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5884A - 감광수지 조성물 및 인쇄배선기판 - Google Patents

감광수지 조성물 및 인쇄배선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5884A
KR20030025884A KR1020020057355A KR20020057355A KR20030025884A KR 20030025884 A KR20030025884 A KR 20030025884A KR 1020020057355 A KR1020020057355 A KR 1020020057355A KR 20020057355 A KR20020057355 A KR 20020057355A KR 20030025884 A KR20030025884 A KR 20030025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resin
film
epoxy
epoxy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7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노타카오
미우라이치로
하세가와야수유키
Original Assignee
타무라 카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무라 카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타무라 카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30025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88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38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rendered insoluble or differentially wettab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32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32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 G03F7/033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the binders being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vinyl polym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For Printed Circuit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Epoxy Resi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솔더레지스트로 사용하기에 유용한 감광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며, 이는 항-점착성이 없고, 다른 필름 특성들을 희생시키지 않으면서 가소성, 밀착성 및 내열성 등과 같은 필름 특성들이 우수하고, 그 특성들이 그 최종 용도에 일치하도록 쉽게 설계될 수 있는 감광수지 조성물이 기술된다. 이 감광수지 조성물은 (A) 분자당 적어도 2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활성 에너지 선-경화성 수지, (B) 광중합 개시제, (C) 반응성 희석제 및 (D) 열경화성 화합물들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성분 (A)는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및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과 반응시켜 히드록실기를 갖는 화합물을 형성하고, 이 화합물을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또는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무수물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수득되는 다염기산-변성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변성 합성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는 또한 앞서 언급한 감광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인쇄배선기판이 기술되어 있다.

Description

감광수지 조성물 및 인쇄배선기판{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printed wiring board}
이 출원은 2001년 9월 21일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1-288838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자외선 노광 단계 및 묽은 알칼리 수용액을 사용하는 현상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상을 형성시키는 데 유용하고, 항-점착성(접촉 건조성) 뿐만 아니라, 다른 필름 특성들을 희생시키지 않으면서 가소성, 밀착성 및 내열성 등과 같은 필름 특성들이 우수하고, 즉 다른 필름 특성들 또한 우수한 수준으로 유지되며, 그에 의해 인쇄배선기판의 제조를 위한 솔더레지스트(solder resist)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감광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감광수지 조성물의 사용에 의해 형성된 인쇄배선기판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인쇄배선기판은 인쇄배선기판의 기판 상에 미리 형성시킨 전도성 회로 패턴의 납땜 영역들 상에 전자소자들을 탑재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며, 여기에서 상기 납땜 영역들을 제외한 모든 회로 영역들은 영구적인 보호막으로서 솔더레지스트막으로 도포되어 있다. 이 솔더레지스트막의 도포에 의해, 전자소자들의 인쇄배선기판에의 납땜 시, 땜납으로 도포될 필요가 없는 영역들 상으로 땜납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회로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도체(conductor)가 공기 중에 직접적으로 노광되어 그에 의해 산화되거나 또는 수분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통상적으로, 대부분의 경우에서, 상기 솔더레지스트막은 패턴을 형성하도록 스크린 인쇄에 의해 기판 상에 솔더레지스트막의 액체 조성물이 도포되고, 계속해서 건조되어 용매를 제거하고, 자외선 또는 가열에 의해 경화되는 공정들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최근 인쇄배선기판의 배선들의 밀도의 증가(세밀화)에 대한 요구의 증가로 인하여, 솔더레지스트 조성물(이하에서 또한 '솔더레지스트 잉크 조성물'이라고도 한다) 또한 정밀도(precision)와 마찬가지로 분해능(resolution)에서 보다 우수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들 하에서, 통상의 스크린 인쇄 방법 대신에 그리고 기판의 종류들 즉, 민생용 또는 산업용에 상관없이 인쇄 정밀도 및 도전체의 모서리 부분들의 도포 특성들에서 우수한 액체 포토솔더레지스트 방법(photosolder resist method ; 사진현상 방법)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공보(미심사) 소50-144431호 및 일본 특허공보 소51-40451호들은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감광제(sensitizer), 에폭시 화합물 및 에폭시 경화제들을 포함하는 솔더레지스트 조성물들을 기술하고 있다. 이들 솔더레지스트 조성물들은 액체 감광 조성물을 인쇄배선기판 전체에 도포시키고, 그 안에 포함된 용매들이 휘발되도록 한 후, 감광 조성물의 층이 선택적 조사에 노광되도록 하고, 계속해서, 상기 층의 비노광 영역들을 유기용매의 사용에 의해 제거시켜 그에 의해 상기 솔더레지스트의 현상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에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유기용매의 사용에 의한 비노광 영역들의 제거(현상)는 다량의 유기용매를 필요로 하며, 그 때문에 환경 오염 또는 화재의 발생 등이 야기된다. 특히, 최근에는 인체에 대한 환경 오염의 영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기 때문에, 상기 포토솔더레지스트 방법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응책의 마련에 대해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이들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관점에서, 묽은 알칼리 수용액의 사용에 의해 현상될 수 있는 알칼리-현상 타입 포토솔더레지스트 조성물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56-40329호 및 소57-45785호들은 에폭시 수지를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과 반응시켜 화합물을 수득하고, 이 화합물에 다염기산 무수물(poly-basic acid anhydride)을 가하여 반응 생성물을 수득하는 공정에 의해 수득되는 반응 생성물을 베이스 중합체로서 포함하는 물질을 기술하고 있다. 더욱이, 일본특허공개공보 평1-54390호는 묽은 알칼리 수용액의 사용에 의해 현상될 수 있는 광경화성 액체 레지스트 잉크 조성물을 기술하고 있으며, 이 광경화성 액체 레지스트 잉크 조성물은 노볼락 에폭시 수지와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간의 반응으로부터 수득된 반응 생성물과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무수물 간의 반응으로부터 수득되는 활성 에너지-빔 경화성 수지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한다.
