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608B1 - 간이 박리 가능한 박리 시트를 갖춘 패치 - Google Patents

간이 박리 가능한 박리 시트를 갖춘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608B1
KR101280608B1 KR1020087004175A KR20087004175A KR101280608B1 KR 101280608 B1 KR101280608 B1 KR 101280608B1 KR 1020087004175 A KR1020087004175 A KR 1020087004175A KR 20087004175 A KR20087004175 A KR 20087004175A KR 101280608 B1 KR101280608 B1 KR 101280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
release sheet
sheet
dividing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4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6613A (ko
Inventor
히데아키 이와하시
시게오 오타
노부오 츠츠미
타카후미 미야치카
Original Assignee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6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6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2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ressing
    • A61F13/01029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ressing made of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59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liner covering the skin adher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89Wound bandages easy removing of the protection 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95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 A61F2013/008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easy removing of the protection sheet
    • A61F2013/00812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easy removing of the protection sheet perforate or breakable z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로 당기는 것만으로 박리 시트만이 분단되는 패치에 있어서, 박리 시트가 쉽게 박리되는 패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신축성 지지체, 이 지지체의 일면의 전면에 전착된 고체(膏體) 및 이 접착부의 전면에 부착된 박리 시트를 갖추고 있는 패치에 있어서, 단지 당겨서 박리 시트만을 분단부에서 분단하고, 상기 분단부의 근방에, 상기 패치를 당겼을 때 개방되는 예비절단부를 1 또는 2 이상 갖추고 있는 패치에 관한 것이다.
박리 시트, 패치

Description

간이 박리 가능한 박리 시트를 갖춘 패치 {Patch having easily detachable release sheet}
본 발명은 습포제나 경고제(硬膏劑) 등의 패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고령자라도 부착면을 불필요하게 만질 필요없이, 또 습포제나 경고제 등의 패치 상에 주름을 남기지 않고, 깨끗하게 간단하게 환부에 부착할 수가 있는 편리성이 뛰어난 패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고령화 사회가 발전함과 동시에, 사무의 합리화로 각종 컴퓨터가 이용되고, 그 결과, 허리나 어깨, 무릎, 팔꿈치 등에 아픔을 호소하는 사람이 증가하는 경향에 있고, 그 대증요법으로서 습포제나 경고제 등이 넓게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습포제나 경고제 등의 패치는, 지지체, 고체(膏體) 및 박리 시트가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지만, 사용시에 박리 시트를 벗기는 것이 곤란하고, 특히 사용 빈도의 높은 고령자에게 있어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예를 들면, 2매의 박리 시트를 패치의 중앙부에서 맞추고 그 조인트로부터 접어 구부리고 풀탭(pull-tab) 부분을 마련함으로써, 박리 시 트의 박리를 용이하게 한 패치(특허 문헌 1)나, 박리 시트에 물결 모양이나 볼록부와 오목부의 지그재그형으로 자국선을 마련하고 패치 전체를 접어 구부리는 것에 의해 볼록부가 파지부(把持部)가 되어, 박리 시트의 박리를 용이하게 한 패치(특허 문헌 2)를 들 수 있다. 전자의 패치는, 풀탭(pull-tab) 부분의 형성에 비용이 들고, 또 형성된 풀탭(pull-tab)은 갈고리로 걸1 수 있기 때문에, 취급에 주의가 필요했다. 또, 후자의 패치는, 박리 시트가 패치를 접어 구부렸을 때에 박리하는 정도의 강성을 가지고 있을 필요가 있고, 박리 시트의 재질에 일정한 제약을 수반하고 있었다.
한편, 소독 패드를 가지는 접착 경고제의 분야이지만, 파선상의 절단을 포함하는 1매의 박리용 얇은 판자를 이용하고 이것을 잡아당겨서 2매로 분단한 구급 접착 경고제가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3). 그러나, 이 분단한 박리용 얇은 판자를 박리하려면, 구급 접착 경고제 자체를 만곡시키는 등의 동작이나 손의 바꾸기가 필요하고, 반드시 사용성(붙이기 쉬움)이 뛰어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리고, 패치의 분야에 있어서는, 좌우로 당기는 것만으로 박리 시트만을 분단할 수 있는 사용성(붙이기 쉬움)이 뛰어난 패치(특허 문헌 4)가 알려져 있지만, 보다 뛰어난 사용성(붙이기 쉬움)을 추구하는 고령자를 중심으로 하는 소비자의 요구는 더욱 증가하고, 보다 간편한 박리 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보다 고기능의 패치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특표평 7-500751호 공보
[특허 문헌 2] 실개평 1-165023호 공보
[특허 문헌 3] 실개소 50-133797호 공보
[특허 문헌 4] 특개평 8-112305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좌우로 당겨서 박리 시트만을 분단하는 패치에 있어서, 사용성(붙이기 쉬움)이 뛰어나고 박리 시트를 벗기는 작업이 용이한 패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 등은 박리 시트의 분단되는 위치의 근방에, 패치를 좌우로 당겼을 때 개방되는 예비절단부를 1 또는 2 이상 마련해 두면, 분단된 박리 시트를 깨끗하게 솟아오르게 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고, 한층 더 연구를 진행시킨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신축성 지지체, 이 지지체의 일면의 전면에 전착된 고체(膏體) 및 이 접착부의 전면에 부착된 박리 시트를 갖추고 있는 패치에 있어서, 단지 당겨서 박리 시트만을 분단부에서 분단하고, 상기 분단부의 근방에, 상기 패치를 당겼을 때 개방되는 예비절단부를 1 또는 2 이상 갖추고 있는 패치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분단부가 S자 형상, 물결 형상 또는 지그재그 형상인 패치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분단부가 직선 모양인 패치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예비절단부가 T자 모양인 패치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T자의 세로 봉이 패치의 좌우 인장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세로 봉의 선단은 분단부를 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패치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예비절단부가 분단부로부터 좌우 방향을 향해 볼록한 모양으로 배치되는 패치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예비절단부가 V자 모양 또는 원호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는 패치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박리 시트가 분단부를 가지는 1매의 박리 시트이며, 패치를 좌우로 당기는 것만으로 박리 시트와 지지체와의 신장률의 차이에 의해 박리 시트만이 상기 분단부에서 분단되는 패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박리 시트나 지지체의 단부를 찾는 등의 박리 개시 작업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패치를 좌우로 인장하는 것만으로 박리 시트를 분단되는 것과 동시에, 예비절단부의 존재에 의해, 분단된 박리 시트의 단부를 양호하게 넘길 수 있기 때문에, 박리 시트를 벗기는 작업이 지극히 용이하 게 된다. 게다가 양호한 솟아오름에 의해, 고체(膏體)의 일부가 보다 넓게 노출되기 때문에, 이보다 넓게 노출한 고체(膏體)의 노출부를 환부(患部)에 직접 대고, 패치를 손 바뀜없이 부착하는 작업(소위, 원터치 부착)이 보다 한층 용이하게 된다.
