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2472A -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2472A
KR20030042472A KR10-2003-7005487A KR20037005487A KR20030042472A KR 20030042472 A KR20030042472 A KR 20030042472A KR 20037005487 A KR20037005487 A KR 20037005487A KR 20030042472 A KR20030042472 A KR 20030042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stop element
storage
stop
storag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5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할바르손브외른
막누손파트릭
스반슈트룀안더스
Original Assignee
아이알오피에이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2000151635 external-priority patent/DE10051635A1/de
Priority claimed from DE2001107311 external-priority patent/DE10107311A1/de
Priority claimed from SE0102272A external-priority patent/SE0102272D0/xx
Application filed by 아이알오피에이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아이알오피에이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30042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472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03D47/361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 D03D47/367Monitoring yarn quantity on the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3/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 B65H63/08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delivery of a measured length of material, completion of winding of a package, or filling of a receptacle
    • B65H63/088Clamping devic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Looms (AREA)
  • Forwarding And Storing Of Filamentary Material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적인 직조기(T)용의 공급 장치(F)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는 권취용 동체(W), 정지 상태의 저장 동체(K), 적어도 하나의 정지 요소(S)를 구비하며, 상기 정지 요소는 방적사(Y)를 해제시키는 권취되지 않은 위치와 가장 앞선 권취부에 적용되고 씨실이 끝나게 되는 정지 위치 사이에서 저장 동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그리고 반경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정지 요소의 상류측에 배치된 방적사 클립(C)을 구비하는데, 이것은 각각의 실을 도입시키고, 수동 위치와 클램핑 위치 사이에서 스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급 장치는 작은 직경을 가진 저장 동체(K)를 특징으로 하며, 저장 동체(K)상에서 상기 권취부의 이송 운동(B)에 의해 정지 위치까지 축방향의 방식으로 권취부(YT)에 의해서만 움직일 수 있는 정지 요소(S)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급 장치{Supply device}
이러한 유형의 공급 장치는 DE 30 32 971 C 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의 공급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유사한 공급 장치와 함께 교대로 작동된다. 특히, 공급 장치는 방적사를 선별하는(pick) 동안에 삽입된 방적사의 길이를 측정하는 경향이 있는 소위 측정 공급 장치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저장 동체내에 제공된 4 개의 반경상으로 배향된, 핀 형상의 정지 요소들은 행성 기어에 결합되는데, 이러한 행성 기어는 권취 요소의 구동 샤프트로부터 구동되어 각 정지 요소를, 권취 요소에 근접하며 저장 표면으로부터 반경상으로 떨어진 위치로부터, 권취 요소로부터 배출된 방적사의 방금 형성된 권취부 전방의 위치로, 그리고 다음에 회수된 방적사가 정지 요소에서 포획되는 정지 위치로 축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차후에, 정지 요소는 다시 반경 방향에서 권취부로부터 이격되게 변위된다. 정지 요소는 저장 동체상에서 권취부에 대한 이송 요소로서 기능하며 각 선별(pick)을 종료시킨다. 정지 요소는 선별을 시작할 수 없기 때문에, 제어된 방적사 클램프가 하류측에 제공되어서 정지 요소가 권취부로부터 변위되는 동안에 방적사를 클램프한다. 수동 위치로의 방적사 클램프의 개방 운동이 선별을 시작한다. 각 정지 요소가 동력 구동과 함께 단지 상대적으로 느리게 움직이고 그리고 동력 구동이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저장 동체는 바람직스럽지 않게 큰 직경(강한 팽창(ballooning) 효과)을 가져야만 한다. 높은 선별 주파수를 적어도 한번 더 달성하려면, 교번하여 작동하는 유사한 공급 장치가 필요하다. 방적사에 대한 기계적인 부하는 높다. 저장 동체의 큰 직경에 의해서 야기되는 기계적인 부하와 강한 팽창 효과는 잦은 방적사의 끊어짐 또는 선별의 실패를 야기하는 경향이 있으며 방적사의 회수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삽입의 지연에 이르게 된다.
EP 0 250 359 A 에는 유사한 공급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각 정지 요소는 하나의 치를 가진 기어 휘일이다. 각 치는 권취 요소의 구동 샤프트로부터 유도된 기어 휘일의 구동 운동의 결과로서 저장 표면상의 권취부들 사이에 점진적으로 밀려들어가며, 다음에 치가 정지 위치에서 선별을 종료하기 전에 권취부와 함께 전방으로 이송된다. 선별을 개시하는데 필요한 방적사 클램프는 저장 동체에 제공된다. 공급 장치내 각 정지 요소의 느린 운동에 기인하여, 그리고 공급 장치내 구동부의 커다란 장착 공간 때문에,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진 저장 동체가 상승된 선별 속도를 위하여 필요하다. 커다란 직경은 바람직스럽지 않게 강한 팽창 효과(방적사에서의 강한 기계적 부하 및, 상당한 선별 경과 시간의 지연)에 이르게 된다.