이들 액체 솔더레지스트 조성물들은 카르복실기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내로 도입되어 이들에 감광도 및 묽은 알칼리 수용액의 사용에 의해 현상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이들 액체 솔더레지스트 조성물들은 이들 레지스트 조성물들의 도포된 막의 열경화를 위하여, 도포된 막이 노광 및 현상에 의해 레지스트 패턴으로 형성되고, 그에 의해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측쇄 내로 도입된 카르복실기와 에폭시기 간의 반응을 통해 열적 경화를 허용하도록 이들이 대개 열경화성 성분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더욱 특징지어진다. 그 결과, 접착, 경도, 내열성 및 전기절연 특성들에서 우수한 레지스트막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에폭시수지-경화제가 상기 에폭시 수지와 함께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을 노볼락 에폭시 수지에 가하고, 계속해서 다염기산을 상기 노볼락 에폭시 수지에 더 가하는 공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수지를 포함하는 솔더레지스트 조성물의 경우에서, 예를 들면,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으로서 (메타)아크릴산과 다염기산으로서 말레인산과 같은 불포화 이염기산을 사용하여 상기한 바의 수지를 얻는 경우, 그 결과의 솔더레지스트 조성물은 항-점착성에서 어느 정도는 불충분하다. 게다가, 용도의 목적에 맞추어 내열성, 금-도금 저항을 위해 요구되는 도포된 막의 가소성 및 밀착성 등과 같은 특성들에서 보다 강화된 솔더레지스트를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노볼락 에폭시 수지에 결합될 이들 반응 생성물들의 어느 것도 그들 단분자성 화합물들이 서로 연결된 쇄 화합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단분자성 화합물의 종류들이 제한되어 내포될 골격 자체가 비교적 단순한쇄 연결이며, 그에 따라 선택성의 범위에 제한이 된다는 점들로 인해, 이러한 솔더레지스트 조성물을 설계하는 것은 곤란하다. 즉, 앞서 언급한 노볼락 에폭시 수지에 연결될 쇄 화합물의 단순한 변경들은 만족스러운 솔더레지스트 조성물을 설계하는 데에는 불충분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외선 노광 단계 및 묽은 알칼리 수용액을 사용하는 현상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상을 형성시키는 데 유용하고, 항-점착성(접촉 건조성) 뿐만 아니라, 다른 필름 특성들을 희생시키지 않으면서 가소성, 밀착성 및 내열성 등과 같은 필름 특성들이 우수하고, 즉 다른 필름 특성들 또한 우수한 수준으로 유지되며, 그에 의해 도포된 막의 패턴을 형성시키는 데 적절한 감광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특성들이 그 최종 용도에 일치하도록 쉽게 설계될 수 있으며, 그의 항-점착성 및 내열성, 특히 그의 가소성 및 밀착성이 뚜렷이 개선되어 금-도금이 만족스럽게 수행될 수 있는 감광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 위에 전자소자들이 탑재되거나 탑재되지 않은 인쇄배선기판을 제공하며, 상기 인쇄배선기판에는 앞서 언급한 목적들을 달성할 수 있는 앞서 언급한 감광수지 조성물에 의해 이루어진 경화된 솔더레지스트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자들은 앞서 언급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를 한 결과, 그 안에 포함되어야 할 통상의 다른 성분들에 더해,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및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및 다염기산과 반응시키는 공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수지를 포함하는 감광수지 조성물이 가소성에서, 인쇄회로기판 상에의 밀착성에서, 그리고 내열성에서 우수한 경화된 막을 형성하는 데 유용할 뿐만 아니라 항-점착성(끈적이지 않음)에서 우수한 도포된 막을 형성하는 데 유용하다는 것, 그리고 더욱이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및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 간의 혼합비의 선택을 통하여 다른 것들 중 항-점착성, 내열성, 가소성 및 도포된 막의 기판에의 밀착성을 뚜렷하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1) 본 발명에 따르면, (A)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활성 에너지 선-경화성 수지, (B) 광중합 개시제, (C) 희석제 및 (D) 열경화성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감광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활성 에너지 선-경화성 수지(A)는 다염기산-변성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변성 합성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다염기산-변성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변성 합성 에폭시 수지는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및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과 반응시켜 히드록실기를 갖는 화합물을 형성하고, 이 화합물을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또는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무수물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수득된다.
(2) 본 발명에 따르면, 앞서 언급한 (1)에서 규정된 감광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며,여기에서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활성 에너지 선-경화성 수지(A)는 50 내지 180㎎KOH/g의 범위의 산가(acid value)를 갖는다.
(3) 본 발명에 따르면, 앞서 언급한 (1) 또는 (2)에서 규정된 감광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및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상기 혼합물 중의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의 혼합비는 30 내지 90%의 범위 이내가 된다.
(4) 본 발명에 따르면, 앞서 언급한 (1) 또는 (3)에서 규정된 감광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상기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은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및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에폭시기 1몰 당 0.4 내지 0.9몰의 비율로 반응된다.
(5) 본 발명에 따르면, 앞서 언급한 (1) 내지 (4)들 중의 어느 하나에서 규정된 감광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상기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은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및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물과 반응되어 히드록실기를 갖는 반응생성물을 생성시키고, 이 반응 생성물은 상기 반응 생성물의 히드록실기 1몰 당 0.7 내지 2.0몰의 비율로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또는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무수물과 반응된다.
(6) 본 발명에 따르면, 앞서 언급한 (1) 내지 (5)들 중의 어느 하나에서 규정된 감광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상기 광중합 개시제(B)는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활성 에너지 선-경화성 수지(A) 100g 당 0.2 내지 30g의 비율로 사용된다.
(7) 본 발명에 따르면, 앞서 언급한 (1) 내지 (6)들 중의 어느 하나에서 규정된 감광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상기 희석제(C)는 광중합이 가능한 단량체들 및 유기 용매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활성 에너지 선-경화성 수지(A) 100g 당 2 내지 40g의 비율로 사용된다.
(8) 본 발명에 따르면, 앞서 언급한 (1) 내지 (7)들 중의 어느 하나에서 규정된 감광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상기 열경화성 화합물(D)은 다른 종류(들)의 열경화성 화합물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는 에폭시 화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활성에너지 선-경화성 수지(A) 100g 당 5 내지 100g의 비율로 사용된다.
(9) 본 발명에 따르면, 그 위에 전자소자들이 탑재되거나 탑재되지 않은 인쇄배선기판들을 제공하며, 상기 인쇄배선기판은 앞서 언급한 (1) 내지 (8)들 중의 어느 하나에서 규정된, 앞서 언급한 감광수지 조성물의 경화된 막으로 이루어진 솔더레지스트막으로 도포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A) 하나의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들을 갖는 활성 에너지 선-경화성 수지"에 관한 한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전적으로 또는 달리 주로 다염기산-변성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변성 합성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다염기산-변성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변성 합성 에폭시 수지는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및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과 반응시켜 히드록실기를 갖는 화합물을 형성하고, 이 화합물을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또는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무수물(이하에서 이를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또는 그의 무수물이라 한다)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수득된다. 앞서 언급한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및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물 이외에 다른 종류의 에폭시 수지(예를 들면, 노볼락 에폭시 수지 등)이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앞서 언급한 것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다른 종류의 다염기산-변성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변성 합성 에폭시 수지를 공용(共用)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는 이소시아누릭산 골격을 가지는 반면에, 상기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는 벤젠환을 갖는다. 이들 화합물들 중 임의의 하나는 단일 또는 복수의 고리 관능기들을 갖는 골격을 갖는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들로부터 선택된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들의 분자량은 그 중합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들 에폭시 화합물들의 에폭시 당량에 관한 한에서는, 수득될 수 있는 상기 다염기산-변성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변성 합성 에폭시 수지의 감광도를 개선시키는 관점에서 80 내지 500의 범위 이내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합성 에폭시 수지의 분자량에 관한 한에서는, 이 합성 에폭시 수지의 합성에서 반응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 200 내지 1000의 범위 이내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의 특정의 예들로서는, 테픽-지(TEPIC-G)(에폭시 당량 : 105 ; 니산케미칼 인더스트리스 리미티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에 관한 한에서는, 비스페놀 에이로서 에피코트828(Epycoat 828)(에폭시 당량 : 190 ; 상온에서 액체 ; 유카쉘 컴퍼니 리미티드) 및 에피코트 1001(Epycoat 1001)(에폭시 당량 : 460 ; 유카쉘 컴퍼니 리미티드)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감광수지 조성물에서 앞서 언급한 다염기산-변성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변성 합성 에폭시 수지가 사용되는 경우에서의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및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 간의 혼합비에 관한 한에서는, 전자의 함량이 클수록 수득될 수 있는 항-점착성에서의 개량의 정도가 더 커진다. 특히,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의 함량이 적어도 65%(65% 또는 그 이상)인 경우, 상기 항-점착성은 월등히 개량될 수 있다. 반면에, 후자의 함량이 클수록 도포되어 경화된 막의 탄성 및 또한 인쇄배선기판에의 도포된 막의 접착력의 면에서 개량의 정도가 더 커진다. 특히, 상기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의 함량이 적어도 50%(50% 또는 그 이상)인 경우, 앞서 언급한 탄성 및 접착력이 월등히 개량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의 함량이 적어도 65%(65% 또는 그 이상)인 경우, 전기 특성들의 시험(고온, 고습 하에서 상기 막에 직류 전압을 인가하는 조건들 하에서 코팅되어 경화된 막의 임의의 탈색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시험)에서 규정된 "변색"의 특성을 월등히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들 우수한 성능들은 앞서 언급한 에폭시 화합물들 각각의 어느 하나의 사용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다염기산-변성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변성 에폭시 수지가 사용되는 종래의 감광수지 조성물의 성능들에 비해 훨씬 더 우수한 것이다. 이들 우수한 성능들에 더해,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와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 간의 혼합비와는 무관하게, 본 발명에따라 도포되어 경화된 막의 납땜 내열성(용융된 땜납이 상기 도포되어 경화된 막에 접촉하는 경우에서의 내열성) 또한 앞서 언급한 종래의 감광수지 조성물에 비해 보다 우수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앞서 언급한 성능들과 관련하여,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와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 간의 혼합비와는 무관하게, 본 발명에 따른 감광수지 조성물은 종래의 감광수지 조성물과 비교하여 훨씬 우수하다. 게다가, 또한 다른 성능들(앞서 언급한 것들 이외의 도포된 막의 감도, 열관리폭 및 다른 여러 성능들)과 관련하여, 종래의 감광수지 조성물의 그것들과 적어도 대등하게 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라 가능하게 된다.