게다가 패치를 좌우로 인장하고, 손을 바꾸지 않고 원터치로 환부에 부착하는 사용법을 박리 시트 및/또는 지지체에 명시하는 것으로써, 패치의 사용성(붙이기 쉬움)을 보다 높일 수가 있고 패치를 한층 더 고기능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치를 좌우로 당겼을 때, 박리 시트의 양호한 솟아오름에 대해서는, 우선 박리 시트가 분단부에서 분단되고; 동시에, 예비절단부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예비절단부로부터 공기가 박리 시트와 고체(膏體)와의 사이에 비집고 들어가고, 이 공기가 솟아오름을 조장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 예비절단부를 분단부에서 좌우 방향을 향해 볼록한 모양으로 배치했을 경우, 패치를 좌우로 당겼을 때, 고체(膏體)가 보다 크게 노출할 뿐만 아니라, 볼록한 모양의 선단이 고체(膏體)에 걸리기 때문에, 좌우 인장력을 느슨하게 해도, 박리 시트는 솟아오름 상태를 유지한다. 이것에 의해, 한 번 박리한 박리 시트가 다시 고체(膏體)에 들러붙는 일도 없어지기 때문에, 솟아오른 부분은 보다 뜯기 쉬워진다.
도1은 본 발명의 패치의 한 종류를 나타내는 설명도(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패치의 한 종류를 나타내는 설명도(정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패치의 한 종류를 나타내는 설명도(정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패치의 한 종류를 나타내는 설명도(정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패치의 한 종류를 나타내는 설명도(정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패치의 한 종류를 나타내는 설명도(정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패치의 한 종류를 나타내는 설명도(정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패치의 한 종류를 나타내는 설명도(정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패치의 한 종류를 나타내는 설명도(정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패치의 한 종류를 나타내는 설명도(정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패치의 한 종류를 나타내는 설명도(정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패치의 한 종류를 나타내는 설명도(정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패치의 한 종류를 나타내는 설명도(정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패치의 한 종류를 나타내는 설명도(정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패치의 한 종류를 나타내는 설명도(정면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패치의 한 종류를 나타내는 설명도(정면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패치의 한 종류를 나타내는 설명도(정면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  패치
4  박리 시트
5  절편
10  분단부
20  예비절단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 대해 분단부란, 패치를 좌우로 인장한 경우에 박리 시트가 분단되는 부위를 말한다. 이것은 박리 시트의 실질적 중앙부나 주변부 등의 소망한 위치에 마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분단부는 전형적으로 이른바 하프 컷(half-cut) 이라고도 칭해지는 박리 시트를 관통하지 않고 얇게 한 얇은 절단부, 소정 간격으로 박리 시트를 절단한 관통 절단부, 그 외 약화선(弱化線) 이라고 하는 것, 또 박리 시트의 단부에 I자 모양이나 V자 모양 등으로 형성한 노치(넛치) 등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박리 시트는 분단부를 가지는 1매의 박리 시트이며, 패치를 좌우로 당기는 것만으로 박리 시트와 지지체와의 신장률의 차이에 의해 박리 시트만이 상기 분단부에서 분단된다. 더욱,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박리 시트는 완전하게 분단된 2매의 박리 시트 모양도 포함하지만, 패치의 보형성, 약효 성분의 증산 방지 등의 관점으로부터, 박리 시트가 분단부를 가지는 1매의 박리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단부를 얇은 절단부나 관통 절단부로 했을 경우, 박리 시트가 분단되도록, 실질적 중앙부나 주변부 등에 박리 시트를 횡단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분단부의 형상은 직선 모양, S자 형상, 물결 형상, 지그재그 형상 등의 형상, 더욱 예를 들면, 분단부 전체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상기 지그재그의 각 날에 해당하는 부분이 한층 더 지그재그 형상이나 물결 형상인 등, 또는 상기의 형상의 조합을 형성할 수 있고,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특히 볼록부와 오목부를 형성하는 S자 형상, 물결 형상, 지그재그 형상 등이 바람직하다. 어느 볼록부와 거기에 인접하는 볼록부와의 사이의 거리(stroke)가 비교적 긴 경우(stroke수가 적은 경우), 박리 시트의 분단 후에 형성되는 절편은 크고 집어내기 쉽다.
본 발명에서, 예비절단부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패치를 당겼을 때에 개방되는 형태로 제공되고, 이 개구부가 박리 시트의 올라감에 기여하고, 전형적으로는, 직선 모양, T자 모양, V자 모양, 폴딩팬(folding-fan) 모양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T자의 세로 봉은 패치의 좌우 인장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세로 봉의 선단이 분단부를 향해 배치되고/되거나 분단부로부터 좌우 방향을 향해 볼록한 모양으로 배치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예비절단부는 분단부의 근방에 1 또는 2 이상 형성되고, 패치의 미사용시에 대해 닫은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패치를 좌우로 당겼을 때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좋지만, 전형적으로는, 박리 시트를 관통한 예 비절단, 하프 컷 모양의 얇은 절단부, 관통 절단부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예비절단부를 분단부로부터 좌우 방향을 향해 볼록한 모양으로 배치했을 경우, 박리 시트의 솟아오름을 촉진하고, 박리 시트의 재부착을 곤란하게 하므로, 특히 V자 모양 또는 원호 모양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패치는 지지체, 고체(膏體) 및 박리 시트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들은 이하에 말하는 대로,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패치용 박리 시트로서,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등의 플라스틱 필름, 합성 수지나 합성지, 합성 섬유 등에 실리콘 가공한 실리콘 가공지, 알루미늄 박, 그라프트지에 폴리에틸렌 등을 적층한 라미네이트 가공지 등의 무색 또는 착색한 것이 이용된다.
