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9131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9131A
KR20030019131A KR1020020050748A KR20020050748A KR20030019131A KR 20030019131 A KR20030019131 A KR 20030019131A KR 1020020050748 A KR1020020050748 A KR 1020020050748A KR 20020050748 A KR20020050748 A KR 20020050748A KR 20030019131 A KR20030019131 A KR 20030019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opening
panel
air conditione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8633B1 (ko
Inventor
오자와데츠로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9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6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구를 개폐 자유롭게 하는 전면패널에 작은 공간이면 족한 개폐구동기구를 구비하고, 본체 소형화의 지장이 되지 않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본체 내로의 먼지 침입을 저지하고 청정화를 유지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열교환기(9) 및 송풍기(11)를 수용하는 유닛본체(1)의 전방부에 흡입구(3)를 설치하고, 이 흡입구 근방에 개폐구동기구(5)를 설치하고, 이 개폐구동기구에 지지되어 흡입구를 개폐 자유롭게 하는 가동패널(6)을 구비하며, 상기 개폐구동기구는 서로의 일단부가 근접되고 또한 회동 자유롭게 본체에 지지되고, 서로의 타단부가 서로 이간되어 가동 패널에 연결되어 타단부 상호를 근접·이간하도록 회동하는 것에 의해 가동패널을 흡입구에 대해 개폐구동하는 링크부재(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실내기와 실외기로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에 관련된 것으로서, 특히 실내기에 있어서 흡입구를 개폐 자유롭게 한 패널(panel)의 구동구조에 관한 것이다.
실내기와 실외기로 구성되는 공기조화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실내기에 있어서는 본체에 흡입구 및 분출구를 구비하고, 본체 내부에는 열교환기 및 송풍기 등이 수용된다.
상기 분출구에는 루버(louver)가 설치되어 있어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의 전환에 따라 최적방향으로 분출시키도록 전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냉방운전시에는 거의 수평방향을 향해 냉풍이 직접 닿지 않도록 하고, 난방운전시에는 소위 머리는 차갑고 발은 따뜻하게 발부근에 온풍을 분출한다.
이에 대해 흡입구의 경우는 실내에서 흡입구를 통해 본체 내가 보이지 않도록 내부를 차폐하기 위한 그릴(grill)을 구비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흡입구는 완전개방상태에 있고, 특히 운전정지시에 먼지의 침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장기 사용시에 본체 내에 침입한 먼지가 열교환기에 부착퇴적하여 열교환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거나, 송풍기 팬(fan)에 부착하여 송풍효율이 저하되거나, 송풍로나 드레인 팬(drain pan)에 부착하여 곰팡이가 발생하는 등, 여러 폐해가 있다.
그래서, 근래는 흡입구를 개폐하는 전면패널을 구비한 실내기가 제공되는 경향에 있다. 상기 전면패널은 이하와 같은 기구에 의해 개폐구동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흡입구에 전면패널을 대향시키고 전면패널의 이면측에서 좌우 양측부 및 상하부에 평행하게 스테이(stay)를 돌출설치한다. 어느 하나의 스테이의 단부에 랙과 피니온의 조합에 의한 구동기구가 설치되어 스테이를 진퇴구동하는 것에 의해 전면패널이 흡입구를 개폐한다.
또는 흡입구에 전면패널을 대향시키고 전면패널의 이면측 좌우 양측부 및 상하부와 본체와의 사이를 평행링크기구로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이 평행링크기구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전면패널이 흡입구를 개폐한다.
이 밖에 전면패널을 개폐구동하는 기구로서 다양한 것이 고안되는데, 모두 기구적으로 크고, 배치 공간도 커져서 설계가 어렵게 된다.
즉, 근래의 경향으로서 열교환기의 전면측에 전기집진기를 구비하고, 전기집진기와 폐쇄상태의 전면패널과의 사이의 공간이 조금밖에 없어 상기한 개폐구동기구를 배치하는데는 무리가 있다.