본 발명은 청구 범위 제 1 항의 전제부에 개시된 종류의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객체인 구현예는 첨부된 도면의 보조로 설명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장치의 주 구성부에 대한 사시도.
도 2 는 도 의 방적사 공급 장치를 채용한 방적사 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 은 개략적인 길이 방향 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서문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것은 섬세한 방적사 재료의 경우에 높은 선별 주파수와 높은 선별 속도에 대해서 사용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간섭 없이 작동되며, 그리고 최적의 짧은 삽입 시간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한 목적은 청구 범위 제 1 항에 의해서 달성된다.
전적으로 권취 요소의 전진 운동에 의해 정지 위치로 축방향에서 움직이는 정지 요소와 소직경 저장 동체의 조합은, 경이롭게도 높은 선별 주파수 및/또는 빠른 선별 속도의 경우에서조차도 실질적으로 간섭 없이 섬세한 방적사 재료를 가진 방적사 공급 장치를 채용할 수 있게 한다. 소직경 저장 동체는 팽창 효과 또는 방적사의 팽창부내에 중간에 저장된 운동 에너지를 각각 현저하게 감소시키며, 따라서 매우 높은 삽입 속도와 특히 짧은 삽입 시간이 방적사에 대한 과도한 부하 없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소직경의 저장 동체는 각각의 선별에 대해서 다수의 권취를 필요로 한다. 저장 동체상에서 정지 요소에 의한 권취부 운동의 기계적 간섭은 회피되어야 한다. 이러한 선행 요건은 정지 요소가 권취부에 의해 정지 위치로 전적으로 축방향으로 움직일때 이루어진다. 정지 요소가 권취부와 함께 취해지고 최소한의 기계적 저항이나 또는 심지어는 전혀 기계적 저항 없이 권취부의 전진 운동을 따르게 되며, 그러한 권취부의 전진 운동이 권취의 진행에 의해서 적절한 방식으로 발생될때, (정지 요소가 권취부에 의해서 지연될때) 정지 요소는 그러한 운동을 위한 구동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정지 위치로의 정지 요소의 축방향 운동은 외측으로부터 또는 내측으로부터 그 어떤 제어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정지 요소의 구동은 단지 권취부들 사이에서 정지 요소의 정확한 맞물림을 제어하여야 하며, 그리고 나중에 다시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에서 분리를 해제시켜야 한다. 조합이 이루어지면 이러한 특징들은 시너지(synergy) 효과를 초래하여, 높은 방적사 속도 및/또는 짧은 선별 시간 및/또는 높은 선별 주파수의 경우에 있어서조차도 높은 작동상의 신뢰성에 이르게 한다. 작은 직경의 저장 동체가 의미하는 것은, 방적사의 길이 측정 기능을 가지는 공급 장치의 통상적인 경향에 모순되는 현저하게 작은 외측 직경을 가진 저장 동체이다. 방적사의 길이 측정 기능을 가진 공급 장치에 있어서, 즉, 커다란 저장 동체는 각 선별(pick)에 대하여 저장 동체상에서 가능한한 권취부가 없도록 제공되며, 또한 저장 동체상에서 단지 축방향의 짧은 방적사 공급만을 가지도록 제공된다.
통상적인 제어된 방적사 클램프는 특정의 조건하에서 빠른 선별 속도에 대처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좋지 않을 수 있으며, 그리고 직조기 사이클에 적합화되어 선별을 정확하게 시작할 수 있을 정도로 좋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방적사 클램프에는, 소직경 저장 동체의 긍정적인 효과 및, 단지 권취부에 의해서 정지 위치로 움직이는 정지 요소의 긍정적인 효과를 보조하는 급속 개방 메카니즘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방적사 클램프는 정확하게 소정의 지점에서 시간에 대어 선별을 시작할 수 있으며, 특히 급속하게, 예를 들면 단지 수 밀리초(a few milliseconds) 이내, 또는 심지어는 보다 짧은 시간 주기안에 선별을 시작할 수 있다.