두 종류의 에폭시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앞서 언급한 혼합물이 상기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과 반응하는 것이 허용되기 때문에, 상기 에폭시기와 상기 카르복실기 간의 반응으로 인하여 상기 에폭시기가 절단되고, 그에 의해 히드록실기 및 에스테르 결합이 생성된다. 이 경우에서, 상기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의 종류에 관해서는 어떠한 특정한 제한도 없으며, 그에 따라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신남산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적어도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이하에서 (메타)아크릴산으로 언급될 수 있다)들 중의 어느 하나가 바람직하며, 아크릴산이 가장 바람직하다. 에폭시 수지와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간의 반응 방법과 관련하여 어떠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이들 에폭시 수지와 아크릴산은 적절한 희석제 중에서 이들을 가열하는 것에 의해 반응될 수 있다. 희석제에 관한 한에서는,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과 같은 케톤류; 톨루엔, 자일렌 등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류;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시클로헥산올 등과 같은 알코올류;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과 같은 지방족고리 탄화수소류; 석유에테르, 석유나프타 등과 같은 석유용제류; 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등과 같은 셀로솔브류; 카비톨, 부틸카비톨 등과 같은 카비톨류;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부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카비톨아세테이트, 부틸카비톨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아세틱에스테르류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서, 사용되어야 할 촉매에 관한 한에서는,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등과 같은 아민류; 트리페닐 포스파인,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등과 같은 포스파이드류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앞서 언급한 두 종류들의 에폭시 화합물들의 혼합물과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간의 반응에서, 하나의 분자 내에 2 또는 그 이상의 에폭시기들을 갖는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들이 각 에폭시 화합물들로 사용된다. 이 경우에서, 0.4 내지 0.9몰 즉, 1몰 미만의 상기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이 두 종류들의 에폭시 화합물들의 혼합물의 에폭시기 매 1몰(1당량)과 반응하는 것이 허용된다. 이 경우에서, 앞서 언급한 혼합물과 반응될 상기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의 비율이 1몰 보다 훨씬 적어짐에 따라, 상기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을 에폭시 화합물의 일종의 분자에 첨가하는 것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는 히드록실기에로 또는 후속적으로 반응될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또는 그의 무수물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는 카르복실기에로 에폭시 화합물의 다른 종류들의 분자를 첨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혼합물로서 사용된 두 종류들의 에폭시 화합물들이 다수의 분자들이 서로에 대해 결합된 수지로 쉽게 전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앞서 언급한 혼합물과 반응될 상기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의 비율이 1몰 보다 훨씬 커짐에 따라, 그 결과의 혼합물은 상기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과 앞서 언급한 두 종류들의 에폭시 화합물들 각각과의 부가물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 형성되기 쉽다. 앞서 언급한 혼합물과 반응하게 될 상기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의 비율이 0.4몰 보다 적은 경우, 감광수지의 감광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패턴의 상을 형성시키기 어려워지게 될 수 있으며, 더욱이, 에폭시 화합물들 간의 분자내 결합의 비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분자량의 증가, 열적 안정성의 저하 및 겔화의 발생 등이 일어날 수 있게 된다.
희석제 내에서의 앞서 언급한 두 종류들의 에폭시 화합물들의 혼합물과 상기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간의 반응에서, 상기 희석제의 함량은 상기 반응계의 총량에 대해 20 내지 50%의 범위 이내가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서, 상기 반응생성물은 상기 에폭시 화합물들과 상기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모노카르복실산 간의 반응 생성물은 분리되지 아니하고, 다음 단계에서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또는 그의 무수물과 반응되도록 분리되지 아니하고 상기 희석제 중의 용액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계속해서, 앞서 언급한 두 종류들의 에폭시 화합물들의 혼합물과 상기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간의 반응생성물인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변성 에폭시 화합물은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또는 그의 무수물과 반응하여 앞서 언급한 다염기산-변성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변성 합성 에폭시 수지를 수득하게 된다. 이 경우에서, 유용한 다염기산으로서는, 숙신산, 말레인산, 아디프산, 시트르산, 프탈산, 테트라히드로프탈산, 3-메틸테트라히드로프탈산, 4-메틸테트라히드로프탈산, 3-에틸테트라히드로프탈산, 4-에틸테트라히드로프탈산, 헥사히드로프탈산, 3-메틸헥사히드로프탈산, 4-메틸헥사히드로프탈산, 3-에틸헥사히드로프탈산, 4-에틸헥사히드로프탈산, 메틸테트라히드로프탈산, 메틸헥사히드로프탈산, 엔도메틸렌테트라히드로프탈산, 메틸엔도메틸렌테트라히드로프탈산, 트리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및 디글리콜산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다염기산 무수물로서는 이들 다염기산들의 무수물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화합물들은 단독으로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또는 그의 무수물은 앞서 언급한 두 종류들의 에폭시 화합물들의 혼합물과 상기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간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된 히드록실기와 반응하여, 그에 의해 이들에 유리 카르복실기를 제공한다. 상기 반응을 위한 상기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또는 그의 무수물의 사용량은 앞서 언급한 두 종류들의 에폭시 화합물들의 혼합물과 상기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간의 반응을 통해 수득되는 상기 반응 생성물에 부착된 히드록실기 몰 당 0.7 내지 2.0몰의 범위 이내로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노출의 경우에서 높은 감도를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관점에서, 상기 다염기산 또는 그의 무수물들의 비율을 상기 히드록실기 몰 당 1.0 내지 1.8로 한정하는 것에 의해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다염기산 또는 그의 무수물의 비율이 0.7몰 미만인 경우, 수득될 상기 수지의 묽은 알칼리 현상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다염기산 또는 그의 무수물의 비율이 2.0몰을 초과하는 경우, 수득될, 도포되어 경화된 막의 여러 특성들(예를 들면, 방수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또는 그의 무수물들은 앞서 언급한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변성 에폭시 화합물에 가해져서 탈수축합 반응이 일어나도록 한다. 이 반응에서 생성된 물은 반응계로부터 연속적으로 제거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반응은 70 내지 130℃의 온도의 가열된 조건 하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이 반응 온도가 130℃ 보다 높은 경우, 상기 에폭시 수지에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미반응 단량체로부터 파생될 수 있는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기들의 열중합이 일어나기 쉽게 되며, 그에 의해 상기 합성을 수행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반면에, 이 반응 온도가 70℃ 보다 낮은 경우, 반응의 속도가 너무 느려지고, 그에 따라 실제 생산 공정들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 방법으로 수득될 상기 다염기산-변성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변성 합성 에폭시 수지의 산가는 50 내지 180㎎KOH/g의 범위 이내가 바람직하다. 만일 이 합성 에폭시 수지의 산가가 이 하한보다 낮은 경우, 이 합성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감광수지 조성물의 현상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에, 만일 이 합성 에폭시 수지의 산가가 이 상한보다 높은 경우, 이 합성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감광수지 조성물의 경화된 막의 방수성 등과 같은 특성들을 개선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
비록 앞서 언급한 다염기산-변성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변성 합성 에폭시 수지가감광수지로서 사용될 수 있기는 하나, 이 합성 에폭시 수지의 카르복실기와 적어도 하나의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기 및 에폭시기를 갖는 글리시딜기 간의 반응을 통하여 이 합성 에폭시 수지 내로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기들이 도입되고, 그에 의해 감도가 더욱 개선된 감광수지를 얻을 수 있다.
