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2652A - 차량용 정보 표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정보 표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2652A
KR20180012652A KR1020160095771A KR20160095771A KR20180012652A KR 20180012652 A KR20180012652 A KR 20180012652A KR 1020160095771 A KR1020160095771 A KR 1020160095771A KR 20160095771 A KR20160095771 A KR 20160095771A KR 20180012652 A KR20180012652 A KR 20180012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display
communication modul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식
Original Assignee
(주)디트리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트리플 filed Critical (주)디트리플
Priority to KR1020160095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2652A/ko
Publication of KR20180012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6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60Q1/503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electronic displays
    • B60Q1/503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electronic displays the display content changing automatically, e.g. depending on traffic si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windscreen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60R16/0373Voice contro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in-vehicle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어 차량의 외부로 차량의 주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정보 표시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되고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탑재되며 근거리 통신 모듈을 갖춘 정보 단말기, 및 차량에 탑재되어 복수 개의 LED 소자를 선택적으로 점등함으로써 문자 또는 기호를 차량의 외부에서 가시 가능하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정보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모듈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갖춘 표시 장치를 포함하고, 정보 단말기에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부터 차량의 주행 진로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주행 정보 추출 시스템이 탑재되고, 정보 단말기는 주행 정보 추출 시스템에서 추출한 차량의 주행 진로에 관한 정보로부터 차량의 주행 진로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고, 주행 진로의 변경에 관한 표시의 정보로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출하고, 표시 장치는 정보 단말기가 송출한 정보를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수신하고, 디스플레이에서 복수 개의 LED 소자 중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점등함으로써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 진로의 변경에 관한 표시를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정보 표시 시스템{INFORMATION DISPLAY SYSTEM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외부에 정보를 표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운전자의 의사 또는 차량의 주행에 관한 정보를 차량의 외부에 표시하여 주변 차량의 운전자 등에게 알리기 위한 정보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나 오토바이와 같이 주행 중에 운전자의 의사에 의해 필요에 따라 주행 차선의 변경이나 주행로의 변경, 선회 또는 차량 속도의 가속이나 감속을 행하는 차량에서는 주변의 다른 차량, 특히 후방에서 해당 차량을 뒤따르는 차량에게 해당 차량의 진행 방향 변경이나 감속 등을 알림으로써 후방 차량이 이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차량에는 브레이크등과 방향지시등이 구비되어 있어서, 주행 차로를 변경할 때에는 운전자가 해당 방향의 방향 지시등이 점멸되게 하여 주변 차량에 차량의 주행 차로의 변경을 알리고 감속 시에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브레이크등이 점등되어 후방 차량이 앞선 차량의 속도가 감소하는 것을 인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통상의 차량에서는 차량의 주행 차로 변경 시에 운전자가 방향지시등을 직접 조작하여 주행 차로의 변경을 알려야 하지만, 운전자의 운전 습관이나 태만으로 방향지시등을 조작하지 않고 차선을 변경하거나 선회를 하는 등에 의해 후방 차량에게 그러한 주행 차로의 변경에 미리 대비하지 못하게 하는 일이 빈번하고, 운전자로서도 수시로 방향지시등을 조작하는 일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또한, 차량 감속의 경우에도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서 차량의 감속이 이루어지기 시작하는 시점에서야 비로소 차량의 감속에 관한 정보를 후방 차량에게 알리게 되므로, 후방 차량이 근접하여 주행하는 상황 등에서는 추돌의 우려도 있다.
이러한 차량 주행 정보의 표시와는 별개로 다른 차량의 앞으로 끼어들 때에 그 다른 차량에게 미안함의 표시 또는 양보하여 준 것에 대한 고마음의 표시로서 비상등을 점멸하여 의사를 전달하는 방식의 운전 문화가 확산되어 있으나, 운전자가 미안함이나 고마음의 표시를 위해 비상등을 조작하는 것이 번거롭고 이러한 행위는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못하게 하는 원인도 된다.
또한, 후방 차량에게 전달 가능한 메시지 역시 비상등의 점멸에 의해 미안함과 고마움의 표시에 한정되고 있을 뿐이고, 그 밖의 다른 메시지를 후방 차량에게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이나 방법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통상의 차량에서 주행 정보의 알림이나 메시지의 전달은 그 시기나 방법 및 표현상의 한계를 갖는다.
