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4700A - 플라스타 - Google Patents

플라스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4700A
KR20030014700A KR1020027016761A KR20027016761A KR20030014700A KR 20030014700 A KR20030014700 A KR 20030014700A KR 1020027016761 A KR1020027016761 A KR 1020027016761A KR 20027016761 A KR20027016761 A KR 20027016761A KR 20030014700 A KR20030014700 A KR 20030014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ling
elongation
adhesive layer
sheet
pl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6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조따도시하루
쯔쯔미노부오
오오따시게오
무따가즈노리
Original Assignee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4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70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having a fluid handling member
    • A61F13/0226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having a fluid handling member characterised by the support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handling layer
    • A61F13/0243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handl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skin contacting layer, e.g. air-vapor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61F13/0259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liner covering the skin adher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61K9/7061Poly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95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 A61F2013/008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easy removing of the protection sheet
    • A61F2013/00812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easy removing of the protection sheet perforate or breakable z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Abstract

신축성 지지체 및 이 지지체 위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적층체와, 이 점착제층 위에 점착되어 있으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절취부를 갖는 박리 시트를 구비하는 플라스타로서,
상기 적층체를 긴변 20cm, 짧은변 5cm 의 시험편으로 하였을 때의 긴변방향 및 짧은변방향의 50% 신장시 하중이 모두 0.98 내지 14.71N/5cm 이며, 긴변방향 및 짧은변방향의 50% 신장시 회복률이 모두 50 내지 95% 인 플라스타.

Description

플라스타 {PLASTER}
최근, 고령화 사회가 진행됨에 따라, 어깨, 허리, 팔꿈치, 무릎 등에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 대증요법에 있어서 습포제나 테이프제 등의 플라스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부터, 플라스타로는 지지체 위에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통상, 플라스타의 점착제층은 매우 얇고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 필름이나 실리콘 가공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박리 시트에 의하여 보호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플라스타는 모서리부를 손톱 등으로 찾아 박리 시트를 떼어낸 후 환부에 부착되는데, 대부분의 경우 박리 시트는 무색투명하여 점착제층과 동색화되어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박리 시트를 떼어내기 어려워 박리작업에 많은 시간을 낭비하는 것이었다. 또한, 박리 시트가 유연하므로 플라스타를 확실히 지지할 수 없고, 플라스타가 뒤틀리고 휘감겨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도 있었다.
그래서, 박리 시트의 박리성을 개선하고 플라스타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하나로서, 박리 시트의 소정 부분에 형성된 절단부 또는 절취부로부터 박리 시트가 말려올라가도록 하고, 노출된 점착제층을 환부에 대면서 박리 시트를 떼어냄으로써 박리 시트의 박리작업과 플라스타의 점착작업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플라스타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112305 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65372 호에는 박리 시트의 강연도(剛軟度)를 제어함으로써 플라스타의 지지성을 개선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플라스타도 떼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연성을 부여하면 부착작업에 있어서의 플라스타의 지지성이 불충분하게 되어 주름이나 휘감김이 발생하기 쉬워지며, 한편으로 부착작업에 있어서 플라스타의 지지성을 높이기 위하여 강연도가 높은 박리 시트를 사용하면 박리 시트가 분리되기 어려워진다는 악순환이 발생하여, 단시간에 깔끔하고 확실히 부착할 수 있고, 게다가 관절이나 안면 등에 장시간 부착한 경우에도 잘 떼어지지 않는 플라스타로는 아직 충분한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은 플라스타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박리 시트를 구비한 플라스타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플라스타의 바람직한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플라스타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과 관련된 박리 시트의 분리방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플라스타를 박리 시트를 떼어내면서 부착부분에 부착하는 방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경우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플라스타의 바람직한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 는 그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있어서, 플라스타 (1) 는 신축성 지지체 (2) 및 지지체 (2) 위에 적층된 점착제층 (3) 을 구비하는 적층체 (4) 와, 점착제층 (3) 위에 점착되어 있으며 절취부 (6) 및 연결부 (7) 를 갖는 박리 시트 (5) 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적층체 (4) 는 긴변방향 및 짧은변방향의 50% 신장시 하중이 모두 0.98∼14.71N/5cm 인 것이며, 긴변방향 및 짧은변방향의 50% 의 신장시 회복률이 모두 50∼95% 인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플라스타 (1) 를 사용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박리 시트 (5) 의 박리작업과 플라스타 (적층체 4) 의 부착부분에 대한 점착작업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에 단시간에 깔끔하고 확실히 부착부분에 부착할 수 있는 동시에, 관절이나 안면 등에 장시간 부착하는 경우에도 떼어짐이 충분히 방지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적층체의 50% 신장시 하중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긴변방향, 짧은변방향 모두 0.98∼14.71N/5cm 이며, 바람직하게는 긴변방향으로 1.96∼9.81N/5cm, 짧은변방향으로 0.98∼9.81N/5cm 이다. 적층체의 50% 신장시 하중이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적층체에 소위 점성이 없어져 플라스타를 확실히 지지할 수 없게 되고, 부착작업에 있어서 양호한 사용감을 얻을 수 없다. 한편, 적층체의 50% 신장시 하중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피부에 대한 추종성이 불충분해져, 관절이나 안면 등에 부착하는 경우에 약간의 움직임에 대해서도 떼어지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적층체의 50% 신장시 회복률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긴변방향, 짧은변방향 모두 50∼95% 이며, 바람직하게는 긴변방향 50∼95%, 짧은변방향 60∼90% 이다. 적층체의 50% 신장시 회복률이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피부에 대한 추종성이 불충분해져, 관절이나 안면 등에 부착하는 경우에 약간의 움직임에 대해서도 쉽게 떼어진다. 한편, 적층체의 50% 신장시 회복률의 증가에 따라 피부에 대한 추종성은 향상되나,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부착작업에 있어서 플라스타 (적층체) 에 주름이나 휘감김이 발생하기 쉬워, 양호한 사용감을 얻을 수 없다.
