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229B1 - 비타민 c를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타민 c를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229B1
KR100883229B1 KR1020070059739A KR20070059739A KR100883229B1 KR 100883229 B1 KR100883229 B1 KR 100883229B1 KR 1020070059739 A KR1020070059739 A KR 1020070059739A KR 20070059739 A KR20070059739 A KR 20070059739A KR 100883229 B1 KR100883229 B1 KR 100883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tamin
composition
caffeic acid
cationic
acid deriv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9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1601A (ko
Inventor
최민희
안기웅
조병기
Original Assignee
(주)더페이스샵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페이스샵코리아 filed Critical (주)더페이스샵코리아
Priority to KR1020070059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229B1/ko
Priority to US11/951,087 priority patent/US8022090B2/en
Publication of KR20080111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2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6Tri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otr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61K31/3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e.g. ranitidine, furosemide, bufetolol, musca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6Chitin; Chitosa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타민 C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비타민 C와; 상기 비타민 C의 1차 안정화제로서의 양이온성 물질 및 음이온성 물질과; 상기 비타민 C의 2차 안정화제로서의 카페익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카페익산 유도체는 수용성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의 카페익산 유도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이온성 물질과 음이온성 물질이 전기 이중층(electrical double layer)을 형성하여 비타민 C를 1차적으로 안정화시키고, 수용성 카페익산 유도체가 2차적으로 안정화시킨다. 이에 따라, 비타민 C가 2중으로 안정화되어 공기와 열, 수분으로부터 산화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44134939-pat00001
비타민 C, 안정화, 양이온성, 음이온성, 카페익산, 화장료

Description

비타민 C를 함유하는 조성물 {COMPOSITION CONTAINING VITAMIN C}
본 발명은 비타민 C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타민 C를 2중으로 안정화시킴으로써, 공기와 열, 수분에 의해 산화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타민 C는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강한 항산화 효과와 콜라겐 생합성 촉진 등으로 인한 노화방지 효과, 멜라닌 세포 생성 억제를 통한 미백 및 화이트닝 효과를 갖는 물질로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비타민 C인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은 수분, 열, 빛, 공기 등의 외부 환경에 쉽게 산화되어 그 활성을 잃고 분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비타민 C의 산화반응은 연속적인 두 개의 전자전이과정인 수소 이온의 해리로 인한 비타민 C의 산화 중간체인 디하이드로아스콜베이트 라디칼이 만들어지며 이는 반응성이 풍부하고 그 자체가 2분자로 반응해서 1분자의 비타민 C와 디하이드로아스콜베이트빈산을 생성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렇게 산화된 비타민 C의 산화물은 오히려 피부를 손상시키는 역효과를 낳게 되고 그 자체가 구조적으로 강한 산도를 나타내게 되어 있으므로 피부에 적용 시 자극을 주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특히 비타민 C는 알칼리 수용액 상에서는 쉽게 산화되게 되므로 이러한 환경에서는 보관 및 제조과정에서 쉽게 변색되거나 손실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비타민 C의 여러 환경 조건에서의 불안정성과 자극성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금까지 많은 비타민 C 유도체가 개발된 바 있고, 개발된 비타민 C 유도체는 현재 식품, 제약, 의약 및 화장품 분야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비타민 C 유도체는 효율 면에서 순수 비타민 C 보다 열등한 단점이 있다.