이러한 통상의 차량에 대한 한계점을 극복하여 다양한 메시지를 후방 차량에게 보여주기 위한 장치가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2157호(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문헌 1에서 개시하는 '자동차의 후방 표시 장치'의 구성에 따르면, 차량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되고, 이 디스플레이에는 브레이크 페달, 방향지시등 스위치 및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른 메시지를 출력하는 연산처리장치(CPU)등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이나 방향지시등 스위치를 조작하면 그에 관한 차량 주행 정보를 표시하는 메시지가 후방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운전자가 운전 상황에 필요한 메시지에 상응하는 버튼을 누르면 후방의 디스플레이에 선택된 메시지가 출력된다.
이러한 문헌 1의 후방 표시 장치는 버튼 조작이나 페달 또는 스위치의 조작만으로 후방에 다양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통상의 자동차와 대비하였을 때에 브레이크 페달이나 방향지시등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브레이크등의 점등이나 방향지시등의 점멸에 비해 후방의 운전자에게 추가의 주행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없다. 특히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이나 방향지시등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는 이상, 주행 방향의 변경이나 속도의 감소를 미리 알려주지도 못한다.
또한, 후방 차량에게 특정의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해 별도의 버튼을 선택하여 누르는 동작은 운전자의 불편함과 번거로움은 물론이고 운전자의 주의를 산만하게 함으로써 오히려 사고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2157호
본 발명의 발명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통상적인 차량의 구조적 한계상 후방의 차량을 포함한 주변 차량에 차량의 주행에 관한 정보를 별도의 조작 없이 미리 알릴 수 없다는 문제점을 고려하였으며, 또한 통상의 차량에는 주행 정보 외에 운전자의 의사를 표시할 수단이 없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또한, 문헌 1의 표시 장치에서도 운전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 차량의 주행 정보를 알릴 수 없고 시기적으로도 그 주행 정보를 미리 후방 차량에게 알리기 어렵다는 점 및 별도의 메시지 표시를 위해서는 버튼을 조작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을 고려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에 대한 고려를 바탕으로, 차량의 주행 정보를 브레이크 페달이나 방향지시등의 조작에 앞서 미리 주변 차량에 알릴 수 있고, 그러한 알림을 위해 별도의 버튼이나 키이 등의 조작이 필요없는 정보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가 후방 차량 등에게 알리고 싶은 다양한 메시지를 차량의 후방에 표시할 수 있고, 특히 별도의 버튼이나 키이의 조작 없이 그러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는 정보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에 탑재되어 차량의 외부로 차량의 주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인 본 발명의 정보 표시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정보 표시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되고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탑재되며 근거리 통신 모듈을 갖춘 정보 단말기, 및 차량에 탑재되어 복수 개의 LED 소자를 선택적으로 점등함으로써 문자 또는 기호를 차량의 외부에서 가시 가능하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정보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모듈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갖춘 표시 장치를 포함하고,
정보 단말기에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부터 차량의 주행 진로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주행 정보 추출 시스템이 탑재되고, 정보 단말기는 주행 정보 추출 시스템에서 추출한 차량의 주행 진로에 관한 정보로부터 차량의 주행 진로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고, 주행 진로의 변경에 관한 표시의 정보로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출하고,
표시 장치는 정보 단말기가 송출한 정보를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수신하고, 디스플레이에서 복수 개의 LED 소자 중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점등함으로써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 진로의 변경에 관한 표시를 하는 것이다.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지도 데이터를 내장하거나 외부로부터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시스템에 입력되는 차량 주행의 목적지까지 가는 주행 경로를 운전자에게 표시하여 주며, 차량의 주행로를 지시하고 차량이 어느 지점에서 회전하여야 하며 특정 구간에서의 제한 속도를 안내하는 등의 차량 주행에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예컨대, 이 시스템은 차량이 특정 지점에서 우측의 길로 선회를 하여야 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때로는 음성 안내를 통하여 차량의 운전자에게 미리 어느 시점에 선회를 하여야 하는지를 안내한다.
본 발명의 정보 표시 시스템에서 정보 단말기는 이 정보 단말기에 탑재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부터 이러한 차량의 주행에 관한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정보는 차량이 어느 주행로를 따라 주행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안내를 물론이고 어느 시점에서 선회를 하고 어느 구간에서 차량의 주행 속력을 감속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안내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이렇게 추출된 주행 정보에는 주행 경로의 변경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그러한 정보에는 예컨대, 현재 주행 상태에서 100 m 전방에서 차량이 우측의 도로로 차로를 변경하여야 한다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한 정보는 정보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표시 장치의 근거리 통신 모듈로 전송된다. 이러한 정보를 수신한 표시 장치는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차량이 주행 방향의 변경을 표시한다.
