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4136A - 휴대 통신 단말 및 서버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통신 단말 및 서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4136A
KR20030014136A KR1020020046342A KR20020046342A KR20030014136A KR 20030014136 A KR20030014136 A KR 20030014136A KR 1020020046342 A KR1020020046342 A KR 1020020046342A KR 20020046342 A KR20020046342 A KR 20020046342A KR 20030014136 A KR20030014136 A KR 20030014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field
music
data
file
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6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마키기요시
소메하가요코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4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13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계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전계의 강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전계의 강도에 따라 선택된 음질로 착신음을 재생하는 악음 재생부를 가지는 휴대 통신 단말이다.

Description

휴대 통신 단말 및 서버장치{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RVER DEVICE}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 통신 단말 및 상기 휴대 통신 단말에 각종 데이터를 배송할 수 있는 서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나 PHS 등의 휴대 통신 단말은 이동 가능하므로, 이들 휴대 통신 단말의 수신 전계 강도는 일정하지 않다. 또한, 종래부터 휴대 통신 단말의 표시부에 하나 내지 다수개의 막대형상의 마크를 표시함으로써 수신 전계 강도를 표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의 수신 전계 강도 표시 마크를 봄으로써 전파상태가 좋은 (수신 전계 강도가 큰) 장소를 찾아, 상기 장소에서 통화 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휴대 통신 단말에서는 사용자가 표시부를 보지 않으면 전파상태의 좋고 나쁨을 알 수 없었다. 따라서, 착신이 있을 때 등에는 표시부를 봐서 전파상태가 나쁘면, 표시부를 보면서 전파상태가 좋은 장소까지 이동하는 것이 필요했다. 예를 들면, 접는 식의 휴대 전화기 등에 있어서는 접은 상태일 때에 착신이 있을 때는 상기 휴대 전화기를 열고 표시부를 봐서 전파상태를 알 수 있고, 전파가 약한(전파상태가 나쁜) 때에는 상기 휴대 전화기를 연 채로 전파 상태가 좋은 장소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착신 멜로디의 음질 등 표시부의 표시 이외의 방법으로 수신 전계 강도를 통지할 수 있는 휴대 통신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전파 상태에 따라 음질을 변경할 수 있는 악곡 화일을 휴대 통신 단말에 배송할 수 있는 서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계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전계의 강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전계의 강도에 따라 선택된 음질로 착신음을 재생하는 악음 재생부를 가지는 휴대 통신 단말이 제공된다.
본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악음 재생부는 상기 전계 강도에 대응하는 음질의 음색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음색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음을 재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악음 재생부는 노이즈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 1 악곡 화일을, 멜로디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악곡 화일을 재생함과 동시에 또한 상기 전계의 강도에 대응하는 레벨로 재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악음 재생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전계의 강도에 따라 착신음의 재생 형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재생 형태에 따라 착신음을 재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휴대 단말은 다수의 악곡 화일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가지고, 상기 악음 재생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전계의 강도에 따라 상기 기억된 다수의 악곡 파일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악곡 화일을 착신음으로서 재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하기로 이루어지는 휴대 통신 단말과 접속 가능한 서버장치로서, 노이즈음을 생성하기 위한 노이즈 데이터와 악곡의 멜로디를 표시하는 시퀀스 데이터를 가지는 제 1 악곡 화일 및 음질이 다른 다수의 음색 데이터와 악곡의 멜로디를 표시하는 시퀀스 데이터를 가지는 제 2 악곡 화일의 적어도 하나를 격납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접속된 접속부와, 상기 휴대 통신 단말의 요구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악곡 화일의 적어도 하나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한 악곡 화일을 상기 휴대 통신 단말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가지는 서버장치가 제공된다.
본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수신 전계 강도에 대응한 음질로 착신 멜로디를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사용자는 표시부의 전계 강도 표시를 보지않고 수신 전계 강도를 알 수 있다.