또한, 순수 비타민 C의 산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산화방지제를 첨가하는 방법, 다중 유화물에 안정화시키는 방법, 수중 유형의 유화물에 안정화시키는 방법, 비타민 C를 코팅하여 비타민 C의 산화를 억제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런 방법들은 효율 면에서 충분한 안정도를 보이지 않거나 효과 면에서 미미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역가가 감소하며 수용성 화장료의 제형으로 적합하지 못하였다.(US 4,938,969, EP 0533667 B1)
따라서, 순수 비타민 C의 피부 활성작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도록 순수 비타민 C의 안정화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타민 C를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킴으로써, 순수 비타민 C의 피부 활성작용이 그대로 적용되어 피부의 세포 재생 및 콜라겐 합성작용의 향상에 의해 우수한 피부의 노화방지 효과 및 미백효과를 얻도록 할 수 있는 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타민 C와;
상기 비타민 C의 1차 안정화제로서의 양이온성 물질 및 음이온성 물질과;
상기 비타민 C의 2차 안정화제로서의 카페익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비타민 C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 20중량%로 함유되고, 상기 양이온성 물질과 음이온성 물질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5 ~ 1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카페익산 유도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 1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페익산 유도체는 수용성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의 카페익산 유도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44134939-pat00002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료(화장품), 약제(의약품) 및 식료(식품) 등의 조성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O/W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1차 안정화제로 함유되는 양이온성 물질과 음이온성 물질이 전기 이중층(electrical double layer)을 형성하여 순수 비타민 C를 1차적 으로 안정화시키고,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수용성 카페익산 유도체가 2차적으로 안정화시킨다. 이에 따라, 비타민 C는 2중으로 안정화되어 공기와 열, 수분으로부터 산화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비타민 C가 2중으로 효과적으로 안정화됨에 따라, 제품 내에서 변색, 변취 등이 방지되고 비타민 C의 피부 내 작용이 효율적으로 증가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비타민 C가 가지고 있는 불안정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산화 안정화제로서 양이온성 물질과 음이온성 물질을 동시에 함유시킨 경우, 상기 양이온성 물질과 음이온성 물질이 전기 이중층(electrical double layer)을 형성하여 비타민 C를 안정화시켜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카페익산 유도체를 더 함유시키되, 상기 카페익산 유도체로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의 수용성 카페익산 유도체를 사용하는 경우 강력한 항산화력을 발휘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비타민 C를 안정화시킴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비타민 C를 안정화시킨다'라는 것은 비타민 C가 공기, 열, 빛 등에 노출되거나 수용액 상에 존재하는 경우 산화에 의해 역가가 떨어지고, 변색, 변취가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이 안정화하고자 한 비타민 C는 대표적인 수용성 순수 비타민으로서, 건조 파우더(powder) 상태에서는 백색의 가루 형태이며,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는 물질이다. 비타민 C는 대부분의 식물과 동물의 체내에서 생합성되는 흔한 물질이지만, 불행히도 어류 및 사람을 포함한 영장류는 비타민 C를 체내에서 합성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사람을 비롯한 비타민 C 생합성 기작을 갖고 있지 못한 생명체는 외부적으로 음식물 섭취 등의 방법으로 필요한 비타민 C를 보충해줘야 한다. 비타민 C는 건조 분말일 경우 안정성을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건조된 형태의 제약용 캡슐이나 파우치 및 건식에의 첨가 등에 의해서 제품화 시 유통 기간 내에 변질의 우려가 거의 없어 제품화에 어려움이 없다. 그러나 비타민 C는 상기와 같이 포장된 경우는 제품화에 어려움이 없으나, 공기나 열에 노출되거나, 특히 수용액 상에서는 매우 불안정하여 역가가 떨어지고 변색, 변취 등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대부분 스킨, 로션, 에센스, 크림 등과 같은 액상의 제형을 기초로 하여, 제형 내에 여러 가지 첨가물과 중량제 같은 다양한 물질들이 포함되며, 유통 기한이 1년에서 3년 정도의 장기간 소요된다. 이때, 비타민 C를 화장료로서 제품화하기 위해서는 물질의 불안정성을 극복할 수 있는 실제적인 안정화 방법이 수반되어야 비타민 C는 화장료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변질되고 파괴된 비타민 C는 파괴 정도에 따라 노란색에서 갈색을 거쳐 거의 흑색에 가까운 짙은 갈색까지 색상이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색상 변화는 화장료로 사용 시 유통 기간 중 화장료 전체 내용물의 변질에 의한 색상 변화로 받아들여져 소비자 불만과 환불, 교환 등의 요건이 되어 제품으로서의 상품성을 크게 떨어뜨린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비타민 C를 함유하되, 비타민 C의 불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유효성분으로서 양이온성 물질과 음이온성 물질, 그리고 카페익산 유도 체를 적어도 함유한다. 이때, 상기 양이온성 물질과 음이온성 물질은 1차 안정화제로 작용하고, 상기 카페익산 유도체는 2차 안정화제로 작용하여 비타민 C는 2중으로 안정화된다.
