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7799A - 전기기기, 가열조리기, 냉장고 및 세탁기 - Google Patents

전기기기, 가열조리기, 냉장고 및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7799A
KR20030027799A KR1020020058751A KR20020058751A KR20030027799A KR 20030027799 A KR20030027799 A KR 20030027799A KR 1020020058751 A KR1020020058751 A KR 1020020058751A KR 20020058751 A KR20020058751 A KR 20020058751A KR 20030027799 A KR20030027799 A KR 20030027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means
key
electronic pap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8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5449B1 (ko
Inventor
오타노부아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30027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4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Landscapes

  • Electric Oven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기기, 가열조리기, 냉장고 및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가열조리기의 표시수단으로서 필름상의 전자페이퍼(10)를 이용하고, 이 전자페이퍼(10)를 본체(1)의 조작 패널(5)의 상부 전면(前面)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설치한다. 전자페이퍼(10)는 종이와 같이 얇기 때문에 조작 패널(5)의 전면에 거의 돌출시키지 않은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표시수단을 설치할 때 특히 내부길이 방향의 설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고, 또 설치 장소의 자유도가 커지는 이점도 있으며, 전기기기에 있어서 표시수단을 설치할 때 특히 내부길이 방향의 설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기기, 가열조리기, 냉장고 및 세탁기{ELECTRIC APPLIANCE, HEATING COOKER, REFRIGERATOR AND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표시수단을 구비한 전기기기, 가열조리기, 냉장고 및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기기, 예를 들면 가열조리기의 하나인 오븐 조리 기능 부착의 전자렌지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조리실을 구비한 캐비넷의 앞 부분에 조리실을 개폐하는 문이 설치되어 있고, 또 조작 패널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조작 패널에 조리 조건 등을 설정하는 조작 키가 설치되어 있고, 또 조리의 설정 정보나 경과 정보 또는 조리 메뉴 등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서 표시기가 설치되어 있다. 그 표시기로서는 일반적으로 액정표시기나 형광표시관이 사용되고 있고, 이들 표시기는 통상 조작 패널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표시기의 표시면을 그 개구부내에 배치한 상태로 조작 패널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표시기는 내부길이 칫수(두께 칫수)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내부길이 방향으로 비교적 큰 설치 공간이 필요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표시수단을 설치할 때, 특히 내부길이 방향의 설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는 전기기기, 가열조리기, 냉장고 및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가열조리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전자페이퍼의 표시 내용이 도 1과는 다른 상태에서의 조작 패널 부분의 정면도,
도 3은 전자페이퍼의 원리를 모식화한 단면도,
도 4는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전원회로 및 정전 검지회로를 나타내는 전기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조작패널의 정면도, (b)는 조작패널의 종단측면도,
도 7의 (a)∼(c)는 각각 전자페이퍼의 표시 내용이 다른 상태에서의 조작 패널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전체의 정면도, (b)는 (a)와는 전자페이퍼의 표시내용이 다른 상태에서의 요부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의 정면도,
도 11의 (a)∼(c)는 각각 전자페이퍼의 표시 내용이 다른 상태에서의 요부의정면도,
도 12의 (a)∼(c)는 각각 전자페이퍼에 전원이 오프되어 있을 때의 표시 내용을 나타낸 상태에서의 요부의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내는 냉장고의 외관 사시도,
도 14는 도 13 중 X-X선을 따르는 요부의 종단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내는 세탁기의 외관 사시도 및
도 16은 도 15 중 Y-Y선을 따르는 요부의 종단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51, 81 : 본체 4, 35, 54 : 문
5, 85 : 조작패널 7 : 조작 키
10, 31, 33, 37, 41, 66, 87 : 전자페이퍼(표시수단)
15 : 제어장치(제어수단)
30, 36, 40 : 조작 키(멤브레인 키(membrane key))
32, 42 : 키 명칭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발명은 전기기기에 있어서, 전압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표시 상태를 변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 페이퍼(electronic paper)로 이루어진 표시수단을 구비하며, 이 표시수단을 본체의 표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페이퍼로 이루어진 표시수단은 종이와 같이 얇기 때문에 본체의 표면에 거의 돌출시키지 않은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표시수단을 설치할 때특히 내부길이 방향의 설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고, 또 설치 장소의 자유도가 커지는 이점도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전기기기로서 가열조리기에 한정하고, 이 가열조리기에 있어서 전자페이퍼로 이루어진 표시수단을 본체의 표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가열조리기, 예를 들면 오븐 조리 기능 부착의 전자렌지의 경우, 표시기는 액정표시기로 이루어지며, 본체 전면(前面)의 조작 패널의 내측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전자렌지의 경우 조작패널의 내측은 통상 마그네트론이나 고압 트랜스 등이 설치되는 기계실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 오븐 조리 등의 시에는 고온이 된다. 이 때문에 상기 표시기를 이것의 사용 가능 온도 범위내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표시기의 주위 온도가 그 온도 이상이 되지 않는 열대책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이 점,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전자페이퍼로 이루어진 표시수단은 종이와 같이 얇기 때문에 가열조리기의 본체의 표면에 장착하도록 하여 설치할 수 있어, 특히 내부길이 방향의 설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가열조리기의 본체의 표면이면 온도도 훨씬 상승하지 않기 때문에 표시기를 조작패널의 내측에 설치하는 경우와는 달리 표시수단에 대해 특별한 열대책을 실시할 필요도 없는 이점도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전기기기로서 냉장고에 한정되며, 이 냉장고에 있어서, 전자페이퍼로 이루어진 표시수단을 본체의 표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냉장고의 경우, 표시기는 액정표시기로 이루어지며, 문 전면의 조작 패널의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문에 있어서, 그 표시기에 대응하는 부분은 단열재의 두께를 확보할 수 없게 되어, 단열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는 결점이 있다.