상기 박리 시트의 두께는, 10㎛~75㎛, 바람직하게는 12㎛~4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35㎛의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시트의 두께가 너무 작으면, 박리에 즈음하여 박리 시트가 고체(膏體)에 얽히게 되거나 또 박리 시트가 얇아서 미끄러지기 쉽기 때문에 박리 시트를 붙잡기 어렵고, 더욱, 제조에 즈음하여 박리 시트가 쉽게 분단되어, 작업성 등이 저하하거나, 또, 고체(膏體)상에 박리 시트를 부착하는 경우, 박리 시트에 주름이 생기기 쉽다. 또, 박리 시트의 두께가 너무 크면, 박리 등에 즈음하여 박리 시트가 붙잡기 쉬워지지만, 분단이 곤란해 지고, 또, 제조에 즈음하여 본래의 시트를 절단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작업성 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박리 시트의 인장 강도는 10 g/cm~140 g/cm, 바람직하게는 20 g/cm~100 g/cm,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g/cm~60 g/c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시트의 인장 강도가 너무 작으면, 제조에 즈음하여 박리 시트가 도중에 절단되고려, 연속해서 고체(膏體)상에 박리 시트를 부착할 수 없게 되고, 또 습포제나 경고제 등의 패치를 상품포장용 가방 안에 넣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박리 시트가 분단되고, 더욱 수율이 저하하는 경향이 나타나기 쉽다. 또, 인장 강도가 너무 크면, 용이하게 박리 시트를 분단하는 것이 곤란해 지고, 사용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또, 인장 강도의 측정은 예를 들면 인장 시험기 AGS-100B(Shimadzu Corporation 제조)를 이용하여 표점간 거리 100 mm 를 유지하여 박리 시트를 폭 50 mm의 척(chuck)으로 협지시켜, 100 mm/분으로 당기고, 파단시의 하중을 측정하여 행할 수 있다.
또, 박리 시트의 두께 10㎛~75㎛, 인장 강도 10 g/cm~140 g/cm 로 했을 경우, 솟아오름은 상기의 작업성 및 사용성 외, 박리 시트의 탄력이나 박리 시트에 마련한 예비절단부의 작용과도 유리하게 되고, 고체(膏體)를 보다 넓게 노출할 수가 있다.
또, 박리 과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화살표 등의 도형이나 문자, 기호 등의 표시부를 박리 시트의 양부분 상에 설치해도 좋고, 또, 착색 등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나 착색 등에 의해, 예를 들면, 패치를 좌우로 당기고, 손을 바꾸지 않고 원터치로 환부에 부착하는 방법을 박리 시트에 명시하는 것으로써, 패치의 사용 방법을 확인하면서 사용할 수가 있는 등, 보다 사용성(붙이기 쉬움)이 높아진다. 덧붙여 상기의 표시부는 지지체에 설치해도 좋다.
박리 시트는 한층 더 엠보싱 가공될 수 있고, 전형적으로는, 박리 시트의 전면 또는 국부적인 면, 예를 들면 분단부를 찢을 때에 손에 의해 쉽게 잡힐 수 있는 면, 찢은 박리 시트를 박리할 때에 쉽게 잡힐 수 있는 면 등은 엠보스가 형성된다. 엠보스의 형상은 미끄러지는 일 없이 손으로 쉽게 잡힐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격자모양, 환형상, 각형 모양, 별 형상 등 그 외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박리 시트에 엠보싱 가공된 박리 시트에서는 부분적으로 강도가 다르기 때문에, 솟아오름이 양호해지고, 또, 절단부를 마련했을 경우, 엠보싱 가공의 요철과 절단부는 유리한, 변화가 풍부한 양호한 솟아오름이 되어, 고체(膏體)면의 노출이 보다 커지고, 박리 시트를 잡을 때에 편리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또, 평면적이 아닌 솟아오름에 의해, 박리 시트가 고체(膏體)에 재부착하기 어려워진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본 발명의 패치용 지지체로서는, 패치를 좌우로 당겼을 때, 박리 시트가 분단되어도 더 분단되지 않는 지지체이면 좋다. 또, 박리 시트로서 분단부를 가지는 1매의 박리 시트를 이용하는 경우는, 상기 패치를 좌우로 당겼을 때에 박리 시트만이 분단부에서 분단되는 정도로 박리 시트와 상기 지지체의 신축률의 차이가 없으면 안 되지만, 분단시의 박리 시트의 양호한 솟아오름을 위해서는, 그 차이는 0.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로서는, 예를 들면, 직포, 편포, 부직포, 불직지(不織紙) 등의 신축성의 것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인 재료로서는, 종이, 면, 대마, 황마 등의 인피(靭皮) 섬유, 마닐라 삼 등의 줄기 섬유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 양모 등의 짐승의 털 섬유나, 비단 섬유, 깃털 섬유 등의 단백 섬유 등의 천연 섬유, 레이온, 큐프라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나 재생 단백 섬유 등의 재생섬유, 초산 셀룰로스 섬유나 프로 믹스 등의 반합성 섬유, 나일론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아크릴 섬유 등,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polyolefin) 섬유, 폴리비닐 알코올 섬유, 폴리염화비닐 섬유, 폴리 염화 비닐리덴 섬유, 폴리염화비닐계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 폴리옥시메틸렌 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섬유, 폴리파라페닐렌 벤즈비스티아졸(PBT) 섬유, 폴리이미드 섬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섬유는 두께, 신장, 인장력, 작업성 등의 물리적 성질이나 첨부시의 감촉, 환부의 밀폐성, 약물의 지지체로의 이행 등을 고려해 적당히 선택된다.
