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3741A - 소변시료의 채취·보존방법 및 그 기구 - Google Patents

소변시료의 채취·보존방법 및 그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3741A
KR20030023741A KR10-2003-7001809A KR20037001809A KR20030023741A KR 20030023741 A KR20030023741 A KR 20030023741A KR 20037001809 A KR20037001809 A KR 20037001809A KR 20030023741 A KR20030023741 A KR 20030023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sample
urine sample
collection
recovery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1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1879B1 (ko
Inventor
구니무네노리아키
요코야마신이치
바바시게아키
가메노야스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구니무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구니무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구니무네
Publication of KR20030023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3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8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77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6Labware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ring fluids
    • B01L3/563Joints or fittings ; Separable fluid transfer means to transfer fluids between at least two containers, e.g. connectors
    • B01L3/5635Joints or fittings ; Separable fluid transfer means to transfer fluids between at least two containers, e.g. connectors connecting two containers face to face, e.g. comprising a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6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72Integrated pierc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81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4Means for pressur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2Test tubes per 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취한 소변시료를 여과필터(2)를 통해서 감압밀폐된 회수용기(5)의 인압에 의해 그 회수용기(5)에 회수하는 소변시료의 채취·보존방법으로서, 소변시료의 채취·보존기구는 소변시료의 여과필터(2)를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 필터 홀더(3)와 그곳에 수용된 여과 필터(2) 및 마개(4)에 의해 감입밀폐된 회수용기(5)로 이루어지고, 필터 홀더(3)에는 회수용기(5)로의 검체 송출측에 여과 필터(2)가 수용된 공간(S)에 연통하는 선단이 뾰족한 중공관(6)이 장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소변시료의 채취·보존방법 및 그 기구{METHOD AND DEVICE FOR SAMPLING AND STORING URINE SPECIMEN}
소변검사는 피험자에 대해 검체 채취시의 부담을 주지 않고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외래초진시 및 집단검진시의 스크리닝 검사나 경과관찰의 일상검사 등에 있어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피험자로부터 채취한 소변시료는 내인성 또는 외인성의 세균이나, 산소 및 빛 등에 의해 비교적 단시간에 변성하기 때문에, 채취후 3~4시간 이내에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되어 있다. 소변시료를 채취후 3~4시간 이상 방치하는 경우는 밀폐상태에서 냉장 또는 냉동상태로 보존할 필요가 있고, 집단검진 등에 있어서 대량의 소변시료를 검사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냉장 또는 냉동보존하고, 검사시에 소변시료를 상온상태로 되돌린 후에 측정을 실행한다.
그러나, 상기 소변시료는 내인성 또는 외인성의 세균에 의해, 외기(外氣) 중에 그대로 방치해 둬서 세균이 번식하여 소변시료 중의 성분이 변화해 버리는 일이 있다.
또, 소변시료 중에는 산소나 빛에 대해 불안정한 성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외기 중에 방치하여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있다.
특히, 집단검진과 같이 대량의 소변시료를 측정하는 경우, 단시간 내에 측정을 실행하기 위해 측정자 및 측정장치를 상주시키거나, 소변시료를 냉장 또는 냉동상태에서 마개를 봉하여 보관하고, 측정시에 해동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선택을 할 필요가 생긴다.
또, 측정수단을 소유하지 않는 지역 또는 시설에서 채취된 소변시료는 필연적으로 냉장 또는 냉동상태에서 마개를 봉하여 보관할 뿐만 아니라, 측정할 수 있는 시설로 수송할 때에도 그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비경제적인 수송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채취한 소변시료를 상온상태에서 수일간 보존해도 소변시료 중의 성분이 변화하지 않고, 정확한 측정을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집단검진시에도 채취한 소변시료를 냉장 또는 냉동 등의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간편하게 수송하여 검사하는 것이 가능한 소변시료의 채취·보존방법 및 그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임상진단분야의 소변검사에 있어서, 채취한 소변시료를 변성시키지 않고 장시간 보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 및 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변시료의 채취·보존기구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소변시료의 채취·보존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소변시료의 채취·보존기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소변시료의 채취·보존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소변시료의 채취·보존기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소변시료의 채취·보존기구의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소변시료의 채취·보존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도 8은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소변시료의 채취·보존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소변시료의 채취·보존방법은 채취한 소변시료를 여과 필터를 통해서 감압밀폐된 회수용기의 인압(引壓)에 의해 그 회수용기에 회수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소변시료의 채취·보존기구는 채뇨컵과, 소변시료의 여과필터를유지한 필터 홀더와, 마개에 의해 감압밀폐된 회수용기로 이루어진다. 필터 홀더는 내부에 여과필터를 유지하는 공간을 갖고, 검체 취입측과 검체 송출측에 각각 공간(S)에 연통(連通)하는 선단이 뾰족한 중공관을 장착한 것으로 하고 있다.
