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1954A - 패시브 매트릭스 메모리에서 판독 및 기록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패시브 매트릭스 메모리에서 판독 및 기록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1954A
KR20030041954A KR10-2003-7000189A KR20037000189A KR20030041954A KR 20030041954 A KR20030041954 A KR 20030041954A KR 20037000189 A KR20037000189 A KR 20037000189A KR 20030041954 A KR20030041954 A KR 20030041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memory
polarization
read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0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2286B1 (ko
Inventor
퍼-에릭 노르달
퍼 브룀스
매츠 조한슨
한스 구드 구데센
Original Assignee
띤 필름 일렉트로닉스 에이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띤 필름 일렉트로닉스 에이에스에이 filed Critical 띤 필름 일렉트로닉스 에이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30041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2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2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ferroelectr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Dram (AREA)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Read Only Memory (AREA)
  • Shift Register Type Memory (AREA)

Abstract

분극 잔류자기성을 나타내는 전기적으로 분극가능한 재료, 특히 일렉트릿 또는 강유전체 재료를 포함하는 메모리 셀의 패시브 매트릭스 어드레스 메모리 어레이에서 판독 및 기록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메모리 셀에 저장된 논리 값은 메모리 셀에서의 실제 분극 상태에 의해 표시되며, 분극가능한 재료에서의 분극도는 각각의 판독 및 기록 주기 동안 판독 및 기록 동작을 제어하는 회로 장치에 의해 정의되는 값으로 제한되며, 상기 값은 메모리 셀의 논리 상태의 신뢰성있는 검출을 위해 예정된 기준과 일치하며, 0으로부터 분극 포화상태에 해당하는 상한 범위 사이에 있다.
분극 잔류자기성을 나타내는 전기적으로 분극가능한 재료, 특히 강유전체 재료를 포함하는 메모리 셀을 포함하고 패시브 매트릭스 어드레스 메모리 어레이를 포함하는 장치에서 기록 및 판독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장치는 상기 판독 및 기록 동작을 제어하는 회로에 의해 정의된 값으로 각각의 판독 및 기록 주기 동안 분극가능한 재료에서의 분극 변화도를 제한하기 위해 메모리 셀을 어드레싱하기 위한 인가 전압을 조절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패시브 매트릭스 메모리에서 판독 및 기록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A METHOD FOR PERFORMING WRITE AND READ OPERATIONS IN A PASSIVE MATRIX MEMORY,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강유전체 박막에 기초한 메모리 장치는 현재 실제 장치에서 실시가 가능한 완성 단계에 도달했다. 장치 아키텍처의 2가지 주요한 형태는 저장된 데이터의 액티브 또는 패시브 매트릭스 어드레싱과 관련된다.
액티브 매트릭스 어드레스 아키텍처에서, 각각의 비트는 관련된 전용 마이크로회로를 갖는 강유전체로 채워진 캐패시터 구조로 이루어진 메모리 셀에 저장된다. 전형적으로 강유전체 재료는 정보의 비트를 나타내는 2개의 안정한 상태중 하나에서 분극된다. 메모리 장치는 도체 매트릭스에 배열된 다수의 셀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장치에서 사용되는 강유전체 재료는 무기 세라믹으로, 예를 들어, 페롭스카이트가 사용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주요한 것중 하나인 패시브 매트릭스 어드레스 아키텍처에서, 박막 강유전체 재료는 캐패시터형 구조가 교차 전극 사이의 각각의 오버랩 영역에 형성되도록 전극의 2개 직교 세트 사이에 샌드위치된다. 기초 메모리 셀을 구성하는 캐패시터 구조에서의 분극 상태로서 비트가 저장된다. 각각의 셀과 관련하여 어떠한 액티브 회로도 수반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패시브 매트릭스 어드레싱이라 한다. 이러한 아키텍처는 일반적으로 특정 이력 현상을 갖는 강유전체에 의존하며, 현재 유기성에 기초한 소수의 강유전체만이 실제 유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반적으로 판독 필드 방향을 따라 메모리 셀에서의 분극 정렬을 야기시키는전계를 부가함으로써 정보가 파괴적으로 판독된다.
다양한 분야에 있어, 분극가능한 재료가 반복된 분극 반전을 거쳐 결국 피로해지게 되도록, 주어진 메모리 셀에서 여러 번 판독/기록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로는 메모리 장치에서 매우 바람직하지 않은, 증가된 항전계(coercive field), 낮은 잔류 분극 및 느린 스위칭으로서 대부분 상이한 방식으로 자체 표시된다. 복잡한 또다른 현상으로 판독 프로세스가 임프린트된다(imprint). 셀이 연장된 시간 주기 동안 동일한 분극 상태(즉, 논리 상태)로 이동하면, 다른 분극 방향으로 셀을 이동시키고 상태를 스위치시키기 위해 오랜 시간 동안 구동 전압이 증가 및/또는 인가되는 상태로 "동결(frozen)"되는 경향을 나타낼 수 있다.
고정된 길이의 판독 펄스를 사용하는 종래 기술의 프로토콜은 피로 및/또는 임프린트로 인해 나타나는 셀 스위칭 속도 및 분극 응답에 대한 넓은 스프레드(spread)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펄스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처리될 수 있도록 높은 전압 및 긴 펄스 기간을 갖어야 한다. 이는 몇가지 이유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높은 전압은 고가의 비용 및 보다 많은 공간을 요구하는 구동 회로, 보다 많은 전력 소모 및 혼선의 증가를 의미한다. 긴 펄스는 낮은 데이터 액서스 및 낮은 전송 속도를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높은 전압에서 긴 펄스의 사용은 셀이 초기 또는 단지 적절히 피로화된 셀에서도 피로가 가속되게 한다.