본 발명의 패치용 고체(膏體)는 기재(基材)에 약물을 함유 또는 부착시키는 것으로, 외용의 습포제나 경고제 등의 패치로서 유효하게 이용시키는 것이다. 고체(膏體)는 피부에의 약효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도록 수분을 함유하고, 한편 점착성을 가지며, 상온 또는 그 이상의 온도에 대해도 연화하고, 고체(膏體)가 피부에 남지 않는 적당한 응집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 고체(膏體)는 증점제나 습윤제 등을 이용하여 조제되지만, 증점제로서는 수분을 30%~80% 안정하게 보관 유지할 수 있고, 한편 보수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체적인 예로서는, 구아르검, 로커스트 빈 껌, 카라기난, 알긴산, 알긴산나트륨, 한천, 아라비아 껌, 트라가칸트 검, 카라야 검, 펙틴, 전분 등의 식물계, 크산탄 검, 아카시아 검 등의 미생물계, 젤라틴, 콜라겐 등의 동물계 등의 천연 고분자,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등의 셀룰로오스계, 가용성 전분, 카르복시메틸 전분, 디알데히드 등의 전분계 등의 반합성 고분자,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비닐계,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등의 아크릴계, 그 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메틸 비닐 에테르/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등의 합성 고분자 등의 수용성 고분자 등이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특히,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이 바람직하다. 겔 강도가 강하고, 한편 보수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더욱, 평균 중합도 20,000~70,000의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이 바람직하다. 평균 중합도가 20,000보다 작아지는 것에 따라 증점 효과가 부족해지고, 충분한 겔 강도를 얻을 수 없게 되는 경향이 있고, 평균 중합도가 70,000 보다 커지는 것에 따라 증점 효과가 너무 강하고 작업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또, 상기 수용성 고분자를 2 종류 이상 병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의 강이온 고분자와 고분자 컴플렉스를 형성하고, 높은 겔 강도의 탄성 겔을 얻을 수 있다.
습윤제로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소르비톨 등의 다가 알코올 등이나, 충전제로서 카올린, 산화 아연, 탈크, 티탄, 벤토나이트, 규산 알루미늄, 산화 티탄, 산화 아연, 메타규산 알루미늄, 황산칼슘, 인산 칼슘 등을 첨가할 수 있고. 또, 용해 보조제 또는 흡수 촉진제로서 탄산 프로필렌, 크로타미톤, l-멘톨, 박하유, 리모넨,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등이나, 약효 보조제로서 살리실산 메틸, 살리실산 글리콜, l-멘톨, 티몰, 박하유, 노닐산 바닐아미드, 고추 엑기스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더욱, 필요에 따라서, 안정화제나 항산화제, 유화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그 외, 필요에 따라서, 가교제나 중합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고체(膏體)를 강고하게 함과 함께 보수성을 갖게 할 수가 있다. 이 가교제나 중합제는 증점제 등의 종류에 따라 적당히 선택된다. 예를 들면, 증점제로서 폴리아크릴산 또는 폴리아크릴산염을 적용했을 경우는, 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에폭시기를 가지는 화합물, Ca, Mg, Al 등의 염산염, 유산염, 인산염, 탄산염 등의 무기산염, 구연산염, 주석산염, 글루콘산염, 스테아린산염 등의 유기산염, 산화 아연, 무수 규산 등 의 산화물,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마그네슘 등의 수산화물 등의 다가 금속 화합물 등이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 증점제로서 폴리비닐 알코올을 적용했을 경우는, 아디핀산, 티오글리콜산, 에폭시 화합물(에피클로로히드린), 알데히드류, N-메틸올 화합물, Al, Ti, Zr, Sn, V, Cu, B, Cr 등의 화합물 등의 착화물 등이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 증점제로 폴리비닐 피롤리돈을 적용했을 경우는, 메틸 비닐 에테르/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폴리산 화합물 또는 그 알칼리 금속염(폴리아크릴산이나 탄닌산 및 그 유도체) 등이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 증점제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를 적용했을 경우는, 퍼옥시드, 폴리술폰 아지드 등이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 증점제로 메틸 비닐 에테르/무수 말레산 공중합체를 적용했을 경우는, 다관능 히드록시 화합물, 폴리아민, 옥소, 젤라틴, 폴리비닐 피롤리돈, 철, 수은, 납염 등이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증점제로 젤라틴을 적용했을 경우는, 포름알데히드, 글루타르 알데히드, 디알데히드 전분 등의 알데히드류, 글리옥살, 부타디엔 옥시드등의 디에폭시드류, 디비닐 케톤 등의 디케톤류, 디이소시아네이트류 등이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 증점제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을 적용했을 경우, 가교제로서 수산화 리튬, 수산화 아연, 수산화 알루미늄, 붕산 나트륨 등의 다가 금속염이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아연염, 알루미늄염이 바람직하다. 가교 반응이 촉진된 다. 가교제로서 첨가되는 다가 금속염의 농도는 증점제(또는 수용성 고분자) 1 당량에 대해 0.5~1.5 당량이 바람직하다. 다가 금속염의 농도가 너무 낮으면, 반응이 너무 늦어 겔 강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고, 다가 금속염의 농도가 너무 높으면, 반응이 너무 빨라 겔화가 불균일이 되어 작업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습포제로서는, 피부 밀착성이 좋은 것, 유효 성분의 피부 흡수를 높이는 것, 수분을 가급적으로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 고체(膏體) 내의 수분이 증발할 때 피부로부터 열을 빼앗지만, 이 발열량이 시원한 느낌을 주어 또 각질층이 내부로부터 증산하고 수분자에 의해 수화되어 약물의 흡수가 촉진되는 것, 상온 또는 그 부근의 온도에서도 접착 강도를 잃지 않는 것, 벗길 때에 아프지 않고 더러움이 남지 않는 것, 끈적거리지 않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 때문에, 고체(膏體)는 증점제 5 중량%~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중량%~15 중량%, 습윤제 5 중량%~40 중량%, 충전제 20 중량% 이하, 물 10 중량%~80 중량%, 용해 보조제 0~8 중량%, 약물 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중량%~5 중량% 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경고제(硬膏劑) 등에 적용하는 경우, 이 기재로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B-A형 블록 공중합체, 지환족계 석유 수지, 연화제를 가지는 것이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더욱 A-B형 블록 공중합체나 그 외의 폴리부텐, 부틸 고무, 실리콘 고무, 천연 고무, 스틸렌-부타디엔 코폴리머, NBR 폴리이소부틸렌, 폴리알킬아크릴레이트, 합성 이소프렌 등의 열가소성 탄성제 등이나, 테르펜계 수지, 석유계 수지, 로진, 수소 첨가 로진, 로진·수소 첨가 로진 에스테르 등의 점착성 부여제, 유동 파라핀, 올리브유, 콩기름, 소의 지방, 돼지 지방 등의 동식물유, 폴리부텐, 액상 폴리이소부틸렌, 저급 이소프렌, 왁스 등의 접착력·보관 유지력 조정제, 산화 티탄, 산화 아연, 알루미늄 메타실리케이트, 황산칼슘, 인산 칼슘 등의 충전제 등이 배합된다.