편리하게도, 저장 동체의 작은 외측 직경은 저장 표면의 원주의 곡률을 한정하는데, 이것은 자연산, 인조산 또는 혼성 방적사 재료의 고유한 특성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대응하여 강제적이 아닌 최소한의 곡률을 저장한다. 방적사 권취부들은저장 동체상에, 상대적으로 힘을 받지 않고, 이완되며, 그리고 양호한 정돈 상태로 놓이게 될 것이다. 이러한 매우 작은 외측 직경의 저장 동체로부터의 방적사의 급속한 회수는 단지 최소한의 팽창 효과에 이르게 된다. 강제적이 아닌 가장 작은 곡률을 저장하는 방적사의 고유한 특성의 결과는, 자유로운 방적사 부분이 처음에 매끄러운 표면상에서 매우 작은 루프로 굽혀지고 다음에 해제되는 때에 발견되는 특정의 굽혀진 방적사를 의미한다. 이러한 루프는 다소 팽창하지만 다음에는 잔류의 곡률을 유지한다. 이러한 잔류의 곡률은 저장 동체의 외측 직경의 치수를 정하는데 지침으로서 사용된다. 놀랍게도, 상이한 방적사의 품질들과 상이한 방적사 재료들이 거의 예외 없이 매우 유사한 강제되지 않은 잔류의 곡률을 전개시킨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그러한 이유 때문에 소직경의 저장 동체상에서 잘 처리될 수 있다.
외측 직경이 약 25 mm 내지 55 mm 인 경우에, 바람직스럽게는 단지 약 35mm 내지 40 mm 의 경우에서조차도, 높은 선별 속도에서의 팽창 효과는 바람직스럽게 약하다. (방적사에서의 원심 속도는 곡률 반경의 제곱에 비례한다). 작은 직경은 놀랍게도 적당한 에너지 입력으로써 짧은 삽입 시간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방적사가 기꺼이 쉽게 회수될 수 있게 한다. 소직경 저장 동체는 프로젝타일(projectile) 또는 래피어(rapier) 직조 기계용 공급 장치로서도 편리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소직경 저장 동체와 협동하는 회수 브레이크와 함께 작용한다. 그러한 경우에 정지 요소와 방적사 클램프가 생략될 수 있다.
외측 직경은 저장 표면의 축방향 직경이 실질적으로 외측 직경보다 클 정도로 작을 수 있다.
편리하게는, 정지 요소가 축방향에서 정지 상태로 제공된 반경상의 조절 구동부와 히지로 연결된다. 반경 방향의 조절 구동은 정확하게 시간에 맞추어서 권취 요소로부터 배출된 방금 도달하는 방적사 권취부의 전방에 정지 요소를 신뢰성 있게 맞물리게 한다. 힌지 또는 굽힘 부분은 각각 정지 요소에 대한 필요한 자유도를 제공하며 그 덕분에 정지 요소는 권취부와 함께, 그리고 그 어떤 반대의 힘이 없이 오직 저장 동체상의 권취부의 전진 운동에 의해서만 정지 위치로 오게 된다.
다음의 방적사 길이 측정 기능을 준비하도록 처음에 형성된 권취부의 전방에 정지 요소를 축방향으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축방향 조절 구동부가 채용되는데, 이는 힌지 또는 굽힘 부분의 둘레에서 움직이는 정지 요소를 복귀시키고 그리고 정지 요소 이후에는 처음에 반경상으로 해제 위치로 움직였다. 이와는 달리, 심지어는 몇개의 순차적으로 작동하는 정지 요소들이 대신에 채용될 수도 있다.
정지 위치에서 정지 요소는 축방향 정지에서 포획된다. 이러한 정지는 저장 동체내에 제공될 수 있거나 심지어는 저장 동체의 외측에 반경상으로 제공된다.
정지 요소의 정지 위치에 방적사를 포획하는 것은 방적사 덩어리의 순간적인 감속에 기인하여 바람직스럽지 못한 스트레칭(stretching) 효과 또는 채찍질(whiplash) 효과를 야기한다. 대응 조치로서 스트레칭 효과 또는 채찍질 효과를 경감/완화시키도록 정지 위치에서 정지 요소에 충격 감쇠기를 결합시키는 것이 특히 편리하다. 그러한 조치는 방적사가 끊어지는 위험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충격 감쇠기는 탄성적으로 항복함으로써 에너지를 분산시킨다. 에너지의 의미는 감속된 방적사에 의해서 정지 요소로 도입되는 것이다. 정지 요소에 대한 정지는, 에너지를 분산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면 저장 동체의 축방향, 경사 방향 또는 원주 방향중 어느 것에서든 각각 작은 이동 행정에 걸져서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움직일 수 있다. 정지 요소가 정지부에 도달하였을때 방적사가 갑작스럽게 정지하자마자 충격 감쇠 효과를 수행하기 위하여 정지 요소는 탄성적으로 그 자체에서 변형될 수 있다.