본 발명은 분극 잔류자기성(polarization remanence)을 나타내는 전기적으로 분극가능한 재료, 특히 일렉트릿(electret) 또는 강유전체 재료를 포함하는 메모리 셀의 패시브 매트릭스-어드레스 메모리 어레이에서 판독 및 기록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메모리 셀에 저장된 논리값은 메모리 셀에서의 실제 분극 상태에 의해 표시되며 어레이의 메모리 셀을 어드레스하기 위해 워드 및 비트 라인으로의 인가 전압에 응답하여 셀로 또는 셀로부터 전하 흐름을 검출함으로써 결정되고, 특히 전하 흐름 검출은 상기 분극가능한 재료에서의 분극 변화에 의해 야기된 전하 흐름 성분의 검출에 기초하며, 판독 및 기록 동작은 제어 회로 장치의 제어 하에서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분극 잔류자기성을 나타내는 전기적으로 분극가능한 재료, 특히 강유전체 재료를 포함하는 메모리 셀의 적어도 하나의 패시브 매트릭스 어드레스 메모리 어레이를 포함하며, 메모리 셀에 저장된 논리값은 각각이 개별적으로 선택가능한 메모리 셀에서의 분극 상태에 의해 표시되며 어레이의 메모리 셀을 어드레스하기 위해 워드 및 비트 라인으로의 인가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셀로 또는 상기메모리 셀로부터 전하를 검출함으로써 결정되고, 특히 상기 전하 흐름 검출은 상기 분극가능한 재료에서 분극 변화에 의해 야기된 전하 흐름 성분에 기초한다.
도 1a는 강유전체 재료에 대한 일반적인 분극 이력현상 곡선을 나타내는 도면,
도 1b는 패시브 매트릭스 구성에서 워드 라인 및 비트 라인에 연결된 개략적 메모리 셀을 나타내는 도면,
도 2a 및 2b는 초기 및 피로화된 상태에서 강유전체 재료를 포함하는 테스트셀에서 분극의 각각 낮고 높은 일시적 해상도에서 스텝 응답 시간 전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셀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회로의 개략도.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전기적으로 분극가능한 재료, 특히 강유전체에 기초한 메모리 장치에서 판독 및 기록 데이터에 대한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피로를 형성하는 경향이 적고, 빠른 데이터 속도를 산출하고 현재의 방법보다 구동 회로의 요구사항이 적은 방법에 의해 분극이 측정되고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장점 및 특징 뿐만 아니라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방법은 각각의 판독 및 기록 주기동안 분극가능한 재료에서 분극 정도를 기록 및 판독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 장치에 의해 정의된 값으로 제한하고, 기록 및 판독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값은 0보다 크고 분극의 포화상태에 해당하는 상한 범위에 있고 메모리 셀의 논리 상태의 신뢰성있는 검출을 위해 예정된 기준치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메모리 셀에 저장된 논리 값은 1개 이상의 전압 펄스의 인가에 의해 결정되며, 제어 회로 장치에 의해 특성이 제어된다.
이와 관련하여, 피로 및 임프린트 유도 요인에 메모리 셀의 기록된 노출과 관련하여 메모리에 대한 어드레싱 히스토리 및/또는 매트릭스에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셀 또는 쌍의 메모리 셀로부터의 습득 전하 응답 정보를 설정하고, 전압 펄스 또는 펄스들의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 예정된 검출 기준 및/또는 습득된 전하 응답 정보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어드레싱 히스토리는 특정 메모리 셀 또는 특정 메모리 셀의 그룹에 축적된 판독 및/또는 기록 주기 및/또는 임프린팅 시간을 포함하거나, 또는 전하 응답 정보는 메모리 셀의 이전에 기록된 전하 응답 특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하 응답 정보는 매트릭스에서 적어도 한쌍의 기존 셀로부터 습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 쌍에서 하나의 셀은 논리 0을 다른 하나는 논리 1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제어 회로 장치는 상기 기준 셀 또는 어드레스된 메모리 셀로부터 기록된 전하 응답에 대한 임의의 규칙적인 노이즈 컨트리뷰션(contribution)의 연속적 또는 주기적 분석을 수행하고, 판독/기록 프로토콜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으로의 입력 데이터로서 상기 분석 결과를 사용한다. 또한 노이즈 공헌의 상기 분석은 알려져 있는 논리 상태의 셀, 및 여러 번 어드레스되는 단일 셀 및/또는 유사하나 물리적으로는 상이한 메모리 셀 세트로부터 기록된 전하 응답의 통계학적인 스프레드(spread)에 기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에서, 제어 기준은 전하 응답 정보에 기초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전압 펄스 또는 펄스들은 가변 길이의 스텝 전압 펄스이고, 상기 길이는 상기 회로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고/또는 상기 회로 제어 장치는 메모리 장치의 수명 동안 다양한 시간 포인트에서 각각 논리 "0" 및 논리 "1"을 나타내는 셀에서의 전하 응답의 안정기 값(σSATURATION및 σBACKGROUND)을 기록하며/또는 상기 제어 회로는 크기가 σTH=(σSATURATION+ σBACKGROUND)/2인 상기 매트릭스의 상기 셀에 논리 상태에 대한 결정을 위해 쓰레솔드 값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 장치는 메모리 셀에서 무작위로 선택된 위치에서 선택된 메모리 셀의 그룹으로부터의 전하 응답 정보를 사용한다.
다른 장점 및 특징 뿐만 아니라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장치는 각각 판독 및 기록 주기 동안 상기 분극가능한 재료에서의 분그 변화도를 제한하기 위해 인가 전압을 상기 기록 및 판독 동작을 제어하는 회로에 의해 정의된 값으로 조절하는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값은 0에서 분극의 포화상태에 해당하는 상한 범위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메모리 어레이는 알려져 있는 논리 상태를 갖는 기준 셀을 포함하며, 기준 셀은 하나는 논리 "0"을 나타내고 다른 하나는 논리 "1"을 나타내는 쌍으로 국부적으로 배열되거나, 또는 기준 셀은 어레이 전체에 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든 경우에,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기준 셀 사이에 선택된 셀은 분극 히스토리의 동일한 패턴에 노출되고 이벤트를 스위칭함으로써, 이벤트의 동일한 패턴에 노출됨으로써, 상기 어레이에서 메모리 셀의 특정화된 그룹의 피로 및 임프린트 현상을 추적하기 위해 할당되며, 메모리 셀 그룹은 어레이에서 1개 이상의 워드 라인 또는 비트 라인 상에 국부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예의 특정 예를 구현하기 이전에, 본 발명의 실현에 관련된 일반적인 배경 및 일반적인 물리적 원리의 간략한 개념을 설명한다.