또, 본체의 높이치수를 억제하기 위해 열교환기의 상부는 본체의 상부에 근접하여 수용되어 여기에 개폐구동기구를 배치하는 여유가 없다. 열교환기의 하부에는 드레인 팬이 배치되고 그 하부에는 분출구를 구비하기 때문에 여기에는 개폐구동기구를 배치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패널에 작은 공간이면 족한 개폐구동기구를 구비하여 흡입구를 개폐 자유롭게 하여 본체의 소형화의 장해가 되지 않게 하며,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본체 내부로의 먼지 침입을 저지하여 청정화를 유지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가동패널이 흡입구를 폐쇄한 상태에서의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실내기의 개략 단면도,
도 2는 상기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유닛본체와, 이 본체에 부착되는 개폐구동기구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2와는 다른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폐구동기구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5는 상기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가동패널의 이면측과, 이 개폐구동기구의 사시도,
도 6은 상기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폐구동기구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과, 그 측면도,
도 7은 상기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가동패널이 흡입구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실내기의 개략 단면도,
도 8은 상기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가동패널이 흡입구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실내기의 측면도 및
도 9는 상기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가동패널이 흡입구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열교환기 11: 송풍기
1: 유닛 본체(공기조화기 본체) 3: 전방부 흡입구
5: 개폐구동기구 4: 전면패널
6: 가동패널 20: 링크부재
23A: 상부측 링크 23B: 하부측 링크
21: 구동축 22: 구동원
1A: 평탄부 26a, 26b: 기어부
24: 비틀림 코일 스프링(탄성부재) 20a: 링크 커버
상기 목적을 만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수단으로서 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수용하는 공기조화기 본체, 이 공기조화기 본체에 설치되는 열교환공기의 흡입구, 이 흡입구 근방에 설치되는 개폐구동기구 및 이 개폐구동기구에 지지되고 상기 흡입구를 개폐 자유로운 패널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동기구는 서로의 일단부가 근접하고 또한 회동자유롭게 공기조화기 본체에 지지되며, 서로의 타단부가 서로 이간하여 상기 패널에 연결되고, 타단부 상호를 근접·이간하도록 회동하는 것에 의해 패널을 흡입구에 대해 개폐구동하는 링크부재를 구비했다.
제 2 수단으로서 상기 개폐구동기구는 패널의 폭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조 구비되는 상기 링크부재와, 이들 링크부재 상호를 연결하는 구동축과, 이 구동축을 회동구동하는 구동원으로 구성된다.
제 3 수단으로서 상기 흡입구가 설치되는 공기조화기 본체부위는 일부가 상기 링크부재를 부착하는 평탄부이고, 나머지 부분이 바로 앞쪽에 돌출하는 만곡(彎曲) 형상을 이루고, 상기 흡입구는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의 폭방향에 걸쳐 개구되며, 상기 패널은 공기조화기 본체의 평탄부와 간격을 두고 바로 앞쪽에 돌출하는 만곡형상을 이루고, 또한 공기조화기 본체의 폭방향에서 양측부에 걸쳐 절곡(折曲)형성된다.
제 4 수단으로서 상기 개폐구동기구는 상기 흡입구의 폭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의 한 측부를 다른 측부보다 크게 개방하도록 패널을 구동한다.
제 5 수단으로서, 상기 링크부재는 길이가 다른 2개의 링크를 구비하고 있고, 한쪽 링크가 다른쪽 링크보다도 길게 형성된다.
제 6 수단으로서, 상기 길이가 다른 링크 중 어느 한쪽 링크는 일단부가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는 구동측 링크이고, 다른쪽 링크는 상기 구동측 링크의 회동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종동하는 종동측 링크이다.
제 7 수단으로서, 상기 구동측 링크와 종동측 링크는 탄성부재에 의해 패널의 폐쇄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진다.
제 8 수단으로서, 상기 구동측 링크와 종동측 링크는 각각 기어부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기어부가 서로 맞물려서 구동력이 전달된다.
제 9 수단으로서, 상기 구동측 링크와 종동측 링크에 설치되는 기어부는 링크커버 간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열교환기의 전면과 상부 및 하부에 공간적으로 여유가 없는 상태여도 패널에 작은 공간이면 족한 개폐구동기구를 구비하여 흡입구를 개폐 자유롭게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본체 내로의 먼지의 침입을 저지하여 청정화를 유지했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실내기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 '1'은 유닛 본체(공기조화기 본체)이고, 이것은 측면에서 보아 만곡되는 전면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면부와 하면부 및 좌우 양측부는 거의 평판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유닛 본체(1)의 상면부에 상부 흡입구(2)가 설치되고, 전면부에 전방부 흡입구(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방부 흡입구(3)를 덮도록 유닛 본체(1)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패널(4)이 부착된다.
또, 전면패널(4)은 상하단부를 제외하고 오목하게 패여 형성되고, 오목하게 패인 부분은 둘레부를 제외하고 개구되어 있다. 전면패널(4)의 오목하게 패인 부분에는 후술하는 개폐구동기구(5)에 지지되는 가동패널(6)이 부착되어 개구부인 전방부 흡입구(3)를 개폐 자유롭게 이룬다.
