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368B1 -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368B1
KR102235368B1 KR1020160140803A KR20160140803A KR102235368B1 KR 102235368 B1 KR102235368 B1 KR 102235368B1 KR 1020160140803 A KR1020160140803 A KR 1020160140803A KR 20160140803 A KR20160140803 A KR 20160140803A KR 102235368 B1 KR102235368 B1 KR 102235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vehicle
output
display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6052A (ko
Inventor
장민석
권대식
공준배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40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368B1/ko
Publication of KR20180046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7/0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 H04M17/3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using a code
    • H04M17/301Code input or reading
    • H04M17/305Wireless codes, e.g. Bluetooth or RFID

Abstract

본 실시예는 차량에 부착되며, 차량의 운전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주변 차량에 보다 정확하게 알려줌으로써 운전 중 의사소통의 부재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보복운전 및 교통사고의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 및 그 방법{Message Displaying Apparatus for Vehicles and Method thereof}
본 실시예는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주변 차량에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자동차는 현대인들에게 다양한 편의를 제공하여 생활의 일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자동차는 사고의 위험이 상존하여 도로의 위험물로 인식되고 있는 측면도 있다. 특히 우리 나라는 높은 교통사고율로 불명예를 안고 있는 국가이다.
최근, 보복운전 및 교통 안전사고가 사회적으로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는 차량의 운전자 간 의사소통의 수단이 부재한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서 손꼽히고 있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는 운전 중 갑자기 끼어들기를 하거나 급정지를 할 때 비상 스위치를 잠깐 동안 누르거나, 수 신호로 손을 들어 뒤 따라오는 운전자에게 미안함을 표시한다. 즉, 종래의 차량에 있어서 의사전달은 보통 운전자의 손짓 또는 후미등을 이용하여 비교적 단순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전부였다. 이러한, 기존의 의사전달 방식에 의하는 경우 극히 단순한 의사표현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의사의 전달이 불완전할 뿐만 아니라, 때로는 오해를 불러 일으킬 소지가 많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운전자의 운전에 방해를 불러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운전자로 하여금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주변 차량에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필요로 한다.
본 실시예는 차량에 부착 가능한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를 구현하고, 구현된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운전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주변 차량에 보다 정확하게 알려줌으로써 운전 중 의사소통의 부재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보복운전 및 교통사고의 발생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는, 메시지 입력장치와 연동되며, 상기 메시지 입력장치로부터 차량의 운전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관련된 메시지 관련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메시지 관련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메시지의 출력 형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 형태에 따라 상기 메시지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다수의 픽셀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픽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의 메시지 표시방법에 있어서, 메시지 입력장치와 연동되며, 상기 메시지 입력장치로부터 차량의 운전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관련된 메시지 관련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메시지 관련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메시지의 출력 형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 형태에 따라 상기 메시지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수단에 구비된 다수의 픽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의 메시지 표시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부착 가능한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를 구현하고, 구현된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운전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주변 차량에 보다 정확하게 알려줌으로써 운전 중 의사소통의 부재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보복운전 및 교통사고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표시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의 메시지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입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입력장치의 메시지 입력 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표시되는 메시지의 형태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표시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한편, 도 1에서는 차량용 메시지 표시 시스템이 개인 차량 내에 구현된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차량용 메시지 표시 시스템은 버스, 택시와 같은 대중 교통 수단 내에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표시 시스템은 차량뿐만 아니라 일반 안내판이 존재하는 사무실, 가정, 학교 등과 같은 다양한 공간 내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메시지 표시시스템이 차량용으로 구현된 경우로 예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표시시스템은 메시지 입력장치(100) 및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110, 이하, 메시지 표시장치라 칭함)를 포함한다.
