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9408A - 기판용 픽-앤-플레이스 장치내에 있는 전기 부품을모니터링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기판용 픽-앤-플레이스 장치내에 있는 전기 부품을모니터링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9408A
KR20030009408A KR1020027012789A KR20027012789A KR20030009408A KR 20030009408 A KR20030009408 A KR 20030009408A KR 1020027012789 A KR1020027012789 A KR 1020027012789A KR 20027012789 A KR20027012789 A KR 20027012789A KR 20030009408 A KR20030009408 A KR 20030009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er
pick
component
scanning
pl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2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2080B1 (ko
Inventor
슈테판 부르거
라이너 뒤벨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30009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9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0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H05K13/081Integration of optical monitoring devices in assembly lines; Processes using optical moni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devices or machines in assembly lines
    • H05K13/0812Integration of optical monitoring devices in assembly lines; Processes using optical moni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devices or machines in assembly lines the monitor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mounting machine, e.g. for monitoring components, leads, component 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13)용 픽-앤-플레이스 장치내에 있는 전기 부품(10)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퍼(2)의 하부면은 부품(10)의 픽업 단계 동안 및 플레이싱 단계 동안 광학 스캐닝 장치(7)에 의해서 모니터링 된다. 그리퍼(2)를 위한 리프팅 구동 장치(3)에는, 제어 장치(6)와 연결된 위치 센서(5)가 제공된다. 상기 스캐닝 장치(7)는 리프팅 방향에 대하여 가로로 향하는 스캐닝 빔(22)을 송신 및 수신하고,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6)와 연결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그리퍼(2)의 하부면은 부품(10)의 픽업 및 플레이싱과 직접적인 시간 관련하에서 모니터링될 수 있다. 수신된 스캐닝 빔(22)의 임계값이 초과된 경우에는 다양한 리프팅 위치가 저장되고 비교됨으로써, 부품의 높이도 또한 모니터링될 수 있다.

Description

기판용 픽-앤-플레이스 장치내에 있는 전기 부품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ELECTRIC COMPONENTS IN A PICK-AND-PLACE DEVICE FOR SUBSTRATES}
상기와 같은 방식의 장치는 US 5 660 519호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문서에 따르면, 픽-앤-플레이스 헤드의 스캐닝 장치는 각각 일련의 송신 다이오드 및 수신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이오드들은 이송 위치에 있는 부품의 높이에서 리프팅 방향에 대해 수직인 스캐닝 면을 형성한다. 픽-앤-플레이스 헤드가 기판상에 있는 픽-앤-플레이스 장소로 움직이는 동안에는, 리프팅 축을 중심으로 한 흡인 그리퍼의 회전에 의해서 부품의 측면 윤곽이 스캐닝 될 수 있으며, 상기 스캐닝으로부터 그리퍼 축과 부품 중심의 위치 편차가 검출될 수 있다. 그리퍼에서의 부품의 존재 유무는, 부품이 픽업 및/또는 플레이스될 때 피펫에서의 흡인력을 스캐닝 함으로써 검출된다. 광학적으로 측정하는 경우에도 부품의 존재 유무는 확인될 수 있다.
또한 JP 11-154797호에는, 고정되어 단계적으로 순환하는 회전 테이블을 구비한 픽-앤-플레이스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장치 중에서 하나의 프린트 회로 기판은 2가지 좌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리볼버 형태의 회전 테이블에는 부품을 위한 다수의 그리퍼가 장착되는데, 상기 그리퍼는 여러가지 스테이션을 단계적으로 순환하고, 부품을 픽업 위치로부터 반대편의 플레이스 위치까지 이송시킨다. 픽업 전에는 그리퍼의 자유 단부가 수직 열로 이루어진 광학 송신 다이오드 및 수신 다이오드를 따라서 광 배리어의 방식으로 조종 스테이션을 순환함으로써 그리퍼 하부면의 높이 위치가 검출될 수 있다. 부품을 픽업한 후에는 상기 그리퍼 단부가 부품과 함께 수직 다이오드 열을 따라서 광학 조종 스테이션을 순환함으로써 부품 하부면의 높이 위치 및 그와 더불어 상기 부품 하부면의 전체 높이가 검출될 수 있다. 2가지 좌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픽-앤-플레이스 헤드의 경우에는, 상응하는 측정을 실행할 수 있기 위하여, 그리퍼가 부품의 픽업 전에 및 픽업 후에 고정된 조종 스테이션을 순환해야 하며, 이와 같은 특징은 일반적으로 픽업 위치와 플레이스 위치 사이에 있는 허용할 수 없는 우회로와 관련될 수 있으며, 그 반대로 관련될 수도 있다.