상기 가동패널(6)이 전면패널(4)의 오목하게 패인 부분에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패널 상호는 소정의 곡률로 바로 앞쪽에 돌출하도록 만곡된다. 또, 패널(6, 4) 상호의 맞춤면에 단차가 없는 동일곡면이고, 또한 각각이 매우 평활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부 흡입구(3)의 하부를 따라 분출구(7)가 설치되어 있고, 이 분출구(7)는 각각 개별적으로 회동제어되는 2장의 분출루버(8A, 8B)에 의해 개폐 자유롭다.
유닛 본체(1) 내에는 앞쪽 열교환기부(9A)와 뒤쪽 열교환기부(9B)로 대략 역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열교환기(9)가 배치된다. 상기 앞쪽 열교환기부(9A)는 전면패널(4)과 간극을 두고 거의 평행한 만곡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뒤쪽 열교환기부(9B)는 곧은 형상이지만 비스듬하게 경사져서 상부 흡입구(2)와 대향한다.
상기 열교환기(9)의 앞쪽 열교환기부(9A)의 전면쪽에는 전기집진기(10)가 부착되어 있다. 이 전기집진기(10)는 하전측 전극과 집진측 전극으로 구성되어 있고, 하전측 전극은 공기중의 집진에 전하를 부여하고, 그 후 집진측 전극에 있어서 전하를 부여받은 먼지를 끌어당겨 먼지를 제거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열교환기(9)의 앞뒤쪽 열교환기부(9A, 9B)의 상호간에, 또한 상기 분출구(7)와의 사이에 송풍기(11)가 배치된다. 이 송풍기(11)는 열교환기(9)의 폭방향 치수와 대략 동일한 축방향 치수를 구비하고, 열교환기(9)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횡류 팬(cross flow fan)과, 이 횡류팬을 회전구동하는 팬 모터로 구성된다.
상기 앞쪽 열교환기부(9A)의 하단부는 앞 드레인 팬(12A) 상에 놓이고, 뒤쪽 열교환기부(9B)의 하단부는 뒤 드레인 팬(12B) 상에 놓여 각각의 열교환기부(9A, 9B)에서 적하하는 배출수를 받아 도시하지 않은 배수호스를 통해 외부에 배수할 수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전후 드레인 팬(12A, 12B)의 일부 측벽 외면은 송풍기(11)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이것으로 송풍기(11)의 팬에 대한 노즈(nose)를 구성하고 있다.
노즈를 구성하는 전후 드레인 팬(12A, 12B)의 측벽부분과, 분출구(7)의 각 변부와의 사이는 격벽부재(13)에 의해 연결된다. 이 격벽부재(13)로 둘러싸인 공간이 노즈와 분출구(7)를 연통하는 분출통풍로(14)가 된다.
한편, 전방부 흡입구(3)와 상부 흡입구(2)에 대향하여 이들 흡입구(3, 2)와 전방부 열교환기부(9A) 및 상부 열교환기부(9B) 사이에 필터(15)가 부착된다. 이 필터(15)는 분출구(7) 상단의 개방된 전면패널(4)의 하단에서 끼워 붙여지고, 필요에 따라 상기 부위에서 떼어내는 것이 자유롭다.
다음에, 상기 가동패널(6)과 전면패널(4) 및 개폐구동기구(5)에 대해 상술한다. 가동패널(6)과 대향하는 전면패널(4)의 일부는 수직인 평탄부(1A)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구동기구(5)는 복수조의 링크부재(20)와, 이들 링크부재(20)를 연결하는 구동축(21)과, 이 구동축(21)을 구동하는 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으로 구성된다.
복수조의 링크부재(20)는 모두 전면패널(4)의 평탄부(1A)에 부착된다. 구동축(21)은 링크부재(20)와 함께, 평탄부(1A)와 전방부 흡입구(3)를 폐쇄하는 상태의 가동패널(6) 이면과의 극히 얼마 안 되는 공간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구동원은 구동축(21)의 한 측부에 있고, 분출구(7)를 개폐하는 분출루버(8A, 8B)의 구동원의 극히 근방위치에 설치되어 전기배선을 공통화하여 배선작업의 간소화를 꾀하고 있다.
