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4611B1 - 레티놀을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레티놀을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4611B1
KR101014611B1 KR1020080048728A KR20080048728A KR101014611B1 KR 101014611 B1 KR101014611 B1 KR 101014611B1 KR 1020080048728 A KR1020080048728 A KR 1020080048728A KR 20080048728 A KR20080048728 A KR 20080048728A KR 101014611 B1 KR101014611 B1 KR 101014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inol
caffeic acid
composition
presen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2770A (ko
Inventor
안기웅
조병기
Original Assignee
(주)더페이스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페이스샵 filed Critical (주)더페이스샵
Priority to KR1020080048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4611B1/ko
Publication of KR20090122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2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6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49/08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 C07D249/10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49/08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 C07D249/10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49/12Oxygen or sulfur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티놀(Retinol)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름개선과 같은 피부미용 효과가 매우 우수하나 불안정한 단점을 가지고 있는 레티놀을 안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카페익산 유도체를 이용하여 레티놀을 더욱 효과적으로 안정화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이용된 신규 산화 안정제인 카페익산 유도체는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어 효과적으로 레티놀의 산화를 방지함으로써, 장기간 보관 시 역가 저하 및 변색 또는 변취 현상이 없고, 빛, 온도, 산소 등으로부터 레티놀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유지해 주어 레티놀이 가지고 있는 피부미용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레티놀, 카페익산 유도체, 산화 안정제, 안정화, 화장료

Description

레티놀을 함유하는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Retinol}
본 발명은 레티놀(Retinol)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름개선과 같은 피부미용 효과가 매우 우수하나 불안정한 단점을 가지고 있는 레티놀을 안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카페익산 유도체를 이용하여 레티놀을 더욱 효과적으로 안정화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이용된 신규 산화 안정제인 카페익산 유도체는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어 효과적으로 레티놀의 산화를 방지함으로써, 장기간 보관 시 역가 저하 및 변색 또는 변취 현상이 없고, 빛, 온도, 산소 등으로부터 레티놀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유지해 주어 레티놀이 가지고 있는 피부미용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피부보호 화장료에 널리 사용되는 레티노이드로는 레티놀(Retinol: Vitamin A alcohol), 레티날(Retinal: Vitamin A aldehyde), 레티닐 에스테르의 일종인 레티닐 아세테이트(Retinyl acetate), 레티닐 프로피오네이트(Retinyl propionate), 레티닐 리놀리에이트(Retinyl linoleate)와 레티닐 팔미테이트(Retinyl palmitate) 등이 있다. 이 중에서 레티놀은 인체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내인성 화합물로서, 지용성 비타민의 일종인 비타민 A군의 대표적인 화합물이다. 피부에 도포하면 피부 에 빠르게 침투되어 세포의 성장과 분화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활성화시키고, 단백질(콜라겐 등)합성에 관여하는 mRNA를 활성화시켜 콜라겐의 생합성을 촉진시켜 피부의 결합 조직을 증가시키며, 또한 MMPs(matrix metalloproteinases)의 발현을 억제하여 콜라겐을 비롯한 extracellular matrix molecule들의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탄력을 유지시키고 피부의 잔주름뿐만 아니라 큰 주름도 제거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음은 레티놀의 알려진 임상적 효과들이다.