비타민 C는 물에 쉽게 용해되어 음이온으로 전이되는 데, 이때 상기 양이온성 물질이 비타민 C와 결합하여 안정화시키고, 이러한 양이온성 물질에 상기 음이온성 물질이 결합하여 물로부터 비타민 C를 격리시키고 자외선을 흡수하여 물, 공기, 빛에 의해 비타민 C가 분해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양이온성 물질과 음이온성 물질이 전기 이중층(electrical double layer)을 형성하여 비타민 C가 산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양이온성 물질은 음이온으로 전이된 비타민 C와 결합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양이온성 물질로는 예를 들어 키토산, 키토산 유도체, 아미노산, 폴리쿼터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키토산 유도체가 좋다.
일반적으로, 키토산(Chitosan)은 게, 새우 등의 갑각류 또는 곤충류의 외피, 균류의 세포벽의 주요 구성 성분인 키틴을 탈아세틸화(Deacetylation)하여 얻어지는 물질이다. 상기 키토산은 고분자 물질이므로 수불용성을 나타내어, 그 용도가 제한적일 수 있으므로 상기 키토산이 가지는 물성을 그대로 확보함과 동시에 수용성을 갖는 키토산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키토산 유도체의 경우 키토산이 가지는 여러 물성을 보완함과 동시에 넓은 pH 범위(pH 3 내지 pH 10)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흡착성, 지속성, 보습성, 피막형성능력 및 증점성이 우수하 여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헤어셋 로션 등의 두발용 화장품을 비롯하여 크림, 유액 팩, 파운데이션, 비누, 치약 등의 수성 첨가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항균성이 우수하여 입안 세균에 의한 치아의 플라그 생성과 충치를 예방해 주는 치석제거제로도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양이온성 물질로는 키토산의 특성을 지님과 동시에 양이온으로 작용하여 비타민 C의 안정화에 효과적인 키토산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키토산 유도체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알킬렌 키토산(Polyoxyalkylene Chitosan), 카르복시메틸 키토산(Carboxy methyl Chitosan), 및 N-2-히드록시프로필설폰산 키토산(N-2-hydroxy-propyl sulfonic acid Chitosan)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물질은 양이온성 물질과 결합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카르복실 그룹(Carboxyl group), 설포 그룹(Sulfo group) 또는 아마이드(Amide) 결합을 가지는 고분자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서, 상기 음이온성 물질은 폴리아크릴산(PAA; Poly acrylic acid)이나 폴리비닐설포닌산(PVSA; Poly vinyl sulphonic acid) 또는 그들의 공중합체 등과 같이 말단 그룹이나 곁가지에 카르복실 그룹(Carboxyl group)이나 설포 그룹(Sulfo group)을 붙여서 합성한 폴리머(polymer) 및 이들 유래의 고분자, 그리고 주쇄가 아마이드 결합으로 이루어진 폴리아스파틴산(Poly aspartic acid)과 폴리글루타민산(Poly glutamic acid) 또는 그들의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1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생체친화성이 뛰어나고 생분해성이 좋은 폴 리펩타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카페익산 유도체는 비타민 C의 안정화를 극대화하기 위해 함유되는 것으로서, 상기 카페익산 유도체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신규의 카페익산 유도체가 유용하게 사용되며, 이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된다.
카페익산(caffeic acid)은 화학식이 C9H8O4이고 분자량은 180.16이다. 카페익산은 주로 석탄산(phenolic) 화합물에 포함되며, 뜨거운 물과 알코올에 용해하기 쉬운 노란색 결정체이다. 이는 또한 두 개의 수산기를 가지고 있으며, 계피산과 관계가 있다. 카페익산과 계피산은 탄소가 순환하는 카르복시산 그룹의 한 부분이며, 카페인(Caffeine)과도 다른 화합물이다. 식품에 따라 용량은 많이 다르지만 커피콩을 포함한 배(Pear)와 같은 과일과 바질(Basil), 타임(Thyme), 버베나(Verbena), 타라곤(Tarragon), 오레가노(Oregano), 터머릭(Turmeric), 곽향초석잠(Wood Betony), 로즈마리(Rosemary), 민들레 같은 약용식물 및 채소에 포함되어 있다. 카페익산은 발암억제제로서 작용하고, 생체 안과 밖에서 항산화제로서 알려져 있으며 다른 항산화제보다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카페익산은 95%이상 아플라톡신(aflatoxin)의 생산을 줄여줄 뿐만 아니라,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위와 같은 카페익산은 강력한 항산화 효과가 있으나, 물에 쉽게 용해되지 않아 수용성 비타민 C를 안정화시키는 데는 효과가 없었다. 본 발명자들은 카페익산을 물에 용해시킬 수 있는 화학적 유도체에 대한 연 구를 거듭한 결과,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카페익산 유도체를 합성하였으며, 상기 카페익산 유도체는 물에는 물론 알코올에도 우수한 수용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상기 카페익산 유도체는 비타민 C를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킴을 알 수 있었다.