감도가 더욱 개선된 상기 감광수지는 감광수지의 전구체의 글리시딜 화합물과의 최종 반응으로 인하여 상기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기가 감광수지의 전구체로 구성되는 감광수지의 중합체성 골격의 측쇄에 결합되기 때문에, 그의 광중합 반응성이 더 증가되고, 그에 따라 우수한 감광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적어도 하나의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기 및 에폭시기를 갖는 상기 글리시딜 화합물에 관한 한에서는,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 펜타에리쓰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모노글리시딜 에테르 등과 같은 것들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들 화합물들의 분자들은 다수의 글리시딜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화합물들은 단독으로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글리시딜 화합물들은 상기 다염기산-변성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변성 합성 에폭시 수지의 용액 내로 혼합되어 이들의 반응이 일어나는 것이 허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글리시딜 화합물이 상기 에폭시 수지 내로 도입된 카르복실기의 몰 당 대개 0.05 내지 0.5몰의 비율로 상기 용액에 첨가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반응이 수행된다. 수득될 감광수지를 포함하는 감광수지 조성물의 감광성(감도), 열관리폭(코팅된 막의 건조 단계에서 비노광 영역을 현상시키는 경우 제거될수 있는 코팅된 막의 경화의 정도에 대한 열 내성의 조절가능한 범위), 및 전기 절연과 같은 전기적 특성 등과 같은 여러 인자들의 관점에서, 상기 카르복실기의 몰 당 0.1 내지 0.5몰의 비율로 상기 글리시딜 화합물을 포함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서 반응 온도는 80 내지 120℃의 범위 이내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글리시딜 화합물 첨가-다염기산-변성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변성 합성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기 감광수지의 산가는 60 내지 250㎎KOH/g의 범위 이내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감광수지 조성물은 앞서 언급한 (A)에 더해 그 안에 (B) 광중합 개시제, (C) 반응성 희석제 및 (D) 열경화성 화합물들을 혼합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 감광수지 조성물은 예를 들면 인쇄배선기판의 제조를 위한 솔더레지스트 조성물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앞서 언급한 (B)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어떠한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따라서 어떠한 공지된 물질들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의 대표적인 예들에는 벤조인, 벤조인 메틸 에테르, 벤조엔 에틸 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 에테르, 벤조인-n-부틸 에테르, 벤조인 이소부틸 에테르, 아세토페논, 디메틸아미노 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 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 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 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몰폴리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실-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 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 벤조페논, 디클로로 벤조페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t-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오크산톤, 2-에틸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벤질디메틸 케탈, 아세토페논 디메틸 케탈, p-디메틸아미노 벤조익 에틸에스테르 등이 포함된다. 이들 화합물들은 단독으로 또는 이들 중 2종 또는 그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혼합비율은 상기 성분(A)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활성 에너지 선-경화성 수지 100g 당 0.5 내지 50g의 범위 이내가 될 수 있다. 만일,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혼합비율이 0.5g 보다 작은 경우, 상기 활성 에너지 선-경화성 수지가 그의 광-경화 반응을 진행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반면에,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혼합비율이 50g을 초과하여 증가하는 경우, 광중합 개시제의 기대되는 효과들의 더 이상의 증가는 불가능하며, 그에 따라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과다한 첨가는 경제적으로 불리하다. 더욱이,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임의의 과다 첨가는 그의 경화된 막의 물리적 특성들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경화된 막의 광-경화 특성들, 경제성 및 기계적 특성의 관점에서,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혼합비율은 상기 활성 에너지 선-경화성 수지 100g 당 2.0 내지 30g의 범위 이내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성 희석제(C)는 광-중합성 단량체 및 유기 용매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물질들로 이루어진다. 이 광중합성 단량체는 또한 반응성 희석제라고도 불리우며, 상기 성분(A)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감광수지의 광-경화를 촉진시키는데 유용하다. 그에 따라, 상기 반응성 희석제(C)는 내산성, 내열성 및 내알칼리성에서 우수한, 도포된 막을 수득하는데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중합성 단량체는 각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이중결합들을 갖는 화합물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유기 용매는 앞서 언급한 성분(A)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감광수지를 포함하는 상기 감광수지 조성물의 점도 및 건조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그 사용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상기 유기 용매는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만일 앞서 언급한 성분(A)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감광수지의 광-경화성이 크기에서 충분히 큰 경우, 상기 광-중합성 단량체는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광-중합성 단량체의 특정의 예들로서는, 1,4-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아디페이트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실 피발산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변성 디시클로펜테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 옥사이드-변성 포스폰산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시클로헥실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 옥사이드-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프로피온산-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반응성 희석제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다관능 반응성 희석제들과 마찬가지로 앞서 언급한 2 내지 6 관능 반응성 희석제들이 단독으로 또는 2종 또는 그 이상의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반응성 희석제들의 혼합비율은 상기 성분(A)으로 이루어지는 활성 에너지 선-경화성 수지 100g 당 2.0 내지 40g의 범위 이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만일 이들 반응성 희석제들의 혼합비율이 2.0g 보다 낮은 경우, 충분한 광-경화성을 달성하는 것과, 그 경화된 막의 내산성 및 내열성의 관점에서 만족할 만한 특성들을 얻는 것이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 반면에, 만일 이들 반응성 희석제들의 혼합비율이 40g을 초과하여 증가하는 경우, 그의 경화된 막은 점착성에서 과도하게 높아지며, 그에 의해 노광의 