① 가령노화 피부 주름개선에 효과적인 화장품 원료(표피두께증진)
② 광노화로 인한 콜라겐 합성 능력 저하의 회복
③ 초기 주름의 제거
④ 자외선에 의한 콜라겐 분해 효소 활성 억제
⑤ Age Spot(반점, 주근깨, 검버섯)제거
⑥ Stretching mark의 제거
⑦ 여드름 치유
그러나 이렇듯 피부주름 개선 및 방지효과, 여드름 치유효과 등 다양한 미용효과를 갖는 레티놀은 열, 빛, 온도, 수분, 산소, 시간 경과 등에 매우 불안정하여 대기 중에 노출되거나 수용액 중에서 쉽게 산화되어 역가가 떨어지고, 변색, 변취가 일어나는 등 안정성에 큰 문제점이 있어 그동안 레티놀을 안정화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지금까지 레티놀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시도의 예를 살펴보면 유용성 항산화 제인 BHT (Butylated hydroxytoluene), 토코페롤과 킬레이트제인 EDTA를 사용하여 레티노익 액씨드를 안정화시킨 수중유(O/W)형의 유화제형에 대한 특허(미국특허 3,906,108)가 있고, 유용성 항산화제인 토코페롤과 구연산을 사용하여 레티놀을 안정화시킨 수중유형에 대한 특허(미국특허 4,247,547)가 있으며, 유용성 항산화제인 BHT, BHA (Butylated hydroxyanisole)를 사용하여 레티놀, 레티닐아세테이트, 레티닐 팔미테이트를 안정화시킨 유중수형의 유화제형에 관한 특허(미국특허 4,826,828)가 있고, 레티놀을 항산화제인 BHA, 아스코르빈산, 토코페릴 리놀리에이트를 사용하여 안정화시킨 유중수형 특허(미국특허 4,720,353)가 있으며, 레티노이드의 화학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한 종류 이상의 수용성 항산화제, 한 종류 이상의 유용성 항산화제 및 킬레이트제를 함유한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유럽특허 0440,398 BI)이 발표되었고, 유럽특허 1568,106 A1에서는 레티노이드를 안정화시키는 시스템으로써 킬레이트제와 유용성 항산화제, 킬레이트제와 수용성 항산화제, 유화물의 유상과 수상에 동시에 존재하는 항산화제 및 자유 염기형의 이미다졸을 함유하는 수중유형의 유화조성물이 보고된 바 있다. 상기의 여러 가지 특허의 경우, 레티놀 또는 이의 유도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유화형태에 따라 유, 수용성 항산화제 또는 킬레이트제의 종류를 변화시켜 사용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레티놀의 안정화를 위해 다양한 항산화제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은 라디칼소거제로서, 라디칼 연쇄반응을 강력하게 저해함으로써 항산화 작용을 갖는 물질들이다. 그러나, 상기 항산화제들은 효과적으로 레티놀을 안정화하여 변색, 변취, 역가 유지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많은 한계를 보여 왔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은 괄호 내에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과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레티놀이 가지고 있는 불안정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으며, 제형 내에서 레티놀의 산화 안정성을 증대하기 위해 여러 가지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를 거듭해온 결과, 신규 산화 안정제인 카페익산 유도체가 강력한 항산화력을 갖고, 레티놀을 효과적으로 안정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름개선과 같은 피부미용 효과가 매우 우수하나 불안정한 단점이 있는 레티놀을 안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신규 산화 안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규 산화 안정제인 카페익산 유도체를 이용하여 레티놀을 더욱 효과적으로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레티놀의 피부 내 작용을 통해 주름개선과 같은 피부미용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페익산 유도체를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01 ~ 10.0중량% 및 레티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37368762-pat00001
이때, 상기 레티놀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 5.0중량%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카페익산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페익 에틸 에스테르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트리아졸 유도체로부터 합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2]
Figure 112008037368762-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08037368762-pat00003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레티놀의 역가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주름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연고, 패취, 또는 분무제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름개선과 같은 피부미용 효과가 매우 우수하나 불안정한 단점을 가지고 있는 레티놀을 안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신규 산화 안정제인 카페익산 유도체를 이용하여 레티놀을 더욱 효과적으로 안정화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이용된 신규 산화 안정제인 카페익산 유도체는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어 효과적으로 레티놀의 산화를 방지함으로서, 장기간 보관 시 역가 저하 및 변색 또는 변취 현상이 없고, 빛, 온도, 산소 등으로부터 레티놀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유지해 주어 레티놀이 가지고 있는 피부미용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레티놀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피부주름 개선 및 방지효과, 여드름 치유효과 등 다양한 미용효과를 갖으나 열, 빛, 온도, 수분, 산소, 시간 경과 등에 매우 불안정하여 대기 중에 노출되거나 수용액 중에서 쉽게 산화되어 역가가 떨어지고, 변색, 변취가 일어나는 등 안정성에 큰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대부분 스킨, 로션, 에센스, 크림 등과 같은 액상의 제형을 기초로 하여, 제형 내에 여러 가지 첨가물과 중량제 같은 다양한 물질들이 포함되며, 유통 기한이 1년에서 3년 정도의 장기간 소요된다. 이때, 레티놀을 화장료로서 제품화하기 위해서는 변색 또는 변취가 일어나지 않아야 소비자 불만과 환불, 교환 등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물질의 불안정성을 극복할 수 있는 실제적인 안정화 방법이 수반되어야 한다. 한편, 레티놀에 대한 설명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아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안정'이란 레티놀이 빛, 온도, 산소 등에 노출되거나 수용액 상에 존재하는 경우 산화에 의해 역가가 떨어지고, 변색, 변취가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레티놀을 함유하되, 레티놀의 불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레티놀에 안정화제로 작용하는 카페익산 유도체를 함유하고, 상기 카페익산 유도체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된다.
