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9379A - 제품 건조용 제품 건조함 - Google Patents

제품 건조용 제품 건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9379A
KR20030039379A KR1019980700514A KR19980700514A KR20030039379A KR 20030039379 A KR20030039379 A KR 20030039379A KR 1019980700514 A KR1019980700514 A KR 1019980700514A KR 19980700514 A KR19980700514 A KR 19980700514A KR 20030039379 A KR20030039379 A KR 20030039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frame
box
heating plate
product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2561B1 (ko
Inventor
프란코 페라리
Original Assignee
부커-구이어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커-구이어 아게 filed Critical 부커-구이어 아게
Publication of KR20030039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9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5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Abstract

제품함(3)은 가열판(8)으로부터 제품(9)으로의 열전달을 향상시켜주는 바닥(7)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바닥(7)은 탄성이 얇은 내열재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것은 특히 가열판(8)에 제품(9)의 하중을 가하면 열접촉성이 양호해진다.
제품함(3)은 가열판(8)으로부터 제품(9)으로의 열전달을 향상시켜주는 바닥(7)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바닥(7)은 탄성이 얇은 내열재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것은 특히 가열판(8)에 제품(9)의 하중을 가하면 열접촉성이 양호해진다.

Description

제품 건조용 제품 건조함
상기 유형의 공지된 제품함은 폴리프로필렌이나 또는 폴리에칠렌과 같은 디프드로잉(Deep Drawing)된 프라스틱 소재로 되어 있다. 이러한 함들은 가열되면 형상이 변함으로 가열판상에서 항상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지 못한다. 또한 그의 비교적 두터운 벽들은 가열요소로부터 제품에 열전달을 방해한다.
진공건조함 내에서 접촉열에 의한 건조의 질에 대하여서는 제품함 바닥에 양호하고 균일한 열전달이 하여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건조의 질은 건도, 거품 및 건조시간에 의하여 결정된다. 제품 내의 균일한 온도분포와 균일한 건도를 유지하기 위하여서는 따라서 다음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
가) 건조중 제품함(특히 바닥)의 형상안정성
나) 전표면상의 가열판과 함 바닥간의 양호한 접촉, 극히 작은 공동(空洞)이라도 절연체로서 열의 이동을 방해한다.
다) 모든 함바닥의 동일한 벽두께 및
라) 가열판 내의 균일한 열분포
이러한 조건들을 보다 잘 충족시켜 주기 위하여서는 또한 제품함이 내부식 강이나 또는 내식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관하여서는 건조된 제품 케이크를 털 경우 바닥에 손상과 바닥의 기복이 생겨나서 불균일한 건조로 된다.
본 발명은 건조함 바닥을 경유한 가열판에 의한 접촉열로 제품을 건조시켜 주기 위한 제품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의 명세와 도면에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도 1은 가열판상의 발명에 따른 제품함의 측벽에 평행한 수직단면,
도 2는 발명에 따른 제품함의 프레임 수직모서리의 상세도
도 3은 또하나의 발명에 따른 관통볼트로 결부된 함프레임의 수직모서리 상세도
도 3a는 도 3에 따른 관통볼트 상세도
도 4는 도 1,2 또는 도 3에 따른 제품함의 함바닥 모서리 상세도
도 5는 접착에 의하여 고정된 함바닥을 가진 발명에 따른 제품바닥의 측벽에 평행한 수직단면
도 6은 텐터(tenter) 프레임에 의하여 고정된 함바닥을 구비한 발명에 따른 제품함의 측벽에 평행한 수직단면도
도 7은 2의 테두리를 물림으로서 함프레임에 고정되는 디프드로잉(deep drawing) 부품으로서 함바닥을 구비한 발명에 따른 제품함의 측벽에 평행한 수직단면도.
도 8은 텐션로드(tension rod)로 함프레임에 고정된 함바닥을 가진 발명에 따른 제품함의 측벽에 평행한 수직단면도.
도 9는 함프레임에 의하여 샌드위치 구조로 고정된 함바닥을 가진 발명에 따른 제품함의 측벽에 평행한 수직단면도
도 10은 2개의 형강재 사이에서 함프레임으로서 고정되어 있는 함바닥을 가진 발명에 따르는 제품함의 측벽에 평행한 수직단면도.
도 11은 스냅바에 의하여 함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함바닥을 가진 발명에 따른 제품함의 측벽에 평행한 단면도.