방적사 클램프에 의한 선별의 개시시에 지점을 정확하게 제어하고 미리 결정하기 위하여, 작동 솔레노이드로 방적사 클램프를 개방하고 방적사 클램프의 클램핑 요소에 대하여 특정의 공전 스트로크(idle stroke)를 작동 솔레노이드의 아마튜어에 제공하는 것이 편리하다. 작동 솔레노이드가 여기되자마자, 아마튜어는 공전 행정을 이용하여 처음에 클램핑 요소의 질량으로부터 자유롭게, 반대로 배향되는 스프링의 힘을 가속시키며, 그리고 처음으로 커다란 운동 에너지를 가속중에 구성하여, 다음에 공전 행정이 가속 및/또는 높은 운동 에너지와 함게 통과된 이후에 클램핑 요소를 갑작스럽게 수동의 위치로 변위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방적사 클램핑 개방 시간은 단지 수 밀리초 또는 심지어는 그보다 짧은 범위에 있게 도달될 수 있다.
정지 요소가 정지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가게 되는 정지 요소에서의 작동 국면에 있어서 정확한 방적사의 제어를 목적으로, 저장 동체를 향하는 방적사의 회수 방향에 실질적으로 반대로 방적사를 클램프시키는 방적사 클램프를 움직이는 것이 편리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변위 구동이 사용되는데, 예를 들면 방적사 클램프를 쉬프트(shift) 시키거나 또는 피봇시키는 스테퍼 모터를 사용한다. 방적사를 저장 동체에 유지하는 동안 방적사 클램프를 움직임으로써, 정지 위치내에 배치된 정지 요소와 방적사 클램프 사이의 방적사 부분은, 정지 요소가 정지 위치를 벗어나서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변위될때 이러한 방적사 부분에 그 어떤 현저한 스트레칭 텐션이 존재하지 않도록 완화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그러한 방적사 스트레칭 텐션은 정지 요소의 운동중에 갑작스러운 완화를 초래하여 저장 동체상의 방적사 권취부에서 혼란을 야기한다. 처음에는 정지 요소가 해제 위치로 이동한 이후에 그리고/또는 방적사 클램프가 수동의 위치로 이동한 이후에, 방적사 클램프는 다시 반대의 방향으로 복귀된다.
그러한 저장 동체의 경우에 팽창 효과가 무시될 수 있을지라도, 방적사가 클램프에 의해 포획되거나 또는 방적사 클램프의 클램프 부분내에 포획되는 운동 공간내에서, 그리고 선별의 최종 국며에서 방적사가 회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방적사 길이 측정 기능을 가진 공급 장치(F)(도 1 및, 도 2)는 정지 캐리어(carrier)(1)를 구비한다. 저장 동체(K)는 캐리어(1)에 제공된다. 저장동체(K)는 예를 들면 축방향으로 연장된 로드(3)를 가진 로드(rod)의 케이지(cage)와 유사할 수 있으며, 그것의 외측 표면은 도 1 에서 우측 단부를 향하여 테이퍼진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저장 표면(4)을 한정한다. 저장 동체의 외측 직경(D)을 변화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그리고 직조기의 직조 폭의 권취부 길이를 적합화하기 위하여, 로드들이 특정의 범위내에서 반경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반경 조절 장치(6) 로드(3)들은 발 부분(5)에 의해서 캐리어(1)에 고정된다. 저장 동체(K)의 외측 직경(D)은 저장 표면(4)의 원주 곡률을 한정하는데, 그 원주 곡률은 가장 작은 강제되지 않은 곡률을 저장하도록 자연산이나, 인조산이나 또는 혼성인 방적사 재료의 고유한 특성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예를 들면 외측 직경(D)은 단지 약 25mm 와 55 mm 의 사이의 양이다. 바람직럽게는, 외측 직경(D)이 약 35 mm 내지 40 mm 이다. 저장 표면(4)(도 2 의 L)의 축방향 길이는 외측 직경(D)의 측정치보다 길 수 있다.
권취 요소(W)는, 예를 들면 도시되지 않은 공동의 구동 샤프트에 연결된 권취 튜브인, 캐리어(1)(화살표 (2))의 외측 원주의 둘레에서 회전한다.
캐리어(1)의 저부측에서, 2 개의 로드(3)는 로드(3')에 조합되어서 정지 요소(S)에 대한 축방향 정지부(7)를 형성한다. 탄성적으로 항복되는 충격 감쇠기(G)(점선으로 표시)는 정지부(7)와 연관될 수 있다. 정지 요소(S)는 다른 위치에 제공될 수 조차 있으며 하부측에 있지 않아도 된다.