한편, 카페익산은 화학식이 C9H8O4이고 분자량은 180.16이다. 석탄산(phenolic) 화합물에 포함되며, 뜨거운 물과 알코올에 용해하기 쉬운 노란색 결정체이다. 두 개의 수산기를 가지고 있으며, 계피산과 관계가 있다. 카페익산과 계피산은 탄소가 순환하는 카르복시산 그룹의 한 부분이며, 카페인(Caffeine)과는 다른 화합물이다. 식품에 따라 용량은 많이 다르지만 커피콩을 포함한 배(Pear)와 같은 과일과 바질(Basil), 타임(Thyme), 버베나(Verbena), 타라곤(Tarragon), 오레가노(Oregano), 터머릭(Turmeric), 곽향초석잠(Wood Betony), 로즈마리(Rosemary), 민들레 같은 약용식물 및 채소에 포함되어 있다. 카페익산은 발암억제제로서 작 용하고, 생체 안과 밖에서 항산화제로서 알려져 있으며 다른 항산화제보다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카페익산은 95%이상 아플라톡신(aflatoxin)의 생산을 줄여줄 뿐만 아니라,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카페익산은 강력한 항산화 효과가 있으나 물에 쉽게 용해되지 않아 제형에 적용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쉽게 석출되는 등 레티놀을 안정화시키는데 이용하기가 어려웠다. 본 발명자들은 카페익산을 제형에 적용하기 용이하도록 화학적 유도체에 대한 연구를 한 결과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카페익산 유도체를 합성하였으며 상기 카페익산 유도체는 물에는 물론 알코올에도 우수한 수용성을 가지며 레티놀을 안정화시키는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화학식 1의 카페익산 유도체는 N-(5-메르캅토-1,2,4-트리아졸) 3,4-디하이드록시 신남아마이드[N-(5-Mercapto-1,2,4-triazole) 3,4-Dihydroxy Cinnamamide]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카페익산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페익 에틸 에스테르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트리아졸 유도체로부터 합성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08037368762-pat00004
< 카페익 에틸 에스테르 >
[화학식 3]
Figure 112008037368762-pat00005
< 트리아졸 유도체 >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페익산 유도체는 강력한 항산화력을 가져 피부 적용에 효과적이며, 레티놀의 안정화를 극대화시킨다. 이러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페익산 유도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서 항산화제 및/또는 레티놀의 안정화제로 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료(화장품) 또는 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약품, 식품 등의 조성물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료(화장품) 등을 구성하는 베이스 성분에 레티놀과,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페익산 유도체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하여 조성되며, 상기 카페익산 유도체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N-(5-메르캅토-1,2,4-트리아졸) 3,4-디하이드록시 신남아마이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레티놀의 역가를 유지하여 레티놀을 안정화시켜 레티놀의 효과인 주름개선 또는 여드름 개선등의 효과를 가져오는 다른 카페익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페익산 유도체의 함량은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레티놀의 안정화 및 항산화력을 기대하기가 힘들며, 10.0 중량% 이상일 경우에는 제형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조성물에 함유되는 레티놀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0 중량%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한다. 레티놀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인 경우 레티놀의 함유에 따른 주름 개선, 또는 여드름 치료효과가 미미하고, 5.0 중량%를 초과한 경우 제형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화장료(화장품) 조성물의 제형을 갖는 것이 적합하고,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레티놀과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페익산 유도체 이외에 통상적인 화장료 베이스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다른 안정화제, 용해화제,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함유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화장료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화장수(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등), 에센스, 크림(아이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등), 팩, 젤, 로션, 연고, 패취 또는 분무제,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클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및 산화아연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화장수, 에센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 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렌 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및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및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 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및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레티놀의 역가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안정화되어 레티놀에 따른 주름개선, 여드름 개선과 같은 피부 개선 효과가 효율적으로 작용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 카페익산 유도체의 합성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페익 에틸 에스테르 10g 을 50mL 에탄올에 용해한 후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트리아졸 유도체 5g을 가해 2시간 동안 환류 교반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그리고, 진한 염산을 1mL을 가한 후 냉장 보관한다. 