내부에 여과필터를 유지하는 공간을 갖는 필터 홀더는 그 검체 취입측에 채뇨컵의 바닥구멍과 연통하는 연통구멍이 설치되고, 송출측에는 필터 홀더의 공간에 연통하는 선단이 뾰족한 중공관을 장착한 것으로 해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소변시료의 채취·보존기구는 소변시료의 여과필터를 유지한 필터 홀더와, 마개에 의해 감압밀폐된 회수용기로 이루어지고, 필터 홀더는 여과필터를 유지하는 공간을 갖고, 검체 송출측의 외부 통내에 공간에 연통하는 선단이 뾰족한 중공관을 설치하고, 검체 취입측에는 공간에 연통하는 검체 흡인관을 설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필터 홀더의 외부 통 내에는 회수용기를 마개쪽에서 삽입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소변시료의 채취·보존방법 및 그 기구에 있어서, 여과필터의 구멍지름은 0.05㎛~0.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소변시료의 채취·보존방법 및 그 기구에 있어서, 회수용기는 차광용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소변시료의 채취·보존방법 및 그 기구에 있어서는 회수용기 내의 압력은 0.1기압~0.5기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회수용기 내를 비활성 기체로 충전시키고나서, 감압밀폐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한 본 발명의 소변시료의 채취·보존방법 및 그 기구에 의해 채취·보존된 소변시료는 여과멸균이 실행되는 동시에, 외기로부터의 세균의 오염이나 산소 및 빛의 영향에 의한 소변 내 성분의 변성을 방지할 수 있고, 냉장이나 냉동 등의 처리를 하지 않아도 장시간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소변시료의 채취·보존기구는 도 1,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변시료를 채취하는 채뇨컵(1)과, 소변시료의 여과필터(2)를 유지한 필터 홀더(3)와, 마개(4)에 의해 감압밀폐된 회수용기(5)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나타낸 것은 필터 홀더(3)는 내부에 여과필터(2)를 유지하는 공간(S1)을 갖고 있다. 이 공간(S1)의 상부의 검체 취입측과 하부의 송출측에는 각각 공간(S1)에 연통하는 선단이 뾰족한 중공관인 주사침(6)을 장착한 것으로 하고 있다. 또, 주사침(6)의 주위는 얇은 고무캡(7)으로 덮여 있고, 주사침(6)에서 채뇨후의 소변이 새어나오거나, 주사침(6)이 손가락 등을 찔러서 상처가 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소변시료의 채취·보존기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소변시료의 채취·보존방법을 실시하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 홀더(3)의 상부에 장착한 주사침(6)으로 고무캡(7)을 찢고 소변시료를 채취한 채뇨컵(1)의 바닥면(1a)을 찌르고, 필터 홀더(3)의 하부에 장착한 또 한쪽의 주사침(6)도 마찬가지로 고무캡(7)을 찢고 감압밀폐된 회수용기(5)의 마개(4)를 찔러서 인압에 의해 채뇨컵(1)에 채취한 소변시료는 여과필터(2)를 통해서 회수용기(5)로 유입되어 회수되게 된다.