또한 US 4 875 285호에는 픽-앤-플레이스 헤드를 회전자에 환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흡인 그리퍼와 함께 리볼버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 경우 고정자는 그리퍼의 순환 트랙을 따라 배치된 부품용 처리 스테이션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2번째 칼럼의 65열 이하에 따라 부품은 상기 스테이션에서 중심 배치되고, 접촉되며, 전기적, 광학적 또는 기계적으로 치수 측정된다. 당시에는 CCT-카메라를 이용하여 그리퍼에 있는 부품의 위치 결정을 실행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통상적이었으며, 상기 카메라는 부품의 플레이스면, 특히 조명내에서의 접촉면의 위치를 측정한다. 부품의 각도 위치는 후속하는 회전 스테이션에서 보정될 수 있다. x-y-오프셋은 픽-앤-플레이스 헤드의 목표 좌표에 상응하는 보정에 의해서 고려된다.
예를 들어 에지 길이를 0.25 ㎜까지 축소하여 부품의 크기를 점점 더 작게 하려는 현재의 경향은 그리퍼에 있는 매우 좁은 흡인 채널을 전제로 하는데, 상기 좁은 흡인 채널은 특히 오염시에 진공에 대한 조회를 어렵게 한다. 또한 픽업 위치의 부정확성에 의해서는, 부품이 흡인 채널을 완전히 커버하지 않게 되고, 이와같은 노출 때문에 진공에 대한 조회의 결과가 신뢰성을 갖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리볼버 헤드의 경우에는 픽-앤-플레이싱 단계 동안 광학 스테이션에서 비로소 부품의 에러를 알게 된다. 사용 부품의 픽업은 상당한 추가적인 시간 비용을 요구한다.
본 발명은 기판용 픽-앤-플레이스 장치내에 있는 전기 부품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부품은 픽-앤-플레이스 장치의 픽-앤-플레이스 헤드에 의해서 조종되고, 상기 헤드는 하나의 작업면에서 움직이며,
상기 부품용 그리퍼는 픽-앤-플레이스 헤드내에서 작업면에 대해 수직으로 리프팅 구동 장치에 의해서 이송 위치와 동작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며,
상기 부품은 상기 그리퍼의 하부면을 향해 흡인되며,
상기 부품은 상기 그리퍼에 의해 픽업 위치로부터 이송 위치로 상승되고, 상기 픽-앤-플레이스 헤드가 기판상의 픽-앤-플레이스 위치로 이동한 후에는 동작 위치로 하강되며,
상기 부품과 그리퍼 사이의 위치 관계는 상기 픽-앤-플레이스 헤드의 광학 스캐닝 장치에 의해서 모니터링 된다. 본 발명에서 위치 관계는 그리퍼에 있는 부품의 상대적인 위치로 이해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그리퍼에 부품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로도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흡인 그리퍼 및 제어 장치를 구비한 픽-앤-플레이스 헤드의 단면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픽-앤-플레이스 헤드의 일부분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부품 벨트 및 전기 부품의 픽업 단계를 시작할 때 픽-앤-플레이스 헤드의 일부분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다음 단계에서 도 3에 따른 부분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5는 그 다음에 단계에서 부품 벨트 없이 도 4에 따른 부분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6은 픽업 단계의 종결시에 도 5에 따른 부분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7은 픽업 단계의 종결시에 도 6에 따른 부분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8은 기판상에 부품을 올려 놓는 단계 동안에 도 7에 따른 부분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9는 부품을 올려 놓은 후의 도 9에 따른 부분의 개략도이고,
도 10은 부품 및 기판을 구비한, 리볼버 형태의 다른 픽-앤-플레이스 헤드의 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따른 부분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부품을 모니터링할 때 더 높은 안전성에 도달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해서 해결된다. 예를 들어 스캐닝 빔은 픽업된 상태에서 그리퍼의 하부면 아래에 매우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픽업될 부품 위로 그리퍼가 하강하기 전에 그리퍼의 하부면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정상적인 경우에는 광 배리어의 빔 경로가 중단되지 않는다. 그 다음에 그리퍼가 픽업될 부품 위로 내려간다. 이 때 부품이 흡인 및 픽업된다. 그 직후에 새로운 스캐닝 펄스에 의해서, 부품이 그리퍼에 의해서 포착되었는지의 여부가 확실하게 확인될 수 있다. 부품은 통상적인 방식으로 벨트 주머니내에 제공된다. 벨트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부품이 진동으로 인해 주머니로부터 밖으로 튀어 나오거나 또는 부품의 위치가 변경되는 일이 발생될 수 있으며, 또한 언급한 허용 오차 때문에는 그리퍼가 부품을 포착하지 않게 되는 일도 발생될 수 있다. 곧바로 이어지는 스캐닝에 의해서는, 벨트가 다른 하나의 주머니 구획만큼 뒤따라 가게 되는 새로운 픽업 과정이 즉각적으로 도입될 수 있으며, 그 결과 그리퍼는 다른 하나의 부품을 포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은 픽-앤-플레이스 헤드의 추가적인 이동 동작 없이도 이루어지며, 따라서 시간 지연도 적다. 