또한, 본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사용자에 대해 수신 전계 강도에 대응한 음질의 착신 멜로디의 악곡 화일을 배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l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통신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휴대 통신 단말의 악곡 재생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a는 도 2의 악곡 재생부(22)를 이용하여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단순 시퀀스 화일의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
도 3b는 도 2의 악곡 재생부(22)를 이용하여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음색 데이터 첨부 시퀀스 화일의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
도 3c 도 2의 악곡 재생부(22)를 이용하여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스트림 화일의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
도 3d는 도 2의 악곡 재생부(22)를 이용하여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FM 통신 감도 대응 세트 화일의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
도 3e는 도 2의 악곡 재생부(22)를 이용하여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혼입용 WT 노이즈 화일의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3d의 FM 통신 감도 대응 세트의 악곡 화일을 이용하는 경우의 착신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
도 5는 도 3e의 혼입용 WT 노이즈 화일을 이용하는 경우의 착신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
도 6은 도 1의 휴대 통신 단말과 상기 휴대 통신 단말이 접속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서버장치를 가지는 통신 시스템 전체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휴대 통신 단말 11 : CPU
13 : 작업 영역 14 : 액정표시장치
15 : 조작부 16 : 통신부
23 : 스피커 24 : 헤드폰
25 : 인터페이스 회로 26 : 버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통신 단말(1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11은 이 휴대 통신 단말(10)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중앙처리장치(시스템 CPU), 12는 각종 통신 제어 프로그램, 악곡 재생을 위한 프로그램 등의 제어 프로그램, 프리-세트되어 있는 악곡 화일 및 각종 정수 데이터 등을 격납하고 있는 시스템 ROM, 13은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됨과 동시에 배송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거나 사용자가 작성한 악곡 화일, 음색 데이터 등 각종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시스템 RAM, 14는 액정표시장치(LCD)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이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이 표시부(14)에는 막대형상의 마크를 사용하여 수신 전계 강도가 표시된다. 또한, 15는 다수의 조작 버튼 등을 가지는 조작부, 16은 변복조부 등으로 이루어지고 안테나(18)에 접속되는 통신부이다. 이 통신부(16)내에는 복조부에서의 복조 출력이나 수신 중간 주파신호에 따라 수신 전계 강도를 측정하는 전계 강도 측정부(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 RAM(13)의 악곡 화일 기억 영역 및 음색 데이터 기억 영역은 플래시 메모리의 사용 또는 배터리 백업 등에 의해 불휘발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휴대 통신 단말(10)에는 바이브레이터나 발광 표시부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19는 송화(送話) 마이크(20) 및 수화 스피커(21)에 접속되고, 통화를 위해 음성신호의 부호화 및 복호를 행하는 기능을 가지는 음성 처리부(음성 CODEC), 22는 음원을 가지고 상기 시스템 RAM(13) 등에 기억된 악곡 화일에 따라 악곡을 재생하는 악곡 재생부, 23은 착신 통지 등에 이용되는 스피커, 24는 헤드폰, 25는 외부의 퍼스널 컴퓨터나 다른 휴대 통신 단말 등의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외부 인터페이스 회로, 26은 상기 각 구성요소(11∼16, l9, 22, 25)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행하기 위한 버스이다.
도 2는 상기 악곡 재생부(22)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악곡 재생부(22)를 이용하여 악곡 화일을 재생하여, 착신 멜로디나 보류음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비통화시 등에 악곡 화일을 재생하여 악곡의 감상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서, 31은 상기 버스(26)에 접속된 인터페이스부, 32는 다수 채널의 악음을 생성할 수 있는 FM 방식의 음원(폴리포닉(polyphonic) FM 음원), 33은 다수 채널의 악음을 생성할 수 있는 파형 메모리 방식의 음원(폴리포닉 WT 음원), 34는 이 휴대 통신 단말(10)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프리-세트 음색의 음색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음색 ROM, 35는 음색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음색 RAM이다. 여기서, 상기 WT 음원(33)으로는 PCM 방식 혹은 ADPCM 방식 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음색 ROM(34)에는 프리-세트 음색의 음색 데이터로서, 예를 들면, GM128 음색의 음색 데이터와 드럼 세트의 음색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다. 상기 FM 음원(32) 및 WT 음원(33)은 음색 ROM(34) 혹은 음색 RAM(35)에 격납되어 있는 음색 데이터에 의거하여, 다수의 발음 채널에서 지정된 음색의 악음 파형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36은 상기 FM 음원(32) 혹은 상기 WT 음원(33)에 의해 생성된 악음 파형 데이터를 믹싱하는 믹서이고, 믹서(36)의 출력은 D/A 변환기(37)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헤드폰(24) 혹은 스피커(23)로부터 방음되게 된다.
