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9200A -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9200A
KR20050089200A KR1020040014503A KR20040014503A KR20050089200A KR 20050089200 A KR20050089200 A KR 20050089200A KR 1020040014503 A KR1020040014503 A KR 1020040014503A KR 20040014503 A KR20040014503 A KR 20040014503A KR 20050089200 A KR20050089200 A KR 20050089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discharge port
discharge
open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4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9200A/ko
Publication of KR20050089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20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 B65D5/001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folding 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 B65D5/003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folding 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having ledges formed by extensions of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3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 B65D5/3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the tongue being a part of a lateral extension of a side wall
    • B65D5/30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the tongue being a part of a lateral extension of a side wall combined with a slot provided at the fold line between an adjacent side wall and a lateral extens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65D65/403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with at least one corrugated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배면에서 흡입된 실내공기가 전면으로 토출되게 하는 실내기의 전면 토출구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는 측면에 토출구가 형성된 전면 프레임;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구 도어와, 상기 토출구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상하 이동수단과, 상기 상하 이동 수단과 일측 끝단이 연결되고, 상기 토출구 도어와 타측 끝단이 연결되는 연성 밴드와, 상기 연성밴드의 상측면에 안착되어 회전하는 회전 롤러와, 상기 토출구 도어와 일측 끝단이 연결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되는 토출구 도어 개폐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는 토출구 도어; 상기 토출구 도어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 도어 이동 부재;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 도어 이동부재와 연결되어, 상하 운동하면서 상기 토출구 도어를 개폐하는 링크 기어; 및 상기 링크 기어의 저면에 안착되어 상기 링크 기어가 상하 운동하도록 하는 리니어 모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에 의하여, 실내기 전면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 도어가 하나의 구동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므로, 제조공정이 단순해지고, 제작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Opening and shutting structure of outlet for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배면에서 흡입된 실내공기가 전면으로 토출되게 하는 실내기의 전면 토출구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내부를 순환하는 냉매가 압축과정, 응축과정, 팽창과정 및 증발과정이라는 냉동 사이클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에어컨의 경우, 냉매가 고온 및 고압으로 압축된 다음, 응축기에서 열을 외부로 방출하고, 팽창밸브를 통과하면서 온도와 압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저온 및 저압의 냉매가 증발기를 지나면서 열을 흡수한 다음, 응축기로 다시 들어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과정, 응축과정 및 팽창과정은 에어컨의 실외기 내에서 수행되고, 상기 증발과정은 실내기의 송풍팬과 열교환기에 의하여 수행된다.
또한, 상기 에어컨은 크게 냉동 사이클 장치가 하나의 몸체내에 장착되어 창문 등에 설치되는 창문형 에어컨,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실내와 실외에 각각 설치되는 분리형 에어컨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분리형 에어컨의 경우, 설치방법에 따라 벽걸이형, 상치형, 천정 걸이형 및 천정 매립형 등으로 구분된다.
또한, 벽걸이형이나 상치형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천정 걸이형으로도 활용될 수 있는 구조의 실내기를 컨버터블형 실내기라고 한다.
도 1 은 종래의 일반적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가 닫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토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공기 조화기 실내기(10)는 전면부를 이루는 전면 패널(20)과, 상기 전면 패널(20)이 안착되는 전면 프레임(35)과, 상기 전면 프레임(35)의 배면에 부착되고, 측면에 토출구 개폐도어(32)가 구비되는 베이스(40)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종래의 실내기(10)는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토출구 개폐도어(32)가 개방되고, 상기 토출구 개폐도어(32)를 통하여 냉각된 실내공기가 토출된다. 그리고, 실내기(10) 작동이 멈추면 상기 토출구 개폐도어(32)가 닫히게 된다.