부품이 그리퍼에 아직도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부품을 기판상에 올리기 직전에 다시 한번 스캐닝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예를 들어 픽-앤-플레이스 헤드의 진동, 가속 및/또는 지연 때문에 부품이 플레이스 전에 분실되는 경우에 한해서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그리퍼의 플레이스 행정이 중단된다. 이와 같은 동작은 그리퍼 하부면이 프린트 회로 기판 위에 있는 납땜 페이스트 위로 올려지는 경우에 의미가 있으며, 그럼으로써 하부면이 심하게 오염되어 흡인 개구가 상당히 좁혀지거나 심지어는 막히게 된다. 부품이 존재하면, 그 부품은 기판상에 올려져서 압축 공기 펄스에 의해 하부면으로부터 떨어져 나간다. 그러나 부품의 크기가 매우 작은 경우, 오염된 하부면의 접착 효과는 부품이 그리퍼에 접착될 정도로 크다. 이와 같은 내용은 그리퍼가 상승된 직후에 스캐닝에 의해서 확인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픽-앤-플레이스 헤드가 플레이스 위치를 떠나기 전에 그리퍼는 부품을 기판상에 올리는 동작을 다시 한번 시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높은 수준의 픽업 안전성 및 픽-앤-플레이스 안전성에 도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따른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 의해서, 모든 작동 단계에서 피펫 하부면이 완전하게 모니터링 된다.
청구항 3에 따른 개선예에 의해서는, 부품의 존재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의 높이도 검출될 수 있으며, 그로부터 부품의 유형에 대한 추가 정보가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벨트 주머니에 제공된 부품의 한 면이 흡인됨으로써 부품이 그리퍼에 의해서 세로로 포착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이와 같은 동작은 픽업 스프링으로서 픽업할 때 이미 나타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부품은 소정 위치에서 아래로 투척되어 기판 위의 정해진 장소에 도달하게 된다. 청구항 4에 따른 장치는 도 1에 따른 방법과 유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한다. 청구항 4에서도 또한 그리퍼 하부면에서의 상황이 완전하게 모니터링 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픽-앤-플레이스의 안전성은 상응하게 상승된다.
청구항 5에 따른 장치는 청구항 3에 따른 방법과 유사하게 리프팅 방향에서 부품의 높이를 보다 정확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부품의 유형 또는 내장 위치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가 추론될 수 있다.
청구항 6에 따른 장치에 의해서는 스캐닝 장치가 하나의 구조물로 집중됨으로써, 기능 부품들 간에 정확한 구조적인 관계가 만들어질 수 있다. 하부면 근처에 있는 편향 수단은 예를 들어 프리즘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프리즘은 스캐닝 빔을 비스듬하게 위로 송신 다이오드까지 편향시킨다.
청구항 7에 따른 리볼버 픽-앤-플레이스 헤드는 예를 들어 12개의 흡인 그리퍼를 포함하는데, 상기 그리퍼는 별 모양으로 환형 둘레 트랙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회전자가 단계 방식으로 구동됨으로써, 바로 다음 순서에 부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흡인 그리퍼는 차례로 픽업 스테이션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동작이 의미하는 것은, 부품이 광학적으로 검사될 수 있기 전에, 부품이 광학 스테이션에 도달할 때까지, 부품이 적어도 다수의 스테이션을 순환한다는 것이다. 상기 시간격 동안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장치 없이 부품을 광학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부품의 일부분은 플레이싱 단계에서 비로소 광학 스테이션을 지나쳐서 모니터링 된다. 그럼으로써, 진공 조회에 의해서 확인될 수 없는 픽업 에러는 후속하는 한 단계에서 비로소 검출되어 상응하는 기간 손실을 야기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는, 전체 흡인 그리퍼가 직접 픽업 과정과 관련하여 모니터링 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픽업 에러의 경우에는 회전자가 그 동안에 계속해서 회전될 필요 없이, 그리퍼가 새로운 픽업 시도를 할 수 있게 된다. 부품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광학 스테이션을 플레이스 스테이션 전에 배치하고, 후속 스테이션에서 그리퍼를 원하는 내장 위치로 회전시키는 것이 통상적이다. 회전자 및 그리퍼가 회전할 때에는 광학 측정 후에도 계속해서 부품의 손실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태는 스캐닝 장치 없이는 플레이스 스테이션에서 더 이상 확인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플레이스 동안의 광학 스캐닝은 모니터링 안전성을 상당한 정도로 높여준다.
