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9860A - 재현성이 양호한 응집면역측정법 및 시약 - Google Patents

재현성이 양호한 응집면역측정법 및 시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9860A
KR20030029860A KR10-2003-7002767A KR20037002767A KR20030029860A KR 20030029860 A KR20030029860 A KR 20030029860A KR 20037002767 A KR20037002767 A KR 20037002767A KR 20030029860 A KR20030029860 A KR 20030029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antibody
monomer
group represented
immunoass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2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8102B1 (ko
Inventor
시게노부가요코
슈토겐시로
사카키순지로
Original Assignee
교와메덱스 코리미티드
노프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와메덱스 코리미티드, 노프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교와메덱스 코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29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9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1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 C08F230/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phosphor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1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characterised by its particulate fo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organic
    • G01N33/545Synthetic res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7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blood pigments, e.g. haemoglobin, bilirubin or other porphyrins; involving occult blood
    • G01N33/721Haemoglob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1Packaged device or k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961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including a step of forming, releasing, or exposing the antigen or forming the hapten-immunogenic carrier complex or the antigen per 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라텍스 등의 불용성담체입자의 응집을 안정화·균일화시켜서 재현성이 뛰어난 응집면역측정법과 이에 사용하는 면역측정시약을 제공하는 것이다. 항원 또는 항체를 실질적으로 결합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는 불용성 담체입자에 대하여, 피검시료중의 항원성물질을 결합시키고, 상기 항원물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 또는 항체복합체를 결합시켜서 불용성담체입자를 선택적으로 응집시키는 응집면역측정법에 있어서, 2-메타크리로일옥시에틸포스포릴콜린 등의 포스포릴콜린기와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를 단독중합, 혹은 상기 포스포릴콜린기와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와 메타크릴산-n-부틸 등의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를 공중합한 폴리머를 사용한다.

Description

재현성이 양호한 응집면역측정법 및 시약{HIGHLY REPRODUCIBLE AGGLUTINATION IMMUNOASSAY METHOD AND REAGENTS}
근년, 병원, 검사센터 등에 있어서, 일손부족과, 비용삭감, 혹은 다량의 검체처리 등의 문제 때문에, 임상검사 등의 모든 검사의 자동화, 측정시간의 단축화를 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자동화에 적합한 방법으로서, 불용성담체입자의 응집반응을 이용하여 항원성물질을 정량하는 응집면역측정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7-35752호 공보에는 항원 또는 항체를 실질적으로 결합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는 불용성담체입자에 대하여, 피검시료중의 항원성물질을 결합시키고, 그 항원성물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 또는 항체복합체를 결합시켜서 불용성담체입자를 선택적으로 응집시키는 면역측정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불용성담체입자와, 항원 또는 항체가 응집반응을 일으킬 때의 응집의 불균일화에 의해서, 재현성이 양호하게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것이 어렵고, 특히, 항원 또는 항체를 실질적으로 결합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는 불용성담체입자에 대하여 피검시료중의 항원성물질을 결합시키고, 그 항원성물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 또는 항체복합체를 결합시켜서, 불용성담체입자를 선택적으로 응집시키는 응집면역측정법에 있어서는 항체의 불용성담체입자에로의 직접결합 등의 문제도 있으며, 더 한층의 재현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항원 또는 항체를 실질적으로 결합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는 불용성담체입자에 대하여, 피검시료중의 항원성물질을 결합시키고, 그 항원성물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 또는 항체복합체를 결합시켜서, 불용성담체입자를 선택적으로 응집시키는 응집면역측정법에 있어서, 응집을 안정화·균일화시켜, 비특이적흡착을 방지하고, 재현성을 개선하는 방법과 여기에 사용하는 면역측정시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생체시약 등의 수용성매체중의 항원성물질을 응집반응을 이용하여 면역학적으로 측정하는 응집면역측정법과, 여기에 사용되는 면역측정시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항원 또는 항체를 실질적으로 결합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는 불용성담체입자에 대하여, 피검시료중의 항원성물질을 결합시키고, 그 항원성물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 또는 항원복합체를 결합시켜서 불용성담체입자를 선택적으로 응집시키는 응집면역측정법에 있어서, 포스포릴콜린 유사기를 갖는 화합물이 항원항체반응에 의한 담체입자의 응집을 촉진, 균일화하는 작용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 작용에 의해 응집면역측정에 있어서의 응집량의 안정화·균일화와 재현성의 개선이 달성되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는데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항원 또는 항체를 실질적으로 결합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는 불용성담체입자에 대하여, 피검시료중의 항원성물질을 결합시키고, 그 항원성물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 또는 항체복합체를 결합시켜서 불용성담체입자를 선택적으로 응집시키는 응집면역측정법에 있어서,
식(Ⅰ)
(식 중, n은 1∼6의 정수, R1, R2및 R3은 동일하거나 다르며, 수소, 탄소수 1∼6의 치환 또는 비치환알킬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면역측정법(청구항 1)과,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의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단량체를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응집면역측정법(청구항 2),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이,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단량체와, 상기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단량체와 중합가능한 다른 단량체를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응집면역측정법(청구항 3)과,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단량체와 중합가능한 다른 단량체가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응집면역측정법(청구항 4)과,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가 메타크릴산-n-부틸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응집면역측정법(청구항 5)과,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단량체가 식(Ⅰ)로 표시되는 기와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응집면역측정법(청구항 6)과, 식(Ⅰ)로 표시되는 기가 포스포리콜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응집면역측정법(청구항 7)과, 식(Ⅰ)로 표시되는 기와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가 2-메타크리로일옥시에틸포스포릴콜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6에 기재된 응집면역측정법(청구항 8)과, 항체가 항헤모글로빈A1c모노크로날항체인 청구항 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응집면역측정법(청구항 9)과, 항체복합체가 항원성물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와, 이에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제2항체로 이루어지는 청구항 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응집면역측정법(청구항 10)과, 불용성담체가 폴리스틸렌계 라텍스인 청구항 1∼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응집면역측정법(청구항 11)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항원 또는 항체를 실질적으로 결합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는 불용성담체입자에 대하여 피검시료중의 항원성물질을 결합시키고, 그 항원성물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 또는 항체복합체를 결합시켜서, 불용성담체입자를 선택적으로 응집시키는 응집면역측정법에 사용하는
식(Ⅰ)