상기 화학식 1의 카페익산 유도체는 N-(5-메르캅토-1,2,4-트리아졸) 3,4-디하이드록시 신남아마이드[N-(5-Mercapto-1,2,4-triazole) 3,4-Dihydroxy Cinnamamide]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카페익산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페익 에틸 에스테르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트리아졸 유도체로부터 합성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07044134939-pat00003
< 카페익 에틸 에스테르 >
[화학식 3]
Figure 112007044134939-pat00004
< 트리아졸 유도체 >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페익산 유도체는 강력한 항산화력을 가져 피부 적용에 효과적이며, 비타민 C의 안정화를 극대화시킨다. 이러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페익산 유도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서 항산화제 및/또는 비타민 C의 2차 안정화제로 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료(화장품), 약제(의약품) 및 식료(식품) 등의 조성물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료(화장품), 약제(의약품) 및 식료(식품) 등을 구성하는 베이스 성분에 비타민 C; 1차 안정화제로서 양이온성 물질과 음이온성 물질; 그리고 2차 안정화제로서 카페익산 유도체;를 포함하여 조성되며, 상기 카페익산 유도체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N-(5-메르캅토-1,2,4-트리아졸) 3,4-디하이드록시 신남아마이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때, 상기 비타민 C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 20중량%로 함유되고, 1차 안정화제(양이온성 물질 및 음이온성 물질)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5 ~ 1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양이온성 물질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 10중량%, 이와 함께 음이온성 물질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 1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좋다. 상기 비타민 C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인 경우 비타민 C의 함유에 따른 효과(멜라닌 생합성 억제 및 콜라겐 생합성 촉진 등에 따른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 등)가 미미하고, 20중량%를 초과한 경우 제형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양이온성 물질과 음이온성 물질은 상기 중량 범위 내에서 동량으로 함유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데, 이때 양이온성 물질과 음이온성 물질의 함량이 0.05중량% 미만으로 소량 사용하게 되면 비타민 C에 대한 착체 효과가 떨어져 바람직하지 않고, 10중량%를 초과하여 너무 많은 량이 사용되 면 용해도로 인한 석출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카페익산 유도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 10중량%로 함유된 것이 좋으며, 이때 상기 카페익산 유도체의 함량이 0.05중량% 미만인 경우 그 효과(비타민 C의 안정화 및 항산화력 등)를 기대하기 힘들고,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제형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내에 비타민 C, 양이온성 물질과 음이온성 물질, 그리고 카페익산 유도체를 함유시킴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통하여 2중으로 안정화된 비타민 C 함유 용액을 제조한 다음, 이를 조성물 베이스 성분에 함유시키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물 또는 물과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에 비타민 C를 용해하여 수용액을 얻는 단계; 상온에서 상기 수용액에 양이온성 물질을 첨가하여 혼합액을 얻는 단계; 상기 혼합액에 음이온성 물질을 첨가하여 1차 안정화된 비타민 C 용액을 얻는 단계;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기 비타민 C 용액에 상기 신규의 항산화제인 카페익산 유도체를 첨가하여 2차 안정화된 비타민 C 용액를 얻는 단계;를 통하여 2중으로 안정화된 비타민 C 함유 용액을 제조한 다음, 상기 용액을 조성물 베이스 성분에 첨가 혼합하여 함유시키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화장료(화장품) 조성물의 제형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 C, 양이온성 물질과 음이온성 물질, 그리고 카페익산 유도체 이외에 통상적인 화장료 베이스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함유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화장료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 도 제조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화장수(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등), 에센스, 크림(아이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등), 로션, 페이스트,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등), 팩, 젤, 연고, 파우더, 패취 또는 분무제(스프레이)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클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및 산화아연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화장수, 에센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렌 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및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및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 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및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 C가 2중으로 안정화되어 비타민 C비타민 C에 따른 피부 개선 효과가 효율적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피부 상태를 개선하여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개선에 효과적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제조예 ]
< 카페익산 유도체의 합성 >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페익 에틸 에스테르 10g을 50mL 에탄올에 용해한 후, 여기에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트리아졸 유도체 5g을 가해 2시간 동안 환류 교반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그리고 진한 염산 1mL을 가한 후 냉장 보관하였다. 다음으로, 침전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건조한 후,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페익산 유도체 12g(수율:80%)을 얻었다. 이때, 성분 분석(Element Analysis) 결과, C 48.92 H 3.54 N 19.98 O 17.51; S 11.45의 성분비를 나타내어 화학식 1의 물질(C11H10N4O3S1(278.33): C 47.47 H 3.62 N 20.13 O 17.24 S 11.52)임을 확인하 였다.