청구항 8에 따른 개선예에 의해서는, 포오크 광 배리어가 일체로 고정자 측면으로부터 부품의 이동 경로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에 따라, 하나의 수평 작업면(X-Y)의 2가지 좌표 방향(X 및 Y)으로 움직일 수 있는 픽-앤-플레이스 헤드(1)에는 하나의 그리퍼(2)가 제공되며, 상기 그리퍼는 자체의 리프팅 구동 장치(3)에 의해서 작업면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다. 그리퍼(2)의 아래로 향하는 피크에는 포착될 가공품을 위한 흡인 개구(4)가 제공된다. 리프팅 구동 장치(3)는 위치 센서(5)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센서에 의해서는 그리퍼의 개별 리프팅 위치가 검출될 수 있고, 상기 측정 장치는 데이터 라인을 통해 픽-앤-플레이스 장치의 제어 장치(6)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퍼(2)의 하부면 영역 중에서 픽-앤-플레이스 헤드(1)에는 포오크 광 배리어의 형태로 된 스캐닝 장치(7)가 고정되며, 상기 스캐닝 장치에는 하나의 송신 다이오드(8) 및 하나의 수신 다이오드(9)가 제공된다. 상기 다이오드들은, 상기 2개 다이오드 사이에서 뻗는, 강하게 포커싱된 스캐닝 빔(22)이 그리퍼의 축과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스캐닝 장치(7)도 마찬가지로 다른 하나의 데이터 라인을 통해 제어 장치(6)와 연결되어 있다.
도시된 이송 위치에서는 그리퍼(2)가 최상부 리프팅 위치에 있는데, 상기 리프팅 위치에서는 그리퍼(2)의 하부면이 다이오드에 의해 규정된 스캐닝 높이 위에 있다. 제어 장치(6)는 위치 센서(5)의 위치 측정값을 수신한다. 스캐닝 장치는 그리퍼(2)의 하강 단계 및 리프팅 단계 동안에 작동된다. 수신 다이오드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은 동일하게 제어 장치(6)로 전송된다. 수신 다이오드(9)에 의해 수신된 명도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모멘트에서는, 방금 전에 측정된 그리퍼(2)의 리프팅 위치가 재사용을 위해서 저장된다.
도 2는 스캐닝 장치(7)의 평면도를 보여주며, 도면에서 그리퍼(2)의 피크의 위치 및 상기 그리퍼에 홀딩될 전기 부품(10)의 위치는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9에는, 스캐닝 장치(7)를 기준으로 하여 픽-앤-플레이스 사이클의 단계 순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따라 픽-앤-플레이스 헤드의 그리퍼(2)는 픽업 될 부품(10) 위에 있고, 도 1에 도시된 출발 위치로부터 벗어나서 이미 그리퍼의 빈 하부면이 스캐닝 장치(7)의 스캐닝 빔(22)과 교차될 정도까지 하강되어 있다. 상응하는 그리퍼의위치는 제어 장치에 의해서 저장된다. 매번 그리퍼를 교체한 후에 상기와 같은 스캐닝을 실행하고, 그렇게 하여 검출된 표준값을 빈 그리퍼가 하강할 때 측정된 개별 측정값과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당한 편차는 나중에 그리퍼 피크에서의 에러를 지시할 수 있으며, 상기 에러는 예를 들어 오염 또는 접착성 부품을 추론하게 한다.
도 4에 따라 그리퍼(2)의 하부면은 이미 벨트(12)의 주머니(11)에 봉입되는 부품상에 올려져서 상기 부품을 흡인한다.
도 5에 따라 그리퍼(2)는, 상기 그리퍼의 하부면이 스캐닝 빔(22) 위에 있고, 흡인된 부품(10)이 스캐닝 빔(22)을 차단할 정도로 상승되어 있다. 상기 모멘트에서는 이미 저장된 값을 참고하여, 포착될 부품이 그리퍼(2)에 존재하는지가 검출될 수 있다.