다음으로 침전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건조한 후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페익산 유도체 12g(수율:80%)을 얻었다. 이때, 성분 분석(Element Analysis) 결과 C 48.92 H 3.54 N 19.98 O 17.51; S 11.45 의 성분비를 나타내어 화학식 1의 물질(C11H10N4O3S1(278.33): C 47.47 H 3.62 N 20.13 O 17.24 S 11.52)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 : 용해도 시험
본 발명의 제조예에 따라 얻어진 카페익산 유도체의 용해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카페익산 유도체를 1 mg/mL, 10 mg/mL, 100 mg/mL의 농도로 각각 정제수와 에탄올을 용매제로 사용하여 용해시켜 보았으며, 대조 물질로는 카페익산(시그마, 미합중국)을 동일한 농도 및 용매로 용해시켜 보았다. 용매제로 사용된 정제수 및 에탄올은 실험 전 워터 배스에 방치하여 25℃의 온도를 유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용매제 농도(mg/mL) 용해도
카페익산 유도체 카페익산
정제수(25℃) 1 완전용해 불용해
10 완전용해 불용해
100 완전용해 불용해
에탄올(25℃) 1 완전용해 완전용해
10 완전용해 완전용해
100 완전용해 불용해
상기 표 1에 나타난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페익산 유도체는 100 mg/mL의 농도까지 정제수 및 에탄올에 완전 용해되었으나, 대조 물질인 카페익산은 정제수에서는 불용해, 에탄올에서는 10 mg/mL의 농도까지만 완전 용해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카페익산 유도체는 카페익산에 비해 정제수 및 에탄올에 대한 용해도가 크게 증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 카페익산 유도체의 항산화력 측정
본 발명의 제조예에 따라 얻어진 카페익산 유도체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실험(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est)을 실시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실험은 Kim 등(Kor . J. Pharmacogn ., 24(4), 299-303(1993))의 방법을 변형한 것으로서, 안정한 자유라디칼인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시그마사) 시약을 사용하였다. 0.2mM DPPH 용액(Blank인 경우는 에탄올) 150 ㎕에 상기 카페익산 유도체를 다양한 농도로 제작하여, 이들을 각각 150 ㎕ 첨가하여 혼합하고,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는 실험군을 설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대조군으로는 정제수를 이용한 경우로 설정하였다. 상기 실험군과 대조군에 대한 흡광도 측정 후,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효과를 구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자유라디칼소거효과 (%) = 100 - [(실험군 흡광도 - Blank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x 100
카페익산 유도체 (ppm) 자유라디칼소거효과(%)
3.125 22.0
6.25 39.1
12.5 64.8
25 87.9
50 95.1
상기 표 2에 나타낸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페익산 유도체는 자유라디칼 소거 능력이 매우 탁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비교예
하기 표 3의 성분과 조성비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레티놀 및 상기 카페익산 유도체를 각각 0.3%(w/w), 2%(w/w)가 포함된 실시예와 카페익산 유도체가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를 제조하였다.
성 분 실시예 비교예
함량(중량%) 함량(중량%)
레티놀 0.3 0.3
카페익산 유도체 2.0 -
A 세토스테아릴알콜 2.0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1.5
스쿠알란 5.0 5.0
유동파라핀 3.0 3.0
트리옥타노인 5.0 5.0
폴리솔베이트 1.2 1.2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0.5
토코페롤아세테이트 0.2 0.2
싸이크로메치콘 3.0 3.0
BHT 0.05 0.05
B 글리세린 4.0 4.0
1,3-부틸렌글리콜 2.0 2.0
EDTA-2Na 0.05 0.05
정제수 To 100 To 100
향, 방부제 적량 적량
실험예 3 : 레티놀의 역가 측정
본 발명의 매우 불안정한 단점이 있는 레티놀을 안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페익산 유도체의 레티놀에 대한 역가 유지능을 측정하여 보았다.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조성물 내의 레티놀의 초기 역가를 100으로 하고, 1개월 후의 레티놀 역가를 25℃와 45℃에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측정은 Waters사의 SunFire C18 5, 100A, 150X4.6mm 컬럼을 이용하였다. 이때, 검출기의 파장은 254nm으로 하고, 이동상은 25mM KH2PO4 buffer(pH2.5)를 이용하였으며, 0.6mL/min의 유속으로 측정하였다.