이 점,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전자페이퍼로 이루어진 표시수단은 종이와 같이 얇기 때문에 냉장고의 본체의 표면, 예를 들면 문의 표면에 장착하도록 하여 설치할 수 있어, 특히 내부길이 방향의 설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하면 표시수단을 설치하면서도 문의 단열재의 두께를 확보할 수 있어, 문의 단열 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도 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전기기기로서 세탁기에 한정되며, 이 세탁기에 있어서 전자페이퍼로 이루어진 표시수단을 본체의 표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세탁기의 경우, 일반적으로 표시기로서 발광 다이오드(LED)가 사용되며, 그 표시기는 본체 상부의 탑 커버의 조작 패널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도 표시기의 내부길이 칫수가 크고, 내부길이 방향의 설치 공간이 커진다.
이 점,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전자페이퍼로 이루어진 표시수단은 종이와 같이 얇기 때문에 세탁기의 본체의 표면, 예를 들면 조작 패널의 표면에 장착하도록 하여 설치할 수 있어, 특히 내부길이 방향의 설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표시수단은 본체가 구비한 조작 패널의 표면에 장착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조작 패널의 내측에 표시기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조작 패널의 내측 공간을 넓게 할 수 있어, 그곳에 다른 부품을 놓는 공간을 많게 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은, 표시수단은 조작패널에 설치된 조작 키의 표면에 이를 덮도록 배치하고, 그 조작 키와 대응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키 명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조작 키 자체에 키 명칭을 붙일 필요가 없어진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6의 발명에 있어서,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이 제어수단은 조작 키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상태일 때는 표시수단에 키 명칭을 표시시키지 않고, 조작 키의 입력을 접수하는 상태일 때만 표시수단에 키 명칭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있어 조작 키를 조작할 수 있는지 여부를 알기 쉽게 한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6의 발명에 있어서,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하나의 조작 키에 복수의 기능을 갖게 하고, 그 기능을 차례로 전환해 가는 경우에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표시수단이 표시하는 키 명칭을 상기 조작 키의 기능에 대응하는 명칭으로 전환하여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하나의 조작 키에 복수의 기능이 있어도 그 때의 기능에 있던 표시가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알기 쉽고, 조작하기 쉽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6∼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조작 키는 멤브레인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표시수단과 조작 키를 겹쳐도 두께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본체는 문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문의 표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페이퍼로 이루어진 표시수단은 상기한 바와 같이 두께가 종이와 같이 얇기 때문에 문의 표면이라도 장착하도록 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 문의 표면이라면 표시 면적을 크게 취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0의 발명에 있어서, 멤브레인 키로 이루어진 조작 키를 구비하며, 이 조작 키를 상기 문의 표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표시수단과 조작 키를 모두 문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이 제어수단은 표시수단의 전원이 오프하기 직전에 상기 표시수단에 전원이 오프되어 있을 때 전용의 표시 내용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상태인 것을 알릴 수 있다.
청구항 13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2의 발명에 있어서, 전원이 오프되어 있을 때 전용의 표시 내용은 복수 종류가 있고, 그 중에 어떤 표시를 실시할지를 사용자에 의해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전원이 오프되어 있을 때의 표시를 사용자의 기호에 맞춰 할 수 있다.
청구항 14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2의 발명에 있어서, 전원이 오프되어 있을 때 전용의 표시내용은 복수 종류 있고, 제어수단은 전원이 오프될 때마다 상기 복수종류중에서 랜덤하게 선택한 표시 내용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전원이 오프되어 있을 때의 표시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오프 상태의 표시를 싫증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전기기기로서 가열조리기에 적용한 제 1 실시예에 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에는 가열조리기로서 오븐 조리 기능이 부착된 전자렌지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이 도 1에 있어서, 본체(1)는 내부에 조리실(2)을 갖는 직사각형 상자형상의 캐비넷(3)과, 이 캐비넷(3)의 전면에 조리실(2)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설치된 문(4) 및 이 문(4)의 우측부에 설치된 조작 패널(5)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문(4)은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전면의 상부에 손잡이부(6)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패널(5)의 내측은 기계실(도시하지 않음)로 되어 있다.