도 6에 따라 그리퍼(2)는 흡인된 부품(10)과 함께 부품(10)의 하부면이 스캐닝 빔(22)을 릴리스 할 정도까지 상승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위치 변동은 위치 센서(5)의 관련 스캐닝 값을 저장하는 제어 장치(6)(도 1)에 의해서 검출된다. 이미 상기 모멘트에서 이전에 저장된 값이 실제값과 비교될 수 있으며, 이 때 리프팅 위치에서의 높이차는 부품(10)의 높이에 대한 기준이다. 2개의 스캐닝 값이 변동 없이 유지되면, 이와 같은 상태는 부품(10)이 충분히 흡인 및 상승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품 도서관으로부터 얻어진 부품 데이터들이 제어 장치에 공지되어 있다. 높이값의 편차는, 잘못된 타입의 부품이 제공되었거나 또는 부품이 잘못된 위치에서 흡입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부품은 투척 위치 위에서 제거될 수 있다. 에러 테스트는 그리퍼가 픽업 위치를 떠나기 전에 새로운 픽업 과정을 시작하게 한다.
도 7에 따라 그리퍼(2)는 상부 이송 위치로 상승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에서 부품(10)은 스캐닝 높이 위에 있다. 이 때 픽-앤-플레이스 헤드(1)는 부품(10)을 위한 픽-앤-플레이스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도 8에 따라 그리퍼(2)는 부품(10)과 함께 정확하게 상기 픽-앤-플레이스 위치에서 하강 단계에 있는 기판(13) 위에 있다. 이 때에는 도 5에 상응하게, 부품(10)이 아직 그리퍼에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모니터링 된다. 새로운 높이 측정과도 연결될 수 있는 상기 모니터링은 부품(10)의 존재에 대한 확실한 진술을 가능하게 한다. 부품이 이송 도중에 분실되면, 그리퍼(2)는 더 이상 하강되지 않고, 결국 그리퍼의 피크는 기판(13)상에 있는 납땜 페이스트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도 9에 따라 부품(10)은 이미 기판(13)상에 올려져 있고, 그리퍼(2)의 빈 하부면은 스캐닝 레벨 위로 상승된다. 상기 과정 동안에는 수신 다이오드(9)의 상태가 연속적으로 모니터링 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부품이 실제로 그리퍼(2)로부터 분리되었는지의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따라 다른 픽-앤-플레이스 헤드(14)가 리볼버(revolver)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픽-앤-플레이스 헤드는 작업면에서 2가지 좌표 방향(X 및 Y)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픽-앤-플레이스 헤드는 고정자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에 회전자(16)가 단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자에는 변형된 그리퍼(17)가 별모양으로 떨어져서 환형으로 둘레에 배치되어 있다. 하나의픽업 사이클 동안에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전체 그리퍼(17)에 차례대로 부품이 채워지고, 그 다음에 픽-앤-플레이스 헤드가 기판(13) 위로 움직인다. 그리퍼(17)의 둘레 트랙을 따라 스캐닝 광학 장치(18)가 있으며, 상기 장치에 의해서 부품(10)의 하부면의 치수가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스캐닝 장치 없이도 부품(10)의 존재 여부 및 타입이 먼저 상기 단계에서 확실하게 모니터링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에러 기록은 다음의 한 픽업 사이클에서 비로소 보정될 수 있을 것이다.
위치 센서(5)를 구비한 다른 리프팅 구동 장치(19)가 리프팅 스테이션(20)에 할당되고, 관련 그리퍼(17)와 일시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다른 스캐닝 장치(21)는, 스캐닝 빔(22)이 부품(10)의 둘레 트랙에 접하면서 바로 위에 정렬되도록 고정자(15)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열 상태에 의해서, 스캐닝 장치를 마찬가지로 일체로 된 섀클 형태의 지지부를 구비한 포오크 광 배리어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상기 지지부의 베이스는 둘레 트랙의 한 면에서 고정자(15)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픽-앤-플레이스 헤드(14)의 경우에도 도 3 내지 도 9에 상응하게 스캐닝 단계가 실행될 수 있다.