(식 중, n은 1∼6의 정수, R1, R2및 R3은 동일하거나 다르며, 수소, 탄소수 1∼6의 치환 또는 비치환알킬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측정시약(청구항 12)과,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이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단량체를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화합물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2에 기재된 면역측정시약(청구항 13)과,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이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단량체와, 상기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단량체와 중합가능한 다른 단량체를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2에 기재된 면역측정시약(청구항 14)과,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단량체와 중합가능한 다른 단량체가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4에 기재된 면역측정시약(청구항 15)과,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가 메타크릴산-n-부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5에 기재된 면역측정시약(청구항 16)과,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단량체가 식(Ⅰ)로 표시되는 기와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3∼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면역측정시약(청구항 17)과, 식(Ⅰ)로 표시되는 기가 포스포릴콜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2∼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면역측정시약(청구항 18)과, 식(Ⅰ)로 표시되는 기와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가 2-메타크리로일옥시에틸포스포릴콜린인 청구항 17에 기재된 면역측정시약(청구항 19)과, 항체가 항헤모글로빈A1c모노크로날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2∼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면역측정시약(청구항 20)과, 항체복합체가 항원성물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와, 이에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제2항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2∼2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면역측정시약(청구항 21)과, 불용성담체가 폴리스틸렌계 라텍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2∼2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면역측정시약(청구항 22)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응집면역측정법으로서는 항원 또는 항체를 실질적으로 결합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는 불용성담체입자에 대하여, 피검시료중의 항원성물질을 결합시키고, 상기 항원성물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 또는 항체복합체를 결합시켜서 불용성담체입자를 선택적으로 응집시키는 응집면역측정법에 있어서, 이하에 나타내는
식(Ⅰ)
(식 중, n은 1∼6의 정수, R1, R2및 R3은 동일하거나 다르며, 수소, 탄소수 1∼6의 치환 또는 비치환 알킬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또, 본 발명의 면역측정시약으로서는 항원 또는 항체를 실질적으로 결합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는 불용성담체입자에 대하여, 피검시료중의 항원성물질을 결합시키고, 그 항원성물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 또는 항체복합체를 결합시켜서, 불용성담체입자를 선택적으로 응집시키는 응집면역측정법에 사용하는 식(Ⅰ)로 표시되는 포스포릴콜린 유사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여기서 말하는 결합이란 물리흡착, 화학결합의 양쪽을 의미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불용성담체입자로서는, 항원 또는 항체를 실질적으로 결합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피검시료중의 항원성물질을 결합시킬 수가 있는 불용성입자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일본국 특공소 58-11575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공지의 유기고분자물질의 미립자나, 무기산화물의 미립자나, 혹은 핵이 되는 이들 물질의 표면을 유기물 등으로 표면처리한 미립자를 들 수가 있으며, 구체적으로, 폴리스틸렌,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메타)아크릴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합성수지(라텍스); 니트로셀루로오스, 셀루로오스, 메틸셀루로오스 등의 셀루로오스유도체; 금속, 세라믹, 유리, 실리콘라버 등의 무기물을 예시할 수가 있으며, 이들 중에서도 폴리스틸렌계 합성고분자, 특히 전하를 주기 위한 성분으로서 아크릴산계의 모노머나 술폰산을 갖는 모노머 등을 공중합한 폴리스틸렌계의 합성고분자가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불용성담체입자로서, 폴리스틸렌라텍스 등의 라텍스입자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면, 폴리스틸렌라텍스 등의 표면의 소수성이 강한 라텍스를 사용하면 단백질이나 펩티드의 흡착을 원활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솝프리(soap free)에 의해서 얻어지는 폴리스틸렌입자는 표면의 부전하(負電荷)끼리의 반발에 의하여, 계면활성제 없이도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가 있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그 밖에, 각종 변성라텍스(예를 들면, 카르본산변성라텍스), 자성라텍스(자성입자를 내포시킨 라텍스)등을 필요에 따라서 사용할 수도 있다.
정량적으로 면역측정을 실시하는 경우, 통상적으로는 불용성담체입자의 치수의 균일성, 표면상태의 제어, 내부구조의 선택 등이 고도의 차원으로 요구되지만, 이와 같은 시약용의 양호한 라텍스 등의 불용성담체입자는 시판상품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또, 불용성담체입자의 형상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구(球)형상 등을 들 수가 있으며, 구형상의 경우의 입자계로서는 예를 들면, 평균입경 0.03∼0.8㎛이 바람직하며, 평균입경 0.06∼0.2㎛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불용성담체입자의 반응액중의 농도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0.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5∼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2중량%의 농도로 사용하는 것이 불용성담체입자의 응집반응을 보다 안정화·균일화할 수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식(Ⅰ)중의 n이 1∼6의 정수이며, R1, R2및 R3가 동일 또는 다를 수도 있으며, 수소, 탄소수 1∼6의 치환 또는 비치환 알킬기를 나타내는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식(Ⅰ)에 있어서의 R1, R2및 R3의 알킬부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펜틸, 헥실 등을 들 수가 있다. 또, 치환알킬의 치환기로서는 치환수 1∼3의 예를 들면, 히드록시, 알릴 등을 들 수가 있고, 알릴로서는 벤질, 나프틸 등을 예시할 수가 있다.
또,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단량체, 바람직하게는 식(Ⅰ)로 표시되는 기와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를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화합물과,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단량체, 바람직하게는 식(Ⅰ)로 표시되는 기와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와, 이와 같은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단량체와 중합가능한 다른 단량체를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화합물을 들 수가 있다. 또,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단량체와 중합가능한 다른 단량체로서는비닐기를 갖는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식(Ⅰ)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포스포릴콜린기(이하, PC기라고 약기한다)를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가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PC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또, PC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PC기를 갖는 단량체, 바람직하게는 PC기와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를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고분자화합물과, PC기를 갖는 단량체, 바람직하게는 PC기와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와, 이와 같은 PC기를 갖는 단량체와 중합가능한 다른 단량체를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고분자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PC기와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2-아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포릴콜린,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포릴콜린(이하, MPC로 약기한다),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에틸포스포릴콜린, 6-(메타)아크릴로일옥시헥실포스포릴콜린, 10-(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노닐포스포릴콜린, 아릴포스포릴콜린, 부테닐포스포릴콜린, 헥세닐포스포릴콜린, 옥테닐포스포릴콜린 데세닐포스포릴콜린 등을 구체적으로 들 수가 있다. 또, 이들 단량체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58-154591호 공보 등에 개시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PC기를 갖는 단량체와 중합가능한 다른 단량체, 바람직하게는 비닐기를 갖는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메틸, (메타)아크릴산에틸, (메타)아크릴산-n-부틸, (메타)아크릴산이소부틸,. (메타)아크릴산펜틸, (메타)아크릴산헥실, (메타)아크릴산헵틸, (메타)아크릴산옥틸, (메타)아클리산트리데실,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아크리레이트; 스틸렌, α-메틸스틸렌, 메틸핵치환스틸렌, 클로로헥치환스틸렌 등의 스틸렌계단량체;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부틸렌 등의 치환 또는 비치환탄화수소계 단량체;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계 단량체; 에틸비닐에테르, n-부틸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계 단량체; 디에틸이타코네이트, 디-n-부틸이타코네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 중에서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스틸렌 등이 바람직하며, 특히 메타크릴산-n-부틸(이하, BMA라 한다)이 바람직하다.
