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0289A - 4-하이드록시페닐-알파-d-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함유하는피부과용 국소제 - Google Patents

4-하이드록시페닐-알파-d-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함유하는피부과용 국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0289A
KR20030020289A KR1020027016089A KR20027016089A KR20030020289A KR 20030020289 A KR20030020289 A KR 20030020289A KR 1020027016089 A KR1020027016089 A KR 1020027016089A KR 20027016089 A KR20027016089 A KR 20027016089A KR 20030020289 A KR20030020289 A KR 20030020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rivatives
acid
extracts
salts
hydroxyph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6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0589B1 (ko
Inventor
구리키다카시
나카에다카시
니시무라다카히사
나카야마히로키
Original Assignee
펜타팜아게
에자끼글리코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펜타팜아게, 에자끼글리코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펜타팜아게
Publication of KR20030020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5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1Gentianaceae (Gentian family)
    • A61K36/515Gentia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2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2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six 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46Imid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8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sulfur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1Vitamin A; Derivatives thereof, e.g. ester of vitamin A acid, ester of retinol, retinol, reti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6Chitin; Chitosa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7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2Reproductive organs; Embryos, Eg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Zo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미백 효과 및 피부 검어짐 예방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안전하고 안정된 피부과용 국소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아스코르브산 및 그의 유도체, 생약(crude drug) 및 그들의 추출물,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 및 그의 염, 지용성 글리시리자(glycyrrhiza) 추출물, 젠티아나(gentian) 추출물, 페놀 유도체 및 그의 염, 태반 추출물, 코지산 및 그의 유도체, 글루코사민 및 그의 유도체, 아젤라산(azelaic acid) 및 그의 유도체, 레티놀 및 그의 유도체, 피리독신 및 그의 유도체, 토코페롤 및 그의 유도체, 키토산 및 그의 분해 산물, 카페인산 유도체, 하이드록시신나메이트 및 그의 유도체, 움벨리페래(Umbelliferae) 식물 추출물, 균사 배양물 및 그들의 추출물, 식물 잎 및 그들의 추출물과 같은 보조제와 조합한다.

Description

4-하이드록시페닐-알파-D-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과용 국소제 {TOPICAL AGENT FOR DERMATOLOGICAL USE CONTAINING 4-HYDROXYPHENYL-ALPHA-D-GLUCOPYRANOSIDE}
피부를 미백하거나 피부 검어짐을 예방하고, 자외선에 대한 과도한 노출로 인해 초래되는 간반점 및 주근깨와 같은 피부 트러블을 예방 또는 완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멜라닌 형성 방지제들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제제에는 1,4-디하이드록시벤젠, β-알부틴, 비타민 C 및 그의 유도체, 그리고 코지산(kojic acid)이 포함된다.
그러나 비타민 C, 1,4-디하이드록시벤젠 및 코지산은 열 및 수중 산화에 대해 극히 불안정하다. 그러므로, 피부과용 국소제에 첨가되는 경우 이들 화합물은 시간 경과에 따라 분해되어 착색을 초래한다. 1,4-디하이드록시벤젠의 하이드록시기 중 하나에 글루코스를 β-결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포스페이트-아스코르빌 마그네슘 및 β-알부틴과 같은 이들의 유도체는 열 및 산화에 대해서는 그들의 모체 화합물보다 안정적이지만, 필연적으로 효능의 측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발명들이 이루어지고 특허로 출원되어 왔으며, 예를 들면 β-알부틴 외에도 UV 흡수제, 소염제 및 태반 추출물과 같은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물질을 함유함으로써 상승 효과가 얻어질 수 있는 화장품(예를 들면, Toku-kai-hei 5-186324 특허 공보), 그리고 펜테틴-S-술폰산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며 시간 경과에 따른 분해 및 착색을 예방하는 피부과용 국소제(Toku-kai-hei 5-58926 특허 공보)와 같은 것들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들은 피부 접촉 시 경험하게 되는 불쾌감 및 안전성과 관련된 문제로 인해 임상적으로 유의한 상승 효과를 얻기에 충분한 양으로는 화장품에 첨가될 수 없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과용 국소제에 사용하는 경우 안정되고, 종래의 화합물들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물질들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물질로서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발견하고, 특허(Tokugan 2000-43366)를 출원하였다. 그러나, 임상적으로 유의한 미백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효능을 추가 개선해야만 했다.
본 특허는 α-결합을 통해 당을 1,4-디하이드록시-벤젠의 페놀기로 전달하는 효소로서 아밀라제 X-23에 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피부 미백 효과 또는 피부 검어짐 예방 효과를 나타내며, 간반점(liver spot), 주근깨 등을 예방 또는 완화하며, 안전성 및 안정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한 제형 특성을 나타내는 피부과용 국소제(topical agent)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부 미백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져왔으나, 만족스러운 것은 전혀 없었다. 본 발명은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현저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사용하며, 종래의 제품들보다 효과적인 피부과용 국소제를 생성하는 효과를 향상 또는 강화하는 기타 물질들을 첨가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 및 특정 성분(이하에서는 때로 "보조 성분"이라고도 칭함)을 조합하면,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종래의 제품들보다 월등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의 효과가 현저히 향상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 및 하기 성분들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과용 국소제에 관한 것이다: 아스코르브산 및 그의 유도체, 생약(crude drug) 및 그들의 추출물,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 및 그의 염, 지용성 글리시리자(glycyrrhiza) 추출물, 젠티아나(gentian) 추출물, 페놀 유도체 및 그의 염, 태반 추출물, 코지산 및 그의 유도체, 글루코사민 및 그의 유도체, 아젤라산(azelaic acid) 및 그의 유도체, 레티놀 및 그의 유도체, 피리독신 및 그의 유도체, 토코페롤 및 그의 유도체, 비타민 E-니코티네이트, 디이소프로필-아민-디클로로아세테이트, 키토산 및 그의 분해 산물, 카페인산 유도체, 하이드록시신나메이트 및 그의 유도체, 움벨리페래(Umbelliferae) 식물 추출물, 균사 배양물 및 그들의 추출물, 식물 잎 및 그들의 추출물, 식물 껍질 및 그의 추출물, 하이노키티올, 인삼 추출물, 황, 조당 추출물, 당밀 추출물, 무코다당류, 테프레논, 노르디하이드로구아이아레트산, UV 흡수제, γ-피론 글리코사이드, 하이드록시살리실산 글리코사이드, 하이드록시살리실산 지방 에스테르 글리코사이드, 바이페닐 화합물, 세라마이드, 세라마이드-유사 구조를 갖는 물질, 일반식 R31-O-(X-O)n-R32로 나타낼 수 있는 에테르 화합물(상기 식에서 R31 및 R32는 1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직쇄, 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기이고, X는 1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기이고, n은 0 또는 1이고, R31, R32 및 X 내의 합성 탄소 원자의 개수는 10개 내지 32개임), 판토텐산 및 그의 유도체, 소듐 하이드로겐 술파이트, 소염제, 알란토인 및 그의 유도체, 아미노산 및 그의 유도체, 아미노 에틸 화합물, 알킬렌 디아민 카르복시산 유도체, 베타인 유도체, 아실 메틸 타우린, 피브로넥틴, 티로시나제 저해제, 헤데라코사이드 및 그의 염, 짐네마 사포닌, 비트 사포닌 및 그의 염, 엘라그산-관련 화합물 및 그들의 알칼리 금속 염, 그리고 레소르시놀 유도체. 본 발명은 또한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가 α-아밀라제를 이용해 얻어지고, 상기 α-아밀라제가 아밀라제 X-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과용 국소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하의 보조제들은 이들 중 적어도 하나가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와 함께 피부과용 국소제에 점가되는 경우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의 미백 효과 또는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보조제의 예는 이하에서 제시한다.
일반적으로 비타민 C라 불리는 다양한 유형의 아스코르브산, L-아스코르브산은 그들의 강력한 환원 효과로 인해 세포 재생, 효소 활성 및 콜라겐 형성을 촉진하고, 멜라닌을 감소시킨다.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로는 아스코르베이트 모노알킬에스테르(예를 들면, 아스코르베이트 모노스테아레이트, 아스코르베이트 모노팔미테이트 및 아스코르베이트 모노올레에이트), 아스코르베이트 모노에스테르 유도체(예를 들면, 아스코르베이트 모노포스페이트 에스테르 및 아스코르베이트-2-술페이트), 아스코르베이트 디에스테르 유도체(예를 들면, 아스코르베이트 디스테아레이트, 아스코르베이트 디팔미테이트, 아스코르베이트 디올레에이트 및 아스코르베이트 디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아스코르베이트 트리알킬 에스테르(예를 들면, 아스코르베이트 트리스테아레이트, 아스코르베이트 트리팔미테이트 및 아스코르베이트 트리올레에이트), 그리고 아스코르베이트 트리에스테르 유도체(예를 들면, 아스코르베이트 트리포스페이트 에스테르)가 포함된다.
