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8481A - 씨모스 이미지 센서 - Google Patents

씨모스 이미지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8481A
KR20030008481A KR1020010043140A KR20010043140A KR20030008481A KR 20030008481 A KR20030008481 A KR 20030008481A KR 1020010043140 A KR1020010043140 A KR 1020010043140A KR 20010043140 A KR20010043140 A KR 20010043140A KR 20030008481 A KR20030008481 A KR 20030008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
gate
image sensor
cmos image
photo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4562B1 (ko
Inventor
권오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1-0043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4562B1/ko
Priority to JP2002208019A priority patent/JP4472236B2/ja
Priority to TW091116015A priority patent/TW552719B/zh
Priority to US10/197,491 priority patent/US6809309B2/en
Priority to CNB02142909XA priority patent/CN1258228C/zh
Publication of KR20030008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5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09Pixel-elements with integrated switching, control, storage or amplification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 H04N25/77Pixel circuitry, e.g. memories, A/D converters, pixel amplifiers, shared circuits or shared components
    • H04N25/771Pixel circuitry, e.g. memories, A/D converters, pixel amplifiers, shared circuits or shared components comprising storage means other than floating diffu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토다이오드 영역의 일측에 전하 축적용 게이트를 형성하여 셀당 전하 축적 용량(charge capacity)을 증대시켜 소자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 빛에 관한 영상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영상 신호 전하를 생성하는 포토 다이오드 영역;상기 포토 다이오드 영역에 인접하여 구성되는 전하 축적용 게이트를 포함하고 전하 생성 단계에서 포토 다이오드 영역의 전하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전하 축적용 게이트 하측으로 이동시켜 저장하고 리드 아웃 단계에서 축적된 전하를 리드 아웃 노드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씨모스 이미지 센서{CMOS Image Sensor}
본 발명은 이미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토다이오드 영역의 일측에 전하 축적용 게이트를 형성하여 셀당 전하 축적 용량(charge capacity)을 증대시켜 소자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이미지 촬상 소자의 용도로 개발되어져 사용되는 대부분의 CCD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회로들에 비해서 고전압(+15V, -9V)을 이용해서 구동되고, CCD를 제작하는 공정은 기본적으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구현하는 공정과 비슷하기 때문에 CMOS공정에 비해서 공정 단가도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되고 있는 것이, 여러 가지 기능의 주변 칩을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여 하나의 칩에 집적할 수 있으며, 저전압 동작이 가능하고 소모 전력이 작으면서 공정 단가도 저렴한 CMOS 공정에서 촬상소자를 구현하고자 CMOS 이미지 센서에 대한 연구 및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CMOS 이미지 센서는 극미세 가공이 가능한 CMOS 트랜지스터의 제조 공정을 대부분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에도 화질 측면에서의 문제가 있고, 새롭게 제시되고 있는 포토 게이트 구조의 CMOS 이미지 센서는 파장 대역에 따른 전하 생성 효율에서 차이가 발생하여 화질 개선 측면에서 한계가 있어 새로운 픽셀 구조의 CMOS 이미지 센서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종래 기술의 씨모스 이미지 센서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CMOS 이미지 센서의 픽셀 회로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의 CMOS 이미지 센서의 픽셀 단면 구성도이다.
도 1의 CMOS 이미지 센서는 4-TR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게이트에는 리셋 신호(RX)가 인가되고 한쪽 전극은 플로우팅 노드(2)에 연결되고 다른쪽 전극은 VDD 단자에 연결되는 리셋 트랜지스터(1)와, 게이트가 플로우팅 노드(2)에 연결되고 한쪽 전극은 VDD 단자에 연결되는 소오스-팔로워 트랜지스터(3)와, 게이트에는 로우(Row) 선택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소오스-팔로워 트랜지스터(3)에 직렬 연결되되어 한쪽 전극이 출력단(Vout)에 연결되는 셀렉트 트랜지스터(4)와, 상기 플로우팅 노드(2)에 한쪽 전극이 연결되고 게이트에 트랜스퍼 신호(TX)가 입력되어 축적 전하의 리드시에 전하를 트랜스퍼시키는 트랜스퍼 트랜지스터(5)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퍼 트랜지스터(5)와 접지 단자사이에 구성되는 포토다이오드(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4-TR 구조의 CMOS 이미지 센서 이외에 트랜스퍼 트랜지스터가 구성되지 않는 3-TR 구조의 CMOS 이미지 센서, 셀렉트 트랜지스터만 구성되는 1-TR 구조의 이미지 센서가 있다.
이와 같은 회로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의 CMOS 이미지 센서의 단면 구성은 도 2에서와 같이, p형 반도체 기판(21)상에 p형 에피택셜층(22)이 형성된다.
그리고 p형 에피택셜층(22)의 표면내에 포토다이오드 n 영역(23)과 포토다이오드 표면 p 영역(24)이 형성되지만, 경우에 따라 표면 p 영역(24)이 형성되지 않고 단지 포토다이오드 n 영역(23)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포토다이오드 영역(23)(24)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p형 에피택셜층(22)내에 영상 전하의 센싱을 위한 플로우팅 디퓨전 영역으로 사용되는 n+ 영역(27)이 형성된다.