도 3에 나타낸 것은 필터 홀더(3)는 내부에 여과 필터(2)를 유지하는 공간(S1)을 갖고, 상부의 검체 취입측에는 채뇨컵(1)의 바닥구멍(1b)과 연통하는 연통구멍(8)이 설치되고, 하부의 송출측에는 필터 홀더(3)의 공간(S1)에 연통하는주사침(6)을 장착한 것으로 하고 있다. 또, 주사침(6)의 주위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얇은 고무캡(7)으로 덮여 있고, 주사침(6)에서 채뇨 후의 소변이 새어나오거나, 주사침(6)이 손가락 등을 찔러서 상처를 입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채뇨컵(1)의 바닥부에는 필터 홀더(3)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S2)을 설치하고, 이 필터 홀더(3)가 채뇨컵(1)의 바닥부에서 돌출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소변시료의 채취·보존기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소변시료의 채취·보존방법을 실시하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 홀더(3)의 하부에 장착한 주사침(6)을 고무캡(7)을 찢고 감압밀폐된 회수용기(5)의 마개(4)를 찔러서, 인압에 의해 채뇨컵(1)에 채취한 소변시료는 여과 필터(2)를 통해 회수용기(5)로 유입하여 회수된다.
채뇨컵(1)은 주사침(6)을 찔러서 소변시료를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여 극단적으로 액체가 새어나오는 것이 아니라면, 형상이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소변시료의 채취·보존기구는 소변시료의 여과 필터(2)를 유지한 필터 홀더(3)와, 마개(4)에 의해 감압밀폐된 회수용기(5)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 홀더(3)는 여과 필터(2)를 유지하는 공간(S)을 갖고 있다. 상부의 검체 송출측에는 외부 통(3a)을 설치한 것으로 하고, 이 외부 통(3a) 내에 공간(S)에 연통하는 주사침(6)을 설치한 것으로 하고, 또 하부의 검체 취입측에는 공간(S)에 연통하는 검체 흡인관(9)을 설치한 것으로 하고 있다. 또, 공간(S)에 검체 흡인관(9)을 연통하려면 공간(S)을 아래쪽에서 밀폐하도록 한 덮개(10)의 연통구멍(10a)에 검체 흡인관(9)을 연통한 것으로 하고 있다. 또, 외부 통(3a)의 외부둘레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플랜지(11)를 설치한 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회수용기(5)는 필터 홀더(3)의 외부 통(3a) 내에 마개(4)쪽에서 삽입가능한 것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소변시료의 채취·보존기구는 도 5,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 홀더(3)의 외부 통(3a) 내에 회수용기(5)를 마개(4)쪽에서 주사침(6)의 바로 앞까지 삽입한 상태로 한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채뇨용기(U) 등에 채취한 소변시료에 검체 흡인관(9)을 담가서 필터 홀더(3)의 외부 통(3a) 내에 상기 회수용기(5)를 더욱 삽입하고, 그 마개(4)에 주사침(6)을 찌른다. 그러면, 감압밀폐된 회수용기(5)의 인압에 의해 채뇨용기(U) 등에 채취한 소변시료는 검체 흡인관(9)에서 여과필터(2)를 통해 회수용기(5)로 유입되어 회수된다. 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 홀더(3)에서 회수용기(5)를 떼어내는 것에 의해 마개(4)에 찌른 주사침(6)을 빼면, 상기 소변시료는 회수용기(5)에 채취·보존된 상태가 된다.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플랜지(11)에 의해 상기 작업중에 회수용기(5)를 필터 홀더(3)의 외부 통(3a)으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또 외부 통(3a)에서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검체 흡인관(9)은 유리제나 합성수지제로 할 수 있고, 유연성을 가져도, 갖지 않아도 좋으며, 또 그 내부지름도 감입밀폐된 회수용기(5)의 인압에 의해 소변시료가 흡인되는데 지장을 주지 않으면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다.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필터 홀더(3) 내에 유지한 여과필터(2)는 단백질 등의 소변 내 피검성분의 흡착성이 낮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나 폴리설폰 또는 폴리에테르설폰 등을 재질로 하고, 구멍지름은 세균을 통과시키지 않고 검체를 원활하게 여과할 수 있도록 0.05㎛~0.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수용기(5)는 공기를 차단하는 재질 및 구조로 되어 있고, 한번 용기 내를 질소 가스 등의 비활성 기체로 충전시키고, 감압상태로 하여 합성고무 등의 마개(4)에 의해 봉해져 있다. 회수용기(5)는 소변시료가 이 회수용기(5) 내에 충분량 회수할 수 있는 정도로 감압할 필요가 있고, 극단적인 감압은 압력 유지의 효율이나, 용기의 내구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재질에도 따르지만, 회수용기(5) 내의 압력은 0.1 기압~0.5기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회수용기(5)의 크기나 형상은 일반적인 소변검사장치에 장착할 수 있는 시험관형상이나 병형상이 바람직한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필터 홀더(3) 내에 마개(4)쪽에서 삽입가능하게 한 것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없다. 또, 회수용기(5)는 차광기능을 갖게 하는 것이면, 회수한 소변시료에서 빛의 영향을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회수용기의 마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및/또는 하부에 오목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침을 찌르는 마개 부분의 두께를 얇게 하여 찔러 넣기·빼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감압에 견디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소변시료의 채취·보존기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소변시료의 채취·보존방법을 실시하고, 0~7일 후의 소변시료 중의 성분을 측정했다.