도 3a∼도 3e는 상기 악곡 재생부(22)를 이용하여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악곡 화일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의 단순 시퀀스 화일, 도 3b의 음색 데이터 첨부 시퀀스 화일 및 도 3C의 스트림 화일은 착신 멜로디나 보류음 혹은 감상용의 악곡 화일이고, 도 3d의 FM 통신 감도 대응 세트 화일 및 도 3e의 혼입용 WT 노이즈 화일은 수신 전계 강도에 대응한 음질로 착신 멜로디를 재생하기 위해 이용되는 악곡 화일이다.
이들 악곡 화일은 프리 세트 멜로디로서 상기 시스템 ROM(l2)에 미리 격납되어 있거나, 혹은 배송 센터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는 등으로 하여 상기 시스템 RAM(13)의 악곡 화일 기억영역 및 음색 데이터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악곡 화일을 재생하는 방법은 상기 시스템 CPU(11)가 시퀀서로서 동작하고, 연주해야 할 악곡 화일에 포함되는 시퀀스 데이터를 해석하여, 상기 FM 음원(32) 혹은 WT 음원(33)에 시퀀스 데이터에 의해 규정된 타이밍에서 음원 제어 데이터를 공급하는 방법, 상기 악곡 재생부(22)에 시퀀서 기능을 가지게 하고상기 시스템 CPU(11)이 시퀀스 데이터를 그대로 상기 악곡 재생부(22)에 공급하는 방법, 혹은 상기 시스템 CPU(11)와 상기 악곡 재생부(22)가 시퀀서 기능을 분담하여 부담하고 시스템 CPU(11)과 악곡 재생부(22)가 협조하여 시퀀서 기능을 실현하는 방법 중 어느 것이라도 된다.
우선, 도 3a∼도 3c의 악곡 화일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의 단순 시퀀스 화일은 예를 들면 SMF(Standard MIDI File) 형식의 악곡 화일이고,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더부와 시퀀스 데이터부로 구성되어 있다. 헤더부에는 해당 단순 시퀀스 화일에 대응하는 악곡의 곡명, 아티스트명, 코멘트 정보, 악기명, 가사정보 등, 이 악곡에 관련된 정보와, 이 악곡 화일에 포함되는 트랙 수나 이 악곡의 재생시의 타임 베이스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시퀀스 데이터부에는 이벤트 정보(MIDI 이벤트)와 각 이벤트 사이의 시간간격을 나타내는 정보의 그룹이 이벤트 발생순서대로 포함되어 있다.
이 단순 시퀀스 화일을 재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음색 ROM(34)에 기억된 음색 데이터 중 시퀀스 데이터에 의해 지정된 음색 데이터를 이용하고, 시퀀스 데이터 중의 이벤트에 따라 악음을 생성시킨다.
도 3b의 음색 데이터 첨부 시퀀스 화일은 예를 들면, SMAF(Synthetic music Mobile Application Format) 형식의 악곡 화일이고,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더부, 음색 데이터부, 및 시퀀스 데이터부를 포함하고 있다. 헤더부에는 상기 단순 시퀀스 화일의 헤더부와 동일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음색 데이터부에는 해당 음색 데이터 첨부 시퀀스 화일에 대응하는 악곡의재생에 사용하는 음색의 음색 데이터와, 각 파트에 할당하는 음색을 지정하는 음색 할당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음색 데이터는 각 음색마다 특유한 것이고, 파형 파라미터와 그 밖의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다. 파형 파라미터는 악음 파형을 지시하는 것이고, FM 음원의 경우에는 FM 연산의 알고리즘을 지시하는 파라미터, WT 음원의 경우에는 음색 파형 데이터, 상기 음색 파형 데이터의 시작 어드레스, 루프 시작 어드레스, 종료 어드레스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그 밖의 데이터로는 어택 레이트, 디케이 레이트, 서스테인 레벨, 릴리스 레이트 등을 지정하는 엔벨로프 파라미터, 비브라토나 트레몰로의 깊이나 속도를 지정하는 변조 파라미터, 리버브, 코러스, 바리에이션 등의 이펙트를 지정하는 이펙트 파라미터 및 악곡의 재생에 사용하는 음색이 스테레오 음색인지 단선율 음색인지를 표시하는 식별자 등이 포함되어 있다.