효능은 이들 성분이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 0.01 w/w% 이상의 농도로 첨가되는 경우에 나타난다. 이들 성분에 대한 함량의 상한은 약 10%이다.
유용한 생약(crude drug)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으며, 그들의 추출물도 사용될 수 있다: 오디 껍질, 작약 뿌리, 스쿠텔라리아(scutellaria) 뿌리, 카모밀라, 일본 안젤리카 뿌리, 로즈마리, 제라늄 허브, 리소스퍼멈(lithospermum) 뿌리, 찻잎, 퓨에라리아 뿌리, 정향나무(clove), 글리시리자, 바이와, 비터 오렌지 껍질, 인삼, 산자시(sanzasi), 오피오포곤 괴경, 생강, 솔방울, 목련 껍질, 갬비어(gambir), 알로에, 마시맬로, 톱니꼬리조팝 나무, 물냉이, 기나피(cinchona), 나래지치(comfrey), 스코폴리아 뿌리줄기(scopolia rhizome), 스웨티아(swertia) 허브 및 서양가시새풀(yarrow)(Achillea millefoliumLinne)(Compositae). 본 발명에서, 생약 및 그들의 추출물은 상술한 생약의 식물 전체, 뿌리, 잎, 꽃, 종자 등을 분쇄(및 필요에 따라 건조)함으로써 얻어지는 미세 분말, 이러한 물질들을 물 및/또는 유기 용매에 침지하고 잔류물을 여과함으로써 얻어지는 추출물, 이들 추출물로부터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얻어지는 유체, 그리고 적합한 용매 또는 용해제로 용해, 분산 또는 희석된 용매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는 이들의 추출물 또는 분말 산물이 포함된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 물질의 함량은 0.001-20 w/w%, 바람직하게는 0.01-10 w/w%이어야 한다.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에는 글리콜산, 락트산, 말레산, 타우르산, 시트르산, 살리실산, 메발론산, 그리고 락톤 메발로네이트가 포함된다. 이들의 염에는 Na, K 및 Mg와 같은 금속염, 그리고 트리에탄올아미 및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과 같은 유기염도 포함된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 성분의 함량은 0.0001-5 w/w%, 바람직하게는 0.001-3 w/w%이어야 한다.
지용성 글리시리자 추출물은 다년생 콩과식물인 글리시리자 (Glycyrrhizaglabra linne)를 메틸 알콜 및 에틸 알콜과 같은 저급의 1가 알콜, 그리고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및 1,3-부틸렌 글리콜과 같은 유동성의 다가 알콜로 추출함으로써 얻어진다.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저온 또는 실온, 혹은 가열하면서 각종 적합한 용매를 이용해 추출하는 어떠한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추출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하면서 2-10시간 동안 에틸 알콜로 추출하고; 여과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2일 내지 3일 동안 방치해 숙성시키고; 다시 여과한다. 얻어진 추출물은 가열 추출 후, 필요에 따라 응축 및 건조시킬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지용성 글리시리자 추출물은 독특한 냄새를 갖는 갈색 성분이다. 이들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나, 그들의 효능이 손상되지 않는 한, 탈취 또는 탈색시켜 이들을 정제할 수도 있다. 정제는 예를 들면 활성 탄소 칼럼을 이용해 수행할 수 있다. 정제에는 추출물에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어떠한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의 함량은 사용되는 추출물의 품질 및 기타 인자들에 따라 0.0001 내지 5% w/w%,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3% w/w% 사이에서 가변적일 수 있다.
젠티아나 추출물은 Gentianaceae과에 속하는 식물인 젠티아나(Gentiana litea linne (Gentianaceae))의 뿌리 및 뿌리줄기를 메틸 알콜 및 에틸 알콜과 같은 저급의 1가 알콜, 그리고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및 1,3-부틸렌 글리콜과 같은 유동성의 다가 알콜을 이용해 추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저온 또는 실온에서 혹은 가열하면서 각종 적합한 용매를 이용해 추출하는 어떠한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추출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하면서 50%의 1.3-부틸렌 글리콜로 2-10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2일 내지 3일 동안 방치해 숙성시키고; 다시 여과한다. 얻어진 추출물은 가열 추출 후, 필요에 따라 응축 및 건조시킬 수 있다.
이들의 함량은 사용되는 추출물의 품질 및 기타 인자들에 따라 0.0001 내지 5% w/w%,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3% w/w% 사이에서 가변적일 수 있다.
페놀 유도체 및 그의 염으로는 4-에톡시페놀, 4-n-프로폭시페놀, 4-n-부톡시페놀, 4-n-헥사데실옥시페놀, 4-n-옥타데실옥시페놀, 4-에틸페놀, 4-n-프로필페놀, 4-n-부틸-페놀, 4-t-부틸페놀, 4-이소프로필페놀, 4-헥사데실페놀, 4-옥타데실페놀, 4-이소프로필카테콜모노쿠틸에스테르, 및 4-이소프로필카테콜모노헵타데카에스테르가 포함된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1 내지 20 w/w%, 바람직하게는 0. 1 내지 10 w/w% 사이에서 가변적일 수 있다.
태반 추출물에는 인간, 원숭이, 소, 돼지, 양, 마우스 및 기타 동물 유래의 태반을 물 및/또는 유기 용매에 침지하고, 잔류물을 추출함으로써 얻어지는 추출물, 이들 추출물로부터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얻어지는 유체, 그리고 용해, 분산 또는 희석된 용매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는 상술된 이들 태반의 추출물 또는 분말이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태반은 수용성 또는 지용성 태반 추출물로서 시판되는 것을 입수할 수 있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01 내지 5 w/w% , 바람직하게는 0. 1 내지 3 w/w%이어야 한다.
코지산 및 그의 유도체에는 모노에스테르, 예를 들면 코지산, 코지산 글리코사이드, 코지산 모노부티레이트, 코지산 모노카프레이트, 코지산 모노팔미테이트, 코지산 모노스테아레이트, 코지산 모노신나메이트 및 코지산 모노벤조에이트, 그리고 디에스테르, 예를 들면 코지산 디부티레이트, 코지산 디팔미테이트, 코지산 디스테아레이트 및 코지산 디올레에이트가 포함된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01-30 w/w%, 바람직하게는 0.01-10 w/w%,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5 w/w%이어야 한다.
글루코사민 및 그의 유도체에는 글루코사민, 글루코사민-6-포스페이트 및 글루코사민-6-술페이트가 포함된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01-5 w/w%, 바람직하게는 0.1-3 w/w%이어야 한다.
아제라산 및 그의 유도체에는 아젤라인 및 아젤라산이 포함된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01-5 w/w%, 바람직하게는 0.1-3 w/w%이어야 한다.
레티놀은 일반적으로 비타민 A1이라 불리며, 피부 및 점막의 정상 기능을 유지하는 데 효과적이다. 그의 유도체로는 레티날 및 레티노산이 포함된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01-5 w/w%, 바람직하게는 0.1-3 w/w%이어야 한다.
피리독신은 비타민 B6의 효과를 갖는 성분이며, 그의 유도체로는 피리독살, 피리독사민, 피리독신-5'-포스페이트, 피리독살-5'-포스페이트, 피리독사민-5'-포스페이트, 피리독살 포스페이트 및 피리독신산이 포함된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01-5 w/w%, 바람직하게는 0.1-3 w/w%이어야 한다.
비타민 E 유도체의 한 그룹인 토코페롤은 과각화증(hyperkeratosis) 및 기타 질환의 예방 및 치료, 그리고 피부 노화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다. 이러한 그룹에는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및 β-토코페롤이 포함된다. 이들 유도체도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01-5 w/w%, 바람직하게는 0.1-3 w/w%이어야 한다.
알파-토코페롤 유도체에는 비타민 A 산 에스테르인 α-토코페릴 레티노에이트가 포함된다. 여기서 α-토코페롤은 DL-α-토코페롤, D-α-토코페롤 또는 D-α-토코페롤을 함유하는 혼합된 천연 토코페롤을 의미한다. 비타민 A 산 에스테르는 레티노산(모든-트랜스-레티노산), 13-시스-레티노산, 11-시스-레티노산, 9-시스-레티노산 또는 이들의 혼합된 이성체들을 의미한다. DL-α-토코페롤 및 모든-트랜스-레티노산의 에스테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비타민 E-니코티네이트 및 디이소프로필아민 디클로로아세테이트는 혈액 순환을 개선하고, 세포를 활성화하며, 자외선으로 인한 멜라닌 형성을 억제하며, 멜라닌 배출을 촉진하고, 상피 건조를 방지하며, 피부 대사를 촉진하고,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노화를 예방한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비타민 E-니코티네이트 또는 디이소프로필아민 디클로로아세테이트의 함량은 0.01-5 w/w%이어야 한다.