상기 조작패널(5)에는 복수, 이 경우 4개의 누름 조작 가능한 조작 키(7)와, 회전조작 및 누름 조작이 가능한 1개의 손잡이(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중 각 조작 키(7)의 전면에는 대응하는 조작 키의 기능을 나타내는 키 명칭(7a)이 예를 들면 인쇄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그 표시로서는 이 경우, 「렌지」, 「오븐」, 「오토(auto)」 및 「취소」로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패널(5)의 표면 중 상부의 전면에 직사각형을 이루는 필름상의 전자 페이퍼(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자페이퍼(10)는 조작 패널(5)의 전면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도 3에는 이 전자페이퍼(10)의 원리가 모식화되어 도시되어 있다. 이 전자페이퍼(10)는 2장의 필름(11, 12)사이에 다수의 전극(13a)을 가진 전극층(13)과, 복사기로 사용되는 토너(14)가 봉해져 있고, 전압을 인가하는 것에 기초하여 토너(14)가 흡착/탈착하여 명암상태가 변화하고, 이 명암에 따라서 문자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구성으로 그 인가전압을 제어하는 것에의해 표시상태를 변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은 전자페이퍼(10)는 전원이 오프되어도 오프 직전의 표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특성이 있고, 도 1에는 「전원 오프 중」이라는 표시가 되어 있다.
도 4에는 전자렌지의 전기적 구성이 블록도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이 도 4에 있어서, 제어수단을 구성하는 제어장치(15)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주체로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조작패널(5)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장치(15)에는 상기 각 조작 키(7) 및 손잡이(8)의 입력신호, 문(4)의 개폐를 검지하는 문 스위치(16)의 검지 신호, 후술하는 정전 검지 회로(17)의 검지신호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어장치(15)는 이것들의 신호와 미리 구비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상기 전자페이퍼(10)외에 렌지 조리(마이크로파 가열))를 하기 위한 마그네트론(18), 오븐조리를 하기 위한 히터(19) 및 알림용 부저(20)를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도 5에는 제어장치(15)로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회로(21)와 상용 전원(22)의 입력의 유무를 검출하는 정전 검출 회로(23)가 도시되어 있다. 제어장치(15)로의 전원은 상용 전원(22)을 전원 트랜스(24)에 의해 강압(降壓)하고, 다이오드(25)를 브릿지 접속한 정류회로(26)로 전파(全波) 정류하고, 컨덴서(27)로 평활하고, 또 도시하지 않은 안정화 회로에 의해 안정화되어 제어장치(15)로 공급한다.
정전 검지 회로(23)에서는 전원 트랜스(24)에서 강압된 교류를 포토인터럽터(photo-interruptor)(28)에 의해 절연하고, 또 직사각형파 펄스로 정형한다.. 정전 검지 회로(23)의 정전 검지 신호는 제어장치(15)로 출력된다. 상용 전원(22)이 온(통전) 상태에서는 정전 검지 신호는 직사각형 파가 되지만 상용 전원(22)이 오프(단전) 상태가 되면 정전 검지 신호는 하이 레벨로 일정해진다.
여기서, 상용 전원(22)이 온에서 오프로 전환되면 정전 검지 신호는 직사각형파의 펄스 신호에서 바로 하이 레벨의 일정 신호로 전환되는데, 제어장치(15)의 전원은 컨덴서(27)로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바로 제어장치(15)로의 전원이 끊어지는 일은 없다. 따라서 제어장치(15)는 상용 전원(22)이 오프가 된 후도 잠시는 동작할 수 있고, 그 동안에 전자페이퍼(10)의 표시 내용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어장치(15)는 이 경우, 조리 종료 후 등에 있어서, 문(4)의 개폐 등의 조작이 전혀 없는 상태가 일정시간 계속되면 제어장치(15) 및 전자페이퍼(10) 등으로의 전원을 오프하는 오토 파워 오프(auto power-off)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전원 오프 상태에서 문(4)이 개방되면 문 스위치(16)가 온되고, 이에 기초하여 제어장치(15) 및 전자 페이퍼(10) 등으로의 전원이 온된다.
계속해서 상기 구성의 작용을 설명한다.
전원 오프 상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페이퍼(10)에는 전원이 오프되어 있을 때 전용 표시 내용인 「전원 오프중」이라는 표시가 이루어지고 있다. 사용자가 조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문(4)을 일단 개방하여 피조리물을 조리실(2)내로 수용한다. 이 때, 문(4)의 개방에 따라 전원이 온이 된다.
이 후, 문(4)을 폐쇄한 상태로 사용자가 예를 들면 「렌지」의 조작 키(8)를 눌러 조작하면 전자 페이퍼(10)의 표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된다. 전자페이퍼(10)에는 「렌지」, 「0초」, 「1000W」가 표시되어 있다. 이 중, 「렌지」는 렌지 조리가 설정된 것, 「0초」는 조리 시간, 「1000W」는 마그네트론(18)의 출력을 나타낸다.
이 상태로 사용자가 손잡이(8)를 회전시키면 조리 시간의 란(欄)의 숫자가 변화한다. 그리고, 조리 시간의 숫자가 희망하는 시간이 되면 그 손잡이(8)를 밀어 넣어 조작한다. 이에 기초하여 마그네트론(18)에 의한 렌지 조리가 개시된다. 렌지 조리중에는 조리 시간의 란은 잔여 시간을 나타내게 되고, 그 숫자가 차례로 감소되어 간다. 그리고, 그 숫자가 「0」이 된 곳에서 마그네트론(18)이 단전되고, 또 부저(2)가 울려 조리가 종료된 것을 알린다. 사용자는 문(4)을 개방하여 피조리물을 꺼내 다시 문(4)을 폐쇄한다.
