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5019A -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5019A
KR20170025019A KR1020150120804A KR20150120804A KR20170025019A KR 20170025019 A KR20170025019 A KR 20170025019A KR 1020150120804 A KR1020150120804 A KR 1020150120804A KR 20150120804 A KR20150120804 A KR 20150120804A KR 20170025019 A KR20170025019 A KR 20170025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rangement structure
button arrangement
button
electricit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8042B1 (ko
Inventor
이장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0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042B1/ko
Publication of KR20170025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입력 수단을 전자 종이 형태의 것으로 구성하여 가변하여 조정 및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미리 정해진 버튼 배열 구조를 전송하는 버튼 배열 구조 전송부; 전기를 인가하는 전기 공급부; 및 버튼 배열 구조를 수신하며, 전기를 기초로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에 버튼 배열 구조를 출력하는 버튼 배열 구조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ting button array structure of multimedia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기기에서 입력 수단으로 이용되는 버튼의 배열 구조를 출력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버튼의 배열 구조를 출력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장착된 오디오(AUDIO)나 AVN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그 일측에 버튼 형태의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오디오 및 AVN 프론트 패널(FRONT PANEL ASSY)의 버튼부는 지역별, 사양별 등에 따라 버튼부의 기능 동작 사양이 상이하여 버튼부의 인쇄 사양 디자인을 새로이 제작하여 전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로 인해 여러 지역별/사양별로 패널 버튼부 인쇄 디자인을 달리하여 여러 종수의 패널을 제작하여 대응/운영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78882호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 특허는 버튼 갭 단차를 개선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입력 수단을 전자 종이(e-paper) 형태의 것으로 구성하여 가변하여 조정 및 설정(Setting)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미리 정해진 버튼 배열 구조를 전송하는 버튼 배열 구조 전송부; 전기를 인가하는 전기 공급부; 및 상기 버튼 배열 구조를 수신하며, 상기 전기를 기초로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에 상기 버튼 배열 구조를 출력하는 버튼 배열 구조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튼 배열 구조 출력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일측에 장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이용하여 상기 버튼 배열 구조를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튼 배열 구조 출력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전자 종이(e-paper)를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 공급부는 상기 버튼 배열 구조가 전송되면 상기 전기를 인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튼 배열 구조 출력부는 상기 버튼 배열 구조를 저장한 후 상기 버튼 배열 구조를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튼 배열 구조 출력부는 이전과 다른 버튼 배열 구조가 수신되면 상기 이전과 다른 버튼 배열 구조를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버튼 배열 구조를 선택하는 버튼 배열 구조 선택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는 상기 버튼 배열 구조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조 변경 판단부; 상기 버튼 배열 구조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기가 인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기 인가 판단부; 상기 전기가 인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기를 차단시키는 전기 차단 제어부; 및 상기 전기가 인가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전기가 차단되면 상기 전기를 다시 인가시키는 전기 인가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 정해진 버튼 배열 구조를 전송하는 단계; 전기를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버튼 배열 구조를 수신하며, 상기 전기를 기초로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에 상기 버튼 배열 구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일측에 장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이용하여 상기 버튼 배열 구조를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전자 종이(e-paper)를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버튼 배열 구조가 전송되면 상기 전기를 인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버튼 배열 구조를 저장한 후 상기 버튼 배열 구조를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이전과 다른 버튼 배열 구조가 수신되면 상기 이전과 다른 버튼 배열 구조를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버튼 배열 구조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버튼 배열 구조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버튼 배열 구조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기가 인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기가 인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기를 차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기가 인가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전기가 차단되면 상기 전기를 다시 인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구성들을 통하여 다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부 인쇄 사양의 시야각이 매우 넓어지며, 가독성이 향상된다.
둘째, 차량용 오디오 및 AVN 시스템의 FRONT 판넬 ASSY 버튼부 인쇄 사양을 전자 종이(e-paper)를 활용하여 가변하여 조정/셋팅(Setting)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지역별/사양별에 따른 FRONT 판넬 ASSY의 종수가 줄어들며, 1가지 종수로 일원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가변형 프론트 패널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가변형 프론트 패널 장치를 구성하는 전자 종이 버튼부의 위치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은 가변형 프론트 패널 장치의 작동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에 추가될 수 있는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의 작동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AVN/AUDIO의 가변형 프론트 패널(Front Panel) 구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가변형 프론트 패널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가변형 프론트 패널 장치(100)는 오디오, AVN, 내비게이션 등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 부분에 물리적 버튼 대신 전자 종이(e-paper or e-ink)를 이용한 버튼을 적용하고, 차량의 국가별, 지역별 사양에 따라 버튼 기능 및 배열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변형 프론트 패널 장치(100)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가변적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변형 프론트 패널 장치(100)는 사용자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가 탑승자를 구분하여 자동으로 해당 탑승자에 맞는 버튼 배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 따르면, 가변형 프론트 패널 장치(100)는 헤드 유닛(Head Unit; 110), 구동부(120) 및 전자 종이 버튼부(130)를 포함한다.