방적사 클램프(C)의 클램핑 부분(8)은 저장 동체(K)의 자유 전방단의 앞에 제공되며, 실질적으로 정지 요소(S)의 위치와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방적사클램프(C)는 바람직스럽게는 클램핑 요소(13)를 스프링(12)의 힘에 대항하여 (방적사 클램프를 개방시키는) 수동의 위치로 움직이도록 급속 개방 메카니즘(9)을 구비하며, 처음에 클램핑 부분(8)에 고정되었던 방적사(Y)는 이러한 수동의 위치에서 해제된다. 예를 들면, 작동 솔레노이드(M)의 아마튜어(A)는 화살표(14)의 방향에서 구동되어, 클램핑 요소(13)를 도 1 에 도시된 클램핑 위치로부터 수동 위치로 변위시킨다.
또한, 방적사 클램프(C)는 그 자체가 저장 동체의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전후로 움직일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면 방적사 클램프를 피봇시킴으로써 원호를 따라서(이중 화살표 11, 11") 움직일 수 있다.
도 2 의 개략적인 단면도는, 중간의 방적사 공급을 형성하기 위하여, 권취 요소(W)로부터 배출된 방적사가 저장 동체(K)의 저장 표면(4)상에서 차후의 방적사 권취부(YT)에 어떻게 감기는가를 나타낸다. 다음에 방적사(Y)는 직조 기계(T)의 삽입 장치(E)에 의해서 이러한 방적사 공급부의 밖으로 간헐적으로 회수된다. 직조기(T)는 예를 들면 공기 제트 직조기이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도 1 의 저장 동체(K)상의 방적사 권취부는 권취 요소(2)의 영구적인 권취 과정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된다. 이들은 저장 동체(K)의 전방 단부에 대한 방향에서 전방으로 이송된다 (이동 운동(B)). 이와는 달리, 도 2 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 조립체(V)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예를 들면 권취 요소(W)의 구동 샤프트에 의해서 구동되며 방적사 권취부(YT)를 서로로부터 분리하며 그리고/또는 방적사 권취부를 저장 표면의 전방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그것을 이송시킨다.
정지 요소(S)는 핀(S)인데, 이것은 힌지 또는 굽힘 부분(16)을 통하여 축방향으로 정지 상태인 반경상의 조절 구동부(17)와 연결되며, 조절 구동부는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 구동부이다. 반경상의 조절 구동부(17)는 이중 화살표(18)의 방향에서 전후로 힌지(16)를 움직이도록 디자인되는데, 특히 정지 요소(S)를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부(YT) 사이의 맞물림으로 밀어넣거나 또는 정지 요소(S)를 해제 위치로 끌어당기기 위하여 디자인되는데, 해제 위치에서는 정지 요소(S)가 권취부(YT)상에 그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실선으로 도시된 정지 요소(S)는 단지 처음에 발생된 권취부(YT)의 경로와 맞물리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권취 요소(W)의 다른 회전 운동 동안에, 영구적으로 새로운 권취부들이 형성된다. 방적사 권취부(YT)의 이송 운동(B)은 정지 요소(S)를 정지부(7)(점선으로 도시됨)에서 정지 위치로 움직인다. 핀(15)은 힌지 또는 굽힘 부분에서 자유도를 가지며, 그 덕분으로 실질적으로 대항력 없이 이송 운동(B)을 따라갈 수 있다. 선별의 끝에서 방적사(Y)는 갑작스럽게 정지 요소(S)의 정지 위치에서 더 이상의 회수에 대하여 차단된다. 선별 동안에 방적사 클램프(C)는 수동의 위치에 잔류한다. 정지부(7)는 예를 들면 7' 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저장 동체(K)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선별의 끝 이후에, 도 2 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있는 방적사 클램프(C)는 방적사 클램프(C)가 방적사를 고정하도록 클램프 위치로 가게 된다. 다음에 정지 요소(S)는 권취부와의 맞물림에서 벗어나게 변위되어서 반경상의 조절 구동부(17)에 의해 해제 위치로 변위된다.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인 축방향 구동부(19)는 해제 위치에 있는 정지 요소(S)를 다시 그것의 최초 위치로 변위시키며, 상기 최초 위치에서 정지 요소 (S)(실선으로 도시됨)는 제 1 의 전개중인 권취부의 앞에서 다시 맞물릴 수 있다. 선별이 직조 기계의 주기에 따라서 시작되자마자, 방적사 클램프(C)는 수동 위치로 조절된다. 권취 요소(W)의 더 이상의 회전 운동 덕분에, 정지 요소(S)는 권취부(T)에 의해서 정지 위치로 가져가게 되며 여기에서 나중에 선별을 중지한다.
