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3116A - 차량의 댐퍼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댐퍼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3116A
KR20030023116A KR1020010056092A KR20010056092A KR20030023116A KR 20030023116 A KR20030023116 A KR 20030023116A KR 1020010056092 A KR1020010056092 A KR 1020010056092A KR 20010056092 A KR20010056092 A KR 20010056092A KR 20030023116 A KR20030023116 A KR 20030023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yaw rate
steer
wheel
damp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6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9011B1 (ko
Inventor
고유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10056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9011B1/ko
Priority to US10/033,870 priority patent/US6751537B2/en
Priority to DE60127412T priority patent/DE60127412T2/de
Priority to EP01131017A priority patent/EP1304241B1/en
Priority to JP2002008539A priority patent/JP2003080914A/ja
Publication of KR20030023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3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0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6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 B60G17/016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mainly during a motion involving steering operation, e.g. cornering,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05Attitude
    • B60G2400/052Angular rate
    • B60G2400/0523Yaw 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0Speed
    • B60G2400/204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40Steering conditions
    • B60G2400/41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10Damping action or dam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향 상태에 따라 댐퍼의 감쇠력(damping force)을 적절히 조절하여 주행 중에 운전자에게 조향 안정성을 제공하는 차량의 댐퍼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눈길이나 빙판길 등 마찰 계수가 작은 로우 뮤(low myu) 조건의 노면에서 발생하는 스핀(spin) 현상에 대해서는 대처할 수 없다. 예로, 눈길이나 빙판길 등 마찰 계수가 작은 로우 뮤 조건의 노면에서 또는 급조향시 발생하는 오버-스티어(over-steer) 또는 언더-스티어(under-steer)에 대해서는 대처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조향 상태에 따라 댐퍼의 전륜 감쇠력 및 후륜 감쇠력을 각기 적절히 조절하여 주행 중에 운전자가 조향에 대해 안정성을 갖도록 한다. 따라서, 차량 운전이 더욱 안전해지고 운전자의 승차감도 좋아지기 때문에, 차량의 전체적인 성능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차량의 댐퍼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DAMPER OF CARS}
본 발명은 차량의 댐퍼(damper)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향 상태에 따라 댐퍼의 감쇠력(damping force)을 적절히 조절하여 주행 중에 운전자에게 조향 안정성을 제공하는 차량의 댐퍼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프로드카는 물론, 대부분의 온로드카에도 쇼크업쇼바가 장치되어 있다. 쇼크업쇼바는 우리말로 하면 "충격을 흡수하는 장치"라는 의미를 갖는다.
이와 같은 쇼크업쇼바는 댐퍼와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R/C카가 노면으로부터 충격을 받으면 먼저 코일스프링이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면서 충격을 흡수한다. 그러나 이 상태라면 스프링이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는 동안 R/C카는 작은 조각의 진동을 반복해서 받게 된다. 그래서 가능한 한 빨리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서 댐퍼가 필요하다.
댐퍼는 크게 나누어 두 가지의 종류가 있다. 하나는 프릭션댐퍼, 또 하나는 오일댐퍼이다. 프릭션댐퍼는 마찰저항을 이용한 것으로, 기본적인 R/C킷트에 부속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 타입은 코일스프링이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는 동안, 댐퍼 케이스와 샤프트가 맞스치게끔 되어 있다. 이 맞스치는 저항으로, 스프링의 팽창수축은 점차 세력을 잃고 결국 멈추게 되는 것이다.
다른 하나인 오일댐퍼는 케이스 내에 끈기가 있는 오일을 넣고 봉한 것이다. 거기에 삽입하는 샤프트의 끝 부분에는 피스톤이 붙어 있다. 스프링이 팽창수축을 반복하는 동안에는 오일 속의 피스톤이 상하운동을 한다. 댐퍼오일은 물의 수백배에 해당하는 끈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피스톤이 움직이는 것만 해도 상당한 저항이 발생하게 된다. 이 저항으로 스프링의 팽창과 수축은 점차 세력을 잃고 결국 멈추게 되는 것이다.