키토산은 키틴의 탈아세틸화의 결과로 생성되며, β-1,4-폴리글루코사민 구조를 갖는다. 키토산의 분해 산물은 키토시나제와 같은 효소로 키토산을 처리한 결과로서 얻어지며, 글루코사민 및 이들의 올리고머를 함유한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01-5 w/w%, 바람직하게는 0.1-3w/w%이어야 한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카페인산 유도체의 함량은 0.001-5 w/w%, 바람직하게는 0.1-3 w/w%이어야 한다.
하이드록시신나메이트 및 그의 유도체로는 하이드록시신남산(p-쿠마린산 및 p-쿠마르산) 및 코페이산이 포함된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01-5 w/w%, 바람직하게는 0.1-3 w/w%이어야 한다.
움벨리페래 식물 추출물에는 움벨리페래 식물(예를 들면, 레데부리엘라, 글레니아 뿌리, 노토-프테리쥼 인시슘 팅(Noto-pterygium incisium Ting), 크니듐 뿌리줄기, 안젤리카 다후리카 뿌리, 리구스티컴 시넨스 올리브(Ligusticum sinense Oliv.), 도카투, 젠코 및 부플레룸)의 식물 전체, 뿌리, 잎, 꽃, 종자 등을 물 및/또는 유기 용매에 침지하고 잔류물을 여과함으로써 얻어지는 추출물, 이들 추출물로부터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얻어지는 유체, 그리고 적합한 용매 또는 용해제로 용해, 분산 또는 희석된 용매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는 이들의 추출물 또는 분말 산물이 포함된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01-5 w/w%, 바람직하게는 0.1-3 w/w%이어야 한다.
균사 배양물은 적합한 배지에서 배양된 버섯 및reisi의 균사를 의미하는 것으로, 액체 배지의 경우에는 배양액 자체, 그리고 고체 배지의 경우에는 필요한 경우는 건조 후 분쇄된 균사가 포함된다. 균사 배양물의 추출물에는 상술된 균사 배양물을 물 및/또는 유기 용매에 침지하고 잔류물을 여과함으로써 얻어지는 추출물, 이들 추출물로부터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얻어지는 유체, 그리고 적합한 용매 또는 용해제로 용해, 분산 또는 희석된 용매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는 이들의 추출물 또는 분말 산물이 포함된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01-5 w/w%, 바람직하게는 0.1-3 w/w%이어야 한다.
식물의 잎에는 일본 피어리스, 아마시바(일본 명칭) 및 짐네마와 같은 식물 유래의 잎이 포함된다. 이러한 잎들은 필요에 따라 건조 후 분쇄한다. 식물 잎의 추출물에는 이러한 잎 및 그들의 분말을 물 및/또는 유기 용매에 침지하고 잔류물을 여과함으로써 얻어지는 추출물, 이들 추출물로부터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얻어지는 유체, 그리고 적합한 용매 또는 용해제로 용해, 분산 또는 희석된 용매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는 이들의 추출물 또는 분말 산물이 포함된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01-20 w/w%, 바람직하게는 0.1-3 w/w%이어야 한다.
식물의 껍질에는 사과나무, 벚나무, 복숭아나무 및 배나무와 같은 과수 유래의 나무 껍질이 포함된다. 나무 껍질은 필요에 따라 건조 후 분쇄한다. 나무 껍질의 추출물에는 이러한 나무 껍질 및 그들의 분말을 물 및/또는 유기 용매에 침지하고 잔류물을 여과함으로써 얻어지는 추출물, 이들 추출물로부터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얻어지는 유체, 그리고 적합한 용매 또는 용해제로 용해, 분산 또는 희석된 용매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는 이들의 추출물 또는 분말 산물이 포함된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01-5 w/w%, 바람직하게는 0.1-3 w/w%이어야 한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하이노키티올의 함량은 0.001-5 w/w%, 바람직하게는 0.1-3 w/w%이어야 한다.
인삼 추출물에는 인삼 또는 그의 분말을 물 및/또는 유기 용매에 침지하고 잔류물을 여과함으로써 얻어지는 추출물, 이들 추출물로부터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얻어지는 유체, 그리고 적합한 용매 또는 용해제로 용해, 분산 또는 희석된 용매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는 이들의 추출물 또는 분말 산물이 포함된다. 이러한 추출물은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01-5 w/w%, 바람직하게는 0.1-3 w/w%이어야 한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황의 함량은 0.001-5 w/w%, 바람직하게는 0.1-3 w/w%이어야 한다.
조당 추출물은 갈색 안료 성분이다. 건조 분말은 흡습성이고, 다소 강렬한 냄새와 다소 쓴맛이 있다. 이들의 제조 방법은 Toku-Kai-Sho No. 60-78912 특허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당(흑설탕) 또는 당밀(흑설탕으로부터 백설탕을 제조할 때 얻어지는 부산물)을 적당량의 물에 용해시키고, 안료 성분을 비극성 폴리스티렌 수지 흡수제와 같은 흡수제와 이들을 접촉시켜 흡수시킨다. 흡수제를 물로 세척해 당을 완전히 제거한다. 흡수제에 흡수된 안료 성분을 20% 이상의 농도의 함수 알콜로 용리시킨다. 응축 또는 동결 건조시킨 후, 필요에 따라재결정화를 통해 안료 성분을 정제한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1-10 w/w%, 바람직하게는 0.1-5 w/w%이어야 한다.
당밀 추출물의 주성분은 올리고당으로서, 메탄올 및 에탄올과 같은 차갑거나 따뜻한 저급 알콜에 당밀을 침시시키고 여과한 뒤, 얻어진 유체를 응축 및 탈색하여 얻을 수 있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1-10 w/w%, 바람직하게는 0.1-5 w/w%이어야 한다.
무코다당류는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지며, 하이알루론산, 콘드로이친-4-술페이트, 콘드로이친-6-술페이트, 더마탄 술페이트, 헤파린 및 이들의 염을 포함한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01-10 w/w%, 바람직하게는 0.01-5 w/w%이어야 한다.
화학명으로는 제라닐 제라닐 아세톤이라 칭하는 테프레논은 점막을 보호하고, 이들의 재생을 촉진하며, 세포 성장을 촉진하고, 인지질의 합성을 촉진한다. 테프레논 또한 간반점, 주근깨를 초래하는 멜라닌의 생합성과 관련된 효소인 티로시나제를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Toku-Kai-Hei No. 6-16532 특허 공보).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1-20 w/w%, 바람직하게는 0.5-10 w/w%,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 w/w%이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항산화제 및 리폭시게나제 저해제로서 알려진 노르디하이드로구아이아레트산은 산화를 방지하고 제형을 안정화하기 위하여 화장품 및 약품에 첨가된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01-10 w/w%, 바람직하게는 0.1-5 w/w%이어야 한다.
피부과용 국소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UV 흡수제가 본 발명의 UV 흡착제로서 사용된다. 대표적인 UV 흡착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벤조에이트 UV 흡수제: 파라아미노벤조산(PABA), PABA 모노글리세린 에스테르, N,N-비스-(3-하이드록시프로필) PABA 에틸 에스테르,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 PABA 에틸 에스테르, N,N-디메틸 PABA 에틸 에스테르, N,N-디메틸 PABA 부틸에스테르, N,N-디메틸 PABA 아밀에스테르, 및 N,N-디메틸 PABA 옥틸 에스테르.
2) 안트라닐레이트 UV 흡수제: 호모멘틸-N-아세틸안트라닐레이트.
3) 살리실레이트 UV 흡수제: 아밀살리실레이트, 메틸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살리실레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페닐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및 4-이소프로필페닐살리실레이트.
4) 신나메이트 UV 흡수제: 옥틸신나메이트, 에틸-4-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5-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프로필-4-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4-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4-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4-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4-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4-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틸헥실-4-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톡시에틸-4-메톡시신나메이트, 사이클로헥실-4-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2-에틸헥실-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및 글리세릴 모노-2-에틸헥사노일-비스-(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5) 벤조페논 UV 흡수제: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 4'-메틸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포네이트, 4-페닐벤조페논, 2-에틸헥실-4'-페닐벤조페논-2-카르복실레이트, 2-하이드록시-4-n-옥톡실벤조페논, 및 4-하이드록시-3-카르복시벤조페논.
6) 기타 UV 흡수제: 3-(4'-메틸벤질리덴)-d,l-캄포르, 3-벤질리덴-d,l-캄포르, 우르칸산, 에틸 우르코네이트, 2-페닐-5-메틸벤즈옥사졸, 2-(2'-하이드록시-5'-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디벤잘라진, 디안이소일메탄, 4-메톡시-4'-t-부틸디벤조일메탄, 5-(3,3-디메틸-2-노르보르닐리덴)-3-펜탄-2-온.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1-10 w/w%, 바람직하게는 0.5-8 w/w%이어야 한다. 이들의 함량이 너무 작으면, 햇볕에 타는 것을 예방할 수 없으며,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의 미백 효과가 감소된다. 이들의 함량이 너무 높으면, 피부과용 국소제의 안정성이 악영향을 받는다.