종래의 일반적인 공기 조화기 실내기는 토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동시키기 위해서, 별개의 구동장치를 토출구 개폐도어에 각각 장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토출구 개폐도어를 구동하기 위하여 구동 모터를 각각 장착해야하므로, 제작 비용이 증가될 뿐 아니라,한 장치를 장착하기 위하여 제조공정이 길어지고, 실내기 제작에 드는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실내기 전면부에 구비된 토출구를 일괄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토출구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는 측면에 토출구가 형성된 전면 프레임;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구 도어와, 상기 토출구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상하 이동수단과, 상기 상하 이동 수단과 일측 끝단이 연결되고, 상기 토출구 도어와 타측 끝단이 연결되는 연성 밴드와, 상기 연성밴드의 상측면에 안착되어 회전하는 회전 롤러와, 상기 토출구 도어와 일측 끝단이 연결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되는 토출구 도어 개폐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는 토출구 도어; 상기 토출구 도어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 도어 이동 부재;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 도어 이동부재와 연결되어, 상하 운동하면서 상기 토출구 도어를 개폐하는 링크 기어; 및 상기 링크 기어의 저면에 안착되어 상기 링크 기어가 상하 운동하도록 하는 리니어 모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의하여, 실내기 전면에 형성된 토출구가 하나의 구동 모터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실내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100)의 외관은, 전면 패널(110)과, 상기 전면 패널(110)이 안착되어 전면 커버를 형성하며, 양측에 토출구(121)가 구비되는 전면 프레임(120)과, 상기 전면 프레임과 상기 전면 패널(110) 사이에 장착되는 토출구 개폐장치(200)와, 상기 토출구 개페장치(200)와 연결되어 상기 토출구(121)를 개폐하는 토출구 도어(400)와, 상기 전면 프레임(120)과 결합되어 배면 커버를 형성하는 베이스(160)와, 상기 실내기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실내기로 들어오는 각종 배관이 수용되는 배관 커버(19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일측에는 흡입된 실내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60)의 일측에는 실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160)의 상측 경사면에 형성되는 상측 흡입구(161)와, 상기 베이스(160)의 중앙면에 형성되는 중앙 흡입구(16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60)의 양측 경사면에도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제안가능함을 밝혀 둔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161)(162)에는 그물 형태의 그릴이 형성되어 실내기(100)로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불순물이 일차적으로 걸러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60)의 저면에는 상기 상측 흡입구(161)와 상기 중앙 흡입구(162)에 형성된 흡입그릴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걸러진 실내공기내에 포함된 미세한 이물질 등을 재차 걸러 내기 위한 필터(미도시)가 삽입되는 필터 삽입구(16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0)로 들어가는 공기의 이동 경로는, 상기 베이스(160)의 일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구(161)(162) 및 필터 삽입구(163)를 통하여 흡입된 뒤,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일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는 상기 실내기(1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110)과, 상기 전면 패널이 안착되어 전면부가 형성되는 전면 프레임(120)과,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후측에 형성되어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송풍팬(130)과, 상기 송풍팬(130)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송풍팬의 회전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의 방향을 안내하는 오리피스(140)와, 상기 오리피스(140)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된 공기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흡입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하는 열교환기(150) 및 상기 열교환기(150)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전면 프레임(120)과 결합되는 베이스(16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전면 패널(110)과 상기 전면 프레임(120) 사이에는 상기 토출구(121)를 개폐하기 위한 토출구 개폐장치(20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는 전면 패널(110), 전면 프레임(120), 송풍팬(130), 오리피스(140), 열교환기(150), 및 베이스(160)의 순서로 조립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오리피스(140)는 상기 송풍팬(130)으로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공(145)과, 상기 공기 안내공(145)을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양측면으로 안내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측면에 형성되는 상부 공기 안내 가이드(141)와, 상기 공기 안내공(145)을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하측으로 안내되도록 하기 위하여 하측면에 형성되는 하부 공기 안내 가이드(142)와, 상기 하부 공기 안내 가이드(142)에 의하여 안내된 공기가 실내로 분산 토출되도록 하는 하측 토출구 도어(143)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전면 프레임(120)과 상기 오리피스(140) 사이의 상측 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송풍팬(130)을 회전시키는 모터 및 전장부품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장부(170)가 더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기(15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기(150)의 표면에 형성되는 응축수가 수집되도록 하는 드레인 팬(180)이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드레인 팬(180)의 하측에는 상기 드레인 팬(180) 및 상기 실내기(100)와 연결되는 각종 배관들이 수용되는 배관 커버(190)가 더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완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각 부분의 기능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전면 패널(1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100)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실내기의 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110)의 일 측에는 상기 실내기(100)의 작동 여부 및/또는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표시부(미도시)가 보일 수 있도록 하는 창(1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110)에는, 상기 실내기의 미관을 깔끔하고 아름답게 보이게 하기 위해, 마감재를 부착하거나 도안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프레임(120)은 상기 전면 패널(110)이 부착되고, 테두리 부분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테두리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실내기(100)로 흡입되어 열교환기(150)를 거쳐 냉각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는 측면 토출구(121) 및 저면 토출구(12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110)은 상기 전면 프레임(120)에 고정 부착될 수도 있고, 좌측 및/또는 우측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여 상기 실내기(100)의 전면부에 토출구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송풍팬(130)은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배면에 부착된 모터(50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기(100) 내로 흡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130)은 상기 실내기(100)의 크기 또는 용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리피스(140)는 상기 송풍팬(130)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안내공(145)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 안내 가이드(141)(142)에 의하여 공기의 흐름의 방향이 결정되어 토출구(121)(123)로 토출된다.
