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1794A - 무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무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1794A
KR20030011794A KR1020027012196A KR20027012196A KR20030011794A KR 20030011794 A KR20030011794 A KR 20030011794A KR 1020027012196 A KR1020027012196 A KR 1020027012196A KR 20027012196 A KR20027012196 A KR 20027012196A KR 20030011794 A KR20030011794 A KR 20030011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strip
rolling
rolled
electrical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2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1253B1 (ko
Inventor
프리드리히칼에른스트
함머브리기테
카발라루돌프
피셔올라프
슈나이더위르겐
부퍼만칼-디터
Original Assignee
티센 크루프 슈타알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 크루프 슈타알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티센 크루프 슈타알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30011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2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21D8/121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the working step(s) being of interest
    • C21D8/1222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21D8/124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the heat treatment(s) being of interest
    • C21D8/1272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3/00Diffusion processes for extraction of non-metals; Furnaces therefor
    • C21D3/02Extraction of non-metals
    • C21D3/04Decarburi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21D8/121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the working step(s) being of interest
    • C21D8/1233Cold rol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Of Steel Electrode Plates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 Metal Roll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방향성 열간압연 전기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중량%로, C: 0.0001 내지 0.05%와, [%Si]+2[%Al] ≤ 1.8인 조건하에서의 Si: 1.5% 이하, 및 Al: 0.5% 이하와, Mn: 0.1 내지 1.2%와, 철과 통상의 불순물로 이루어진 잔부를 함유하는 강으로 부터 주조 슬라브, 스트립, 거친 스트립 또는 박 슬라브와 같은 원재료를 제조하고; Ar1-온도를 초과하는 온도에 있는 최종 압연 라인에서 열간 스트립을 1.5mm 이하의 두께로 압연하고, 열간압연의 적어도 마지막 성형 패스는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혼합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혼합 영역에서 압연하는 동안에 이루어지는 총 변형률εH가 35% 미만인 무방향성 열간압연 전기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특히 무방향성이고 양호한 자기 특성을 가진 두꺼운 전기강판을 경제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무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NON GRAIN-ORIENTED ELECTRIC SHEETS}
예를 들면, 0.65 내지 1mm 범위의 두께를 가진 무방향성 전기강판은 단시간 작동을 위해서 켜지게 되는 모터 제품에 사용되었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모터들은 가정용 기기 또는 설비 분야에서, 또는 자동차의 보조 구동 장치로서 사용된다. 그러한 모터들은 고성능을 발휘하도록 의도되지만, 에너지 소모 만큼은 경시되어 왔다.
무방향성 열간압연 전기강판을 제조하기 위한 첫 번째 방법이 DE 198 07 122로부터 공지되었다. 상기 공지된 방법에서는, 질량%로, 0.001 내지 0.1%의 C와, %Si + 2Al≤3.0%의 조건 하에서의 0.05 내지 3.0%의 Si 및 0.85% 이하의 Al과, 0.5 내지 2.0%의 Mn과, 철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잔부를 포함하는 원재료가주조 가열에 바로 이어서나 또는 재가열된 후에 900℃ 이상의 온도에서 열간 압연 된다. 열간압연 동안,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2상 영역에서 목표로 설정된 방법을 통해 두 개 이상의 성형 패스가 실행되었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냉간압연 및 마무리 처리된 전기강판이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고, 이렇게 제조된 전기강판은 동 종류의 종래 전기강판에 비하여 향상된 자기 특성을 가졌다.
예를 들면 EP 0 897 993 Al에 기술된 바와 같이,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종래 제조법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슬라브 또는 박 슬라브를 특별한 성분을 함유하는 강으로 부터 주조하여서, 거친 압연을 하여 거친 스트립(roughed strip)을 성형한다. 이러한 거친 스트립은 그 다음에 몇 번의 패스를 통해서 열간 압연된다. 필요에 따라서, 열간압연된 스트립은 어닐링되고 그 후에 권취된다. 일반적으로, 권취 후, 열간 스트립의 피클링 처리 및 추가 어릴링이 행해지고, 상기 열간 스트립은 최종적으로 일 단계의 냉간 압연이나 혹은 어닐링이 중간에 개재되는 다수 단계의 냉간 압연을 통해서 최종 두께로 냉간 압연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보충적인 조질 (skin-pass)압연이 실행된다. 최종 사용자의 주문이 있는 경우, 냉간압연 스트립에 최종 어닐링 처리도 한다.