PC기 함유중합체를 조제하는데는, 상기 PC기를 갖는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성분을 예를 들면, 중합개시제를 사용한 라디칼중합 등의 통상적 중합방법으로 중합시키는 것에 의해 얻을 수가 있다. 또, 중합개시제로서는 통상의 라디칼중합개시재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노아미틴)중염산염,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르산), 2,2'아조비스-(2-(5-메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판중염산염, 2,2'-아조비스이소부틸아미드2수화물,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과황산암모늄, 과황산칼륨, 과산화벤조일, 디이소프로필펠옥시디카르보네이트, t-부틸펠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부틸벨옥시피바레이트, t-부틸펠옥시디이소부틸레이트, 과산화라우로일,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바레로니트릴), t-부틸펠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와,이들의 혼합물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 예시할 수가 있다. 특히, 상기 MPC를 단독중합시킬 때, 혹은 MPX와 비닐기를 갖는 BMA 등의 다른 단량체를 중합시킬 때에는 중합성 등의 점 때문에 중합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이하, AIBN이라 한다.)를 사용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합개시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사용하는 전체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10중량부가 바람직하며, 0.1∼5중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중합조건은 바람직하게는 30∼80℃, 특히 바람직하게는 40℃∼70℃에 있어서 2∼72시간 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중합반응을 보다 원활하게 실시하기 위하여 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용매로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t-부탄올, 벤젠, 톨루엔, 디메틸포름아미드, 테트라히드로푸란, 클로로포름과,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가 있다. 특히, 상기 MPC를 단독중합시킬 때, 혹은 MPC와 비닐기를 갖는 다른 단량체를 중합시킬 때에는 용해성, 중합성 등때문에 물,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얻어진 중합체의 정제(精製)는 재침전법, 투석법, 한외여과법 등 일반적인 정제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가 있다.
또, PC기 함유중합체중의 PC기 함유비율은 PC기 함유중합체에 대하여, 1∼100몰%, 특히 5∼10몰%가 바람직하다. 함유비율이 1몰%미만의 경우에는 비특이적흡착을 방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PC기 중합체는 중합온도, 중합개시제의 사용량, 중합도조정제의 사용 등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수평균분자량(Mn) 100∼1,000,000, 특히 1,000∼500,000의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PC기를 갖는 화합물의 반응액중의 농도로서는 특히 제한되지 않으나, 0.0001∼10%가 바람직하며, 0.001∼5%가 보다 바람직하고, 0.01∼1%가 특히 바람직하다. 0.0001% 미만에서는 재현성의 개선효과가 약하고, 또, 10% 이상에서는 거품이 심해지며, 기포에 의한 측정오차를 초래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PC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MPC의 단독중합체 혹은, MPC와 BMA의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응집면역측정법이란, 항원 또는 항체를 실질적으로 결합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는 불용성담체입자에 대하여, 피검시료중의 항원성물질을 결합시키고, 상기 항원성물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 또는 항체복합체를 결합시켜서 불용성담체입자를 선택적으로 응집시키는 방법을 말하는 바,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항체 또는 항체복합체가 불용성담체입자에 결합된 항원성물질 뿐 아니라, 미결합의 항원성물질과도 반응하여 측정값에 영향을 주게 될 때에는, 피검시료중의 항원성물질을 불용성담체입자에 결합시킨 후에 그 불용성담체를 세정하여 미결합의 항원성물질을 제거하는 방법, 불용성담체입자에 결합되는 항원성 물질의 비율을 높게 하는 방법, 또 불용성담체입자에 결합된 항원성물질과는 반응하지만, 액상중의 항원성물질과 실질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항체 또는 항체복합체를 사용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불용성담체입자는 완충액 등의 수성매체중에 현탁시킨, 이른바 라텍스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완충액조제용의 완충제로서는 예를 들면, 인산, 탄산, 유기산완충제 외에, Good's 완충제라고 불리는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들을 함유하는 액의 pH를 조절하는 산 종류로서는 통상적인 염산, 황산, 초산 등의 무기산 외에, 아세트산 등의 유기산을 사용할 수가 있고, 또, pH를 조절하는 알카리로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수산화암모늄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검체중의 지질(脂質)의 가용화에효과가 있는 계면활성제도 사용할 수가 있으며, 특히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기를 갖는 노니온계 계면활성제나 그 밖에 양이온계, 음이온계의 계면활성제도 필요에 따라서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응집면역측정법의 측정대상인 피검시료중의 항원성물질로서는 불용성담체에로의 결합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항원성물질에 대응하는 폴리크로날항체나 모노크로날항체가 입수 또는 조제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폴리크로날항체나 모노크로날항체조제의 용이성때문에, 상기 항원성물질은 분자량 10,000이상의 단백질, 당단백질 등의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피검시료중의 항원성물질로서는 혈액시료중의 헤모글로빈 Alc(이하, HbAlc로 약기한다.)를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항원성물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로서는 폴리크로날항체 및/또는 모노크로날항체를 사용할 수가 있으나, 모노크로날항체는 Koehler & Milstein 등이 보고한 세포융합법(Nature, 256, 495∼497. 1975)에 의해 얻을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HbAlc에 대응하는 항체로서는 항 HbAlc 모노크로날항체를 예시할 수가 있다.
그런데, ELISA법으로 선별하여 얻은 하이브리도마(hybridoma) 세포가 생산하는 모노크로날항체 중에, 라디오면역측정(RIA)와 같이 항원과 항체를 액상중에서 반응시키는 분석계에서는 반응하지 않는다고 항체가 존재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바, 본 발명의 응집면역측정법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모노크로날항체를 사용하는 것은, 액상중의 항원성물질과는 반응하지 않고, 불용성담체입자에 고상화(固相化)된 항원성물질과 특이적으로 반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응집면역측정법에 있어서는 항원성물질을 라텍스 등의 불용섬담체입자에 결합시킨 후, 모노크로날항체를 반응시켜도 라텍스 등의 불용성담체입자가 응집하지 않을 가능성이 고려되는 바,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항체복합체를 사용하여 응집을 일으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와 같은 모노크로날항체와, 이에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제2항체를 반응시켜서 모노크로날항체복합체를 사전에 형성시키고, 이와 같은 항체복합체를 라텍스 등의 불용성담체입자에 흡착한 항원성물질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하여, 라텍스 등의 불용성담체입자끼리를 응집시킬 수가 있다. 상기 외에, 항체복합체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비오틴표지를 한 모노크로날항체에 아비딘을 가하여 복합체로 하는 방법과, 예를 들면, 항체를 효소표지할 때에 사용되는 화학결합에 의한 방법 등을 들 수가 있다.
불용성담체입자에 결합시킨 항원성물질에, 상기 항원성물질에 특이적인 항체 또는 항체복합체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하여, 불용성담체의 선택적인 응집을 일으킬 수가 있는 본 발명에 의하면, 면역측정시약의 제조가 단순, 용이하기 때문에, 보존안정성이 높은 면역측정시약으로 할 수가 있다. 즉, 라텍스 등의 불용성담체입자에 항원이나 항체가 실질적으로 결합되어 있지 않기 대문에, 상기 불용성담체입자로서 시판하는 미결합라텍스입자 등의 불용성담체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항체에 대해서도 반드시 정제품이여하 할 필요는 없으며, 또 시약이 단순하기 때문에 보존안정성을 높게 유지할 수가 있다.