도 1은 강유전체 메모리 셀의 분극 응답, 즉, 논리 "0" 또는 "1" 상태를 정의하는 일반적인 분극 곡선을 나타내며, 이하 설명의 배경을 제공한다.
도 1a를 참조로, 판독되는 메모리 셀은 초기에 전계가 인가되지 않은 정지 상태에 존재하고, 셀의 강유전체 재료는 셀에 할당된 논리 상태에 따라, 분극 축을 따라 위치(+PR또는 -PR)에 의해 특징화되는 분극 상태에 있다고 가정한다. 종래 기술에 따라, 셀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판독 동작은 전압(+VSWITCH)으로 셀에 대한 판독 펄스의 인가를 수반할 것이다. 후자의 전압은, 포화영역으로, 즉, 폐쇄된 거의 선형인 이력현상 곡선 영역으로 메모리 재료를 충분히 구동시키는 마진(margin)에 의해, 메모리 재료에서의 항전계에 해당하는 전압(Vc)을 초과한다. 이전에 셀이 +PR상태에 존재하는 경우, 작은 전하만이 셀로/셀로부터 흐르고, 이전처럼 셀은 +PR상태에 남게된다. 도 1a에서, 이러한 작은 전하 흐름은 P^으로 표시된다. 그러나, 초기에 셀이 -PR상태에 존재하는 경우, 분극은 셀과 전극 사이의 부수적인 심각한 전하 이동으로 반전될 것이다. 도 1a에서, 이러한 전하 흐름은 P*로 표시된다. 따라서, 이동된 전하량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셀의 논리 상태가 결정된다. 이러한 방법은 셀의 메모리 성분을 파괴시키기 때문에, 메모리 장치에서 동일한 또는 다른 선택된 셀에 개별 펄스 주기가 적용되어야 하며, 셀의 논리 상태는 판독되는 셀의 오리지널(예비-판독) 값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은 이력현상 또는 잔류자기성을 나타내는 전기적으로 분극가능한 모든 재료에 일반적으로 적용가능하지만, 명확하고 간략한 설명을 위해 이하에서는 패시브 매트릭스 어드레싱 구조에서 사용되는 강유전체 물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라, 주어진 메모리 셀의 전류 흐름은 판독 동작 동안 분극 변화가 포화상태의 분극 크기보다 작지만, 셀의 논리 상태에 대해 결정하기는 충분하게 제어된다. 일반적으로, 스텝 전압은 문제의 메모리 셀에 인가되며, 셀에서의 분극 응답은 셀로의 이송 전류를 통해 모니터된다. 전압은 a) 일정한 전하 축적 시간이 경과했을 때, 또는 b) 일정한 축적 전하가 검출되었을 때 턴오프된다.
이는 스위치가능한 분극의 일부만이 스위치되는 시간에서의 포인트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강유전체 재료는 피로를 덜 유도하는 부분적 분극 반전만을 거친다.
-각각의 판독 이벤트는 단지 부분적으로 파괴되기 때문에, 주어진 셀은 데이터의 재저장이 요구되기 이전에 몇 개의 판독치를 보유할 수 있다.
-초기의 결정은 논리 상태, 판독 프로세스의 가속과 관련하여 설정될 수 있다.
-판독 동작으로 인한 분극 손실의 복구("재 기록(write-back)")는 각각의 판독 후에 또는 몇가지 판독 후에 복구가 이루어지는지와 상관없이, 비트 판독 당 전하 이동이 상당히 덜 요구된다는 몇가지 장점이 실현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의 중요한 요소는 판독 모드에서 전하 축적 시간의 정확한 선택이다. 주어진 셀에 대해, 이러한 시간은 일반적으로 셀이 피로해짐에 따라 증가하여, 판독 펄싱 프로토콜을 조절하는 것이 요구된다. 축적 시간을 정의하는 예비 또는 모니터링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비 모드에서, 축적 시간은 장치의 사용 기록에 따른 데이터로부터 피로도를 측정하는 프로그램에 따라 조절된다. 이는 셀-대-셀 및 장치-대-장치 제조 톨러런스 뿐만 아니라, 온도 히스토리와 같은 피로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모두 중요한 파라미터를 고려한 에러 마진을 포함해야 한다.
모니터링 모드에서, 셀 응답의 전개(스위칭 속도)는 장치의 수명 동안 모니터되고, 결과는 펄싱(pulsing) 프로토콜, 특히 전하 축적 시간을 조절하도록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자기진단(self-diagnostic) 방법은 메모리 셀의 조건 및 시간 전개가 기준 셀에 의해 연속적으로 모니터되는 경우, 메모리 셀 자신들과 거의 매치되는 환경 및 동작 조건을 겪게된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배경의 상기 설명에서, 전하 이동은 각각의 판독 또는 기록 주기내에서 거의 완료되며, 판독/기록 프로세스의 동적인 면은 무시된다고 가정한다. 수반되는 강유전체에 따라, 분극 반전의 속도는 유기 또는 폴리머 타입보다 빠른 크기의 차수로 무기 강유전체를 스위칭하여 넓은 범위내에서 변형가능하다. 종래 기술은 전체 스위칭 시간에 제일 중점을 두어 무기 강유전체 상에 집중된 큰 범위에 있는 반면, 순간 스위칭 항목은 기록/판독 동작에서 가능한 익스플로이테이션(exploitation)과 관련하여 거의 또는 전혀 주의할 필요가 없다. 무기성 대응부(counterpart) 보다 상당히 스위치가 느린 무기성 및 중합 강유전체를 사용하는 메모리 장치의 출현으로, 동특성(dynamic behaviour)은 전체 장치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동시에, 시간 스케일은 길고 과도 상(teansient phase) 동안 중재되기 쉽기 때문에, 느린 스위칭은 새로운 판독/기록 도를 제공한다.