도 2와, 도 3은 전면패널(4)에서 가동패널(6)을 떼낸 유닛본체(1)와, 전면패널(4)에 부착되는 개폐구동기구(5)의 일부를 사시도로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2는 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가동패널(6)이 전방부 흡입구(3)를 폐쇄한 때의 개폐구동기구(5)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은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가동패널(6)이 흡입구(3)를 개방한 때의 개폐구동기구(5)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좌우 양측의 평탄부(1A)와, 거의 중앙의 평탄부(1A)에 개폐구동기구(5)를 구성하는 링크부재(20)가 부착되어 있다. 링크부재(20)는 복수조 구비되어 있고 각 링크부재(20)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1개의 상기 구동축(21)에 의해 연결된다.
이 구동축(21)의 좌측단부는 링크부재(20)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있고, 이 단부에 상세하게는 나타내지 않지만, 구동원인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구동축에 전달하는 기구로 이루어지는 구동원(22)이 부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상기 구동원(22)에 통전하여 구동력이 구동축(21)에 전달되면 복수조의 링크부재(20)가 일제히 동일한 동작을 이루도록 설정된다.
도 4는 복수조의 모든 링크부재(20)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로서, 특히 도3의 상태를 확대하고 있다.
각 링크부재(20)는 모두 동일한 형상구조를 이루고 있고, 이들 링크부재(20)가 부착되는 전면패널(4)의 상기 평탄부(1A)쪽도 또한 동일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즉, 상기 평탄부(1A)에는 오목부(30)가 형성되어 있고, 앞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패널(6)이 전방부 흡입구(3)를 폐쇄한 때에 오목부(30)에 링크부재(2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설계되어 있어 링크부재(20)의 평탄부(1A)에서의 돌출량이 얼마 안 된다.
각 링크부재(20)는 상기 구동축(21)에 일단부가 끼워부착되는 상부측 링크(23A)와, 일단부가 상부측 링크(23A)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하부측 링크(23B)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측 링크(23A)의 타단부는 위쪽으로 뻗어나오고, 하부측 링크(23B)의 타단부는 아래쪽으로 뻗어나온다.
각 링크부재(20)는 구동축(21)에 권장(卷裝)되는 탄성부재(24)를 구비하고 있다. 이 탄성부재(24)는 소위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서, 링크부재(20)의 좌우 양쪽에 위치하고 있다.
한쪽 비틀림 코일 스프링(24)은 일단이 평탄부(1A)에 걸어지고, 타단이 상부측 링크(23A)에 걸어진다. 다른쪽 비틀림 코일 스프링(24)은 일단이 평탄부(1A)에 걸어지고, 타단이 하부측 링크(23B)에 걸어진다.
이들 비틀림 코일 스프링(24)은 상부측 링크(23A)와 하부측 링크(23B)의 타단부를 평탄부(1A)에 당접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눌러 힘이 가해져 있다. 따라서, 도 4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24)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하부측 링크(23A,23B)가 돌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개폐구동기구(5)를 설명하기 위한 가동패널(6)의 이면측 사시도이고, 도 6의 (a)는 가동패널(6)의 이면측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6의 (b)는 링크부재(20)의 정면도이다.
상부측 링크(23A)의 일단부에는 둥근 구멍의 일부를 평탄하게 한 단면 거의 D자 형상을 이룬 구멍부(a)가 설치되어 있고, 여기에 단면이 D자 형상을 이룬 상기 구동축(21)이 삽입되어 끼워 부착된다.
상하부측 링크(23A, 23B)의 일단부는 서로 근접하여 양측에서 링크 커버(20a)에서 끼워넣어진다. 링크(23A, 23B)의 단부에 각각 핀부(25a, 25b)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이 링크 커버(20a)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다.
상기 링크 커버(20a)에서 끼워넣어진 각 링크(23A, 23B)의 일단부에는 기어부(26a, 26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기어부(26a, 26b)는 링크(23A, 23B)의 폭방향보다도 약간 큰 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핀부(25a, 25b)의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는 것은 아니다.
상하부측 링크(23A, 23B)의 기어부(26a, 26b)는 서로 맞물린 상태에 있기 때문에, 구동축(21)에 연결되는 상부측 링크(23A)를 회동하는 것에 의해 각 기어부(26a, 26b)를 통해 하부측 링크(23B)가 종동한다.
따라서, 상부측 링크(23A)가 구동측 링크이고, 하부측 링크(23B)가 종동측 링크가 된다. 또, 상하부측 링크(23A, 23B)의 서로의 회동각도는 평탄부(1A)에 대해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서로의 링크(23A, 23B)의 선단부는 두께 방향으로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의 안쪽에 핀부(27a, 27b)가 일체로 돌출설치된다. 두 갈래 형상의 단부간에 상기 가동패널(6)의 이면측에 설치되는 걸어맞춤부재(28A, 28B)가 삽입되고, 또한 상기 핀부(27a, 27b)가 걸어맞춤부재(28A, 28B)에 설치되는 구멍부(29a, 29b)에 걸어져 있다.