또, 피검시료중의 항원성물질을 수성매체중에서 라텍스 등의 불용성담체입자에 결합·흡착시킨 후, 그 항원성물질에 대하여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항체복합체를 포스포릴콜린기 등의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성매체중에서 결합시킨 것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라텍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불용성담체입자를 응집시키고, 응집정도를 측정할 때에 사용하는 상기 수성매체로서는 상기 항체 또는 항체복합체의 라텍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불용성담체입자에로의 비특이적 흡착·결합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항체 또는 항체복합체의 불용성담체에로의 흡착·결합을 방지할 수 있는 수성매체로서는 트윈(Tween) 20 등의 계면활성제를 0.1∼0.3%정도 포함하고 있는 수성매체를 구체적으로 예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응집반응을 실시하는 용기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이런 종류의 응집반응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예를 들면, 폴리스틸렌제 시험관의 튜브형상의 용기를 사용할 수가 있다. 또, 다수검체의 동시처리가 용이한 점을 고려하면, 복수의 웰을 갖는 ELISA용 플레이트(예를 들면, 날제눈인터내셔날(Nalge Nunc International)사 제품 6웰 ELISA용 플레이트「NUNC-IMMUNO PLATE」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광학적 방법에 의한 라텍스 등 불용성담체입자의 응집의 측정을 용이하게 하는 점에 있어서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용기를 사용하여 반응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 자동분석기를 이용하여 라텍스 등의 불용성담체입자의 응집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상기 분석기중의 반응탱크안에서 응집반응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불용성담체입자의 응집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응집을 정성적 내지 반(半)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경우에는,이미 알고 있는 시료의 탁도의 정도와의 비교로부터 상기 불용성담체입자의 응집의 정도를 눈으로 판정할 수가 있다(예를 들면, 응집이 적은 것은 투명감이 있다.). 한편, 상기 응집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광학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간편성의 점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라텍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불용성담체입자의 응집의 광학적측정법으로서는 공지의 광학적측정법이 이용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응집덩어리의 형성을 탁도의 증가로서 파악하는 소위 비탁법, 응집덩어리의 형성을 입도분포 및 평균입경의 변화로서 파악하는 입도분포에 의한 측정법, 응집덩어리의 형성에 의한 전방산란광의 변화를 적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투과광의 강도와의 비를 측정하는 적분구탁도법 등의 각종 광학적측정방법을 이용할 수가 있으며, 또 이들 측정법의 각각에 대하여 속도시험(레이트분석: 상이한 시점에서 적어도 2개의 측정값을 얻고, 이들의 시점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측정값의 증가분, 즉 증가속도에 의거하여 응집의 정도를 구한다)과, 종점시험(앤드포인트분석; 통상, 반응의 종점이라고 생각되는 특정시점에서 하나의 측정값을 얻고, 이 측정값에 의해 응집의 정도를 구한다)을 사용할 수가 있으나, 측정의 간편성, 신속성의 점에 있어서 비탁법을 사용한 속도시험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용성담체입자의 응집의 광학적측정에 있어서는 라텍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불용성담체입자의 평균입경이 0.04∼0.8마이크론정도의 범위에서는 400∼1400nm정도의 파장의 광을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면역측정시약으로서는 목적으로 하는 항원성물질을 측정하는 시약과 포스포릴콜린기 등의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라면, 그 시약구성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불용성담체입자, 완충제, 시약중의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 및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고, 필요에 따라서 계면활성제, 방부재, 시료중의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 등을 함유하는 시약킷을 들 수가 있으며, 특히 불용성담체입자 및 완충제를 포함하는 제1시약과,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 및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를 포함하는 제2시약으로 이루어지는 시약킷을 구체적으로 예시할 수가 있으며, 이와 같은 시약킷에 있어서의 제1시약 및 제2시약에는 필요에 따라서 다시 계면활성제, 방부제, 시료중의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 상기 항체에 결합하는 항체복합체형성용 항체등을 함유시켜 놓을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비교예, 참고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의 기술적범위는 이와 같은 실시예 등에 의해 아무런 제한을 받지 않는다.
실시예 1
하기 조성의 시약을 조제하였다.
[R1 시약]
HEPES완충제(도진카가쿠사 제조, pH7.8)4.77g/L
라텍스입자(입경 0.0775㎛, 세키스이카가쿠사 제조) 0.033중량%
NaN3(간토우카가쿠사 제조) 0.1g/L
[R2시약]
HEPES완충제(도진카가쿠사 제조, pH7.0)4.77g/L
염화나트륨(와코쥰야쿠사 제조)15g/L
폴리머-2(참고예 2에서 제조)2g/L
NaN3(간토우카가쿠사 제조)0.1g/L
항 인체Hblc마우스모노크로날항체0.025g(IgG환산)/L
항 마우스IgG야기폴리크로날항체(와코쥰야쿠사 제조)0.025g(IgG환산)/L
실시예 2
하기 조성의 시약을 조제하였다.
[R1시약]
HEPES완충제(도진카가쿠사 제조, pH7.8)4.77g/L
라텍스입자(입경 0.0775㎛, 세키스이카가쿠사 제조) 0.033중량%
NaN3(간토우카가쿠사 제조)0.1g/L
[R2시약]
HEPES완충제(도진카가쿠사 제조, pH7.0)4.77g/L
염화나트륨(와코쥰야쿠사 제조)15g/L
폴리머-2(참고예 3에서 제조)2g/L
NaN3(간토우카가쿠사 제조)0.1g/L
항 인체Hblc마우스모노크로날항체0.025g(IgG환산)/L
항 마우스IgG야기폴리크로날항체(와코쥰야쿠사 제조)0.025g(IgG환산)/L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폴리머2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폴리머3을 대신하여 트윈20을 포함하는 하기 조성의 시약을 조제하였다.
[R1시약]
HEPES완충제(도진카가쿠사 제조, pH7.8)4.77g/L
라텍스입자(입경 0.0775㎛, 세키스이카가쿠사 제조) 0.033중량%
NaN3(간토우카가쿠사 제조)0.1g/L
[R2시약]
HEPES완충제(도진카가쿠사 제조, pH7.0)4.77g/L
염화나트륨(와코쥰야쿠사 제조)15g/L
트읜20(와코쥰야쿠사 제조)2g/L
NaN3(간토우카가쿠사 제조)0.1g/L
항 인체Hblc마우스모노크로날항체0.025g(IgG환산)/L
항 마우스IgG야기폴리크로날항체(와코쥰야쿠사 제조)0.025g(IgG환산)/L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폴리머2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폴리머3을 대신하여 브릿지30을 포함하는 하기 조성의 시약을 조제하였다.
[R1시약]
HEPES완충제(도진카가쿠사 제조, pH7.8)4.77g/L
라텍스입자(입경 0.0775㎛, 세키스이카가쿠사 제조) 0.033중량%
NaN3(간토우카가쿠사 제조)0.1g/L
[R2시약]
HEPES완충제(도진카가쿠사 제조, pH7.0)4.77g/L
염화나트륨(와코쥰야쿠사 제조)15g/L
브릿지30(시그마사 제조)2g/L
NaN3(간토우카가쿠사 제조)0.1g/L
항 인체Hblc마우스모노크로날항체0.025g(IgG환산)/L
항 마우스IgG야기폴리크로날항체(와코쥰야쿠사 제조)0.025g(IgG환산)/L
비교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폴리머2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폴리머3을 대신하여 브릿지56을 포함하는 하기 조성의 시약을 조제하였다.