메시지 입력장치(100)는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운전자가 메시지 전달대상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관련된 메시지 관련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메시지 관련신호를 메시지 표시장치(110)로 전송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메시지 입력장치(100)는 리모컨 장치 및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 입력장치(100)는 그 구현 형태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차량 내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메시지 입력장치(100)가 리모컨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메시지 입력장치(100)가 리모컨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메시지 입력장치(100)는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그 조작이 용이하도록 핸들 상에 탈부착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리모컨 장치는 메시지 작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바람직하게는 버튼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가 전달하고자하는 특정 메시지와 관련된 메시지 관련신호를 메시지 표시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특정 메시지와 관련된 메시지 관련신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 특정 버튼의 선택과 관련하여 사전에 약속된 이벤트 정보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 구비된 각각의 버튼은 사전에 버튼별로 특정 메시지와 관련된 메시지 관련신호가 매칭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 구비된 각각의 버튼은 각각이 특정 자음, 모음 및 기호 등에 매칭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운전자는 특정 버튼의 선택 조합에 따라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직접 작성할 수도 있다.
이하, 메시지 입력장치(100)가 사용자 단말기로 구현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메시지 입력장치(100)가 사용자 단말기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메시지 입력장치(100)는 바람직하게는 안전상의 이유 등을 고려하여 운전 보조석에 위치한 탑승자가 소지한 단말기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메시지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여 메시지 표시장치(100) 상에 표기되는 메시지와 관련된 메시지 작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 입력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메시지 입력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가 스마트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다운로드된 후 인스톨된 애플리케이션을 말하며, 사용자 단말기가 피쳐폰(Feature Phone)인 경우 통신사 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된 VM(Virtual Machine) 상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된 메시지 입력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된 기본 애플리케이션(예컨대, 문자 발송 애플리케이션, 음성 호 송수신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송수신 애플리케이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등)과 연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본 애플리케이션과 연동없이 독립적인 기능으로 운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메시지 입력장치(100)는 차량 내 구비된 다른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메시지 표시장치(1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장치는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입력장치(100)와 별도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지만, 메시지 입력장치(100)의 일 구성요소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메시지 입력장치(100)는 차량 내 구비된 센서 장치 또는 영상 장치로부터 차량의 주변 상황과 관련된 관련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메시지 표시장치(1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주변 상황과 관련된 관련정보는 차량의 주변 환경에 대한 촬영 이미지이거나, 메시지 전달대상 예컨대, 주변 차량과의 거리 정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시지 입력장치(100)가 외부장치로부터 수집하는 차량의 주변 상황과 관련된 관련정보에 대해서 특정 정보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반대로, 메시지 입력장치(100)는 메시지 표시장치(11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외부장치로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입력장치(100)는 메시지 표시장치(110)에 의해 메시지 출력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이에 대한 확인신호를 메시지 표시장치(110)로부터 수신한다. 이후, 메시지 입력장치(110)는 수신한 확인신호를 차량의 운전자가 인지 가능한 형태로 출력한다. 이때, 메시지 입력장치(110)는 자체에 구비된 발광부(컬러 LED)를 구동하여 상기의 확인신호의 수신을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인지토록 할 수도 있지만, 외부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운전자에게 인지시킬 수도 있다. 즉, 메시지 입력장치(110)는 수신한 확인신호를 스피커 등의 사운드 장치로 전달하고, 이를 통해, 차량의 운전자가 음성으로 이를 인지토록 할 수도 있다.
메시지 입력장치(100)는 그 구현 형태에 따라 유선 또는 고유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메시지 표시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메시지 입력장치(100)가 리모컨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유선 또는 RF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메시지 표시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 단말기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블루투스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메시지 표시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시지 표시장치(110)는 차량의 운전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메시지 전달대상으로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메시지 표시장치(110)는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후방 유리 내부 또는 외부에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시지 표시장치(110)는 메시지 입력장치(100)와 연동되며, 이를 통해, 메시지 입력장치(100)와 메시지 표시 기능의 수행을 위한 필요정보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표시장치(110)는 메시지 입력장치(100)로부터 차량의 운전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관련된 메시지 관련신호를 수신한다.