프릭션댐퍼와 오일댐퍼를 비교하면 진동을 흡수하는 빠르기의 면에서, 오일댐퍼쪽이 유리하다. 이것은 오일댐퍼에는 끈기가 서로 다른 여러 가지 오일들이 준비되어 있어서 상황에 맞추어 효과적으로 세팅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로, 스프링의 진동이 심할 때에는 보다 끈기가 있는 오일을, 진동이 약할 때에는 보다끈기가 없는 오일을 세팅하는 식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프릭션댐퍼가 부속되어 있는 R/C킷트라도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옵션부품으로서 오일댐퍼가 준비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제어 로직(control logic)이 제어하는 영역은 크게 라이드(ride) 영역 및 핸들링(handling) 영역으로 구분된다. 좀더 세부적으로 보면, 라이드, 앤티-롤(anti-roll), 앤티-다이브(anti-dive), 앤티-스카트(anti-squat) 및 스피드 센시티브(speed sensitive) 등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로직은 마찰 계수가 큰 하이 뮤(high myu) 조건의 노면에 적용되는 로직이다.
따라서, 눈길이나 빙판길 등 마찰 계수가 작은 로우 뮤(low myu) 조건의 노면에서 발생하는 스핀(spin) 현상에 대해서는 대처할 수 없다. 예로, 눈길이나 빙판길 등 마찰 계수가 작은 로우 뮤 조건의 노면에서 또는 급조향시 발생하는 오버-스티어(over-steer) 또는 언더-스티어(under-steer)에 대해서는 대처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결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조향 상태에 따라 댐퍼의 전륜 감쇠력 및 후륜 감쇠력을 각기 적절히 조절하여 주행 중에 운전자가 조향에 대해 안정성을 갖도록 하는 차량의 댐퍼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향각 센서(steering angle sensor), 차속 센서, 요 레이트 센서(yaw rate sensor) 및 각 바퀴에 대응하는 각휠 스피드 센서(wheel speed sensor)로부터 제공되는 각 정보에 따라 각 바퀴에 대응하는 각 댐퍼의 감쇠력을 각기 제어하는 차량의 댐퍼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조향각 정보, 차속 정보, 요 레이트 정보 및 각 바퀴에 대응하는 각 휠 스피드 정보를 입력하는 제 1 단계; 상기 조향각 정보, 차속 정보 및 각 휠 스피드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의도한 요 레이트 값을 선정하는 제 2 단계; 상기 운전자가 의도한 요 레이트 값과 상기 요 레이트 센서가 제공하는 요 레이트 정보를 비교하는 제 3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오버-스티어인지 언더-스티어인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상기 스티어 판단에 대응하여 상기 각 댐퍼의 감쇠력을 각기 제어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댐퍼 제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댐퍼 제어 방법의 실시예를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향각 센서 12 : 요 레이트 센서
14 : 횡 가속도 센서 16 : 휠 스피드 센서
18 : 차속 센서 20 : 전자 제어 장치
22 : 프런트 댐퍼 24 : 리어 댐퍼
이하,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다음과 같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댐퍼 제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블록도로, 전자 제어 장치(20)가 조향각 센서(10), 요 레이트 센서(12), 횡 가속도 센서(14), 휠 스피드 센서(16) 및 차속 센서(18)로부터 각 감지 신호를 각각 제공받아 프런트 댐퍼(front damper)(22) 및 리어 댐퍼(rear damper)(24)의 감쇠력을 각기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조향각 센서(10)는 조향각을 감지하여 전자 제어 장치(20)로 제공한다.
요 레이트 센서(12)는 차량의 요 레이트를 감지하여 전자 제어 장치(20)로제공한다.
횡 가속도 센서(14)는 차량의 횡 가속도를 감지하여 전자 제어 장치(20)로 제공한다.