시퀀스 데이터부에는 전술의 경우와 같이, 각 이벤트 사이의 시간 간격을 나타내는 시간정보(듀레이션 데이터)와 이벤트 정보의 그룹이 이벤트의 발생 순서대로 포함되어 있다.
이 음색 데이터 첨부 시퀀스 화일을 재생할 때에는 상기 음색 데이터부에 포함되어 있는 음색 데이터 중의 음색 파형 데이터를 상기 음색 RAM(35)에 기입하고, 상기 음색 할당 정보에 따라 각 파트에 음색을 할당하고, 시퀀스 데이터에 따라 악음을 생성시킨다.
도 3c의 스트림 화일은 예를 들면, 상기 SMAF 형식의 악곡 화일이고, 헤더부와 롱 스트림 데이터부와 시퀀스 데이터부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헤더부는 전술한 각 시퀀스 화일의 헤더부와 동일한 것이다. 또한, 롱 스트림 헤더는 장시간에 걸쳐 샘플링한 파형 데이터이고, 큰 사이즈로 되어 있다. 또한, 시퀀스 데이터부는 재생의 개시, 종료, 피치 시프트, 이펙트 등에 관한 이벤트 정보와 듀레이션 데이터의 그룹이 포함되어 있을 뿐이고, 전술한 각 시퀀스 화일의 경우와 비교해 매우 단순한 데이터로 되어 있다.
이 스트림 화일을 재생할 때는 롱 스트림 데이터를 악곡 재생의 진행에 따라 점차 상기 음색 RAM(35)에 기입하면서 재생하게 된다. 즉, 상기 음색 RAM(35) 중의 해당 스트림 화일의 재생에 할당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영역에, 롱 스트림 데이터의 선두 부분을 기입, 순차 판독을 개시한다. 그리고, 판독 포인트가 상기 할당된 영역의 중앙부를 넘었을 때에, 상기 영역의 전반 부분에 계속해서 롱 스트림 데이터를 전송하고, 판독 포인트가 상기 영역의 최후까지 도달했을 때에 판독 포인트를 상기 영역의 선두에 복귀시켜 판독을 계속함과 동시에, 상기 영역의 후반 부분에 계속해서 롱 스트림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하, 동일한 처리를 반복하여, 롱 스트림 데이터를 재생시킨다.
다음에, 상기 전계 강도 측정부(17)에 의해 측정된 수신 전계 강도의 레벨에 따라, 재생하는 착신 멜로디의 음질을 변경하기 위해 이용되는 악곡 화일에 대해 설명한다.
도 3d의 FM 통신 감도 대응 세트 화일은 도 3b의 음색 데이터 첨부 시퀀스 화일과 동일한 형식의 악곡 화일이지만, 음색 데이터부에 수신 전계 강도에 따라 선택되는 다수 그룹의 음색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수신 전계 강도가 「양」,「중」,「악」인 각각의 경우에 대응하는 음질이 다른 3그룹의 FM 음색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고, 전계 강도「양」에 대응하는 FM 음색 데이터는 음질이 양호한 상기 FM 음원(32)용의 음색 데이터, 「중」에 대응하는 것은 중간 정도 음질의 FM 음원(32)용의 음색 데이터, 「악」에 대응하는 것은 그다지 좋지 않은 음질의 FM 음원(32)용의 음색 데이터로 되어 있다.