우선, 채뇨컵(1)에 소변시료(A~E)를 각각 채취한다. 그리고, 각각의 필터 홀더(3)의 하부에 장착한 주사침(6)을 감압밀폐된 회수용기(5)의 마개(4)에 찌른다. 그러면, 회수용기(5)의 인압에 의해 채뇨컵(1)에 채취한 소변시료는 여과필터(2)를 통해 회수용기(5)로 유입된다. 그 후, 마개(4)에 찌른 주사침(6)을 빼고, 마개(4)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0~7일간 실온에서 보존했다. 또, 여과필터(2)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를 재질로 한 구멍지름 0.2㎛, 직경 50mm의 아도반텍사제 필터를 이용했다. 또, 회수용기(5)는 고무 마개에 의해서 마개를 하고, 0.2기압으로 감압밀폐한 갈색 플라스틱의 시험관으로 했다.
한편, 비교예로서 상기 채뇨컵(1)에 채취한 소변시료(A~E)의 나머지를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채 갈색 플라스틱의 시험관에 회수하고, 고무 마개를 한 상태에서 0~7일간 실온에서 보존했다.
각각의 검체에 대해 에이켄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소변검사장치(US-3100)를 이용하여, 보존직후, 2일후, 4일후, 7일후로 소변 내 성분을 측정했다. 측정결과는 표 1~5로 나타낸다.
실시예 비교예
직후 2일후 4일후 7일후 직후 2일후 4일후 7일후
검체 A 색조 황색 황색 황색 황색 황색 황색 황색 담황색
비중 1.008 1.010 1.010 1.012 1.012 1.008 1.009 1.007
pH 6.0 6.0 6.0 6.0 6.0 6.5 7.0 7.5
- - - - - - - -
단백 - - - - - - - -
케톤체 - - - - - - - -
빌리루빈 - - - - - - - -
유로빌리노겐 ± ± ± ± ± ± ± ±
아질산염 - - - - - - - 1+
요당정료(mg/dl) - - - - - - - -
실시예 비교예
직후 2일후 4일후 7일후 직후 2일후 4일후 7일후
검체 B 색조 황색 황색 황색 황색 황색 담황색 담황색 담황색
비중 1.038 1.036 1.039 1.039 1.039 1.036 1.038 1.035
pH 7.0 7.0 7.0 7.0 7.0 7.5 8.0 8.5
4+ 4+ 4+ 4+ 4+ 4+ 4+ 4+
단백 1+ 1+ 1+ 1+ 1+ 1+ - -
케톤체 1+ 1+ 1+ 1+ 1+ - - -
빌리루빈 - - - - - - - -
유로빌리노겐 ± ± ± ± ± ± ± ±
아질산염 - - - - - - 1+ 2+
요당정료(mg/dl) 6,200 6,188 6,219 6,182 6,253 6,185 6,077 5,882
실시예 비교예
직후 2일후 4일후 7일후 직후 2일후 4일후 7일후
검체 C 색조 담황색 담황색 담황색 담황색 담황색 담황색 담황색 호박색
비중 1.022 1.023 1.023 1.021 1.024 1.023 1.025 1.023
pH 6.0 6.0 6.0 6.0 6.0 6.0 7.0 8.0
2+ 2+ 2+ 2+ 2+ 2+ 1+ 1+
단백 - - - - - - - -
케톤체 - - - - - - - -
빌리루빈 - - - - - - - -
유로빌리노겐 ± ± ± ± ± ± ± ±
아질산염 - - - - - 1+ 1+ 2+
요당정료(mg/dl) 116 112 118 120 117 114 75 48
실시예 비교예
직후 2일후 4일후 7일후 직후 2일후 4일후 7일후