그리고 포토다이오드 영역(23)(24)과 n+ 영역(27)의 사이의 p형 에피택셜층(22)의 상측에 트랜스퍼 게이트(25)가 형성된다.
그리고 n+ 영역(27)의 타측 p형 에피택셜층(22)상에는 리셋 게이트(2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회로 구성 및 단면 구조를 갖는 종래 기술의 CMOS 이미지 센서의 전하 센싱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내지 도 3d는 종래 기술의 CMOS 이미지 센서의 전하 생성 및 리드 아웃 과정을 나타낸 동작도이다.
먼저, 도 3a에서와 같이, 포토다이오드에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에 의하여 전하들이 축적된다.
그리고 도 3b에서와같이, 리드 아웃 노드(플로우팅 노드)를 리셋시킨후에 도 3c에서와 같이 축적된 신호 전하가 트랜스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트랜스퍼 신호(VTX)가 입력되어 턴온되면 플로우팅 노드로 신호 레벨이 전달된다.
이 상태에서 도 3d에서와 같이, 리셋 트랜지스터는 off 상태를 유지하고 플로우팅 노드에 축적된 신호 전하에 의하여 리셋 트랜지스터의 소오스단인 플로우팅노드의 전위를 변화시키며 이는 소오스-팔로워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포텐셜을 변화시키게 된다.
소오스-팔로워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포텐셜 변화는 소오스-팔로워 트랜지스터의 소오스단 또는 셀렉트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노드의 바이어스를 변화시킨다.
셀렉트 트랜지스터는 이미 리드 아웃 노드(플로우팅 노드)를 리셋 시키기 바로 전부터 셀렉트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로우 선택 신호(VROW)가 입력되면 리셋된 리드 아웃 노드(플로우팅 노드)의 레퍼런스 포텐셜과 포토다이오드에서 생성된 신호 전하에 의한 전위차를 출력단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포토다이오드의 전하 생성에 의한 신호 레벨을 검출한후에 리셋 신호에 의해 리셋 트랜지스터가 ON 상태로 바뀌게 되면서 신호 전하는 전부 리셋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각각의 리셋후의 레퍼런스 포텐셜을 리드하고 신호 레벨도 리드 아웃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씨모스 이미지 센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포토 다이오드의 전하 축적 용량(charge capacity)이 포토 다이오드의 면적과 포토 다이오드의 도핑 농도, 기판의 불순물 농도, 포토다이오드 표면의 반대 도전형 불순물 도핑 농도에 의해 결정된다.
포토 다이오드의 전하 축적 용량은 광학적인 신호의 특성을 좌우하는 중요한요소인데, 현재 동일 칩면적에서 해상도를 높이거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화소의 크기를 줄이고 있어 포토 다이오드의 면적이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은 환경에서 불순물 농도 조절에 의한 전하 축적 용량 확보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포토다이오드 영역의 일측에 전하 축적용 게이트를 형성하여 셀당 전하 축적 용량(charge capacity)을 증대시켜 소자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CMOS 이미지 센서의 픽셀 회로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CMOS 이미지 센서의 픽셀 단면 구성도
도 3a내지 도 3d는 종래 기술의 CMOS 이미지 센서의 전하 생성 및 리드 아웃 과정을 나타낸 동작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4-TR 구조의 CMOS 이미지 센서의 픽셀 회로 구성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3-TR 구조의 CMOS 이미지 센서의 픽셀 회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CMOS 이미지 센서의 픽셀 레이 아웃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CMOS 이미지 센서의 픽셀 단면 구성도
도 7a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CMOS 이미지 센서의 전하 생성 및 리드 아웃 과정을 나타낸 동작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리셋 트랜지스터 42. 플로우팅 노드
43. 소오스-팔로워 트랜지스터 44. 셀렉트 트랜지스터
45. 트랜스퍼 트랜지스터 46. 포토 다이오드
47. 전하 축적용 게이트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씨모스 이미지 센서는 빛에 관한 영상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영상 신호 전하를 생성하는 포토 다이오드 영역; 상기 포토 다이오드 영역에 인접하여 구성되는 전하 축적용 게이트를 포함하고 전하 생성 단계에서 포토 다이오드 영역의 전하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전하 축적용 게이트 하측으로 이동시켜 저장하고 리드 아웃 단계에서 축적된 전하를 리드 아웃 노드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CMOS 이미지 센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4-TR 구조의 CMOS 이미지 센서의 픽셀 회로 구성도이고,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3-TR 구조의 CMOS 이미지 센서의 픽셀 회로 구성도이다.