γ-피론 글리코사이드는 햇볕에 타는 것에 의한 간반점 및 주근깨를 예방한다. 이것은 하기 일반식 I로 나타내질 수 있는 말톨-3-O-(6'-O-아피오실)-글루코사이드 또는 말톨-3-O-글루코사이드이다. 예를 들면, 이들은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HPLC, TLC, 등을 통해 푸에라리아 뿌리 추출물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0001-2.5 w/w%, 바람직하게는 0.0001-1 w/w%이어야 한다.
화학식 1
[일반식 1]
상기 식에서, R은 수소 원자 또는 하기의 기이다:
하이드록시살리실산 글리코사이드 및 하이드록시살리실산 지방 에스테르 글리코사이드는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와의 상승 작용을 통해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내며, 일반식 2, 3 및 4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글리코사이드는 산성 촉매의 존재 하에 하이드록시살리실산 또는 하이드록시살리실산 지방 에스테르를 펜타아세틸글루코스와 같은 아세틸화된 당(또는 아세토브로모글루코스와 같은 아세토-브롬화된 당)과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01-20 w/w%, 바람직하게는 0.1-7 w/w%이어야 한다.
화학식 2
[일반식 2]
[일반식 3]
[일반식 4]
상기 일반식 2 내지 4에서, R1은 수소 원자이거나, 1개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기이고, R2는 당 잔기이다.
상술한 글리코사이드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3-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 살리실산, 3-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 메틸 살리실레이트, 3-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 에틸 살리실레이트, 3-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 프로필 살리실레이트, 3-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 이소프로필 살리실레이트, 4-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 살리실산, 4-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 메틸 살리실레이트, 4-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 에틸 살리실레이트, 4-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 프로필 살리실레이트, 4-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 이소프로필 살리실레이트, 5-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 살리실산, 5-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 메틸 살리실레이트, 5-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 에틸 살리실레이트, 5-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 프로필 살리실레이트, 5-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 이소프로필 살리실레이트, 6-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 살리실산, 6-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 메틸 살리실레이트, 6-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 에틸 살리실레이트, 6-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 프로필 살리실레이트, 6-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 이소프로필 살리실레이트, 2-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3-하이드록시벤조산, 2-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3-메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2-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3-에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2-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3-프로필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2-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3-이소프로필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2-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4-하이드록시벤조산, 2-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 -4-메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2-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4-에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2-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4-프로필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2-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4-이소프로필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2-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5-하이드록시벤조산, 2-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5-메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2-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5-에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2-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5-프로필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그리고 2-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5-이소프로필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바이페닐 화합물은 티로시나제 활성 및 멜라닌 형성을 억제하고, 일반식 5 및 6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이페닐 화합물로는 디하이드로크레솔, 디하이드로디유제놀 및 테트라하이드로마그놀롤이 포함된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001-20 w/w%, 바람직하게는 0.001-5 w/w%이어야 한다.
화학식 3
[일반식 5]
[일반식 6]
일반식 5 및 6에서, R3은 CH3, C2H5, C3H7, CH2OH, C3H6OH 및 CH2CH=CH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R4는 수소 원자, 또는 1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기이다.
세라마이드 및 세라마이드-유사 구조를 갖는 물질들은 피부에 대한 보습, 연화 및 미백 작용을 가지며, 염증을 완화시키고, 산화에 대해 중화작용을 나타내며 혈액 순환을 촉진한다. 세라마이드는 일반식 7로 나타낼 수 있으며, 세라마이드-유사 구조를 갖는 물질들은 일반식 8, 9, 10, 11 및 12로 나타낼 수 있다.
세라마이드 및 세라마이드-유사 구조를 갖는 물질들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하나 이상의 세라마이드 및/또는 세라마이드-유사 구조를 갖는 물질의 조합물).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1-50 w/w%, 바람직하게는 0.01-20 w/w%, 더욱 바람직하게는 0.1-10 w/w%이어야 한다. 이들 성분은 피부 접촉 시 양호한 안정성 및 감촉을 가지고 거친 피부를 방지 및 완화시키며. 보습 효과를 나타낸다.
화학식 4
[일반식 7]
[일반식 8]
[일반식 9]
[일반식 10]
[일반식 11]
[일반식 12]
일반식 7에서, R5 및 R6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으로, 8개 내지 2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하이드록시기-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형의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탄화수소기이다.
일반식 8에서, R7은 10개 내지 2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분지형의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탄화수소기이고; R8은 9개 내지 25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분지형의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탄화수소기이고; Y 및 Z는 수소 원자 또는 하이드록시기이고; a는 0 또는 1이고; c는 0 내지 4의 정수이고; 및 b 및 d는 0 내지 3의 정수이다.
일반식 9에서, R9 및 R10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으로 1개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분지형의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하이드록시화되거나 하이드록시화되지 않은 탄화수소기이고; R11은 1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분지형의 알킬렌기이거나, 단일 결합이고; R12는 수소 원자이거나, 1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분지형의 알콕시기 또는 2,3-디하이드록시프로필옥시기이다. R11이 단일 결합인 경우, R12는 수소 원자이다.
일반식 10에서, R9a는 4개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하이드록시화되거나 하이드록시화되지 않은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R11a는 3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분지형의 알킬렌기이고; R12a는 1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콕시기이다.
일반식 11에서, R9, R10, R10a 및 R12a는 상기에서와 동일하다.
일반식 12에서, R9, R10 및 R11은 상기에서와 동일하고; R12b는 수소 원자이거나. 1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콕시기 또는 2,3-디하이드록시프로필옥시기이다. R11이 단일 결합인 경우, R12b는 수소 원자이다.
일반식 R21-O-(X-O)n-R22로 나타내지는 에테르 화합물은 피부 자극 없이 피부를 통한 본 발명에 따르는 피부과용 국소제의 흡수를 증가시킨다.
상기 일반식에서, R21 및 R2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것으로, 1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 더욱 바람직하게는 3개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기이다. R21 및/또는 R22는 2개 이상의 자리, 바람직하게는 2개의 자리에서 분지된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기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포함된다: 메틸기, 부틸기, n-부틸기, n-데실기, n-도데실기, n-테트라데실기, n-옥타데실기, n-에이코실기, n-테트라코실기, 1-메틸프로필기, 3-메틸헥실기, 2-메틸헵타데실기, 1,3-디메틸부틸기, 1,3-디메틸펜틸, 및 사이클로펜틸기.
X는 1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기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부틸렌기 등이다.
R21 및 R22 내의 탄소 원자의 개수의 합은 10 내지 32,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8이어야 한다.
n은 0 또는 1, 바람직하게는 0이다.
이러한 에테르 화합물은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해당 알콜 및 알킬 할라이드의 직접적인 에테르화, 루이스의 산 촉매의 존재 하에서 해당 알콜 및 올레핀의 부가에 의해 얻어지거나 알칼리 촉매의 존재 하에서 해당 알콜 및 알킬 할라이드의 부가에 의해 얻어지는 아릴 에테르의 환원, 그리고 해당 알콜 및 알데하이드 또는케톤으로부터 생성되는 아세탈 또는 케탈의 환원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1-50 w/w%, 바람직하게는 0.01-20 w/w%, 더욱 바람직하게는 0.1-10 w/w%이어야 한다.
판토텐산은 비타민 B이다. 이러한 판토텐산은 피부 미백효과를 나타낼 뿐 아니라, 피부과용 국소제 내의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이들의 유도체에는 펜테틴-S-술폰산, 4'-포스포판토텐산-S-술폰산, 펜테틴, 그리고 글루코피라노실 판토테네이트가 포함된다. 이들 화합물은 유리산뿐 아니라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염으로는 알칼리 금속의 염 및 알칼리 토금속의 염을 제외한, 광범위한 유기산 및 무기산의 염이 포함되며, 예를 들면 칼슘 d-판토테인-s-술포네이트가 바람직하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01-5 w/w%, 바람직하게는 0.1-3 w/w%이어야 한다. 이들의 함량은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와 판토텐산 및/또는 그의 유도체의 중량비가 1:0.1, 바람직하게는 1:0.1 내지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5 이상이 되도록 조절해야 한다.
소듐 하이드로겐 술파이트는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β-알부틴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특허 제2107858호). 소듐 하이드로겐 술파이트는 또한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의 안정성도 증가시킨다.