상세히,상기 공기 안내 가이드(141)는 토출구의 방향 및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140)의 양측면에 부착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면서 토출되는 냉각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 조절 장치(144)와, 사용자 또는 유아 등의 손이 유입되었을 때 상기 송풍팬(130)에 의하여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망(146)이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150)는 다수 회 굴곡된 열교환 파이프(151)로 이루어 지며, 상기 열교환 파이프(151)내에는 팽창 밸브(미도시)를 지나온 저온, 저압 상태의 냉매가 흐르고 있다.
따라서, 실내기(100)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150)를 지나면서 열을 빼앗기게 되어 저온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상기 흡입 공기 내에 포함된 수증기는 냉각되어 상기 열교환기(150)의 표면에 응축 형성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50)의 면적은 넓을수록 냉각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그 형태에 있어서 평평한 사각 형태 또는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50)의 하측에는 상기 열교환기(150)의 표면에 형성되는 응축수가 모여지도록 하는 드레인 팬(180)이 형성되어, 실내기(100)로부터 응축수가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160)는 적어도 일측에 실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상측부에 형성되는 상측 흡입구(161)와, 상기 베이스(160)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 흡입구(162)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의 형태 및 개수에 있어서는 상기 실내기의 용적 및 형태에 따라 자유로이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161)(162)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 교차되게 형성되는 그릴이 형성되어, 상기 실내기(100)로 들어오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불순물이 일차적으로 걸러지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60)의 일측에는 흡입 공기에 포함된 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걸러 내기 위한 필터(미도시)가 삽입되는 필터 삽입구(16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베이스(160)와 상기 열교환기(150) 사이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열교환기(150)의 표면에 불순물이 점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필터 삽입구(163)는 실내 공기의 흡입구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60)의 테두리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실내기(100)가 벽면의 모서리부분에도 자유로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측면에도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명백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160)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실내기(100)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구 또는 걸림홈(미도시)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배면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실내기의 베이스(16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베이스(160)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상측 흡입구(161)와, 상기 베이스(160)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 흡입구(16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60)의 양 측면 테두리 부위에 흡입구가 더 형성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베이스(160)의 하측면 테두리 부위에는 필터가 삽입될 수 있는 필터 삽입구(163)가 형성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삽입구(163)도 하나의 흡입구가 될 수 있다.
상세히,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100)가 벽면에 부착되는 경우는 상기 중앙 흡입구(162)를 제외한 상하 및 좌우측면을 통하여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실내기(100)가 벽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설치된다면, 상기 중앙 흡입구(162)를 통하여도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내기(100)가 벽과 벽이 만나는 모서리부에 설치된다면, 상기 흡입구 중에서, 상측 흡입구(161)와 중앙 흡입구(162) 및 필터 삽입구(163)를 통하여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실내기의 전면을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전면 프레임(120)에는 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전면 프레임의 양측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측면 토출구(121)와, 하측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저면 토출구(123)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안내가이드(141)(142)의 형상에 따라 상측 토출구(미도시)도 형성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자명하다.