특히,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측 링크(23A)에 있어서 구멍부(a)와 선단 핀부(27a)의 중심간의 길이(La)가 하부측 링크(23B)에 있어서 핀부(25b와 27b)의 중심간의 길이(Lb)보다도 길게(La>Lb) 형성된다. 즉, 상부측 링크(23A)의 전체길이(La)는 하부측 링크(23B)의 전체길이(Lb)보다도 길다.
상부측 걸어맞춤부재(28A)에 설치되는 구멍부(29a)는 둥근 구멍이고, 상부측 링크(23A)의 핀부(27a)는 구멍부(29a)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된다. 한편, 하부측 걸어맞춤부재(28B)에 설치되는 구멍부(29b)는 긴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측 링크(23B)의 핀부(27b)는 구멍부(29b)에 회동 자유롭고 또한 이동 자유롭게 지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다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지시는 가동패널(6)이 전방부 흡입구(3)를 폐쇄하고 있고, 이 흡입구에서 유닛 본체(1) 내부에 먼지의 침입은 없다. 분출구(7)도 2장의 분출루버(8A, 8B)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리모콘의 운전 스위치를 온으로 전환하면(turn ON),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폐구동기구(5)가 작동하여 가동패널(6)이 바로 앞쪽에 이동하고 전방부 흡입구(3)가 개방된다.
도 7은 가동패널(6)이 전방부 흡입구(3)를 개방한 상태의 측면도, 도 8은 같은 상태의 실내기의 측면도, 도 9는 같은 상태의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분출구(7)에 구비된 분출루버(8A, 8B)는 도면의 상태에서는 분출구를 폐쇄하고 있지만,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의 전환설정에 따라 소정량 회동한다. 송풍기(11)가 송풍작용을 이루는 한편, 실외기의 압축기가 구동되고 냉동 사이클 운전이 개시된다.
실내공기는 상부 흡입구(2)와 전방부 흡입구(3)에서 유닛 본체(1) 내에 인도되고, 에어 필터(15)를 통과한다. 실내공기에 포함된 먼지는 에어 필터(15)에 포착되어 먼지가 제거된 상태에서 열교환기(9)를 통과하여 열교환 작용이 실행된다.
이 열교환 공기는 분출통풍로(14)를 따라 인도되고, 분출구(7)에서 분출하여 루버(8A, 8B)에 안내되고 실내로 분출되어 효율적인 공기조화운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전기집진기(10)가 작용하여 에어 필터(15)에서 포착되지 않은 먼지를 완전히 포착한다. 따라서, 청정화된 공기가 열교환기(9)를 통해 분출구(7)에서 실내로 분출된다.
공기운전을 종료시키기 위한 리모콘의 운전 스위치를 오프로 하면(turn OFF), 압축기와 송풍기(11) 및 전기집진기(10)의 운전이 정지하고, 또한 개폐구동기구(5)는 가동패널(6)을 후퇴이동시키고 전방부 흡입구(3)는 폐쇄된다.
다음에, 상기 개폐구동기구(5)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가동패널(6)이 전방부 흡입구(3)를 폐쇄하고 있을 때의 개폐구동기구(5)는링크부재(20)를 구성하는 상부측 링크(23A)와 하부측 링크(23B)가 수직형상이 되어 흡사 1개의 곧은 형상의 링크처럼 보인다. 이들 링크(23A, 23B)의 거의 반분은 본체 평탄부(1A)에 형성되는 오목부(30)에 삽입되고 나머지 반분이 평탄부(1A)에서 돌출한다.
이 때, 하부측 링크(23B)의 하단의 핀부(27b)는 하부측 걸어맞춤부재(28B)의 긴 구멍으로 이루어진 구멍부(29b)의 최하부에 걸어맞춰져 있다. 각 걸어맞춤부재(28A, 28B)는 가장 본체(1)쪽으로 끌어당겨져 있고, 이들 걸어맞춤부재(28A, 28B)를 구비한 가동패널(6)은 전방부 흡입구(3)를 완전히 폐쇄한다.
리모콘의 운전 스위치를 온하는 것에 의해 공조운전이 개시되고, 동시에 개폐구동기구(5)의 구동원(22)은 구동축(21)을 도 1, 도 2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구동한다.
상부측 비틀림 코일 스프링(24)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부측 링크(23A)의 상단부가 전방에 돌출하도록 회동하고, 기어부(26a, 26b)를 통해 하부측 링크(23B)에 회동력이 전달된다.