전기강판을 제조함에 있어서, 주조 슬라브를 거친 스트립으로 거친 압연하는 대신에, 박 슬라브나 또는 주조된 거친 스트립을 바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주조된 거친 스트립을 사용할 때는, 제조할 열간 스트립의 치수에 근접한 치수를 갖는 극박 스트립을 주조할 수도 있다. 기술적인 장점과 비용 절감의 장점은 상기 거친 스트립의 주조와 상기 스트립의 열간압연을 하나의 연속 공정에 통합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제조 중의 각 개별 공정 단계는 최종 제품의 자기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예를 들면, 패스 순서와 각 압연 패스 중의 열간 스트립 내의 미세조직 상태는, 최종 제품의 소망하는 자기 특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압연을 시작할 때의 온도와 개별 압연 패스들 사이에서 실행된 냉각에 따라 강의 조성에 의해 제어되는 강의 변태 거동에 따라서 열간압연 중에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최종 제품의 특징은 어닐링 온도, 권취 온도 및 냉간 압연 중의 변형에 의해 결정된다.
전기강판 제조는 제조 단계의 수가 많기 때문에, 기술적인 요구사항이 많고 비용이 많이 든다. 이러한 점은 두께가 두꺼운 강판의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무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무방향성 전기강판"은 DIN EN 10106("최종적으로 어닐링된 전기강판")과 DIN EN 10165("최종적으로 어닐링되지 않은 전기강판")에 정의된 전기강판을 가리킨다. 또한, 무방향성 전기강판은 이들이 방향성 전기강판으로 간주되지 않은 한은 보다 강한 이방성 형태의 것들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세 개의 전기강판 a, b, c와 종래 방법으로 제조된 하나의 전기강판 d에 대한 자장세기와 자기편극과의 관계를 대수 곡선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세 개의 전기강판 a, b, c와 종래 방법으로 제조된 하나의 전기강판 d에 대한 자기편극과 특정 이력손실의 관계를 대수 곡선으로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방향성이고 우수한 자기 특성을 가진 두꺼운 전기강판을 특히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무방향성 열간압연 전기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중량%로,
C: 0.0001 내지 0.05%와,
[%Si]+2[%Al] ≤ 1.8인 조건하에서의 Si: 1.5% 이하, 및 Al: 0.5% 이하와,
Mn: 0.1 내지 1.2%와,
철과 통상의 불순물로 이루어진 잔부를 함유하는 강으로 부터 주조 슬라브, 스트립, 거친 스트립 또는 박 슬라브와 같은 원재료를 제조하고; Ar1-온도를 초과하는 온도에 있는 최종 압연 라인에서 열간 스트립을 1.5mm 이하의 두께로 압연하고, 열간압연의 적어도 마지막 성형 패스는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혼합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혼합 영역에서 압연하는 동안에 이루어지는 총 변형률εH가 3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열간압연 전기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되는 강은 P, Sn, Sb, Zr, V, Ti, N, Ni, Co, Nb 및/또는 B와 같은 합금 추가 성분을 총량으로 1.5% 까지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립은 열간 스트립을 형성하기 위해서 오스테나이트를 형성하는 강으로 부터 주조되고 직접 상기 주조 열을 이용하여 압연되었다. 열간압연시 압연 조건은 압연이 완성되는 시기에 완전한 페라이트 변태로 마무리되지 않도록 하였다. 대신에, 적어도 최종 패스는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혼합영역에서 이루어지는 반면에, 나머지의 모든 압연 패스는 오스테나이트 영역에서 이루어지게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을 통해서 전기강판 원재료의 제조와 열간압연을 실행함으로써, 두께 감소를 위한 새로운 냉간압연이 없어도 최종 사용자에게 공급하기에 충분히 얇은 무방향성 전기 강 스트립을 제조할 수 있다. 만약 원재료가 주조 박 슬라브 또는 주조 스트립으로 제조되는 경우와, 열간압연이 원재료의 제조에 이어지는 연속 공정으로 실행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특히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주조 압연 설비에서 제조된 원재료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며 연속 추가 처리 공정을 거치게된 열간 스트립은 우수한 특징들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작동 조건을 살펴보면, 종래 방법으로 냉간 압연된 전기강판과 적어도 동등한 특성을 갖는 열간압연 무방향성 전기강판이 열간압연 스트립 제조에 후속하여 제조될 수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양호한 자기 특성을 가진 고등급 전기강판을 경제적으로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고, 기술 형편상 항상 필요할 것으로 추측된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시간 소모 공정 단계를 줄일 수 있다.