메시지 표시장치(110)는 수신한 메시지 관련신호에 기반하여 메시지의 출력 형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 형태에 따라 메시지 표시장치(110) 내 구비된 디스플레이 수단을 제어하여 메시지를 출력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LED 모듈일 수 있으며, 영문자, 한글문자, 기호, 아이콘, 이미지 등의 다양한 형태의 메시지를 지원 가능토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이미지는 SD 카드 또는 USB 등을 통해 메시지 표시장치(110)에 지원될 수 있다.
메시지 표시장치(110)는 스피커 장치와 같은 외부장치와 연동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메시지 표시장치(110)로부터 출력되는 메시지를 외부장치를 이용하여 추가로 출력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외부장치는 메시지 표시장치(110)의 일 구성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시지 표시장치(110)는 메시지 입력장치(110) 및 외부장치와 지속적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메시지 관련정보(ex: 차량의 주변 환경과 관련된 관련정보)들을 추가로 수집하며, 이에 기반하여, 메시지 표시장치(110)에 기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메시지의 출력 형태를 재구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메시지 표시장치(110)가 차량의 운전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다 자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110)는 통신부(200), 제어부(210), 디스플레이부(220), 저장부(230) 및 전원 공급부(240)를 포함한다.
통신부(200)는 메시지 입력장치(100)와 연동되며, 메시지 입력장치(100)로부터 차량의 운전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관련된 메시지 관련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메시지 관련신호는 메시지의 종류, 개수 및 내용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 출력정보 또는 메시지 출력정보에 대응하여 사전에 약속된 이벤트 정보일 수 있다. 이벤트 정보는 특정 버튼에 대한 입력정보 및 차량의 주변 상황과 관련된 관련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00)는 복수 개의 통신모듈을 구비하며, 구비된 복수 개의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메시지 입력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다른, 통신부(200)는 유선통신 모듈, RF 무선통신 모듈 및 블루투스 무선통신 모듈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200)는 메시지 입력장치(100)가 리모컨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유선통신 모듈 또는 RF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메시지 입력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200)는 메시지 입력장치(100)가 사용자 단말기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블루투스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메시지 입력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00)는 메시지 입력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복수 개의 통신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메시지 입력장치(100)의 구현 형태와 무관하게 메시지 입력장치(100)로부터 메시지 관련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00)는 메시지 입력장치(100)와 지속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메시지 입력장치(100)로부터 차량의 주변 상황과 관련된 관련정보를 추가로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200)는 메시지 입력장치(100)가 아닌 차량 내 다른 외부장치로부터 상기의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210)는 메시지의 출력과 관련된 전반적인 제어 절차를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10)는 통신부(200)를 이용하여 수신한 메시지 관련신호에 기반하여 메시지의 출력 형태를 결정한다. 예컨대, 제어부(210)는 통신부(200)를 이용하여 수신한 메시지 관련신호가 메시지 출력정보인 경우에는 해당 메시지 출력정보에 포함된 메시지의 종류, 개수 및 내용 등의 정보에 기반하여 메시지의 출력 형태를 결정한다.
제어부(210)는 통신부(200)를 이용하여 수신한 메시지 관련신호가 이벤트 정보인 경우에는 저장부(230) 내 해당 이벤트 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된 메시지 출력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메시지 출력정보에 기반하여 메시지의 출력 형태를 결정한다.