도 3d의 FM 통신 감도 대응 세트 화일을 재생할 때는, 상기 시스템 CPU(11)는 상기 전계 강도 측정부(17)의 출력에 따라 수신 전계 강도가 양, 중, 악의 3단계 중 어느 단계인지를 판정하고, 그 결과에 대응한 상기 음색 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음색 RAM(35)에 세트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시퀀스 데이터에 따라 상기 FM 음원(32)을 사용해 악곡을 재생시킨다.
도 3e의 혼입용 WT 노이즈 화일은 도 3c의 스트림 화일과 동일한 형식의 악곡 화일이고, 롱 스트림 데이터로서, 노이즈음을 샘플링하여 얻어진 파형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도 3e의 혼입용 WT 노이즈 화일은 도 3c의 스트림 화일과 동일하게 상기 WT 음원(33)을 사용하여 재생되는 것이고, 상기 FM 음원(32) 혹은 상기 WT 음원(33)에 의해 재생되는 착신 멜로디에 이 혼입용 노이즈 화일에 의해 WT 음원(33)을 이용하여 생성한 노이즈를 혼입시켜, 그 노이즈의 음량을 상기 전계 강도 측정부(17)에 의해 측정된 수신 전계 강도의 레벨에 따라 제어함으로써 착신 멜로디의 음질을 변화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도 4는 도 3d의 FM 통신 감도 대응 세트의 악곡 화일을 이용하는 경우의 착신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우선, 착신의 유무를 판정하고(단계 S1), 착신이 있을 때는 단계 S2로 진행하여, 수신 전계 강도를 검출한다. 전술과 같이, 상기 통신부(16)에는 전계 강도 측정부(1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스템 CPU(11)은 이 전계 강도 측정부(17)에서 측정된 수신 전계 강도를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함으로써, 양, 중, 악 중 어느 레벨인지를 판정한다. 이 판정결과는 수신 전계 강도를 표시하는 상기 표시부(14)의 막대형상의 마크 개수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가 된다.
그리고, 단계 S2에서 얻어진 판정결과가 전계 강도「양」을 표시할 때에는(단계 S3가 예), 단계 S4로 진행하고, 상기 FM 통신 감도 대응 세트에 포함되는 FM 음색 데이터 중의 감도「양」에 대응하는 음색 데이터를 지정하여 상기 FM 통신 감도 대응 세트의 시퀀스 데이터의 재생을 행한다. 또한, 전계 강도「중」일 때는 감도「중」에 대응하는 음색 데이터를 지정하여 재생을 하고, 「악」일 때는 감도「악」에 대응하는 음색 데이터를 지정하여 재생을 행한다(단계 S5, S6, S7). 즉, 상기 음색 RAM(35)에 선택된 음색 데이터를 전송하고, 시퀀스 데이터에 대응한 음원 제어 파라미터를 FM 음원(32)에 공급함으로써 악음을 생성시킨다. 또한, 단계 S3, S5의 판정은 상기 표시부(14)에 공급되는 전계 강도를 표시하기 위한 각 막대형상 마크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참조함으로써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단계 S8로 진행하고, 사용자가 통화 버튼을 조작하여 오프 훅(off-hook)으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오프-훅이 아닐 때는, 상기 단계 S2로 되돌아가고, 수신 전계 강도 검출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따라 착신 멜로디가재생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한 경우 등에도 수신 전계 강도의 변동을 리얼 타임으로 착신 멜로디의 음질에 반영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사용자가 통화 버튼을 조작하고, 오프-훅 상태로 되었을 때는, 단계 S9로 진행하여, 통상의 통화 상태로 이행한다.
다음에, 도 3e의 혼입용 WT 노이즈 화일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도 5의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혼입용 WT 노이즈 화일을 상기 WT 음원(33)을 이용하여 재생한다. 또한, 착신 멜로디의 악곡 화일은 도 3a 내지 도 3c의 악곡 파일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상기 FM 음원(32), WT 음원(33) 중 어느 것을 이용해도 된다.