또, 전자페이퍼(10)의 표시는 「오븐」의 조작 키(7)가 조작된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오븐 조리에 대응한 표시가 되고, 또 「오토」의 조작 키(7)가 조작된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오토 조리에 대응한 표시가 된다.
한편, 조리가 종료된 후, 문(4)이 폐쇄된 상태로 문(4)의 개폐 등의 조작이 전혀 없는 상태가 일정시간 계속되면 제어장치(15)는 전원을 자동적으로 오프한다. 이 오프하기 직전에 전자페이퍼(10)의 표시를 전원 오프 전용의 표시인 「전원 오프중」의 표시로 전환하여 전원 오프 중은 이 표시 상태가 유지된다. 또, 전자렌지의 플러그가 콘세트에서 빠진 경우, 또는 상용 전원(22)이 정전된 경우에는 정전 검지 회로(23)의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장치(15)는 전자페이퍼(10)의 표시를 전원 오프 전용의 표시인 「전원 오프 중」의 표시로 전환한다.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우선, 표시수단으로서 종이와 같이 얇은 전자 페이퍼(10)를 이용하여, 이 전자페이퍼(10)를 본체(1)의 조작 패널(5)의 전면에 장착하여 설치했기 때문에 액정표시기 등에 비해, 특히 내부길이 방향의 설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고, 또 설치 장소의 자유도가 커지는 이점도 있다. 또, 조작 패널(5)의 내측의 공간을 넓게 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그곳에 다른 부품을 설치하는 공간을 많게 할 수 있다.
또, 조작 패널(5)의 전면이라면 온도도 훨씬 상승하지 않기 때문에 액정표시기 등을 조작 패널(5)의 내측에 설치하는 경우와는 달리 전자페이퍼(10)에 대해 특별한 열대책을 실시할 필요도 없는 이점도 있다.
또, 전원이 오프하기 직전에 전자페이퍼(10)에 전원이 오프되어 있을 때 전용의 표시 내용을 표시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전원이 오프되어 있어도 전원이 오프되어 있다는 표시가 이루어고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그 표시를 보는 것으로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상태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 제 2 실시예는 상기한 제 1 실시예와는 다음과 같은 점이 다르다.
즉, 조작 패널(5)의 전면에 얇은 판 형상의 멤브레인 키로 이루어진 조작 키(30)(도 6의 (b) 참조)가 이 경우, 상하 방향으로 4개분 나열되어 설치되어 있고, 또 상기 4개의 각 조작 키(3)를 덮도록 하여 표시수단을 구성하는 필름상의 전자 페이퍼(31)가 장착되는 것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전자페이퍼(31)는 상하방향으로 긴 장방형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중의 하반부로 4개의 조작키(3)를 덮고 있고, 상부는 조작 키(30)로부터 윗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6의 (a)는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의 전자페이퍼(31)의 표시 상태이다. 이 경우, 전자페이퍼(31)의 상부에는 전원이 오프되어 있으면 전용의 표시 내용인 「전원 오프중」의 표시가 이루어져 있다. 또, 표시부(31)의 하부에는 4개의 조작 키(30) 중, 아래에서 3개의 조작 키(30)에 대응하는 부분에 조작 키(30)에 대응하는 키 명칭(32)이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키 명칭(32)으로서는 「렌지」, 「오븐」, 「오토」로 되어 있다. 4개의 조작 키(30) 중, 맨위의 조작키(30)는 이 상태에서는 그 입력을 접수하지 않기(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키 명칭은 표시되어 있지 않다.
사용자가 예를 들면 조리를 실시하기 위해 「렌지」라고 표시된 키 명칭(32) 부분을 눌러 조작하면 전자페이퍼(10)를 통해 그에 대응하는 조작 키(30)가 누름 조작된다. 이와 같이 조작되면 전자페이퍼(10)는 도 7의 (a)의 표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전자페이퍼(10)의 상부에는 「렌지」, 「0초」, 「1000W」가 표시되고, 또 하부에는 4개의 조작 키(30)에 대응하는 부분에 조작 키(30)에 대응하는 키 명칭(32)이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키 명칭(32)으로서는 「시간」, 「출력」, 「온도」, 「취소」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 각 조작 키(30)의 기능이 렌지 조리에 대응한 것으로 전환되어 있고, 이에 따라 키 명칭(32)도 전환되어 있다. 또, 이 경우, 맨위의 조작 키(30)의 입력을 접수하기(사용하기) 위해 그 조작 키(30)에 대응하는 부분에도 표시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도 7의 (a)상태에서 「시간」, 「출력」, 「온도」에 대응하는 조작키(30)를 누르고 손잡이(8)를 회전 조작하는 것으로 조리 시간, 마그네트론(18)의 출력, 조리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취소」에 대응하는 조작 키(30)를 누른 경우에는 설정이 해제된다.