A-B-A형 블록 공중합체로서는, 모노비닐 치환 방향족 화합물 A와 공역 디올레핀 공중합체 B와의 블록 공중합체가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Shell Chemicals 의 Calflex TR-1101, Calflex TR-1107, Calflex TR-1111 등, Phillips Petroleum Company 의 Solprene 418 이나 Solprene 311 등이며, 그 배합량은 고체(膏體) 조성물 중 10~40 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15~30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패치에 함유될 수 있는 약물로서는, 살리실산 메틸, 살리실산 글리콜, l-멘톨, 고추 엑기스, 노닐산 바닐 아미드, 박하유, 디클로페나크, 이부프로펜, 인도메타신, 케토프로펜, 록소프로펜, 술린다크, 톨메틴, 로벤자리트, 페니실라민, 펜부펜, 플루비프로펜, 나프록센, 프라노프로펜, 티아프로펜산, 수프로펜, 펠비나크, 케톨로라크, 옥사프로진, 에토돌라크, 잘토프로펜, 피록시캄, 펜타조신, 부로노르핀 히드로클로라이드, 부토르파올 타르트레이트 등 및 그 에스테르 유도체 또는 염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약이나, 프레드니솔론, 덱사메타손, 히드로코르티손, 베타메타손, 플루시노나이드, 플루오시놀론 아세 토니드, 프레드니솔론 발레레이트 아세테이트, 디플루코르톨론 발레레이트 아세테이트, 덱사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 디플루코르톨론 발레레이트, 디플루프로드네이트,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 히드로코르피손 부티레이트, 클로베타손 부티레이트, 베타메타손 부티레이트, 클로베타손 프로피오네이트, 덱사메타손 숙시네이트, 프레드니솔론 21-(2E,6E) 파르네실레이트, 히드로코르티손 발레레이트, 디클로라손 아세테이트, 덱사메타손 프로피오네이트, 베타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 암시노나이드, 덱사메타손 발레레이트, 할시노나이드, 부테소나이드 및 알클로메타손 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약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약물은 필요에 따라서 2 종류 이상 병용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약물은 필요에 따라서 에스테르 형으로 유도된 화합물, 아미드 형으로 유도된 화합물, 아세탈 형으로 유도된 화합물, 또는 의학적으로 허용되는 무기염 또는 유기염의 형태로 유도된 화합물로서 고체(膏體)에 함유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약물의 양은, 환자에게 적용했을 때에 미리 설정된 유효량을 환부에 적용할 수 있도록, 습포제나 경고제 등의 패치의 종류, 용도 등에 따라 적당히 선택된다.
또, 본 발명의 패치에 있어서, 약물을 전혀 포함하지 않고 냉찜질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패치를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 도면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패치는 전형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낸 패치이다. 즉, 패치(1)는 신축성을 가지는 지지체(미도시)와, 상기 지지체(미도시)의 일면의 전면(全面)에 전착된 고체(膏體)(미도시)와, 상기 고체(膏體)(미도시)의 전면(全面)에 부착된 박리 시트(4) 를 포함하고, 좌우로 당겨서 상기 박리 시트(4)만이 분단부(10) 에서 분단되고, 복수의 예비절단부(20)는 상기 분단부(10)의 근방에 제공된다. 도1 에서, 분단부(10)는, 관통 지그재그 모양으로 배치되고, 패치(1)의 실질적 중앙부에 위치하고, 스트로크(stroke)수는 3.5 이다. 또 박리 시트(4)의 분단 후, 절편(5)이 되는 부분에 예비절단부(20)가 걸려 있다. 예비절단부(20)는 T자 모양이며, 상기 T자 모양의 세로 봉은 패치(1)의 좌우 인장 방향(도1의 좌우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세로 봉의 선단은 분단부(10)를 향해 배치되고 있다.
패치(1)의 양단부를 유지하고, 지지체(미도시)와 함께 박리 시트(4)를 좌우로 당겨서, 분단부(10)에서 박리 시트(4)를 분단할 수가 있다. 또, 이 때, 분단부(10)의 근방에 형성한 예비절단부(20)가 개방되고, 상기 개구로부터 공기가 박리 시트(4)와 고체(膏體)(미도시)의 사이에 비집고 들어가서, 이 공기가 박리 시트(4)의 고체(膏體)(미도시)로부터의 이탈을 조장한다. 또, 찢어진 예비절단부(20)는 박리 시트(4)의 접힘을 지극히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고체(膏體)(미도시) 보다 크게 노출되기 때문에, 이 노출된 고체(膏體)(미도시)를 환부에 적용하고 절편(5)을 잡아서 솟아오른 박리 시트(4)를 박리하여 환부에 패치(1)를 부착한다. 이것에 의해, 종래보다 간편하게, 고체(膏體)(미도시)를 크게 노출시켜, 박리 시트(4)를 용이하게 박리하여 고체(膏體)(미도시)를 불필요하게 건드리지 않으면서 패치(1)에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환부에 부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패치로는, 도 2~8에 나타내는 여러 가지의 모양이 포함된다.