[R1시약]
HEPES완충제(도진카가쿠사 제조, pH7.8)4.77g/L
라텍스입자(입경 0.0775㎛, 세키스이카가쿠사 제조) 0.033중량%
NaN3(간토우카가쿠사 제조)0.1g/L
[R2시약]
HEPES완충제(도진카가쿠사 제조, pH7.0)4.77g/L
염화나트륨(와코쥰야쿠사 제조)15g/L
브릿지56(시그마사 제조)2g/L
NaN3(간토우카가쿠사 제조)0.1g/L
항 인체Hblc마우스모노크로날항체0.025g(IgG환산)/L
항 마우스IgG야기폴리크로날항체(와코쥰야쿠사 제조)0.025g(IgG환산)/L
실시예 3
인체혈액을 EDTA채혈관(베노젝트진공채혈관 테루모사 제조)으로 채혈한 후, 2시간방치하여 침전한 혈구층10㎕을 취하고, 정제수 1㎖로 희석하고, 이를 -20℃에서 냉동보존하여 사용직전에 융해시킨 것을 검체로하고,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및 비교예 3에서 각각 제작한 R1시약과 R2시약을 사용하여 HbAlc농도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또, 검량선은 자동글리코헤모글로빈분석계 HLC-723GHbV(도소사 제조)에 의한 측정으로 HbAlc값이 0.0%, 4.2%, 7.7%, 11.3%, 14.8%이었던 표준검체를 개봉직후의 시약을 사용하여 작성하였다. 검체중의 HbAlc의 측정은 R1시약용액 240㎕에 상기 조제한 검체를 8.0㎕첨가하고, 37℃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R2시약용액 80㎕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후에 2포인트 앤드법(측광포인트 16-34), 주파장 450nm, 부파장 800nm에서 흡광도변화량을 히다치자동분석장치 7170형을 사용하여 실시하고, 검량선에 의해 구하였다. 이 조작을 반복하여 합계 10회씩 측정하고, 평균값, 표준편차, 및 동시재현성[(표준편차x100)/평균]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1 및 실시예 2에 있어서는 비교예 1∼3과 비교하여 응집량이 안정화되어 재현성의 개선이 확인되었다.
측정회수 실시예 1 실시예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1 6.3 6.3 6.3 6.3 6.5
2 6.4 6.3 6.4 6.4 6.4
3 6.3 6.3 6.3 6.3 6.1
4 6.3 6.3 6.4 6.2 6.3
5 6.3 6.3 6.3 6.6 6.2
6 6.4 6.4 6.5 6.5 6.4
7 6.3 6.3 6.2 6.2 6.5
8 6.3 6.3 6.2 6.2 6.3
9 6.3 6.3 6.3 6.3 6.4
10 6.3 6.3 6.4 6.2 6.4
평균 6.3 6.3 6.3 6.3 6.4
표준편차 0.040 0.030 0.090 0.133 0.120
동시재현성 0.63% 0.48% 1.42% 2.10% 1.90%
실시예 4
하기 조성의 시약을 조제하였다.
[R1시약]
HEPES완충제(도진카가쿠사 제조, pH7.8)4.77g/L
라텍스입자(입경 0.0775㎛, 세키스이카가쿠사 제조) 0.033중량%
NaN3(간토우카가쿠사 제조)0.1g/L
폴리머4(참고예 4에서 제조)1g/L
[R2시약]
HEPES완충제(도진카가쿠사 제조, pH7.0)4.77g/L
염화나트륨(와코쥰야쿠사 제조)15g/L
트읜20(와코쥰야쿠사 제조)2g/L
NaN3(간토우카가쿠사 제조)0.1g/L
항 인체Hblc마우스모노크로날항체0.025g(IgG환산)/L
항 마우스IgG야기폴리크로날항체(와코쥰야쿠사 제조)0.025g(IgG환산)/L
실시예 5
하기 조성의 시약을 조제하였다.
[R1시약]
HEPES완충제(도진카가쿠사 제조, pH7.8)4.77g/L
라텍스입자(입경 0.0775㎛, 세키스이카가쿠사 제조) 0.033중량%
NaN3(간토우카가쿠사 제조)0.1g/L
폴리머5(참고예 5에서 제조)1g/L
[R2시약]
HEPES완충제(도진카가쿠사 제조, pH7.0)4.77g/L
염화나트륨(와코쥰야쿠사 제조)15g/L
트읜20(와코쥰야쿠사 제조)2g/L
NaN3(간토우카가쿠사 제조)0.1g/L
항 인체Hblc마우스모노크로날항체0.025g(IgG환산)/L
항 마우스IgG야기폴리크로날항체(와코쥰야쿠사 제조)0.025g(IgG환산)/L
실시예 6
하기 조성의 시약을 조제하였다.
[R1시약]
HEPES완충제(도진카가쿠사 제조, pH7.8)4.77g/L
라텍스입자(입경 0.0775㎛, 세키스이카가쿠사 제조) 0.033중량%
NaN3(간토우카가쿠사 제조)0.1g/L
폴리머1(실시예 1에서 제조)0.002g/L
[R2시약]
HEPES완충제(도진카가쿠사 제조, pH7.0)4.77g/L
염화나트륨(와코쥰야쿠사 제조)15g/L
트읜20(와코쥰야쿠사 제조)2g/L
NaN3(간토우카가쿠사 제조)0.1g/L
항 인체Hblc마우스모노크로날항체0.025g(IgG환산)/L
항 마우스IgG야기폴리크로날항체(와코쥰야쿠사 제조)0.025g(IgG환산)/L
비교예 4
실시예 4에 있어서의 폴리머4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폴리머5나 실시예 6에 있어서의 폴리머1을 포함하지 않는 하기 조성의 시약을 조제하였다.
[R1시약]
HEPES완충제(도진카가쿠사 제조, pH7.8)4.77g/L
라텍스입자(입경 0.0775㎛, 세키스이카가쿠사 제조) 0.033중량%
NaN3(간토우카가쿠사 제조)0.1g/L
[R2시약]
HEPES완충제(도진카가쿠사 제조, pH7.0)4.77g/L
염화나트륨(와코쥰야쿠사 제조)15g/L
트읜20(와코쥰야쿠사 제조)2g/L
NaN3(간토우카가쿠사 제조)0.1g/L
항 인체Hblc마우스모노크로날항체0.025g(IgG환산)/L
항 마우스IgG야기폴리크로날항체(와코쥰야쿠사 제조)0.025g(IgG환산)/L
실시예 7
인체혈액 EDTA채혈관(베노젝트진공채혈관 테루모사 제조)으로 채혈한 후, 2시간방치하여 침전한 혈구층10㎕을 취하고, 정제수 1㎖로 희석하여 이를 -20℃에서 냉동보존하여 사용직전에 융해한 것을 검체로 하고, 실시예 4∼실시예 6, 비교예 4에서 제작한 R1시약과 R2시약을 각각 사용하여 HbAlc농도의 측정을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2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4∼실시예 6에 있어서는 비교예 4와 비교하여 응집량이 안정화되어 재현성의 개선이 확인되었다.