또, 도 6의 (a)상태에서 사용자가 「오토」로 표시된 키 명칭(32) 부분을 눌러 조작하면 전자페이퍼(10)는 도 7의 (b)의 표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전자페이퍼(10)의 상부에는 「오븐」, 「0초」, 「180℃」가 표시되며, 또 하부에는 4개의 조작 키(30)에 대응하는 부분에 조작 키(30)에 대응하는 키 명칭(32)이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키 명칭(32)으로서는 「시간」, 「온도」, 「예열」, 「취소」로 되어 있다. 이 경우도 각 조작 키(30)의 기능이 오븐 조리에 대응한 것으로 전환되어 있고, 이에 따라 키 명칭(32)도 전환되어 있다. 이 도 7의 (b) 의 상태에서 「시간」, 「온도」에 대응하는 조작 키(30)를 누르고, 손잡이(8)를 회전 조작하는 것으로 조리 시간, 조리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예열」은 예열의 유무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 도 6의 (a)상태에서 사용자가 「오토」라고 표시된 키 명칭(32) 부분을 눌러 조작하면 전자페이퍼(10)는 도 7의 (c)의 표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전자페이퍼(10)의 상부에는 「밥」 등의 메뉴가 표시되고, 또 하부의 3개의 키 명칭(32) 중, 맨아래의 키 명칭(32)은 「취소」로 전환되어 있다. 이 도 7의 (c) 상태에서는 메뉴로서 「밥」이 선택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손잡이(8)를 회전 조작하는 것으로 그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한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특히 전자페이퍼(31)는 조작 패널(5)에 설치된 조작 키(30)의 표면에 이를 덮도록 배치하고, 그 조작 키(30)와 대응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키 명칭(32)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 키(30) 자체에 키 명칭을 붙일 필요가 없어진다. 또, 이 경우 조작 키(30)에 멤브레인 키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 조작 키(30)와 전자 페이퍼(31)를 겹쳐도 두께를 억제할 수 있다.
전자페이퍼(31)는 조작 키(30)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상태일 때는 키 명칭을 표시하지 않고, 조작 키(30)의 입력을 접수하는 상태일 때만 키 명칭(32)을 표시시키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 있어서 조작 키(30)를 조작할 수 있는지 여부를 알기 쉽게 한다.
또, 하나의 조작 키(30)에 복수의 기능을 갖게 하고, 그 기능을 차례로 전환해 가는 경우에 전자페이퍼(31)가 표시하는 키 명칭(32)을 그 조작 키(30)의 기능에 대응하는 명칭으로 전환하여 표시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조작 키(30)에 복수의 기능이 있어도 해당 기능에 맞는 표시가 이루어져 사용자가 알기 쉽고, 조작하기 쉽다. 이에 따라 조작 키(30)의 수를 적게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이 제 3 실시예는 상기한 제 1 실시예와는 다음과 같은 점이 다르다.
즉, 조작 패널(5)의 전면에는 이 경우 6개의 조작 키(7)가 상하방향으로 나열하여 설치되어 있지만, 전자페이퍼로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표시수단을 구성하는 전자페이퍼(33)는 문(4)의 전면의 우측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전자페이퍼(33)는 상부측에 횡변부를 갖는 역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8의 (a)는 조리가 「렌지」, 마그네트론(18)의 출력이 「1000W」, 조리시간이 「2분 00초」로 설정된 경우의 전자페이퍼(33)의 표시예이다. 또, 도 8의 (b)는 조작 키(7) 중의 「오토」의 조작 키(7)를 눌러 조작한 경우의 전자페이퍼(33)의 표시예이며, 이 경우, 다수의 메뉴가 표시되고, 이 중의 「밥」이 선택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손잡이(8)를 회전 조작하는 것으로 그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한 제 3 실시예에서는 특히 전자페이퍼(33)를 문(4)의 표면에 장착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 면적을 크게 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조작 패널(5)은 표시 수단을 설치하지 않은 만큼 작게 하거나 또는 조작 키(7)의 공간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이 제 4 실시예는 상기한 제 1 실시예와는 다음과 같은 점이 다르다.
즉, 문(35)은 캐비넷(3)의 전면 전체에 걸친 크기를 갖고 있고, 그 전면의 우측 하부에 멤브레인 키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조작 키(36)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키(36)의 윗쪽에 표시수단을 구성하는 전자페이퍼(37)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각 조작 키(36)에는 키 명칭(38)이 예를 들면 인쇄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또, 키 명칭(38)에 「상부 방향 삼각형」및 「하부방향 삼각형」의 표시가 된 조작 키(36)는 시간이 온도 등의 숫자를 증감시키거나 메뉴 등을 스크롤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이 경우, 회전 조작하는 손잡이(8)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상기한 제 4 실시예에 의하면 특히 전자페이퍼(37) 및 조작 키(36)를 모두문(35)에 설치할 수 있고, 전용 조작 패널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이 제 5 실시예는 상기한 제 4 실시예와는 다음과 같은 점이 다르다
즉, 문(35)의 전면의 우측부에, 예를 들면 6개의 멤브레인 키로 이루어진 조작 키(40)를 설치하고, 또 상기 6개의 각 조작 키(40)를 덮도록 하여 표시수단을 구성하는 전자페이퍼(41)가 장착하는 것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각 조작 키(40)의 키 명칭(42)의 표시는 상기한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자페이퍼(40)의 표시에 의해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도 10은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온 상태가 되었을 때의 표시예이다. 이 경우의 키 명칭(42)은 「렌지」, 「오븐」, 「그릴」, 「오토」, 「메모리」로 되어 있다. 도 11의 (a)는 도 10의 상태에서 「오토」로 표시된 키 명칭(42) 부분을 눌러 조작하여 그에 대응하는 조작 키(40)가 눌려 조작된 경우의 표시예이다. 키 명칭(42)은 「렌지 오토」, 「헬시(healthy) 오토」, 「과자」, 「케이크」, 「간단 오토」로 전환되어 있다.