착신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11), 착신이 있을 때는 단계 S12에서 착신 멜로디의 악곡 화일을 재생한다. 그리고, 단계 S13에서 상기 혼입용 WT 노이즈 화일의 재생을 개시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혼입용 노이즈 화일은 스트림 데이터이고, 이를 상기 혼입용 WT 노이즈 화일의 시퀀스 데이터에 따라 상기 WT 음원(33)을 이용하여 재생한다.
그리고, 단계 S1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 전계 강도를 검출하고, 수신 전계 강도가 「양」일 때는 상기 단계 S13에서 재생을 개시한 노이즈 스트림 화일의 음량(레벨)을 작게 설정한다. 이는 예컨대, 상기 시스템 CPU(11)로부터 상기 WT 음원(33)에 대해, 노이즈 스트림 화일의 재생에 할당된 발음 채널의 채널 볼륨을 작게하는 제어신호를 공급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수신 전계 강도가 「중」일 때는 상기 노이즈 스트림의 재생 레벨을 「중」으로, 수신 전계 강도가「악」일때는 노이즈의 재생 레벨을 「대」로 설정한다(단계 S17, S18, S19).
그리고, 단계 S20으로 진행하여, 오프-훅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오프-훅이 아닐 때는 다시 상기 단계 S14로 되돌아가고, 수신 전계 강도에 리얼 타임 대응한 노이즈 레벨이 되도록 제어를 행한다. 한편, 오프-훅되었을 때는, 단계 S21로 진행하여, 통상의 통화 처리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수신 전계 강도에 따라 착신 멜로디의 음질을 리얼 타임으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착신이 있을 때에, 착신 멜로디의 음질에 따라 수신 전계 강도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수신 전계 강도가 양호하지 않다고 판단했을 때는, 표시부를 보지않고, 자기 위치를 변경하여, 착신 멜로디의 음질이 좋아진 곳에서 통화 버튼을 조작하여 통화를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전계 강도에 대응한 음질로 착신 멜로디를 재생하기 위한 악곡 화일로서, 도 3d 및 도 3e에 도시하는 형식의 악곡 화일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했는데, 그 밖의 형식의 악곡 화일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3d의 FM 통신 감도 대응 세트 화일은 음색 데이터부에 음질이 다른 다수의 음색 데이터를 포함하고, 시퀀스 데이터부에는 단일의 시퀀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했는데, 도 3b의 음질이 양호한 FM 음색 데이터 첨부 시퀀스 화일을 이용하여, 수신 전계 강도 측정 결과가 나빠지는데 따라 그 FM 음색 데이터 중의 파라미터를 음질이 나쁘게 되는 방향으로 소정량씩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각각의 수신 전계 강도에 대응하는 다수 종류의 음색 데이터 첨부 시퀀스 화일을 하나로 모은 악곡 화일, 즉, 음질이 좋은 음색 데이터 첨부 시퀀스 화일, 음질이 중 정도인 음색 데이터 첨부 시퀀스 화일, 음질이 좋지 않은 음색 데이터 첨부 시퀀스 화일의 3개의 시퀀스 화일을 하나로 모은 악곡 화일을 이용하여, 수신 전계 강도에 따라 대응하는 음질의 음색 데이터가 부여된 시퀀스 화일을 선택하여 재생해도 된다. 또한, 수신 전계 강도에 대응하여 소정의 음질 음색 데이터가 부여되는 시퀀스 화일은 상술한 것과 같은 음질을 양/중/악으로 변화시킨 음색 데이터 첨부 시퀀스 화일에 한정되지 않고, 음색 이외의 다양한 악음에 관한 특성을 변화시켜(예를 들면, 악곡 화일의 피치나 템포 등의 파라미터를 변화시킨다. 혹은, 악곡에 비브라토 등의 효과를 부여한다.), 화일을 재생해도 되고, 다양한 악음에 관한 특성을 변화시킨 다수의 시퀀스 화일을 미리 기억시켜 두고, 상기 다수의 시퀀스 화일 중에서 하나의 화일을 선택하여 재생해도 된다. 또한, 멜로디 자체가 다른 다수의 악곡 화일을 미리 기억시켜 두고, 상기 다수의 악곡 파일 중에서 하나의 화일을 선택하여 재생해도 된다.