이들의 함량은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소듐 하이드로겐 술파이트의 중량비가 1:0.0001 내지 1, 바람직하게는 1:0.001 내지 0.1이 되도록조절되어야 한다.
소염제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일부 보조제들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염증 및 기타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피부에 적용 가능한 어떠한 소염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옥시벤존, 트라넥삼산 및 그의 유도체, ε-아미노카프로산, 글리시리지산, 아줄렌, 감광제 No. 301, 감광제 N0. 401, 디펜하이드라민 HCl, 아데노신 포스페이트, 칼라민, 리소스퍼멈 뿌리 추출물, 쑥 추출물, 사르귀소르바 추출물, 아미노카프로산 및 비스아볼롤과 같은 것들이 있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1-2 w/w%, 바람직하게는 0.1-2 w/w%이어야 한다.
알란토인은 다양한 피부과적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며, 피부 상처의 치료 및 거친 피부의 예방에 효과적이다. 그의 유도체로는 디하이드록시 알루미늄 알란토이네이트 및 클로로하이드록시 알루미늄 알란토이네이트가 포함된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1-5 w/w%, 바람직하게는 0.1-3 w/w%이어야 한다.
아미노산은 노화되거나 경질화된 상피를 재수화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천연 아미노산(예를 들면, 글리신, 세린, 시스틴, 알라닌, 트레오닌, 시스테인, 발린, 페닐알라닌, 메티오닌, 류신, 티로신, 프롤린, 이소류신 및 하이드록시-프롤린), 산성 아미노산(예를 들면,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및 글루탐산), 그리고 염기성 아미노산(아르기닌, 히스티딘 및 리신)이 사용될 수 있다. 아미노산 유도체로는 아실사코시네이트 및 그의 염, 아실글루탐산 및 그의염, 아실-β-알라닌 및 그의 염, 글루타티온, 그리고 피롤리돈 카르복시산 및 그의 염뿐 아니라, 올리코펩타이드, 예를 들면 글루타신, 카르노신, 크라미시딘 S, 티로시딘 A 및 티로시딘 B, γ-아미노부티르산 및 γ-아미노-β-하이드록시부티르산 및 그의 염이 포함된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1-20 w/w%, 바람직하게는 0.05-10 w/w%이어야 한다. 이들의 함량이 너무 작으며, 피부 보습 효과가 불충분할 수 있다. 이들의 함량이 너무 높으면, 이들의 유용한 효과를 증대시키지 않고는 아미노산의 변성을 예방하기가 어려워진다.
일반식 NH2CH2CH2X(상기 식에서 X는 -SO2H 또는 -SO2SH임)로 나타내지는 아미노 에틸 화합물은 거친 피부를 예방 및 완화하고, 약화(subduedness)를 완화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001-1.0 w/w%, 바람직하게는 0.001-0.3 w/w%이어야 한다.
알킬렌 디아민 카르복시산 유도체는 피부과용 국소제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 및 그의 알칼리 금속 염(예를 들면, Na, K 및 Li 염), 알칼리 토금속 염(예를 들면, Ca 및 Mg), 암모늄염, 그리고 알칸올 염이 바람직하나, Na염이 가장 바람직하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1-0.5 w/w%, 바람직하게는 0.05-0.5 w/w%이어야 한다.
베타인 유도체는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의 흡착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며, 일반식 13으로 나타내지는 알킬 디메틸 아미노산, 일반식 14로 나타내지는 2-알킬-1-카르복시-메틸-1-하이드록시에틸-2-이미다졸린, 일반식 15로 나타내지는 N-(3-아실아미노프로필)-N,N-디메틸아미노 아세테이트, 그리고 일반식 16으로 나타내지는 N-알킬-N,N-디메틸-3-아미노-2-하이드록시프로판이 바람직하다.
아실 메틸 타우린도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의 흡착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며, 일반식 17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5
[일반식 13]
[일반식 14]
[일반식 15]
[일반식 16]
[일반식 17]
일반식 13, 14, 15, 16 및 17에서, R13 및 R16은 8개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분지형의 알킬기이고; R14, R15 및 R17은 7개 내지 23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분지형의 알킬기이고; M은 1가 또는 2가 금속, 암모늄, 알칸올 아민 또는 수소 원자이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베타인 유도체 및 아실 메틸 타우린의 합산 함량은0.01-30 w/w%, 바람직하게는 0.1-20 w/w%이어야 한다.
피브로넥틴(차가운 불용성 글로불린)은 본 발명에 사용된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의 미백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적합한 함량은 0.000001-0.1 w/w%이다.
티로시나제 저해제는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에 의한 티로시나제 활성의 억제를 향상시키거나,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와의 상승 작용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해 발견된 피부과용 국소제에 대한 항-티로시나제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티로시나제 저해제를 얻기 위하여, 옥신 및 사이토키닌과 같은 식물 호르몬을 함유하는 식물 성장 조절제가 첨가된 배지에서Catharanthus roseus L.의 세포(뿌리, 배아축과 같은 세포 또는 조직 스트립, 어린 식물의 자엽, 성체 식물의 뿌리, 줄기, 잎꼭지, 꽃 및 화분)를 배양해 유합 조직(callus)을 유도하거나, 토양세균인 투메파시엔(tumefacien) 또는 토양세균인 라이조겐(rhizogene)을 이용해 종양 조직을 생성시켰다.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 함유 배지(예를 들면, Murashige-Skoog 배지, Linsmaier-Skoog 배지, White 배지, Gamborg 배지, Nitsch 배지, Heller 배지, Schenk-Hildebrandt 배지, Nitzsch-Nitzsch 배지 및 Kohlenbach-Schmidt 배지)를 이용해 유합 조직 또는 종양 조직을 배양하고, 얻어진 배양물을 균질화하였다. 얻어진 균질화물로부터 유래된 투명한 유체는 티로시나제 저해제로서, 그 상태로 직접 사용하거나, 건조 후 사용한다.
이들의 함량은 적합한 항-티로시나제 활성이 얻어지도록 조절되어야 한다.
헤데라코사이드는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와의 상승 작용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해 발견된 피부과용 국소제의 미백 효과를 향상시킨다. 헤데라코사이드는Sapindus mukurossi Gaertn.또는Akebia quinata Decne.의 추출물로부터 얻어지는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이다. 이들의 염에는 Na 및 K 염과 같은 알칼리 금속 염, 암모늄 염, 염기성 아미노산 염, 알칸올 아민 염 및 에스테르가 포함된다. 이들 추출물은 그 자체로 사용된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01-20 w/w%, 바람직하게는 0.1-5w/w%이어야 한다.
짐네마 사포닌은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와의 상승 작용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해 발견된 피부과용 국소제의 미백 효과를 향상시킨다. 짐네마 사포닌은 Gymnema inodrum 또는 Gymnema sylvestre R. Br의 추출물로부터 얻어지는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이다. 이들의 염에는 Na 및 K 염과 같은 알칼리 금속 염, 암모늄 염, 염기성 아미노산 염, 알칸올 아민 염 및 에스테르가 포함된다. 이들 추출물은 그 자체로 사용된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01-20 w/w%, 바람직하게는 0.1-5 w/w%이어야 한다.
비트 사포닌은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와의 상승 작용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해 발견된 피부과용 국소제의 미백 효과를 향상시킨다. 비트 사포닌은 비트 추출물로부터 얻어지는 올리아놀산 글리코사이드이다. 이들의 염에는 Na 및 K 염과 같은 알칼리 금속 염, 암모늄 염, 염기성 아미노산 염, 알칸올 아민 염 및 에스테르가 포함된다. 이들 추출물은 그 자체로 사용된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01-20 w/w%, 바람직하게는 0.1-5 w/w%이어야 한다.
엘라그산-관련 화합물은 본 발명에 의해 발견된 피부과용 국소제의 안정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며, 일반식 18로 나타낼 수 있다. 엘라그산-관련 화합물의 알칼리 금속 염에는 Na 및 K 염이 포함된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01-30 w/w%, 바람직하게는 0.05-10 w/w%이어야 한다.
화학식 6
[일반식 18]
일반식 18에서, R18, R19, R20 및 R21은 수소 원자이거나, 1개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기(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및 프로필기), 1개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아실기(예를 들면, 아세틸기 및 프로피오닐기), 일반식 -(CmH2m-O)nH로 나타내지는 폴리옥시 알킬렌기(상기 식에서 m은 2 또는 3이고, n은 1 이상의 정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4와 50 사이의 정수임)(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기 및 폴리옥시프로필렌기), 또는 일반식 19로 나타내지는 당 잔기이다. 상기 식에서 R18, R19, R20 및 R21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R22는 수소 원자이거나, 1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하이드록시기 또는 알콕옥시기이다.