도 2a 및 도 2b는 중합 강유전체를 포함하는 메모리 셀에 대한 동적 응답을 나타낸다. 셀은 스텝 전압(Vs=20V)을 받고, 시간 전개(evolution)는 누적 전하 밀도(σ) 즉, 스텝 펄스의 초기 이후, 강유전체와 전극 사이의 인터페이스의 단위 면적당 이송된 전하에 대해 기록된다. 2세트의 곡선이 도시된다. 제 1 세트에서, 각 도면에서의 상부 3개의 곡선은, 셀이 전하의 큰 이동으로 분극이 반전되어, 논리 상태 "1"에서 논리 상태 "0"으로 스위치되는 것을 나타낸다. 제 2 세트에서, 각 도면에서 하부 3개로 가깝게 그룹을 이룬 곡선은 스텝 전압이 인가되기 이전에 셀이 이미 논리 상태 "0"에 있는 것을 나타내며, 작은 유전체 변위 전하 응답만이 관찰된다. 각각의 곡선 세트는 셀이 초기 상태, 즉 피로가 없는 상태에 있거나,각각의 주기에서 완벽한 분극 반전을 수반하는 106내지 107판독/리프레시 주기에 대해 피로가 관찰되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시된 것처럼, 0을 향하는, 즉, 전하 밀도(σ)가 급격히 0으로부터 증가하여 안정기에 도달하는 전류에서의 감소 징조에 의해 초기에 전류 서지(surge)가 나타난다. 스위칭 경우(즉, 논리 상태 "1"-> "0") 보다 비스위칭 경우(즉, 논리 상태 "0" -> "0")에 과도전류(transient)가 상당히 빠르고, 전류 밀도(σ)에 대한 점근적(asympotic) 값은 후자(σSATURATION) 보다 전자의 경우(σBACKGROUND)에서 낮다. 피로도는 낮은 안정기 값(σSATURATION)(즉, 낮은 PR) 및 느린 과도전류로서 자체 표시되고, 이는 스위칭 경우에 가장 두드러진다. 새로운 셀에서 50%의 최대 분극에 도달하는 시간은 ~1㎲이지만, 피로화된 셀에 대해서는 10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 판독은 전압 펄스, 전형적으로 전압 스텝을 인가하고, 전하 밀도(σ)가 펄스가 개시된 이후 시간의 일부 포인트에서 정의된 쓰레숄드를 초과하는지 여부가 검출됨으로써 수행된다. 이러한 쓰레숄드는 셀이 초기에 "0" 논리 상태에 있는 경우 오래 지연된 후에도 도달하지 못하나, 셀이 초기에 "1" 논리 상태에 있는 경우는 초과한다. 후자의 경우, 메모리 셀에 대한 판독 펄스 저압은 상기 레벨에 도달하자마자 제거된다.
이는 이하의 예로 설명할 수 있다. 문제의 장치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특성을 갖는 개개의 메모리 셀을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도시된 것처럼, "0" 상태에서의 셀에 대해, 축적된 이송 전하는 사실상 변하지 않고 유지되는 포인트로부터약 σBACKGROUND= 2μC/㎠로 급격히( 0.5㎲ 이하) 상승한다. 그러나, "1" 상태에 있는 셀에 대해, 축적된 이송 전하는 새로운 셀의 경우 약 8㎲ 이후 약 σSATURATION=8.5μC/㎠에 이르는 포인트 이후 급격히 상승하여 지속된다. 피로화된 셀에 대해, 이러한 상승은 덜 급격하며 최종 값보다 낮지만, "0" 상태에서 셀과의 차이는 명백하다.
판단 기준으로서, 판독 펄스의 초기 이후 일부 시간(τTH)에서 σ가 임의의 쓰레숄드, 즉, σ≥σTH= 7μC/㎠를 초과하는 경우, 셀이 "1" 상태에 있는 것으로 정의된다는 것으로 규정될 수 있다. 이러한 쓰레숄드는 σBACKGROUND= 2μC/㎠인 경우에, "0" 상태에서 초기에 셀에 의해 도달하는 최대 값 이상에서 선택된다. 도 2b로부터, "1" 상태로부터 σTH에 도달하기 위한 전하 축적 시간(τTH)은 초기 셀에 대해 약 4㎲이고, 피로화된 셀의 106시간에 대해서는 8㎲이고 피로화된 셀 107주기에 대해서는 80-100㎲이라는 것이 관찰된다. 완전한 스위칭 및 고정된 전하 축적 시간에 따른 종래 기술에 따라, 후자는 최악의 경우, 즉, 피로화된 셀을 갖는 경우 스위칭 과도현상의 완성을 허용하기 위해 상당히 길게 정의된다. 따라서, 판독 펄스는 1㎲ 보다 50-100㎲ 범위에서 선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판독 펄스는 축적된 전하 밀도가 쓰레숄드 값(σTH)에 도달하는 경우 중단되며, 논리 상태 "1"이 셀에 할당된다. 상기 쓰레숄드가 임의의 정의된 시간 동안(τ>>τTH)에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문제의 셀은 논리 상태 "0"에 할당된다.
상기 설명은 판독 펄스가 셀의 응답이 피로로 인해 느려짐에 따라 자동적으로 연장되며, 항상 가능한 짧게 유지되며 정의된 쓰레숄드 기준과 일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한다 :
-첫째, 종래의 완전한 스위칭 방법을 능가하는 판독 속도를 얻는다.