검체 D 색조 담황색 담황색 담황색 담황색 담황색 담황색 호박색 호박색
비중 1.031 1.033 1.028 1.030 1.030 1.028 1.031 1.030
pH 7.5 7.5 7.5 7.5 7.5 8.0 8.5 8.5
3+ 3+ 3+ 3+ 3+ 3+ 3+ 2+
단백 2+ 2+ 2+ 2+ 2+ 2+ 1+ 1+
케톤체 - - - - - - - -
빌리루빈 - - - - - - - -
유로빌리노겐 ± ± ± ± ± ± ± ±
아질산염 1+ 1+ 1+ 1+ 1+ 2+ 2+ 2+
요당정료(mg/dl) 558 567 535 563 563 446 283 158
실시예 비교예
직후 2일후 4일후 7일후 직후 2일후 4일후 7일후
검체 E 색조 황색 황색 황색 황색 황색 황색 담황색 담황색
비중 1.018 1.015 1.014 1.017 1.015 1.018 1.016 1.015
pH 6.5 6.5 6.5 6.5 6.5 7.0 7.0 7.5
1+ 1+ 1+ 1+ 1+ - - -
단백 1+ 1+ 1+ 1+ 1+ 1+ - -
케톤체 2+ 2+ 2+ 2+ 2+ 1+ - -
빌리루빈 1+ 1+ 1+ 1+ 1+ - - -
유로빌리노겐 1+ 1+ 1+ 1+ 1+ ± ± ±
아질산염 - - - - - 1+ 1+ 2+
요당정료(mg/dl) 38 47 42 44 48 25 - -
표 1~5에 나타낸 측정결과로부터 비교예에서는 색조, 비중, pH, 당, 단백, 아질산 중 몇 가지의 항목의 측정값에서 1~7일 사이에 큰 변동이 있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항목의 측정값에서 1~7일 사이에 변동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소변시료의 채취·보존기구를 이용하여 소변시료를 채취·보존하고, 보존직후 및 7일 후의 소변시료 중의 성분을 측정했다.
우선, 채뇨용기(U) 등에 소변시료(F~J)를 각각 채취한다. 다음에 외부 통(3a) 내에 회수용기(5)를 마개(4)쪽에서 주사침(6) 바로 앞까지 삽입한 상태로한 각각의 필터 홀더(3)의 검체 흡인관(9)을 소변시료(F~J)에 담근다. 그리고, 상기 필터 홀더(3)의 외부 통(3a) 내에 회수용기(5)를 더욱 삽입하고, 그 마개(4)에 주사침(6)을 찌른다. 그러면, 감압밀폐된 회수용기(5)의 인압에 의해 소변시료(F~J)는 검체 흡인관(9)에서 여과 필터(2)를 통해 각각 회수용기(5)로 유입되어 회수된다. 그 후, 필터 홀더(3)에서 회수용기(5)를 떼어내는 것에 의해 마개(4)에 찌른 주사침(6)을 빼내고, 마개(4)을 그대로 둔 상태에서 0~7일간 실온에서 보존했다. 또, 여과 필터(2)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를 재질로 한 구멍지름 0.2㎛, 직경 50mm의 아도반텍사제 필터를 이용했다. 또, 회수용기(5)는 고무 마개에 의해 마개를 하고, 0.2기압으로 감압밀폐한 갈색 플라스틱의 시험관으로 했다.
한편, 비교예로서 상기 채뇨용기(U) 등에 채취한 소변시료(F~J)의 나머지를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채 갈색 플라스틱의 시험관에 회수하고, 고무 마개를 한 상태에서 7일간 실온에서 보존했다.
각각의 검체에 대해 에이켄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소변검사장치(US-3100)를 이용하여, 보존직후 및 7일후에 소변 내 성분을 측정했다. 측정결과는 표 6에 나타낸다.
