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744B1 - 주형내 형체 생산 공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주형내 형체 생산 공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744B1
KR930000744B1 KR1019860000256A KR860000256A KR930000744B1 KR 930000744 B1 KR930000744 B1 KR 930000744B1 KR 1019860000256 A KR1019860000256 A KR 1019860000256A KR 860000256 A KR860000256 A KR 860000256A KR 930000744 B1 KR930000744 B1 KR 930000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eddy current
current flow
wall
distribu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0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5688A (ko
Inventor
슈베르트 아르눌프
Original Assignee
나우어 운트 나우어 게젤샤프트 엠. 베. 하. 운트. 코
한스 키르흐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우어 운트 나우어 게젤샤프트 엠. 베. 하. 운트. 코, 한스 키르흐너 filed Critical 나우어 운트 나우어 게젤샤프트 엠. 베. 하. 운트. 코
Publication of KR860005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5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15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 B29C33/06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using radiation, e.g. electro-magnetic waves, induction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0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29C2035/0811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in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movable, e.g. to or from the moulding station
    • B29C33/36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movable, e.g. to or from the moulding station continuously movable in one direction, e.g. in a closed circ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주형내 형체 생산 공정 및 장치
도면은 중간 주파수가 공급되는 유도 코일이 감겨있고 지지 상자를 구성하는 유도기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 주형 2 : 유도기
2′ : 유도코일 3 : 레일
4 : 보강부 5 : 덮개부
6 : 바닥부 7 : 로킹 수단
9 : 평판
본 발명은 플락스틱 재료 또는 발포체(foam), 특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기본으로 한 발포 물질로 형체(Shaped body)를 생산하는 공정에 관한 것으로서 주형내로 유입되는 형체 생산을 위해 사용되는 플라스틱 물질 또는 반응성 성분 또는 물질들과 그리고 형성 반등 동안에 유도기(an inductor)에서 가열되는 주형을 구비하며, 특히 열경화성 합성수지 예를들면 폴리우레탄, 라텍스(latex)등으로 함침, 분무, 습윤(wetted)등에 의해 부직물질(non-woven materials), 파일, 플라스틱성 물질 섬유, 섬유, 고무 헤어(rubberized hair), 고무 코이르(rubberized coir), 유리섬유와 같은 것을 생산, 압축, 건조, 열가소성 용융 작업을 위한 공정에 관한 것이다.
발포 물질 물체, 특히 폴리우레탄 발포체로 만들어진 물체를 생산하는데 있어서, 표면형성 및 표면 지대의 성분 반응을 완성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공지된 공정에 따르면 필요한량의 열을 가하기 위해 반응성 성분을 증기 또는 고온 공기(hot air)에 의해 가열된 주형내에 배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공정은 정교한 장치를 필요로 하며, 효율도 낮으며, 가열에 비교적 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아니라 가열을 적절히 조절할 수도 없다.
실제로 불규칙한 표면 형상의 주형은 증기와 같은 수단으로 충분히 균일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가열될 수 없음이 판명되어져 있다.
고온 경화용 합성 주형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것은 고형이면 두꺼운 부분의 불균일한 가열이 회피되지 않으며 발생된 열이 형테에 공급이 되어, 여기에 적용되는 주파수는 각각의 주형 파트들의 상호 절연을 행할 필요가 없다. 형체의 표면에 걸쳐 온도를 공평하게 분배시킬 필요도 없다.
HF 전극에 직접 접속된 상호 절연된 주형 파트로 구성된 합성 주형은 형테내로의 관통 깊이가 너무 커서 형체 표면상의 온도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가 없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작업 원리상 이런 형태의 장치와 주형벽을 통하여 간접 가열되는 유도기내에서 형체가 생성되는 장치와는 비교될 수 없다.