-둘째, 데이터가 동일한 셀에 다시 기록되는 경우, 분극 반전이 덜 이루어지며, 재기록 주기는 판독 주기와 같은 주기로 단축될 수 있다. 임프린트 효과(즉, 일부 시간 동안 남아있는 논리 상태로 고정되려하는 셀의 강유전체 재료에 대한 경향)는 재료 및 동작 조건에 따라, 재기록 시간을 보다 단축시킬 수 있다.
-셋째, 분극 스위칭 및 전계 노출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전체 스위칭 방법에서 보다 피로는 상당히 느리게 진전된다. 중합 유전체와 관련된 장치의 테스트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판독이 전체 분극 반전을 사용하는 종래 기술의 스위칭 프로토콜에 비해 몇배의 크기 차수 만큼 피로 저항(즉, 허용가능한 신뢰도로 판독/재기록 주기의 수)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증명한다.
-넷째, 각각의 재기록 주기 사이에서 다수의 판독 주기는 σSATURATION>> σBACKGROUND인 경우에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 즉 메모리 셀 응답의 자체 진단 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설명된 것처럼, 전하 축적 시간은 셀 피로도에 따라 증가된다. 바람직하게, 메모리 장치에서 각각의 셀은 상기 셀에 대해 최적으로 조절된 판독 펄스 길이로 판독된다. 이는, 응답 특성이 제조 톨러런스 및 피로/임프린트 히스토리로 인해 셀에서 셀로 변화되기 때문에 어렵다. 특히 후자는 피로 및 임프린트 개별 셀에 의해 실험된 다수의 판독/기록 주기에만 관련될 뿐만 아니라, 전압 스트레스(진폭/극성/기간) 및 셀의 수명동안 셀에 의해 실험된 온도와 같은 다른 요인의 조합 효과와 관련되기 때문에, 초과시간을 전개하는 셀대 셀 변화가 매우 커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펄스 조절을 판독하기 위한 예시적 방법은 상대적으로 복잡하며, 시간 및 용도가 증가하는 셀 특성의 스프레드(spread)를 허용한다. 택일적으로, 셀에 대한 축적 피로도의 추적을 유지하기 위해 장치에 전용 리소스를 할당해야 한다. 이러한 태스크는 유사한 피로 히스토리를 갖는 셀이 그룹 또는 블록으로 확인될 수 있는도록 장치에 전체 메모리 셀 사이에서 마모성(wear)을 분포시키는 프로토콜에 의해 단순화될 수 있다.
모니터링, 또는 자체 진단 방법은 대부분의 경우에서 바람직하다. 기본 원리는 도 3을 참조로 이하 설명되는 것처럼 예시될 수 있다. 메모리 셀의 각각의 로우 또는 클러스트에 대해, 2개의 기준 셀이 사용되며, 하나는 "1" 상태에서의 분극된 것을, 그리고 다른 하는 "0" 상태에서 분극된 것이다. 이들 2개의 셀은 피로 유도 작용, 특히 메모리 셀의 로우 또는 클러스트를 나타내며 이들에게 할당되는 분극 스위칭에 노출된다. 기준 셀을 사용하는 판독 동작의 2개의 모드를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i) 메모리 장치가 동작하는 수명 동안, 기준 셀은 쓰레숄드값(σTH)을 정의하고, 저장하고 갱신하는 σSATURATION및 σBACKGROUND의 현상을 추적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상태의 셀에 대한 σTH에 도달하도록 관련 전하 축적 시간(τTH)을 설정한다. 판독 주기 동안 메모리 셀로부터의 신호가 시간(τTH)에서 쓰레숄드 레벨(σTH)과 비교되며, 셀의 논리 상태가 결정된다. 이러한 방법하에서 실시예중 하나에서, 평균값은 쓰레숄드 레벨로서 사용된다, 즉, σTH= (σSATURATION+ σBACKGROUND)/2.
이러한 모드는 기준 셀을 포화상태로 구동시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들은 개별 샘플 주기 또는 연장된 판독 펄스를 수반하는 판독 주기에서, 전형적으로 주기적으로 샘플처리된다.
ii) 각각의 판독 동작 동안, "0" 및 "1" 기준 셀은 판독 펄스에 제공되고, 각각에 이송된 각각의 전하 밀도(σ0(τ) 및 σ1(τ))는 판독 펄스의 초기 이후에 경과된 시간(τ)의 함수로서 모니터된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시간에 따른 2개의 증가치 사이의 차이(σ0(τ) - σ1(τ))는 0에서 시작하여 σSATURATION- σBACKGROUND값에 결국 도달한다. 일부 시간(τTH)에서 상기 차이는 노이즈의 존재 및 셀대 셀 변화에서 쉽게 검출될 수 있는 일정 레벨에 도달하며, 이는 판독 펄스 시간에서 종결되며 기준 셀과 관련된 메모리 셀의 로우 또는 클러스트의 감지 증폭기가 판독된다. 기록된 값(σ0TH) 및 σ1TH))은 논리 상태 결정 프로세스에 대한 입력 파라미터로서 상기 포인트에서 이용가능하다.
상기 i) 및 ii)의 경우에서, 판독 펄스 길이(τTH)는 셀 피로도에 따라 자동적으로 증가하며, 동시에 짧게 유지되며, 임의의 예비정의된 검출 또는 식별 기준과 일치한다. 후자는 장치의 사용 용도에 따라 상이한 신뢰도에 맞게 선택될 수 있다.
i) 및 ii)의 경우, 다음과 같은 상이한 장점 및 단점이 제공된다.
i)의 경우
장점 : 파라미터(σSATURATION및 σBACKGROUND)의 전개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를 얻는다.
단점 : 개별 펄스 주기가 요구된다.
ii)의 경우
장점 : 개별 펄스 주기 없이 수행가능하며(그러나, 기준 셀은 판독 주기의 초기에서 정확한 논리 상태에 있어야 한다) 기준 셀에 대표적인 펄스 피로를 부과한다.