휠 스피드 센서(16)는 4 개의 휠 스피드 센서로 구성되어 각 바퀴의 스피드를 각기 감지하여 전자 제어 장치(20)로 제공한다. 4 개 바퀴의 속도는 거의 같기 때문에, 이 중에 하나만 전자 제어 장치(20)로 제공해도 된다.
차속 센서(18)는 차속을 감지하여 전자 제어 장치(20)로 제공한다.
전자 제어 장치(20)는 조향각 센서(10), 요 레이트 센서(12), 차속 센서(18) 및 휠 스피드 센서(16)로부터 제공되는 각 정보에 따라 프런트 댐퍼(18) 및 리어 댐퍼(20)의 감쇠력을 각기 제어한다.
프런트 댐퍼(18)는 전자 제어 장치(20)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양 옆 앞바퀴의 감쇠력 제어를 담당한다.
리어 댐퍼(20)는 전자 제어 장치(20)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양 옆 뒷바퀴의 감쇠력 제어를 담당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댐퍼 제어 방법의 실시예를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로, 전자 제어 장치(20)의 알고리즘(algorithm)이다.
먼저, 전자 제어 장치(20)는 조향각 센서(10), 차속 센서(18), 요 레이트 센서(12) 및 휠 스피드 센서(16)로부터 조향각 정보, 차속 정보, 요 레이트 정보 및 각 바퀴에 대응하는 각 휠 스피드 정보를 입력한다(단계 30).
전자 제어 장치(20)는 단계 30의 조향각 정보, 차속 정보 및 각 휠 스피드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의도한 요 레이트 값을 선정한다(단계 32).
전자 제어 장치(20)는 단계 32의 운전자가 의도한 요 레이트 값과 요 레이트 센서(12)가 제공하는 요 레이트 정보를 비교한다(단계 34).
전자 제어 장치(20)는 단계 34의 비교 결과에 따라 오버-스티어인지 언더-스티어인지를 판단한다(단계 36).
전자 제어 장치(20)는 단계 36의 스티어 판단에 대응하여 프런트 댐퍼(22) 및 리어 댐퍼(24)의 감쇠력을 각기 제어한다. 이때, 조향시 감쇠력이 클수록 타이어(tire)의 접지력이 떨어지는 특성을 이용하여 차량이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상관없이, 오버-스티어 특성이 나타나면 후륜의 감쇠력이 작아지도록 제어하고 전륜의 감쇠력은 커지도록 제어한다. 반면, 언더-스티어 특성이 나타나면 후륜의 감쇠력이 커지도록 제어하고 전륜의 감쇠력은 작아지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향 상태에 따라 댐퍼의 전륜 감쇠력 및 후륜 감쇠력을 각기 적절히 조절하여 주행 중에 운전자가 조향에 대해 안정성을 갖도록 한다. 따라서, 차량 운전이 더욱 안전해지고 운전자의 승차감도 좋아지기 때문에, 차량의 전체적인 성능이 향상된다.

Claims (2)

  1. 조향각 센서, 차속 센서, 요 레이트 센서 및 각 바퀴에 대응하는 각 휠 스피드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각 정보에 따라 각 바퀴에 대응하는 각 댐퍼의 감쇠력을 각기 제어하는 차량의 댐퍼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조향각 정보, 차속 정보, 요 레이트 정보 및 각 바퀴에 대응하는 각 휠 스피드 정보를 입력하는 제 1 단계;
    상기 조향각 정보, 차속 정보 및 각 휠 스피드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의도한 요 레이트 값을 선정하는 제 2 단계;
    상기 운전자가 의도한 요 레이트 값과 상기 요 레이트 센서가 제공하는 요 레이트 정보를 비교하는 제 3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오버-스티어인지 언더-스티어인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상기 스티어 판단에 대응하여 상기 각 댐퍼의 감쇠력을 각기 제어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댐퍼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스티어 판단이 오버-스티어 일 경우 후륜의 감쇠력이 작아지도록 제어하고 전륜의 감쇠력은 커지도록 제어하는 오버-스티어 제어 단계;
    상기 스티어 판단이 언더-스티어일 경우 후륜의 감쇠력이 커지도록 제어하고 전륜의 감쇠력은 작아지도록 제어하는 언더-스티어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댐퍼 제어 방법.