또한, FM 음원을 이용하는 음색 데이터가 아니라, WT 음원을 이용하는 음색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3e의 혼입용 WT 노이즈 화일에서는 노이즈음을 샘플링하여 얻은 스트림 데이터를 착신 멜로디에 혼입하도록 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특정한 주파수의 연속음을 발생시키는 시퀀스 화일을 혼입용 노이즈 화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상술과 같은 전계 강도에 대응한 음질의 착신 멜로디를 재생하기 위한 악곡 화일을 상기 휴대 통신 단말에 배송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서버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휴대 통신 단말과 상기 휴대 통신 단말이 접속할 수 있는 서버 장치를 가지는 통신 시스템 전체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에서, 10은 도 1의 휴대 통신 단말(이동국), 41은 다수의 기지국, 42는 상기 다수의 기지국을 관리함과 동시에 공중망이나 인터넷 등 다른 네트워크와의 게이트 웨이가 되는 교환국, 43은 상기 교환국(42)에 직접 혹은 인터넷 등을 통해 접속되어 형성된 배송 서버, 44는 상기 배송 서버(43)에 접속되고, 상기 휴대 통신 단말(10)에 배송하는 각종 악곡 화일이나 각종 음색 데이터 등을 격납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여기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44)에 도 3d의 FM 통신 감도 대응 세트 화일 및 도 3e의 혼입용 WT 노이즈 화일 등을 격납하고 있다.
휴대 통신 단말(10)의 사용자는 상기 배송 서버(43)에 억세스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44)로부터 원하는 상기 FM 통신 감도 대응 세트 화일 혹은 상기 혼입용 WT 노이즈 화일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시스템 RAM(13)에 격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수신 감도(수신 전계 강도)를 양, 중, 악의 3단계로 식별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다 많은 혹은 적은 단계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착신 멜로디의 음질의 변경에 한정되지 않고, 수신 전계 강도에 따라, 착신 멜로디의 피치나 템포를 변화시키거나, 착신 멜로디에 비브라토를 부여하는 등, 악곡의 다양한 재생 형태를 변화시켜도 된다.
이에 추가하여, 바이브레이터의 진동 패턴이나 상기 표시부와는 별개로 형성된 LED 등에 의한 발광 표시부의 발광 패턴을 변경시키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은 수신 전계 강도에 대응한 음질로 착신 멜로디를 재생할 수 있고, 사용자는 표시부의 전계 강도 표시를 보지 않고 수신 전계 강도를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대해 수신 전계 강도에 대응한 음질의 착신 멜로디의 악곡 파일을 배송할 수 있다.

Claims (6)

  1. 전계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전계의 강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전계의 강도에 따라 선택된 음질로 착신음을 재생하는 악음 재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악음 재생부는 상기 전계 강도에 대응하는 음질의 음색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음색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음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악음 재생부는 노이즈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 1 악곡 화일을, 멜로디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악곡 화일을 재생함과 동시에, 또한 상기 전계의 강도에 대응하는 레벨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
  4. 노이즈음을 생성하기 위한 노이즈 데이터와 악곡의 멜로디를 표시하는 시퀀스 데이터를 가지는 제 1 악곡 화일, 및 음질이 다른 다수의 음색 데이터와 악곡의 멜로디를 표시하는 시퀀스 데이터를 가지는 제 2 악곡 화일의 적어도 하나를 격납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접속된 접속부 ; 및
    상기 휴대 통신 단말의 요구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악곡 화일의 적어도 하나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한 악곡 화일을 상기 휴대 통신 단말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과 접속 가능한 서버장치.