또한,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정면부의 가장자리에 직사각형 모양의 토출구가 형성되어 전면 패널(110)의 좌우 이동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는 정면 토출구(미도시)도 형성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내기(100)의 작동시, 각각의 토출구는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개폐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토출구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토출구 개폐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9는 상기 토출구가 닫힌 상태에서의 토출구 개폐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200)는 대략 중앙부에 수직하게 안착되어 상하 운동하는 링크 기어(230)와, 일측 끝단이 상기 링크 기어(230)의 저면 끝단에 연결되고, 타측 끝단은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구 도어(40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연성 밴드(250)와, 상기 연성 밴드(250)의 상측면과 접하는 위치에 안착되고, 상기 연성 밴드(250)가 절곡되어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밴드 지지롤러(260)와, 상기 링크 기어(230)의 일측면에 맞물려 회전하는 회전 기어(27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구성 장치는 케이스(220)에 의하여 보호된다.
상세히, 상기 링크 기어(230)는 일측면에 기어이(232)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이(232)는 상기 회전기어(270)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이와 맞물린다.
더욱 상세히, 상기 회전 기어(270)의 기어축은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저면에 부착된 구동 모터(후술함)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그리고, 상기 연성 밴드(250)는 상기 밴드 지지 롤러(260)의 외주면을 따라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는 소재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토출구 도어(400)의 일측면에는 상기 스프링(240)의 일측 끝단이 끼워지기 위한 스프링 연결홈(410)과, 상기 연정 밴드(250)의 끝단에 형성된 토출구 도어 걸림고리(251)가 걸리기 위한 연성 밴드 걸림 고리(42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토출구 개폐장치(200)는 일측 끝단이 상기 토출구 도어(400)와 연결되고, 타측 끝단은 상기 토출구 개폐장치(200) 내부에 고정 안착되는 스프링 지지단(241)에 연결되어,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토출구 도어(400)를 개폐하는 스프링(24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스프링(240)은 상기 토출구 도어(400)가 외곽으로 밀려나서 상기 토출구(121)를 완전히 밀폐한 상태에서 원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토출구(121)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토출구 도어의 위치에서 최대한 압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121)는 상기 스프링(240)이 원상태로 회귀하려고 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닫히게 된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가 부착된 전면 프레임의 배면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200)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는 정회전 및 역회전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스텝 모터(300)가 사용된다.
상기 스텝 모터(300)는 상기 전면 프레임의 상측부 배면에 부착되며, 상기 스텝 모터(300)의 모터축은 상기 회전기어(270)의 기어축과 연결되어, 상기 스텝 모터(300)의 회전력을 상기 링크 기어(230)에 전달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토출구 개폐장치(200)의 기능과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실내기(1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스텝 모터(300)가 작동하여 상기 스텝 모터(300)의 모터축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축과 연결된 상기 회전기어(270)가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토출구 도어(400)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스텝 모터(30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회전 기어(27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기어(27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 기어(270)의 기어이와 맞물려 있는 상기 링크 기어(230)가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링크 기어(230)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링크 기어(230)의 저면에 연결된 상기 연성 밴드(250)가 따라 올라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성 밴드(250)의 끝단과 연결된 토출구 도어(400)가 중심부로 모이게 되면서, 상기 실내기(100)의 측면에 형성된 토출구(121)가 개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성밴드(250)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연성 밴드(250)의 상측면과 접해 있는 상기 회전 롤러(26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 도어(400)가 중심부쪽으로 수평이동함에 따라, 상기 토출구 도어(400)의 측면에 연결된 상기 스프링(240)이 수축되게 된다.
상기 토출구(121)가 닫히는 과정은 상기 개방과정의 역순으로 행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스텝 모터(30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링크 기어(230)는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240)은 팽창하면서 상기 토출구 도어(400)를 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성 밴드(250)가 하강하면서 상기 토출구 도어(400)의 하단 측면을 밀게 되면서, 상기 토출구가 닫히게 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의 또다른 일 실시예이다.
도 11은 토출구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토출구 개폐장치를 나타내며, 도 12는 상기 토출구가 닫힌 상태에서의 토출구 개폐장치를 나타낸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200)는 링크 기어(230)에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로서 리니어 모터(linear mortor)(310)가 사용되었다.