도 11의 (b)는 도 11의 (a)의 상태로 「케이크」로 표시된 키 명칭(42) 부분을 눌러 조작한 경우의 표시예이다. 키 명칭(42)은 「스폰지 케이크」, 「시퐁케이크」, 「마롱케이크」의 케이크명과, 「상부방향 삼각형」및 「하부방향 삼각형」의 표시와 「취소」로 전환하고 있다. 또, 「상부방향 삼각형」「하부방향 삼각형」의 표시가 된 키 명칭(42) 부분을 누르면 한번에 표시할 수 없는 다른 케이크명이 스크롤되어 표시되게 된다.
도 11의 (c)는 도 11의 (b)의 상태에서 「스폰지 케이크」로 표시된 키 명칭(42) 부분을 눌러 조작한 경우의 표시예이다. 전자페이퍼(41)에는 스폰지 케이크의 그림과, 키 명칭(42)으로서 「만드는 법」과, 「조리개시」, 「취소」의 표시가 이루어지고 있다. 「만드는 법」의 키 명칭(42) 부분을 눌러 조작하면 전자페이퍼(41)에 스폰지 케이크의 만드는 법이 표시된다. 또, 「조리개시」의 키 명칭(42) 부분을 눌러 조작하면 조리가 개시된다.
도 12의 (a)∼(c)는 전원이 오프되어 있을 때 전용 표시예이며, 3종류가 있다. 이 중 (a)는 전원이 오프 중이고, 문을 열면 전원이 온 상태가 되는 것을 문자로 표시하고 있다. (b)는 장미 그림 표시, (c)는 벗꽃 그림 표시이다.
이 경우, 전원이 오프중인 표시는 공장으로부터의 출하시에는 예를 들면 도 12의 (a)의 표시로 해 두고, 사용자가 그 3종류 중에서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한 제 5 실시예에 의하면 특히 전원이 오프되어 있을 때 전용 표시 내용은 복수 종류가 있고, 그중의 어떤 표시를 실시할지를 사용자에 의해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의해 전원이 오프되어 있을 때의 표시를 사용자의 기호에 맞춰 해 둘 수 있다.
상기한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이 오프되어 있을 때 전용 표시 내용으로 하여 도 12의 (b) 및 (c)와 같은 그림 표시를 제어장치(15)에 복수 종류 기억시켜 두고, 전원이 오프될 때마다 제어장치(15)가 그 복수의 표시 중에서 랜덤하게 선택한 표시 내용을 전환하여 표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전원이 오프되어 있을 때의 표시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오프 상태의 표시를 싫증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제 6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전기기기로서 냉장고에 적용한 예이다.
우선, 도 13에 있어서, 냉장고의 본체(51)는 내부에 복수의 저장실을 갖는 단열 상자체로 이루어진 캐비넷(52)과, 이 캐비넷(52)의 전면에 대응하는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설치된 단열성을 갖는 복수의 문(53∼57)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저장실로서는 최상부가 냉장실(58), 그 아래가 야채실(59), 그 아래가 제빙실(60) 및 냉각 조리실(전환실)(61), 그리고 최하부가 냉동실(62)로 되어 있다. 상기 문(53∼57) 중, 냉장실(58)의 문(53)은 한 단부가 힌지부(65)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식으로 되어 있고, 다른 문(54∼57)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서랍식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58)의 문(53)의 전면 하부에는 누름 조작되는 복수의 조작 키(64)를 갖는 조작 유닛(65)이 설치되어 있고, 또 이 조작 유닛(65)의 윗쪽에 표시수단을 구성하는 전자 페이퍼(66)가 설치되어 있다. 문(53)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판제의 문 외부판(67)과, 합성수지제의 문 내부판(68) 및 상하 양 단부에 장착된 합성수지제의 문 캡(door cap)(69, 70)으로 외각(外殼)이 구성되고, 이 외각내에 발포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단열재(71)를 충전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자페이퍼(66)는 문 외부판(67)의 전면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전자페이퍼(66)에는 냉장실(58)과 냉동실(68)의 온도 등이 표시되도록되어 있다.