도 2에서는, 도 1의 모양과 같이, T자 모양의 예비절단부(20)은, T자의 세로 봉이 패치의 좌우 인장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세로 봉의 선단이 분단부를 향해 배치되고 있지만, 1개의 절편(5)의 내부(지그재그 모양의 2개의 선단 사이의 폭내)에 1개의 예비절단부(20)의 전체가 위치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
도 3에서는, 직선 모양의 예비절단부(20)은 절편(5)의 삼각형 부분의 저변 부근에 배치되고, 패치의 좌우 인장 방향에 대해서 수직에 배치되고 있다.
도 4에서는, 분단부가 물결 모양의의 하프컷(half-cut)이며, T자 모양의 예비절단부(20)은 도 1 처럼 배치되고 있다.
도 5 및 도 6에서는, 분단부가 S자 형상(역S자)(도 5) 또는 지그재그 모양(도 6)의 하프 컷이며, T자 모양의 예비절단부(20)은, T자의 세로 봉이 패치의 좌우 인장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세로 봉의 선단이 분단부로 향해 배치되고 있다.
도 7에서는, 분단부는 직선 모양과 곡선의 조합으로 배치되어 있고, T자 모양의 예비절단부(20)이 배치되고 있다.
도 8에서는, 분단부는 직선 모양과 지그재그 모양의 조합으로 배치되어 있고, T자 모양의 예비절단부(20)이 배치되고 있다.
도 5~8 의 패치에서는, 절편(5)가 비교적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박리 시트를 벗길 때에 박리 시트의 모서리는 쉽게 잡을 수 있다.
도 9~12 의 패치는 추가로 설명한다. 도 9에서는, 분단부(10)의 볼록부의 각도가 크고, 또, 예비절단부(20)이 분단부(10)의 중앙선을 따라 1열 배치되어 있고, 절편(5) 내에 추가 1열이 배치되어 있다. 도 10에서는, 분단부(10)의 볼록부의 각도가 약 70~90°이고, 분단부(10)의 중앙선에 평행하게 2개, 수직으로 1개의 예비절단부(20)이 볼록부에 배치되고 있다. 도 11 및 12에서는, 분단부(10)의 중앙선에 평행하게 3개의 예비절단부(20)이 볼록부에 배치되고 있고 볼록부의 하나의 능선에 2개의 연결이 있는 모양(도 11)과 1개소의 연결이 있는 모양(도 12)이다.
또, 도 13~17 의 패치에서는, 예비절단부(20)의 전부 또는 일부가 분단부(10)로부터 외측(좌우 방향)으로 향해 볼록한 모양이 되도록 설치된 새로운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예비절단부(20)를 이러한 형상으로 하면, 패치를 좌우로 당겼을 때에, 볼록한 모양의 예비절단부(20)의 선단이, 고체(膏體)(미도시)에 잡히도록 당겨지기 때문에, 박리 시트(4)의 뒤집음과 고체(膏體)면의 노출을 조장하고, 한층 더 편리성이 높아진다.
도 13에서는, 직선 모양의 분단부(10)의 좌우에 원호 모양의 예비절단부(20)이 배치되어 있고, 도 14에서는, 직선 모양의 예비절단부(20)을 원호 내에 마련하고, 도 15에서는 원호와 함께 배치되고 있다. 도 16에서는, 도 14에 기재의 모양 으로, 원호 모양의 예비절단부를 한쪽 편에 2열 배치되고 있다. 원호 모양의 예비절단부의 길이 및 곡률 반경은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도 17은, 직선 모양의 분단부(10)의 좌우에 V자 모양의 예비절단부(20)이, V자 모양의 분단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볼록한 모양으로 배치된 모양이다.
V자 모양의 예비절단부는 예를 들면 분단부로부터 3~10 mm 정도의 위치에, V자의 각도를 약 40~70°정도, V자의 볼록부 높이를 5~20 mm 정도, V자간의 거리를 10~30 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실시예 1]
50~70세의 건강 성인 10명은 상기 도면 1~3의 형상 및 배치의 예비절단부를 갖춘 패치의 양단을 잡고 좌우로 인장하고, 그 때의 「박리 시트의 잡기 쉬움」 및 「붙이기 쉬움」에 대해서, 비교예(도 1에 대해 예비절단부가 없는 것)와 비교하여 아래와 같이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채점 결과의 평균치를 표 1에 나타낸다.
도1 도2 도3 비교예
박리 시트의 잡기 쉬움 2.9 2.7 2.5 1*
붙이기 쉬움 3.0 3.0 2.9 1*
*: 비교예를 1 로 평가했다.
채점 기준:
<박리 시트의 잡기 쉬움>
3:비교예에 비해 매우 잡기 쉽다
2:비교예에 비해 잡기 쉽다
1:비교예와 동일한 정도이다
<붙이기 쉬움>
3:비교예에 비해 매우 붙이기 쉽다
2:비교예에 비해 붙이기 쉽다
1:비교예와 동일한 정도이다
[실시예 2]
패치의 박리 시트에, 도 17 의 기재와 동일하게 예비절단부를 마련하고 패치를 좌우로 당기고, 박리 시트의 분단 후에 솟아오름을 확인했다.
예비절단부(20)은 V자 모양이고, 분단부(10)으로부터 5 mm 정도의 위치에 반복 패턴으로 배치했다. V자의 각도를 55번, V자의 높이를 10 mm, V자간의 거리를 20 mm 로 했다.
패치를 좌우로 당겼을 때의 박리 시트의 솟아오름은 예비절단부를 마련하지 않았던 것에 비해 특히 양호했다. 또, 패치를 느슨하게 했을 경우, 솟아오름 상태의 유지가 쉬웠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습포제나 경고제 등의 패치에 관한 것이고, 비용이 적고 대량 생산하기 쉬운 습포제나 경고제 등의 패치를 제공하는데, 습포제나 경고제 등의 패치를 좌우로 당기고 박리 시트의 노출부를 환부에 간단히 부착하는 것만으로 박리 시트를 쉽게 분단할 수 있고, 고령자라도 고체(膏體)를 불필요하게 건드리지 않고 주름없이 깨끗하게 부착할 수 있다.

Claims (8)

  1. 신축성 지지체, 이 지지체의 일면의 전면에 전착된 고체(膏體) 및 이 고체(膏體)의 전면에 부착된 박리 시트를 갖추고 있는 패치에 있어서, 단지 당겨서 박리 시트만을 분단부에서 분단하고, 상기 분단부의 근방에, 상기 패치를 당겼을 때 개방되는 예비절단부를 1 또는 2 이상 갖추고 있는 패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분단부가 S자 형상, 물결 형상 또는 지그재그 형상인 패치.