화학식 7
[일반식 19]
엘라그산-관련 화합물 및 그의 알칼리 금속 염의 예로는 엘라그산, 3,4-디-O-메틸 엘라그산, 3,3'-디-O-메틸 엘라그산, 3,3',4-트리-O-메틸 엘라그산, 3,3',4,4'-테트라-O-메틸-5-메톡시 엘라그산, 3-O-에틸-4-O-메틸-5-하이드록시 엘라그산 및 암리토사이드, 그리고 이들의 알칼리 금속 염이 포함된다.
이러한 엘라그산-관련 화합물은 딸기,Caesalupinia spinosa, 유칼리나무, 사과,Coriaria japonica, 피너스 라디에이타, 애기월귤, 석류,Phyllanthus emblica L., Sapium sebiferum leaf, Rhus chinensis leaf, Acacia catechu L., Platycarya strobilacea leaf, Terminalia chebula,Camptotheca acuminata,Polygonum bistorta L., Lagerstroemia subcostata, Sapium discolor root, Sapium discolor leaf, bischofia javanica, Lythrum salicaria L.,Geranium pratense L., Euphorbia hirta L., Eucalyptus citriodora leaf, Euphorbia royleana, Psidium guajava fruit, Psidium guajava cortex,Mangifera indica L., gall,Syzygium cumini fruit, Syzygium cumini cortex, Phyllanthus emblica root,Phyllanthus emblica cortex, Phyllanthus emblica leaf, Agrimonia pilosa root, Psidium guajava leaf,Sapium sebiferum root cortex,SHIDOKON(Kanppo 명칭), CHINSYUSO(Kanppo 명칭) 및 제라늄 허브와 같은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레소르시놀 유도체는 혈액 순환 개선 효과 및 세포 활성화 효과를 나타낸다. 이들은 자외선으로 인한 멜라닌 형성을 억제하고, 멜라닌의 배출을 촉진한다. 이들은 또한 상피 건조를 방지하고, 피부 대사를 촉진하며,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노화를 방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레소르시놀 유도체에는 4-n-에틸레소르시놀, 4-n-부틸 레소르시놀, 4-n-헥실 레소르시놀, 및 4-이소아밀 레소르시놀이 포함된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이들의 함량은 0.0001-20 w/w%, 바람직하게는 0.01-10 w/w%이어야 한다.
달리 지적하지 않는 한, 상기에 기재된 모든 보조제는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와 함께 사용 시 본 발명의 피부과용 국소제의 미백 효과를 향상시킨다. 이들 보조제의 일부는 상기 국소제의 안정성 및/또는 안전성도 증가시킨다.
이들 보조제 중 어떠한 것도 지정된 함량 범위 내에서 4-하이드록시-페닐-α -D-글루코피라노사이드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국소제 내의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들은 장기간 동안 안정성을 유지하며,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이들의 함량은 기대하는 효과에 따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보조제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제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는 1,4-디하이드록시벤젠의 페놀기와 D-글루코스의 α-결합의 결과로서 얻어진다. 1,4-디하이드록시벤젠의 페놀기와 D-글루코스의 β-결합의 결과로서 얻어지는 β-알부틴은 동질의 미백 효과 때문에 피부과용 국소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는 β-알부틴보다 효과적일뿐 아니라, 피부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보다 안정되고 안전하다.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의 함량은 0.01-30 w/w%, 바람직하게는 0.05-20 w/w%, 더욱 바람직하게는 0.1-10 w/w%이다.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는 화학적으로 제조할 수도 있고, 박테리아 유래의 효소를 이용해 1,4-디하이드록시벤젠을 글리코사이드로 전환시킴으로써 얻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들은 당 공여체로서 수크로스를 이용하고, 효소로서Leuconostoc mesenterioides-유래의 수크로스 포스포릴라제를 이용해 얻을 수 있다.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는 또한 당 공여체로서 가용성 전분을 이용하고, 효소로서Bacillus subtilis-유래의 α-아밀라제를 이용해 얻을 수도 있다. 이 방법에서, 아밀라제 X-23을 사용하면 산업적인 규모의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사용되는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는 아밀라제 X-23를 이용해 얻을 수 있으며,Bacillus subtilis로부터 얻어지는 아밀라제 유형은 이하에 약술하였다. 아밀라제 X-23은 α-1,4 결합을 갖는 글루칸 및 페놀 관련 화합물의 존재 하에 α-1,4 결합을 갖는 글루칸을 분해하고, α-결합을 통해 당을 페놀 관련 화합물의 OH기로 전달한다. 당 전달에 대한 최적의 pH는 5 내지 8 범위이다. 당 전달은 pH 5.5 및 30-70℃의 온도에서 안정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특허 제2662667호 특허 공보를 참조한다.
화장품 및 약품을 포함하는 피부과용 국소제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타의 성분들도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피부과용 국소제에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으로는 오일, 항산화제, 표면 활성 세제, 보습제, 가습제, 방향제, 물, 알콜, 점성제, 방부제, 착색제, 파우더, 약, 킬레이팅제, 및 pH 조절제가 포함된다. 이러한 성분들은 본 발명의 피부과용 국소제의 품질에 대해 정성적으로 또는 정량적으로 악영향을 주지 않는 함량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발견된 피부과용 국소제는 토일릿(toilet) 로션과 같은 용액, 유백색 액체 및 크림과 같은 유화 제제, 연고, 점성 겔, 분산액, 그리고 파우더와 같은 어떠한 투약 형태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해 발견된 피부과용 국소제를 로션, 에멀젼 및 점성 겔의 형태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수용성 점성제를 에탄올 및 이소프로판올과 같은 저급 알콜과 조합하면 보다 큰 효능을 얻을 수 있다: 식물-유래의 거대분자(예를 들면, 아라비아 고무, 트래거컨트 고무, 갈락탄, 사이아모포시스 고무, 카나게닌, 펙틴, 모과씨(마르멜로) 추출물 및 갈조류 분말), 미생물-유래의 거대분자(예를 들면, 잔탄 고무, 덱스트란 및 프룰란), 동물-유래의 거대분자(예를 들면,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및 젤라틴), 전분(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 전분 및 메틸하이드록시 전분), 셀룰로오스(예를 들면, 메틸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울페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결정질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분말), 비닐 거대분자(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아크릴 거대분자(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과 그의 염 및 폴리아크릴아미드), 유기 점성제(예를 들면, 글리시리즈산 및 알긴산), 그리고 무기 점성제(예를 들면, 벤토나이트, 헥톨라이트, 라보나이트,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마그네슘 및 실릭산 무수물).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수용성 점성제의 함량은 0.01-5 w/w%, 바람직하게는 0.1-3 w/w%이어야 하고, 피부과용 국소제 내에서 저급 알콜의 함량은 0.3-35 w/w%이어야 한다.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 및 저급 알콜의 중량비는 3:1 내지 1:3이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제시된 모든 실시예에 사용된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는 아밀라제 X-23을 1,4-디하이드록시벤젠 및 말토펜타오스의 존재 하에 작용시켜 얻은 것들이다. 이하에 제시된 모든 함량은 w/w%을 기준으로 한다.
실시예 1: 토일릿 용액
토일릿 로션은 이하에 제시된 처방서 사용해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폴리프로필렌 글리콜5.0
에탄올14.0
POE(20) 올레일 에스테르0.5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0.5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소듐0.1
술포네이트
메틸파라벤0.1
시트르산0.01
소듐 시트레이트0.1
샤모밀 추출물2.0
수용성 태반 추출물2.0
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0.3
향료0.05
이온교환수잔량
실시예 2: 에멀젼
에멀젼은 이하에 제시된 처방서를 이용해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스테아레이트3
세틸 알콜2
페트롤락텀5
액상 파라핀10
폴리옥시에틸렌(10) 모노올레에이트 에스테르2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3
트리에탄올아민1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5
펜테틴-S-소듐 술포네이트10
N',N-디메틸 PABA 옥틸 에스테르5.0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 에테르0.01
소듐 하이드로겐 술파이트1.0
아젤라산0.2
피리독신0.2
이온교환수잔량
향료Q.S.
방부제Q.S.