보통, 열간압연 완료 후, 열간 스트립은 필요에 따라서는 냉각되기도 하여 권취된다. 권취 온도는 바람직하게 700℃이상이다. 실험에 의하면 만약 상기 권취 온도가 유지된다면 열간 스트립은 완전히는 아니더라도 적어도 상당한 수준까지 어닐링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는 열간 스트립이 이미 권취 상태에서 연화되어지기 때문이고, 그 점에서 파라미터들은 상기 열간 스트립의 특성들을 결정할 수 있는 데, 입경, 집합조직 및 석출물과 같은 파라미터들이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이와 관련하여, 만약 스트립이 권취 열을 이용하여 피동적으로 어닐링된다면 특히 바람직하다. 고온에서 권취되고 권취상태에서 상당한 냉각을 겪지 않은 열간 스트립에 대해서 권취 열에 의해 인-라인에서 행하는 어닐링은 달리 필요할지도 모르는 열간 스트립 후드-타입 어닐링을 완전히 대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특히 양호한 자기 및 기술적 특성들을 가진 어닐링된 열간 스트립이 제조될 수 있다. 시간과 에너지에 있어서 필요한 노력이 전기 강판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실행된 종래 열간 스트립 어닐링시 요구된 시간 및 에너지와 비교될 때 상당히 감소되었다.
다른 방법으로써 또는 권취상태에서 "피동적인" 어닐링을 보충함으로써, 스트립은 권취에 이어서 어닐링됨에 따라, 상기에서 요구하고 있는 성취될 특성들이 제공될 수 있다. 열간 스트립 어닐링이 실행되는 형태와 무관하게, 어닐링이 산소 환원 분위기에서 종래 방법을 통해 실행된다면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중량%로, 0.7%이상의 Si 함량을 가진 강을 처리하기 위해 적당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최종 압연 라인에서 압연된 후 열간 스트립은 600℃ 이하, 특히 550℃ 이하의 권취 온도에서 권취된다. 관계된 합금에서, 상기 온도에서의 권취는 강화된 열간 스트립 상태에 이르게 한다. 추가로 상기 방법을 통해 권취되고 합금화된 전기강판의 특징들에 대한 개선은 권취된 열간 스트립이 권취 바로 다음에 코일 상태에서 가속화된 속도로 냉각될 때 성취될 수 있다.
실제 시험은 특히 양호한 특징들을 가진 전기강판 열간 스트립이 만약 열간압연시 대부분의 변형이 오스테나이트 영역에서 분명하게 일어난다면 제조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실시예가 상기 결과를 고려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는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혼합영역에서 압연시 성취된 변형률εH가 10% 내지 15%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혼합 영역 γ/α에서 열간 스트립의 변형 수준과 무관하게, 압연 롤 스톡의 냉각을 방지하려는 최적의 온도 운영은 성형 수준의 비율을 성형 속도에 의해 적당하게 선택함으로써, 즉, 변형시 제조된 열을 이용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고, 따라서 완전한 페라이트 변태가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관계에서, "총 변형률εH"란 스트립이 각 상 영역(phase region)으로 진입할 때 상기 스트립의 두께에 대한 각 상 영역에서 압연시 발생되는 두께 감소의 비율로 정의된다. 상기 정의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예를 들면 오스테나이트 영역에서 압연 후 열간 스트립의 두께는 h0이다. 2상 혼합 영역에서 연속 압연하는 동안, 열간 스트립의 두께는 h1로 감소되었다. 상기 정의에 따르면, 혼합 압연 중의, 총 변형률εH는 (h0-h1)/h0이 되는데, 여기에서 h0은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혼합 상태에서 통과한 첫 번째 압연 롤 스탠드로 진입할 때의 두께이고, h1은 혼합 상태에서 통과한 마지막 롤 스탠드를 빠져나올 때의 두께다.