  3. 청구항 1 에 있어서, 분단부가 직선 모양인 패치.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예비절단부가 T자 모양인 패치.
  5. 청구항 4 에 있어서, T자의 세로 봉이 패치의 좌우 인장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세로 봉의 선단은 분단부를 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패치.
  6.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예비절단부가 분단부로부터 좌우 방향을 향해 볼록한 모양으로 배치되는 패치.
  7. 청구항 6 에 있어서, 예비절단부가 V자 모양 또는 원호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는 패치.
  8.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박리 시트가 분단부를 가지는 1매의 박리 시트이며, 패치를 좌우로 당기는 것만으로 박리 시트와 지지체와의 신장률의 차이에 의해 박리 시트만이 상기 분단부에서 분단되는 패치.
KR1020087004175A 2005-08-17 2006-08-17 간이 박리 가능한 박리 시트를 갖춘 패치 KR1012806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36748 2005-08-17
JPJP-P-2005-00236748 2005-08-17
PCT/JP2006/316180 WO2007020980A1 (ja) 2005-08-17 2006-08-17 簡易剥離可能な剥離シートを備えた貼付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613A KR20080036613A (ko) 2008-04-28
KR101280608B1 true KR101280608B1 (ko) 2013-06-28

Family

ID=37757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175A KR101280608B1 (ko) 2005-08-17 2006-08-17 간이 박리 가능한 박리 시트를 갖춘 패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RE45510E1 (ko)
EP (1) EP1915976B1 (ko)
KR (1) KR101280608B1 (ko)
CN (1) CN101242794B (ko)
BR (1) BRPI0614991B8 (ko)
ES (1) ES2530201T3 (ko)
TW (1) TW200726446A (ko)
WO (1) WO20070209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2443A1 (en) 2004-02-18 2005-08-18 Closure Medical Corporation Adhesive-containing wound closure device and method
US20060009099A1 (en) 2004-07-12 2006-01-12 Closure Medical Corporation Adhesive-containing wound closure device and method
JP4989283B2 (ja) * 2007-04-13 2012-08-01 ニチバン株式会社 貼付剤
TWM329426U (en) * 2007-09-13 2008-04-01 hui-ru Xu Pharmacy patch
TWM332470U (en) * 2007-09-13 2008-05-21 hui-ru Xu Pharmaceutical patch
JP5235384B2 (ja) 2007-11-08 2013-07-1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貼付シート
JP2010163367A (ja) * 2009-01-13 2010-07-29 Nitto Denko Corp 貼付剤および貼付製剤
US8561619B1 (en) 2009-12-08 2013-10-22 Kiss Nail Products, Inc. Artificial nail or tip arrangement and method of making same
CA134186S (en) 2009-12-28 2010-11-03 Hisamitsu Pharmaceutical Co Medical patch
US20120012104A1 (en) * 2010-07-15 2012-01-19 Yacobi Yacov Post lipoplasty imbilical support
CA140188S (en) * 2010-10-15 2011-11-07 Smith & Nephew Medical dressing
CA140189S (en) * 2010-10-15 2011-11-07 Smith & Nephew Medical dressing
JP5732266B2 (ja) * 2011-01-26 2015-06-10 日東電工株式会社 貼付剤
AU2012202196B2 (en) * 2011-04-26 2016-08-18 Nitto Denko Corporation Stretch Adhesive Bandage
EP2517680A3 (en) * 2011-04-26 2013-08-14 Nitto Denko Corporation Stretch adhesive bandage
CN107252383A (zh) 2011-07-14 2017-10-17 史密夫及内修公开有限公司 伤口敷料和治疗方法
AU346291S (en) 2012-05-15 2013-01-09 Smith & Nephew Medical dressing
EP3354293B1 (en) 2012-05-23 2019-12-11 Smith & Nephew plc Apparatuses for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E102013008726A1 (de) 2013-05-23 2014-11-27 Amw Gmbh Plaster mit Abziehhilfe
DE102013008727A1 (de) 2013-05-23 2014-11-27 Amw Gmbh Pflaster mit gekerbter Abziehfolie
CN103263318B (zh) * 2013-05-27 2015-01-21 施敬东 一种睾丸冷敷贴及其制备方法
USD743787S1 (en) 2014-02-14 2015-11-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package
USD768480S1 (en) 2014-02-14 2016-10-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package
USD744333S1 (en) 2014-02-14 2015-12-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package
USD820211S1 (en) 2015-12-04 2018-06-12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Electrical outlet
USD809665S1 (en) * 2015-03-10 2018-02-06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Bandage release liner having a decorative parting line
DE102015118780A1 (de) * 2015-09-15 2017-03-16 Andre Piontek Medizinisches Pflaster
US10792024B2 (en) 2016-09-28 2020-10-06 Ethicon, Inc. Scaffolds with channels for joining layers of tissue at discrete points
US10687986B2 (en) 2016-09-29 2020-06-23 Ethicon, Inc. Methods and devices for skin closure
US10470934B2 (en) 2016-09-29 2019-11-12 Ethicon, Inc. Methods and devices for skin closure
USD848624S1 (en) 2016-09-29 2019-05-14 Ethicon, Inc. Release paper for wound treatment devices
GB2555584B (en) 2016-10-28 2020-05-27 Smith & Nephew Multi-layered wound dress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US10470935B2 (en) 2017-03-23 2019-11-12 Ethicon, Inc. Skin closure systems and devices of improved flexibility and stretchability for bendable joints
US20180271505A1 (en) 2017-03-23 2018-09-27 Ethicon, Inc. Scaffolds for Joining Layers of Tissue at Discrete Points
US11504446B2 (en) 2017-04-25 2022-11-22 Ethicon, Inc. Skin closure devices with self-forming exudate drainage channels
US10993708B2 (en) 2018-07-31 2021-05-04 Ethicon, Inc. Skin closure devices with interrupted closure