정보 단말기로부터 표시 장치로 송신되는 정보는 2가지 유형을 가질 수 있다.
첫 번째로, 차량이 곧 주행 경로를 변경한다는 정보이다. 표시 장치는 이러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지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정보 단말기로부터 이러한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주행 경로의 변경 정보와 그 정보에 해당하는 표지에 관한 정보를 매칭하고 해당 표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두 번째로, 차량의 주행 경로의 변경을 표시하기 위한 표지에 관한 정보이다. 정보 단말기는 차량의 주행 경로의 변경을 표시하는 표지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차량의 주행 경로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그 표시 정보와 매칭하여, 표지에 관한 정보를 표시 장치로 송신한다. 표시 장치는 수신된 표지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표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는 복수 개의 LED 소자가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복수 개의 LED 소자 중에서 일부의 소자를 점등함으로써 디스플레이에 주행 경로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지가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시스템에서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하기에 앞서 차량의 감속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차량이 제한속도가 110 km/h인 고속도로를 주행하고 있는데 주행 경로 상의 전방에 톨게이트가 있는 경우에 속도를 감속하게 된다. 정보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주행 경로의 전방에 톨게이트가 있다는 정보를 운전자에게 음성으로 또는 그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안내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차량의 주행 속도를 감속한다. 정보 단말기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부터 이러한 정보를 추출하고, 차량이 주행 속도를 줄일 것이라는 정보를 표시 장치에 송신한다. 표시 장치는 정보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차량의 감속에 관한 표지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정보 표시 시스템에서는 차량의 주행 중에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음으로써 브레이크등이 점등되어 후방의 차량측에 차량의 감속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방향지시등을 조작하여 점멸시킴으로써 차량의 선회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준을 넘어서, 운전자가 별도의 조작을 가하는 일이 없이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서 실제로 차량이 감속되기에 앞서, 그리고 운전자가 차량의 선회에 관한 표시를 외부에 하기 위해 방향지시등을 점등하는 것과 무관하게, 차량의 속도가 감속될 것이라는 정보, 차량이 특정 방향으로 선회하게 될 것이라는 정보를 차량의 외부로 표시함으로써 후방 또는 주변의 다른 차량의 운전자가 본 발명의 정보 표시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주행 경로의 변경이나 감속을 예측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 양태로서, 정보 단말기는 소리가 입력되는 마이크가 포함되고,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소리 중에서 사람의 음성을 추출하고 추출된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 시스템이 탑재되며, 음성 인식 시스템은 추출된 음성이 미리 저장된 문구에 해당하는 경우에 해당 문구에 관한 정보를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표시 장치에 송출하고, 표시 장치는 정보 단말기가 송출한 문구에 관한 정보를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수신하고, 디스플레이에서 복수 개의 LED 소자 중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점등함으로서 해당 문구를 표시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정보 단말기는 몇가지 유형의 외부로 표시할 메시지의 문구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운전자나 동승자가 이 저장된 메시지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문구에 해당하는 음성을 내는 경우에 이를 인식하여 인식된 음성의 문구와 저장된 메시지의 문구 정보를 대조하여, 인식된 음성의 문구가 저장된 문구와 매칭되는 경우에, 해당 문구를 표시 장치로 송신하여 해당 문구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예컨대 운전자가 주행 중에 급하게 차선을 변경한 경우에 후방의 차량에게 '미안합니다'하는 메시지를 전하고 싶은 경우, 운전자는 정보 단말기의 마이크에 '미안합니다'라고 말을 한다.