측정회수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4
1 6.3 6.3 6.3 6.5
2 6.3 6.3 6.4 6.3
3 6.3 6.2 6.2 6.3
4 6.3 6.3 6.3 6.1
5 6.3 6.3 6.2 6.2
6 6.3 6.2 6.3 6.4
7 6.3 6.3 6.3 6.3
8 6.3 6.3 6.3 6.4
9 6.2 6.3 6.3 6.3
10 6.3 6.3 6.3 6.2
평균 6.3 6.3 6.3 6.3
표준편차 0.030 0.040 0.054 0.110
동시재현성 0.48% 0.64% 0.86% 1.74%
실시예 8
하기 조성의 시약을 조제하였다.
[R1시약]
HEPES완충제(도진카가쿠사 제조, pH7.8)4.77g/L
라텍스입자(입경 0.0775㎛, 세키스이카가쿠사 제조) 0.033중량%
NaN3(간토우카가쿠사 제조)0.1g/L
폴리머4(참고예4에서 제조)2g/L
[R2시약]
HEPES완충제(도진카가쿠사 제조, pH7.0)4.77g/L
염화나트륨(와코쥰야쿠사 제조)15g/L
트읜20(와코쥰야쿠사 제조)2g/L
NaN3(간토우카가쿠사 제조)0.1g/L
항 인체Hblc마우스모노크로날항체0.025g(IgG환산)/L
항 마우스IgG야기폴리크로날항체(와코쥰야쿠사 제조)0.025g(IgG환산)/L
실시예 9
하기 조성의 시약을 조제하였다.
[R1시약]
HEPES완충제(도진카가쿠사 제조, pH7.8)4.77g/L
라텍스입자(입경 0.0775㎛, 세키스이카가쿠사 제조) 0.033중량%
NaN3(간토우카가쿠사 제조)0.1g/L
폴리머4(참고예 4에서 제조) 5g/L
[R2시약]
HEPES완충제(도진카가쿠사 제조, pH7.0)4.77g/L
염화나트륨(와코쥰야쿠사 제조)15g/L
트읜20(와코쥰야쿠사 제조)2g/L
NaN3(간토우카가쿠사 제조)0.1g/L
항 인체Hblc마우스모노크로날항체0.025g(IgG환산)/L
항 마우스IgG야기폴리크로날항체(와코쥰야쿠사 제조)0.025g(IgG환산)/L
실시예 10
인체혈액 EDTA채혈관(베노젝트진공채혈관 테루모사 제조)으로 채혈한 후, 2시간방치하여 침전한 혈구층 10㎕을 취하고, 정제수로 전량을 1㎖로 한 것을 검체 1로 하였다. 또, 인체혈액을 EDTA채혈관(베노젝트진공채혈관 테루모사제조)으로 채혈한 후, 2시간 방치하여 얻어진 상등액 4㎕과, 침전한 혈구층 10㎕을 취하고, 정제수로 전량을 1㎖로 한 것을 검체2로 하였다. 이들 검체와 실시예 4, 실시예 8, 실시예 9 및 비교예 4로 제작한 R1시약과 R2시약을 각각 사용하고, HbAlc농도의 측정을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각 검체에 대하여 3회의 측정결과를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4, 실시예 8 및 실시예 9, 특히 폴리머함량이 많은 실시예 8 및 실시예 9에 있어서는 비교예 4와 비교하여, 검체에 혈장성분이 혼입한 검체2에 있어서도 응집량이 안정화되며, 재현성의 개선이 확인되었다.
시약 검체 1 검체 2
실시예 4 6.6 6.1
실시예 8 6.7 6.5
실시예 9 6.7 6.7
비교예 4 6.6 5.1
참고예 1(폴리머 1의 합성)
MPC(노프코퍼레이션 제조) 35.7g, BMA(와코쥰야쿠사 제조), 43g을 에탄올 160g에 용해하고, 4개구의 프라스코에 넣어 30분간 질소를 취입한 후, 60℃에서 중합개시제 AIBN(와코쥰야쿠사 제조) 0.82g을 가하여 8시간 중합반응시켰다. 중합액을 3ℓ의 디에틸에테르중에서 교반하면서 적하하고 석출한 침전을 여과하여, 48시간 실온에서 진공건조를 실시하고, MPC 0.8몰, BMA 0.2몰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폴리머 1)의 분말을 얻었다. 이 폴리머1의 분자량을 겔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피(이하, GPC로 약기한다)에 의해 분석한 결과, 중량평균분자량 153,000이었다. 또한, 분석조건은 인산버퍼(pH 7.4, 20mM)를 용리액으로 하고,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표준물질로 하여 UV(210nm) 및 굴절율로 검출하였다(참고예 2∼5도 동일).
참고예 2(폴리머 2의 합성)
MPC 20.3g, BMA 9.75g을 에탄올 120g에 용해하고, 4개구의 프라스코에넣어 30분간 질소를 취입한 후, 60℃에서 AIBN 0.35g을 가하여 8시간 중합반응시켰다. 중합액을 3ℓ의 디에틸에테르중에서 교반하면서 적하하고, 석출한 침전을 여과하여 48시간 실온에서 진공건조를 실시하고, MPC 0.5몰, BMA 0.5몰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폴리머2)의 분말을 얻었다. 이 폴리머2의 분자량을 GPC에 의해 분석한 결과, 중량평균분자량 224, 000이었다.
참고예 3(폴리머3의 합성)
MPC 14.1g, BMA 15.9g을 에탄올 120g에 용해하고, 4개구의 프라스코에 넣어 30분간 질소를 취입한 후, 60℃에서 AIBN 0.35g을 가하여 8시간 중합반응시켰다. 중합액을 3ℓ의 디에틸에테르중에서 교반하면서 적하하고, 석출한 침전을 여과하여 48시간실온에서 진공건조를 실시하고, MPC 0.3몰, BMA 0.7몰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폴리머3)의 분말을 얻었다. 이 폴리머3의 분자량을 GPC에 의해 분석한 결과, 중량평균분자량 113, 000이었다.
참고예 4(폴리머4의 합성)
MPC 50.0g을 에탄올 160g에 용해하고, 4개구의 프라스코에 넣어 30분간질소를 취입한 후, 60℃에서 AIBN 0.24g을 가하여 8시간 중합반응시켰다. 중합액을 3ℓ의 디에틸에테르중에서 교반하면서 적하하고, 석출한 침전을 여과하여 48시간실온에서 진공건조를 실시하고, MPC의 호모폴리머(폴리머4)의 분말을 얻었다. 이 폴리머4의 분자량을 GPC에 의해 분석한 결과, 중량평균분자량 529, 000이었다.