실시예 비교예
pH 요당 단백 pH 요당 단백
검체 A 직후 6.0 - - 6.0 - -
7일 후 6.0 - - 7.5 - -
검체 B 직후 7.0 6,200 1+ 7.0 6,253 1+
7일후 7.0 6,182 1+ 8.5 5,882 -
검체 C 직후 6.0 116 - 6.0 117 -
7일 후 6.0 120 - 8.0 48 -
검체 D 직후 7.5 558 2+ 7.5 563 2+
7일후 7.5 563 2+ 8.5 158 1+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채취한 소변시료를 상온상태에서 수일간 보존해도 소변시료 중의 성분이 변화하지 않아 정확한 측정을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집단검진시에도 채취한 소변시료를 냉장 또는 냉동 등의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간편하게 수송하여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 본 발명의 소변시료의 채취·보존기구는 간단한 구성이고, 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채취자가 직접 침에 닿을 필요도 없기 때문에 설비가 충분하지 않은 지역에서 용이하고 안전하게 검체 채취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12)

  1. 채취한 소변시료를 여과필터(2)에 통과시키고, 감압밀폐된 회수용기의 인압에 의해 그 회수용기로 회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시료의 채취·보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필터(2)의 구멍지름을 0.05㎛~0.2㎛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시료의 채취·보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용기(5)를 차광용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시료의 채취·보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용기(5) 내의 압력을 0.1기압~0.5기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시료의 채취·보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용기(5) 내를 비활성 기체로 충전시키고나서, 감압밀폐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시료의 채취·보존방법.
  6. 채뇨컵(1)과, 소변시료의 여과필터(2)를 유지한 필터 홀더(3)와, 마개(4)에 의해 감압밀폐된 회수용기(5)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 홀더(3)는 내부에 여과 필터(2)를 유지하는 공간(S1)을 갖고, 검체 취입측과 송출측에 각각 공간(S1)에 연통하는 선단이 뾰족한 중공관(6)을 장착한 것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시료의 채취·보존기구.
  7. 채뇨컵(1)과, 소변시료의 여과필터(2)를 유지한 필터 홀더(3)와, 마개(4)에 의해 감압밀폐된 회수용기(5)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 홀더(3)는 내부에 여과필터(2)를 유지하는 공간(S1)을 갖고, 검체 취입측에는 채뇨컵(1)의 바닥구멍(1b)과 연통하는 연통구멍(8)이 설치되고, 송출측에는 필터 홀더(3)의 공간(S1)에 연통하는 선단이 뾰족한 중공관(6)을 장착한 것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시료의 채취·보존기구.
  8. 소변시료의 여과필터(2)를 유지한 필터 홀더(3)와, 마개(4)에 의해 감압밀폐된 회수용기(5)로 이루어지고, 필터 홀더(3)는 여과필터(2)를 유지하는 공간(S)을 갖고, 상부의 검체 송출측의 외부 통(3a)내에 공간(S)에 연통하는 선단이 뾰족한 중공관(6)을 설치하고, 검체 취입측에는 공간(S)에 연통하는 검체 흡인관(9)을 설치한 것으로 하고, 상기 필터 홀더(3)의 외부 통(3a) 내에 회수용기(5)를 마개(4)쪽에서 삽입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시료의 채취·보존기구.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필터(2)의 구멍지름을 0.05㎛~0.2㎛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시료의 채취·보존기구.
  10.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용기(5)를 차광용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시료의 채취·보존기구.
  11.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용기(5) 내의 압력을 0.1기압~0.5기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시료의 채취·보존기구.
  12.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용기(5)내를 비활성 기체로 충전시키고나서, 감압밀폐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시료의 채취·보존기구.