스트립 표면의 품질과 추가로 처리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열간 스트립이 권취 후 피클링 처리된다면 바람직하다.
만약 최종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어닐링된 전기강판을 요구한다면, 최종적으로 어닐링된 전기 강 스트립을 얻기 위해서 열간 스트립을 피클링 후에 740℃ 이상의 어닐링 온도에서 어닐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피클링 처리 후 최종 어닐링이 650℃ 이상의 낮은 어닐링 온도에서 실행된다면, 그 다음의 전기강 스트립은 최종 어닐링되지 않고도 얻어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최종 사용자의 요구 조건에 따라 최종 어닐링될 수 있다. 각 합금의 특성과, 전기강판과, 이용가능한 설비 및 장비의 소망하는 특성에 따라서 후드-타입로나 연속로에서 어닐링 처리가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되고 운반된 열간 전기 강 스트립의 처리성에 있어서 추가 개선은 피클링 처리된 열간 스트립이 3% 이하의 성형 수준으로 교정 롤 (smooth-roll)을 통한 압연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상기 압연 동안 스트립의 표면에 있어서 평탄하지 않은 영역은 일부 열간압연에 의해서 생성된 미세조직에 유의적인 영향은 전혀 미치지 않으면서도 매끄럽게 된다.
다른 방법 또는 상기에 언급된 형태의 단일 교정 패스를 보충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열간압연 스트립의 치수의 정확성 및 표면 품질은 피클링 처리된 열간 스트립을 3% 초과 내지 15%의 성형 수준으로 조질압연하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재압연은 냉간압연시 이루어진 높은 성형 수준으로 인하여 냉간압연동안 목표로 설정된 방법을 통해서 보통 일어나는 변화들과 비교하여 어떠한 미세조직 변화도 초래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는 혼합 영역에서 열간압연이 윤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윤활을 갖춘 열간압연은 더 작은 전단 변형을 일으키고, 따라서 압연 스트립은 그의 단면을 따라서 더욱 균질한 조직을 가진다. 추가로, 윤활은 압연력을 감소시키고, 결국 각 롤 패스에서 두께 감소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열간 스트립의 최종 두께는 0.65mm 내지 1mm 이다. 이는 상기 두께의 스트립에 대하여 경제적으로 제조되고 따라서 가격이 경제적이기 때문에 시장에서, 상당히 많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최대 1wt%의 Si 함량을 가진 강들을 제조하기 위해 적당하다. 그러한 강들은 뚜렷한 오스테나이트상을 가지며, 따라서 오스테나이트에서 혼합상인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로의 변태가 특히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만약 강의 탄소 함량이 0.005wt%를 초과할 경우에서는, 열간 스트립이 마무리 처리와 운반되기에 앞서 탈탄 매체를 통해서 어닐링된다면 바람직하다.
아래에, 발명이 일례의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되었다.
다음의, "J2500", "J5000" 및 "J10000" 각각이 2500A/m, 5000A/m 및 10000A/m 각각의 자장세기에서 자기편극을 나타낸다.
"P 1.0" 및 "P 1.5"는 각각 1.0T 및 1.5T의 편극과 50Hz 주파수에서 이력손실을 나타낸다.
다음 표에서 언급한 자기 특성은 개별 스트립에 대하여 압연방향을 따라서 측정되었다.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강판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 강의 특성에 필수적인 합금 성분의 함량을 중량%로 나타내고 있다.