선별의 종료 이후에 그리고 방적사 클램프(C)를 그것의 클램핑 위치로 조절한 이후에 정지 요소(S)가 정지 위치에 도달했을때, 방적사 클램프(C)와 정지 요소(S) 사이의 방적사 부분은 스트레칭되어서 유지된다 (삽입 장치(C)는 정상적으로는 방적사에서 기본적인 인장력을 구성한다). 이러한 방적사 부분의 스트레칭은 정지 요소가 해제 위치로 다시 당겨졌을때 이러한 방적사 부분의 갑작스러운 이완를 초래할 수 있다. 갑작스러운 이완은 저장 동체상에서 혼란(얽힘과 엉킴의 형성)을 야기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응 조치로서, 방적사 클램프(C)는 구동부(10)에 의해서 도 2 의 위치(11')로 움직여서, 스트레칭된 방적사 부분이 이완될 수 있고, 그리고 반면에 정지 요소(S)는 정지 위치에 있고 방적사 클램프(C)는 클램핑 위치로 각각 조절된다. 다음에 정지 요소(S)가 해제 위치로 가자 마자, 또는 방적사 클램프(C)가 수동 위치로 조절된 이후에서조차, 방적사 클램프(C)는 다시 구동부(10)에 의해서 최초의 위치로 복귀된다.
방적사 클램프(C)는 예를 들면 방적사(Y)의 운동 부위로부터 완전하게 밖으로 움직일 수 있다(도 1 에서 피봇된 위치(Q)). 이러한 기능을 위해서 분리 액튜에이터(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구동부(10)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시일딩(shielding)이 클램핑 부분(8)의 위로 움직일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편향기가 방적사 클램프(C)에 제공될 수 있어서 방적사가 포획될 수 있는 위험성을 회피한다.
도 3 에서 방적사 클램프(C)는 도 1 과 유사하게 튜브 형상의 하우징(20)을 가진다. 스프링(12)은 클램핑 표면(21)(클램핑 위치)에 대하여 클램핑 부분(8)에서 클램핑 요소(13)를 가압한다. 급속 개방 메카니즘(9)은, 도시된 클램핑 위치로부터 수동의 위치로 클램핑 요소(13)를 조절하여 방적사를 해제시키도록 스프링(12)에 대항하게끔 클램핑 요소(13)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여기시에 화살표(14)의 방향으로 아마튜어(A)를 변위시키는 솔레노이드(M)를 구비한다. 공전(idle)의 이동 스트로크(stroke, 23)에는 클램핑 위치에서 아마튜어(A)와 클램핑 요소(13) 사이에서 여기되지 않은 솔레노이드(M)가 제공된다. 솔레노이드(M)의 여기시에 아마튜어(A)는 공전 스트로크(23)를 사용하여 가능한한 강하게 가속되도록 하여 운동 에너지를 구축하고, 공전 스트로크(23)를 통과한 직후에는 클램핑 요소(13)를 커다란 힘과 함께 가능한한 급속하게 움직인다. 이러한 방식으로 방적사 클램프(C)의 개방 시간은 수 밀리초 또는 그보다 짧게 감소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M)가 여기되어 있는한, 그리고 정지 요소가 정지 위치에 도달하여 선별을 종료할때까지 아마튜어(A)는 클램핑 요소(13)를 수동의 위치에 유지한다. 다음에 솔레노이드는 에너지 공급이 중단된다. 이제 클램핑 요소(13)는 스프링(12)의 힘 아래에서 클램핑 위치로 복귀한다. 아무튜어(A)는 분리된, 예를들면 매우 약한, 복귀 스프링(22)에 의해서 최초의 위치로 복귀된다. 아마튜어(A)의 최초 위치에서 다시 공전의 스트로크(23)는 소정의 크기로 조절된다.
본 발명은 직조기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회전 구동되는 권취 요소(W);
    회수 방향에서의 이송 운동(B)으로써 저장 동체상에 이송되는 권취부(YT)로 이루어진 방적사 공급부를 중간에 저장하는 저장 표면(4)을 한정하는 정지 상태의 저장 동체(K);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그리고 방적사(Y)를 해제시키는 해제 위치와 방적사(Y)와 맞물리는 맞물림 위치 사이에서 저장 동체(K)의 외측에 반경상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핀-형상인 정지 요소(S)로서, 정지 요소(S)는 그것의 맞물림 위치에서 개별의 선별이 종료되는 정치 위치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정지 요소; 및,
    개별의 선별을 시작하는 정지 요소(S)의 하류측에 제공된 제어된 방적사 클램프(C);를 구비하고,
    (a) 소직경의 저장 동체(K) 및,
    (b) 맞물림 위치에서 권취부(YT)와 권취부(YT)의 이송 운동(B)에 의해서만 축방향으로 정지 위치에 움직이는 정지 요소(S)를 구비하는, 직조기(T)용의 방적사 길이 측정 기능을 가진 공급 장치(F).