[ 실험예 1]
< 용해도 시험 >
상기 제조예에 따라 얻어진 카페익산 유도체의 용해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카페익산 유도체를 1 mg/mL, 10 mg/mL, 100 mg/mL의 농도로 각각 정제수와 에탄올을 용매제로 사용하여 용해시켜 보았으며, 대조 물질로는 카페익산(시그마, 미합중국)을 동일한 농도 및 용매제로 용해시켜 비교하였다. 이때, 용매제로 사용된 정제수 및 에탄올은 실험 전 워터 배스에 방치하여 25℃의 온도를 유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 용해도 측정 결과 >
용매제 농도(mg/mL) 용해도
카페익산 유도체 카페익산
정제수(25℃) 1 완전용해 불용해
10 완전용해 불용해
100 완전용해 불용해
에탄올(25℃) 1 완전용해 완전용해
10 완전용해 완전용해
100 완전용해 불용해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카페익산 유도체는 100 mg/mL의 농도까지 정제수 및 에탄올에 완전 용해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대조 물질인 카페익산은 정제수에서는 불용해되고, 에탄올에서는 10 mg/mL의 농도까지만 완전 용해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시험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카페익산 유도체는 수용성으로서 카페익산에 비해 정제수 및 에탄올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
< 카페익산 유도체의 항산화력 측정 >
상기 제조예에 따라 얻어진 카페익산 유도체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실험(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est)을 실시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실험은 Kim 등(Kor . J. Pharmacogn ., 24(4), 299-303(1993))의 방법을 변형한 것으로서, 안정한 자유라디칼인 DPPH (1,1-diphenyl-2-picryhydrazyl, 시그마사) 시약을 사용하였다. 0.2mM DPPH 용액(Blank인 경우는 에탄올) 150 ㎕에 상기 카페익산 유도체를 다양한 농도로 제작하여, 이들을 각각 150 ㎕ 첨가하여 혼합하고,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는 실험군을 설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대조군으로는 정제수를 이용한 경우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상기 실험군과 대조군에 대한 흡광도 측정 후,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효과를 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44134939-pat00005
< 항산화력 측정 결과 >
카페익산 유도체 (ppm) 자유라디칼소거효과(%)
3.125 22.0
6.25 39.1
12.5 64.8
25 87.9
50 95.1
상기 [표 2]에 나타낸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카페익산 유도체는 자유라디칼 소거 능력이 매우 탁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
하기 [표 3]에 보인 바와 같은 성분과 조성비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통상의 화장료 조성물에 비타민 C 5.0중량%(w/w), 양이온성 물질(폴리옥시알킬렌 키토산) 1.0중량%(w/w), 음이온성 물질(폴리아스파틴산) 1.0중량%, 및 상기의 제조예에 따른 수용성 카페익산 유도체 3중량%(w/w)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
상기 실시예와 대비하여 카페익산 유도체를 포함시키지 않은 것(비교예 1), 카페익산 유도체와 음이온성 물질을 포함시키지 않은 것(비교예 2), 그리고 이들 모두를 포함시키지 않은 것(비교예 3)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성분 및 조성비는 하기 [표 3]에 보인 바와 같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1. 바셀린 7.0 7.0 7.0 7.0
2. 유동파라핀 10.0 10.0 10.0 10.0
3. 밀납 2.0 2.0 2.0 2.0
4. 폴리솔베이트-60 2.0 2.0 2.0 2.0
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5 2.5 2.5 2.5
6. 스쿠알란 3.0 3.0 3.0 3.0
7. 프로필렌글리콜 6.0 6.0 6.0 6.0
8. 글리세린 4.0 4.0 4.0 4.0
9. 트리에탄올아민 0.5 0.5 0.5 0.5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0.5 0.5 0.5
11. 토코페롤아세테이트 0.1 0.1 0.1 0.1
12. 비타민 C 5.0 5.0 5.0 5.0
13. 폴리옥시알킬렌 키토산 1.0 1.0 1.0 -
14. 폴리아스파틴산 1.0 1.0 - -
15. 카페익산 유도체 3.0 - - -
16. 향,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미량
17.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 실험예 3]
< 비타민 C의 역가 측정 >
본 발명에 따라서 2중으로 안정화된 비타민 C의 역가 유지능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 내의 비타민 C의 초기 역가를 100으로 하고, 1개월 후의 비타민 C의 역가를 25℃와 45℃에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측정은 Waters사의 SunFire C18 5, 100A, 150X4.6mm 컬럼을 이용하였다. 이때, 검출기의 파장은 254nm으로 하고, 이동상은 25mM KH2PO4 buffer(pH2.5)를 이용하였으며, 0.6mL/min의 유속으로 측정하였다.
< 비타민 C의 역가 측정 결과 >
비 고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25℃ 99 90 72 50