C Si Al Mn
A 0.008 0.10 0.12 0.34
B 0.007 1.19 0.13 0.23
표 1에서 나타내고 있는 합금 성분에 따라 형성된 용융물은 주조 압연 설비를 통해 주조되었고, 연속적으로 몇 개의 롤 스탠드를 포함하는 독립된 열간압연 라인에 공급하여 거친 스트립을 제조하였다.
표 2a-2c는 각각 강 A와 B로 제조된 세 개의 전기강판들 A1-A3와 B1-B3에 대한 자기특성 J2500, J5000, J10000, P1.0및 P1.5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전기강판들 A1-A3와 B1-B3의 열간압연시, 각 스트립이 오스테나이트 상태에 있는 영역에서 변형의 중요성을 두고 있다. 대조적으로, 단지 하나의 롤 패스는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혼합영역에서 실행된다. 상기 공정동안 성취된 총 변형률εH는 35% 이하, 특히 30% 이하다.
압연에 이이서, 열간 스트립은 750℃의 권취온도에서 권취되었다.
강판 J2500[T] J5000[T] J10000[T] P1.0[W/kg] P1.5[W/kg]
A1 1.623 1.704 1.513 5.494 12.457
B1 1.646 1.717 1.556 4.466 9.593
강판 J2500[T] J5000[T] J10000[T] P1.0[W/kg] P1.5[W/kg]
A2 1.651 1.726 1.564 5.354 13.548
B2 1.638 1.716 1.550 3.614 8.554
강판 J2500[T] J5000[T] J10000[T] P1.0[W/kg] P1.5[W/kg]
A3 1.658 1.728 1.578 4.892 11.073
B3 1.611 1.690 1.532 3.062 7.641
일례 A1, B1(표 2a)의 경우에서, 냉각 후, 열간 스트립은 보통 상업적인 전기강판의 형태를 이루기 위해 그리고 그 다음의 최종 사용자에게 공급되기전 직접 마무리 처리된다. 일례 A2, B2(표 2b)의 경우에서, 열간 스트립은 최종 사용자에게 공급되기 전에 피클링 처리되고 추가적으로 교정 패스에 의해 압연된다. 상기 교정 패스동안 최대 3%의 변형률εH가 이루어졌다. 운반하기에 앞서, 스트립 A3, B3(표 2c)는 산세 처리되고 그 다음에 조질 압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서 제조된 두께가 1mm이고, 종래 방법을 통해 열간압연되고 냉간압연된 전기강판으로 실행된 비교 시험들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전기강판의 성취가능한 자기편극의 값과 성취가능한 특정 이력손실의 값이 종래 제조된 전기강판에서 각 특징을 위해 결정된 값들과 근사한 범위로 일치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세 개의 전기강판 a, b, c와 종래 방법으로 제조된 하나의 전기강판 d에 대한 자장세기와 자기편극과의 관계를 대수 곡선으로보인 도면이다.
강판 a가 직접 사용되었고, 강판 b는 교정 패스에 의해 압연되었고, 강판 c는 조질 압연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세 개의 전기강판 a, b, c와 종래 방법으로 제조된 하나의 전기강판 d에 대한 자기편극과 특정 이력손실의 관계를 대수 곡선으로 보인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강판 a, b, c의 특징들이 단지 종래에 제조된 전기강판의 특징과 약간 다름을 나타내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라서 착수된 열간압연시 계획적으로 적용되는 압연의 낙관성과 함께, 그리고 고가로 이루어지고 있는 냉간엽연의 제거와 함께, 시장성이 높은 고품질의 전기강판이 제조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Claims (25)

  1. 무방향성 열간압연 전기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중량%로,
    C: 0.0001 내지 0.05%와,
    [%Si]+2[%Al] ≤ 1.8인 조건하에서의 Si: 1.5% 이하, 및 Al: 0.5% 이하와,
    Mn: 0.1 내지 1.2%와,
    철과 불순물로 이루어진 잔부를 함유하는 강으로 부터 주조 슬라브, 스트립, 거친 스트립 또는 박 슬라브와 같은 원재료를 제조하고; Ar1-온도를 초과하는 온도에 있는 최종 압연 라인에서 열간 스트립을 1.5mm 이하의 두께로 압연하고, 열간압연의 적어도 마지막 성형 패스는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혼합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혼합 영역에서 압연하는 동안에 이루어지는 총 변형률εH가 3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열간압연 전기강판을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은 P, Sn, Sb, Zr, V, Ti, N, Ni, Co, Nb 및/또는 B와 같은 추가 성분을 합계로 1.5% 이하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열간압연 전기강판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원재료가 주조 박슬라브 또는 주조 스트립으로 제조되고 열간압연이 원재료의 제조후 연속적으로 이어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열간압연 전기강판 제조방법.