상기한 제 6 실시예에서는 냉장실에 있어서, 전자페이퍼(66)를 냉장실(58)의 문(53)의 전면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표시 수단을 설치할 때 특히 내부길이 방향의 설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고, 또 설치 장소의 자유도가 커지는 이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에 있어서 문에 액정표시기를 설치하는 경우, 표시기의 내부길이 칫수가 크면 그 표시기에 대응하는 부분은 단열재의 두께가 얇아지고, 단열재의 필요한 두께를 확보할 수 없게 되어 단열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 점,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페이퍼(66)는 얇기 때문에 전자 페이퍼(66)를 문(53)에 설치하면서도 문(53)의 단열재의 두께를 확보할 수 있어 문(53)의 단열 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 이와 같은 냉장고에 있어서도 상기한 가열조리기의 예(제 2, 제 5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조작 키로서 멤브레인 키를 이용하여 이 조작 키와 전자페이퍼를 겹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제 7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전기기기로서 세탁기에 적용한 예이다.
우선, 도 15에 있어서 세탁기의 본체(81)는 직사각형 상자형상의 외부상자(82)와, 이 외부상자(81)의 상부에 장착된 합성수지제의 탑 커버(83)와, 두개의 접이식 덮개(84)로 구성되어 있다. 탑 커버(83)의 앞 부분에는 조작 패널(85)이 설치되어 있고, 이 조작 패널(85)에 복수의 조작 키(86)와, 표시수단을구성하는 전자페이퍼(8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자페이퍼(87)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패널(85)의 표면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이 전자페이퍼(87)에는 세탁코스나 세탁시간, 탈수시간, 수위 등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제 7 실시예에서는 세탁기에 있어서, 표시수단을 구성하는 전자페이퍼(87)를 조작 패널(85)의 표면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표시수단을 설치하는 것에 대해 특히 내부길이 방향의 설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는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각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다음과 같이 변형 또는 확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실시예의 가열조리기(전자렌지)에 있어서, 캐비넷(3)의 외주면에 표시수단을 구성하는 전자페이퍼를 장착하고, 이 전자페이퍼에 의해 예를 들면 나뭇결 모양의 무늬를 표시시키거나 또 그 무늬나 색을 변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가열조리기, 냉장고, 세탁기 외에 의류건조기, 세탁건조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 명확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기기에 있어서 표시수단으로서 전자페이퍼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표시수단을 설치할 때, 특히 내부길이 방향의 설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고, 또 설치 장소의 자유도가 커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14)

  1. 전압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표시상태를 변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페이퍼로 이루어진 표시수단을 구비하며, 이 표시수단을 본체의 표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2. 전압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표시상태를 변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페이퍼로 이루어진 표시수단을 구비하며, 이 표시수단을 본체의 표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3. 전압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표시상태를 변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페이퍼로 이루어진 표시수단을 구비하며, 이 표시수단을 본체의 표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전압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표시상태를 변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페이퍼로 이루어진 표시수단을 구비하며, 이 표시수단을 본체의 표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조작 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조작 패널의 표면에 장착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조작 패널에 설치된 조작 키의 표면에 이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조작 키와 대응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키 명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이 제어수단은 상기 조작 키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상태일 때는 상기 표시수단에 키 명칭을 표시시키지 않고, 상기 조작 키의 입력을 접수하는 상태일 때만 상기 표시수단에 키 명칭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하나의 조작 키에 복수의 기능을 갖게 하고, 그 기능을 차례로 전환해 가는 경우에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표시수단이 표시하는 키 명칭을 상기 조작 키의 기능에 대응하는 명칭으로 전환하여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키는 멤브레인 키(membrane ke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문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문의 표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으로 이루어진 조작 키를 구비하며, 이 조작 키를 상기 문의 표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이 제어수단은 상기 표시수단의 전원이 오프되기 직전에 상기 표시수단에 전원이 오프되어 있을 때 전용 표시 내용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전원이 오프되어 있을 때 전용 표시내용은 복수 종류가 있고, 그 중의 어떤 표시를 실시할지를 사용자에 의해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전원이 오프되어 있을 때 전용 표시내용은 복수 종류가 있고, 상기 제어수단은 전원이 오프될 때마다 상기 복수종류중에서 랜덤하게 선택한 표시 내용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KR1020020058751A 2001-09-28 2002-09-27 전기기기, 가열조리기, 냉장고 및 세탁기 KR1006754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99729A JP3641605B2 (ja) 2001-09-28 2001-09-28 電気機器、加熱調理器、冷蔵庫及び洗濯機
JPJP-P-2001-00299729 2001-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799A true KR20030027799A (ko) 2003-04-07
KR100675449B1 KR100675449B1 (ko) 2007-01-26

Family

ID=19120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751A KR100675449B1 (ko) 2001-09-28 2002-09-27 전기기기, 가열조리기, 냉장고 및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641605B2 (ko)
KR (1) KR100675449B1 (ko)
CN (1) CN141095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194B1 (ko) * 2004-06-11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오븐 레인지의 전원 안내 표시 방법
KR20170025019A (ko) * 2015-08-27 2017-03-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9602A (ja) 2006-12-19 2008-07-03 Brother Ind Ltd 電子機器、および、それに備えられた表示部の表示制御方法並びに表示方法
JP4684242B2 (ja) * 2007-01-15 2011-05-18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DE102009045242A1 (de) * 2009-10-01 2011-04-2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aushaltsgeräts und Haushaltsgerät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5020307B2 (ja) * 2009-12-07 2012-09-05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負荷の駆動制御装置
JP5846721B2 (ja) * 2010-03-23 2016-01-20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JP2012026617A (ja) * 2010-07-21 2012-02-09 Toshiba Corp 加熱調理器
ITRN20110086A1 (it) * 2011-12-22 2013-06-23 Indesit Co Spa Elettrodomestico.