종래 공정의 전술된 결점을 제거하기 위해서, 개시부에 언급된 형태의 공정은 주형내에 유입되는 반응출발 물지로 된, 합성수지 또는 라텍스로 함침 또는 습윤된 플라스틱 물질, 특히 폴리우레탄 발포체 또는 섬유, 부직섬유로 만들어진 형체를 생산하기 위해서 1내지 30KHz, 양호하게는 5내지 12KHz의 주파수로 조절되고, 각각의 주형 파트가 형체 주위의 주형내의 전류 흐름을 막도록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저인 주형이 사용되며, 임의적으로 전류 흐름의 배전을 위해 금속성 주형벽의 외측부 상에서 주형 물질에 보강제 또는 이상적으로 선택되는 물질로된 피복편을 형성 또는 적용한다. 표면부에 반응 온도를 유지시키고 형체 외표면에 공급되는 예정 표면도를 얻기 위해 필요한 양의 열과, 형체에 공급되는 성분의 건조 및 반응 완성에 필요한 양의 열로써, 얇게 형성된 주형벽이 유도 가열되는 주형을 둘러싸는 유도기에 불규칙하게 형성된 형체를 유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공정은 주형의 가열과 가장 형체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에너지의 손실은 발전기의 무부하 손실 형태로써만 일어나며, 복잡한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형체를 둘러싸고 있는 주형내의 전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해서, 예를들면 상자 형태로 된 바닥부 및 덮개부가 있는 두개 파트로 된 주형의 합성 주형의 주형 파트가 예를들면 에폭시 수지, 실리콘 고무, 실리콘 수지, 밀봉 또는 절연 스트립등에 의해 동시에 양호하게 상호 밀봉 및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전기 플럭스선, 열 및 전류 흐름의 배전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용접이나 리벳이음, 분무 분사된 리브(rib), 평판, 보강재, 비이드 등을 주형벽에 제공하는 것이 편리하다. 주형벽의 국부 열 전도성 및 전기 전도성 및 투과성을 변경시키기 위해 주형과 동일한 물질 또는 다른 물질의 삽입을 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일체적 고형 리브와 같은 두꺼운 금속성 주형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 평판, 두꺼움, 리브 등이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주형벽에 배열될 수 있으며 : 이러한 배치는 주형 또는 주형 파트상에 가능한 한 균일한 가열을 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적용된 평판 또는 리브는 예를들면 단면 두께가 수 밀리미터이고 폭은 수 센티미터를 갖는다. 이러한 타입의 부가는 금속성 주형 벽에는 특히 편리하다. 주형벽은 예를들어 강철로 만들어지며, 그 두께는 5mm두께까지로, 예를들면 1, 2 또는 3mm두께로 된다.
주기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유입가능한 특히 폴리우레탄 발포 성분 및 부직포 타입 성분, 파일, 플라스틱 물질 섬유, 섬유, 고무 헤어, 고무 코이드에 반응되도록 포말 물질 성분이 있는 주형내로의 유도기가 있는 본 발명에 따르는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는, 주형내에 유입되는 반응 출발 물질인 합성수지 또는 라텍스 등으로 함침, 습윤된 플라스틱 물질 특히 폴리우레탄 발포체 또는 섬유, 부직포 등으로 된 형체 생산용으로, 1내지 30KHz, 양호하게는 5 내지 12KHz의 주파수로, 각각의 주형 파트는 형체를 둘러싸는 주형내에 전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고, 주형과 동일 또는 다른 물질로 된 보강재 또는 피복 피스는 전류 흐름의 배전을 위해 금속성 주형벽의 외측부에 임의로 형성 또는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유도기는 적어도 한개의 주형이 그안으로 유입될 수 있는 입방형 또는 관형의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는데 ; 주형의 각각의 파트는 유도 가열 될 수 있고 임의로 밀봉할 수 있으며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진다. 얇은 주형벽은 유도 가열되어 형성되는 형체 외부층에 열을 공급한다.
주형은 전기 절연되는 과 발포체용 유출구를 일반적으로 갖고 있기 때문에 전기 절연 발표체 밀봉을 완벽하게 갖지않아도 된다. 압축성이 있으며 팽창하지 않은 공기 함유섬유 물질로 전기절연 밀봉 효과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주형 벽과 유도기 권선사이의 거리는 가열 비율과 효과 정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복잡한 주형도 별 어려움없이 가열될 수 있다.