정보 단말기는 운전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저장된 메시지의 문구들과 대비하여 저장된 문구 중에서 '미안합니다'를 추출하여 이 문구를 표시하는 것에 관한 정보를 표시 장치로 송신한다. 표시 장치는 해당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에 해당 문구가 표시되도록 일부의 LED 소자를 점등하여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러한 구성과 작용에 따라, 운전자는 별도의 버튼 조작을 하지 않고도 후방 차량 등에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를 단지 음성에 의해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양태로서, 표시 장치에는 정보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상응하는 표시에 해당하는 LED의 점등 정보가 저장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정보 단말기가 표시 장치에 LED의 점등 정보와 같은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단지 표시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표지의 정보에 매칭되는 정보만을 전달할 수 있게 되므로, 정보 단말기로부터 표시 장치로 적은 양의 데이터만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 양태로서, 디스플레이는 유연한 소재의 기판에 LED소자가 배치되는 것이고, 차량의 후방 유리창에 부착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는 곡면으로 형성된 차량의 유리창에 부착될 수 있고 후방의 차량에 차량의 주행 경로의 변경에 관한 표지나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원할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 시스템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정보 표시 시스템은 물리적 구성 요소로서 정보 단말기(10)와 표시 장치(20)로 구성되어 있다.
정보 단말기(10)는 차량에 설치되는 네비게이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고 스마트폰이나 태플릿 컴퓨터와 같은 휴대형 정보 처리 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정보 단말기(10)는 물리적 구성 요소로서 마이크(11)와 스피커,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연산처리부 및 근거리 통신 모듈(12)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인 스마트폰이나 태플릿 컴퓨터의 구성에 따르는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별도로 설명하지 않는다.
정보 단말기에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구성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5, 네비게이션앱)이 탑재되어 있다. 네비게이션앱(15)으로서, 정보 단말기(10)의 메모리에 지도 데이터 및 구동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그 실행에 따라 연산처리부에서 구동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물론, 지도 데이터는 이동통신망 등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다운받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앱(15)은 통상의 것과 같이 목적지를 입력하면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경로 안내를 실시간으로 스피커를 통한 음성 안내와 및 정보 디스플레이에의 표시를 통하여 안내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네비게이션앱(15)의 구동에 있어서, 목적지에 이르는 주행 경로가 설정되고, 차량이 그 주행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데에 맞추어 현재 주행 상태 및 위치를 기준으로 다음의 주행 경로를 추출하고 주행 경로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여 운전자에게 스피커를 통한 음성 안내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한 주행 경로 변경의 표시를 한다. 네비게이션앱(15)은 이러한 주행 경로의 변경에 관한 정보 외에도 GPS 모듈을 통하여 그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고 지도 데이터를 기초로 그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에서의 제한 속도 및 차량의 향후 주행 경로 상에서의 제한 속도를 추출하고, 차량이 제한 속도를 초과하여 주행하는 경우에 차량에 속도를 낮출 것을 권고하는 표시 또는 앞으로의 주행 경로 상에서의 제한 속도 등의 안내 표시 및 속도 감속의 권고에 대한 안내 표시를 스피커를 통한 음성 안내 또는 디스플레이에의 표시 등을 행한다.
이러한 주행 경로의 변경에 관한 정보 또는 주행 속도의 변경에 관한 정보는 정보 단말기(10)에 탑재되는 주행정보추출앱(16)을 통하여 추출된다.
주행 정보 추출앱(16)은 프로그램의 형태로 정보 단말기(10)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고, 네비게이션앱(15)의 실행에 따라 연산처리부에서 실행되어 네비게이션앱(15)에서 주행 경로의 변경 또는 주행 속도의 변경에 관한 정보가 생성되면 이 정보를 추출한다.
주행 정보 추출앱(16)에서 추출된 정보는 정보 단말기(10)의 근거리 통신 모듈(12)을 통하여 표시 장치(20)에 전송된다.
한편, 정보 단말기(10)에는 에티켓 서비스앱(17)이 탑재되어 있다.
에티켓 서비스앱(17)으로서 그 구동 프로그램 및 표시 장치를 통하여 출력할 에티켓 메시지의 문구 정보가 정보 단말기(10)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고, 네비게이션앱(15)의 실행에 따라 그 구동 프로그램이 정보처리부에서 실행된다.
에티켓 서비스앱(17)은 정보 단말기의 마이크(11)를 통하여 수신되는 소리에 관한 정보와 그 저장하고 있는 에티켓 메시지의 문구를 매칭한다. 이러한 매칭에 앞서 정보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거나 별도로 탑재한 음성 인식 프로그램에 의해 마이크(11)를 통하여 수신되는 소리로부터 음성을 추출하고 그 음성으로부터 일정한 의미를 갖는 문구가 추출된다. 이러한 음성 인식 프로그램은 별도로 정보 단말기에 탑재되는 것이지만, 에티켓 서비스앱(17)이 음성 인식 기능을 갖추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에티켓 서비스앱(17)이 마이크(11)에 입력되는 소리로부터 그 저장하고 있는 에티켓 메시지의 문구에 해당하는 문구를 추출한 경우에, 저장하고 있는 에티켓 메시지의 문구에 관한 정보를 정보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모듈(12)을 통하여 표시 장치(20)에 송신한다.