KR1020010056092A 2001-09-12 2001-09-12 차량의 댐퍼 제어 방법 KR100709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092A KR100709011B1 (ko) 2001-09-12 2001-09-12 차량의 댐퍼 제어 방법
US10/033,870 US6751537B2 (en) 2001-09-12 2001-12-28 Method for controlling a damper of a vehicle
DE60127412T DE60127412T2 (de) 2001-09-12 2001-12-29 Verfahren zum Regeln eines Fahrzeugdämpfers
EP01131017A EP1304241B1 (en) 2001-09-12 2001-12-29 Method for controlling damper of cars
JP2002008539A JP2003080914A (ja) 2001-09-12 2002-01-17 車両のダンパ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092A KR100709011B1 (ko) 2001-09-12 2001-09-12 차량의 댐퍼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116A true KR20030023116A (ko) 2003-03-19
KR100709011B1 KR100709011B1 (ko) 2007-04-18

Family

ID=19714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092A KR100709011B1 (ko) 2001-09-12 2001-09-12 차량의 댐퍼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51537B2 (ko)
EP (1) EP1304241B1 (ko)
JP (1) JP2003080914A (ko)
KR (1) KR100709011B1 (ko)
DE (1) DE60127412T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422B1 (ko) * 2007-06-19 2008-02-29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전자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27689B1 (ko) * 2007-01-03 2008-05-07 주식회사 만도 댐퍼의 감쇠력 제어를 통한 차량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3172B2 (en) * 2002-08-20 2006-08-01 Mando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anti-roll/anti-yaw of vehicles
JP4546307B2 (ja) * 2005-03-30 2010-09-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可変減衰力ダンパーの制御装置
EP2106353B1 (en) * 2007-01-25 2014-01-08 Honda Motor Co., Ltd. Vehicle systems control for improving stability
IT1396906B1 (it) * 2009-05-21 2012-12-20 Piaggio & C Spa Metodo di controllo di un ammortizzatore di sterzo elettronicamente modulabile per un veicolo a due ruote ed apparato implementante lo stesso
US9205717B2 (en) 2012-11-07 2015-12-08 Polaris Industries Inc. Vehicle having suspension with continuous damping control
KR101470221B1 (ko) 2013-10-17 2014-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가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7406094B (zh) 2014-10-31 2020-04-14 北极星工业有限公司 用于控制车辆的系统和方法
CA3043481C (en) 2016-11-18 2022-07-26 Polaris Industries Inc. Vehicle having adjustable suspension
DE102017000506A1 (de) * 2017-01-20 2018-07-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Fahrzeug mit verstellbaren Dämpfern und Steuerverfahren dafür
US10406884B2 (en) 2017-06-09 2019-09-10 Polaris Industries Inc. Adjustable vehicle suspension system
JP6956664B2 (ja) * 2018-03-27 2021-11-02 日立Astemo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US10987987B2 (en) 2018-11-21 2021-04-27 Polaris Industries Inc. Vehicle having adjustable compression and rebound damping
JP7365963B2 (ja) 2020-05-21 2023-10-20 日立Astemo株式会社 制御装置
US11904648B2 (en) 2020-07-17 2024-02-20 Polaris Industries Inc. Adjustable suspensions and vehicle operation for off-road recreational vehicles
US11618440B2 (en) 2020-11-09 2023-04-04 Guangzhou Automobile Group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ESA system of a vehicle and ESA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0212A (en) * 1985-03-20 1987-03-17 Mazda Motor Corporation Vehicle suspension system
JPS62113651A (ja) * 1985-11-13 1987-05-25 Nissan Motor Co Ltd 4輪操舵車両