주형벽만 가열하면 되므로 고온 공기 가열에 비해 적은 에너지가 소모된다. 고온 공기로에서는 삽입되고 추출되며 폐쇄하는 데 필요한 모든 수단이 가열되며 공정 성질상 다시 냉각되어진다. 고온 공기 공정에 비해, 플라스틱 물질 성분의 경화 및 반응시간은 급속하게 가열되기 때문에 약 50% 정도가 감소되며 ; 동일한 설비용량에 대해서 보다 짧은 순화환주기 및 더 적은 주형수만을 필요로 한다. 증기 겨열 주형에서는, 가열, 냉각, 이동되는 매스(masses)가 크면 클수록 결과적으로 더 많은 에너지가 소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상 유도 가열 주형의 중량이 무거워 봐야 가열 주형의 절반 정도밖에 안되기 때문에, 가열 매개체로서 증기에 의해 가열되는 주형에 비해 적은 에너지가 소모되고 열전달용 매개체가 필요없기 때문에 고 효율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장입물을 운반하고 발포시키는데 구조적으로 더욱 가벼운 것으로도 가능하며 따라서 가격이 저렴해지는 잇점이 있다. 도달되는 최대 가능 주형 온도가 종래 공정의 온도에 비해 보다 놓고 쉽게 도달되므로, 유도 가열이 증기 및 고온 공기와 대조적으로 별 어려움 없이 150℃이상의 온도를 허용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공정 및 장치는 얇은 주형벽을 통한 열공급이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기에 충분한 모든 물질을 가열, 건조, 반응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주형이, 양호하게 주형 바닥 및 덮개에 섬유 함유 또는 섬유상 물질로 구성된 형체를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구를 구비하여, 공기 투과성 구조물, 예를들면 라텍스로 분무된 고무 헤어 구조물이 형체를 통과하는 가열된 공기가 지나가 건조, 반응, 벌컨(vulcanized)처리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공정은, 만일 기류내에 건조, 가열이 제공되면 정상적인 가열이 없는 점들(spot)에 열을 공급할 수 있는 종래의 건조 및 처리 방법보다 우수한 잇점을 갖는다.
기본적으로 얇은 주형벽만을 가열하는 경우에는 양호하게, 전기장 또는 자기장이 유도 가열성 주형벽 또는 유도 가열성 충내로 관통되는 깊이가 벽두께보다 약간 깊거나 벽두께와 거의 같거나, 또는 이보다 적은데, 주형벽 또는 층의 두께의 약 1/10 내지 1/2, 특별하게는 1/5내지 1/3정도로 임의적으로 대응되어진다. 주형벽이 층내에 형성된다면, 상기 장(fild)의 관통 깊이가 주형벽의 두께 이상이거나 또는 같은 것이 좋을 것이다. 또, 관통 깊이가 벽두께의 3/4까지 이르는 정도가 되면 선택된 관통 깊이는 필요한 가열 코스에 따라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을 이하에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은 중간 주파수가 공급되는 유도코일(2′)이 그 둘레에 감겨있고 필요한 전기 교류 장(the required electric alternating fild)을 발생하는 발전기(도시않음)에 접속된 지지 상자로 구성되어진 유도기(2)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유도기(2)는 양호하게 직사각형 단면으로 되어 있으며, 그 길이는 주형 길이 정도로 또는 그 보다 길게 선택하여, 주형(1)의 전후 단부에서 적절한 유도 및 가열이 발생하게 된다.
원칙적으로, 유도기의 내부 형상은 문제되지 않는다. 그 용량은 주형 물질과 필요한 주형 온도에 따라 정해지며, 적당한 제어수단에 의해 각각의 주형에 대해 특정한 용량 제어를 할 수 있다.
주형을 주기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유도기내로 이동 시킬 수 있는 레일(3)같은 이송 또는 운반 수단은 유도기내로 유입된다. 가열성이 없으며 유도 장에 영향을 받지 않는 물질로 된 이송대 또는 레일을 제공하는 것이 좋다.