본 발명과 관련된 적층체를 구성하는 신축성 지지체로는, 적층체 자체의 50% 신장시 하중 및 50% 신장시 회복률이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한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레이온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직포, 편포, 부직포, 또는 이들을 적층한 것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는 촉감도 좋고 사용감도 양호하며, 약효성분에 대한 영향도 적다는 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이들 지지체의 단위면적 당 질량은 바람직하게는 30∼150g/㎡, 더욱 바람직하게는 35∼120g/㎡, 특히 바람직하게는 40∼100g/㎡ 인 것이 사용된다. 또한, 지지체를 구성하는 실의 굵기는 0.1∼2 데닐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실의 굵기가 상기 범위내이면, 팔꿈치, 무릎, 안면 등의 움직임이 커 피부의 신축이 심한 장소에 점착하는 경우에도 플라스타가 잘 떼어지지 않아 사용감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지체의 두께는 지지체가 직포, 편포, 폴리에스테르 이외의 부직포, 또는 부직지인 경우에는 0.3∼3mm 인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1±0.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의 단위면적 당 질량 또는 두께가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에는 부착작업에 있어서 플라스타 (적층체) 에 주름이 잡히거나 휘감겨 양호한 사용감을 얻기 어렵게 되는 경향이 있으며, 한편,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플라스타 (적층체) 의 유연성이 불충분해져, 부착시에 오그라드는 느낌 등의 위화감을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신축성 지지체의 50% 신장시 하중은 바람직하게는 긴변방향, 짧은변방향 모두 0.98∼14.71N/5cm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긴변방향으로 1.96∼9.81N/5cm, 짧은변방향으로 0.98∼9.81N/5cm 이다. 지지체의 50% 신장시 하중이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적층체에 소위 점성이 없어져 플라스타를 확실히 지지할 수 없게 되어, 부착작업에 있어서 양호한 사용감을 얻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지지체의 50% 신장시 하중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피부에 대한 추종성이 불충분해져, 관절이나 안면 등에 부착하는 경우에 약간의 움직임에 대해서도 떼어지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신축성 지지체의 50% 신장시 회복률은 바람직하게는 긴변방향, 짧은변방향 모두 50∼95%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긴변방향으로 50∼95%, 짧은변방향으로 60∼90% 이다. 적층체의 50% 신장시 회복률이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피부에 대한 추종성이 불충분해져, 관절이나 안면 등에 부착하는 경우에 약간의 움직임에 대해서도 떼어지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적층체의 50% 신장시 회복률의 증가에 따라 피부에 대한 추종성은 향상되나,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부착작업에 있어서 플라스타 (적층체) 에 주름이나 휘감김이 발생하기 쉬워, 양호한 사용감을 얻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적층체를 구성하는 점착제층으로는, 적층체 자체의 50% 신장시 하중 및 50% 신장시 회복률이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한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상온에서 약물을 피부표면에 장시간 고정시킬 수 있는 점착력을 갖는 것이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플라스타를 파프제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물, 증점제, 습윤제, 충전제 등을 주성분으로 하고, 기타 필요에 따라 가교제, 중합제, 용해보조제, 흡수촉진제, 약효보조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유화제, 청량제, 약제 등이 첨가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증점제는 수분 10∼85 질량% (바람직하게는 25∼65 질량%) 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보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증점제로는, 구체적으로는, 구아검, 로카스트빈검, 카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한천, 아라비아검, 트래거캔스검, 카라야검, 펙틴, 전분 등의 식물계, 잔탄검, 아카시아검 등의 미생물계, 젤라틴, 콜라겐 등의 동물계 등의 천연 고분자, 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계의 셀룰로스계, 가용성 전분, 카르복시메틸 전분, 디알데히드 전분 등의 전분계 등의 반합성 고분자,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비닐계,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의 아크릴계, 기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메틸비닐에테르/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 등의 합성고분자 등의 수용성 고분자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특히, 이러한 증점제로는, 겔 강도가 강하고 또한 보수성이 우수한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이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또한 평균중합도가 20000∼70000 인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평균중합도가 20000 보다 작아짐에 따라 부족하게 되어, 충분한 겔 강도를 얻을 수 없게 되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평균중합도가 70000 보다 커짐에 따라 증점효과가 너무 강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어, 어느 쪽도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수용성 고분자 중 2 종류 이상을 병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의 강이온 고분자 사이에 고분자 컴플렉스를 형성하여 한층 더 겔 강도가 큰 탄성 겔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증점제의 배합량을 점착제층 중에 함유되는 성분 전체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5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30 질량% 로 함으로써, 보습성, 안정성, 피부부착성, 약물의 휘발 방지성, 경피흡수성, 끈적거림 및 느슨해짐의 방지성, 박리시의 통증 방지성, 점착제층의 잔존 방지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습윤제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등의 다가 알코올을 들 수 있다. 이들 습윤제의 배합량을 점착제층 중의 성분 전체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3∼6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5 질량% 로 함으로써, 보습성, 냉각성, 약제의 휘발 방지성, 경피흡수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충전제로는, 카올린, 산화아연, 탤크, 티탄, 벤트나이트, 규산알루미늄, 산화티탄, 산화아연, 메트규산알루미늄, 황산칼슘, 인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충전제의 배합량은 점착제층 중의 성분 전체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15 질량%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10 질량% 이다.
또한, 용해보조제 또는 흡수촉진제로서 탄산프로필렌, 크로타미톤, L-멘톨, 박하유, 리모넨, 디이소프로필아디페이트 등이나, 약효보조제로서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글리콜, L-멘톨, 티몰, 박하유, 리모넨, 노닐산바니릴아미드, 고추 엑스 등을 본 발명과 관련된 점착제층 (고체(膏體)) 에 첨가해도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본 발명과 관련된 점착제층에 안정화제나 항산화제, 유화제, 청량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기타 필요에 따라, 본 발명과 관련된 점착제층에 가교제나 중합제 등을 첨가하여, 점착제층을 강고히 하는 동시에 보수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가교제나 중합제는 증점제 등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증점제에 폴리아크릴산 또는 폴리아크릴산염을 적용한 경우에는, 분자 중에 적어도 2 개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 Ca, Mg, Al 등의 염산염, 황산염, 인산염, 탄산염 등의 무기산염, 구연산염, 주석산염, 글루콘산염, 스테아린산염 등의 유기산염, 산화아연, 무수규산 등의 산화물,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수산화물 등의 다가 금속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증점제에 폴리비닐알코올을 적용한 경우에는, 아디핀산, 티오글리콜산, 에폭시 화합물 (에피클로르히드린), 알데히드류, N-메틸롤 화합물, Al, Ti, Zr, Sn, V, Cu, B, Cr 등의 화합물 등의 착화물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증점제에 폴리피롤리돈을 적용한 경우에는 메틸비닐에스테르/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 폴리애시드 화합물 또는 알칼리금속염 (폴리아크릴산이나 탄닌산 및 그 유도체)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증점제에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적용한 경우에는 퍼옥사이드, 폴리술폰아자이드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증점제에 메틸비닐에테르/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를 적용한 경우에는 다관능 히드록시 화합물, 폴리아민, 요소,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철, 수은, 납염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증점제에 젤라틴을 적용한 경우에는 포름알데히드, 글루탈알데히드, 디알데히드 전분 등의 알데히드류, 글리옥살, 부타디엔옥시드 등의 디에폭시드류, 디비닐케톤 등의 디케톤류,디이소시아네이트류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플라스타에 약제를 유지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점착제층에 약제를 배합하면 된다. 이러한 약제로는, 전신마취제, 수면, 진통제, 해열소염진통제, 스테로이드호르몬제, 흥분ㆍ각성제, 정신신경용제, 국소마취제, 골격근이완제, 자립신경용제, 항알러지제, 항히스타민제, 강심제, 부정맥용제, 이뇨제, 혈압강하제, 혈관수축제, 혈관확장제, 칼슘길항제, 항살균제, 기생성 피부질환용제, 피부연화제, 항생물질, 해독제, 진해제, 진양제(鎭痒劑), 최면제, 정신활력제, 천식제, 호르몬분비 촉진제, 항궤양제, 제암제, 비타민제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약제로는, 예를 들면 스테로이드계 항염증 약물 (예를 들면, 프레드니조론, 덱사메타존, 히드로코티존, 베타메타존, 플루오시니드, 플루오시노론아세트니드, 길초산 아세트산 프레드니조론, 디프로피온산 덱사메타존, 길초산 디플루콜트론, 디플루프레드나드, 길초산 베타메타존, 락트산 히드로코티존, 락트산 크로베타존, 락트산 베타메타존, 프로피온산 크로베타존, 숙신산 덱사메타존, 프레드니조론 21-(2E, 6E)파르네시트, 길초산 히드로코티존, 아세트산 디프로라존, 프로피온산 덱사메타존, 디프로피온산 베타메타존, 암시노드, 길초산 덱사메타존, 할시노니드, 브테소니드, 프로피온산 알크로메타존 등),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 약물 (예를 들면,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글리콜, 1-멘톨, 고추 엑스, 노닐산 바니릴아미드, 박하유, 디크로페낙, 이브프로펜, 인도메타신, 케토프로펜, 록소프로펜, 스린다크, 톨루메틴, 로벤자리트, 페니시라민, 펜프펜, 플루루비프로펜, 스프로펜, 페르비낙, 케토롤락, 옥사프로진, 에토드라크, 잘토프로펜, 피록시캄, 펜타조신, 염산브프레놀핀, 주석산브톨파놀 등), 진통제 (예를 들면, 구연산펜타닐, 염산모르피네, 주석산브톨파놀, 펜타조신 등), 호르몬제 (예를 들면, 에스트라디올, 노르에티스테론 등), 국소마취제 (예를 들면, 리드카인, 염산디부카인 등), 항히스타민제 (예를 들면, 말레인산크롤페닐라민 등), 항알러지제 (예를 들면, 멕타딘, 푸말산케토티펜 등), 골격근이완제 (예를 들면, 에페리존, 댄트롤렌 등), 정신신경용제, 제토제 (예를 들면, 염산그라니세트론, 염산아자세트론 등), 칼슘길항제 (예를 들면, 니페디핀, 니칼디핀 등), 관혈관확장제 (예를 들면, 니트로글리세린, 질산이소소르비드 등), 항진균제 (예를 들면, 크로트리마졸 등), 항종양제 (예를 들면, 브레오마이신, 5-플루오로라우실 등), 발모제 (예를 들면, 미녹시딜 등), 청량제 (박하유, 멘톨 등), 미백제 (예를 들면, 누룩산 등), 비타민류, 과즙 등, 호르몬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약제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며, 2 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해도 되고, 또한, 에스테르체, 아세탈체, 아미드체 등의 유도체, 또는 의학적으로 허용되는 무기염, 유기염의 형태로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약제의 배합량으로는, 점착제층 중에 함유되는 성분 전체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60중량% 이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스타에 사용되는 약물의 양은 사전에 설정된 유효량을 환부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적절히 선택된다. 