헤드 유닛(110)은 셋팅된 소프트웨어 사양에 따라 결정된 인쇄 사양 데이터를 전자 종이 버튼부(13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헤드 유닛(110)은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구비되는 것이나, 본 실시예에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부(120)는 헤드 유닛(110)이 전자 종이 버튼부(130)로 인쇄 사양 데이터를 전송하면 전자 종이 버튼부(130)에 전기를 인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자 종이 버튼부(130)는 구동부(120)로부터 전기가 인가되면 이 전기를 이용하여 인쇄 사양 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가변형 프론트 패널 장치를 구성하는 전자 종이 버튼부의 위치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에서 (a)는 차량용 오디오의 경우를 예시한 것이고, (b)는 차량용 AVN의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 2 (a)의 경우, 전자 종이 버튼부(130)는 인쇄 사양 데이터를 차량용 오디오의 좌측(210), 우측(240), 상측(230), 하측(220) 등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종이 버튼부(130)는 차량용 오디오의 좌측(210), 우측(240), 상측(230) 및 하측(220) 중 적어도 하나에 인쇄 사양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2 (b)의 경우, 전자 종이 버튼부(130)는 인쇄 사양 데이터를 차량용 AVN의 하측(25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종이 버튼부(130)는 도 2 (a)의 경우처럼 차량용 AVN의 상측, 좌측, 우측 등에 인쇄 사양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가변형 프론트 패널 장치(100)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가변형 프론트 패널 장치의 작동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1 및 도 3을 참조한다.
먼저 소프트웨어가 지역별/사양별에 따라 각각 코딩되어 있어 칵핏 모듈에서 차대 번호 인식을 통해(S310) 지역별/사양별 정보를 입력받으면(S320) Variant Coding을 통해 Audio/AVN의 소프트웨어를 지역별/사양별에 맞게 셋팅시킨다(S330).
이후 헤드 유닛(HEAD UNIT; 110)이 셋팅된 소프트웨어의 사양에 따라 전자 종이 버튼부(130)의 메모리부(미도시)로 인쇄 사양 데이터를 송신한다(S340). 인쇄 사양 데이터는 메모리부에 저장된다(S350).
헤드 유닛(110)이 전자 종이 버튼부(130)로 인쇄 사양 데이터를 전송하면, 구동부(120)가 동작하기 시작한다. 구동부(120)는 전자 종이 버튼부(130)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인쇄 사양 데이터를 토대로 전자 종이 버튼부(130)의 표시부(미도시)로 전기를 흘려보낸다(S360).
이후 전자 종이 버튼부(130)는 Audio/AVN의 일측에 위치하는 전자 종이 상에 인쇄 사양 데이터를 이미지화하고(S370), 각 전자 종이 상에는 인쇄 사양이 표시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차량용 오디오 및 AVN 시스템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제품의 프론트 패널 ASSY 버튼부 인쇄 사양을 전자 종이를 활용하여 가변하여 조정/셋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지역별/사양별 제품의 요구(Needs)를 유연하게 충족시킬 수 있다.
전자 종이를 AUDIO/AVN 버튼부 인쇄 사양에 적용시 얻을 수 있는 이점 및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기를 인가하여 표시된 이미지는 전기를 제거하더라도 다시 전기가 인가되지 않는 한 구현된 이미지를 계속 저장/유지할 수 있다. 즉 화면 표시를 하는 데에 있어 지속적인 전압 또는 전류가 필요 없다.
둘째, 대기 모드에서 전기 소모가 전혀 없다.
세째, 시야각이 매우 넓다.
네째, 태양 아래에서도 읽을 수 있을 정도로 가독성이 뛰어나다.
다섯째, 수만번 이상의 재사용이 가능하다.
이상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일실시 형태로부터 추론 가능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400)는 버튼 배열 구조 전송부(410), 전기 공급부(420), 버튼 배열 구조 출력부(430), 전원부(440) 및 주제어부(450)를 포함한다.