도면은 본 실시예의 경우 상자형이고 바닥부(6)와 덮개부(5)로 이루어진 주형91)을 개략 도시하고 있으며, 그 형상으로된 상자는 자동차 시이트에 대응하고 있다. 주형(1)주위에는 덮개부(5)와 바닥부(6)를 보강 유지하는 보강부(4) 또는 보강 프레임이 다양한 주형 파트들, 특히 덮개부(5)상의 보강부에 보강성분은 로킹 또는 연결 수단에 의해 바닥부(6)상의 보강부와 함께 유지될 수 있다. 로킹 수단(7)은 덮개부(5)와 바닥부(6)를 상호 연결 또는 로킹하도록 제공되어 있다. 보강부(4)대신에 예를들어 주형(1)이 파지되는 보조프레임등을 상요할 수도 있다. 덮개부(5)는 선 또는 지역(8)을 따라 바닥부(6)으로부터 격리 가능하게 있으며 동시에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에폭시 수지, 또는 다른 플라스틱 물질이 적당한 강도 및 안정한 온도로된 전기 절연 물질과 같은 절연물은, 덮개부(5)를 바닥부(6)로부터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절연하고 동시에 주형(1)을 밀봉하다. 폐쇄 또는 로킹 수단(7)과 보광부(4)도 같은 방법으로 구조되며, 상부 덮개부(5)로부터 바닥부(6)로 전류가 흐르는 것과 주형(1) 주위에 전기전도성 링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로킹 수단(7) 또는 개별 접속 수단 또는 보강부(4)사이에 적당한 부분 절연체가 제공되거나, 로킹 수단(7), 보강부(4) 및 힌지등의 접속 수단은 전기 절연 물질로 구성된다.
실세 작업에서 사용되는 주형은 현저하게 불규칙한 외형을 갖는데, 그 이유는 이들이 그 필요한 형상의 형태, 예를들면 주형은 자동차용 시이트나 팔걸이 등 다양한 형태를 갖기에 적합해야 하기 때문이다.
덮개부와 바닥부를 상호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매스는 경화 밀봉 매스 또는 미리 제조된 삽입가능한 밀봉 또는 절연요소일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주형내에 유도되는 전류 흐름을 위해 주형 둘레에 적당한 순환 통로를 제공하지 않으며, 단락 회로 전류의 순환으로 인한 바람직하지 않은 가열을 방지한다. 이는 또 보조 프레임과 각각의 주형 파트상에 배치된 상호 접속 보강부(4)에도 적용된다.
원리상, 순화링은 환상 전류(annular currents)가 전혀 흐를 수 없게 하는 방식으로 슬롯 또는 간극을 제공하거나 전기성 부분 절연체를 삽입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면에 도시한 주형의 전방면 및 단락 또는 작은 측면은 각각 두 파트로 형성되고 상호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반면, 후방벽은 다른 한개에 전도성으로 접속되거나 또는 상호 절연되지 않은 한 피스의 또는 두개의 주형 파트로 만들어진다. 이리하여 전기전도성 면은 바람직하지 않은 환형전류를 방지하기에 충분한 대략 C자 형태로 주형을 통하는 단면을 갖는다. 주형의 다른 벽에 있는 힌지 또는 로킹 수단이 전기적으로 절연되면, 주형의 후방벽에 있는 것은 전기 전도성으로 형성된다.
그런데 실제로는 양호하게 두개 또는 전체 매칭 주형 파트의 전체 주변부 위로 주형의 상호 전기 절연체를 제공하게된다. 주형이 두개의 파트 이상으로 구성되면, 불필요한 환형 전류가 방지되도록 인접 모서리상에서 적절히 상호 전기 절연되게 한다.
부가적인 기본 사항으로는 주형벽 두께를 변화시켜서 주형벽의 온도를 국부적으로 제어 또는 조절을 제공한다. 벽은 두꺼울수록 천천히 가열되며, 만일 열이 잘 분산될 수 있으면 전기장의 관통 깊이는 벽두께와의 관련이 거의 없다.
이러한 목적으로, 구리, 철 또는 합금과 같은 금속같이 양호한 전기성 또는 열전도성이 있는 물질은 주형의 금속성벽에 부착될 수 있으며 고·저 맴돌이 전류 밀도 지역 사이에 전기적 브릿지로서 기능을 하며, 고·저온도 사이에 부가적인 가열 또는 균형화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물질 또는 그 적용된 양호한 금속성 물질과 특히 주형의 강철 벽과 비교되는 양호한 또는 좋지않은 열전도성 물질 및 전기적으로양호 하거나 좋지 않은 전도 물질로 금속, 합금 또는 그와같은 형태의 외부 물질의 국부적인 적용은 상기 국부 장소에 주형벽의 기본 물질보다 더 느리거나 더 급속하게 주형벽이 가열되게 하고 그리고 그 표면에 걸쳐 균일한 불규칙 형성된 주형 온도를 만든다.