  5. 전계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전계의 강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전계의 강도에 따라 착신음의 재생 형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재생형태에 따라 착신음을 재생하는 악음 재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
  6. 전계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전계의 강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다수의 악곡 화일을 기억하는 기억부 ; 및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전계의 강도에 따라 상기 기억된 다수의 악곡 화일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악곡 화일을 착신음으로서 재생하는 악음 재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
KR1020020046342A 2001-08-06 2002-08-06 휴대 통신 단말 및 서버장치 KR200300141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37731A JP2003051863A (ja) 2001-08-06 2001-08-06 携帯通信端末およびサーバ装置
JPJP-P-2001-00237731 2001-08-0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138A Division KR100555092B1 (ko) 2001-08-06 2005-03-10 휴대 통신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136A true KR20030014136A (ko) 2003-02-15

Family

ID=190687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6342A KR20030014136A (ko) 2001-08-06 2002-08-06 휴대 통신 단말 및 서버장치
KR1020050020138A KR100555092B1 (ko) 2001-08-06 2005-03-10 휴대 통신 단말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138A KR100555092B1 (ko) 2001-08-06 2005-03-10 휴대 통신 단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3051863A (ko)
KR (2) KR20030014136A (ko)
TW (1) TW5838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7296A (ja) * 2003-10-07 2005-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探索支援装置及び探索支援方法
JP2006165787A (ja) * 2004-12-03 2006-06-22 Kyocera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通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7341A (ja) * 1995-05-12 1996-11-22 Nec Corp 携帯用通信機
JPH09266454A (ja) * 1996-03-28 1997-10-07 Rohm Co Ltd 移動体通信機
KR19980047245A (ko) * 1996-12-14 1998-09-15 구자홍 음향에 의한 휴대폰 정보 전달 방법
JP2000032564A (ja) * 1998-07-15 2000-01-28 Nitsuko Corp Phs端末装置
JP2000295666A (ja) * 1999-04-09 2000-10-20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通信端末装置および移動通信端末装置の着信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7341A (ja) * 1995-05-12 1996-11-22 Nec Corp 携帯用通信機
JPH09266454A (ja) * 1996-03-28 1997-10-07 Rohm Co Ltd 移動体通信機
KR19980047245A (ko) * 1996-12-14 1998-09-15 구자홍 음향에 의한 휴대폰 정보 전달 방법
JP2000032564A (ja) * 1998-07-15 2000-01-28 Nitsuko Corp Phs端末装置
JP2000295666A (ja) * 1999-04-09 2000-10-20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通信端末装置および移動通信端末装置の着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039A (ko) 2005-05-19
JP2003051863A (ja) 2003-02-21
TW583865B (en) 2004-04-11
KR100555092B1 (ko) 2006-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4624B2 (en) Portable telephony apparatus with music tone generator
JP3719057B2 (ja) 電話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3975639B2 (ja) 電話端末装置
US5574243A (en) Melody controlling apparatus for music accompaniment playing system the music accompaniment playing system and melody controlling method for controlling and changing the tonality of the melody using the MIDI standard
EP1208560B1 (en) Music piece reproducing unit and music reproducing method in a portable telephone
JPH11242490A (ja) 鳴動メロディ用の音楽生成データを供給するカラオケ演奏装置
KR100555092B1 (ko) 휴대 통신 단말
KR2005007842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악 및 음성 합성 장치와 방법
JP2002152329A (ja) 携帯端末装置
KR20030029503A (ko) 사운드 믹서를 구비한 무선 이동 통신 핸드세트와 방법
JP3788280B2 (ja) 携帯通信端末
JP3620467B2 (ja) 通信端末
KR100731232B1 (ko)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장치 및 휴대 정보 단말기
JP3975698B2 (ja) 携帯通信端末
JP2004061968A (ja) 歌唱力評価機能付カラオケ機能を有する携帯端末装置
JP3675361B2 (ja) 通信端末
KR100862126B1 (ko) 휴대 통신 단말
JP2844533B2 (ja) 音楽放送システム
JP3637196B2 (ja) 音楽再生装置
KR20020070814A (ko) 휴대 단말 장치와 그의 효과 부여 방법 및 기록 매체
JP2001339487A (ja) 携帯通信端末装置
KR100775285B1 (ko) 멜로디 제작 시스템 및 방법
JP3279298B2 (ja) 楽曲再生装置、楽曲再生機能を備える携帯電話装置、および楽曲再生方法
KR20030083655A (ko)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의 벨소리 파일과 음악 파일의 합성 및 변환 방법
JP2001042867A (ja) 発音制御装置並びにこれを用いた装置及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310

Effective date: 2005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