제어부(210)는 결정된 메시지의 출력 형태에 따라 메시지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디스플레이부(220)로 전송한다. 한편,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부(220)를 이용하여 출력되는 메시지에 대한 표시 이력을 저장부(230) 상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메시지 표시 이력정보를 이후의 메시지 출력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부(220)를 이용하여 출력되는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기 설정된 스피커 장치로 전달하고, 이를 통해, 해당 스피커 장치가 해당 메시지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메시지 전달대상이 차량의 운전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보다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부(220)를 이용하여 메시지가 출력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메시지의 출력에 대한 확인신호가 메시지 입력장치(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더불어, 제어부(210)는 메시지 입력장치(100)가 해당 확인신호를 차량의 운전자가 인지 가능한 형태로 출력하도록 추가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가 메시지 출력에 대한 오류 여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210)는 차량의 현재 상황에 따라 메시지 표시장치(110)에 기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메시지의 출력 형태를 재구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부(220)를 이용하여 메시지가 출력된 시점을 기준으로 차량의 주변 환경과 관련된 관련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차량의 주변 환경과 관련된 관련정보는 외부장치 및 메시지 입력장치(110)를 통해 수집될 수 있으며, 예컨대, 차량의 주변 환경에 대한 촬영 이미지이거나, 주변 차량과의 거리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210)는 수집된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 운전자의 의도가 현재 출력되고 있는 메시지를 통해 메시지 전달 대상에게 분명하게 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 메시지의 출력 형태가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부(220)를 이용하여 출력되고 있는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하여 운전자의 메시지 전달 의도를 파악한다.
제어부(210)는 수집된 관련 정보를 운전자의 메시지 전달 의도 관점에서 비교 분석한다.
제어부(210)는 분석결과에 따라 메시지의 내용과 연관된 환경 변화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 차량 운전자의 의도가 현재 출력되고 있는 매시지를 통해 메시지 전달 대상에게 분명하게 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이후, 제어부(210)는 기존에 출력되고 있는 메시지의 출력 형태가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부(22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메시지의 출력 속도, 크기 및 출력 효과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변경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메시지의 출력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210)는 앞서 수신한 차량의 주변 상황과 관련된 관련정보를 반영하여 메시지의 내용을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부(22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210)는 메시지의 출력 형태가 변경되어 출력된 이후에도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차량 운전자의 의도가 메시지 전달 대상에게 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 메시지의 내용 및 차량의 주변 상황과 관련된 관련정보를 포함한 신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고 메시지가 기 설정된 관련기관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표시장치(110)의 사용자는 보복운전 및 교통사고에 대하여 빠른 대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다수의 픽셀을 구비하며, 제어부(210)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다수의 픽셀의 동작을 제어하여 메시지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20)는 바람직하게는 LED 모듈일 수 있다. LED 모듈은 제1 내지 제N 개의 열을 이루어 구비되고, 메시지 표시장치(110)의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확장하여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PCB 모듈이 분리 및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저장부(230)는 메시지 출력과 관련된 필요정보들을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230)는 이벤트 정보별 대응되는 메시지 출력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디스플레이부(220)를 이용하여 출력되는 메시지에 대한 표시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40)는 메시지 표시장치(110)의 구동을 위한 필요 전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의 메시지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메시지 표시장치(110)는 메시지 입력장치(100)로부터 차량의 운전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관련된 메시지 관련신호를 수신한다(S302).
메시지 표시장치(110)는 단계 S302에서 수신한 메시지 관련신호에 기반하여 메시지의 출력 형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 형태에 따라 메시지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S304).
메시지 표시장치(110)는 단계 S304에서 생성한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수단에 구비된 다수의 픽셀의 동작을 제어하여 메시지를 출력한다(S306).
메시지 표시장치(110)는 단계 S306에서 메시지가 출력된 시점을 기준으로 차량의 주변 상황과 관련된 관련정보를 수집한다(S308).
메시지 표시장치(110)는 단계 S308에서 수집한 관련정보에 기반하여 차량 운전자의 의도가 단계 S306의 메시지 출력을 통해 메시지 전달 대상에게 분명하게 전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10). 단계 S310에서 메시지 표시장치(110)는 단계 S308에서 수집한 관련정보를 단계 S306에서 출력된 메시지의 내용을 기반으로 비교 분석하여 차량 운전자의 의도가 메시지 전달 대상에게 분명하게 전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메시지 표시장치(110)는 단계 S310의 확인 과정을 통해 차량 운전자의 의도가 현재 출력되고 있는 메시지를 통해 메시지 전달 대상에게 분명하게 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 메시지의 출력 형태가 변경되도록 제어한다(S312).