Claims (8)

  1. 기판(13)용 픽-앤-플레이스 장치내에 있는 전기 부품(10)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부품(10)은 픽-앤-플레이스 장치의 픽-앤-플레이스 헤드(1)에 의해서 조종되고, 상기 헤드는 하나의 작업면(x-y)에서 움직이며,
    상기 부품(10)용 그리퍼(2)는 픽-앤-플레이스 헤드(1)내에서 작업면(x-y)에 대해 수직으로 리프팅 구동 장치(3)에 의해서 이송 위치와 동작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며,
    상기 부품(10)은 상기 그리퍼(2)의 하부면을 향해 흡인되며,
    상기 부품(10)은 상기 그리퍼(2)에 의해 픽업 위치로부터 이송 위치로 상승되고, 상기 픽-앤-플레이스 헤드(1)가 기판(13)상의 픽-앤-플레이스 위치로 이동한 후에는 동작 위치로 하강되며,
    상기 부품(10)과 그리퍼(2) 사이의 위치 관계는 상기 픽-앤-플레이스 헤드(1)의 광학 스캐닝 장치(7)에 의해서 모니터링 되며,
    상기 부품(10)은 상기 그리퍼(2)의 리프팅 동작에 의해서 상기 리프팅 방향에 대해 가로로 향한 적어도 하나의 스캐닝 빔(22)의 작용 영역에 도달하며,
    상기 그리퍼(2)의 하부면은 상기 스캐닝 빔(22) 위의 이송 위치에 있으며,
    상기 픽-앤-플레이스 헤드(1)가 그리퍼(2)의 리프팅 위치를 조절하는 제어 장치(6)를 포함하는, 기판(13)용 픽-앤-플레이스 장치내에 있는 전기 부품(10)을모니터링 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장치(7)는 상기 제어 장치(6)와 연결되며,
    상기 스캐닝 장치(7)는 상기 부품(10)의 흡인 전의 한 단계에서 및 흡인 후의 한 단계에서 작동되며,
    상기 제어 장치(6)는 상기 그리퍼(2)에 부품(10)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상기 스캐닝 장치(7)의 스캐닝 값으로부터 검출하며,
    상기 제어 장치(6)는 상기 2가지 단계 사이에서 동일하게 유지되는 스캐닝 값을 작동 에러로서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장치(7)는 부품(10)의 픽업 및 플레이스시에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이송 위치에서는 상기 부품(10)의 하부면이 강하게 포커싱된 스캐닝 빔(22)의 높이 레벨 위로 상승되며,
    그리퍼(2)의 동작 위치에서는 상기 그리퍼(2)의 하부면이 상기 스캐닝 빔(22)의 높이 레벨 아래로 이동되며,
    상기 리프팅 구동 장치(3)는 그리퍼(2)의 리프팅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센서(5)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센서(5)는 상기 제어 장치(6)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리프팅 장치는 부품(10)의 상승 및/또는 하강 동안에 작동되며,
    상기 제어 장치(6)는 하부면 교차시의 스캐닝 값의 변동을 참고로 하여 및 그리퍼(2)의 개별 리프팅 위치를 참고로 하여, 상기 부품(10) 및/또는 그리퍼(2)의 하부면의 높이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기판(13)용 픽-앤-플레이스 장치내에 있는 전기 부품(10)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특히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로서,
    상기 픽-앤-플레이스 장치는 상기 부품(10)을 조종하기 위해 하나의 작업면(x-y)에서 움직일 수 있는 픽-앤-플레이스 헤드(1)를 포함하며,
    상기 부품(10)용 그리퍼(2)는 픽-앤-플레이스 헤드(1)내에서 작업면(x-y)에 대해 수직으로 리프팅 구동 장치(3)에 의해서 이송 위치와 동작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되며,
    상기 부품(10)은 상기 그리퍼(2)의 하부면을 향해 흡인될 수 있으며,
    상기 부품(10)은 상기 그리퍼(2)에 의해 픽업 위치로부터 이송 위치로 상승될 수 있고, 상기 픽-앤-플레이스 헤드(1)가 기판(13)상의 픽-앤-플레이스 위치로 이동한 후에는 동작 위치로 하강될 수 있으며,
    상기 픽-앤-플레이스 헤드(1)는 상기 그리퍼(2)에 있는 부품(10)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광학 스캐닝 장치(7)를 포함하며,
    상기 스캐닝 장치(7)는 리프팅 위치에 대해 가로로 향하는, 상기 리프팅 장치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늘고 긴 스캐닝 빔(22)을 수신하며,
    이송 위치에서는 상기 그리퍼(2)의 하부면이 상기 스캐닝 빔(22) 위에 있으며,
    상기 픽-앤-플레이스 헤드(1)는 상기 그리퍼(2)의 리프팅 동작을 조종하기 위한 제어 장치(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기판(13)용 픽-앤-플레이스 장치내에 있는 전기 부품(10)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장치(7)는 상기 제어 장치(6)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스캐닝 장치(7)는 상기 부품(10)의 흡인 전의 한 단계에서 및 흡인 후의 한 단계에서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장치(6)는 상기 그리퍼(2)에 부품(10)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상기 스캐닝 장치(7)의 스캐닝 값으로부터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장치(6)는 상기 2가지 단계 사이에서 동일하게 유지되는 스캐닝 값을 작동 에러로서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10)의 이송 위치에서는 상기 스캐닝 빔(22)이 상기 부품의 하부면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퍼(2)의 동작 위치에서는 상기 그리퍼(2)의 하부면이 강하게 포커싱된 스캐닝 빔(22) 아래에 있으며,
    상기 리프팅 구동 장치(3)는 그리퍼(2)의 리프팅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센서(5)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센서(5)는 상기 제어 장치(6)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리프팅 장치는 부품(10)의 상승 및/또는 하강 동안에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장치(6)는 하부면 교차시의 스캐닝 값의 변동을 참고로 하여 및 그리퍼(2)의 개별 리프팅 위치를 참고로 하여, 상기 부품(10) 및/또는 그리퍼(2)의 하부면의 높이 위치를 검출할 수 있고, 그로부터 상기 부품(10)의 높이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장치(7)는 광학 동작 부품(예컨대 8, 9)을 위한 섀클 형태의 지지부를 구비한 포오크 광 배리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캐닝 빔(22)은 편향 수단에 의해서, 상기 스캐닝 장치(7)의 기판(13)을 향한 하부면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4 항,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리볼버 형태로 형성된 픽-앤-플레이스 헤드(14)는 고정자(15)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자에는 회전자(16)가 단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자(16)에는 환형으로 분배된 다수의 그리퍼(17)가 제공되며,