단점 : 실시간 쓰레숄드/식별 파라미터를 발생시킬 수 있는 회로가 요구된다. "단일 샷(single shot)" 사용할 때, 즉, 문제의 클러스터 또는 셀 로우의 데이터가 단지 한번에 또는 긴 간격에서 판독될 때, 본 모드에서 구동되는 식별 파라미터는 포획된 단일 샘플링 이벤트에서의 전체 노이즈를 반영한다.
기준 셀을 사용하는 판독 회로의 물리적 실시는 다양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알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기본적 방법은 상기 설명된 i) 및 ii) 동작 모드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기준 셀은 2개의 전용 수직 어드레싱 라인("비트 라인들")에 위치되며, 하나는 "0" 셀이고 다른 하나는 "1"셀이다. 판독 주기에서, 시간에서 수평 라인("워드 라인")은 판독 펄스에 제공되며, 어드레스된 수평 라인 및 교차되는 수직 라인 사이의 교차점에서 셀로 흐르는 전하는 매트릭스의 하부에 도시된 회로에 의해 모니터된다. 따라서, 각각의 주어진 수평 라인상의 메모리 셀은 동일한 라인 상에서 기준 셀 쌍과 관련된다.
물론, 기준 셀을 갖는 보다 많은 비트 라인이 전체 메모리 매트릭스에 대해 간격을 두고 부가될 수 있다. 어떤 경우, 쌍 보다는 단일 "1" 또는 "0" 기준 비트 라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또는 기준 셀은 단일 셀로 하향하더라도, 비트 라인의 전체 길이보다 덜 점유될 수 있다. 후자는 기준 셀이 비트 라인 보다 워드 라인을 따라 위치되는 경우이며, 이는 본 발명이 변형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도면은 기준 비트 라인과 기준 신호 검출기 사이의 하드 배선을 나타낸다. 그러나, 다중화 및 신호 라우팅에 의해, 기준 비트 라인은 매트릭스의 임의의 위치에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 장치의 정규적인 사용동안 피로 및 임프린트를 겪는 메모리 매트릭스의 영역에서 기준 셀을 설정하는 것은, 메모리 장치의 수명 동안 매트릭스에 위치시키기 위해 위치로부터 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현재 데이터는 판독 결정 프로세스에 대해 항상 이용가능한다.
간략화를 위해, 매트릭스 셀에 대한 기록 데이터 회로는 도 3에 도시하지 않았다. 파괴적인 판독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한 재기록은 판독 주기에서 결정된 것과 동일한 길이의 펄스로 판독 주기 이후 즉시 수행되거나, 다수의 판독의 결과로서 셀의 분극 레벨이 낮은 값에 도달할 때까지 연기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오랜 재기록 펄스가 요구된다.
신뢰성있는 기준 데이터를 얻기 위해, 메모리 장치의 다수의 기준 셀은 작은 통계학적 스프레드를 사용하여, 문제의 실제 메모리 셀의 사용 패턴의 유사한 모양(mimicry)을 허용하도록 충분히 커야 한다. 그러나, 기준 셀에 대한 큰 공간 할당 및 전용 회로는 다른 메모리 및 장치내의 프로세싱 기능과 비교되며, 특히 제한된 수의 기준 셀은 상당히 많은 수의 메모리 셀과 관련되며, 이는 기준 셀(예를 들어, 클러스터)에 물리적으로 아주 근접하거나 또는 기록 및 판독 노출의 상호간 유사한 종류의 실험으로 메모리 셀의 세트에 링크될 수 있다. 후자는, 예를 들어 상호 물리적 인접이 요구되지 않는 셀, 또는 전체 로우가 동시에 판독되는 어드레싱 매트릭스에서의 셀 로우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에 부가된 섹터일 수 있다.

Claims (18)

  1. 분극 잔류자기성을 나타내는 전기적으로 분극가능한 재료, 특히 일렉트렛 또는 강유전체 재료를 포함하는 메모리 셀의 패시브 매트릭스 어드레스 메모리 어레이의 판독 및 기록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메모리 셀에 저장된 논리 값은 메모리 셀에서의 실제 분극 상태로 표시되며 상기 어레이의 메모리 셀을 어드레싱하기 위해 워드 라인 및 비트 라인로의 인가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셀로 또는 상기 메모리 셀로부터 전하 흐름을 검출함으로써 결정되고, 특히 전하 흐름 검출은 상기 분극가능한 재료에서의 분극 변화에 의해 발생된 전하 흐름 성분 검출에 기초하며, 판독 및 기록 동작은 제어 회로 장치의 제어하에서 수행되며,
    상기 제어 회로 장치에 의해 한정된 값으로 각각의 판독 및 기록 주기 동안 분극가능한 재료에서의 분극도를 제한하며, 0에서 분극의 포화상태에 해당하는 상한 범위로 값을 정하여 메모리 셀의 논리 상태의 신뢰성 있는 검출을 위해 예정된 기준과 일치하게 기록 및 판독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의 저장된 논리 값은 제어 회로 장치에 의해 특성이 제어되는 1개 이상의 인가 전압 펄스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피로 및 임프린트 유도 요인에 대한 메모리 셀의 기록된 노출에 관하여 상기 메모리에 대한 어드레싱 히스토리의 설정 및/또는 1개 이상의 기준 셀 또는 쌍의 기준 셀 및/또는 매트릭스에서 1개 이상의 메모리 셀 또는 쌍의 메모리 셀로부터 전하 응답 정보 습득, 및 전압 펄스 또는 펄스들의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 제어 기준에 대한 기초로서 예정된 상기 검출 기준 및/또는 습득된 전하 응답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어드레싱 히스토리에서 판독 및/또는 기록 주기의 축적된 수 및/또는 특정 메모리 셀 또는 특정 메모리 셀의 그룹에서 임프린팅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메모리 셀의 이전에 기록된 전하 응답 특성에 대한 전하 응답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매트릭스에서 적어도 한 쌍의 기준 셀로부터의 전하 응답 정보를 습득하며, 각 쌍에서 하나의 셀은 논리 0을 다른 하나는 논리 1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 장치는 상기 기준 셀 또는 어드레스된 메모리 셀로부터 상기 기록된 전하 응답에 대해 임의의 및 규칙적인 노이즈 컨트리뷰션의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분석하고, 판독/기록 프로토콜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의 입력 데이터로서 상기 분석 결과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알려져 있는 논리 상태에서 메모리 셀, 여러번 어드레싱된 단일 메모리 셀, 및/또는 유사하나 물리적으로는 상이한 메모리 셀로부터 기록된 다이나믹 전하 응답의 통계학적 스프레드에 기초하여 상기 노이즈 컨트리뷰션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준은 전하 응답 정보에 기초하며, 상기 전압 펄스 또는 펄스들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어 회로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가변 길이의 스텝 전압 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준은 전하 응답 정보에 기초하며, 상기 제어 회로 장치는 메모리 장치의 수명 동안 다양한 시간 포인트에서, 각각 논리 "0" 및 논리 "1"을 나타내는 셀의 전하 응답의 안정기 값(σSATURATION및 σBACKGROUND)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준은 전하 응답 정보에 기초하며, 상기 제어 회로 장치는 상기 매트릭스에서 상기 메모리 셀의 논리 상태에 대한 결정을 위해, 크기 σTH= (σSATURATION+ σBACKGROUND)/2인 임계값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 장치는 상기 메모리 어레이에서 임의적으로 선택된 위치에 선택된 메모리 셀 그룹으로부터의 전하 응답 정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판독 및 기록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분극 잔류자기성을 나타내는 전기적으로 분극가능한 재료, 특히 강유전체 재료를 포함하는 메모리 셀의 적어도 하나의 패시브 매트릭스 어드레스 메모리 어레이를 포함하며, 메모리 셀에 저장된 논리 값은 각각, 개별적으로 선택가능한 메모리 셀에서의 분극 상태에 의해표시되며 어레이의 메모리 셀을 어드레싱하기 위해 워드 및 비트 라인으로의 인가 전압에 응답하는 상기 메모리 셀로 또는 상기 메모리 셀로부터 전류 흐름을 검출함으로써 결정되고, 상기 전하 흐름은 특히 상기 분극가능한 재료에서의 분극 변황에 의해 야기된 전하 흐름 성분에 기초하며,