KR1020037001809A 2000-08-11 2001-07-12 소변시료의 채취·보존방법 및 그 기구 KR1005518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44555A JP3475355B2 (ja) 2000-08-11 2000-08-11 尿検体の採取・保存器具
JPJP-P-2000-00244555 2000-08-11
PCT/JP2001/006056 WO2002014832A1 (fr) 2000-08-11 2001-07-12 Procede et dispositif d'echantillonnage et de stockage d'echantillons d'ur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741A true KR20030023741A (ko) 2003-03-19
KR100551879B1 KR100551879B1 (ko) 2006-02-13

Family

ID=18735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1809A KR100551879B1 (ko) 2000-08-11 2001-07-12 소변시료의 채취·보존방법 및 그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76059B2 (ko)
JP (1) JP3475355B2 (ko)
KR (1) KR100551879B1 (ko)
CN (1) CN1247979C (ko)
AU (1) AU2001269510A1 (ko)
WO (1) WO200201483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9357A1 (ko) * 2015-12-10 2017-06-15 주식회사 인셀바이오 피펫이 포함된 시료 채취용 용기 조립체
WO2018225884A1 (ko) * 2017-06-08 2018-12-13 (주)알엠바이오 피펫이 포함된 시료 채취용 용기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3938A1 (en) * 2001-09-19 2003-03-2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Liquid specimen collection container
JP4158095B2 (ja) * 2003-01-15 2008-10-01 株式会社クニムネ 尿検体の採取・保存器具
AT500882A3 (de) * 2004-10-06 2009-12-15 Greiner Bio One Gmbh In-vitro diagnostikum zur speichelvolumsbestimmung
US9128168B2 (en) 2007-12-14 2015-09-08 Cornell University Method of determing excretion of sodium and other analytes
US10996218B2 (en) 2008-03-11 2021-05-04 Ournextbaby Llc Methods for chemotaxis / redox driven separation of X and Y chromosome bearing sperm and their insemination in gender specific menstrual cycles
ES2649816T3 (es) * 2009-07-17 2018-01-15 Giuseppe Adriani Dispositivo para el muestreo de líquidos de trabajo de máquinas industriales
EP2593768A1 (en) * 2010-07-14 2013-05-22 Qiagen GmbH New storage, collection or isolation device
EP2619573B1 (en) * 2010-09-16 2017-06-14 Urobiologics LLC Use of female mammal's urine for determination of fetal gender related characteristics
US9468423B2 (en) 2012-01-10 2016-10-1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afety shield for fluid specimen container
CN104394774B (zh) * 2012-04-28 2018-03-09 塞托克尔公司 用于生物样本自收集的方法、包装和装置
US10479536B2 (en) * 2012-09-17 2019-11-19 Portland Outdoors, Llc System, methods and apparatus for urine collection and storage
US20140161688A1 (en) * 2012-11-30 2014-06-12 Rarecyte,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a target material
ES2836977T3 (es) 2013-08-09 2021-06-28 Boehringer Ingelheim Int Nebulizador
EP3126050B1 (en) * 2014-04-02 2018-09-26 Merck Patent GmbH Fluid transfer device and process of aseptically transferring a fluid
EP3161121A4 (en) 2014-06-27 2017-12-27 Pulse Health LLC Fluorescence detection assembly
US9931102B1 (en) * 2014-07-08 2018-04-03 Kimberly A. Studer Specimen collection system for use with urinal
US10493447B2 (en) * 2015-08-20 2019-12-03 Allegiance Corporation Specimen cup and transfer apparatus
BR112020023382A2 (pt) * 2018-05-22 2021-02-09 C.R. Bard, Inc. kit de amostragem de urina e métodos do mesmo
EP3796878A4 (en) * 2018-05-22 2022-03-09 C. R. Bard, Inc. ASEPTIC URINE SAMPLING SYSTEMS AND RELATED METHODS
FR3093651A1 (fr) * 2019-03-15 2020-09-18 Seigniory Chemical Products Ltd. - Produits Chimiques Seigneurie Ltee Systeme et procede pour filtrer des echantillons a partir de recipients
CN110411787B (zh) * 2019-06-28 2021-10-12 李美琴 一种用于检验科尿液样品的收集处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4079A (en) * 1972-04-28 1974-06-04 Upjohn Co Liquid collecting and filtering device
US4300404A (en) * 1977-12-01 1981-11-1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Liquid specimen container
US4812293A (en) * 1986-06-30 1989-03-1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Vacuum actuated assay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JPS63140935A (ja) * 1986-12-04 1988-06-13 Rikagaku Kenkyusho 液体試料採取装置及び液体試料採取方法
DE3886509T2 (de) 1987-12-10 1994-05-19 Costar Corp Flaschenfiltriergerät.