도면은 주형(1)에 설치된 평면(9)을 도시하고 있는데, 평판은 여러가지 형태 및 치수를 가지며 옆면 벽 및 덮개부(5) 및 바닥부(6)와 같은 주형벽의 여러지점에 예를들어 용접으로 부착 설치할 수 있으며, 이 대신에, 이에 덧붙여서, 벽(즉, 옆면 벽 및 바닥 및 덮개에 평판(9)에 상당하는 효과를 가진 일체로 된 두꺼움이 주형벽에 제공된다.
주형벽 및 특히 평판(9)의 물질과 벽위에 장소를 적절히 선택하거나 또는 주형벽의 약화 또는 다른 물질로 주형벽의 물질을 대체 또는 다른 물질로된 주형의 구조에 있어서, 주형벽의 투자율 및 전기 전도성 및 열 전도성이 영향을 받게되어 주형벽내에 균일 온도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주형벽은 여러층으로, 예를들면 내측부에 유도성으로 가열된 금속층이 입혀진 플라스틱 물질로된 한개층으로 만들 수도 있다. 유도성 가열가능한 층내로 관통되도록 장(field)의 관통 깊이의 계산은 주의깊게 취해져야만 한다.
벽두께 보다 작은 유도 전기장 관통 깊이를 지키므로서 플라스틱 물질 또는 성분이 반응되지 않으면서 주형벽만이 유도적으로 가열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정한 금속성 주형벽 또는 주형벽내의 유도가열 가능한 층 그리고 필요한 표면도 또는 성형 온도에 필요한 주형벽에 의해 형체의 외부층 또는 표면에 공급되는 방식으로 양호하게 관통 깊이가 조정된다.
유도기의 내 단면은 직사각형이 적합하지만, 타원형이나 원통형 또는 주형의 특정 형상에 따라 적합하게 채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공정 및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예를들어 적당한 플라스틱 물질로된 원심주조 공정에서 유도 가열되는 주형내에서 목적물을 성형하기 위해 형체를 형성하는 주형이 유도기에서 회전되면,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공정 및 장치는 건조, 가압, 반등 또는 경화되는 폴리우레판 발포체와 같은 플라스틱 물질로 주조 또는 분무된 유리섬유 매트와 같은 섬유 매트용으로도 적합하다. 본원의 명세서, 청구범위 및 도면에서 기술된 모든 특징들은 주어진 방식으로 조합가능한 것이다.

Claims (14)

  1. 물질로 성형되는 특정 형태의 형체 생산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주형을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1내지 30KHz의 주파수를 가진 교류 자기장을 발생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유도 가열 수단과, 특정 형태에 물질을 부여하여 형체를 형성하도록 일부 물질을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주형을 포함하며 ; 상기 주형은 유도 가열 수단내에 배치되기에 적합하고 그리고 자기장의 영향하에서 유도적으로 가열되기에 적합한 덮개부(a lid member)와 용기형 바닥부(a bottom container-like member), 균일한 온도를 획득하도록 상기 부재의 벽에 맴돌이 전류(eddy current)흐름을 배전시키기 위한 상기 부재상의 수단, 상기 부재내의 맴돌이 전류의 흐름까지 상기 주형내의 전류 흐름을 한정하는 덮개부와 용기형 바닥부 사이에 개재된 전기 절연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 생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맴돌이 전류 흐름을 배전하는 수단은 상기 주형의 외측부상에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 생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맴돌이 전류 흐름을 배전하는 수단은 상기 주형의 외측부상에 평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 생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 생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field)발생 수단은 5KHz내지 12KHz의 주파수 범위를 상기 장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 생산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 부재의 적어도 한개와 맴돌이 전류 흐름을 배전하는 수단에는 동일한 물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 생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부재의 외측벽은 다른 금속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 생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적어도 한개의 외측벽은, 상기 유도 가열 수단에 의해 유도적으로 가열 가능하지 않은 물질층과, 상기 유도 가열 수단에 의해 유도적으로 가열가능한 물질의 적어도 한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 생산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층은 금속과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 생산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은 상기 덮개부와 상기 용기형 바닥부를 함께 유지하는 다수개의 힌지 및 로킹 수단도 포함하며, 상기 힌지 및 상기 로킹 수단은 상기 부재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채 생산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 부재는 다른 주형 부재상에 놓인 로킹 수단에 의해 함께 유지되고 그리고 상기 폐쇄 및 로킹 수단은 상기 부재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 생산 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유도성 가열수단에 의해 유도적으로 가열 가능하지 않은 물질로부터 구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 생산 장치.