    상기 장치는 각각의 판독 및 기록 주기 동안 상기 분극가능한 재료에서의 분극 변화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인가 전압을, 0으로부터 분극의 포화상태에 해당하는 상한 범위에 있는 상기 판독 및 기록 동작으르 제어하는 회로에 의해 정의된 값으로 조절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어레이는 알려져 있는 논리 상태를 갖는 기준 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셀은 하나는 논리 "0"을 나타내고 다른 하나는 논리 "1"을 나타내는, 쌍으로 국부적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셀은 상기 어레이 도처에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5 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셀들 사이에서 선택된 셀은 분극 히스토리의 유사한 패턴에 노출되고, 이어 이벤트를 스위칭함으로써, 어레이에서의 메모리 셀의 특정 그룹의 피로 및 임프린트 현상을 추적하도록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의 그룹은 상기 어레이에서의 1개 이상의 워드 또는 비트 라인에 국부적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3-7000189A 2000-07-07 2001-07-06 패시브 매트릭스 메모리에서 판독 및 기록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1005222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20003507 2000-07-07
NO20003507A NO312698B1 (no) 2000-07-07 2000-07-07 Fremgangsmåte til å utföre skrive- og leseoperasjoner i en passiv matriseminne og apparat for å utföre fremgangsmåten
PCT/NO2001/000290 WO2002005288A1 (en) 2000-07-07 2001-07-06 A method for performing write and read operations in a passive matrix memory,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954A true KR20030041954A (ko) 2003-05-27
KR100522286B1 KR100522286B1 (ko) 2005-10-19

Family

ID=19911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0189A KR100522286B1 (ko) 2000-07-07 2001-07-06 패시브 매트릭스 메모리에서 판독 및 기록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606261B2 (ko)
EP (1) EP1323167B1 (ko)
JP (1) JP4542744B2 (ko)
KR (1) KR100522286B1 (ko)
CN (1) CN1440554B (ko)
AT (1) ATE291272T1 (ko)
AU (2) AU9035701A (ko)
CA (1) CA2415661C (ko)
DE (1) DE60109472T2 (ko)
ES (1) ES2237599T3 (ko)
NO (1) NO312698B1 (ko)
RU (1) RU2239888C1 (ko)
WO (1) WO20020052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159B1 (ko) * 2008-09-18 2009-12-31 한국과학기술원 강유전체 또는 일렉트렛 메모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6620B2 (en) * 2001-06-29 2004-06-29 Intel Corporation Low-voltage and interface damage-free polymer memory device
US6624457B2 (en) 2001-07-20 2003-09-23 Intel Corporation Stepped structure for a multi-rank, stacked polyme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30039233A1 (en) * 2001-08-14 2003-02-27 Aharon Satt Estimation of resources in cellular networks
US6759249B2 (en) * 2002-02-07 2004-07-06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Device and method for reversible resistance change induced by electric pulses in non-crystalline perovskite unipolar programmable memory
JP4282951B2 (ja) * 2002-05-31 2009-06-2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半導体記憶素子及びその寿命動作開始装置、並びに該半導体記憶素子を備えた情報記録媒体
NO317905B1 (no) 2002-09-11 2004-12-27 Thin Film Electronics Asa Fremgangsmate for a operere ferroelektrisk eller elektret minneinnretning og en innretning av denne art
NO320017B1 (no) * 2003-03-26 2005-10-10 Thin Film Electronics Asa Deteksjonsforsterkersystemer og matriseadresserbar minneinnretning med ±n av disse
NO324607B1 (no) * 2003-11-24 2007-11-26 Thin Film Electronics Asa Fremgangsmate for a betjene et datalagringsapparat som benytter passiv matriseadressering
NO322040B1 (no) 2004-04-15 2006-08-07 Thin Film Electronics Asa Bimodal drift av ferroelektriske og elektrete minneceller og innretninger
NO324029B1 (no) * 2004-09-23 2007-07-30 Thin Film Electronics Asa Lesemetode og deteksjonsanordning
JP4148210B2 (ja) * 2004-09-30 2008-09-10 ソニー株式会社 記憶装置及び半導体装置
US20060215437A1 (en) * 2005-03-28 2006-09-28 Trika Sanjeev N Recovering from memory imprints
US20070041233A1 (en) * 2005-08-19 2007-02-22 Seagate Technology Llc Wake-up of ferroelectric thin films for probe storage
US7554832B2 (en) * 2006-07-31 2009-06-30 Sandisk 3D Llc Passive element memory array incorporating reversible polarity word line and bit line decoders
US8279704B2 (en) * 2006-07-31 2012-10-02 Sandisk 3D Llc Decoder circuitry providing forward and reverse modes of memory array operation and method for biasing same