하부측 링크(23B)는 하부측 비틀림 코일 스프링(24)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그 하단부가 전방에 돌출하도록 회동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때의 상하부측 링크(23A, 23B)의 회동각은 서로 동일하다.
구동축(21)을 소정량 회동하고 구동원(22)이 정지한다. 상하부측 링크(23A, 23B)는 각각의 상하단부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대략 '八'자 형상이 된다.
각 링크(23A, 23B)와 걸어맞춤부재(28A, 28B)를 통해 가동패널(6)이 바로 앞쪽에 돌출이동하고 전방부 흡입구(3)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하부측 링크(23B) 선단의 핀부(27b)는 하부측 걸어맞춤부재(28B)의 긴 구멍으로 이루어진 구멍부(29b)의 상단에 걸어맞춰진다.
상부측 링크(23A)의 전체 길이(La)가 하부측 링크(23B)의 전체 길이(Lb)보다도 길게 설정되고, 상부측 걸어맞춤부재(28A)에 둥근 구멍으로 이루어진 구멍부(29a)를 구비하고, 하부측 걸어맞춤부재(28B)에 긴 구멍으로 이루어진 구멍부(29b)를 구비한 구성에서, 가동패널(6)은 전방부 흡입구(3)의 상부측을 하부측보다도 크게 개방하도록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7 및 도 8에 기재한 바와 같이, 가동패널(6)의 상단 테두리와 전면패널(4)과의 간격(Sa)은 가동패널(6)의 하단 테두리와 전면패널(4)과의 간격(Sb)보다 커진다(Sa>Sb).
통상, 실내기는 거실의 벽면에서 천정에 가까운 높은 곳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거주자는 거의 밑에서 실내기를 올려다 본다.
이와 같은 조건하에서 공조운전시에 가동패널(6)이 (Sa>Sb)의 상태에서 전방부 흡입구(3)를 개방하고 있기 때문에, 거주자로부터는 가동패널(6)이 거의 이동하지 않는 것 같이 보여 위화감이 없어 보기에 좋다.
특히,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패널(6)의 양측부(6a)는 유닛 본체(1)의 양측부를 따라 절곡형성되어 있고, 전방부 흡입구(3)를 개방할 때에도 가동패널(6)의 양측부(6a)는 유닛 본체(2)의 측부를 따라 이동할 뿐이다.
즉, 전방부 흡입구(3)의 양측부는 가동패널(6)에 의해 폐쇄되지만, 상기한 (Sa>Sb)의 관계에서 충분한 흡입공간부가 확보되어 열교환해야 할 공기의 흡입량이 충분하게 있다. 그리고, 상부측에서의 흡입이 주류가 되기 때문에 실내에서 대류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다시 공조운전을 정지한 때의 개폐구동기구(5)에 있어서 하부측 링크(23B)의 핀부(27b)가 걸어맞춤부재(28B)의 구멍부(긴 구멍)(29b)를 이동하고나서 이 걸어맞춤부재(28B)를 끌어올린다.
그리고, 상하부측 링크(23A, 23B)의 전체 길이가 서로 다른 점에서 상하 걸어맞춤부재(28A, 28B)와 가동패널(6) 상하부에 대한 이동량이 전방부 흡입구(3)의 개방량에 비례하여 마침내는 전방부 흡입구(3)를 폐쇄한다.
이와 같이, 전방부 흡입구(3)를 가동패널(6)에 의해 개폐할 수 있고, 운전정시에 있어서 전방부 흡입구(3)를 완전폐쇄하여 먼지의 본체(1) 내부 침입을 저지하여 여러가지 문제발생이 없다.
또, 개폐구동기구(5)를 구성하는 링크부재(20)와 구동축(21)은 전면패널(4)의 평탄부(1A)와 가동패널(6) 이면측과의 약간의 공간부에 배치할 수 있어 간소한 구성으로 본체의 소형화를 촉진한다.
상기 전면패널(4)과 가동패널(6)을 만곡형성하여 가동패널(6)을 전면에서 양측부에 걸쳐 절곡형성했기 때문에, 전방부 흡입구(3)의 상하부의 개방량을 달리 하는 기구가 간소화된다.
링크부재(20)로서 2개의 링크(23A, 23B)를 구비하고, 1개의 링크(23A)를 구동측으로 하고 다른 쪽 링크(23B)를 종동측으로 했기 때문에, 기구의 간소화를 얻을 수 있어 필요최소한의 부품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구동측 링크와 종동측 링크를 반대 링크로 설정해도 지장이 없다.