JP5899452B2 (ja) * 2012-02-13 2016-04-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N106758028B (zh) * 2015-11-19 2020-08-04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带限制高温结构的门体及洗衣机
JP2017164332A (ja) * 2016-03-17 2017-09-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の操作表示装置
CN109521985A (zh) * 2018-09-30 2019-03-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具有电子墨水屏的家用电器的显示控制方法及家用电器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06944A (en) * 1980-12-24 1982-07-03 Nissan Motor Co Ltd Multiple operation switch device for vehicle
JPS5823A (ja) * 1981-06-22 1983-01-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加熱装置
JPS61206236U (ko) * 1985-06-13 1986-12-26
JPS6349797A (ja) * 1986-08-20 1988-03-0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スイツチ
JPH0438384Y2 (ko) * 1987-05-14 1992-09-08
JPH01134120A (ja) * 1987-11-19 1989-05-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装置
JPH01134119A (ja) * 1987-11-19 1989-05-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装置
JPH0355483A (ja) * 1989-07-25 1991-03-11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の制御装置
JP2951094B2 (ja) * 1991-12-25 1999-09-20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JP3253467B2 (ja) * 1994-11-18 2002-02-04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JP3260058B2 (ja) * 1995-05-26 2002-02-25 株式会社東芝 加熱調理器
TW455042U (en) * 1995-07-19 2001-09-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erating apparatus and heating cooker using the same
JP3463501B2 (ja) * 1996-03-01 2003-11-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入出力装置
JPH10171620A (ja) * 1996-12-06 1998-06-26 Hitachi Ltd 電子ペ−パ
CN2300829Y (zh) * 1997-06-19 1998-12-16 佛山市惠宝微波制品有限公司 微波炉用的语音提示装置
KR200311821Y1 (ko) * 1998-12-29 2003-07-2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발열소자를 가진 점자돌기 냉장고 디스플레이 장치
CN2387591Y (zh) * 1999-07-19 2000-07-12 李义军 洗衣机上电工作时间累积计时器
JP2001188269A (ja) * 1999-10-22 2001-07-10 Ricoh Co Ltd 電気泳動表示方法、表示用液、表示用粒子、表示媒体、表示装置及び可逆表示体
US6573880B1 (en) * 1999-11-16 2003-06-03 Xerox Corporation Applications for electronic reusable paper
JP2002162652A (ja) * 2000-01-31 2002-06-07 Fujitsu Ltd シート状表示装置、樹脂球状体、及びマイクロカプセル
JP2001311931A (ja) * 2000-02-25 2001-1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ペーパ,電子ペーパファイルおよび電子ペン
CN1300929A (zh) * 2000-11-14 2001-06-27 陈远燮 一种数字多功能家用电冰箱
JP2002268581A (ja) * 2001-03-09 2002-09-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機器及びその模様替えサービス方式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194B1 (ko) * 2004-06-11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오븐 레인지의 전원 안내 표시 방법
KR20170025019A (ko) * 2015-08-27 2017-03-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10952B (zh) 2010-05-26
KR100675449B1 (ko) 2007-01-26
JP3641605B2 (ja) 2005-04-27
CN1410952A (zh) 2003-04-16
JP2003108037A (ja) 200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5449B1 (ko) 전기기기, 가열조리기, 냉장고 및 세탁기
KR20050009630A (ko) 전기 오븐의 온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999193B2 (ja) 電子レンジの被調理物容量検出装置と、これを備えた電子レンジ及びその制御方法
JPH09102390A (ja) 電子レンジ
JP6091356B2 (ja) 炊飯器
JP2001087125A (ja) 炊飯器
JP4556779B2 (ja) 高周波加熱装置
JP3060962B2 (ja) 電気炊飯器
JPH08187169A (ja) 電気調理器
JP2001078885A (ja) 炊飯器
CN109864595A (zh) 烹饪器具的显示方法及烹饪器具
KR19980057975A (ko) 전자렌지의 팬모터 속도조절 장치
JP3610963B2 (ja) 電気炊飯器
JP3825944B2 (ja) 電子レンジ
KR20000043279A (ko) 전자렌지의 절전방법
JP2011139793A (ja) 電気調理器
JP3297627B2 (ja) 電気炊飯器
KR101149253B1 (ko) 표시언어별 지역메뉴표시방법 및 그를 이용한 조리기기
JP2021167702A (ja) 加熱調理器および加熱調理器システム
JPH09252947A (ja) 電気炊飯器
KR20000043275A (ko) 전자렌지의 무부하 상태 제어방법
JPH0842853A (ja) 高周波加熱装置の調理メニュー表示装置
KR19980057976A (ko) 전자렌지의 온도보호 장치
KR19990060092A (ko) 전자레인지의 구동제어방법
JPH11342074A (ja) 電気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1111

Effective date: 200610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