    상기 그리퍼(17)는 리프팅 구동 장치(19)에 의해서 상기 픽-앤-플레이스 헤드(14)의 리프팅 스테이션(20)에서 하강 및 상승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자(15)에 고정된 스캐닝 장치(21)가 상기 리프팅 스테이션(20)에 할당되며,
    리프팅 스테이션(20) 바깥에서는 상기 스캐닝 장치(7)에 추가하여, 그리퍼(2)에서의 상기 부품(10)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광학 스테이션(18)이 상기 픽-앤-플레이스 헤드(1)의 고정자(15)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빔(22)이 상기 부품(10)의 회전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27012789A 2000-03-28 2001-03-14 기판용 픽-앤-플레이스 장치 내에 있는 전기 부품을 검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8220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15271 2000-03-28
DE10015271.6 2000-03-28
PCT/DE2001/000964 WO2001074127A1 (de) 2000-03-28 2001-03-14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überprüfen von elektrischen bauteilen in einer bestückvorrichtung für substr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408A true KR20030009408A (ko) 2003-01-29
KR100822080B1 KR100822080B1 (ko) 2008-04-15

Family

ID=7636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2789A KR100822080B1 (ko) 2000-03-28 2001-03-14 기판용 픽-앤-플레이스 장치 내에 있는 전기 부품을 검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70622B2 (ko)
EP (1) EP1269813B1 (ko)
JP (1) JP4669188B2 (ko)
KR (1) KR100822080B1 (ko)
CN (1) CN1223258C (ko)
DE (1) DE50112560D1 (ko)
WO (1) WO20010741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08082A1 (de) * 2004-02-19 2005-09-08 Marconi Communications Gmbh Verfahren zum Bestücken eines Schaltungsträgers
US20060096086A1 (en) * 2004-11-05 2006-05-11 Coots Charles A Real-time monitoring of machine performance
JP4634204B2 (ja) * 2005-04-05 2011-02-16 Juki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装置
DE102005023705A1 (de) * 2005-05-23 2006-11-30 Siemens Ag Sensor und Sensorsystem zur optischen Erfassung von Objekten, Bestückkopf,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Höhenposition eines Bauelements
JP2007042766A (ja) * 2005-08-02 2007-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の実装装置および実装方法
JP4692268B2 (ja) * 2005-12-22 2011-06-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システムおよび電子部品実装方法
US7746481B2 (en) 2007-03-20 2010-06-29 Cyberoptics Corporation Method for measuring center of rotation of a nozzle of a pick and place machine using a collimated laser beam
WO2008153885A1 (en) * 2007-06-05 2008-12-18 Cyberoptics Corporation Component sensor for pick and place machine using improved shadow imaging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3373A (en) * 1985-09-05 1987-07-28 Caterpillar Industrial Inc. Optical seat switch
JP2560371B2 (ja) * 1988-01-05 1996-12-04 株式会社ニコン 基板処理システム
DE3903501A1 (de) 1988-02-10 1989-08-24 Messerschmitt Boelkow Blohm Optisches abstands-messgeraet fuer fahrzeuge
JPH0430990A (ja) * 1990-05-22 1992-02-03 Toshiba Corp チップ部品検出装置
JPH07123199B2 (ja) * 1990-07-23 1995-12-25 松下電工株式会社 部品装着方法
JP2554424B2 (ja) * 1992-08-04 1996-11-1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装着装置
JP2528418B2 (ja) * 1992-07-01 1996-08-2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装着方法及び装置
JP2872092B2 (ja) * 1992-08-07 1999-03-1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装着方法及び同装置
US5330226A (en) * 1992-12-04 1994-07-1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 out of position occupant
WO1994022693A1 (en) * 1993-03-31 1994-10-13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Vehicle occupant position and velocity sensor
US5446661A (en) 1993-04-15 1995-08-29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Adjustable crash discrimination system with occupant position detection
DE4400664C2 (de) 1994-01-12 1995-11-16 Spies Martin Dipl Ing Fh Vorrichtung zur Erkennung der Sitzbelegung in Fahrzeugen etc.