US5042502A (en) * 1989-09-18 1991-08-27 La Mina Ltd. Urine testing module with cytology cup
US5137031A (en) * 1989-09-18 1992-08-11 La Mina Ltd. Urine testing apparatus with urinary sediment device
JP2519749Y2 (ja) * 1990-09-29 1996-12-11 株式会社島津製作所 検体前処理器具
JPH0593721A (ja) * 1990-12-03 1993-04-16 Sanwa Kagaku Kenkyusho Co Ltd 血清・血漿分離器具
JPH04208856A (ja) * 1990-12-03 1992-07-30 Sanwa Kagaku Kenkyusho Co Ltd 全血から血清又は血漿を分離する方法および器具
JPH05188053A (ja) * 1992-01-10 1993-07-27 Sanwa Kagaku Kenkyusho Co Ltd 血液から血清又は血漿成分を分離する器具
JPH05196620A (ja) * 1992-07-29 1993-08-06 Sanwa Kagaku Kenkyusho Co Ltd 血清・血漿分離器具
JP3234370B2 (ja) * 1993-10-01 2001-12-04 タイホー工業株式会社 検体採取装置
US5578459A (en) * 1993-11-24 1996-11-26 Abbott Laboratories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 cell sample from a liquid specimen
AU711916B2 (en) * 1995-06-07 1999-10-21 Sudor Partners Dermal patch without a separate absorbent material
JPH095322A (ja) * 1995-06-23 1997-01-10 Brother Ind Ltd 生化学物質測定装置
US5714696A (en) * 1995-07-06 1998-02-0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Fluid sampling apparatus and method
JP3592822B2 (ja) * 1996-01-23 2004-11-24 株式会社いかがく 採取尿の保存方法および採尿用キット
US6145688A (en) * 1996-07-17 2000-11-14 Smith; James C. Closure device for containers
JPH10215859A (ja) * 1997-02-03 1998-08-18 Idemitsu Kosan Co Ltd 細菌捕集用ろ過具、細菌数測定キットおよび細菌数の測定方法
JP3685283B2 (ja) * 1997-02-13 2005-08-17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血漿採取具
JP3015854B2 (ja) * 1997-12-24 2000-03-06 株式会社アイ・デザイン 採血管
JPH11211721A (ja) * 1998-01-27 1999-08-06 Fuji Photo Film Co Ltd 生化学分析装置
JP3475350B2 (ja) * 1999-10-04 2003-12-08 株式会社クニムネ 尿検体の採取・保存器具
JP2001324500A (ja) * 2000-05-18 2001-11-22 Nikkiso Co Ltd 体液濾過ユニットおよび体液濾過デバイ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9357A1 (ko) * 2015-12-10 2017-06-15 주식회사 인셀바이오 피펫이 포함된 시료 채취용 용기 조립체
WO2018225884A1 (ko) * 2017-06-08 2018-12-13 (주)알엠바이오 피펫이 포함된 시료 채취용 용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14832A1 (fr) 2002-02-21
CN1468368A (zh) 2004-01-14
AU2001269510A1 (en) 2002-02-25
CN1247979C (zh) 2006-03-29
US6776059B2 (en) 2004-08-17
KR100551879B1 (ko) 2006-02-13
US20030164051A1 (en) 2003-09-04
JP3475355B2 (ja) 2003-12-08
JP2002311021A (ja) 2002-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1879B1 (ko) 소변시료의 채취·보존방법 및 그 기구
KR101136654B1 (ko) 시료채취 및 분석 기구
US5477863A (en) Collection kit with a sample collector
US9724690B2 (en) Blood collection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using the same
US7858037B2 (en) Adaptor for sample vial
US3645252A (en) Apparatus for sampling blood or the like fluid
EP1106065A2 (en) Method of and container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vital tissue, fluid or cell materials
CN208509955U (zh) 一种用于人类睾丸及附睾精子冻存的微型保存装置
US5924594A (en)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JPS59501347A (ja) マイクロ容器
WO2021229564A1 (en) Sampl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700563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mpling a fluid
US6612997B1 (en)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US20050197596A1 (en) Umbilical cord sampling system and method
JP4158094B2 (ja) 尿検体の採取・保存器具
JP3475350B2 (ja) 尿検体の採取・保存器具
JP2008064554A (ja) 検体容器用アダプタ、及び検体容器用ラック
JP2004029028A (ja) 尿検体の採取・保存方法
JP4158095B2 (ja) 尿検体の採取・保存器具
US6221307B1 (en)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JPH04140635A (ja) マルチスティック法による検体抽出法
CN219187018U (zh) 医疗试管管理装置
JP2004219276A (ja) 尿検体の採取・保存器具用ろ過フィルター
JP2004069509A (ja) 検体搬送容器
JPS63296733A (ja) 連結採血管およびそれを備えた採血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