  13. 물질로 성형되는 특정 형태의 형체 생산용 공정에 있어서, 상기 공정은 자기장의 영향하에서 유도적으로 가열되기에 적합한 부재를 가진 덮개부와 용기형 바닥부, 상기 부재내의 균일한 온도 배전을 획득하기 위해 맴돌이 전류 흐름을 배전하기 위한 주형 부재상에 수단, 및 상기 부재내의 맴돌이 전류의 흐름까지 상기 주형내의 전류 흐름을 한정하기 위한 부재사이에 개재된 전기 절연 수단을 구비하는 주형으로서, 특정 형태를 물질에 부여하기 위해 전기적 유도가능한 주형내로 물질을 유입하는 단계와 ; 맴돌이 전류까지 상기 주형내의 전류 흐름을 한정하는 전기 절연 수단으로서, 상기 부재내의 맴돌이 전류가 상기 부재를 유도적으로 가열하도록 생산하기 위해 상기 주형에 대하여 1내지 30KHz의 주파수를 가진 교류 자기장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전기성 유도 가열 수단내로 상기 주형을 유입하는 단계와 ; 상기 물질이 상기 주형내에서 작용하도록 허용하는 단계와 ; 상기 유도성 가열 주형 부재와 접촉하는 일부분의 물질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 생산공정.
  14. 제13항에 있어서, 맴돌이 전류 흐름을 배전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주형 부재의 외측벽 상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 생산공정.
KR1019860000256A 1985-01-17 1986-01-17 주형내 형체 생산 공정 및 장치 KR9300007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0010485A AT383775B (de) 1985-01-17 1985-01-17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formkoerpern
AT104/85 1985-0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688A KR860005688A (ko) 1986-08-11
KR930000744B1 true KR930000744B1 (ko) 1993-01-30

Family

ID=3481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0256A KR930000744B1 (ko) 1985-01-17 1986-01-17 주형내 형체 생산 공정 및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4731206A (ko)
EP (1) EP0191750B1 (ko)
JP (1) JPH0643072B2 (ko)
KR (1) KR930000744B1 (ko)
AT (1) AT383775B (ko)
AU (1) AU584969B2 (ko)
BR (1) BR8600204A (ko)
CA (1) CA1281877C (ko)
DE (1) DE3665148D1 (ko)
ES (1) ES8701582A1 (ko)
MX (1) MX165175B (ko)
PT (1) PT81858B (ko)
YU (1) YU457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5908B2 (ja) * 1996-07-05 1999-10-18 株式会社精工技研 調温液体シール手段を備える光ディスク成形用金型装置
DE10108570C2 (de) * 2001-02-22 2003-05-28 Laeis & Bucher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Formkörpers
GB0311494D0 (en) * 2003-05-20 2003-06-25 Stanelco Fibre Optics Ltd Making foamed bodies
US20100179239A1 (en) * 2009-01-14 2010-07-15 Automotive Interior Consulting Method of minimizing compression set of foam
KR20130101104A (ko) 2010-11-04 2013-09-1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필터 요소를 형성하는 방법
US20130306552A1 (en) * 2010-11-04 2013-11-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forming filter elements
DE102016116473B4 (de) 2016-09-02 2023-01-05 Gottlob Thumm Maschinenbau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Isolieren von Wicklungen tragenden elektrischen Bauteilen
FR3120008B1 (fr) * 2021-02-22 2024-03-15 Airbus Operations Sas Dispositif de consolidation d’une pièce en matériau composite par chauffage par induc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0614901A (en) * 1905-10-28 1906-10-11 Auergesellschaft Gmbh Improved Method of Producing Metallic Electrical Incandescence Bodies.