표시 장치(20)도 근거리 통신 모듈(21)을 갖추고 있으며, 정보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모듈(12)과 표시 장치의 근거리 통신 모듈(21)은 WIFI 모듈, 근거리 적외선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의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별도의 통신 중계 장치를 거치지 않고 서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표시 장치(20)는 근거리 통신 모듈(21) 외에 연산제어부(22), 메모리(24), 디스플레이(25) 및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출력부(23) 및 OBD 인터페이스(26)를 갖추고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1)로부터 주행 경로의 변경에 관한 정보, 주행 속도 제한에 따른 차량 속도 감속의 정보 또는 에티켓 메시지 문구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정보는 연산 제어부(22)에 입력된다.
연산 제어부(22)는 입력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25)에서 표시할 문구 또는 표지의 정보를 산출한다. 메모리(24)에는 디스플레이(25)에서 표시할 문구 또는 표지에 맞는 디스플레이의 작동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디스플레이(25)는 실리콘 재질의 유연한 기판에 복수 개의 LED 소자가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굴곡 가능하여 곡면에 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 것이다. 디스플레이(25)를 이루는 LED 소자들은 복수 개의 열과 행으로 배치되어서 특정의 LED 소자들을 점등함으로써 특정 표지나 문자를 표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연산 제어부(22)는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할 문구 또는 표지에 맞는 디스플레이 작동 정보를 디스플레이 출력부(23)에 보내고, 디스플레이 출력부(23)가 이러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25)를 이루는 복수 개의 LED 소자들 중의 일부를 점등함으로써, 디스플레이(25)에 해당 문구 또는 표지가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통상의 차량에는 엔진이나 각종 주행 관련 장치들의 상태를 진단하고 점검할 수 있는 OBD 단자가 마련되는데, 본 실시예의 정보 표시 시스템을 이루는 표시 장치(20)에는 OBD 단자에 연결되는 OBD 인터페이스(26)가 갖추어져 있다.
이러한 OBD 인터페이스(26)의 차량의 OBD 단자로부터 브레이크의 작동 정보 및 방향지시등의 작동 정보를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된 정보는 표시 장치의 연산제어부(22)로 입력되고, 연산 제어부(22)는 예컨대 OBD 인터페이스(26)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차량의 브레이크 작동에 관한 정보인 경우에는 이를 차량의 주행 속도 감속에 관한 것으로 판별하고 주행 속도의 감속에 관한 표시를 디스플레이(25)에 출력한다.
또한, OBD 인터페이스(26)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방향 지시등의 작동에 관한 정보인 경우에는 주행 진로의 변경 또는 주행 진로의 선회에 관한 표시를 디스플레이(25)에 출력한다.
본 실시예의 정보 표시 시스템은 정보 단말기(10)에 탑재된 네비게이션앱 (15)으로부터 주행 진로의 변경이나 감속에 관한 정보들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25)에 표시하는 것이지만, 운전자가 네비게이션앱(15)을 구동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차량으로부터 방향지시등의 점등 정보나 브레이크의 작동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정보 표시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25)는 차량의 후면 유리창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25)에 표시되는 문구나 표지는 특히 본 실시예의 정보 표시 시스템을 장착한 차량의 후방에 뒤따라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쉽게 판별될 수 있어서, 차량의 선회나 감속 등이 이루어지는 시점이 아닌, 그러한 선회나 감속, 차선의 변경과 같은 차량의 주행 상의 변동이 이루어지기에 앞서 후방 운전자에게 그러한 변동 예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앞선 차량의 주행 변동에 대비하여 줄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시스템의 구성과 작동에 따르면, 운전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후방의 차량에게 차량의 선회나 차선 변경 또는 감속에 관한 정보가 자동으로 제공되므로, 운전자는 운전에만 집중할 수 있고 버튼의 조작이나 수신호 등을 하는 데 따른 주의 산만 등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며,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과 변형 및 구성 요소의 부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10: 정보 단말기 20: 표시 장치 25: 디스플레이

Claims (4)

  1. 차량에 탑재되어 차량의 외부로 차량의 주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으로서,
    차량에 탑재되고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탑재되며 근거리 통신 모듈을 갖춘 정보 단말기, 및
    차량에 탑재되어 복수 개의 LED 소자를 선택적으로 점등함으로써 문자 또는 기호를 차량의 외부에서 가시 가능하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정보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모듈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갖춘 표시 장치
    를 포함하고,