각 링크(23A, 23B)의 각각에 기어부(26a, 26b)를 설치하고 서로 맞물리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구동력의 전달이 원활하고 쓸모가 있다.
전면패널(4)과 링크부재(20)와의 사이에 탄성부재(비틀림 코일 스프링)(24)를 설치하고 링크부재(20)에 대해 가동패널(6)의 흡입구(3) 폐쇄방향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했다.
이 탄성력을 가하는 방향은 가동패널(6)이 중력에 의해 전방부 흡입구(3)를 개방하도록 이동하는 것과 반대측이다. 즉, 탄성부재(24)의 존재에 의해 가동패널(6)의 개방동작이 급격하게 되지 않는다. 또, 가동패널(6)의 폐쇄동작에 필요한 구동토크가 탄성부재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작아진다.
복수조의 링크부재(20)를 구비하여 1개의 구동축(21)에 걸어맞추고, 이 구동축(21)의 회동에 수반하여 모든 링크부재(20)를 일제히 회동하여 힘을 가하도록 했기 때문에, 링크기구로서의 작용에 쓸모가 있고 또 완전히 동기된 동작이기 때문에 가동패널(6)의 이동자세에 구부러짐이 생기지 않는다.
즉, 전방부 흡입구(3)가 상하방향과 비교하여 폭방향의 길이가 매우 크기 때문에, 가동패널(6)은 상하방향으로는 물론 폭방향으로 휘는 일이 없이 개폐할 수 있어 높은 개폐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20)는 구동축(21)에 끼워붙이고 구동축(21)을 따라 이동하는일이 없기 때문에, 설령 장기사용에 있어서 구동축(21)에 녹이 발생하는 일이 있어도 개폐동작으로서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
상기 링크커버(20a)는 상하부측 링크(23A, 23B)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기어부(26a, 26b)를 양측에서 위요(圍繞)하기 때문에, 기어부로의 먼지의 부착을 억제하여 장기간에 걸쳐 원활한 동작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방부 흡입구(3)를 개폐구동기구(5)에 지지되는 가동패널(6)로 개폐하도록 했는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부 흡입구(2)를 개폐 자유롭게 하는 가동패널과 개폐구동기구에 적용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패널에 작은 공간이면 족한 개폐구동기구를 구비하여 흡입구를 개폐 자유롭게 하고, 본체의 소형화의 장해가 되지 않게 하는 동시에,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본체 내부로의 먼지의 침입을 저지하여 청정화를 유지하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9)

  1. 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수용하는 공기조화기 본체,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에 설치되는 열교환공기의 흡입구,
    상기 흡입구 근방에 설치되는 개폐구동기구 및
    상기 개폐구동기구에 지지되고 상기 흡입구를 개폐 자유로운 패널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동기구는 서로의 일단부가 근접하고 또한 회동자유롭게 공기조화기 본체에 지지되며, 서로의 타단부가 서로 이간하여 상기 패널에 연결되고, 타단부 상호를 근접·이간하도록 회동하는 것에 의해 패널을 흡입구에 대해 개폐구동하는 링크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동기구는 패널의 폭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조 구비되는 상기 링크부재, 이들 링크부재 상호를 연결하는 구동축 및 이 구동축을 회동구동하는 구동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가 설치되는 공기조화기 본체부위는 일부가 상기 링크부재를 부착하는 평탄부이고, 나머지 부분이 바로 앞쪽에 돌출하는 만곡형상을 이루고,
    상기 흡입구는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의 폭방향에 걸쳐 개구되며,
    상기 패널은 공기조화기 본체의 평탄부와 간격을 두고 바로 앞쪽에 돌출하는 만곡형상을 이루고, 또한 공기조화기 본체의 폭방향에서 양측부에 걸쳐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동기구는 상기 흡입구의 폭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의 한 측부를 다른 측부보다 크게 개방하도록 상기 패널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길이가 다른 2개의 링크를 구비하고 있고, 한쪽 링크가 다른쪽 링크보다도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가 다른 링크 중 어느 한쪽 링크는 일단부가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는 구동측 링크이고, 다른쪽 링크는 상기 구동측 링크의 회동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종동하는 종동측 링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측 링크와 종동측 링크는 탄성부재에 의해 패널의 폐쇄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측 링크와 종동측 링크는 각각 기어부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기어부가 서로 맞물려서 구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측 링크와 종동측 링크에 설치되는 기어부는 링크커버 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2-0050748A 2001-08-28 2002-08-27 공기조화기 KR1004886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58462 2001-08-28
JP2001258462A JP4485715B2 (ja) 2001-08-28 2001-08-28 空気調和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131A true KR20030019131A (ko) 2003-03-06
KR100488633B1 KR100488633B1 (ko) 2005-05-11

Family

ID=19085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748A KR100488633B1 (ko) 2001-08-28 2002-08-27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485715B2 (ko)
KR (1) KR100488633B1 (ko)
CN (1) CN1325852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1577B1 (ko) * 2003-10-08 2006-04-14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기