KR102033872B1 (ko) * 2019-04-15 2019-10-17 전성근 의료용 피부 봉합기
KR102622090B1 (ko) * 2020-02-27 2024-01-09 주식회사 시노펙스 안전성 및 생산성이 향상된 돔스위치의 보스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2381A (en) 1990-03-19 1991-10-01 The B. F. Goodrich Company Adhesive wound dressing and perforated shield
JPH08112305A (ja) * 1994-10-14 1996-05-07 Hisamitsu Pharmaceut Co Inc 貼付剤
KR20030014700A (ko) * 2000-06-13 2003-02-19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스타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13696A (en) 1948-11-01 1952-10-14 John A Macintyre Acoustical cloth
US2477960A (en) 1949-02-17 1949-08-02 Wooster Rubber Company Floor and car mat
US2877765A (en) * 1956-07-13 1959-03-17 Bunyan John Surgical dressings, bandages and the like
US3399672A (en) * 1966-02-08 1968-09-03 Johnson & Johnson Dressing
JPS50123187A (ko) 1974-03-15 1975-09-27
JPS5218631Y2 (ko) * 1974-03-20 1977-04-26
JPS5331719B2 (ko) 1974-04-09 1978-09-04
JPS50133797U (ko) 1974-04-18 1975-11-04
US4537809A (en) 1979-04-09 1985-08-27 Avery International Corporation Van label having non-linear discontinuous score lines in the backing
DE3344335A1 (de) 1983-12-08 1985-06-13 Lohmann Gmbh & Co Kg, 5450 Neuwied Laminatabschnitte mit abdeckung und abziehhilfe hierfuer
JPH01165023A (ja) 1987-12-21 1989-06-29 Fuji Electric Co Ltd 磁気記録媒体
JPH0542811Y2 (ko) 1988-05-09 1993-10-28
US5266371A (en) 1988-08-11 1993-11-30 Nitto Denko Corporation Adhesive dressing sheet
JP2894633B2 (ja) 1990-08-06 1999-05-24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光記録再生装置
JPH0492220U (ko) * 1990-12-26 1992-08-11
JP3152966B2 (ja) 1991-08-06 2001-04-0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H0554515A (ja) 1991-08-22 1993-03-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イスク自動交換装置
ES2133332T3 (es) 1991-11-06 1999-09-16 Bioderm Inc Apositos para heridas oclusivos y medio aplicador.
JPH0617722A (ja) 1992-07-06 1994-01-25 Shinnenshiyou Syst Kenkyusho:Kk 液体燃料微粒化装置
JPH0740744A (ja) 1993-07-28 1995-02-10 Toyota Motor Corp サイドドア構造
USD369907S (en) 1994-01-24 1996-05-21 Kimberly-Clark Corporation Pattern bonded nonwoven fabric web
US5998694A (en) 1994-03-02 1999-12-07 Jensen; Ole R. Occlusive dressing with release sheet having extended tabs
USD370127S (en) 1994-11-30 1996-05-28 Foamex L.P. Diamond surface pattern for synthetic foam sheeting
USD389581S (en) 1995-01-31 1998-01-20 Malcolm Fein Dual medication dispensing pad
JPH08280734A (ja) 1995-04-20 1996-10-29 Nitto Denko Corp 医療用粘着シート
US6841716B1 (en) 1999-05-13 2005-01-1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Patch
JP4584411B2 (ja) 2000-05-23 2010-11-24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
JP2002345881A (ja) 2001-05-24 2002-12-03 Uni Charm Corp 粘着包帯
USD477086S1 (en) 2001-11-05 2003-07-08 Hisamitso Pharmaceutical Co., Inc. Medical transdermal patch
JP4092220B2 (ja) * 2003-01-31 2008-05-28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74244B2 (ja) 2003-12-26 2009-12-02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
JP2006130085A (ja) 2004-11-05 2006-05-25 Nitto Denko Corp 貼付製剤
USD625017S1 (en) 2006-08-11 2010-10-05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Medical transdermal patch
USD605299S1 (en) 2007-02-08 2009-12-0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Medical transdermal patc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2381A (en) 1990-03-19 1991-10-01 The B. F. Goodrich Company Adhesive wound dressing and perforated shield
JPH08112305A (ja) * 1994-10-14 1996-05-07 Hisamitsu Pharmaceut Co Inc 貼付剤
KR20030014700A (ko) * 2000-06-13 2003-02-19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스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614991A2 (pt) 2011-04-26
TW200726446A (en) 2007-07-16
US7910792B2 (en) 2011-03-22
BRPI0614991B1 (pt) 2018-03-20
ES2530201T3 (es) 2015-02-27
EP1915976B1 (en) 2014-12-17
WO2007020980A1 (ja) 2007-02-22
KR20080036613A (ko) 2008-04-28
BRPI0614991B8 (pt) 2021-06-22
EP1915976A4 (en) 2011-05-25
EP1915976A1 (en) 2008-04-30
CN101242794A (zh) 2008-08-13
TWI374027B (ko) 2012-10-11
USRE45510E1 (en) 2015-05-05
CN101242794B (zh) 2012-04-11
US20090281471A1 (en) 200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0608B1 (ko) 간이 박리 가능한 박리 시트를 갖춘 패치
KR100663684B1 (ko) 부착제
KR101511414B1 (ko) 첩부제
EP1967170B1 (en) Adhesive patch
JP3192333B2 (ja) 貼付剤
US20030138479A1 (en) Plaster
JP5010834B2 (ja) 貼付剤
WO2007077640A1 (ja) 貼付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4809158B2 (ja) 簡易剥離可能な剥離シートを備えた貼付剤
JP3566960B2 (ja) 貼付剤
JP4809157B2 (ja) 簡易剥離可能な剥離シートを備えた貼付剤
JP2009191038A (ja) 伸縮性貼付剤
JP3689807B2 (ja) 剥離シート
JP3871276B2 (ja) 貼付剤
JP2020525112A (ja) サポートライナー付き貼付剤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4584411B2 (ja) 貼付剤
JP3666582B2 (ja) 貼付剤
JP3851304B2 (ja) 貼付剤
JP2004188218A (ja) 貼付剤
JP2012144562A (ja) 貼付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