공지되어 있는 제품함의 상기 단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본 발명에서는 기본으로 하고 있다.
발명에 따라서 서두에 언급한 유형의 제품함의 경우 본 과제는 제품함의 측벽들로 형성되거나 지지되는 프레임과 탄성의 얇고 열전달이 양호한 소재로되어 있는 바닥을 구비함으로서 해결이 된다.
본 발명에서 선정된 실시예의 특징들은 종속된 특허청구들에 제시되어 있다.
다음 특성들은 발명으로 달성되는 장점들에 속한다.
1) 제품함 바닥의 탄성의 소재는 바닥과 가열판간에 최적의 접촉을 가능케 한다. 동 소재는 가열판의 미소한 기복에도 적응함으로 가열면과 건조할 제품 간에 전혀 절연 역할을 하는 에어쿠숀(air cushion)이 발생하지 아니한다.
2) 바닥의 얇은 두께가 열전달을 양호하게 함으로 열은 아주 신속히 제품으로 유입된다. 이에따른 보다 짧은 건조시간으로 인하여 공지된 함의 유형에 비하여 건조의 질이 향상되다. 비교 측정의 결과를 보면 40 내지 50%의 건조시간 단축의 실현이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3) 제품이 뜨거운 상태로 제품상자에 넣으면 장치를 철거하는 동안에 공지된 바와같이 액상부분이 증발로 인하여 제품질량의 강렬한 냉각이 행해진다. 이것은 제품-점도 상승에 따른 바람직하지 않은 상당한 제품-기포를 낸다. 이러한 기포현상은 극단적인 경우에 제품위에 배열된 방사가열판의 오염을 초래할 수 있다. 발명에 의한 제품함의 경우에는 신속한 열전달로 인하여 제품의 점도는 작으며 기포로 인한 포밍(거품발생) 발생이 보다 작다.
4) 열전도가 양호함으로 건조 과정의 끝에서도 보다 시간을 절감하여 제품을 보다 신속히 냉각하게 된다.
5) 건조한 제품케이크를 제품함에서 비우기 위하여 대부분 제품함을 기울이는 것으로 충분하며 또한 손실이 없도록 제품을 제거하기 위하여서는 탄성의 바닥을 가볍게 두드리는 것으로 충분하다.
도 1에 따르는 수직단면은 발명에 따르는 4각형 제품함(3)의 2개의 서로 마주대하고 있는 측벽(1,2)을 도시하고 있다. 제품함(3)의 모든 4개의 측벽들의 하부테에는 연결스트립(5)과 볼트(6)에 의하여 테두리 보강재 또는 실(4)을 거쳐서 탄성의 얇은 내열성 섬유조직이 함바닥(7)으로서 고정되어 있다. 제품함(3)은 제품함 내에 들어 있는 제품(9)을 건조하기 위하여 함바닥(7) 및 연결스트립(5)과 함께 가열판(8)상에 놓여 있다. 제품의 자중에 의하여 탄성의 함바닥(7)은 가열판(8) 전면에 걸쳐 밀착되어 있으며 그의 두께가 얇아서 가열판(8)으로부터 제품(9)으로 열전달이 잘되어 건조된다.
도 2는 도 1에 따르는 제품함의 수직 모서리(10)를 도시하고 있다. 모서리(10)에는 공지된 유형에서 측벽(1 및 11)이 있어 그의 대칭모서리로 용접이나 또는 접착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용접가공을 위하여서는 특히 측벽들의 판이나 형상재로서는 내부식 강재가 적합하다. 이러한 제품함에 적합한 함프레임들은 허다한 강판-가공회사들에서 공급되는바 예컨대 스위스 스프라이텐 소재 베크만 회사가 대표적이다. 함프레임들은 알루미늄-형재로도 용접이 가능하며 이러한 프레임의 공급자중에는 스위스의 멘지켄소재 알루미늄 멘지켄 회사를 들 수 있다.
도 2에 따르는 함프레임은 그러나 또한 프라스틱의 진공 디프드로잉으로도 제작이 가능한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PTFE 또는 기타 프라스틱으로 제작된다. 제조업체로서는 허다한 프라스틱 가공 업체가 공지되어 있는데 예컨대 독일의 모스바하소재 지그문트사나 또는 스위스 스피츠 소재 코라지트 회사이다. 그 대안으로서 융착결합에 대하여서는 폴리프로필렌이나 또는 폴리에칠렌의 압출형재가 적합한바 스위스의 비소프스젤소재 켈러사와 스위스의 코싸우 SG소재 하카사에서 공급가능하다. 폴리프로필린제 제품함은 다만 강력 접착이 안되는 제품(9)에 의하여 적합하다.