US5482314A (en) * 1994-04-12 1996-01-09 Aerojet General Corporation Automotive occupant senso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by sensor fusion
US5541695A (en) * 1995-02-27 1996-07-30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with laser remote controller
US5959732A (en) * 1996-04-10 1999-09-28 Nikon Corporation Stage apparatus and a stage control method
JP3624054B2 (ja) * 1996-06-18 2005-02-23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US6027138A (en) * 1996-09-19 2000-02-22 Fuji Electric Co., Ltd. Control method for inflating air bag for an automobile
US5752115A (en) * 1996-11-26 1998-05-12 Eastman Kodak Company Autofocus camera with power control for emitted beam
JP3907786B2 (ja) * 1997-06-16 2007-04-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方法及び装置
IL135139A0 (en) * 1997-09-19 2001-05-20 Nikon Corp Stage apparatus, scanning type exposure apparatus, and device produced with the same
JPH11154797A (ja) * 1997-11-21 1999-06-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吸着ノズルの下降ストローク制御方法と電子部品装着装置
WO1999028220A1 (fr) * 1997-12-03 1999-06-10 Nikon Corporation Dispositif et procede de transfert de substrats
DE19757595C2 (de) 1997-12-23 2000-05-11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fnahme eines dreidimensionalen Abstandsbildes
US6081338A (en) * 1998-03-26 2000-06-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ly checking an electrical component at an equipping head
US6220627B1 (en) 1998-04-20 2001-04-24 Automotive Systems Lab Occupant detection system
DE59910451D1 (de) * 1999-02-25 2004-10-14 Siemen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fassen eines Objektes oder einer Person im Innenraum eines Fahrzeu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69813A1 (de) 2003-01-02
US20030055528A1 (en) 2003-03-20
WO2001074127A1 (de) 2001-10-04
EP1269813B1 (de) 2007-05-30
CN1223258C (zh) 2005-10-12
US6870622B2 (en) 2005-03-22
JP4669188B2 (ja) 2011-04-13
JP2003529211A (ja) 2003-09-30
CN1421119A (zh) 2003-05-28
KR100822080B1 (ko) 2008-04-15
DE50112560D1 (de) 200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2209B1 (ko) 도전성 볼의 탑재장치 및 탑재방법
KR100961690B1 (ko) 카메라모듈 제작용 라운드 디스펜싱 장치와 이를 이용한 라운드 디스펜싱 방법
US200901332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a component pick action in an electronics assembly machine
CN106981444B (zh) 热压键合装置
KR20030009408A (ko) 기판용 픽-앤-플레이스 장치내에 있는 전기 부품을모니터링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H0851297A (ja) チップマウンタ
JP2000103031A (ja) ウェハ用半田印刷装置
JP4715009B2 (ja) ワークの基準マーク認識方法
JP3192773B2 (ja) 部品装着装置
JP2872092B2 (ja) 部品装着方法及び同装置
JP3543044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電子部品実装方法
JP2006066426A (ja) 部品認識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表面実装機
JPH09326591A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電子部品実装方法
JP2001156498A (ja) 表面実装部品装着機における持ち帰り電子部品の検出方法
WO20061251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a component pick action in an electronics assembly machine
JPH07249895A (ja) 電子部品自動装着装置及び電子部品装着方法
JP3610096B2 (ja) 電子部品自動装着装置
JP3397098B2 (ja) 導電性ボールの移載方法
JP2002033597A (ja) 電子部品実装方法および電子部品実装装置
JPH11346096A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におけるマルチノズルヘッドのノズル高さティーチ方法
JP4675833B2 (ja) 部品の厚み測定方法、実装方法、部品の厚み測定装置、および、部品実装機
JP3623982B2 (ja) 電子部品自動装着装置
JPH11145697A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におけるノズルストッカの位置および高さティーチ方法
JP2854162B2 (ja) 電子部品自動装着装置
JPH07142895A (ja) 電子部品自動装着装置及び電子部品の装着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