45℃ 90 78 50 23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타민 C를 2중으로 안정화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카페익산 유도체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양이온성 분자로만 안정화한 비교예 2, 및 안정화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3보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훨씬 안정함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4]
< 제형의 안정성 시험 >
본 발명에 따라서 2중으로 안정화된 비타민 C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제형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해 하기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하고, 또한 4℃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완전히 차광된 냉장고 내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한 후, 변색 및 변취 정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이때, 제품 변색 및 변취 정도는 다음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0 : 변화없음
1 : 극히 조금 변색
2 : 조금 변색
3 : 조금 심하게 변색
4 :심하게 변색
5 : 극히 심하게 변색
구 분 제형의 안정성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45℃ 4℃ 45℃ 4℃ 45℃ 4℃ 45℃ 4℃
변색 0.5 0 1.8 1.0 2.8 1.7 4.8 3.5
변취 0.3 0 0.9 0.3 1.0 0.5 1.5 0.8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45℃에서 변색이나 변취 현상이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라서 2중으로 안정화된 비타민 C는, 즉 양이온성 물질, 음이온성 물질 및 카페익산 유도체는 비타민 C와 함께 제형 내에서 안정한 상태로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이하, 상기한 실험예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본 발명의 2중으로 안정화된 비타민 C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예들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하기의 제형예들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 제형예 1]
< 유연화장수(스킨로션) >
하기 [표 6]에 보인 성분과 함량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비타민 C 1.0
카페익산 유도체 1.0
폴리옥시알킬렌 키토산 0.2
폴리아스파틴산 0.2
1.3-부틸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올레일알코올 0.1
폴리솔베이트 20 0.5
에탄올 15.0
벤조페논-9 0.05
향,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 제형예 2]
< 영양화장수( 밀크로션 ) >
하기 [표 7]에 보인 성분과 함량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비타민 C 3.0
카페익산 유도체 3.0
폴리옥시알킬렌 키토산 0.6
폴리아스파틴산 0.6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1.2
토코페닐아세테이트 3.0
유동파라핀 5.0
스쿠알란 3.0
마카다이아너트오일 2.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1.0
비에치티이 0.01
EDTA-2Na 0.01
향,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 제형예 3]
< 영양크림 >
하기 [표 8]에 보인 성분과 함량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비타민 C 5.0
카페익산 유도체 3.0
폴리옥시알킬렌 키토산 1.0
폴리아스파틴산 1.0
세토스테아릴알콜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트리옥타노인 5.0
폴리솔베이트 60 1.2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스쿠알란 5.0
유동 파라핀 3.0
싸이클로메치콘 3.0
비에치티이 0.05
델타-토코페롤 0.2
농글리세린 4.0
1,3-부틸렌글리콜 2.0
산타검 0.1
EDTA-2Na 0.05
향,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 제형예 4]
< 마사지크림 >
하기 [표 8]에 보인 성분과 함량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마사지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비타민 C 2.0
카페익산 유도체 2.0
폴리옥시알킬렌 키토산 0.4
폴리아스파틴산 0.4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0.5
밀납 2.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폴리솔베이트 60 3.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5
세테아릴알코올 2.0
유동파라핀 30.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향,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 제형예 5]
< 팩 >
하기 [표 10]에 보인 성분과 함량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팩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비타민 C 3.0
카페익산 유도체 5.0
폴리옥시알킬렌 키토산 0.6
폴리아스파틴산 0.6
프로필렌글리콜 2.0
글리세린 4.0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3
에탄올 7.0
피이지-40 히드로게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0.8
트리에탄올아민 0.3
비에치티이 0.01
EDTA-2Na 0.01