도 3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3에 기재된 과정을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입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한편, 도 4에서는 메시지 입력장치(100)가 리모컨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에 대하여 예시하였다.
도 4에서 도시하듯이, 메시지 입력장치(100)가 리모컨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메시지 입력장치(100)는 메시지 작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버튼 메트릭스)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바람직하게는 버튼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가 전달하고자하는 특정 메시지와 관련된 메시지 관련신호를 메시지 표시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입력장치(100)는 메시지 표시장치(110)에 의해 메시지 출력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이에 대한 확인신호를 메시지 표시장치(110)로부터 수신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메시지 입력장치(110)는 구성요소로서 사운드 장치를 구비하고, 구비된 사운드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의 확인신호를 운전자가 인지 가능한 형태로 출력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입력장치의 메시지 입력 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한편, 도 5에서는 메시지 입력장치(100)가 사용자 단말기로 구현되는 경우에 대하여 예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시지 입력장치(100)의 사용자가 메시지 입력장치(100)에 탑재된 메시지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메시지 작성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확인할 수 있다. 즉, 메시지 입력장치(100)의 사용자는 메시지 입력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 제공되는 메시지 선택 목록을 통해 특정 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결과에 따라 특정 메시지와 관련된 메시지 관련신호를 메시지 표시장치(11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표시되는 메시지의 형태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한편, 도 6에서는 메시지 표시장치의 메시지 표시방법에 기반하여 최초 출력된 메시지의 형태 및 차량의 주변 상황과 관련된 관련정보에 기반하여 재구성된 메시지의 형태를 함께 예시하였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최초 출력된 메시지의 형태 대비 재구성된 메시지는 차량 운전자의 의도를 보다 분명하게 메시지 전달대상으로 전달하기 위해, 아이콘 및 메시지의 내용(특정 차량에 대한 차량번호 명시)이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b)를 참조하면, 최초 출력된 메시지의 형태 대비 재구성된 메시지는 차량 운전자의 의도를 보다 분명하게 메시지 전달대상으로 전달하기 위해, 메시지의 출력 속도, 크기 및 시각 효과가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메시지 입력장치 110: 메시지 표시장치
200: 통신부 210: 제어부
220: 디스플레이부 230: 저장부
240: 전원 공급부

Claims (13)

  1. 메시지 입력장치와 연동되며, 상기 메시지 입력장치로부터 차량의 운전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관련된 메시지 관련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메시지 관련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메시지의 출력 형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 형태에 따라 상기 메시지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다수의 픽셀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픽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가 출력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차량의 주변 환경과 관련된 관련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관련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메시지의 내용과 연관된 환경 변화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 상기 메시지의 출력 형태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관련신호는,
    상기 메시지의 종류, 개수 및 내용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 출력정보에 대응하여 사전에 약속된 이벤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정보는,
    상기 메시지 입력장치 내의 특정 버튼에 대한 입력정보 및 상기 차량의 주변 환경과 관련된 관련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이벤트 정보별 대응되는 메시지 출력정보를 저장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 관련신호로서 특정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특정 이벤트 정보에 대응되는 메시지 출력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메시지 출력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메시지의 출력 형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출력되는 상기 메시지에 대한 표시 이력이 상기 저장부 상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출력되는 상기 메시지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가 기 설정된 스피커 장치를 이용하여 추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가 출력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시지의 출력에 대한 확인신호가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인지 가능한 형태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메시지의 출력 속도, 크기 및 시각 효과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주변 환경과 관련된 관련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메시지의 내용을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메시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의 출력 형태가 변경되어 출력된 이후에도 상기 환경 변화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 상기 메시지의 내용 및 상기 차량의 주변 환경과 관련된 관련정보를 포함한 신고 메시지가 기 설정된 관련기관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입력장치는 상기 차량에 탈부착 가능한 리모컨 장치 및 메시지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메시지 입력장치의 구현 형태에 따라 서로 상이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메시지 관련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
  13.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의 메시지 표시방법에 있어서,
    메시지 입력장치와 연동되며, 상기 메시지 입력장치로부터 차량의 운전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관련된 메시지 관련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메시지 관련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메시지의 출력 형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 형태에 따라 상기 메시지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수단에 구비된 다수의 픽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가 출력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차량의 주변 환경과 관련된 관련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관련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메시지의 내용과 연관된 환경 변화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 상기 메시지의 출력 형태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의 메시지 표시방법.