DE554028C (de) * 1930-09-26 1932-07-04 Paul Klein Dr Vorrichtung zur induktiven elektrischen Beheizung von Vulkanisierformen
US2560783A (en) * 1948-12-04 1951-07-17 Us Rubber Co Molding apparatus
CH416076A (de) * 1962-04-05 1966-06-30 Freudenberg Carl F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narbten Flächengebilden aus Kunststoff
FR1580529A (ko) * 1968-07-23 1969-09-05
DE1921065A1 (de) * 1969-04-25 1970-11-12 Denso Chemi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ielektrischen Erwaermen von Objekten
SU704796A1 (ru) * 1978-06-21 1979-12-25 Московский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Институт Химическ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асбестоцементных изделий
FR2524381A1 (fr) * 1982-03-30 1983-10-07 Saint Gobain Vetrotex Pressage d'articles en polymeres thermodurcissables renforces
FR2532585A1 (fr) * 1982-09-02 1984-03-09 Dunlop Ltd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fabrication d'un article moule devant etre soumis a un echauffement et a une pression lorsqu'il est dans un moule, et moyens de chauffage pour ce dispositi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84969B2 (en) 1989-06-08
EP0191750B1 (de) 1989-08-23
ES8701582A1 (es) 1987-01-01
JPH0643072B2 (ja) 1994-06-08
ES550764A0 (es) 1987-01-01
CA1281877C (en) 1991-03-26
AT383775B (de) 1987-08-25
PT81858B (pt) 1992-05-29
BR8600204A (pt) 1986-09-30
KR860005688A (ko) 1986-08-11
ATA10485A (de) 1987-01-15
JPS61164808A (ja) 1986-07-25
AU5243286A (en) 1986-07-24
YU45759B (sh) 1992-07-20
EP0191750A2 (de) 1986-08-20
US4731206A (en) 1988-03-15
DE3665148D1 (en) 1989-09-28
EP0191750A3 (en) 1986-10-08
PT81858A (de) 1986-02-01
MX165175B (es) 1992-10-30
YU4386A (en) 1988-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0744B1 (ko) 주형내 형체 생산 공정 및 장치
CA2685143C (en) Method and device for electromagnetic welding of moulded parts
KR101291263B1 (ko) 수지 성형 장치 및 수지 성형 방법
KR102041643B1 (ko) 연속사 특히 천연기원의 섬유에 의해 강화된 열가소성 매트릭스를 가진 복합재로 형성된 부분을 압축/경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503377B1 (ko) 복잡한 형상을 갖는 복합 부품 제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00054949A2 (en) Heated too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omposite and plastic material
CN110139743A (zh) 纤维增强聚合物制造
EP041679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on moulding with dielectric heating
US11685080B2 (en) Mold with thermally conductive flanges
US8968835B2 (en) Method for heating a fiber-reinforced polymer article
WO2000071329A1 (en) Procedure and device for the moulding of composite materials
RU2125031C1 (ru) Способ химической инфильтрации в паровой фазе материала в среду волокнистого субстрата
US5935476A (en) Device for heating a press tool using magnetic induction heating; press having such a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150056071A (ko) 고정 장치, 고정 방법 및 섬유 복합재 구성요소 제작 방법
JP2000503258A (ja) プレス工具を加熱する装置、かかる装置を有するプレス、および製造方法
KR20230005332A (ko) 전자기 용접에 사용하기 위한 섬유-강화 복합 라미네이트 및 상기 라미네이트들의 성형 부품들의 전자기 용접 방법
US2650289A (en) Dielectric heating
HRP921140A2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moulded semi-products
JP2003168444A (ja)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EP4302959A1 (en) Molding tool,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part in said tool
JPH1120029A (ja) 発泡フェノール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921454B (zh) 一种加热均匀且耐高温的复合材料生产系统
JPH06339931A (ja) ゴム製品加硫槽
JPH0150591B2 (ko)
JPH0670150B2 (ja) フェノール発泡体の製造方法およびフェノール発泡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