향,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양이온성 물질과 음이온성 물질이 전기 이중층(electrical double layer)을 형성하여 비타민 C를 1차적으로 안정화시키고, 수 용성 카페익산 유도체가 2차적으로 안정화시켜 비타민 C가 공기와 열, 수분으로부터 산화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이에 따라, 제품 내에서 비타민 C의 변색, 변취 등을 방지하여 순수 비타민 C의 제품(화장료 및 의약품 등) 적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비타민 C가 효과적으로 안정화됨에 따라, 비타민 C비타민 C비타민 C이 효율적으로 작용하여 미백 효과를 증진하고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0)

  1. 비타민 C와;
    상기 비타민 C의 1차 안정화제로서의 양이온성 물질 및 음이온성 물질과;
    상기 비타민 C의 2차 안정화제로서의 카페익산 유도체;를 함유하며,
    상기 양이온성 물질은,
    폴리옥시알킬렌 키토산, 카르복시메틸 키토산 및 N-2-히드록시프로필설폰산 키토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또는 1종 이상의 혼합하여 선택되고,
    상기 음이온성 물질은,
    카르복실 그룹, 설포 그룹 또는 아마이드 결합을 가지는 고분자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카페익산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N-(5-메르캅토-1,2,4-트리아졸) 3,4-디하이드록시 신남아마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36729054-pat00009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C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 20중량%로 함유되고, 상기 양이온성 물질과 음이온성 물질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5 ~ 10중량%로 함유되며, 상기 카페익산 유도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 10중량%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물질은 폴리비닐 설포닌산, 폴리아크릴산, 폴리아스파틴산, 폴리글루타민산, 폴리펩타이드 및 이들의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1종 이상의 혼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페익산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페익 에틸 에스테르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트리아졸 유도체로부터 합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08069370715-pat00007
    [화학식 3]
    Figure 112008069370715-pat00008
  9. 제1항, 제2항,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클렌징, 팩, 젤, 연고, 파우더, 패취 또는 분무제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70059739A 2007-06-19 2007-06-19 비타민 c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0883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739A KR100883229B1 (ko) 2007-06-19 2007-06-19 비타민 c를 함유하는 조성물
US11/951,087 US8022090B2 (en) 2007-06-19 2007-12-05 Vitamin C composition stabilized with cationic material, anionic material and caffeic acid derivati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739A KR100883229B1 (ko) 2007-06-19 2007-06-19 비타민 c를 함유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601A KR20080111601A (ko) 2008-12-24
KR100883229B1 true KR100883229B1 (ko) 2009-02-23

Family

ID=40137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739A KR100883229B1 (ko) 2007-06-19 2007-06-19 비타민 c를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22090B2 (ko)
KR (1) KR1008832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7971A (ko) 2021-08-20 2023-02-28 주식회사 종근당 Lipo-cap(Liposomal capsulation) 기술을 적용하여 비타민C의 흡수 및 성상 안정성이 향상된 리포좀 액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021B1 (ko) * 2007-06-19 2008-07-29 (주)더페이스샵코리아 카페익산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US20110184006A1 (en) * 2010-01-28 2011-07-28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Sri Lanka Method and composition for thermally stabilizing vitamin c within nano layers of montmorillonite clay
EP2823811A1 (en) 2013-07-09 2015-01-14 OTC GmbH Targeted active release system comprising solid lipid nano-particles
KR101864916B1 (ko) 2014-07-14 2018-06-05 배대승 흡수율이 개선된 비타민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2)
KR20160008275A (ko) 2014-07-14 2016-01-22 배대승 흡수율이 개선된 비타민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1)
CN111662639B (zh) * 2020-07-03 2021-10-01 浙江工业大学 一种成膜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329037B1 (ko) * 2020-11-30 2021-11-22 주식회사 바이오스탠다드 비타민c의 장기 안정성 증진을 위한 천연 소재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4075555A1 (en) * 2022-10-04 2024-04-11 L'oreal Composition comprising large amount of polyol