또한, 플라스타에는 상기 약물 외에 미백성분, 미피부성분 등을 배합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스타를 테이프제에 적용한 경우, 약제, 점착제, 점착부여제, 가소제 등을 주성분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파프제의 설명에 있어서 예시된 항산화제, 자외선 흡수제, 충전제, 청량제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테이프제에 사용되는 점착제로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공중합체,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틸렌, 아크릴계 공중합체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중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공중합체 등)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며, 2 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점착제 중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외한 것의 배합량은 점착제층 중에 함유되는 성분 전체량 기준으로 10∼50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점착제의 배합량이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점착제층의 응집력이나 보형성이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이들 점착제의 배합량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과잉으로 커져 점착력의 저하나 점착제층의 불균일화를 발생시켜, 관절이나 안면 등에 장시간 부착한 경우에 떼어짐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배합량은 점착제층 중에 함유되는 성분 전체량 기준으로 5∼95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배합량이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점착력이 불충분해져, 관절이나 안면 등에 장시간 부착한 경우에 떼어짐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배합량이 95질량% 를 초과하면 피부의 발적을 발생시키거나 부착부분에서 떼어낼 때 통증을 수반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테이프제에 사용되는 점착부여제로는, 구체적으로는 로진 에스테르, 수소첨가 로진 에스테르, 말레인산 로진, 지방족 포화탄화수소 수지, 테르펜페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며, 2 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해도 된다. 이들 점착부여제의 배합량은 점착제층 중에 함유되는 성분 전체량 기준으로 5∼50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부여제의 배합량이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점착력이 불충분해져, 관절이나 안면 등에 장시간 부착한 경우에 떼어짐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점착부여제의 배합량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약물의 경피흡수성, 점착제층의 보형성 등이 저하되는 동시에, 부착부분에서 플라스타를 떼어낼 때에 통증이나 끈적임을 수반하거나 피부의 발적을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테이프제에 사용되는 가소제로는,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스쿠알렌, 식물계유, 액상 폴리부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소제의 배합량은 점착제층 중에 함유되는 성분 전체량 기준으로 20∼60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제의 배합량이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약제의 경피흡수성이나 점착제층의 점착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가소제의 배합량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점착제층의 응집력이나 보형성이 저하되는 동시에, 부착부분에서 플라스타를 떼어낼 때에 통증이나 끈적임을 수반하거나 피부의 발적을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플라스타를 파프제에 적용하는 경우의 점착제층의 바람직한 일예로서, 이하의 조성 :
증점제 : 20∼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5질량%)
습윤제 : 5∼40질량%
충전제 : 0∼20질량%
물 : 10∼80질량%
용해보조제 : 0∼8질량%
약제 : 0∼5질량% (바람직하게는 0.5∼5질량%)
를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의 조성이 상기 범위내이면, 피부밀착성이 양호하며 ; 유효성분의 피부흡수성이 높고 ; 수분이 가급적 많이 함유되며 ; 상온 또는 그 부근의 온도에서 느슨해지지 않고 ; 플라스타를 떼어낼 때 통증을 느기지 않으며 ; 플라스타를 떼어낸 후의 환부에 더러움이 남거나 끈적거리지 않는다는 특성이 매우 높은 수준으로 달성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스타를 경고제 등에 적용하는 경우, 이 기재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B-A 형 블럭공중합체, 지환족계 석유 수지, 연화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A-B 형 블럭공중합체나 기타 폴리부텐고무, 부틸고무, 실리콘고무, 천연고무, 스티렌-부타디엔 코폴리머, NBR 폴리이소부틸렌, 폴리알킬아크릴레이트, 합성 이소프렌 등의 열가소성 탄성제 등이나, 테르펜계 수지, 석유계 수지, 로진, 수소첨가 로진, 로진ㆍ수소첨가 로진 에스테르 등의 점착부여제, 유동파라핀, 올리브유, 대두유, 우지, 라드 등의 동식물유, 폴리부텐, 액상 폴리이소부틸렌, 저급 이소프렌, 왁스 등의 접착력ㆍ유지력 조정제, 산화티탄, 산화아연, 메트규산알루미늄, 황산칼슘, 인산칼슘 등의 충전제가 배합된다. A-B-A 형 블럭공중합체나 A-B 형 블럭공중합체로는, 모노비닐 치환 방향족 화합물 A 와 공액 디올레핀 공중합체 B 의 블럭공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그 배합량은 점착제 조성물 중 10∼40질량% 이며, 바람직하게는 15∼30질량% 이다. 상기 블럭공중합체의 배합비가 상기 범위내이면, 약효성분의 상용성이나 투묘력(投錨力), 점착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유상 성분에 의한 응집력을 개선시킬 수 있으나, 이러한 범위에서 벗어남에 따라 이들 효과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스타에 있어서 지지체 위에 적층하는 점착제층의 두께 (도공두께) 는 0.1mm∼3mm 가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두께가 3mm 를 초과하면 고체(膏體)에 함유되는 약제의 방출성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한편 0.1mm 미만에서는 피부에 대한 접착성이 열화되어, 떼어짐의 원인이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스타에 있어서의 지지체와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두께는 0.5mm∼5mm 가 바람직하다. 지지체와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두께가 5mm 를 초과하면 점착시에 의류 등에 플라스타의 단이 걸려 떼어지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으며, 한편, 0.5mm 미만에서는 플라스타에 지지성이 없어져, 플라스타가 휘감기거나 주름이 잡혀 단시간에 깔끔하고 용이하게 점착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스타에 있어서는, 그 모서리가 원호 형상으로 절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시트를 떼어낸 후의 플라스타는 일단 일부가 말려올라가 떼어져 버리면, 그 부분에 피부의 각층이나 먼지가 부착하여, 다시 점착하기는 어렵다. 특히, 파프제의 형상이 장방형인 경우에는, 모서리가 의류 등에 걸려 맨 먼저 말려올라가 떼어지기 쉬운 경향이 있다. 그래서, 파프제의 모서리를 원호 형상으로 하여, 의류 등에 잘 걸리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로 인하여 박리의 발생이 보다 충분히 방지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스타에 있어서 그 모서리를 원호 형상으로 하는 경우,원호는 곡률반경 (R) 이 5mm∼2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반경 (R) 이 5mm 미만인 경우에는 부착시의 박리의 저감이 충분히 달성되지 않는 경향이 있고, 한편 20mm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모서리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현상의 발생은 방지되나 제조시의 낭비가 많고 제조비용이 높아져 실익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종래의 플라스타에 있어서는, 그 모서리를 원호 형상으로 함으로써 박리방지 효과가 얻어지는 한편, 박리 시트의 박리의 어려움도 증대한다는 결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플라스타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시에 있어서의 박리 시트의 박리성과 비사용시에 있어서의 박리 시트의 박리 방지성이라는 상반된 특성을 충분히 균형있게 만족시키므로, 박리 시트를 절취부분에 있어서 분리, 박리하는 것이 용이하고, 게다가 본 발명의 플라스타가 본래 갖는 박리 방지성과 모서리가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음으로 인한 박리의 어려움이 어울려, 박리방지 효과를 상승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박리 시트로는, 구체적으로는 연신 또는 무연신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등의 플라스틱 필름, 합성수지나 합성지, 합성섬유 등에 실리콘 가공한 실리콘 가공지, 알루미늄박, 크래프트지에 폴리에틸렌 등을 라미네이트한 라미네이트 가공지 등의 무색 또는 착색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박리 시트의 두께는 통상 10㎛∼100㎛ 이며, 바람직하게는 12㎛∼70㎛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0㎛ 이다. 