전원부(440)는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4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제어부(450)는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4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400)가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ex. 차량용 오디오, 차량용 AVN 시스템 등)에 탑재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전원부(440)와 주제어부(450)는 각각 차량용 배터리와 ECU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 전원부(440)와 주제어부(450)는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버튼 배열 구조 전송부(410)는 미리 정해진 버튼 배열 구조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에서 버튼 배열 구조는 복수개의 버튼들이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배열되어 있는 패턴 즉 버튼 배열 패턴을 의미한다. 버튼 배열 구조 전송부(410)는 버튼 배열 구조를 버튼 배열 구조 출력부(430)로 전송한다. 버튼 배열 구조 전송부(410)는 도 1의 헤드 유닛(11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전기 공급부(420)는 전기를 인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기 공급부(420)는 전기를 버튼 배열 구조 출력부(430)로 인가한다. 전기 공급부(420)는 도 1의 구동부(12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전기 공급부(420)는 버튼 배열 구조 전송부(410)로부터 버튼 배열 구조 출력부(430)로 버튼 배열 구조가 전송되면 전기를 인가할 수 있다.
버튼 배열 구조 출력부(430)는 버튼 배열 구조 전송부(410)로부터 버튼 배열 구조를 수신하며, 전기 공급부(420)에 의해 인가된 전기를 기초로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에 버튼 배열 구조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버튼 배열 구조 출력부(430)는 도 1의 전자 종이 버튼부(13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상기에서 멀티미디어 기기는 차량 내에 장착된 것으로서, 차량용 오디오(AUDIO), AVN 시스템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버튼 배열 구조 출력부(430)는 멀티미디어 기기의 일측에 장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이용하여 버튼 배열 구조를 출력할 수 있다.
버튼 배열 구조 출력부(4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전자 종이(e-paper)를 이용할 수 있다.
버튼 배열 구조 출력부(430)는 버튼 배열 구조를 저장한 후 버튼 배열 구조를 출력할 수 있다.
버튼 배열 구조 출력부(430)는 이전과 다른 버튼 배열 구조가 신규 수신되면 기존 버튼 배열 구조를 폐기하고, 신규 수신된 버튼 배열 구조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에 추가될 수 있는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400)는 버튼 배열 구조 선택부(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배열 구조 선택부(460)는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버튼 배열 구조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400)는 구조 변경 판단부(471), 전기 인가 판단부(472), 전기 차단 제어부(473) 및 전기 인가 제어부(4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조 변경 판단부(471)는 버튼 배열 구조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조 변경 판단부(471)는 기존과 다른 버튼 배열 구조가 버튼 배열 구조 출력부(430)로 입력되면 버튼 배열 구조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기 인가 판단부(472)는 구조 변경 판단부(471)에 의해 버튼 배열 구조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기 공급부(420)에 의해 버튼 배열 구조 출력부(430)로 전기가 인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기 차단 제어부(473)는 전기가 인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기를 차단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기존 버튼 배열 구조가 삭제되고 신규 입력된 버튼 배열 구조가 표시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전기 인가 제어부(474)는 전기가 인가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거나 전기 차단 제어부(473)에 의해 전기가 차단되면 버튼 배열 구조 출력부(430)에 전기를 다시 인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기 인가 제어부(474)는 전기가 차단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 전기가 차단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전기 인가 제어부(474)는 버튼 배열 구조 출력부(430)에 전기를 다시 인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400)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의 작동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한다.
먼저 버튼 배열 구조 전송부(410)가 버튼 배열 구조 출력부(430)로 미리 정해진 버튼 배열 구조를 전송한다(S510).
이후 전기 공급부(420)가 버튼 배열 구조 출력부(430)로 전기를 인가한다(S520).
버튼 배열 구조 전송부(410)로부터 버튼 배열 구조가 수신되면, 버튼 배열 구조 출력부(430)가 전기 공급부(420)에 의해 인가된 전기를 기초로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에 버튼 배열 구조를 출력한다(S530).
한편 S510 단계 이전에, 버튼 배열 구조 선택부(460)가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버튼 배열 구조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S530 단계 이후에 다음 단계들이 차례대로 수행될 수 있다.