KR20100053902A (ko) * 2008-11-13 2010-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8533A (ja) * 2003-09-22 2005-04-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JP3864951B2 (ja) * 2003-11-19 2007-0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3969382B2 (ja) * 2003-11-19 2007-09-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4262579B2 (ja) * 2003-11-19 2009-05-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4266785B2 (ja) * 2003-11-19 2009-05-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4313184B2 (ja) * 2003-12-25 2009-08-12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4270043B2 (ja) * 2004-06-29 2009-05-27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4347778B2 (ja) * 2004-09-29 2009-10-2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207874B2 (ja) * 2004-09-29 2009-01-1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857794B2 (ja) * 2006-02-03 2012-01-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952350B2 (ja) * 2007-04-11 2012-06-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4992844B2 (ja) * 2008-07-17 2012-08-0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器
JP4992874B2 (ja) * 2008-09-12 2012-08-0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装飾部品の取付構造
WO2010073858A1 (ja) * 2008-12-25 2010-07-01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03047745B (zh) * 2011-10-17 2015-11-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具有可开启面板的空调器
CN103134106A (zh) * 2011-11-25 2013-06-0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分体壁挂式空调器的室内机
JP6823493B2 (ja) * 2017-02-24 2021-02-03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77919B2 (en) * 1985-01-31 1988-10-0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ir communicating port and baffle for integral air conditioner
JPH0484042A (ja) * 1990-07-26 1992-03-17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JPH05187706A (ja) * 1992-01-08 1993-07-27 Toshiba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H0669619U (ja) * 1993-03-01 1994-09-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部品取付構造
JP2544562Y2 (ja) * 1993-12-24 1997-08-20 西芝電機株式会社 主機軸駆動発電装置の電圧制御装置
JPH0861693A (ja) * 1994-08-24 1996-03-08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の吸込グリル昇降装置
JP2904078B2 (ja) * 1995-11-16 1999-06-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パネルの取付構造
KR0175874B1 (ko) * 1995-12-21 1999-10-01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200148722Y1 (ko) * 1997-03-27 1999-06-15 전주범 공기조화기의 실내토출구 개폐장치
JPH1137540A (ja) * 1997-07-18 1999-02-12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KR100247758B1 (ko) * 1997-08-28 2000-04-01 윤종용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내기
KR19990024458A (ko) * 1997-09-02 1999-04-06 구자홍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차단장치
KR100262719B1 (ko) * 1997-12-03 2000-08-01 구자홍 에어콘의실내기구조
JP3967029B2 (ja) * 1999-02-15 2007-08-29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2001182957A (ja) * 1999-12-27 2001-07-06 Hitachi Ltd 空気調和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1577B1 (ko) * 2003-10-08 2006-04-14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기
KR20100053902A (ko) * 2008-11-13 2010-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85715B2 (ja) 2010-06-23
CN1401948A (zh) 2003-03-12
KR100488633B1 (ko) 2005-05-11
JP2003074896A (ja) 2003-03-12
CN1325852C (zh) 200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8633B1 (ko) 공기조화기
JP5015322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60050138A (ko) 공기조화기
JP4504827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WO2002103249A2 (en) Air conditioner
KR100749765B1 (ko) 공기조화기
KR100642364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ITTO20080303A1 (it) Condizionatore d'aria dotato di doppie pale azionate in maniera indipendente
KR100725739B1 (ko) 공기조화기
KR10077369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흡입/토출 플랩 구조
KR10127061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158114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KR101086612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KR101769822B1 (ko) 공기조화기
KR100879602B1 (ko) 공기조화기
KR200280424Y1 (ko) 에어컨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20000034046A (ko) 공기조화기의 인렛 그릴 개폐구조
JPH07120001A (ja) 空気調和装置
KR200202068Y1 (ko) 공기조화기
KR20100043996A (ko) 공기 조화기
JP3306109B2 (ja) 空気調和機
KR100705079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KR100776436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50089200A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KR100420357B1 (ko) 공기조화기의 그릴루버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