박리 시트의 두께가 상기 하한 미만이면 박리작업에 있어서 박리 시트가 점착제층에 휘감기기 쉬우며, 또한 박리 시트를 뜯기 어려워지고, 그 결과 플라스타를 단시간에 깔끔하고 확실히 부착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추가로, 플라스타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박리 시트가 용이하게 분리되거나 박리 시트에 주름이 잡히기 쉬워지는 등 작업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박리 시트의 두께가 증가하면 박리 시트를 잡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으나,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박리 시트가 분리되기 어려워져, 부착 작업에 있어서의 사용감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추가로, 플라스타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박리 시트의 원판 시트가 절단되기 어려워지는 등 작업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박리 시트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절취부 (6) 와, 인접하는 2 개의 절취부 (6, 6) 사이에 형성된 연결부 (7) 를 갖는 것이다. 여기서, 절취부가 형성되는 위치에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통상, 박리 시트의 대략 중앙부 또는 그 주변부에 절취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절취부의 형상으로는, 직선 형상, S 자 형상, 물결 형상, 톱날 형상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중에서도 S 자 형상, 물결 형상, 톱날 형상의 절취부를 형성하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돌출편을 뜯어 잡아당길 수 있어, 부착작업에 있어서의 박리 시트의 박리 용이성이 향상되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관련된 박리 시트에 있어서 상호 인접하는 절취부 사이에 형성된 연결부의 길이 (a) 와 절취부의 길이 (b) 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a:b=1:5∼1:30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a:b=1:8∼1:20 이며, 좀더 바람직하게는 a:b=1:8∼1:15 이다. 절취부의 길이가 연결부의 길이의 5 배 미만이면 박리 시트가 분리되기 어려워져, 부착 작업에 있어서의 사용감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절취부의 길이가 연결부의 길이의 30 배를 초과하면 비사용시에도 박리 시트가 분리되기 쉬워져, 박리 시트가 분리부분으로부터 말려올라가 플라스타의 휘감김이 발생하거나 분리부분으로부터 약효성분이 휘발되어 약효효과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박리 시트의 강연도는 바람직하게는 20∼100mm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70mm 이다. 박리 시트의 강연도가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박리 시트의 지지성이 저하되어, 부착작업에 있어서 플라스타에 주름이나 휘감김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박리 시트의 강연도가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박리 시트의 유연성이 저하되어, 플라스타를 단시간에 깔끔하고 확실히 부착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박리 시트의 인장강도는 바람직하게는 5∼30N/cm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5N/cm 이다. 박리 시트의 인장강도가 작아짐에 따라 박리 시트의 분리가 용이해지는 경향이 있는데,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플라스타의 제조시나 플라스타를 꺼내는 경우 등에 가해지는 미소한 외력에 의해서도 박리 시트가 분리되어, 플라스타의 휘감김이나 분리부분으로부터의 약효성분의 휘발 등의 현상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박리 시트의 인장강도가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박리 시트의 분리에 강한 힘을 요하여, 플라스타를 점착할 때의 사용감이나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박리 시트의 신장률은 바람직하게는 250∼750%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600% 이다. 박리 시트의 신장률이 작아짐에 따라 박리 시트의 분리가 용이해지는 경향이 있는데, 250% 미만이면 플라스타의 제조시나 플라스타를 포장백에서 꺼내는 경우 등에 가해지는 미소한 외력에 의해서도 박리 시트가 분리되어, 플라스타의 휘감김이나 분리부분으로부터의 약효성분의 휘발 등의 현상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박리 시트의 신장률이 750% 를 초과하면 박리 시트가 충분히 신장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박리 시트가 분리되기 어려워져, 플라스타를 점착할 때의 사용감이나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강연도, 인장강도 및 신장률이 상기 조건을 갖는 박리 시트로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박리 시트의 분리강도는 바람직하게는 0.147∼1.275N/cm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96∼0.883N/cm 이며, 좀더 바람직하게는 0.245∼0.686N/cm 이다. 박리 시트를 절취부에 있어서 분리할 때의 인장강도가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플라스타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박리 시트의 분리가 발생하기 쉬워 연속적인 작업이 불가능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플라스타를 포장백 중에 수용하는 경우, 미소한 외력에 의하여 박리 시트가 분리되기 쉬워지고, 분리부분으로부터 약효성분이 휘발되는 등 품질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박리 시트를 절취부에 있어서 분리할 때의 인장강도가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박리 시트의 분리성이 저하되어, 부착 작업에 있어서 양호한 사용감을 얻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 에는 나타내고 있지 않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박리시트의 전체면 또는 표면의 일부에 엠보스 가공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엠보스 가공이 된 박리 시트를 사용하면, 박리 시트의 분리, 박리작업에 있어서 손이 미끄러지기 어려워지므로, 작업효율이 더욱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엠보스 가공부의 형상은 미끄러지기 어렵고 손으로 뜯기 쉬운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구체적으로는 격자 형상, 둥근 형상, 각 형상, 별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박리 시트 표면의 일부에 엠보스 가공을 하는 경우, 그 위치에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예를 들면 절취부의 양단부로부터 폭 10∼20mm 의 부분과 같이 박리 시트를 분리시킬 때 손으로 뜯기 쉬운 곳에 엠보스 가공부를 형성함으로써, 손이 미끄러지는 일 없이 보다 확실히 박리 시트를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박리 시트를 분리시키면 박리 시트가 절취부로부터 말려올라가므로, 절취부 근방에 엠보스 가공부를 형성함으로써 분리 후에 말려올라간 박리 시트를 보다 확실히 떼어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박리 시트의 분리방법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박리 시트 표면의 절취부를 사이에 둔 양측에 화살표 등의 도형이나 문자, 기호 등을 인쇄한 표시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박리 시트와 점착제층 사이의 180 도 박리력이 0.03∼0.4N/40mm 인 것이 바람직하며, 0.05∼0.3N/40mm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박리 시트와 점착제층 사이의 180 도 박리력이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플라스타의 제조시나 보관시에 박리 시트가 떼어지기 쉬워져, 플라스타의 휘감김이나 박리부분으로부터의 약효성분의 휘발의 원인이 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180 도 박리력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박리 시트가 플라스타로부터 떼어지기 어려워져, 플라스타를 점착할 때의 사용감이나 작업효율이 저하되고, 또한 플라스타가 휘감기거나 주름이 잡히기 쉬워 깔끔하게 점착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플라스타에 대하여, 이하 그 사용방법의 일예를 설명한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플라스타의 박리 시트를 분리시키는 작업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4 는 박리 시트를 떼어내면서 플라스타 (적층체) 를 부착하는 작업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먼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라스타 (1) 의 양단을 뜯고, 지지체 (2) 와 함께 박리 시트 (5) 를 잡아당김으로써, 박리 시트 (5) 를 절취부 (6) 를 따라 좌우로 분리시킬 수 있다. 분리된 박리 시트 (5) 는 박리 시트의 탄성에 의하여 분리된 부분으로부터 말려올라가, 점착제층 (3) 이 노출된다. 다음으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노출된 점착제층 (3) 을 부착부분에 대면서, 말려올라간 박리 시트 (4) 의 각 조각을 좌우로 잡아당겨 떼어냄으로써, 박리 시트 (4) 의 박리작업과 환부에 대한 플라스타 (1) 의 점착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플라스타를 사용함으로써, 휘감기거나 주름이 잡히는 일이 없이 단시간에 깔끔하고 용이하게 환부에 점착시킬 수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박리 시트의 박리작업과 플라스타의 부착부분에 대한 부착작업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에 단시간에 깔끔하고 확실히 부착할 수 있고, 게다가 관절이나 안면 등에 장시간 부착해도 잘 떼어지지 않는 플라스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종래와 같이 박리 시트의 박리 용이성을 검토할 때 박리 시트의 물성만을 검토하는 것으로는 플라스타의 부착하기 쉬운 정도나 플라스타의 박리되기 어려운 정도를 균형있게 달성하기는 어려우며, 신축성 지지체와 점착제층이 일체화된 적층체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절취부를 갖는 박리 시트를 구비하는 플라스타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50% 신장시 하중 및 50% 신장시 회복률이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과제가 해결됨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플라스타는 신축성 지지체 및 이 지지체 위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적층체와, 이 점착제층 위에 점착되어 있으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절취부를 갖는 박리 시트를 구비하는 플라스타로서,