충분히 많은 수량이 필요한 경우에는 예컨대 스위스의 브렘가르텐 소재 우테체트사처럼 일체형 함 프레임이나 또는 사출성형 방법에 의한 폴리프로필렌으로 된 일체형 부품이 경제적으로 공급이 된다. 기타의 경우 들에서 함프레임은 표준부품으로 조립이 가능하다. 도 3은 제품함(3)(도 1)의 2개측벽(1' 및 11')을 도시하고 있는데 관통볼트에 의하여 수직모서리에서 결부되어 있다. 공지기술에서의 이러한 관통볼트를 도 3a이 명시하고 있다. 측벽(1')의 한 구멍(13)에는 핀(14)이 꽂혀 있는데 여기에서 헤드레스 스크류(15)로 측벽(11')이 종방향구멍을 통하여 측벽(1')에 나사로 조여져 있다.
도 4 내지 10에는 여러 가지 유형의 실시예와 함프레임에 함바닥을 고정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함바닥(7')으로서의 한 섬유조직에 대한 모서리(16)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섬유조직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로서는 여러 가지 프라스틱이 적합하다. 아라미드 섬유는 Kevlar나 또는 Nomex로서 스위스 제네바의 Du pont de Nemours Int사가 공급자이며 PTFE(폴리-테트라프루어-에칠렌)는 그의 상표가 테프론(Teflon)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공급자는 스위스의 제네바 소재 듀퐁드 누메르스 Int S.A 회사 또는 독일 프랑크풀트 암마인 소재 펙스트사이다.
함바닥소재로서 또 적합한 것은 그의 표면이 프라스틱 예컨대 PTFE나 실리콘 층이 코팅되는 유리섬유로된 조직들이 적합하다. 이러한 조직들은 예컨대 스위스 쥬리히 소재 양스토 및 피스터사제의 루브리그래스-밴드로서 또는 스위스 크으로 소재 시포텍(SIPOTEC) 사의 실리콘-코닝 유리 섬유포일로서 존재한다. 도 4에서 함바닥(7')의 테두리역(17)은 특수화학처리가 되어 있어서 (부식). 이것이 도 5가 제시하는 바와같이 접착제-코팅(19)에 의하여 함프레임에 접착이 가능하다. 이에대해서는 예컨대 스위스 바젤소재 CIBA 폴리머 회사제 아랄디트(Araldit)와 같은 에폭시 수지를 기본으로한 2성분-접착제가 적당하다. 이러한 직물 외에도 함바닥에 프라스틱-포일도 사용되는데 예컨대 순수 PTFE(Poly Tetrafluor-Aethylen)이나 또는 스위스 홈브레이코티콘 소재 네오테카(Neotecha) 사에서 공급가능한 유리섬유로된 PTFE로 보강된다. 또한 이에대해서는 두께가 0.5㎜ 내지 1㎜인 폴리에칠렌으로 된 포일도 사용가능하며 예컨대 독일 프랑크푸르트 소재 펙스트사의 상표 Hostalen 이나 또는 Hostalen GuR로 공지되어 있다.
끝으로 함바닥에 대해서 직조된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펙스트의 Trevira나 또는 Viscosuisse의 Tersuisse가 적합하다. 이러한 직물들은 총두께가 약 0.6㎜인 폴리우레탄으로 코팅이 되어 있으며 스위스 라이나크 BL 소재 하바지트(HABASIT)사 제품이 공급된다. 이들은 온도가 80℃ 이하인 거의 접착성이 없는 제품에 적합하다.
도 6은 크램핑 프레임(20)에 의하여 제품함의 한 측벽에 바닥재(7)의 고정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바닥재(7)는 크램핑 프레임(20)을 따라서 다수의 크램핑 스크류(21)에 의하여 테두리 보강재 또는 실(4)을 거쳐 측벽(1)의 하부로 눌린다.
도 7은 디프드로잉벽(21)의 부분으로서 그런데도 충분히 탄성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는 함바닥(7")을 도시하고 있다. 벽(21) 소재 특히 내부식 강이나 또는 프라스틱은 고정을 위하여 함프레임(18)의 테두리상에서 벽(21)의 상부테(22)의 물림을 허용한다.