단계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막의 기판 상에의 경화된 막의 접착의 형성을 쉽게 하고, 그에 따라 소정의 경화된 막을 수득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광-경화 특성, 경화된 막의 내산성 및 내열성 및 당해 기술분야의 막의 기판 상에의 접착의 방지 등과 같은 여러 인자들의 관점에서, 상기 반응성 희석제의 혼합비율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활성 에너지 선-경화성 수지 100g 당 4.0 내지 20g의 범위 이내가 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 앞서 언급한 유기 용매의 특정한 예들에 관한 한에서는, 이들에는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과 같은 케톤류; 톨루엔, 자일렌 등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류;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시클로헥산올 등과 같은 알코올류;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과 같은 지방족고리 탄화수소류; 석유에테르, 석유나프타 등과 같은 석유용제류; 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등과 같은 셀로솔브류; 카비톨, 부틸카비톨 등과 같은 카비톨류;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부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카비톨아세테이트, 부틸카비톨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아세틱에스테르류 등이 포함된다. 이 경우에서, 사용되어야 할 촉매에 관한 한에서는,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등과 같은 아민류; 트리페닐 포스파인,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등과 같은 포스파이드류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감광수지 조성물에서의 앞서 언급한 열경화성 화합물(D)은 도포된 막의 노광 및 현상의 단계들에 후속되어 수행되는 후경화 도포된 막의 특성들을 개선시키는데 유용하다. 이 열경화성 화합물(D)의 특정의 예들에는 앞서 언급한 두 종류들의 에폭시 화합물들에 더해, 트리글리시딜 아민 화합물들(예를 들면, 테픽-에스(TEPIC-S)(니산케미칼 인더스트리스 리미티드 ; 에폭시 당량 : 100 ; 유리전이온도 : 98 내지 120℃); 아랄다이트 엠와이-720(Araldite MY-720)(치바 컴퍼니 리미티드); 및 티엠에이취574(TMH-574)(스미토모 케미칼 인더스트리스 리미티드));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예를 들면, 와이엘-4000(YL-4000)(유카 쉘 컴퍼니 리미티드 ; 2,6-자일레놀 다이머 디글리시딜 에테르 ; 에폭시 당량 : 188 ; 유리전이온도 : 105 내지 110℃ ; 및 와이엘-6121(YL-6121)(유카 쉘 컴퍼니 리미티드 ; 에폭시 당량 : 172 ; 유리전이온도 : 111℃)); 지방족 에폭시 수지(예를 들면, 아랄다이트 씨와이-179(Araldite CY-179 ; 치바 컴퍼니 리미티드)); 루이스 산 촉매의 존재 하에서의 디시클로펜타디엔과 페놀 간의 중부가 반응을 통하여 수득될 수 있는 변성 다가 페놀수지에 기초하는 디시클로펜타디엔 타입 에폭시 수지; 이엑스에이-4580엘(EXA-4580L)(다이니혼 잉크 케미칼스 인더스트리즈) 등과 같은 자일렌 타입 에폭시 수지;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4-217675호(미심사)에서 규정된 방법에 의해 생산될 수 있는 4관능 나프탈렌 골격 타입 에폭시 수지 등과 같은 나프탈렌 타입 에폭시 수지; 등과 같은 다른 종류들의 열경화성 화합물들이 포함된다. 앞서 언급한 디시클로펜타디엔 타입 에폭시 수지 및 나프탈렌 타입 에폭시 수지는 물 흡수성이 낮은 경화된 물체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화합물(D)은 상기 성분(A)으로 이루어지는 활성 에너지 선-경화성 수지 100g 당 5 내지 150g의 범위의 혼합비율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열경화성 화합물의 혼합비율이 5g 보다 낮은 경우, 충분한 광-경화를 달성하고, 그리고 본 발명의 후경화 솔더레지스트막에 대해 요구되는 밀착성, 내열성 및 금-도금 저항성들의 관점들에서 만족할 만한 특성들을 얻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반면에, 만일 상기 열경화성 화합물의 혼합비율이 150g을 초과하여 증가하는 경우, 경화 후 전의 도포된 막의 현상 특성이 저하되고, 그에 의해 상기 감광수지 조성물의 포트-라이프(pot life)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들 사실들의 관점에서, 상기 에폭시 열경화성 화합물의 혼합비율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활성 에너지 선-경화성 수지 100g 당 50 내지 100g의 범위 이내가 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열경화성 화합물은 디시안 디아미드, 디시안 디아미드의 유기산 염 및 이들의 유도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반응-촉진제와 함께, 또는 멜라민 화합물들, 이미다졸 화합물들 및 페놀 화합물 등과 같은 공지의 에폭시 경화촉진제들과 함께 사용되어, 그에 의해 상기 도포된 막의 후경화를 더 촉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디시안디아미드의 유기산 염 또는 이들의 유도체들로 이루어지는 적당량의 잠재성 열경화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감광수지 조성물은 디시안 디아미드 또는 N-치환 디시안 디아미드를 사용하는 감광수지 조성물과 비교하여 저장안정성 뿐만 아니라 포트-라이프에서 우수하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감광수지 조성물의 도포된 막은 그의 열관리폭을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반응촉진제의 혼합비율은 상기 성분(A) 100g 당 0.1 내지 10g의 범위 이내로 선택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열경화성 화합물이 단독으로 또는 상기 언급한 반응촉진제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내열성, 내습성, 전기 절연성, 내약품성, 내산성, 밀착성, 가소성 및 경도 등과 같은 여러 특성들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며, 그에 따라 이 열경화성 화합물은 인쇄배선기판들의 제조용 솔더레지스트로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감광수지 조성물은 앞서 언급한 성분들에 더해 필요에 따라 여러 종류들의 첨가제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들의 특정의 예들에는 실리카, 알루미나, 활석, 탄산칼슘, 황산바륨 등과 같은 무기 색소(들)로 이루어지는 충진제; 프탈로시아닌 그린, 프탈로시아닌 블루 등과 같은 유기 색소 및 이산화티탄과 같은 무기 색소 등과 같은 공지의 착색제; 소포제; 레벨링제; 등을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에 따라 수득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감광수지 조성물은 동박-피복, 적층된 기판의 동박을 에칭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회로 패턴이 형성된 인쇄배선기판의 표면 상에 소정의 두께로 도포될 수 있다. 그 결과의 도포된 막은 계속해서 15 내지 60분 간 60 내지 80℃의 온도로 가열되어 용매를 증발시키고, 그 후, 납땜 영역들이 위치하는 영역들을 제외하고는 투광성으로 이루어진 회로 패턴을 갖는 음화 필름을 상기 도포된 막 상에 부착시킨다. 그 후, 상기 인쇄배선기판을 상기 음화 필름 위로 하여 자외선을 조사시키고, 납땜 영역들에 해당하는 비노광 영역들을 묽은 알칼리 수용액의 사용에 의해 제거하여 그에 의해 상기 도포된 막을 현상한다. 이 경우에서 사용되는 상기 묽은 알칼리 수용액에 관한 한에서는, 비록 대개의 경우 0.5 내지 5중량%의 탄산나트륨의 수용액이 사용되기는 하나, 다른 종류들의 알칼리 용액들을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계속해서, 상기 도포된 막의 상기 패턴을 140 내지 160℃의 온도까지 가열되는 열풍순환형 건조기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10 내지 60분 간 후경화에 적용시키고, 그에 의해 목적하는 솔더레지스트막을 수득한다.
그 결과, 그 위에 솔더레지스트막을 갖는 인쇄배선기판이 수득될 수 있다. 그 후, 제트플로우 납땜법(jet flow soldering method) 또는 리플로우 납땜법(reflow soldering method) 등의 수단에 의해 전자소자들이 상기 인쇄배선기판의 표면 상에 납땜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관점에 따라 그 위에 전자소자가 장착되기 전의 솔더레지스트막으로 도포된 인쇄배선기판 뿐만 아니라 그 위에 장착된 전자소자들을 갖는 인쇄배선기판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기술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것들을 중심으로 그 개개 성분들 및 그 비율들에 관하여 보다 넓은 개념들을 모두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 앞서 언급된 바람직한 동종의 화합물들의 이들 성분들의 앞서 언급된 바람직한 범위들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은 이해되어져야 한다.