상기 적층체를 긴변 20cm, 짧은변 5cm 의 시험편으로 하였을 때의 긴변방향 및 짧은변방향의 50% 신장시 하중이 모두 0.98∼14.71N/5cm 이며, 긴변방향 및 짧은변방향의 50% 신장시 회복률이 모두 50∼9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축성 지지체 및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적층체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절취부를 갖는 박리 시트를 구비하는 플라스타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긴변방향 및 짧은변방향의 50% 신장시 하중이 모두 0.98∼14.71N/5cm, 긴변방향 및 짧은변방향의 50% 신장시 회복률이 모두 50∼95% 가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플라스타를 좌우로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박리 시트가 용이하게 분리되는 동시에, 노출부를 부착부분에 대면서 박리 시트의 말려 올라간 부분을 잡고 떼어 낼 때 플라스타가 확실히 지지되므로, 박리 시트의 박리작업과 플라스타의 점착작업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에 플라스타에 주름이나 휘감김이 발생하는 일 없이 단시간에 깔끔하고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적층체의 50% 신장시 하중 및 50% 신장시 회복률이 상기 조건을 만족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플라스타 (적층체) 에 높은 피부추종성이 부여되므로, 관절이나 안면 등에 장시간 부착한 경우에도 떼어짐이 충분히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50% 신장시 하중이란, JIS L 1096 에 규정된 「신장력」의 측정방법에 준거하여 하기 조건으로 측정되는 값을 말한다. 즉, 본 발명과 관련된 50% 신장시 하중이란, 긴변 20cm, 짧은변 5cm 의 시험편을 JIS Z 0237 에 규정된 인장시험기를 이용하여 긴변방향 또는 짧은변방향으로 인장속도 200mm/분으로 인장하고, 시험편의 각 변에 대한 신장률이 50% (긴변방향으로 인장하는 경우에는 긴변이 30cm 가 되는 것을 말하며, 짧은변방향으로 인장하는 경우에는 짧은변이 7.5cm 가 되는 것을 말한다) 가 될 때의 단위폭 당 힘 [N/5cm] 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50% 신장시 회복률이란, JIS L 1096 에 규정되는 「신장회복률」의 측정방법에 준거하여 하기 조건으로 측정되는 값을 말한다. 즉, 본 발명과 관련된 50% 신장시 회복률이란, JIS Z 0237 에 규정되는 인장시험기를 이용하여, 긴변 20cm, 짧은변 5cm 의 시험편을 신장률이 50% 가 될 때까지 긴변방향 또는 짧은변방향으로 인장속도 200mm/분으로 인장한 후, 1 분간 방치하는 단계와, 200mm/분으로 원래의 위치까지 되돌려 3 분간 방치하는 단계를 3 회 반복한 후, 다시 200mm/분으로 인장할 때 1 회째의 초기하중과 동등한 하중을 가했을 때의 신장회복률 [%] 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스타는 점착제층 위에 점착된 박리 시트를 구비하는 것인데, 상기 50% 신장시 하중 및 50% 신장시 회복률이란, 각각 신축성 지지체 및 점착제층이 일체화된 적층체, 즉 플라스타로부터 박리 시트가 제거된 것을 시험편으로 사용하여 측정되는 값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박리 시트의 강연도가 20∼100mm 이며, 인장강도가 4.90∼29.42N/cm 이며, 신장률이 250∼7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강연도란, JIS L 1085 에 규정되는 캔틸레버법에 의하여 측정되는 값 [mm] 을 말하며 ; 인장강도 및 신장률이란 각각 JIS Z 1702 에 준하는 방법에 의하여,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폭 10mm 의 소책자 형상의 시험편을 사용하고, 움켜잡는 폭 50mm, 인장속도 300mm/분 으로 시험편을 인장하여, 파단시켰을 때의 하중 [N/cm] 및 신장률 [%] 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박리 시트를 상기 절취부를 따라 절단시켰을 때의 분리강도가 0.147∼1.257N/c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분리강도란, JIS Z 1702 에 준하는 방법에 따라, 절취부가 형성된 박리 시트를 시험편에 사용하여, 움켜잡는 폭 50mm, 인장속도 300mm/분 으로 시험편을 인장하고, 절취부를 따라 시험편을 분리시켰을 때의 하중 [N/cm] 을 말하며, 상기 인장강도와 구별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박리 시트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절취부 사이에 형성된 연결부의 길이 (a) 와 상기 절취부의 길이 (b) 의 비가 a:b=1:5∼1:30 인 것이 바람직하며, a:b=1:8∼1:25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연결부의 길이와 절취부의 길이의 비가 상기 범위내이면, 비사용시에 있어서의 박리 시트의 분리 및 그 결과 발생하는 점착제층의 노출을 충분히 억제하면서, 사용시에 있어서의 박리 시트의 분리 및 박리의 용이성이 더욱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스타에 있어서는, 상기 박리 시트의 강연도가 20∼100mm, 인장강도가 5∼30N/cm, 신장률이 250∼750% 이며, 상기 박리 시트와 상기 점착제층 사이의 180 도 박리력이 0.03∼0.4N/4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박리 시트의 강연도를 20∼100mm, 인장강도를 5∼30N/cm, 신장률을 250∼750%, 상기 박리 시트와 점착제층 사이의 180 도 박리력을 0.03∼0.4N/40mm 로 하고, 또한 상기 박리 시트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취부를 형성함으로써, 플라스타의 사용시에 있어서의 박리 시트의 박리성과 비사용시에 있어서의 박리 시트의 박리 방지성이라는 상반되는 특성이 충분히 균형있게 달성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박리 시트의 박리작업과 플라스타의 환부에 대한 점착작업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에 박리 시트를 용이하게 떼어내어 단시간에 깔끔하고 확실히 환부에 점착할 수 있고, 한편, 비사용시에는 박리 시트가 말려올라가는 일 없이 점착제층을 보호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강연도란, JIS L 1085 에 규정되는 캔틸레버법에 의하여 측정되는 값 [mm] 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인장강도 및 신장률이란, 각각 JIS Z 1702 에 준하는 방법에 따라, 폭 10mm 의 소책자 형상의 시험편을 사용하여, 움켜잡는 폭 50mm, 인장속도 300mm/분 으로 시험편을 인장하고, 파단하였을 때의 하중 [N/cm] 및 신장률 [%] 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180 도 박리력이란, JIS C 2107 에 준하는 방법에 따라, 레오미터를 사용하여, 박리 후의 박리 시트와 플라스타가 이루는 각이 180 도가 되도록 움켜잡는 폭 40mm, 인장속도 300mm/분 의 조건으로 플라스타로부터 박리 시트를 박리시켰을 때의 하중 [N/40mm] 을 말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아크릴산나트륨 10질량%, 글리세린 16질량%, 카올린 10질량%, L-멘톨 1질량%, 케토프로펜 3질량%, 정제수 60질량% 를 각각 배합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수득된 도공액을 신축성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지지체 (50% 신장시 하중 : 5.5N/5cm, 50% 신장시 회복률 : 92%) 위에 도공 두께 1300㎛ 가 되도록 전개 연신하여 점착제층을 형성시켜, 목적의 적층체를 수득하였다. 수득된 적층체의 50% 신장시 하중은 긴변방향 4.90N/5cm, 짧은변방향 0.98N/5cm 이며, 50% 신장시 회복률은 긴변방향 70%, 짧은변방향 50% 였다.
다음으로, 상기 적층체의 점착제층의 전체면에, 연결부의 길이 (a) 와 절취부의 길이 (b) 의 비가 a:b=1:15 가 되도록 대략 중앙부에 절취부가 형성된 무연신 폴리프로필렌제 박리 시트 (강연도 : 20mm, 인장강도 : 10N/cm, 신장률 : 280%, 절취부에 있어서의 분리강도 : 0.49N/cm) 를 점착하여 파프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
폴리아크릴산나트륨 23질량%, 글리세린 13질량%, 카올린 10질량%, L-멘톨 1 질량%, 인도메타신 1질량%, 정제수 52질량% 를 각각 배합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수득된 도공액을 신축성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지지체 (50% 신장시 하중 : 5.5N/5cm, 50% 신장시 회복률 : 92%) 에 도공 두께 1100㎛ 가 되도록 전개 연신하여 점착제층을 형성시켜, 목적의 적층체를 수득하였다. 수득된 적층체의 50% 신장시 하중은 긴변방향 5.88N/5cm, 짧은변방향 1.96N/5cm 이며, 50% 신장시 회복률은 긴변방향 80%, 짧은변방향 60% 였다.
다음으로, 상기 적층체의 점착제층의 전체면에, 연결부의 길이 (a) 와 절취부의 길이 (b) 의 비가 a:b=1:7 이 되도록 대략 중앙부에 절취부가 형성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박리 시트 (강연도 : 80mm, 인장강도 : 26N/cm, 신장률 : 600%, 절취부에 있어서의 분리강도 : 0.69N/cm) 를 점착하여 파프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정제수 48.8%, 카올린 9.5질량%, 산화티탄 0.3질량%, 세스키올레인산소르비탄 (HLB 값=4.3) 0.6질량%, 합성 규산알루미늄 0.5질량% 및 주석산 0.3질량% 를 혼합하여 균일한 분산액을 조제하였다. 이 분산액에, 미리 조정해 둔 폴리아크릴산나트륨 9질량%, 글리세린 24질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3질량% 의 분산액을 첨가하여 균일한 연합물(練合物)을 조제하고, 다시 이 연합물에 페르비낙 1질량% 를 크로타미톤 3질량% 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도공액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도공액을 신축성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지지체 (50% 신장시 하중 : 5.5N/5cm, 50% 신장시 회복률 : 92%) 에 도공 두께 800㎛ 가 되도록 전개 연신하여 점착제층을 형성시켜, 목적의 적층체를 수득하였다. 수득된 적층체의 50% 신장시 하중은 긴변방향 6.37N/5cm, 짧은변방향 2.45N/5cm 이며, 50% 신장시 회복률은 긴변방향 70%, 짧은변방향 55% 였다.