도 8은 한 수직단면에서 발명에 따른 제품함의 측벽들(24)에 얇은 탄성의 함바닥(7"')의 고정을 위한 또다른 대안의 가능성을 도시하고 있다. 측벽들(24)은 여기에서 상부에 위치한 모서리(25)를 가진 V-형재로 되어 있다. V-형재의 다리단부(26,27)들은 함바닥(7"')위에 놓여 있다. 이때 외단부(26)는 돌기(28)의 해당 종방향구멍에서 함바닥(7"')에 고정되어 있는 한편 내단부(27)는 모서리 보호(29)에 의하여 함바닥(7"') 상에서 지지되어 있다. 도 8이 도시하는 바와같이 함바닥(7"')은 측벽들(24)에 핀(30) 및 스크류(31)로 측벽을 따라 고정되어 크램핑 된다. 이때 핀(30)은 카운터파트(32)에 의하여 함바닥(7"')을 지지하며 스크류(31)는 V-형재의 모서리(25) 상에서 지지되어 있다. 측벽들(24)은 특히 금속으로 제작된다.
도 9는 하나의 수직단면에서 샌드위치형 배열을 통하여 탄성함바닥(7')을 함프레임(32)에 고정시킬 가능성을 도시한다. 함프레임(32)은 외부품(33)과 내부품(34)을 둘러싸며 함바닥(7')은 도 4에서 이미 도시한 바와같이 테두리역(17)이 화학적(부식)으로나 물리적으로(프라즈마-표면활성화) 특수처리 됨으로서 이것이 부분(33 및 34) 사이에서 융해 또는 접착으로 압착 고정이 가능하다.
도 9에 의한 배열이 대안을 도 10이 도시한다. 여기에서 함바닥(7')은 그의 테두리역과 더불어 2개의 강철 프레임(35,36) 사이에서 고정되어 있다.
도 11에 의한 실시예에서 함바닥(7)이 제품함 측벽(1")의 하부 테두리에서 물림쇠(37)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함받(7)은 하나의 테두리역을 가지고 있는데 부품들(1" 및 37) 사이에 간단히 크램핑에 의하여 고정이 가능하다. 측벽(1")은 물림쇠(37)의 수용에 적당한 홈(38)을 가지며 이는 물릴 때 측벽(1")의 탄성을 개선하고자 그의 밑바닥에 홈(39)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대안은 무엇보다도 탄성중합체 (실리콘 코팅 유리섬유 조직)로 된 탄성함바닥의 적용에 적합하다.
다양한 제품을 함바닥을 경유하여 가열판에 의한 접촉 건조시간을 40∼50%로 단축시켜 열로 건조시킬 때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건조 제품함으로서 활용 가능하다.

Claims (7)

  1. 함바닥(7)을 경유하여 가열판(8)에 의한 접촉열로 제품(9)을 건조하기 위한 제품함(3)에 있어서,
    제품함(3)의 측벽들(1,2,11,18,24)을 구성하고 있거나 또는 지지하는 프레임과 열전도성이 양호한 탄성의 얇은 내열재로된 바닥(7)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함(3).
  2. 제 1항에 있어서,
    바닥(7)은 융착된 프라스틱 포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함.
  3. 제 1항에 있어서,
    바닥(7)은 프레임(1,2,11,18,24)의 테두리 상에서 당겨 고정된 섬유조직(7',7"',17)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함.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함(7)은 반점착 코팅(7')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함.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1,2,11,18)은 프라스틱 소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함.
  6.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프레임(1,2,11,18,24)은 내부식 강이나 또는 알미늄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함.
  7. 제 1항 또는 제 3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제품함(3)의 바닥(7,7",7"')은 프레임(1,2,11,24)에 대하여 호환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함.
KR10-1998-0700514A 1996-05-31 1997-05-21 제품건조용트레이 KR1004525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372/96 1996-05-31
CH01372/96A CH691827A5 (de) 1996-05-31 1996-05-31 Produktschale für die Trocknung eines Produktes.
PCT/CH1997/000196 WO1997046841A1 (de) 1996-05-31 1997-05-21 Produktschale für die trocknung eines produk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379A true KR20030039379A (ko) 2003-05-22
KR100452561B1 KR100452561B1 (ko) 2005-02-24

Family

ID=4208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514A KR100452561B1 (ko) 1996-05-31 1997-05-21 제품건조용트레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983519A (ko)
EP (1) EP0843802B1 (ko)
JP (1) JP3687681B2 (ko)
KR (1) KR100452561B1 (ko)
AT (1) ATE211249T1 (ko)
CA (1) CA2228142C (ko)
CH (1) CH691827A5 (ko)
DE (1) DE59705878D1 (ko)
DK (1) DK0843802T3 (ko)
PL (1) PL183243B1 (ko)
WO (1) WO19970468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91827A5 (de) * 1996-05-31 2001-10-31 Bucher Guyer Ag Produktschale für die Trocknung eines Produktes.