먼저 구조 변경 판단부(471)가 버튼 배열 구조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후 전기 인가 판단부(472)가 버튼 배열 구조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기가 인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기가 인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기 차단 제어부(473)가 전기를 차단시킨다. 반면 전기가 인가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거나 전기 차단 제어부(473)에 의해 전기가 차단되면, 전기 인가 제어부(474)가 전기를 다시 인가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미리 정해진 버튼 배열 구조를 전송하는 버튼 배열 구조 전송부;
    전기를 인가하는 전기 공급부; 및
    상기 버튼 배열 구조를 수신하며, 상기 전기를 기초로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에 상기 버튼 배열 구조를 출력하는 버튼 배열 구조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배열 구조 출력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일측에 장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이용하여 상기 버튼 배열 구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배열 구조 출력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전자 종이(e-paper)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공급부는 상기 버튼 배열 구조가 전송되면 상기 전기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배열 구조 출력부는 상기 버튼 배열 구조를 저장한 후 상기 버튼 배열 구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배열 구조 출력부는 이전과 다른 버튼 배열 구조가 수신되면 상기 이전과 다른 버튼 배열 구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버튼 배열 구조를 선택하는 버튼 배열 구조 선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배열 구조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조 변경 판단부;
    상기 버튼 배열 구조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기가 인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기 인가 판단부;
    상기 전기가 인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기를 차단시키는 전기 차단 제어부; 및
    상기 전기가 인가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전기가 차단되면 상기 전기를 다시 인가시키는 전기 인가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
  9. 미리 정해진 버튼 배열 구조를 전송하는 단계;
    전기를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버튼 배열 구조를 수신하며, 상기 전기를 기초로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에 상기 버튼 배열 구조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일측에 장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이용하여 상기 버튼 배열 구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방법.
KR1020150120804A 2015-08-27 2015-08-27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338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804A KR102338042B1 (ko) 2015-08-27 2015-08-27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804A KR102338042B1 (ko) 2015-08-27 2015-08-27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019A true KR20170025019A (ko) 2017-03-08
KR102338042B1 KR102338042B1 (ko) 2021-12-10

Family

ID=58404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804A KR102338042B1 (ko) 2015-08-27 2015-08-27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0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7481A (ko) * 2014-12-04 2016-06-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avn 시스템의 고속 검색 기능 지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799A (ko) * 2001-09-28 2003-04-0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기기기, 가열조리기, 냉장고 및 세탁기
JP2005149605A (ja) * 2003-11-14 2005-06-09 Sony Corp 電子機器、操作子の案内表示方法、電子機器のプログラム
JP2007199296A (ja) * 2006-01-25 2007-08-09 Nippon Signal Co Ltd:The 表示装置、文書ファイル管理装置および携帯情報端末。
JP2010064670A (ja) * 2008-09-12 2010-03-25 Tokai Rika Co Ltd 車両用操作入力装置
JP2013025620A (ja) * 2011-07-22 2013-02-04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システム
JP5594652B2 (ja) * 2010-01-27 2014-09-24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及びそのキー配置変更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799A (ko) * 2001-09-28 2003-04-0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기기기, 가열조리기, 냉장고 및 세탁기
JP2005149605A (ja) * 2003-11-14 2005-06-09 Sony Corp 電子機器、操作子の案内表示方法、電子機器のプログラム
JP2007199296A (ja) * 2006-01-25 2007-08-09 Nippon Signal Co Ltd:The 表示装置、文書ファイル管理装置および携帯情報端末。
JP2010064670A (ja) * 2008-09-12 2010-03-25 Tokai Rika Co Ltd 車両用操作入力装置
JP5594652B2 (ja) * 2010-01-27 2014-09-24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及びそのキー配置変更方法
JP2013025620A (ja) * 2011-07-22 2013-02-04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7481A (ko) * 2014-12-04 2016-06-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avn 시스템의 고속 검색 기능 지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8042B1 (ko) 2021-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29878B1 (en) Method of dynamically changing content displayed in a vehicular head unit and mobile terminal for the same
JP5920474B2 (ja) 携帯端末装置、車載装置、及び車載システム
EP3493193A1 (en) Displaying device, terminal of displaying device, and display method
KR20160032451A (ko) 차량,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차량용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CN104503583B (zh) 信息显示方法及装置
CN104834495B (zh) 用于车内显示器上的移动内容的选择和布局的系统和方法
WO2014017017A1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システム
US20150194124A1 (en) In-vehicle display device,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of mobile information terminal on vehicular display, and non-transitory tangible computer-readable medium for the same
US20160314752A1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JP2010134596A (ja) 車載情報装置及び車載情報システム
JP2015074379A (ja) 車載用照明デバイスおよび操作方法
WO2018230314A1 (ja)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4598124A (zh) 一种调节抬头显示设备视场角的方法和系统
KR102235368B1 (ko)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25019A (ko)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 배열 구조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9992230B (zh) 控制方法和电子设备
KR20180130220A (ko) 차량 운전모드 설정 방법 및 장치
CN106564452B (zh) 电源控制装置、具有该装置的车辆及车辆控制方法
US2020032476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platooning in vehicle
CN105335040A (zh) 日期切换方法、装置及移动终端
JP2007139901A (ja) 車載用画像表示制御装置
JP4702037B2 (ja) 統合出力制御装置
CN103970568A (zh) 对话框显示装置
JP6993870B2 (ja) サーバー装置および車載機配備管理方法
CN104714747A (zh) 使用触摸板的文字输入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