다음으로, 상기 적층체의 점착제층의 전체면에, 연결부의 길이 (a) 와 절취부의 길이 (b) 의 비가 a:b=1:20 이 되도록 대략 중앙부에 절취부가 형성된 연신 폴리프로필렌제 박리 시트 (강연도 : 40mm, 인장강도 : 22N/cm, 신장률 : 350%, 절취부에 있어서의 분리강도 : 0.3N/cm) 를 점착하여 파프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공중합체 21질량%, 폴리이소부틸렌 5질량%, 수소첨가 로진 에스테르 14질량%, 유동 파라핀 55질량%,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1질량%, 합성 규산알루미늄 1질량% 및 케토프로펜 3질량% 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수득된 도공액을 신축성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지지체 (50% 신장시 하중 : 5.5N/5cm, 50% 신장시 회복률 : 92%) 에 도공 두께 150㎛ 가 되도록 전개 연신하여 점착제층을 형성시켜, 목적의 적층체를 수득하였다. 수득된 적층체의 50% 신장시 하중은 긴변방향 4.90N/5cm, 짧은변방향 1.47N/5cm 이며, 50% 신장시 회복률은 긴변방향 90%, 짧은변방향 75% 였다.
다음으로, 상기 적층체의 점착제층의 전체면에 연결부의 길이 (a) 와 절취부의 길이 (b) 의 비가 a:b=1:25 가 되도록 대략 중앙부에 절취부가 형성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박리 시트 (강연도 : 80mm, 인장강도 : 26N/cm, 신장률 : 600%, 절취부에 있어서의 분리강도 : 0.29N/cm) 를 점착하여 파프제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지지체로서 비신축성 폴리에스테르 지지체 (상품명 : 테트론 필름, 테이진 제조)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파프제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지지체로서 비신축성 폴리에스테르 지지체 (상품명 : 테트론 필름, 테이진 제조)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하여 파프제를 제작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실시예 1∼4 및 비교예 1∼2 의 플라스타에 대하여 이하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예 1 (박리 시트의 분리시험)
실시예 1∼4 및 비교예 1∼2 의 플라스타에 대하여, 건강한 성인남녀 10명이 피험자가 되어, 각 피험자가 각 플라스타를 좌우로 잡아당겨 박리 시트를 분리시킨 경우의 분리 용이성을 이하의 기준 :
5 : 매우 분리시키기 쉬움
4 : 분리시키기 쉬움
3 : 비교적 분리시키기 쉬움
2 : 분리시키기 어려움
1 : 매우 분리시키기 어려움
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수득된 평점의 평균값을 표 1 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2 (플라스타의 부착시험)
실시예 1∼4 및 비교예 1∼2 의 플라스타에 대하여, 건강한 성인남녀 10명이 피험자가 되어, 각 피험자가 각 플라스타를 좌우로 잡아당겨 박리 시트를 분리시킨 후, 박리 시트를 떼어내면서 플라스타 (적층체) 를 무릎에 부착할 때의 사용감을 이하의 기준 :
5 : 매우 부착하기 쉬움
4 : 부착하기 쉬움
3 : 비교적 부착하기 쉬움
2 : 부착하기 어려움
1 : 매우 부착하기 어려움
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수득된 평점의 평균값을 표 1 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3 (플라스타의 박리 방지성 시험)
상기 시험예 2 에 있어서 피험자의 무릎에 부착된 실시예 1∼4 및 비교예 1∼2 의 각 플라스타 (적층체) 에 대하여, 1 일간 경과 후의 박리되기 어려운 정도를 이하의 기준 :
3 : 박리 발생 없음
2 : 플라스타 (적층체) 의 부착면적의 20% 미만의 박리가 발생
1 : 플라스타 (적층체) 의 부착면적의 20% 이상의 박리가 발생
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수득된 평점의 평균값을 표 1 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1(박리 시트의 분리 용이성) 시험예 2(부착 용이성) 시험예 3(박리되기 어려운 정도) 종합평가
실시예 1 5 5 3
실시예 2 5 5 3
실시예 3 4 5 3
실시예 4 4 5 3
비교예 1 1 1 1 ×
비교예 2 1 1 1 ×
표 1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4 의 플라스타의 경우에는, 박리 시트의 분리 용이성, 플라스타의 부착 용이성, 플라스타의 박리되기 어려운 정도 모두에 있어서 우수한 결과가 얻어졌다.
이에 반해, 비교예 1 및 2 의 플라스타의 경우에는, 박리 시트의 분리에 강한 힘을 요하고, 또한 박리 시트를 분리시킨 것만으로는 박리 시트의 말려올라감이 발생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플라스타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손가락 끝으로 분리부분을 찾으면서 박리 시트를 뜯어야 하므로, 부착하기 어렵고, 손가락 끝이 더러워진다는 결점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추가로, 부착부분의 약간의 움직임에대해서도 떼어짐이 발생하기 쉬웠다.
실시예 5
이하의 순서에 따라, 도 1 에 나타내는 플라스타를 제작하였다.
지지체로서 신축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50% 신장시 하중 : 4.90N/5cm, 50% 신장시 회복률 : 75%, 단위면적 당 질량 : 100g/㎡, 실의 두께 : 1 데닐) 를 사용하였다. 또한, 증점제로서 폴리아크릴산나트륨 5질량%, 폴리비닐알코올 2질량%, 카올린 2질량%, 글리세린 10질량%, 수산화알루미늄 0.5질량%, 약물로서 케토프로펜 0.5질량%, 물 80질량% 를 각각 배합하고, 혼합한 것을 고체(膏體)로서 사용하였다. 그리고, 이 지지체 위에 고체를 도공 두께 1000㎛ 가 되도록 전개 연신하여 점착제층을 제작하였다. 수득된 적층체의 50% 신장시 하중은 긴변방향 5.20N/5cm, 짧은변방향 1.76N/5cm 이며, 50% 신장시 회복률은 긴변방향 65%, 짧은변방향 70% 였다.
다음으로, 박리 시트로서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두께 : 30㎛m, 강연도 : 20mm, 인장강도 : 5N/cm, 신장률 : 280%) 을 사용하였다. 이 박리 시트를 상기 점착제층의 전체면에 점착하고, 박리 시트의 대략 중앙부에 연결부의 길이 (a) 와 절취부의 길이 (b) 의 비가 a:b=1:8 이 되도록 직선 형상의 절취부를 형성하여 목적의 플라스타 (긴변 : 14cm, 짧은변 : 10cm) 를 수득하였다. 수득된 플라스타의 박리 시트와 점착제층 사이의 180 도 박리력은 0.15N/40mm 였다.
실시예 6
실시예 5 에서 사용한 박리 시트 대신에 무연신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박리 시트 (두께 : 50㎛, 강연도 : 50mm, 인장강도 : 22N/cm, 신장률 : 730%)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플라스타를 제작하였다. 수득된 플라스타의 박리 시트와 점착제층 사이의 180 도 박리력은 0.05N/40mm 였다.
실시예 7
실시예 5 에서 사용한 박리 시트 대신에 폴리에틸렌 (PE) 으로 이루어지는 박리 시트 (두께 : 40㎛, 강연도 : 60mm, 인장강도 : 14.7N/cm, 신장률 : 410%)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플라스타를 제작하였다. 수득된 플라스타의 박리 시트와 점착제층 사이의 180 도 박리력은 0.3N/40mm 였다.
실시예 8
실시예 5 에서 사용한 박리 시트 대신에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박리 시트 (두께 : 50㎛, 강연도 : 80mm, 인장강도 : 26N/cm, 신장률 : 600%)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플라스타를 제작하였다. 수득된 플라스타의 박리 시트와 점착제층 사이의 180 도 박리력은 0.4N/40mm 였다.
실시예 9
실시예 5 에서 사용한 박리 시트 대신에 무연신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박리 시트 (두께 : 100㎛, 강연도 : 100mm, 인장강도 : 30N/cm, 신장률 : 310%)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플라스타를 제작하였다. 수득된 플라스타의 박리 시트와 점착제층 사이의 180 도 박리력은 0.3N/40mm 였다.