US20070227618A1 (en) * 2003-09-29 2007-10-04 Cabinplant International A/S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pplying and Evenly Distributing a Quantity of Particulate Material
EP1619460A3 (en) * 2004-07-23 2010-08-25 Storci S.p.A. Tray for drying foodstuffs, particularly pasta
US9103590B2 (en) * 2007-11-15 2015-08-11 Warren R. Hartwell Drying tray and method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12659C (de) * 1949-11-26 1951-09-03 Josef Kufferath Horde fuer die Trocknung von Nahrungsmitteln, wie Teigwaren u. dgl.
DE899925C (de) * 1951-06-21 1953-12-17 Hoechst Ag Trockenschale fuer pastenfoermige, fluessige oder aehnliche Substanzen
US3807057A (en) * 1973-04-23 1974-04-30 E Noel Tray with disposable cup means for improved proofing and handling of doughballs for english muffins
US4190757A (en) * 1976-10-08 1980-02-26 The Pillsbury Company Microwave heating package and method
US4455763A (en) * 1981-03-05 1984-06-26 Elevitch Franklin R Coffee roaster
US4677764A (en) * 1985-02-11 1987-07-07 Cerny Gene L Apparel drying tray
US4751368A (en) * 1986-11-17 1988-06-14 Daifotes Theodore S Food warming device
US4943534A (en) * 1988-09-19 1990-07-24 Norman Andreasen Tray assembly for germination floor
DE19516291A1 (de) * 1995-05-04 1996-11-07 Mumenthaler Sven Aufnahmeschale für thermisch zu behandelnde Substanzen
CH691827A5 (de) * 1996-05-31 2001-10-31 Bucher Guyer Ag Produktschale für die Trocknung eines Produk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705878D1 (de) 2002-01-31
CA2228142C (en) 2006-08-22
JP3687681B2 (ja) 2005-08-24
CA2228142A1 (en) 1997-12-11
EP0843802B1 (de) 2001-12-19
DK0843802T3 (da) 2002-03-25
JPH11510590A (ja) 1999-09-14
US5983519A (en) 1999-11-16
WO1997046841A1 (de) 1997-12-11
ATE211249T1 (de) 2002-01-15
EP0843802A1 (de) 1998-05-27
KR100452561B1 (ko) 2005-02-24
PL183243B1 (pl) 2002-06-28
PL324803A1 (en) 1998-06-22
CH691827A5 (de) 200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5719B1 (ko) 성형장치및이를이용한성형공정
EP1071580B1 (en) Automotive running board
US7745355B2 (en) Inductively heatable components
US10889070B2 (en)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unidirectional continuous fibers and thermoplastic resin
CA2010043C (en) Sandwich panel material and a method of providing a local reinforcement in a sandwich structure
BG107300A (bg) Екструдирани елементи за дърводелски изделия, усилени с непрекъснати влакна; мет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за получаването им
EP0515838A1 (en) Method of impregnating reticulated foam with polyimide foam precursor and products thereof
KR20030039379A (ko) 제품 건조용 제품 건조함
EP1484774B1 (en) Fixing and protecting arrangement for a capacitor
US6635329B1 (en) Insulation element
KR930000744B1 (ko) 주형내 형체 생산 공정 및 장치
US2004011850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material, method for manufacturing a three-dimensional component made of a composite material, composite material, and device for holding the composite material
JP2803272B2 (ja) プリプレグの製造方法
US4720368A (en) Method for forming a rod-like molding
SK284166B6 (sk) Viacvrstvová rúrka a spôsob jej výroby
JP2004027576A (ja) 断熱床部材
KR20120117337A (ko) 선박용 단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JPH11304083A (ja) 真空断熱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4094860A1 (en) Foamed article
JP2998171B2 (ja) 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
GB2170751A (en) Reinforced articles of sanitaryware
JP4374741B2 (ja) 接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191419A (ja) 断熱プラスチック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011815A (ja) 断熱深絞りプラスチック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01110935A (ja) 金属張樹脂板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