EP1944763A1 (en) 2007-01-12 2008-07-16 STMicroelectronics S.r.l. Reading circuit and method for data storage system
US7420836B1 (en) * 2007-02-13 2008-09-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ngle-ended memory cell with improved read stability and memory using the cell
US7778098B2 (en) * 2007-12-31 2010-08-17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Dummy cell for memory circuits
CN101222686B (zh) * 2008-01-25 2011-08-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状态报告方法
JP4626832B2 (ja) * 2008-07-10 2011-02-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強誘電体記憶装置の駆動方法、強誘電体記憶装置および電子機器
DE102011010946B4 (de) * 2011-02-10 2014-08-28 Texas Instruments Deutschland Gmbh Halbleit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Identifizieren und Korrigieren eines Bitfehlers in einer FRAM-Speichereinheit einer Halbleitervorrichtung
US9886571B2 (en) 2016-02-16 2018-02-06 Xerox Corporation Security enhancement of customer replaceable unit monitor (CRUM)
US9697913B1 (en) 2016-06-10 2017-07-04 Micron Technology, Inc. Ferroelectric memory cell recovery
US9613676B1 (en) * 2016-06-29 2017-04-04 Micron Technology, Inc. Writing to cross-point non-volatile memory
US10978169B2 (en) 2017-03-17 2021-04-13 Xerox Corporation Pad detection through pattern analysis
US10497521B1 (en) 2018-10-29 2019-12-03 Xerox Corporation Roller electric contact
KR102634809B1 (ko) * 2018-11-23 2024-02-0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JP2022052154A (ja) 2020-09-23 2022-04-04 キオクシア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6829A (en) * 1990-10-24 1993-04-27 Sarita Thakoor Thin film ferroelectric electro-optic memory
JPH0677434A (ja) * 1992-08-27 1994-03-18 Hitachi Ltd 半導体記憶装置
JP3279025B2 (ja) * 1993-12-22 2002-04-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メモリ
US5898607A (en) * 1994-09-14 1999-04-27 Hitachi, Lt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an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H098247A (ja) * 1995-06-15 1997-01-10 Hitachi Ltd 半導体記憶装置
JPH0963294A (ja) * 1995-08-28 1997-03-07 Olympus Optical Co Ltd 強誘電体メモリ及びそれを用いた記録装置
EP0767464B1 (en) * 1995-09-08 2003-11-19 Fujitsu Limited Ferroelectric memory and method of reading out data from the ferroelectric memory
JP3875416B2 (ja) * 1998-11-11 2007-01-31 富士通株式会社 強誘電体記憶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159B1 (ko) * 2008-09-18 2009-12-31 한국과학기술원 강유전체 또는 일렉트렛 메모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9035701A (en) 2002-01-21
CN1440554A (zh) 2003-09-03
ATE291272T1 (de) 2005-04-15
NO312698B1 (no) 2002-06-17
US20020027794A1 (en) 2002-03-07
DE60109472D1 (de) 2005-04-21
AU2001290357B2 (en) 2005-03-03
NO20003507L (no) 2002-01-08
JP2004503052A (ja) 2004-01-29
EP1323167A1 (en) 2003-07-02
CN1440554B (zh) 2012-03-21
CA2415661A1 (en) 2002-01-17
NO20003507D0 (no) 2000-07-07
ES2237599T3 (es) 2005-08-01
KR100522286B1 (ko) 2005-10-19
DE60109472T2 (de) 2005-08-11
CA2415661C (en) 2006-03-28
JP4542744B2 (ja) 2010-09-15
WO2002005288A1 (en) 2002-01-17
EP1323167B1 (en) 2005-03-16
RU2239888C1 (ru) 2004-11-10
US6606261B2 (en) 2003-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2286B1 (ko) 패시브 매트릭스 메모리에서 판독 및 기록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AU2001290357A1 (en) A method for performing write and read operations in a passive matrix memory,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0484580B1 (ko) 메모리 매트릭스의 어드레싱
RU2003103297A (ru) Способ выполнения операций записи и считывания в памяти с пассивной матричной адресацие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этого способа
RU2329553C1 (ru) Бимодальный режим функционирования ферроэлектрических и электретных ячеек памяти и запоминающих устройств на их основе
US20040071018A1 (en) Non-destructive readout
AU2002233838A1 (en) Non-destructive readout
US7583546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an integrated circuit
RU2275698C2 (ru) Устройство с пассивной матричной адресацией и способ считывания информации из эт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7215565B2 (en) Method for operating a passive matrix-addressable ferroelectric or electret memory device
JP2008527584A (ja) 受動マトリクス・アドレッシング方式の強誘電体又はエレクトレット・メモリ・デバイスの動作方法
KR20070094646A (ko) 수동 매트릭스-어드레스 가능한 강유전체 또는 일렉트렛메모리 장치를 동작하기 위한 방법
JP2002157879A (ja) 半導体記憶装置の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