레티놀의 역가 비교 결과
실시예 비교예
25℃ 99 93
45℃ 94 51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레티놀을 카페익산 유도체로 안정화한 제형(실시예)이 그렇지 않은 제형(비교예)보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훨씬 안정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 변색 시험
상기 표 3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4주 동안 보관하고 또한 4℃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완전히 차광된 냉장고 내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4주 동안 보관한 후 변색 정도를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이 때 제품 변색 정도를 다음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0 : 변화없음; 1 : 극히 조금 변화; 2 : 조금 변화; 3 : 조금 심하게 변화; 4 :심하게 변화; 5 : 극히 심하게 변화.
온도 변색 정도
실시예 비교예
45℃ 0.5 2.5
4℃ 0 1.5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는 4주 경과 후 고온에서 육안으로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의 약간의 변색만 관찰된 반면, 비교예는 4주 경과 후 저온, 고온 모두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변색 현상을 보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해 안정성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 인체피부를 대상으로 한 피부주름 개선 효과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주름 개선 효과를 건강한 한국 여성 15명을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33세 ~ 51세의 안면주름이 있는 시험대상자에 대하여, 안면 좌부에는 실시예를, 우부에는 비교예를 2개월간 사용하도록 하였다. 조성물 사용 이전의 안면 양쪽부의 피부 상태를 측정해 놓은 후, 사용 2개월 후 동일 부위를 재측정하여 피부 주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피부 측정은 22℃, 상대습도 40%의 항온 항습실에서 하였으며, 눈꼬리 부위의 주름을 레플리카(replica)로 떠서 피부 비지오미터(Skin Visiometer SV600, 독일연방공화국)로 피부주름을 측정하였다. 피부주름의 변화량은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였다.
변화량 (△%) = {(Tdi-Td0) / Tdo} X 100
Tdi; D60에서의 측정부위 값
Tdo; D0에서의 측정부위 값
상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한 결과, 비교예를 사용한 부위의 피부주름은 12.9 ± 1.4% (평균 ± 표준편차)의 감소치를 나타낸 반면, 실시예를 사용한 부위의 피부 주름은 16.7 ± 2.4%의 감소치를 보여 우수한 피부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 내었다. 따라서 레티놀의 역가가 효과적으로 보존됨으로써 레티놀에 의한 피부주름 개선효과가 비교예에 비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 인체 피부 첩포시험
과거력상 피부자극에 과민반응을 보인 적이 없으며, 현재 피부병 내지 피부 알러지 증상이 없는 20 ~ 3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피부자극 유발 정도를 인체 피부 첩포시험을 통하여 확인해 보았다. 우선 시험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켰다. 준비된 시험물질을 15 ㎍씩 핀 챔버(Finn chamber, 100×10, EPITEST, 핀란드국) 내에 적하시킨 후 시험대상자의 전박(forearm) 안쪽 부위에 밀폐첩포하였다. 24시간 동안 첩포하고 첩포를 제거한 후 표시펜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였다. 각각 1시간 그리고 24시간 후에 확대경 (8MC-150, DAZOR, 미합중국)을 이용하여 시험 부위를 관찰하여 홍반 및 부종 유무를 관찰하였다. 피부반응은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CDRG: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의 규정에 따라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 피부반응의 평가 기준 및 점수 -
기 호 점수 평가 기준
- 0 무반응
± 0.5 희미한 또는 가벼운 홍반
+ 1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및 구진
++ 2 뚜렷한 홍반, 구진 및 소수포
+++ 3 심한 홍반 및 대수포, 가피형성
평균피부반응도(mean score) =
(Score X No. of response X 100 X 1/2) / (3(Maximum score) X 총피검자수)
시험물질 24시간 48시간 Mean score
(n=20)
± + ++ ± + ++
실시예
비교예
- - -
- - -
- - -
- - -
0.00
0.00
상기 수학식 3에 의한 계산결과인 상기 표 6에서 알 수 있듯이, 카페익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실시예)도 피부 자극 및 부작용이 없는 매우 안전한 화장료 조성물임을 확인하였다.