실시예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이하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은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수지 제조 실시예 1(앞서 언급한 성분(A)로서의 감광수지 ; 다음의 수지 제조 실시예 2 및 3도 동일함) :
210g의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니산케미칼 인더스트리스 리미티드 ; 테픽-지 ; 에폭시 당량 : 105), 480g의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유카 쉘 컴퍼니 리미티드 ; 에피코트 1001 ; 에폭시 당량 : 480) 및 130g의 아크릴산을 690g의 카비톨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환류조건 하에서 반응시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수득하였다. 계속해서, 이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에 462g의 헥사히드로프탈산 무수물을 가하여 혼합물을 수득하고, 계속해서 이를 상기 반응 생성물의 용액의 산가가 51㎎KOH/g이 될 때까지 환류조건 하에서 반응시켰다. 그에 따라 수득된 감광수지의 용액은 65%의 고형수지부분을 포함하며, 이 수지 부분의 산가는 79㎎KOH/g의 산가를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수지 제조 실시예 2:
210g의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니산케미칼 인더스트리스 리미티드 ; 테픽-지 ; 에폭시 당량 : 105), 240g의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유카 쉘 컴퍼니 리미티드 ; 에피코트 1001 ; 에폭시 당량 : 480) 및 108g의 아크릴산을 507g의 카비톨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환류조건 하에서 반응시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수득하였다. 계속해서, 이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에 385g의 헥사히드로프탈산 무수물을 가하여 혼합물을 수득하고, 계속해서 이를 상기 반응 생성물의 용액의 산가가58㎎KOH/g이 될 때까지 환류조건 하에서 반응시켰다. 그에 따라 수득된 감광수지의 용액은 65%의 고형수지부분을 포함하며, 이 수지 부분의 산가는 89㎎KOH/g의 산가를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수지 제조 실시예 3:
420g의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니산케미칼 인더스트리스 리미티드 ; 테픽-지 ; 에폭시 당량 : 105), 240g의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유카 쉘 컴퍼니 리미티드 ; 에피코트 1001 ; 에폭시 당량 : 480) 및 216g의 아크릴산을 803g의 카비톨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환류조건 하에서 반응시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수득하였다. 계속해서, 이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에 616g의 헥사히드로프탈산 무수물을 가하여 혼합물을 수득하고, 계속해서 이를 상기 반응 생성물의 용액의 산가가 61㎎KOH/g이 될 때까지 환류조건 하에서 반응시켰다. 그에 따라 수득된 감광수지의 용액은 65%의 고형수지부분을 포함하며, 이 수지 부분의 산가는 94㎎KOH/g의 산가를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수지 제조 실시예 4(비교 실시예) :
480g의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유카 쉘 컴퍼니 리미티드 ; 에피코트 1001 ; 에폭시 당량 : 480) 및 72g의 아크릴산을 380g의 카비톨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환류조건 하에서 반응시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수득하였다. 계속해서, 이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에 154g의 헥사히드로프탈산 무수물을 가하여 혼합물을 수득하고, 계속해서 이를 상기 반응 생성물의 용액의 산가가 52㎎KOH/g이 될 때까지 환류조건 하에서 반응시켰다. 그에 따라 수득된 감광수지의 용액은 65%의 고형수지부분을포함하며, 이 수지 부분의 산가는 79㎎KOH/g의 산가를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수지 제조 실시예 5(비교 실시예) :
380g의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유카 쉘 컴퍼니 리미티드 ; 에피코트 828 ; 에폭시 당량 : 190) 및 144g의 아크릴산을 365g의 카비톨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환류조건 하에서 반응시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수득하였다. 계속해서, 이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에 154g의 헥사히드로프탈산 무수물을 가하여 혼합물을 수득하고, 계속해서 이를 상기 반응 생성물의 용액의 산가가 54㎎KOH/g이 될 때까지 환류조건 하에서 반응시켰다. 그에 따라 수득된 감광수지의 용액은 65%의 고형수지부분을 포함하며, 이 수지 부분의 산가는 83㎎KOH/g의 산가를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수지 제조 실시예 6(비교 실시예) :
315g의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니산케미칼 인더스트리스 리미티드 ; 테픽-지 ; 에폭시 당량 : 105) 및 216g의 아크릴산을 369g의 카비톨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환류조건 하에서 반응시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수득하였다. 계속해서, 이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에 154g의 헥사히드로프탈산 무수물을 가하여 혼합물을 수득하고, 계속해서 이를 상기 반응 생성물의 용액의 산가가 53㎎KOH/g이 될 때까지 환류조건 하에서 반응시켰다. 그에 따라 수득된 감광수지의 용액은 65%의 고형수지부분을 포함하며, 이 수지 부분의 산가는 81㎎KOH/g의 산가를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실시예 1
8g의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몰폴리노-1-프로판-1-온((B) 광중합 개시제),8g의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C) 반응성 희석제), 8g의 트리글리시딜 트리스(2-히드록시메틸)이소시아누레이트((D) 열경화성 화합물), 0.5g의 프탈로시아닌 그린 및 8g의 활석을 상기 수지 제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감광수지((A) 감광수지)의 용액 100g에 가하여 혼합물을 수득하고, 계속해서 이를 3-롤 밀(three-roll mill)을 사용하여 서로 혼합시키고, 분산시켜 감광수지 조성물의 용액으로 제조하였다.
계속해서, 이 감광수지 조성물을 감도, 열관리폭, 항-점착성, 납땜 내열성, 내산성, 밀착성, 내용제성, 금-도금 저항성 및 전기적 특성들(절연 저항치 및 변색)에 대하여 하기의 시험방법에 의해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및 3
상기 수지 제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감광수지 조성물의 용액 대신 각각 상기 수지 제조 실시예 2 및 3들에서 수득된 감광수지 조성물의 용액들로 치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감광수지 조성물들의 용액을 제조하였으며, 상기 용액들의 시험들을 상기 실시예 1에서 기술된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들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1 내지 3
상기 수지 제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감광수지 조성물의 용액 대신 각각 상기 수지 제조 실시예 4 내지 6들에서 수득된 감광수지 조성물의 용액들로 치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감광수지 조성물들의 용액을 제조하였으며, 상기 용액들의 시험들을 상기 실시예 1에서 기술된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들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들 시험 방법들의 상세는 다음과 같다.
(1) 감도 :
상기 실시예 1 내지 3들 및 비교 실시예 1 내지 3들의 각각의 감광수지 조성물의 35㎛두께의 층(건조 전)을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시험 기판 상에 도포하여 21-단계의 타블렛(tablet)을 형성시키고, 계속해서 이를 건조시켜 도포된 기판을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감광수지 조성물의 상기 층을 우선 200mJ/㎠의 노광량으로 자외선 조사에 적용시키고, 계속해서 탄산나트륨의 1% 수용액을 0.2MPaㆍs의 분무압력으로 60초간 적용시키는 것에 의해 현상공정에 적용시켰다. 상기 감광수지 조성물의 감도는 도포된 막이 완전하게 잔류하는 단계들의 최대 수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상기 단계들의 최대 수가 클수록, 상기 감광수지 조성물의 광감도가 우수하다.
(2) 항-점착성 (접촉 건조성) :
상기 실시예 1 내지 3들 및 비교 실시예 1 내지 3들의 각각의 감광수지 조성물의 35㎛두께의 층(건조 전)을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사전 표면 처리된 기판(동박 적층 기판) 상에 도포하고, 계속해서 80℃의 온도에서 20분간 건조시켜 도포된 기판을 제조하였다. 그 후, 음화 필름을 상기 도포된 막의 표면 상에 부착시켰다. 노광 공정에 적용시킨 후, 상기 음화 필름에 대한 상기 도포된 막의 접착의 크기를 조사하고,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 : 접착 또는 접착의 흔적이 전혀 인지되지 않았다.
○ : 접착의 흔적이 상기 도포된 막의 표면 상에서 인지되었다.
△ : 상기 음화 필름의 박리에서 저항이 인지되었다.
× : 상기 음화 필름의 표면 상에 상기 도포된 막이 부착된 것이 인지되었다.
(3) 열관리폭 :
상기 실시예 1 내지 3들 및 비교 실시예 1 내지 3들의 각각의 감광수지 조성물의 35㎛두께의 층(건조 전)을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사전 표면 처리된 기판(동박 적층 기판) 상에 도포하고, 계속해서 80℃의 온도에서의 예비건조의 시간을 10분 간격으로 연장시켜 여러 가지의 도포된 기판을 제조하였다. 그 후, 이들 여러 가지의 도포된 기판들 각각의 상기 감광수지 조성물의 층을 우선 200mJ/㎠의 노광량으로 자외선 조사에 적용시키고, 계속해서 탄산나트륨의 1% 수용액을 0.2MPaㆍs의 분무압력으로 60초간 적용시키는 것에 의해 현상공정에 적용시켰다. 상기 감광수지 조성물의 열관리폭은 도포된 막이 완전하게 제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예비건조의 최대시간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4) 도포된 막의 특성들 :
상기 실시예 1 내지 3들 및 비교 실시예 1 내지 3들의 각각의 감광수지 조성물의 35㎛두께의 층(건조 전)을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사전 표면 처리된 기판(동박 적층 기판) 상에 도포하여 여러 종류의 도포된 기판들을 수득하고, 계속해서 이들 기판들 각각을 80℃의 온도에서 20분간 건조시켰다. 그 후, 음화 필름을 상기 도포된 막의 표면 상에 부착시켰다. 노광 공정에 적용시킨 후, 상기 도포된 기판들 각각을 1중량%의 수성 탄산나트륨의 용액을 사용하여 현상 공정에 적용시켜 패턴을 형성시켰다. 계속해서, 상기 도포된 기판들 각각을 150℃의 온도에서 60분간 열경화시켜 그에 의해 각각 그 위에 경화된 막을 갖는 시편들을 제조하였다. 계속해서, 도포된 막들의 특성들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a) 연필 경도 :
상기 도포된 막들을 JIS K-5400 6.14에 따라 상기 도포된 막들을 평가하였다.