  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간 스트립이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열간압연 전기강판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권취온도가 7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열간압연 전기강판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권취 열을 이용하여, 열간 스트립이 피동적으로 어닐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열간압연 전기강판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권취 후, 열간 스트립이 어닐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열간압연 전기강판 제조방법.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간 스트립 어닐링이 산소 환원 분위기에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열간압연 전기강판 제조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권취온도가 6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열간압연 전기강판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권취된 열간 스트립이 권취에 이어서 곧바로 가속화된 속도에서 코일상태로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열간압연 전기강판 제조방법.
  11.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혼합영역에서 압연하는 동안 달성된 총 변형률εH가 10%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열간압연 전기강판 제조방법.
  12.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간 스트립이 권취에 이어서 피클링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열간압연 전기강판 제조방법.
  13.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종 어닐링된 전기 강 스트립을 얻기위하여 740℃ 이상의 어닐링 온도에서 열간 스트립이 어닐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열간압연 전기강판 제조방법.
  14. 제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최종 어닐링되지 않은 전기강 스트립을 얻기 위하여 650℃ 이상의 어닐링 온도에서 열간 스트립이 어닐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무방향성 열간압연 전기강판 제조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어닐링이 후드-타입로에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열간압연 전기강판 제조방법.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어닐링이 연속로에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열간압연 전기강판 제조방법.
  17.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간 스트립이 냉간압연 없이 마무리되고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열간압연 전기강판 제조방법.
  18.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간 스트립이 3% 이하의 성형 수준으로 교정 롤(smooth-roll)에 의해 압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열간압연 전기강판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스트립이 상기 교정 롤에 의해 마무리 압연되고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열간압연 전기강판 제조방법.
  20.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간 스트립이 3% 초과 내지 15%의 성형 수준으로 조질 압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열간압연 전기강판 제조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스트립이 상기 조질 압연에 의해 마무리되고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열간압연 전기강판 제조방법.
  22.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간 스트립의 최종 두께가 0.65 내지 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열간압연 전기강판 제조방법.
  23.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혼합 영역에서 열간압연이 윤활에 의해 성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열간압연 전기강판 제조방법.
  2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의 Si 함량이 중량%로 최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열간압연 전기강판 제조방법.
  25. 제17항, 제19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강의 C 함량이 0.005wt%를 초과하고 열간 스트립이 마무리되고 운반되기 전에 탈탄 매체를 통해서 어닐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열간압연 전기강판 제조방법.