이하 상기한 실험예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본 발명의 레티놀과 레티놀을 안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페익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를 조성하여 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하기의 제형 예들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스킨로션)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레티놀 0.1
카페익산 유도체 1.0
1.3-부틸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올레일알코올 0.1
폴리솔베이트 20 0.5
에탄올 15.0
벤조페논-9 0.05
향,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2: 영양화장수( 밀크로션 )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레티놀 0.2
카페익산 유도체 3.0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1.2
토코페닐아세테이트 3.0
유동파라핀 5.0
스쿠알란 3.0
마카다이아너트오일 2.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1.0
비에치티이 0.01
EDTA-2Na 0.01
향,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3: 영양크림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레티놀 0.2
카페익산 유도체 3.0
세토스테아릴알콜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트리옥타노인 5.0
폴리솔베이트 60 1.2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스쿠알란 5.0
유동 파라핀 3.0
싸이클로메치콘 3.0
비에이치티이 0.05
델타-토코페롤 0.2
농글리세린 4.0
1,3-부틸렌글리콜 2.0
산타검 0.1
EDTA-2Na 0.05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4: 마사지크림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사지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레티놀 0.1
카페익산 유도체 2.0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0.5
밀납 2.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폴리솔베이트 60 3.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5
세테아릴알코올 2.0
유동파라핀 30.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5: 팩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레티놀 0.1
카페익산 유도체 5.0
프로필렌글리콜 2.0
글리세린 4.0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3
에탄올 7.0
피이지-40 히드로게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0.8
트리에탄올아민 0.3
비에치티이 0.01
EDTA-2Na 0.01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페익산 유도체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 10.0중량% 및 레티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igure 112010057917330-pat00006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티놀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 5.0중량%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페익산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페익 에틸 에스테르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트리아졸 유도체로부터 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화장료 조성물.
    Figure 112010057917330-pat00007
    Figure 112010057917330-pat00008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레티놀의 역가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주름을 개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연고, 패취, 또는 분무제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048728A 2008-05-26 2008-05-26 레티놀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014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728A KR101014611B1 (ko) 2008-05-26 2008-05-26 레티놀을 함유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728A KR101014611B1 (ko) 2008-05-26 2008-05-26 레티놀을 함유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770A KR20090122770A (ko) 2009-12-01
KR101014611B1 true KR101014611B1 (ko) 2011-02-16

Family

ID=41685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728A KR101014611B1 (ko) 2008-05-26 2008-05-26 레티놀을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46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9841B2 (en) * 2004-01-13 2007-02-20 L'oreal Usa Creative, Inc. Stabilized ascorbic acid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for
JP2008007443A (ja) * 2006-06-28 2008-01-17 Shiseido Co Ltd 桂皮酸誘導体、その紫外線吸収剤としての用途、及びこれを配合した紫外線吸収性組成物、皮膚外用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9841B2 (en) * 2004-01-13 2007-02-20 L'oreal Usa Creative, Inc. Stabilized ascorbic acid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for
JP2008007443A (ja) * 2006-06-28 2008-01-17 Shiseido Co Ltd 桂皮酸誘導体、その紫外線吸収剤としての用途、及びこれを配合した紫外線吸収性組成物、皮膚外用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770A (ko) 200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2090B2 (en) Vitamin C composition stabilized with cationic material, anionic material and caffeic acid derivative
KR102301123B1 (ko) 혼합 항산화제를 사용하여 안정화시킨 레티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892057A (ja) コーヒーノキ種子抽出物配合化粧料
KR20170141991A (ko) 베르게닌 및 플러린을 포함하여 비타민 c를 안정화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49021B1 (ko) 카페익산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100051284A (ko) 미백용 또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20050136015A1 (en) Topical use of halosalicylic acid derivatives
KR100926073B1 (ko) 비타민 c와 백년초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각질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03654B1 (ko) 하고초 추출물과 아데노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14611B1 (ko) 레티놀을 함유하는 조성물
CN116158991A (zh) 一种含补骨脂酚的抗衰美白组合物和乳霜及其制备方法
KR101509603B1 (ko) 미백용 또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02370962A (ja) 美白用化粧料および皮膚老化防止・改善用化粧料
JP2005104962A (ja) 皮膚外用剤
KR101500551B1 (ko) 하이드록시시트릭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44935B1 (ko) 병아리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0110B1 (ko) 아사이베리 추출물 및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54060B1 (ko) 레티놀과 카로티노이드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355892B1 (ko) 레티놀과 테트라디부틸 펜타에리스리틸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4142680B1 (en) Stabilized cosmetic compositions with n, n&#39;-di-acetyl cystine
RU2818915C2 (ru) Стабилизация соединений резорцина в косметических композициях
JPWO2004089393A1 (ja) 光老化防御剤、光老化改善剤、コラゲナーゼ阻害剤及びチロシナーゼ阻害剤
KR100515951B1 (ko) 괴화 추출물 및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JP2006248909A (ja) レーザー光を照射して得られるラジカル消去作用を呈する抗炎症剤、それを含有する食品製剤、化粧品製剤
KR20210066737A (ko) 레티놀과 피루브산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