    정보 단말기에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부터 차량의 주행 진로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주행 정보 추출 시스템이 탑재되고, 정보 단말기는 주행 정보 추출 시스템에서 추출한 차량의 주행 진로에 관한 정보로부터 차량의 주행 진로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고, 주행 진로의 변경에 관한 표시의 정보로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출하고,
    표시 장치는 정보 단말기가 송출한 정보를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수신하고, 디스플레이에서 복수 개의 LED 소자 중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점등함으로써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 진로의 변경에 관한 표시를 하는 것인 정보 표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정보 단말기는 소리가 입력되는 마이크가 포함되고,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소리 중에서 사람의 음성을 추출하고 추출된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 시스템이 탑재되며,
    음성 인식 시스템은 추출된 음성이 미리 저장된 문구에 해당하는 경우에 해당 문구에 관한 정보를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표시 장치에 송출하고,
    표시 장치는 정보 단말기가 송출한 문구에 관한 정보를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수신하고, 디스플레이에서 복수 개의 LED 소자 중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점등함으로서 해당 문구를 표시하는 것인 정보 표시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표시 장치에는 정보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상응하는 표시에 해당하는 LED의 점등 정보가 저장되는 것인 정보 표시 시스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는 유연한 소재의 기판에 LED소자가 배치되는 것이고, 차량의 후방 유리창에 부착되는 것인 정보 표시 시스템.
KR1020160095771A 2016-07-27 2016-07-27 차량용 정보 표시 시스템 KR201800126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771A KR20180012652A (ko) 2016-07-27 2016-07-27 차량용 정보 표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771A KR20180012652A (ko) 2016-07-27 2016-07-27 차량용 정보 표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652A true KR20180012652A (ko) 2018-02-06

Family

ID=61227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771A KR20180012652A (ko) 2016-07-27 2016-07-27 차량용 정보 표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26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6081A (zh) * 2018-12-04 2019-04-26 大英县青少年学生校外活动中心 一种车道通行状态智能控制系统
CN109814440A (zh) * 2018-12-29 2019-05-28 广州通巴达电气科技有限公司 集中控制设备、系统及其控制方法、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6081A (zh) * 2018-12-04 2019-04-26 大英县青少年学生校外活动中心 一种车道通行状态智能控制系统
CN109814440A (zh) * 2018-12-29 2019-05-28 广州通巴达电气科技有限公司 集中控制设备、系统及其控制方法、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28015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存储介质
US9956904B2 (en) Automatic activation of turn signals in a vehicle
US11270587B2 (en) Vehicle on-board communication device and vehicle
JP2017507425A (ja) 車両に用いられるシステム
US20140129092A1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US20140375448A1 (en) Variable brake light control system using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8176357A (ja) 異常診断システム及び診断情報管理装置
JP2017509065A (ja) 異なる言語の翻訳を用いる車両用画像キャプチャーシステム
JP2017117041A (ja) 車両用標識表示装置及び方法
US20170139205A1 (en) Head-up display system, head-up display device and navigation information display method
JP2017045448A (ja) 誤った走行方向で走行中の車両について警告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CN112017438A (zh) 一种行车决策生成方法及系统
KR20180012652A (ko) 차량용 정보 표시 시스템
KR102118711B1 (ko) 후방차량용 알림시스템 및 방법
KR20100099633A (ko) 차량용 후방 안내 시스템
JP5994526B2 (ja) 運転支援装置
GB2454516A (en) Vehicle speed control
WO2021124641A1 (ja) 表示光出射装置
JP2004184176A (ja) 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情報表示方法
JP2017037683A (ja) 車載端末装置、情報システム、および情報出力方法
KR100832805B1 (ko) 차량의 운행상태 및 외부입력데이터 표시장치
US7233849B2 (en) Automobile communication courtesy display
KR20120039979A (ko)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도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KR100731720B1 (ko) 차량운전자의 의사표시기능을 구비한 네비게이션 장치
WO2018190402A1 (ja) 道路情報報知装置、道路情報報知プログラムおよび道路情報報知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