(b) 납땜 내열성 :
그 위에 형성된 경화된 막을 갖는 상기 시험편들 각각을 JIS C 6481에서 규정된 시험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즉, 상기 시험편들 각각을 260℃로 유지되는 솔더 탱크 내에 30분간 함침시켰다. 계속해서, 셀로판(상품명) 접착테이프를 사용하여 박리시험의 주기를 3회까지 반복하고, 도포된 막의 상태를 목측으로 평가하였다.
◎ : 3회의 박리시험 후에도 도포된 막에서 변화가 없었다.
○ : 3회의 박리시험 후, 약간의 변화가 인지되었다.
△ : 2회의 박리시험 후, 도포된 막에서 변화가 인지되었다.
× : 1회의 박리시험 후 도포된 막의 박리가 인지되었다.
(c) 내산성 :
그 위에 경화된 막을 갖는 시험편들 각각을 상온에서 황산의 10중량% 수용액 중에 30분간 함침시켰다. 계속해서, 수세한 후, 셀로판 접착테이프를 사용한 박리시험을 수행하여 상기 도포된 막의 박리 및 탈색의 목측을 통하여 도포된 막의 내산성을 가시적으로 평가하였다.
◎ : 도포된 막에서 변화가 없었다.
○ : 도포된 막에서 약간의 변화들이 인지되었다.
△ : 도포된 막에서 뚜렷한 변화들이 인지되었다.
× : 도포된 막이 팽윤되고 박리되었다.
(d) 내용제성 :
그 위에 경화된 막을 갖는 시험편들 각각을 상온에서 메틸렌클로라이드 중에 30분간 함침시켰다. 계속해서, 수세한 후, 셀로판 접착테이프를 사용한 박리시험을 수행하여 상기 도포된 막의 박리 및 탈색의 목측을 통하여 도포된 막의 내용제성을 가시적으로 평가하였다.
◎ : 도포된 막에서 변화가 없었다.
○ : 도포된 막에서 약간의 변화들이 인지되었다.
△ : 도포된 막에서 뚜렷한 변화들이 인지되었다.
× : 도포된 막이 팽윤되고 박리되었다.
(e) 금-도금 저항성 :
그 위에 경화된 막을 갖는 시험편들 각각을 금-도금 작업에 적용시켰다. 계속해서, 셀로판 접착테이프를 사용한 박리시험을 수행하여 상기 도포된 막의 박리 및 탈색의 목측을 통하여 도포된 막의 금-도금 저항성을 가시적으로 평가하였다.
◎ : 도포된 막에서 변화가 없었다.
○ : 도포된 막에서 약간의 변화들이 인지되었다.
△ : 도포된 막에서 뚜렷한 변화들이 인지되었다.
× : 도포된 막이 팽윤되고 박리되었다.
(f) 전기적 특성들 :
시험편의 경화된 막 상에 에스엠-840(SM-840), 비-25(B-25)의 직렬 전극 B 쿠폰(coupon)을 위치시켰다. 계속해서, 60℃의 온도 및 90%의 상대습도로 유지되는 항온항습조 중에서 상기 경화된 막에 100V의 직류전압을 인가하고, 그에 의해 500시간 후의 절연저항치(Ω)를 측정하였다. 동시에, 상기 도포된 막의 탈색을 육안으로 측정하여 탈색의 정도를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 : 도포된 막에서 변화가 없었다.
○ : 도포된 막에서 약간의 변화들이 인지되었다.
△ : 도포된 막에서 뚜렷한 변화들이 인지되었다.
× : 도포된 막이 팽윤되고 박리되었다.
실시예 비교실시예
1 2 3 1 2 2
감도 9 9 10 8 9 9
항-점착성 ×
열관리폭(분) 100 100 90 100 100 90
경도 6H 6H 6H 5H 5H 6H
납땜 내열성
내산성
내용제성
금-도금 저항성
전기적 특성 절연저항(Ω) 4.0 * 1012 5.0 * 1012 3.0 * 1012 1.0 * 1012 3.0 * 1012 3.0 * 1011
변색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를 사용하지 않고, 단지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만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된 (A) 성분에 대응하는 수지를 사용하는 비교실시예 1의 경우에서, 항-점착성 및 내산성에 관하여 우수한 결과들을 얻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이 상기 표 1의 결과들로부터 인지될 수 있다. 더욱이, 사용된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이 비교실시예 1의 에폭시 당량의 절반 이하로 낮은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된 수지를 사용하는 비교실시예 2의 경우에서, 항-점착성에 관하여 우수한 결과를 얻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더욱이,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단지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만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된 수지를 사용하는 비교실시예 3의 경우에서, 내산성 및 금-도금 저항성에 관하여 우수한 결과들을 얻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반면에, 에폭시 화합물로서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및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사용에 의해 수득된 (A)성분의 수지가 사용된 실시예 1 내지 3들의 경우에서, 앞서 언급한 특징들 모두에 관하여 우수한 결과들을 얻는 것이 가능하였다. 이들 중, 상기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 및 상기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간의 혼합비가 대략 2 : 1(실시예 1), 대략 1 : 1(실시예 2) 및 대략 1 : 2(실시예 3)으로 정해진 경우들에서, 전기적 특성에서의 "변색"에 관하여, 내산성에 관하여 또는 항-점착성에 관하여 어느 하나도 다른 두 개에 비해 더 월등하지는 않다. 더욱이, 상기 앞서의 두 실시예들은 금-도금 저항성에 관하여 마지막 실시예에 비해 특히 우수하였으며, 이는 앞서의 두 실시예들로부터 만들어지는 경화된 막이 가소성과 밀착성에서 월등히 뛰어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비교실시예 1 내지 3들의 경우에서, 이들은 에폭시 수지의 한 종류만을 아크릴산과 반응시키고, 계속해서 헥사히드로프탈산 무수물과 반응시키는 것을 통해 수득된 반응 생성물을 사용하였다. 그로 인해, 이들 반응 생성물들에는 단지 그들의 골격들상에 에폭시 수지로부터 유래하는 벤젠 환이 제공되었다. 반면에, 반응 생성물들을 수득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소정의 두 종류들의 에폭시 화합물(에폭시 수지들)이 카르복실기의 수가 에폭시기에 비해 보다 적어지도록 하는 방법으로 아크릴산과 반응시키고, 계속해서 헥사히드로프탈산 무수물과 반응시켜 수득된 반응 생성물들의 경우에서, 그 결과의 중합체의 골격에는 에폭시 수지의 한 종류로부터 유래된 벤젠 환 뿐만 아니라 에폭시 수지의 다른 종류로부터 유래된 이소시아누릭 환들이 제공되었다. 그로 인해, 이 골격에 이들 두 종류들의 환 구조들이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수지들을 사용하는 솔더레지스트 조성물의 도포된 막은 항-점착성(끈적이지 않음), 경화된 막이 용융된 땜납과 접촉하는 경우에 대한 납땜 내열성 및 경화된 막의 가소성과 밀착성 등과 같은 여러 특징들에서 개선되었다.
