에서 이송되는 현금 또는 수표의 매수를 산출하고 있다가 잼이 발생되어 상기 감지 센서(471~473)가 설치된 위치에서 이송되는 현금 또는 수표가 감지되어야 할 시간에 현금 또는 수표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잼(jam)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BLDC 모터(410)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후, 제어부(230)는 BLDC 모터(410)를 간헐적으로 역회전시켜 제2 이송 경로(450)로부터 제1 이송 경로(440)로 잼이 걸린 현금 또는 수표를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제어부(230)는 BLDC 모터(410)의 간헐적 역회전에 의한 이송 벨트(441~443)가 역구동으로 잼이 걸린 현금 또는 수표를 포함한 미방출된 현금 또는 수표가 제1 이송 경로(440) 상으로 모두 이송되는지 감지 센서(473)(472)의 감지 신호를 점검하게 된다.
이후, 잼 발생으로 미방출된 현금 또는 수표가 제1 이송 경로(440) 상으로 모두 이송되었음이 확인되면 제어부(230)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게이트(480)를 절체하여 제2 이송 경로(450)를 차단하고 BLDC 모터(410)를 간헐적으로 구동하여 제1 이송 경로(440) 상의 현금 또는 수표를 회수 경로(460)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이송 벨트(441,442,444)에 의해 회수 경로(460)에서 이송되는 미방출된 현금 또는 수표의 매수는 감지 센서(474)가 감지하고 이 감지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230)가 회수통으로 이송된 현금 또는 수표의 매수를 확인하게 된다.
이후, 잼이 걸린 현금 또는 수표를 포함한 미방출된 현금 또는 수표가 현금 자동지급기 후면에 장착된 회수통에 모두 이송되면 제어부(230)는 잼이 걸리기 이전에 방출된 현금 또는 수표를 방출통 하단에 장착된 회수통으로 회수시킨 후 현금 자동지급기를 정상 상태로 재가동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현금 또는 수표가 방출 이송되는 도중에 이송 벨트에서 걸리는 잼이 발생되면 BLDC 모터를 간헐적으로 역회전시켜 잼을 제거한 후 그 잼이 발생된 현금 또는 수표를 회수통으로 자동 회수하고 현금 자동지급기를 재가동시킴으로써 원활한 금융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금융자동화 기기의 잼 제거 방법에 있어서, 현금 또는 수표 방출시 잼이 발생되는지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에서 잼 발생이 확인되면 BLDC 모터를 간헐적으로 역회전시켜 잼이 걸린 현금 또는 수표를 포함한 미방출된 현금 또는 수표를 제1 이송 경로로 회수하는 제2 단계와, 상기에서 미방출된 현금 또는 수표가 제1 이송 경로 상으로 회수되면 게이트를 절체하여 제2 이송 경로를 차단하고 BLDC 모터를 간헐적으로 정회전시켜 미방출된 현금 또는 수표를 회수 경로로 이송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에서 미방출된 현금 또는 수표의 회수가 종료되면 정상 동작 상태로 복구시키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 기기의 잼 자동 제거 방법.
  2. 현금 또는 수표가 수납되어 있는 카세트로부터 방출된 현금 또는 수표를 이송시키는 제1 이송 경로 수단과, 상기 제1 이송 경로 수단에서 이송된 현금 또는 수표를 방출통으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 경로 수단과, 현금 또는 수표를 회수통으로 이송시키는 회수 경로 수단과, 상기 제1,제2 이송 경로 수단과 회수 경로 수단을 구동시키는 BLDC 모터와, 현금 또는 수표 인출시 상기 BLDC 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하여 현금 또는 수표를 상기 제1,제2 이송 경로 수단을 통해 방출통으로 이송시키며 잼(jam) 발생이 검출되면 상기 BLDC 모터를 간헐적으로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제2 이송 경로 수단으로부터 제1 이송 경로 수단으로 잼이 걸린 현금 또는 수표를 포함한 미방출된 현금 또는 수표를 이송시킨 후 상기 BLDC 모터를 간헐적으로 정방향으로 구동하여 제1 이송 경로 수단에 이송되어 있는 미방출된 현금 또는 수표를 회수 경로 수단을 통해 회수통으로 이송시키고 상기에서 잼이 걸린 현금 또는 수표를 포함한 미방출된 현금 또는 수표가 회수통으로 모두 이송되면 정상 동작 상태로 복구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 기기의 잼 자동 제거 장치.