실시예 3: 크림
크림은 이하에 제시된 처방서를 이용해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프로필렌 글리콜5.0
노란색 밀랍4.0
세틸 알콜5.0
환원된 라놀린5.0
스쿠알렌36.0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2.0
POE(20)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2.0
메틸파라벤0.1
에틸파라벤0.15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1.0
알란토인3.0
일본 안젤리카 뿌리 추출물0.2
조당 추출물1.0
테프레논1.0
코지산1.0
향료0.1
이온교환수잔량
실시예 4: 팩
팩은 이하에 제시된 처방서를 이용해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폴리비닐 알콜16.0
폴리에틸렌 글리콜4.0
프로필렌 글리콜7.0
에탄올11.0
메틸파라벤0.1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7.0
디하이드록시 알루미늄 알란토이네이트3.0
아스코르브산1.0
노르디하이드로구아이아레트산5.0
시트르산0.3
소듐 시트레이트0.7
향료0.1
이온교환수잔량
실시예 5: 두피 트리트먼트(두피 트리트먼트용 토일릿 로션)
두피 트리트먼트용 토일릿 로션은 이하에 제시된 처방서를 이용해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1,3-부틸렌 글리콜6.0
프로필렌 글리콜4.0
에탄올11.0
POE(60) 수소화 캐스터 오일2.0
수산화칼륨0.05
카르복시비닐 폴리머0.2
2-헥실데실팔미테이트11.0
스쿠알렌5.0
노란색 밀랍0.5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10.0
알란토인3.0
방부제0.2
향료0.1
이온교환수잔량
실시예 6: 연고
연고는 이하에 제시된 처방서를 이용해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페트롤락텀40.0
스테아릴 알콜15.0
일본 왁스15.0
POE(10) 올레에이트0.25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0.25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6.0
알란토인1.0
소르비톨5.0
프로필렌 글리콜5.0
젠티아 추출물0.3
이온교환수잔량
실시예 7: 파우더
파우더는 이하에 제시된 처방서를 이용해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트라넥삼산0.1
칼라마인0.1
황0.1
지용성 글리시리자 추출물1.0
덱스트린2.0
탈크95
데카글리셀 스테아레이트1.0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0.7
실시예 8: 토일릿 오일
토일릿 오일은 이하에 제시된 처방서를 이용해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토코페롤0.2
4-하이드록시신나메이트0.2
알란토인0.5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0.2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1.0
레티놀 아세테이트0.3
달맞이꽃 오일2.0
지용성 글리시리자 추출물1.0
스쿠알렌잔량
실시예 1 내지 8에서 얻어진 모든 피부과용 국소는제는 다소의 피부 자극 및 민감화 가능성만을 갖는 양호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들은 또한 시간 경과에 따라서도 양호한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테스트 1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의 함량이 1.0 w/w%에서 0.5 w/w%으로 달라진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에 제시된 처방서에 따라 제조한 크림, 그리고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가 β-알부틴으로 대체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에 제시된 처방서에 따라 제조한 대조용 크림을 이용해 임상 실험을 수행하였다.
전체 12명의 지원자(25세와 55세 사이의 남자 6명 및 여자 6명)를 모집하였다. 본 발명에 의해 발견된 크림을 6명의 지원자(남자 3명 및 여자 3명)의 오른쪽 팔의 중간 측면 부위에 적용하였다. β-알부틴-함유 대조용 크림을 7일 연속하여 하루에 3회씩(8시간 간격) 적용하였다. UVB 광원을 이용해 적용 첫날부터 3회씩 적용한 후, 적용 부위를 1 MED(minimum erythema dose)의 자외선에 노출시켰다. 첫 번째 실험을 마친 후 30일에 걸쳐 지원자들을 교차시키고, 오른쪽 상부 팔 중간부의 다른 부위에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반복하였다. 이중 구속 설계를 이용하였다.
자외선 조사를 시작하고 14일 후, 피부가 검어진 정도를 육안으로 비교하고,피부 검어짐 예방 효과를 평가하였다. 효능을 다음과 같은 5개의 등급으로 분류하였다: 매우 효과적임, 효과적임, 다소 효과적임, 효과적이지 않음 및 악화됨.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대조용 크림 본 발명의 크림
매우 효과적임 1(8.3%) 3(25.0%)
효과적임 3(25.0%) 6(25.0%)
다소 효과적임 5(41.0%) 2(16.7%)
효과적이지 않음 3(25.0%) 1(8.3%)
악화됨 0 0
본 발명의 크림은 피부 검어짐을 예방함에 있어 대조용 크림보다 효과적이었으며(대조용 크림의 β-알부틴 함량은 본 발명의 크림 내의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 함량의 2배이었음), 부작용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본 발명의 크림이 우수한 산물임을 시사한다.
본 발명에 의해 발견된 피부과용 국소제는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와 조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상승 효과로 인해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의 효과를 향상시키며,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다양한 보조제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도 안전하고 안정되며 양호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발견된 피부과용 국소제는 현저한 피부 미백 효과 및 검어짐 예방 효과를 나타내며, 간반점 및 주근깨를 효과적으로 예방 및 완화시킨다. 이들은 또한 화장품 및 치료제로서도 안전하고 안정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우 유용하다.

Claims (3)

  1.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 및 하기의 성분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과용 국소제(topical agent): 아스코르브산 및 그의 유도체, 생약(crude drug) 및 그들의 추출물,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 및 그의 염, 지용성 글리시리자(glycyrrhiza) 추출물, 젠티아나(gentian) 추출물, 페놀 유도체 및 그의 염, 태반 추출물, 코지산(kojic acid) 및 그의 유도체, 글루코사민 및 그의 유도체, 아젤라산 및 그의 유도체, 레티놀 및 그의 유도체, 피리독신 및 그의 유도체, 토코페롤 및 그의 유도체, 비타민 E-니코티네이트, 디이소프로필아민디클로로아세테이트, 키토산 및 그의 분해 산물, 카페인산 유도체, 하이드록시신나메이트 및 그의 유도체, 움벨리페래(Umbelliferae) 식물 추출물, 균사 배양물 및 그들의 추출물, 식물 잎 및 그들의 추출물, 식물 껍질 및 그의 추출물, 하이노키티올, 인삼 추출물, 황, 조당 추출물, 당밀 추출물, 무코다당류, 테프레논, 노르디하이드로구아이아레트산, UV 흡수제, γ-피론 글리코사이드, 하이드록시살리실산 글리코사이드, 하이드록시살리실산 지방 에스테르 글리코사이드, 바이페닐 화합물, 세라마이드, 세라마이드-유사 구조를 갖는 물질, 일반식 R31-O-(X-O)n-R32로 나타낼 수 있는 에테르 화합물(상기 식에서 R31 및 R32는 1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직쇄, 분지형 또는 환형의 알킬기이고, X는 1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기이고, n은 0 또는 1이고, R31, R32 및 X 내의 합성 탄소 원자의 개수는 10개 내지 32개임), 판토텐산 및그의 유도체, 소듐 하이드로겐 술파이트, 소염제, 알란토인 및 그의 유도체, 아미노산 및 그의 유도체, 아미노에틸 화합물, 알킬렌 디아민 카르복시산 유도체, 베타인 유도체, 아실 메틸 타우린, 피브로넥틴, 티로시나제 저해제, 헤데라코사이드 (hederacoside) 및 그의 염, 짐네마 사포닌, 비트 사포닌 및 그의 염, 엘라그산 (ellagic acid)-관련 화합물 및 그들의 알칼리 금속 염, 그리고 레소르시놀 유도체.
  2. 제1항에 있어서,
    4-하이드록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가 α-아밀라제를 이용해 얻어지는 피부과용 국소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α-아밀라제가 아밀라제 X-23인 피부과용 국소제.