참고예 5(폴리머5의 합성)
MPC 30.0g을 에탄올 120g에 용해하고, 4개구의 프라스코에 넣어 30분간질소를 취입한 후, 60℃에서 AIBN 0.48g을 가하여 8시간 중합반응시켰다. 중합액을 3ℓ의 디에틸에테르중에서 교반하면서 적하하고, 석출한 침전을 여과하여 48시간실온에서 진공건조를 실시하고, MPC의 호모폴리머(폴리머5)의 분말을 얻었다. 이 폴리머5의 분자량을 GPC에 의해 분석한 결과, 중량평균분자량 183,000이었다.
참고예 6(헤모글로빈 Alcβ사슬 N말단의 글리코펩티드에피톱에 대한 모노크로날항체의 제작)
일본국 특개평 7-35752호 공보기재의 제조예 1의 기재에 따라서, 헤모글로빈β사슬의 N말단아미노산배열에 상당하는 펩티드 Val-His-Leu-Thr-Pro-Cys를 합성하고, N말단아미노산 잔기인 Val의 α-아미노기에 글루코오스를 비효소적으로 결합시켜서, 글리코펩티드를 합성하고, 다시 스페이서에 의해 캐리어단백에 결합시켜서, 이를 면역원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HbAlc와 반응시키고, HbA0과 반응하지 않는 모노크로날항체를 얻었다. 상기 모노크로날항체는 유리의 HbAlc과는 반응하지 않고, 불용성담체입자에 결합한 HbAlc와 반응하는 항체였다.
Pc기 등의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라텍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불용성담체입자를 사용한 면역응집반응이 안정화·균일화하고, 재현성이 양호한 측정결과를 얻을 수가 있다.

Claims (22)

  1. 항원 또는 항체를 실질적으로 결합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는 불용성담체입자에 대하여, 피검시료중의 항원성물질을 결합시키고, 상기 항원성물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 또는 항체복합체를 결합시켜서 불용성담체입자를 선택적으로 응집시키는 응집면역측정법에 있어서,
    식(Ⅰ)
    (식 중, n은 1∼6의 정수, R1, R2및 R3은 동일하거나 다르며, 수소, 탄소수 1∼6의 치환 또는 비치환 알킬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응집면역측정법.
  2. 제1항에 있어서,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이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단량체를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면역측정법.
  3. 제1항에 있어서,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이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단량체와, 상기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단량체와 중합가능한 다른 단량체를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면역측정법.
  4. 제3항에 있어서,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단량체와 중합가능한 다른 단량체가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면역측정법.
  5. 제4항에 있어서,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가 메타크릴산-n-부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면역측정법.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단량체가 식(Ⅰ)로 표시되는 기와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면역측정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Ⅰ)로 표시되는 기가 포스포리콜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면역측정법.
  8. 제6항에 있어서, 식(Ⅰ)로 표시되는 기와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가 2-메타크리로일옥시에틸포스포릴콜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면역측정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항헤모글로빈A1c모노크로날항체인 응집면역측정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복합체가 항원성물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와, 이것에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제2항체로 이루어지는 응집면역측정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용성담체가 폴리스틸렌계 라텍스인 응집면역측정법.
  12. 항원 또는 항체를 실질적으로 결합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는 불용성담체입자에 대하여 피검시료중의 항원성물질을 결합시키고, 상기 항원성물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 또는 항체복합체를 결합시켜서, 불용성담체입자를 선택적으로 응집시키는 응집면역측정법에 사용하는
    식(Ⅰ)
    (식 중, n은 1∼6의 정수, R1, R2및 R3은 동일하거나 다르며, 수소, 탄소수 1∼6의 치환 또는 비치환 알킬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측정시약.
  13. 제12항에 있어서,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이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단량체를 중합시켜 얻어지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측정시약.
  14. 제12항에 있어서,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이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단량체와, 상기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단량체와 중합가능한 다른 단량체를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측정시약.
  15. 제14항에 있어서,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단량체와 중합가능한 다른 단량체가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측정시약.
  16. 제15항에 있어서,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가 메타크릴산-n-부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측정시약.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Ⅰ)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단량체가 식(Ⅰ)로 표시되는 기와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측정시약.
  18.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Ⅰ)로 표시되는 기가 포스포릴콜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측정시약.
  19. 제17항에 있어서, 식(Ⅰ)로 표시되는 기와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가 2-메타크로일옥시에틸포스포릴콜린인 면역측정시약.
  20.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항 헤모글로빈A1c모노크로날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측정시약.
  21. 제12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복합체가 항원성물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와, 이것에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제2항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측정시약.
  22. 제12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용성담체가 폴리스틸렌계 라텍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측정시약.
KR1020037002767A 2000-08-29 2001-08-28 재현성이 양호한 응집면역측정법 및 시약 KR100778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59964 2000-08-29
JPJP-P-2000-00259964 2000-08-29
PCT/JP2001/007385 WO2002018953A1 (fr) 2000-08-29 2001-08-28 Reactifs et methode d'immunoessai d'agglutination fortement reproducti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9860A true KR20030029860A (ko) 2003-04-16
KR100778102B1 KR100778102B1 (ko) 2007-11-27

Family

ID=18748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767A KR100778102B1 (ko) 2000-08-29 2001-08-28 재현성이 양호한 응집면역측정법 및 시약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166476B2 (ko)
EP (1) EP1314982B1 (ko)
JP (1) JP4733335B2 (ko)
KR (1) KR100778102B1 (ko)
CN (1) CN1215333C (ko)
AT (1) ATE438097T1 (ko)
AU (1) AU2001280210A1 (ko)
CA (1) CA2420770C (ko)
DE (1) DE60139408D1 (ko)