  2. 제 1 항에 있어서,
    방적사 클램프(C)는 수동 위치와 클램핑 위치 사이에서 조절 가능하며, 방적사 클램프(C)는 급속 개방 메카니즘(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저장 동체(K)의 외측 직경(D)은 가장 작은 강제되지 않은 곡률을 저장하도록 자연산 또는 인공산 또는 혼성의 방적사 재료의 특성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원주상의 곡률을 가진 저장 표면(4)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저장 동체(K)의 외측 직경(D)은 약 25 mm 내지 55 mm 사이이며, 바람직스럽게는 약 35 mm 내지 40 m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저장 요소(S)가 그것의 저장 위치에서 방적사 차단 방식으로 저장 표면(4)과 협동하는 위치까지의 저장 표면(4)의 축방향 길이(L)는 저장 동체(K)의 외측 직경(D)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저장 요소(S)는 힌지 또는 굽힘 부분(16)을 통해서 축방향으로 정지 상태의 반경상의 조절 구동부(17)와 연결되며, 정지 요소(S)는, 정지 요소(S)의 뒤에 감긴 방적사 공급부에서 방적사(YT)의 이송 운동(B)에 의해서만 반경 방향의 조절 구동부(17)에 대하여 축방향 운동을 수행하도록 힌지 또는 굽힘 부분(16)에서 자유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해제 위치에서 정지 요소(S)는 축방향 조정 구동부(19)에 의하여 권취부(YT)의 이송 운동(B)에 반대로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바람직스럽게는 힌지 또는 굽힘 부분(16)에서의 자유도를 이용하여 각각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정지 요소(S)는 그것의 정지 위치에서 축방향 정지부(7,7')와 맞닿으며, 이것은 저장 동체(K) 또는 반경상의 저장 동체(K)의 외측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정지 요소(S)가 정지 위치에 도달하였을때 정지 요소(S)와 정지 요소(S)가 같이 작용하도록, 에너지 분산용 충격 감쇠기(G)가 바람직스럽게는 저장 동체(K)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작동 솔레노이드(M)가 방적사 클램프(C)의 급속 개방 메카니즘(9)내에 제공되고, 방적사 클램프(C)는 스프링의 힘(12)에 의해서 클래핑 위치에 유지되고, 클램핑 요소(13)는 작동 솔레노이드(M)의 아마튜어(A)에 의해서 방적사 클램프(C)의 수동 위치로 스프링의 힘(12)에 대향하여 움직일 수 있고, 그리고 작동 솔레노이드(M)에 에너지 공급이 되지 않을때 아마튜어 가속 공전 스트로크(23)는 아마튜어(A)와 클램핑 요소(13) 사이에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방적사 클램프(C)는, 바람직스럽게는 피봇 또는 선형의 변위 구동부(10)에 의해서, 저장 동체(Y)로부터의 방적사(Y)의 회수 방향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전후로 움직일 수 있으며, 그것의 변위는, 정지 요소(S)가 정지 위치에 도달하였을때 그리고 방적사 클램프(C)가 클램핑 위치로 조절되었을때 방적사 클램프(C)가 저장 동체(K)를 향하는 방향에서 조절될 수 있도록, 그리고 수동 위치가 조절된 이후에 반대의 방향으로 다시 조절될 수 있도록, 정지 요소(S)의 운동에 적어도 적합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방적사 클램프(C)는, 바람직스럽게는 변위 구동부(10)에 의해서, 일시적으로 방적사 운동 범위의 밖으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
KR10-2003-7005487A 2000-10-18 2001-10-17 공급 장치 KR200300424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0151635 DE10051635A1 (de) 2000-10-18 2000-10-18 Verfahren zum Eintragen von Schussfadenmaterial
DE10051635.1 2000-10-18
DE10107311.9 2001-02-16
DE2001107311 DE10107311A1 (de) 2001-02-16 2001-02-16 Fadengreifer
SE0102272-2 2001-06-26
SE0102272A SE0102272D0 (sv) 2001-06-26 2001-06-26 Verfahren zum eintragen von schussfäden, und fadenliefervorrichtung
PCT/EP2001/012023 WO2002033156A1 (de) 2000-10-18 2001-10-17 Liefergerä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472A true KR20030042472A (ko) 2003-05-28

Family

ID=27214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5487A KR20030042472A (ko) 2000-10-18 2001-10-17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983771B2 (ko)
EP (1) EP1327015B1 (ko)
JP (1) JP3884381B2 (ko)
KR (1) KR20030042472A (ko)
CN (1) CN1236118C (ko)
AT (1) ATE293713T1 (ko)
AU (1) AU2002218245A1 (ko)
CZ (1) CZ20031342A3 (ko)
DE (1) DE50105976D1 (ko)
WO (1) WO20020331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52604A1 (de) * 2002-11-12 2004-05-27 Iropa Ag Liefergerät