KR1020027016089A 2000-06-02 2001-06-01 4-하이드록시페닐-알파-d-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함유하는피부과용 국소제 KR1008105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65590 2000-06-02
JP2000165590A JP2001342110A (ja) 2000-06-02 2000-06-02 皮膚外用剤
PCT/EP2001/006281 WO2001091715A2 (en) 2000-06-02 2001-06-01 Topical agent for dermatological use containing 4-hydroxyphenyl-alpha-d-glucopyranosi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289A true KR20030020289A (ko) 2003-03-08
KR100810589B1 KR100810589B1 (ko) 2008-03-06

Family

ID=18669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089A KR100810589B1 (ko) 2000-06-02 2001-06-01 4-하이드록시페닐-알파-d-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함유하는피부과용 국소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20030198610A1 (ko)
EP (2) EP1859835A3 (ko)
JP (1) JP2001342110A (ko)
KR (1) KR100810589B1 (ko)
CN (1) CN1635996B (ko)
AT (1) ATE380054T1 (ko)
AU (1) AU6751101A (ko)
CA (1) CA2409871A1 (ko)
DE (1) DE60131743T2 (ko)
ES (1) ES2299491T3 (ko)
WO (1) WO2001091715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462B1 (ko) * 2005-12-23 2007-01-10 주식회사 쵸이스코스메틱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20170076463A (ko) * 2015-12-24 2017-07-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헤데라코사이드 c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80126283A (ko) * 2017-05-17 2018-11-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테프레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1524184B2 (en) 2011-04-21 2022-12-13 Mary Kay Inc. Topical skin care formulations comprising plant extrac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2308248A1 (en) * 2001-03-09 2002-09-24 Pentapharm Ltd Topical preparations and food preparations comprising a pyridoxine-alpha-d-glucose
JP2003055184A (ja) * 2001-08-08 2003-02-26 Nonogawa Shoji Kk 皮膚外用剤
FR2829696B1 (fr) * 2001-09-17 2004-02-27 Oreal Utilisation de l'acide pantetheine sulfonique et/ou de ses sels en tant qu'agent anti-radicalaire
CA2474467A1 (en) * 2002-01-30 2003-08-07 Yamanouchi Pharmaceutical Co., Ltd. Novel microorganism, its product and utilization thereof
CN100335115C (zh) * 2002-04-15 2007-09-05 山东哲夫 用于皮炎治疗的软膏
JP3712066B2 (ja) * 2002-09-10 2005-11-02 財団法人理工学振興会 ハイドロキノンと界面活性剤の結晶性の分子錯体を含む美白剤
GB0310791D0 (en) * 2003-01-31 2003-06-18 Unilever Plc Improved cosmetic composition
EP2311847B9 (en) 2003-10-01 2013-07-24 Daiichi Fine Chemical Co., Ltd. Composition containing stable vitamin b6 derivative
KR20060109886A (ko) * 2003-11-06 2006-10-23 유니레버 엔.브이. 비타민 b3, 비타민 b6 및 유기산을 포함하는 개선된화장용 조성물
FR2864445B1 (fr) * 2003-12-30 2006-04-28 Jean Noel Thorel Utilisation topique d'une base nutritive complexe
EP1742710B1 (en) 2004-01-13 2009-06-03 L'Oréal USA Creative, Inc. Stabilized ascorbic acid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for
JP2012246317A (ja) * 2005-04-28 2012-12-13 Rohto Pharmaceutical Co Ltd 皮膚外用剤
JP5137326B2 (ja) * 2005-04-28 2013-02-06 ロート製薬株式会社 皮膚外用剤
FR2885522B1 (fr) * 2005-05-13 2020-01-10 Sederma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opharmaceutique contenant de la teprenone
US20070225360A1 (en) 2006-03-22 2007-09-27 L'oreal Anti-aging composition containing phloretin
ES2597104T3 (es) 2007-04-19 2017-01-13 Mary Kay, Inc. Composiciones que contienen extracto de magnolia
KR100883229B1 (ko) 2007-06-19 2009-02-23 (주)더페이스샵코리아 비타민 c를 함유하는 조성물
US8318786B2 (en) 2007-08-16 2012-11-27 The University Of Chicago Plant pathogen resistance
US9445975B2 (en) 2008-10-03 2016-09-20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stable unilamellar liposomal suspension
WO2010065528A2 (en) * 2008-12-02 2010-06-10 Kreations By Kristin, L.C. Gymnema-containing lip balm compositions and associated methods
US8268295B2 (en) 2009-11-25 2012-09-18 Coreana Cosmetics Co., Ltd.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the extract of Magnolia sieboldii as active ingredient
US20140005276A1 (en) * 2012-06-29 2014-01-02 Simarna Kaur Compositions comprising substituted phenols and topical application thereof
KR101931699B1 (ko) * 2012-08-07 2018-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JP6115086B2 (ja) * 2012-11-13 2017-04-19 味の素株式会社 アミノ酸化合物の酢酸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FR3002844B1 (fr) 2013-03-05 2016-08-12 Sensient Cosmetic Tech Composition pulverulente utile pour la preparation de compositions cosmetiques blanchissantes
CN103254257A (zh) * 2013-04-18 2013-08-21 山西医科大学 一种4-氨基水杨酸糖苷类衍生物及其制备方法
US20160184245A1 (en) 2013-07-25 2016-06-30 Cheryl Lee Eberting Formulations for epidermal repair
DE102014211185A1 (de) 2014-06-11 2015-12-17 Henkel Ag & Co. Kgaa Kosmetische Zusammensetzungen zur Hautaufhellung
JP6814958B2 (ja) * 2016-12-14 2021-01-20 株式会社ダリヤ 頭皮に塗布する製剤
CN108143702A (zh) * 2018-03-02 2018-06-12 大饼少女美妆(广州)有限公司 一种高效美白补水面膜液、面膜及其制备方法
US10786442B2 (en) * 2018-08-08 2020-09-29 Wicky Suyanto Topical composition for reducing age spots and wrinkles
CN111135115B (zh) * 2018-11-06 2023-10-17 上海家化联合股份有限公司 含炉甘石的组合物
WO2021234005A1 (en) * 2020-05-22 2021-11-25 Unilever Ip Holdings B.V. A personal care composition
US20230364129A1 (en) * 2022-05-16 2023-11-16 Prime Performance Research LLC Topical compositions
CN115300443B (zh) * 2022-08-02 2023-12-08 银川凤仪堂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羊胎素提取方法及在化妆品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621B2 (ja) * 1985-02-28 1996-03-29 株式会社資生堂 皮膚外用剤
MY100306A (en) * 1985-12-18 1990-08-11 Kao Corp Anti-suntan cosmetic composition
JPH05932A (ja) * 1991-06-26 1993-01-08 Kurabo Ind Ltd 日焼け剤
JP3120086B2 (ja) * 1991-10-28 2000-12-25 倉敷紡績株式会社 白髪の防止及び白髪黒色化用毛髪化粧料
JPH0736758B2 (ja) * 1992-05-15 1995-04-26 倉敷紡績株式会社 ポリフェノール配糖体の製造法
JPH06153976A (ja) * 1992-11-30 1994-06-03 Kikkoman Corp フェノール配糖体の製造法
CA2160107C (en) * 1993-04-16 1999-07-06 George Endel Deckner Compositions for imparting an artificial tan and protecting the skin from uv radiation
US5759524A (en) * 1996-02-09 1998-06-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hotoprotective compositions
US5747006A (en) * 1997-05-14 1998-05-05 Amway Corporation Skin whitener composition containing acerola cherry fermentate
KR100447441B1 (ko) * 1997-06-13 2004-11-03 애경산업(주) 혼합 미백제조성물
KR20010101122A (ko) * 1999-12-20 2001-11-14 겜마 아키라 피부외용제
JP2001316268A (ja) * 2000-02-21 2001-11-13 Ezaki Glico Co Ltd 皮膚外用剤
ATE464041T1 (de) * 2002-12-27 2010-04-15 Daiichi Sankyo Healthcare Co Zusammensetzung zur hautaufhellun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462B1 (ko) * 2005-12-23 2007-01-10 주식회사 쵸이스코스메틱 피부 화장료 조성물
US11524184B2 (en) 2011-04-21 2022-12-13 Mary Kay Inc. Topical skin care formulations comprising plant extracts
US11865373B2 (en) 2011-04-21 2024-01-09 Mary Kay Inc. Topical skin care formulations comprising plant extracts
KR20170076463A (ko) * 2015-12-24 2017-07-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헤데라코사이드 c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80126283A (ko) * 2017-05-17 2018-11-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테프레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89489B1 (en) 2007-12-05
DE60131743D1 (de) 2008-01-17
ATE380054T1 (de) 2007-12-15
WO2001091715A2 (en) 2001-12-06
US20030198610A1 (en) 2003-10-23
CN1635996B (zh) 2010-10-06
ES2299491T3 (es) 2008-06-01
EP1859835A3 (en) 2007-12-05
KR100810589B1 (ko) 2008-03-06
EP1859835A2 (en) 2007-11-28
WO2001091715A3 (en) 2002-07-04
CA2409871A1 (en) 2001-12-06
JP2001342110A (ja) 2001-12-11
EP1289489A2 (en) 2003-03-12
DE60131743T2 (de) 2008-11-06
AU6751101A (en) 2001-12-11
US20110014141A1 (en) 2011-01-20
CN1635996A (zh) 200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0589B1 (ko) 4-하이드록시페닐-알파-d-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함유하는피부과용 국소제
CN101282708B (zh) 含有磷酸化糖的皮肤外用剂
KR101186081B1 (ko) 기능성 분체
CN100475189C (zh) 一种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5683134B2 (ja) 皮膚外用剤
JPH07277939A (ja) 皮膚外用剤
JP4414495B2 (ja) 抗菌剤、並びにそれを含む皮膚外用剤及び皮膚洗浄剤
JP3415200B2 (ja) 皮膚外用剤
JPH11246339A (ja) 皮膚外用剤
US11504320B2 (en) Use of naturally glycosylated polyphenols as protective agents against the effects of ultraviolet irradiation
KR20220112447A (ko) 보리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CA2797397C (en) Compositions comprising extracts of southernwood and an amine compound
JPS61207316A (ja) 皮膚外用剤
JPH11349435A (ja) 紫外線による色素沈着症状の防止,改善に有効な皮膚外用剤
JPH01308476A (ja) 紫外線吸収剤
JPH03236323A (ja) 美白用皮膚外用剤
JPH1036215A (ja) 皮膚外用剤
KR20220112449A (ko) 참꽃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272475B1 (ko) 핌피넬린을 포함하는 흑화,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JP2006169111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