실시예 10
박리 시트의 연결부의 길이 (a) 와 절취부의 길이 (b) 의 비가 a:b=1:5 가되도록 절취부를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플라스타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1
박리 시트의 연결부의 길이 (a) 와 절취부의 길이 (b) 의 비가 a:b=1:15 가 되도록 절취부를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플라스타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5 에서 사용한 박리 시트 대신에 무연신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박리 시트 (두께 : 20㎛, 강연도 : 15mm, 인장강도 : 4N/cm, 신장률 : 240%)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플라스타를 제작하였다. 수득된 플라스타의 박리 시트와 점착제층 사이의 180 도 박리력은 0.1N/40mm 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5 에서 사용한 박리 시트 대신에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박리 시트 (두께 : 80㎛, 강연도 : 120mm, 인장강도 : 43N/cm, 신장률 : 310%)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플라스타를 제작하였다. 수득된 플라스타의 박리 시트와 점착제층 사이의 180 도 박리력은 0.3N/40mm 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5 에서 사용한 박리 시트 대신에 연신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박리 시트 (두께 : 50㎛, 강연도 : 80mm, 인장강도 : 35N/cm, 신장률 : 150%)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플라스타를 제작하였다. 수득된 플라스타의 박리 시트와 점착제층 사이의 180 도 박리력은 0.05N/40mm 였다.
실시예 15
실시예 5 에서 사용한 박리 시트 대신에 연신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박리 시트 (두께 : 30㎛, 강연도 : 50mm, 인장강도 : 15N/cm, 신장률 : 130%)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플라스타를 제작하였다. 수득된 플라스타의 박리 시트와 점착제층 사이의 180 도 박리력은 0.5N/40mm 였다.
실시예 16
실시예 5 에서 사용한 박리 시트 대신에 실리콘 처리한 연신 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박리 시트 (두께 : 40㎛, 강연도 : 45mm, 인장강도 : 26N/cm, 신장률 : 420%)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플라스타를 제작하였다. 수득된 플라스타의 박리 시트와 점착제층 사이의 180 도 박리력은 0.01N/40mm 였다.
이렇게 수득된 플라스타를 사용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관능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예 4
실시예 5∼9, 12∼16 의 각 플라스타에 대하여, 건강한 성인남녀 20명이 피험자가 되어, 각 피험자가 각 플라스타를 좌우로 잡아당겨 박리 시트를 분리, 박리하고, 부착부위 (무릎) 에 점착시킬 때의 사용감을 이하의 기준 :
5 : 매우 떼어내기 쉬움
4 : 떼어내기 쉬움
3 : 비교적 떼어내기 쉬움
2 : 떼어내기 어려움
1 : 매우 떼어내기 어려움
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각 플라스타에 대하여 수득된 평점의 평균값을 표 2 에 나타내었다.
박리 시트의 강연도, 인장강도, 신장률 및 박리 시트와 점착제층 사이의 180 도 박리력이 모두 전술한 바람직한 조건을 만족하는 실시예 5∼9 의 플라스타는 모두 절취부 이외의 장소에 있어서 박리 시트가 말려올라가는 일 없이 박리 시트를 용이하게 분리, 박리할 수 있어, 점착시에 있어서의 사용감이 양호함이 확인되었다.
시험예 5
실시예 5, 10, 11 의 각 플라스타에 대하여, 건강한 성인남녀 20명이 피험자가 되어, 각 피험자가 각 플라스타를 좌우로 잡아당겨 박리 시트를 분리시킨 경우의 분리 용이성 (분리시키기 쉬운 정도) 을 이하의 기준 :
5 : 매우 분리시키기 쉬움
4 : 분리시키기 쉬움
3 : 비교적 분리시키기 쉬움
2 : 분리시키기 어려움
1 : 매우 분리시키기 어려움
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수득된 평점의 평균값을 표 2 에 나타내었다.
표 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5, 10, 11 의 플라스타는 모두 높은 분리 용이성을 가짐이 확인되었으나, 그 중에서도 실시예 5 및 11 은 특히 높은 분리 용이성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6
실시예 5∼9, 12∼16 의 플라스타를 각각 박리 시트가 점착된 상태에서 알루미늄박 포장백에 넣고 열봉인으로 밀봉하였다. 이 알루미늄박 포장백을 40℃, 75% RH 의 조건하에서 1 개월간 보관한 후, 포장백에서 플라스타를 꺼내어 점착제층과 박리 시트 사이의 박리의 유무를 이하의 기준 :
○: 점착제층과 박리 시트 사이에 박리가 전혀 관찰되지 않았음
×: 점착제층과 박리 시트 사이에 일부 박리가 관찰되었음
에 기초하여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내었다.
표 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5∼9 의 플라스타는 모두 비사용시에 박리 시트의 박리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실시예 5∼11 의 플라스타에 있어서는, 사용시의 높은 박리성과 비사용시의 높은 박리 방지성이 충분히 균형있게 달성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평점 (평균값)
시험예 4 (사용감) 시험예 5 (분리 용이성) 시험예 6 (박리 방지성)
실시예 5 4.6 4.6
실시예 6 4.5 -
실시예 7 4.8 -
실시예 8 3.9 -
실시예 9 3.5 -
실시예 10 - 3.5 -
실시예 11 - 5.0 -
실시예 12 1.3 -
실시예 13 2.1 -
실시예 14 1.8 -
실시예 15 2.2 -
실시예 16 2.6 -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박리 시트의 박리작업과 플라스타의 부착부분에 대한 부착작업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에 단시간에 깔끔하고 확실히 부착할 수 있으며, 게다가 관절이나 안면 등에 장시간 부착해도 잘 떼어지지 않는 플라스타를 수득할 수 있다.

Claims (6)

  1. 신축성 지지체 및 이 지지체 위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적층체와, 이 점착제층 위에 점착되어 있으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절취부를 갖는 박리 시트를 구비하는 플라스타로서,
    상기 적층체를 긴변 20cm, 짧은변 5cm 의 시험편으로 하였을 때의 긴변방향 및 짧은변방향의 50% 신장시 하중이 모두 0.98 내지 14.71N/5cm 이며, 긴변방향 및 짧은변방향의 50% 신장시 회복률이 모두 50 내지 95% 인 플라스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시트의 강연도가 20 내지 100mm 이며, 인장강도가 4.90 내지 29.42N/cm 이며, 신장률이 250 내지 750% 인 플라스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시트를 상기 절취부를 따라 분리시킬 때의 분리강도가 0.147 내지 1.275N/cm 인 플라스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시트에 있어서 상호 인접하는 상기 절취부 사이에 형성된 연결부의 길이 (a) 와 상기 절취부의 길이 (b) 의 비가 a:b=1:5 내지 1:30 인 플라스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시트의 강연도가 20 내지 100mm 이며, 인장강도가 5 내지 30N/cm, 신장률이 250 내지 750% 인 플라스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시트와 상기 점착제층 사이의 180 도 박리력이 0.03 내지 0.4N/40mm 인 플라스타.