KR1020027012196A 2000-03-16 2001-03-15 무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 KR1007712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12838 2000-03-16
DE10012838.6 2000-03-16
DE10015691A DE10015691C1 (de) 2000-03-16 2000-03-29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nichtkornorientiertem Elektroblech
DE10015691.6 2000-03-29
PCT/EP2001/002974 WO2001068925A1 (de) 2000-03-16 2001-03-15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nichtkornorientiertem elektroble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794A true KR20030011794A (ko) 2003-02-11
KR100771253B1 KR100771253B1 (ko) 2007-10-30

Family

ID=26004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2196A KR100771253B1 (ko) 2000-03-16 2001-03-15 무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767412B2 (ko)
EP (1) EP1263993B1 (ko)
JP (1) JP5265835B2 (ko)
KR (1) KR100771253B1 (ko)
AT (1) ATE303454T1 (ko)
AU (1) AU2001260127A1 (ko)
BR (1) BR0109285A (ko)
DE (2) DE10015691C1 (ko)
ES (1) ES2248329T3 (ko)
MX (1) MXPA02008528A (ko)
PL (1) PL197691B1 (ko)
WO (1) WO2001068925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865B1 (ko) * 2005-12-19 2007-05-28 주식회사 포스코 자기적 특성이 우수한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721864B1 (ko) * 2005-12-19 2007-05-28 주식회사 포스코 자기적 특성이 우수한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KR100721818B1 (ko) * 2005-12-19 2007-05-28 주식회사 포스코 자기적 특성이 우수한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721926B1 (ko) * 2005-12-19 2007-05-28 주식회사 포스코 자기적 특성이 우수한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067478B1 (ko) * 2003-12-23 2011-09-27 주식회사 포스코 자기적 특성이 우수한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130725B1 (ko) * 2004-12-21 2012-03-28 주식회사 포스코 자기적 특성이 우수한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14404A1 (de) * 2001-08-11 2003-02-20 Thyssenkrupp Electrical Steel Ebg Gmbh Nichtkornorientiertes elektroblech oder -band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0153234A1 (de) 2001-10-31 2003-05-22 Thyssenkrupp Stahl Ag Für die Herstellung von nichtkornorientiertem Elektroblech bestimmtes, warmgewalztes Stahlband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0221793C1 (de) 2002-05-15 2003-12-04 Thyssenkrupp Electrical Steel Ebg Gmbh Nichtkornorientiertes Elektroband oder -blech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0253339B3 (de) * 2002-11-14 2004-07-01 Thyssenkrupp Stahl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für die Verarbeitung zu nicht kornorientiertem Elektroband bestimmten Warmbands, Warmband und daraus hergestelltes nicht kornorientiertes Elektroblech
US20050000596A1 (en) * 2003-05-14 2005-01-06 Ak Properties Inc. Method for production of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trip
WO2006068399A1 (en) * 2004-12-21 2006-06-29 Posco Co., Ltd.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s with excellent magnetic properti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333923B2 (en) * 2007-02-28 2012-12-18 Caterpillar Inc. High strength gray cast iron
JP5317552B2 (ja) * 2008-06-26 2013-10-16 オーエスジー株式会社 転造ダイス
JP5423629B2 (ja) * 2010-09-21 2014-02-19 新日鐵住金株式会社 磁束密度の高い無方向性電磁熱延鋼帯の製造方法
KR101917468B1 (ko) 2016-12-23 2018-11-09 주식회사 포스코 박물 열연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DE102017208146B4 (de) 2017-05-15 2019-06-19 Thyssenkrupp Ag NO-Elektroband für E-Motoren
WO2020094230A1 (de) 2018-11-08 2020-05-14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Elektroband oder -blech für höherfrequente elektromotoranwendungen mit verbesserter polarisation und geringen ummagnetisierungsverlusten
DE102019216240A1 (de) * 2019-10-22 2021-04-22 Muhr Und Bender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nicht-kornorientierten Elektrobands
DE102021115174A1 (de) 2021-06-11 2021-11-11 Technische Universität Bergakademie Freiberg, Körperschaft des öffentlichen Rechts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öherpermeablen, nichtkornorientierten Elektrobleches und dessen Verwendun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45507A1 (ko) * 1964-02-24 1965-08-24
US4177091A (en) * 1978-08-16 1979-12-04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producing silicon-iron sheet material, and product
JPS5638422A (en) * 1979-09-05 1981-04-13 Kawasaki Steel Corp Manufacture of cold-rolled lower electromagnetic steel plate