WO (1) WO20020189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5338A (ko) * 2016-05-30 2019-02-13 에이껜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항인간 헤모글로빈 모노클로날 항체 또는 항체 키트, 항인간 헤모글로빈 모노클로날 항체 고정화 불용성 담체 입자, 및 이들을 이용한 측정 시약 또는 측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0361B2 (ja) * 2000-09-22 2011-05-11 一彦 石原 分離・回収方法
CN1281762C (zh) * 2001-04-26 2006-10-25 日本油脂株式会社 非特异杂交抑制剂、临床诊断试剂和临床分析方法
JP4577747B2 (ja) * 2001-06-05 2010-11-10 和光純薬工業株式会社 免疫学的測定法用凝集促進剤
KR20050083623A (ko) * 2002-12-10 2005-08-26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면역반응 측정방법
GB0229747D0 (en) * 2002-12-20 2003-01-29 Axis Shield Asa Assay
JP4241301B2 (ja) * 2003-09-30 2009-03-18 和光純薬工業株式会社 免疫学的測定用試薬
JP3809177B2 (ja) * 2004-05-24 2006-08-16 株式会社資生堂 アフィニティー粒子及びアフィニティー分離方法
AU2005203321A1 (en) * 2004-08-03 2006-02-23 Axis-Shield Diagnostics Limited Assay
US7846716B2 (en) 2005-04-28 2010-12-07 Fujifilm Corporation Microchip and analysis method using the same
JP4629563B2 (ja) * 2005-12-07 2011-02-09 積水メディカル株式会社 抗リン脂質抗体測定試薬
KR101440938B1 (ko) * 2005-12-07 2014-09-17 세키스이 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항인지질 항체 측정 시약 및 항트레포네마팔리덤 항체 측정시약
KR101550253B1 (ko) 2007-10-22 2015-09-04 알프레사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면역학적 미소 입자의 응집 반응을 사용하는 검체의 아크롤레인 부가체의 측정 방법 및 측정용 키트
JP2008058334A (ja) * 2007-11-21 2008-03-13 Towns:Kk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展開溶媒、測定法およびキット
EP2483418B1 (en) * 2009-09-30 2016-08-03 Department of Biotechnology A modified method of agglutination to detect infections caused by microorganisms
CN101819202B (zh) * 2010-05-06 2012-12-26 上海太阳生物技术有限公司 D-二聚体(D-Dimer)测定试剂盒(胶乳免疫比浊法)
CN102000067B (zh) * 2010-09-30 2013-04-03 苏州中药研究所 一种蛇床子素在制备防治肺纤维化药物中的应用
JP6107653B2 (ja) * 2011-06-07 2017-04-05 和光純薬工業株式会社 凝集促進剤
CN104662426B (zh) * 2012-09-27 2017-06-13 积水医疗株式会社 粒子凝集测定用胶乳粒子
WO2014112318A1 (ja) * 2013-01-16 2014-07-24 富士レビオ株式会社 検体中のヘモグロビンA1cの免疫測定方法
FR3045834B1 (fr) * 2015-12-21 2021-03-05 Biomerieux Sa Diluant de reactifs pour immunoessai
KR20210068048A (ko) 2018-09-28 2021-06-08 세키스이 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당화 헤모글로빈(%)의 측정 방법
WO2020167411A1 (en) 2019-02-15 2020-08-20 Siemens Healthcare Diagnostics Inc. Calibrators and controls for the determination of percent glycated hemoglobin in a patient's liquid test sample
JP7436838B2 (ja) 2020-05-20 2024-02-22 藤倉化成株式会社 抗体-デンドリマー複合体を用いるヘモグロビンA1cの測定方法
CN113406323B (zh) * 2021-06-18 2022-03-22 上海奥普生物医药股份有限公司 一种胶乳免疫比浊第二试剂、含其的组合及其制备方法
WO2024075847A1 (ja) * 2022-10-06 2024-04-11 積水メディカル株式会社 非特異反応抑制剤、非特異反応抑制剤の使用方法、非特異反応抑制方法、生化学的測定用試薬、検体前処理液、及び生化学的測定用試薬キ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6325B2 (ko) 1974-05-10 1979-03-27
JPS6047552B2 (ja) * 1976-04-08 1985-10-22 栄研化学株式会社 C反応性蛋白質測定用試薬
JPS5924387B2 (ja) * 1977-07-27 1984-06-08 栄研化学株式会社 リウマチ因子検出用試薬゜
JPS5811575A (ja) 1981-07-13 1983-01-22 Hohnen Oil Co Ltd 耐水性接着剤
JPS58154591A (ja) 1982-03-09 1983-09-14 Tadao Nakaya リン脂質類似モノマ−の製造法
US4609630A (en) * 1983-03-23 1986-09-02 Yanovsky Jorge F Method for improving the specificity of immunoassays
JPS61159166A (ja) * 1984-12-29 1986-07-18 Nitto Electric Ind Co Ltd 免疫学的診断試薬
JPS61274261A (ja) 1985-05-30 1986-12-04 Nitto Electric Ind Co Ltd 免疫学的診断試薬
JPH0668492B2 (ja) 1986-03-20 1994-08-31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リウマチ因子の定量法
JPS62259063A (ja) * 1986-05-02 1987-11-11 Oriental Yeast Co Ltd C−反応性蛋白質の定量方法
JP2677753B2 (ja) 1993-07-22 1997-11-17 株式会社エスアールエル 凝集イムノアッセイ法
EP0767212B1 (en) * 1995-04-03 2001-07-18 Nof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an aqueous solution of phosphorylcholine group bearing polymer and aqueous solution of phosphorylcholine group bearing polymer
KR100258305B1 (ko) * 1995-04-28 2000-07-15 가와사키 마사히로 고분자재료, 의학재료 및 액상 고분자 조성물(polymeric material, medical material and liquid polymer composition)
JP2654932B2 (ja) 1995-06-16 1997-09-17 オリエンタル酵母工業株式会社 C−反応性蛋白質測定用試薬
JP3782851B2 (ja) 1996-07-31 2006-06-07 日本油脂株式会社 蛋白質の安定化方法および組成物
JP3884510B2 (ja) * 1996-10-14 2007-02-21 日本油脂株式会社 固定化免疫学的活性物質の保存時安定化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5338A (ko) * 2016-05-30 2019-02-13 에이껜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항인간 헤모글로빈 모노클로날 항체 또는 항체 키트, 항인간 헤모글로빈 모노클로날 항체 고정화 불용성 담체 입자, 및 이들을 이용한 측정 시약 또는 측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8102B1 (ko) 2007-11-27
US7166476B2 (en) 2007-01-23
AU2001280210A1 (en) 2002-03-13
CN1215333C (zh) 2005-08-17
CN1449495A (zh) 2003-10-15
WO2002018953A1 (fr) 2002-03-07
JP4733335B2 (ja) 2011-07-27
EP1314982A1 (en) 2003-05-28
DE60139408D1 (de) 2009-09-10
EP1314982A4 (en) 2006-06-28
EP1314982B1 (en) 2009-07-29
US20030166302A1 (en) 2003-09-04
ATE438097T1 (de) 2009-08-15
CA2420770A1 (en) 2002-03-07
CA2420770C (en) 201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8102B1 (ko) 재현성이 양호한 응집면역측정법 및 시약
JP3443891B2 (ja) タンパク質吸着防止剤
US7867785B2 (en) Carrier particle latex for assay reagent and assay reagent
JP5184554B2 (ja) 検出対象の検出方法及び定量方法
JP5362797B2 (ja) 凝集反応安定化方法
JP5430804B1 (ja) 粒子凝集測定用ラテックス粒子
JP4577747B2 (ja) 免疫学的測定法用凝集促進剤
JP4853666B2 (ja) 標的物質の検出方法、混合粒子、および標的物質の検出試薬
JPH11337551A (ja) 非特異反応抑制剤、免疫測定試薬及び免疫測定方法
US20220227984A1 (en) P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particle
CN115327121A (zh) 凝血酶-抗凝血酶复合体的测定试剂及测定方法
JP4240729B2 (ja) 臨床検査用微粒子分散剤、検査用試薬、試薬の製造方法、検査方法および用途
US8227263B2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mer particles
EP2088429B1 (en) Reagent and method for immunological analysis
EP2902785B1 (en) Latex particles for particle aggregation measurement
JP2947600B2 (ja) 免疫測定法
JPH07229900A (ja) 免疫学的診断試薬
JP3644704B2 (ja) 免疫測定法
EP3951389A1 (en) Immunoassay reagent and immunoassay method
JPS63221245A (ja) 抗原−抗体反応の測定方法
JP2004325416A (ja) 測定試薬用担体粒子ラテックス及び測定試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