KR1020160140803A 2016-10-27 2016-10-27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102235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803A KR102235368B1 (ko) 2016-10-27 2016-10-27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803A KR102235368B1 (ko) 2016-10-27 2016-10-27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052A KR20180046052A (ko) 2018-05-08
KR102235368B1 true KR102235368B1 (ko) 2021-04-01

Family

ID=62187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803A KR102235368B1 (ko) 2016-10-27 2016-10-27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3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601B1 (ko) * 2019-10-22 2020-09-08 박현 교통 사고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407798B1 (ko) * 2020-08-21 2022-06-13 김정우 비행체가 탑재된 차량 2차사고 예방 시스템
KR20220052518A (ko) 2020-10-21 2022-04-28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메시지 전달 시스템
KR102635890B1 (ko) * 2023-06-29 2024-02-13 주식회사 유닉트 안전 메시지 전송을 위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155B1 (ko) * 2003-12-17 2004-11-16 윤관영 차량용 문자제공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547B1 (ko) * 2011-07-19 2013-09-06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행 감정 표현 시스템
KR102008793B1 (ko) * 2013-01-02 2019-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메시지 전송 방법
KR20160081334A (ko) * 2014-12-31 2016-07-08 (주)현대공업 모바일단말 제어형 자동차용 외향 표시장치를 이용한 자동차 외향 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155B1 (ko) * 2003-12-17 2004-11-16 윤관영 차량용 문자제공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052A (ko) 201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5368B1 (ko)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 및 그 방법
EP3260816B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n-vehicle device, and terminal device
CN104732790B (zh) 车辆信息更新方法及设备
KR20190076731A (ko) 탑승자 단말 및 디스트랙션 확인을 통한 컨텐츠 표시 방법
CN112036314A (zh) 方向盘脱手检测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0351058B2 (en) Managing alerts for a wearable device in a vehicle
US10380894B2 (en)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information notification method, and information notification program
WO2017103920A1 (en) Inter-vehicle messaging system
US20120098652A1 (en) Bright OnBoard Display
KR101305547B1 (ko) 주행 감정 표현 시스템
JP2015143079A (ja) 車両制御システム、携帯端末および車両側装置
KR20180120617A (ko) 후방차량용 알림시스템 및 방법
TWI591590B (zh) 智慧型到站提醒系統及方法
KR20180012652A (ko) 차량용 정보 표시 시스템
JP6372239B2 (ja) 車両用情報提供装置
KR20130002417U (ko) 후방 차량의 유도 및 경보를 위한 엘이디 표시 제어장치
CN114026584A (zh) 运输网络公司(tnc)服务用户之间的车辆识别和通信方法
WO2014209168A1 (ru) Автомобильный коммуникатор
CN209888791U (zh) 行车提示仪
JP2013154712A (ja) 表示制御装置
JP7436184B2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法及び情報端末
JP2021067556A (ja) 情報端末、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6331990B2 (ja) 車載システム
JP6455711B2 (ja) 車両用情報提供装置
KR102570862B1 (ko) 자율주행차량의 군집 주행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