US4761022A (en) * 1986-03-08 1988-08-0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uspension controller for improved turning
JPH0741783B2 (ja) * 1986-05-23 1995-05-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ヨン制御装置
EP0339617B1 (en) * 1988-04-27 1993-09-22 Nissan Motor Co., Ltd. Fail-safe vehicle control system
DE4010277C2 (de) * 1989-03-31 1995-12-14 Aisin Seiki Vorrichtung zur Regelung einer hydraulischen Aufhängung
JPH03258650A (ja) * 1990-03-09 1991-11-18 Toyota Motor Corp 路面摩擦係数検出装置
DE4123235C2 (de) * 1991-07-13 1997-04-03 Daimler Benz Ag Verfahren zur Verhinderung von Instabilitäten des Fahrverhaltens eines Fahrzeuges
JPH05221213A (ja) * 1991-08-20 1993-08-31 Tokico Ltd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JP3131049B2 (ja) * 1992-09-30 2001-01-31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789315A (ja) * 1993-09-27 1995-04-04 Mazda Motor Corp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DE4436162C1 (de) * 1994-10-10 1996-03-21 Siemens Ag System zum Regeln der Fahrstabilität eines Kraftfahrzeugs
KR100226635B1 (ko) * 1996-12-10 1999-10-15 오상수 차량용 퍼지 적응 제어 현가 장치
KR19990057521A (ko) * 1997-12-30 1999-07-15 오상수 적응형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동작 제어방법 및그 장치
US5931887A (en) * 1998-09-24 1999-08-03 General Motors Corporation Brake control method based on a linear transfer function reference model
KR20000027739A (ko) * 1998-10-29 2000-05-15 밍 루 전자 제어 현가 장치
JP3608445B2 (ja) * 1999-08-05 2005-01-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輌の減衰係数制御装置
JP4231910B2 (ja) * 2000-04-25 2009-03-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線維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689B1 (ko) * 2007-01-03 2008-05-07 주식회사 만도 댐퍼의 감쇠력 제어를 통한 차량 제어 방법
KR100808422B1 (ko) * 2007-06-19 2008-02-29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전자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27412T2 (de) 2007-12-06
US6751537B2 (en) 2004-06-15
JP2003080914A (ja) 2003-03-19
DE60127412D1 (de) 2007-05-03
KR100709011B1 (ko) 2007-04-18
US20030047994A1 (en) 2003-03-13
EP1304241B1 (en) 2007-03-21
EP1304241A2 (en) 2003-04-23
EP1304241A3 (en) 200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011B1 (ko) 차량의 댐퍼 제어 방법
KR100517208B1 (ko) 차량의 앤티-롤 및 앤티-요 제어 방법
US2007015014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damper force in vehicles having a ride level control system
US5193844A (en)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JP5162283B2 (ja) 減衰力可変ダンパ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4960715B2 (ja) 減衰力可変式ダンパ装着車両
KR100770308B1 (ko) 차량용 전자제어 현가장치에서의 모드 제어 방법
JP3095398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209090B1 (ko) 악로 주행 판단 기능을 갖는 자동 서스펜션 시스템
JP2009137342A (ja) 減衰力可変ダンパの制御装置
US20230211642A1 (en) Controller, vehicle, and control method
KR101997323B1 (ko) 차량의 급제동 제어방법
JP3094752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KR100556030B1 (ko) 반능동 현가장치의 댐퍼 감쇠력 선택 방법
KR100241376B1 (ko) 차량 반능동 현가의 감쇠력 결정방법
KR100702325B1 (ko)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안티 스쿼트 제어방법
JP3520288B2 (ja) 車両懸架装置
JP5131685B2 (ja) 減衰力可変ダンパの制御装置
JP2009179089A (ja) 減衰力可変ダンパの制御装置
JPH0732842A (ja) 車両懸架装置
JPH08142626A (ja) 車両懸架装置
KR19990002231A (ko) 차량 반능동 현가의 제어방법
JPH08183317A (ja) 車両の電子制御サスペンション
JPH06127234A (ja) 車両懸架装置
KR20170030701A (ko)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