JPS6383226A (ja) * 1986-09-29 1988-04-13 Nkk Corp 板厚精度および磁気特性が極めて均一な無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116514B2 (ja) * 1990-11-15 1995-12-1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無方向性電磁鋼板の熱間圧延方法
JP3375998B2 (ja) * 1993-01-26 2003-02-10 川崎製鉄株式会社 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3348802B2 (ja) * 1993-06-30 2002-11-2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磁束密度が高く、鉄損の低い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KR100207834B1 (ko) * 1994-06-24 1999-07-15 다나카 미노루 고 자속 밀도와 저 철손을 갖는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JP3388119B2 (ja) * 1996-12-04 2003-03-1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磁束密度の高い低級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3379622B2 (ja) * 1996-12-04 2003-02-2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磁束密度が高いホットファイナル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H10251752A (ja) * 1997-03-13 1998-09-22 Kawasaki Steel Corp 磁気特性に優れる熱延電磁鋼板の製造方法
DE19807122C2 (de) * 1998-02-20 2000-03-23 Thyssenkrupp Stahl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ichtkornorientiertem Elektroblech
JP2001123225A (ja) * 1999-10-27 2001-05-08 Nippon Steel Corp 磁束密度が高く、鉄損の低い熱延珪素鋼板の製造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478B1 (ko) * 2003-12-23 2011-09-27 주식회사 포스코 자기적 특성이 우수한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130725B1 (ko) * 2004-12-21 2012-03-28 주식회사 포스코 자기적 특성이 우수한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721865B1 (ko) * 2005-12-19 2007-05-28 주식회사 포스코 자기적 특성이 우수한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721864B1 (ko) * 2005-12-19 2007-05-28 주식회사 포스코 자기적 특성이 우수한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KR100721818B1 (ko) * 2005-12-19 2007-05-28 주식회사 포스코 자기적 특성이 우수한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721926B1 (ko) * 2005-12-19 2007-05-28 주식회사 포스코 자기적 특성이 우수한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03454T1 (de) 2005-09-15
JP5265835B2 (ja) 2013-08-14
US6767412B2 (en) 2004-07-27
WO2001068925A1 (de) 2001-09-20
DE50107281D1 (de) 2005-10-06
US20030188805A1 (en) 2003-10-09
ES2248329T3 (es) 2006-03-16
JP2003527483A (ja) 2003-09-16
PL197691B1 (pl) 2008-04-30
MXPA02008528A (es) 2004-05-17
EP1263993A1 (de) 2002-12-11
DE10015691C1 (de) 2001-07-26
PL357413A1 (en) 2004-07-26
KR100771253B1 (ko) 2007-10-30
AU2001260127A1 (en) 2001-09-24
EP1263993B1 (de) 2005-08-31
BR0109285A (pt) 2002-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253B1 (ko) 무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
JP5529418B2 (ja) 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US6582528B1 (en) Method of producing non-grain-oriented electrical sheet
US6406558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agnetic steel sheet having superior workability and magnetic properties
JP2509018B2 (ja) 磁束密度が高くかつ鉄損が低い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US5667598A (en) Production method for grain oriented silicion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magnetic characteristics
KR20050044499A (ko) 무방향성 전기 강판 제조 방법
US20060086429A1 (en) Cold-rolled steel strip with silicon content of at least 3.2 wt % and used for electromagnetic purposes
JPH0623410B2 (ja) 磁束密度の高い無方向性電気鉄板の製造方法
JPH08143960A (ja) 磁束密度が高くかつ鉄損が低い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2001131717A (ja) 打ち抜き性に優れた低鉄損無方向性電磁鋼板
JPH0657332A (ja) 磁束密度が高くかつ鉄損が低い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H01275736A (ja) 加工性に優れた連続鋳造製ほうろう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法
JP2647323B2 (ja) 低い鉄損をもつ一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US5766375A (en) Non-oriented magnetic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bending workability
JP2870817B2 (ja) 磁気特性の優れたセミプロセス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H0331420A (ja) 磁気特性の優れたフルプロセス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H0762437A (ja) 極めて低い鉄損をもつ一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S59123720A (ja) 深絞り用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S63186823A (ja) 磁気特性の優れた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2819993B2 (ja) 優れた磁気特性を有する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3020810B2 (ja) 磁気特性の良好な方向性けい素鋼板の製造方法
JPH02104619A (ja) 優れた鉄損特性を有する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H1180834A (ja) 磁気特性に優れた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2023116341A (ja) 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