KR1020027016761A 2000-06-13 2001-06-13 플라스타 KR200300147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77091 2000-06-13
JP2000177091 2000-06-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700A true KR20030014700A (ko) 2003-02-19

Family

ID=18678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761A KR20030014700A (ko) 2000-06-13 2001-06-13 플라스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30138479A1 (ko)
EP (1) EP1293199A4 (ko)
JP (1) JP5038576B2 (ko)
KR (1) KR20030014700A (ko)
CN (1) CN1235573C (ko)
AU (2) AU2001264256B2 (ko)
BR (1) BR0111580A (ko)
CA (1) CA2411950A1 (ko)
WO (1) WO200109588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1795A1 (ko) * 2011-10-04 2013-04-11 주식회사 제닉 마스크 기재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KR101280608B1 (ko) * 2005-08-17 2013-06-28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간이 박리 가능한 박리 시트를 갖춘 패치
KR101384999B1 (ko) * 2012-05-04 2014-04-14 주식회사 제닉 오르가노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르가노겔 마스크 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1238664E (pt) * 1999-12-15 2007-04-30 Hisamitsu Pharmaceutical Co Preparações de adesivo
CA2406261C (en) * 2000-04-18 2010-12-07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Antiinflammatory-containing plaster
JP4073231B2 (ja) * 2002-03-28 2008-04-09 久光製薬株式会社 シ−ト状貼付剤
ATE333271T1 (de) * 2003-02-21 2006-08-15 Schering Ag Uv-stabiles transdermales pflaster
JP5137286B2 (ja) * 2003-06-10 2013-02-06 帝國製薬株式会社 フェンタニル含有口腔粘膜貼付剤
US8524272B2 (en) 2003-08-15 2013-09-03 Mylan Technologies, Inc. Transdermal patch incorporating active agent migration barrier layer
JP2005066102A (ja) * 2003-08-26 2005-03-17 Big Technos Kk 貼付材
US11690746B2 (en) 2004-04-02 2023-07-04 Applied Biokinetics Llc Pre-cut adhesive supports for anatomical support, pain reduction, or therapeutic treatment
JP4764337B2 (ja) * 2004-04-23 2011-08-31 久光製薬株式会社 消炎鎮痛貼付剤
JP2006130085A (ja) * 2004-11-05 2006-05-25 Nitto Denko Corp 貼付製剤
US20060263420A1 (en) * 2005-03-10 2006-11-23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Adhesive and plaster
EP1864655B1 (en) * 2005-03-10 2016-11-30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Adhesive and adhesive patch
JP5089376B2 (ja) * 2005-03-10 2012-12-05 久光製薬株式会社 粘着剤及び貼付剤
JP2006288887A (ja) 2005-04-13 2006-10-26 Nitto Denko Corp 貼付製剤
JP5010829B2 (ja) * 2005-12-28 2012-08-29 帝國製薬株式会社 貼付剤
FR2904200B1 (fr) * 2006-07-25 2009-01-09 Oreal Applicateur d'un produit cosmetique ou de soin de type doigtier
JP4975534B2 (ja) * 2007-07-04 2012-07-11 日東電工株式会社 貼付剤包装構造
JP5284700B2 (ja) 2007-11-09 2013-09-11 花王株式会社 発熱具
JP2009161501A (ja) * 2008-01-10 2009-07-23 Nitto Denko Corp 貼付剤の使用方法
JP5738531B2 (ja) * 2008-01-31 2015-06-24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
JP5244553B2 (ja) * 2008-11-17 2013-07-24 日東電工株式会社 ブリスター包装体
JP4908486B2 (ja) * 2008-12-22 2012-04-04 日東電工株式会社 貼付剤包装構造
EP2399607B1 (en) * 2009-02-18 2017-11-29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Transdermal preparation
EP2236165A1 (en) * 2009-04-01 2010-10-06 Rijksuniversiteit Groningen Tracheostoma valve
US20120059488A1 (en) * 2009-04-16 2012-03-08 Keio University Transplantation device
US8778387B2 (en) * 2009-09-02 2014-07-15 Hyprotek, Inc. Antimicrobial medical dressings and protecting wounds and catheter sites
US8561619B1 (en) * 2009-12-08 2013-10-22 Kiss Nail Products, Inc. Artificial nail or tip arrangement and method of making same
AU2011207398B2 (en) 2010-01-22 2014-11-20 Hyprotek, Inc. Antimicrobial agent comprising peroxide, alcohol and chelating agent
AU2012202196B2 (en) * 2011-04-26 2016-08-18 Nitto Denko Corporation Stretch Adhesive Bandage
EP2517680A3 (en) * 2011-04-26 2013-08-14 Nitto Denko Corporation Stretch adhesive bandage
JP2013106719A (ja) * 2011-11-18 2013-06-06 Nitto Denko Corp 伸縮性粘着包帯
JP2012228347A (ja) * 2011-04-26 2012-11-22 Nitto Denko Corp 伸縮性粘着包帯
US9925264B2 (en) 2011-05-10 2018-03-27 Itochu Chemical Frontier Corporation Non-aqueous patch
EP2708229B1 (en) 2011-05-10 2019-07-31 Itochu Chemical Frontier Corporation Non-aqueous patch
US11786455B2 (en) 2011-05-10 2023-10-17 Itochu Chemical Frontier Corporation Non-aqueous patch
CA2850024C (en) 2011-09-27 2020-07-07 Itochu Chemical Frontier Corporation Non-aqueous patch comprising lidocaine
US20130199946A1 (en) 2012-02-06 2013-08-08 Hyprotek, Inc. Portable Medical Device Protectors
WO2016172683A1 (en) * 2015-04-24 2016-10-27 Avery Dennison Corporation Easy to apply dressings
CN105287105A (zh) * 2015-11-24 2016-02-03 浙江安生医用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免覆膜防粘连吸水垫及其生产工艺
WO2017130838A1 (ja) * 2016-01-29 2017-08-03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絆創膏
CN107284733A (zh) * 2016-04-05 2017-10-24 康暻企业有限公司 两段安装式屏幕保护片贴合装置及具该装置的贴合组件
JP6554069B2 (ja) * 2016-06-08 2019-07-31 幸広 三矢 バランスウエイト及びバランスウエイト並列体
EP3562451B1 (en) * 2016-12-30 2021-11-10 Euromed, Inc. Adhesive patch containing an improved release liner system
US20200324530A1 (en) * 2019-04-12 2020-10-15 Altria Client Services Llc Carrier material layer
US11407534B2 (en) 2019-04-12 2022-08-09 Altria Client Services Ll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forming pouch produc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8483A (en) * 1988-11-04 1992-02-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 Adhesive frame bandage
JP2726948B2 (ja) * 1989-11-20 1998-03-11 ライオン株式会社 貼付剤
US5204109A (en) * 1989-12-28 1993-04-20 Nitto Denko Corporation Percutaneous gel preparation
US5998694A (en) * 1994-03-02 1999-12-07 Jensen; Ole R. Occlusive dressing with release sheet having extended tabs
JP3192333B2 (ja) * 1994-10-14 2001-07-23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
US5704905A (en) * 1995-10-10 1998-01-06 Jensen; Ole R. Wound dressing having film-backed hydrocolloid-containing adhesive layer with linear depressions
US5951505A (en) * 1996-02-05 1999-09-14 Hollister Incorporated Wound dressing and delivery system therefor
CN1232389A (zh) * 1996-10-04 1999-10-20 崎玉第一制药株式会社 贴剂
JPH10265372A (ja) * 1997-03-25 1998-10-06 Sekisui Chem Co Ltd 貼付剤
JPH1112910A (ja) * 1997-06-12 1999-01-19 Teijin Ltd 医療用貼付材基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56679B2 (ja) * 1998-07-10 2010-04-28 久光製薬株式会社 ステロイド含有パップ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09427A (ja) * 1998-10-01 2000-04-18 Lion Corp 皮膚貼付剤
WO2000069422A1 (fr) * 1999-05-13 2000-11-23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Band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608B1 (ko) * 2005-08-17 2013-06-28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간이 박리 가능한 박리 시트를 갖춘 패치
WO2013051795A1 (ko) * 2011-10-04 2013-04-11 주식회사 제닉 마스크 기재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KR101367105B1 (ko) * 2011-10-04 2014-02-26 주식회사 제닉 마스크 기재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US10011712B2 (en) 2011-10-04 2018-07-03 Genic Co., Ltd. Hydrogel composition for a mask bas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hydrogel using same
KR101384999B1 (ko) * 2012-05-04 2014-04-14 주식회사 제닉 오르가노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르가노겔 마스크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36071A (zh) 2003-08-13
CN1235573C (zh) 2006-01-11
CA2411950A1 (en) 2002-12-09
WO2001095889A1 (fr) 2001-12-20
AU6425601A (en) 2001-12-24
AU2001264256B2 (en) 2006-05-11
US20030138479A1 (en) 2003-07-24
JP5038576B2 (ja) 2012-10-03
EP1293199A4 (en) 2004-12-22
EP1293199A1 (en) 2003-03-19
BR0111580A (pt) 2003-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14700A (ko) 플라스타
KR101280608B1 (ko) 간이 박리 가능한 박리 시트를 갖춘 패치
RU255224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клейкой накладки
US6914169B1 (en) Patch agent
WO2000069422A1 (fr) Bande
JPH08112305A (ja) 貼付剤
CN103096931A (zh) 医疗用贴附剂
CN103096930A (zh) 医疗用贴附剂
EP3437596A1 (en) Patch material
JP3566960B2 (ja) 貼付剤
JP2009191038A (ja) 伸縮性貼付剤
JP4809157B2 (ja) 簡易剥離可能な剥離シートを備えた貼付剤
JP3689807B2 (ja) 剥離シート
JP4584411B2 (ja) 貼付剤
JP6528154B2 (ja) ビソプロロール含有貼付製剤
JPH0753357A (ja) 貼付剤
JP4536844B2 (ja) シート状パック剤
JP6588490B2 (ja) 貼付剤
WO2016125878A1 (ja) 貼付剤
WO2010073327A1 (ja) 貼付剤
CN114845706A (zh) 胶带剂
JP2000297032A (ja) 貼付剤
JP2004024904A (ja) 貼付剤
JPH09194349A (ja) 皮膚貼付用シート
JP2004188218A (ja) 貼付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