한편, 앞서 언급한 "감광수지 조성물"이라는 표현은 "솔더레지스트용 감광수지 조성물", 또는 "솔더레지스트막으로 도포된 인쇄배선기판, 및 그의 제조방법" 등과 같은 표현들로 대체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앞서 언급된 여러 수치들 및 다른 한정하는 특징들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자외선 노광의 단계 및 묽은 알칼리 수용액을 사용하는 현상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하여 상을 형성시키는데 유용하고, 또한 항-점착성(접촉 건조성) 뿐만 아니라, 다른 필름 특성들을 희생시키지 않으면서 가소성, 밀착성 및 내열성 등과 같은 필름 특성들이 우수하고, 즉 다른필름 특성들 또한 우수한 수준으로 유지되며, 그에 의해 인쇄배선기판의 제조를 위한 솔더레지스트(solder resist)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감광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의 전기적 특성에서의 "변색", 항-점착성 및 특히 가소성 및 밀착성에서 뚜렷하게 개선되어 금-도금이 만족스럽게 수행될 수 있는 감광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에 의해 그 특성들이 그 최종 용도에 일치하도록 쉽게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또한 그 위에 전자소자들이 탑재되거나 탑재되지 않은 인쇄배선기판을 제공하며, 상기 인쇄배선기판에는 앞서 언급한 목적들을 달성할 수 있는 앞서 언급한 감광수지 조성물에 의해 이루어진 경화된 솔더레지스트막이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9)

  1. (A)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활성 에너지 선-경화성 수지, (B) 광중합 개시제, (C) 희석제 및 (D) 열경화성 화합물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활성 에너지 선-경화성 수지(A)는 다염기산-변성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변성 합성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다염기산-변성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변성 합성 에폭시 수지는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및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과 반응시켜 히드록실기를 갖는 화합물을 형성하고, 이 화합물을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또는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무수물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활성 에너지 선-경화성 수지(A)는 50 내지 180㎎KOH/g의 범위의 산가(acid value)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감광수지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및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상기 혼합물 중의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의 혼합비는 30 내지 90%의 범위 이내가 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감광수지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은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및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에폭시기 1몰 당 0.4 내지 0.9몰의 비율로 반응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감광수지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은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및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물과 반응되어 히드록실기를 갖는 반응생성물을 생성시키고, 이 반응 생성물은 상기 반응 생성물의 히드록실기 1몰 당 0.7 내지 2.0몰의 비율로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또는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무수물과 반응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감광수지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 개시제(B)는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활성 에너지 선-경화성 수지(A) 100g 당 0.2 내지 30g의 비율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감광수지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제(C)는 광중합이 가능한 단량체들 및 유기 용매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활성 에너지 선-경화성 수지(A) 100g 당 2 내지 40g의 비율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감광수지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화합물(D)은 다른 종류(들)의 열경화성 화합물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는 에폭시 화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활성에너지 선-경화성 수지(A) 100g 당 5 내지 100g의 비율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감광수지 조성물.
  9. 그 위에 전자소자들이 탑재되거나 탑재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청구항 1 항 내지 청구항 8 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서 규정된 감광수지 조성물의 경화된 막으로 이루어진 솔더레지스트막으로 도포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배선기판.
KR1020020057355A 2001-09-21 2002-09-19 감광수지 조성물 및 인쇄배선기판 KR200300258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88838 2001-09-21
JP2001288838A JP3673967B2 (ja) 2001-09-21 2001-09-21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プリント配線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884A true KR20030025884A (ko) 2003-03-29

Family

ID=19111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355A KR20030025884A (ko) 2001-09-21 2002-09-19 감광수지 조성물 및 인쇄배선기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30064304A1 (ko)
EP (1) EP1296189A3 (ko)
JP (1) JP3673967B2 (ko)
KR (1) KR20030025884A (ko)
CN (1) CN1237401C (ko)
SG (1) SG118156A1 (ko)
TW (1) TW58478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369B1 (ko) * 2007-04-12 2010-0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경화성 수지 제조용 조성물, 이에 의해 제조된 경화성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
KR101295491B1 (ko) * 2006-08-25 2013-08-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알칼리 가용성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4170B2 (ja) * 2003-06-03 2010-09-29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紫外線硬化型アルカリ可溶性樹脂、ソルダーレジスト膜用紫外性硬化型樹脂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
TWI316381B (en) * 2007-01-24 2009-10-21 Phoenix Prec Technology Corp Circuit board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9075307B2 (en) * 2008-09-04 2015-07-07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for protective film of printed wiring board for semiconductor package
CN102804066B (zh) * 2010-03-22 2015-04-01 株式会社Lg化学 光固化和热固化树脂组合物及防焊干膜
CN102093809B (zh) * 2010-12-09 2013-11-13 浙江荣泰科技企业有限公司 一种光敏浸渍树脂
TWI554567B (zh) 2014-11-18 2016-10-21 Chi Mei Corp Alkali soluble resin and its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its application
JP7213675B2 (ja) * 2018-12-21 2023-01-27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ネガ型感光性樹脂組成物、感光性レジストフィルム、パターン形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5348A (en) * 1974-05-10 1977-05-24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s
JPS61243869A (ja) * 1985-04-19 1986-10-30 Taiyo Ink Seizo Kk レジストインキ組成物
JPH09160239A (ja) * 1995-12-05 1997-06-20 Asahi Chem Res Lab Ltd ソルダーレジスト樹脂組成物
JP3672414B2 (ja) * 1997-07-01 2005-07-20 タムラ化研株式会社 感光性樹脂組成物
JP4060962B2 (ja) * 1998-02-25 2008-03-12 互応化学工業株式会社 アルカリ現像型フォトソルダーレジストインク
JP3750101B2 (ja) * 1999-03-15 2006-03-01 タムラ化研株式会社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4081217B2 (ja) * 1999-03-17 2008-04-23 互応化学工業株式会社 紫外線硬化性樹脂組成物、フォトソルダーレジストインク、予備乾燥被膜、基板及びプリント配線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491B1 (ko) * 2006-08-25 2013-08-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알칼리 가용성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0942369B1 (ko) * 2007-04-12 2010-0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경화성 수지 제조용 조성물, 이에 의해 제조된 경화성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8156A1 (en) 2006-01-27
US20030064304A1 (en) 2003-04-03
JP3673967B2 (ja) 2005-07-20
EP1296189A3 (en) 2004-10-27
JP2003098666A (ja) 2003-04-04
CN1237401C (zh) 2006-01-18
TW584783B (en) 2004-04-21
CN1409172A (zh) 2003-04-09
EP1296189A2 (en) 2003-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6376B2 (ja) プリント配線板用のソルダーレジスト組成物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
JP5352340B2 (ja) 感光性樹脂組成物、プリント配線板用のソルダーレジスト組成物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
US5821031A (en) Photosensitive solder resist ink, printed circuit board and production thereof
KR20030025835A (ko) 감광수지 조성물 및 인쇄배선기판
KR101727101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프린트 배선판용의 솔더 레지스트 조성물 및 프린트 배선판
JP3750101B2 (ja)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5419618B2 (ja) 感光性樹脂組成物、プリント配線板用のソルダーレジスト組成物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
JP7479130B2 (ja) エポキシアクリレート樹脂、アルカリ可溶性樹脂、それを含む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2003177528A (ja)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3672414B2 (ja) 感光性樹脂組成物
KR20030025884A (ko) 감광수지 조성물 및 인쇄배선기판
JP2002014467A (ja) 感光性樹脂、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4554170B2 (ja) 紫外線硬化型アルカリ可溶性樹脂、ソルダーレジスト膜用紫外性硬化型樹脂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
JP2004138752A (ja)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2003098658A (ja)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4351463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アルカリ可溶性樹脂、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アルカリ可溶性樹脂組成物、ソルダーレジスト用組成物、ドライフィルム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
JP2019168613A (ja) 感光性樹脂組成物
JP4673996B2 (ja) 感光性樹脂組成物
JP2002296771A (ja) 感光性樹脂組成物
JP2004157419A (ja)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電子部品搭載用回路基板の製造方法
JP4290409B2 (ja)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5797680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
JP4299448B2 (ja)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6986534B2 (ja) 感光性樹脂組成物、感光性樹脂組成物を有するドライフィルム及び感光性樹脂組成物の光硬化物を有するプリント配線板
JP2002196487A (ja)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プリント配線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