이하 다른 구성요소는 상기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리니어 모터(310)는 직선형 전동기라고도 하며, 일반적인 회전 모터와 달리 직선 모양으로 면하는 이동자(移動子)와 고정자 사이에서 추력(推力:미는 힘)을 발생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전동기를 말한다.
상세히, 상기 리니어 모터는 회전형전동기의 회전자측과 고정자측을 각각 반지름 방향으로 잘라서 평판(平板) 모양으로 전개한 것으로서, 그것은 반지름이 무한대인 회전형전동기의 원주방향의 일부분을 잘라 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니어 모터는 크게 동기형과 비동기형으로 구분된다.
한편, 상기 링크 기어(230)는 저면에 상기 리니어 모터(310)의 자기장과 반응하기 위하여 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자력의 흡인력과 반발력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링크 기어(230)가 상승 또는 하강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의하여, 실내기 전면부에 구비된 토출구가 실내기 사용시에는 개방되고 미사용시에는 닫혀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사용시에 토출구가 닫혀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기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는 효과가 있고, 실내기 외관이 깔끔하게 보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기 전면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 도어가 하나의 구동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므로, 제조공정이 단순해지고, 제작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일반적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가 닫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토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정면 사시도.
도 4는 상기 실내기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배면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7은 상기 실내기의 전면을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토출구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토출구 개폐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상기 토출구가 닫힌 상태에서의 토출구 개폐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가 부착된 전면 프레임의 배면을 보여주는 배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의 또다른 일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전면 패널 120 : 전면 프레임 130 : 송풍팬
140 : 오리피스 150 : 열교환기 160 : 베이스
170 : 전장부 180 : 드레인 팬 190 : 배관 커버
200 : 토출구 개폐장치 220 : 케이스 230 : 링크기어
240 : 스프링 250 : 연성 밴드 260 : 밴드 지지 롤러
270 : 회전 기어 300 : 스텝 모터 310 : 리니어 모터
400 : 토출구 도어

Claims (4)

  1. 측면에 토출구가 형성된 전면 프레임;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구 도어와,
    상기 토출구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상하 이동수단과,
    상기 상하 이동 수단과 일측 끝단이 연결되고, 상기 토출구 도어와 타측 끝단이 연결되는 연성 밴드와,
    상기 연성밴드의 상측면에 안착되어 회전하는 회전 롤러와,
    상기 토출구 도어와 일측 끝단이 연결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되는 토출구 도어 개폐장치;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동 수단은 구동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 기어와,
    상기 회전기어와 맞물려서 상하 왕복운동하는 링크 기어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동 수단은 리니어 모터와,
    상기 리니어 모터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하운동하는 링크 기어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소정의 탄성계수를 가지는 스프링이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KR1020040014503A 2004-03-04 2004-03-04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KR200500892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503A KR20050089200A (ko) 2004-03-04 2004-03-04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503A KR20050089200A (ko) 2004-03-04 2004-03-04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200A true KR20050089200A (ko) 2005-09-08

Family

ID=37271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503A KR20050089200A (ko) 2004-03-04 2004-03-04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92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74531A (zh) * 2016-03-31 2016-06-1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导风组件和空调柜机
WO2019022333A1 (ko) * 2017-07-28 2019-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74531A (zh) * 2016-03-31 2016-06-1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导风组件和空调柜机
CN105674531B (zh) * 2016-03-31 2018-05-2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导风组件和空调柜机
WO2019022333A1 (ko) * 2017-07-28 2019-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71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75312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1086612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KR20090008629A (ko) 공기조화기
KR10077369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흡입/토출 플랩 구조
KR20050089200A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KR10127061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547686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1158114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KR100412408B1 (ko) 공기흡입커버를 구비한 패키지 에어컨 실내기
KR100547675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705079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KR20060020591A (ko) 스탠드형 에어컨의 공기청정기 구조
KR10087364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76436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312142Y1 (ko) 룸에어컨의 전면판넬과 상부판넬 개패구조
KR100553037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547679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50089197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20090603A (ko) 가동그릴커버를 구비한 에어컨 실내기
KR20050089201A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KR101220756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547685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54768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50024798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