KR10-2001-0079026A 2001-12-13 2001-12-13 금융자동화 기기의 잼 자동 제거 방법 및 장치 KR100442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026A KR100442496B1 (ko) 2001-12-13 2001-12-13 금융자동화 기기의 잼 자동 제거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026A KR100442496B1 (ko) 2001-12-13 2001-12-13 금융자동화 기기의 잼 자동 제거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967A true KR20030048967A (ko) 2003-06-25
KR100442496B1 KR100442496B1 (ko) 2004-07-30

Family

ID=29574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026A KR100442496B1 (ko) 2001-12-13 2001-12-13 금융자동화 기기의 잼 자동 제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24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298B1 (ko) * 2006-05-16 2007-10-09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예상 복구 시간을 제공하는 금융 자동화기기 및 방법
KR100773233B1 (ko) * 2006-06-28 2007-11-0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로모듈 탈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515B1 (ko) * 2004-04-03 2010-12-1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수표이미지 처리기가 장착된 금융자동화기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9524A (ja) * 1992-10-09 1994-04-28 Oki Electric Ind Co Ltd 紙幣入出金装置
JPH08194859A (ja) * 1995-01-17 1996-07-30 Hitachi Ltd 現金自動取扱装置
JP3238059B2 (ja) * 1995-12-19 2001-12-10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硬貨送り出し装置
KR0171296B1 (ko) * 1996-07-19 1999-03-30 구자홍 현금 자동 지급기의 잼 제거 장치 및 잼 제거 방법
KR19980053115U (ko) * 1996-12-31 1998-10-07 라제훈 현금 및 수표 자동지급기용 잼 자동제거장치
JPH11306415A (ja) * 1998-04-22 1999-11-05 Oki Electric Ind Co Ltd 紙幣入出金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298B1 (ko) * 2006-05-16 2007-10-09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예상 복구 시간을 제공하는 금융 자동화기기 및 방법
KR100773233B1 (ko) * 2006-06-28 2007-11-0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로모듈 탈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2496B1 (ko) 200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6021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3965799B2 (ja) 紙幣入出金機
JP2008041030A (ja) 紙葉類取扱装置
JP5583534B2 (ja) 自動取引装置
JP5932447B2 (ja) 紙幣処理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3248972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4475972B2 (ja) 現金処理装置
JP6064791B2 (ja) 媒体繰出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KR101508339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이송 장치
KR100442496B1 (ko) 금융자동화 기기의 잼 자동 제거 방법 및 장치
US11542111B2 (en) Center de-skew subassembly to center align documents
KR20060078539A (ko) 지폐류 출금기의 낱장분리장치 및 그 방법
JP3370894B2 (ja) 紙幣鑑別装置
JP2890932B2 (ja) 紙葉類検出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用いた紙葉類取扱装置
KR20100058208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입출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590834B2 (ja) 紙幣取引装置
KR19980053115U (ko) 현금 및 수표 자동지급기용 잼 자동제거장치
KR0140461Y1 (ko) 현금 및 수표 자동지급기용 일련번호 인식장치
JPH09198544A (ja) 紙幣取扱装置
JPH11208932A (ja) 紙葉類搬送装置
JP7106904B2 (ja) 紙葉類処理装置、紙葉類処理方法、および紙葉類処理プログラム
JPH02259896A (ja) 自動現金取引装置
KR200379150Y1 (ko)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장치
KR20100079812A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0198267A (ja) 紙葉類取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