FR3142086A1 (fr) * 2022-11-17 2024-05-24 L'oreal Composition comprenant une grande quantité de polyo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2110A (ja) 2000-06-02 2001-12-11 Ezaki Glico Co Ltd 皮膚外用剤
US20040106529A1 (en) 2001-01-12 2004-06-03 Geraldine Fack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 fructan, a polysaccharide and a benefical agent, and uses thereof
KR20040080148A (ko) * 2003-03-11 2004-09-18 주식회사 디피아이 솔루션스 수상에서 비타민 c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비타민 c의 안정화 방법
US7179841B2 (en) 2004-01-13 2007-02-20 L'oreal Usa Creative, Inc. Stabilized ascorbic acid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34262B (en) * 1999-06-02 2001-05-16 Juo Fu Chiuan Preparation of water soluble carboxylmethyl chitosan (cm-chitosan) having anti-lipid peroxidation abili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2110A (ja) 2000-06-02 2001-12-11 Ezaki Glico Co Ltd 皮膚外用剤
US20040106529A1 (en) 2001-01-12 2004-06-03 Geraldine Fack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 fructan, a polysaccharide and a benefical agent, and uses thereof
KR20040080148A (ko) * 2003-03-11 2004-09-18 주식회사 디피아이 솔루션스 수상에서 비타민 c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비타민 c의 안정화 방법
US7179841B2 (en) 2004-01-13 2007-02-20 L'oreal Usa Creative, Inc. Stabilized ascorbic acid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7971A (ko) 2021-08-20 2023-02-28 주식회사 종근당 Lipo-cap(Liposomal capsulation) 기술을 적용하여 비타민C의 흡수 및 성상 안정성이 향상된 리포좀 액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22090B2 (en) 2011-09-20
KR20080111601A (ko) 2008-12-24
US20080319060A1 (en) 2008-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3229B1 (ko) 비타민 c를 함유하는 조성물
CN1228039C (zh) 包含n-乙烯基咪唑聚合物或共聚物和氧化敏感亲水有效成分的组合物的化妆和/或皮肤病学用途
TW477706B (en) Skin tanning compositions and method
US20040067890A1 (en) Ascorbic acid salts of organic bases with enhanced bioavailability for synergictic anti-aging and skin protective cosmetic compositions
US5916576A (en) Method of scavenging free radicals using orange extract
KR101862229B1 (ko) 베르게닌 및 플러린을 포함하여 비타민 c를 안정화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JP2008239545A (ja) エラスターゼ活性抑制剤
KR100849021B1 (ko) 카페익산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1442799B1 (ko) 안정화된 l-아스코르빈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중 나노 서스펜션좀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5271046A (ja) 皮膚外用剤
KR100926073B1 (ko) 비타민 c와 백년초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각질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JP2006022090A (ja) ピロリドンカルボン酸亜鉛塩から成る炎症抑制剤
KR101970465B1 (ko) 누에 유래 펩타이드 및 카페익산이 결합된 신규한 펩타이드 유도체의 용도
KR102425562B1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N107595662B (zh) 降低紫外线引起的脂质过氧化的协同组合物、制剂及相关方法
KR101509603B1 (ko) 미백용 또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25101B1 (ko) 글루타치온을 함유하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5220087A (ja) 組成物及び抗酸化剤
KR101525090B1 (ko)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4919B1 (ko) Egcg의 안정화 방법 및 egcg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20018309A (ko) 괭생이모자반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1551240B1 (ko) 검은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14723B1 (ko) 신규한 펩토이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14611B1 (ko) 레티놀을 함유하는 조성물
WO2005120449A1 (en) A new composition for skin-whitening and wrinkle-c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