DE10252602A1 (de) * 2002-11-12 2004-05-27 Iropa Ag Liefergerät
DE10340008A1 (de) * 2003-08-29 2005-03-24 Iropa Ag Messliefergerät
DE10358283A1 (de) * 2003-12-12 2005-07-21 Iro Ab Fadenmessliefergerät
DE102004036996B3 (de) * 2004-07-30 2005-12-01 Lindauer Dornier Gmbh Duesenwebmaschine, insbesondere Luftdüsenwebmaschine, mit einer Klemmeinrichtung im Mischrohr
DE102006025968B3 (de) * 2006-06-02 2007-11-29 Lindauer Dornier Gmbh Verfahren zum Klemmen eines Schussfadens in einer Düsenwebmaschine, insbesondere Luftdüsenwebmaschine, Klemmeinrichtung und Düsenwebmaschine
EP3164707B1 (de) * 2015-03-20 2019-04-03 Uster Technologies AG Halbautomatische garnwechselvorrichtung für ein garnprüfgerät
CN106379770B (zh) * 2016-11-15 2019-04-26 湖南源崇电力建设有限公司 一种电力电线打扎机装置
CN109292523B (zh) * 2018-10-10 2020-08-25 长飞光纤光缆股份有限公司 大容量线缆智能储线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6386A (en) * 1973-04-11 1974-03-12 K Tannert Thread feeder for textile machines
NL7907093A (nl) * 1979-09-24 1981-03-26 Rueti Te Strake Bv Werkwijze voor het weven met een spoelloze weefmachine, alsmede daarbij te gebruike inslagvoorbereidingsinrich- ting.
CH670263A5 (ko) * 1986-05-23 1989-05-31 Sulzer Ag
DE3761444D1 (de) * 1986-06-16 1990-02-22 Sulzer Ag Schussfadenspeicher fuer webmaschine.
CH680863A5 (ko) * 1989-03-17 1992-11-30 Sulzer Ag
SE9303266L (sv) * 1993-09-15 1995-03-16 Iro Ab Vävmaskin med projektil-eller griparanordning samt mataranordning för inslagstråden
DE69514594T2 (de) * 1994-07-19 2000-07-06 Lgl Electronics Spa Fadenfesthalteorgan für Schussfadenspeicher für Luftwebmaschi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27015A1 (de) 2003-07-16
DE50105976D1 (de) 2005-05-25
CN1236118C (zh) 2006-01-11
AU2002218245A1 (en) 2002-04-29
WO2002033156A1 (de) 2002-04-25
US6983771B2 (en) 2006-01-10
JP3884381B2 (ja) 2007-02-21
ATE293713T1 (de) 2005-05-15
CN1469946A (zh) 2004-01-21
CZ20031342A3 (cs) 2003-08-13
EP1327015B1 (de) 2005-04-20
US20040045621A1 (en) 2004-03-11
JP2004511674A (ja) 200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4488B2 (ja) 給糸装置
JPH04245955A (ja) 織機用糸の制動装置
KR20030042472A (ko) 공급 장치
JP6621257B2 (ja) ノッタ
JPH09500426A (ja) ジェットルーム用の挿入システム
KR100557361B1 (ko) 직기 내로의 위사의 삽입을 제어하는 방법 및 위사 편향 제동 장치
US5544680A (en) Weft thread brake with rotary drive
US7197796B2 (en) Yarn withdrawal apparatus
EP2128318A1 (en) Take-up device
EP0282986A2 (en) Yarn guide device
US54233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stresses in weft yarn advancing towards a weft insertion mechanism
US20090101228A1 (en) Weaving machine, yarn feeder and method for inserting a weft yarn
JPH07508563A (ja) 緯糸供給方法および装置
US4830064A (en) Mechanical loom
EP3481980B1 (en) Weft yarn feeding arrangement with endless running belt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arrangement
CS226012B2 (en) Shuttleless weaving machine
CS215082B2 (cs) Zařízení pro pohon a brzdění útku u tkacího stroje s pevně uspořádanou zásobní cívkou útkové nitě
JP2003113556A (ja) 流体噴射式織機の緯入れ装置
JP2007538171A (ja) 織機の杼口に緯糸を挿入するキャリア
JPS6233848A (ja)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糸処理方法
JPS61179342A (ja) 織機のための糸蓄え装置とその運転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