도 4a는 4-TR 구조의 CMOS 이미지 센서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으로, 게이트에는 리셋 신호(RX)가 인가되고 한쪽 전극은 플로우팅 노드(42)에 연결되고 다른쪽 전극은 VDD 단자에 연결되는 리셋 트랜지스터(41)와, 게이트가 플로우팅 노드(42)에 연결되고 한쪽 전극은 VDD 단자에 연결되는 소오스-팔로워 트랜지스터(43)와, 게이트에는 칼럼 선택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소오스-팔로워 트랜지스터(43)에 직렬 연결되되어 한쪽 전극이 출력단(Vout)에 연결되는 셀렉트 트랜지스터(44)와, 상기 플로우팅 노드(42)에 한쪽 전극이 연결되고 게이트에 트랜스퍼 신호(TX)가 입력되어 축적 전하의 리드시에 전하를 트랜스퍼시키는 트랜스퍼 트랜지스터(45)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퍼 트랜지스터(45)와 접지 단자사이에 구성되는 포토다이오드(46) 그리고 상기 포토다이오드(46)의 일측에 대응하여 전하 축적/배출 신호(PX)가 인가되는 게이트가 구성되어 생성된 전하와 반대 극성의 전압 인가시에는 생성된 전하를 게이트 하측에 저장하고, 전하와 동일한 극성의 전압 또는 접지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저장된 전하를 트랜스퍼 트랜지스터(45)쪽으로 이동시키는 전하 축적용 게이트(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4-TR 구조의 CMOS 이미지 센서 이외에 트랜스퍼 트랜지스터가 구성되지 않는 3-TR 구조의 CMOS 이미지 센서, 셀렉트 트랜지스터만 구성되는 1-TR 구조의 이미지 센서에 본 발명의 전하 축적용 게이트(47)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3-TR 구조의 CMOS 이미지 센서에 본 발명의 전하 축적용 게이트를 적용하는경우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b에서와 같이, 게이트에는 리셋 신호(RX)가 인가되고 한쪽 전극은 플로우팅 노드(42)에 연결되고 다른쪽 전극은 VDD 단자에 연결되는 리셋 트랜지스터(41)와, 게이트가 플로우팅 노드(42)에 연결되고 한쪽 전극은 VDD 단자에 연결되는 소오스-팔로워 트랜지스터(43)와, 게이트에는 칼럼 선택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소오스-팔로워 트랜지스터(43)에 직렬 연결되되어 한쪽 전극이 출력단(Vout)에 연결되는 셀렉트 트랜지스터(44)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우팅 노드(42)와 접지 단자사이에 구성되는 포토다이오드(46) 그리고 상기 포토다이오드(46)의 일측에 대응하여 전하 축적/배출 신호(PX)가 인가되는 게이트가 구성되어 생성된 전하와 반대 극성의 전압 인가시에는 생성된 전하를 게이트 하측에 저장하고, 전하와 동일한 극성의 전압 또는 접지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저장된 전하를 플로우팅 노드(42)쪽으로 이동시키는 전하 축적용 게이트(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회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CMOS 이미지 센서의 레이아웃 구성 및 단면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CMOS 이미지 센서의 픽셀 레이 아웃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CMOS 이미지 센서의 픽셀 단면 구성도이다.
레이 아웃 구성을 보면, 포토 다이오드 영역(51)의 일측과 플로우팅 노드 사이에 구성되어 생성된 전하를 트랜스퍼시키기 위한 트랜스퍼 게이트(52)와, VDD 단자와 플로우팅 노드 사이에 구성되는 리셋 게이트(53) 그리고 출력단과 VDD 단자의사이에 소오스-팔로워 게이트(54),셀렉트 게이트(55)가 구성된다.
그리고 포토 다이오드 영역(51)에 인접하여 전하 축적용 게이트 형성 영역들(56a)(56b)(56c)(56d)(56e)(56f)로 구성된다.
이 영역들은 설명을 위해 임의로 나눈 영역들로 이 영역들의 전체에 전하 축적용 게이트가 형성되거나 일부 또는 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포토 다이오드 주위의 다양한 형태 그리고 여러 가지 방향으로도 형성 할 수 있다.
즉, 레이 아웃 설계 마진에 따라 포토 다이오드 영역(51)에서 생성된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위치 어느 곳에라도 전하 축적용 게이트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CMOS 이미지 센서의 단면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 6에서와 같이, p형 반도체 기판(61)상에 p형 에피택셜층(62)이 형성된다.
여기서, 기판을 n형 반도체 기판을 사용하고 p형 웰 영역을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p형 에피택셜층(62)의 표면내에 포토다이오드 n 영역(63)과 포토다이오드 표면 p 영역(64)이 형성된다.
여기서, 포토 다이오드 표면 p 영역(64)은 암전류(dark current)를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형성하지 않고 포토 다이오드 n 영역(63)만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포토다이오드 영역(63)(64)의 일측 또는 그에 인접한 둘레에 포토다이오드 영역(63)(64)에서 생성된 전하를 축적하기 위한 전하 축적용 게이트(6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포토다이오드 영역(63)(64)의 타측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p형 에피택셜층(62)내에 영상 전하의 센싱을 위한 플로우팅 디퓨전 영역으로 사용되는 n+ 영역(67)이 형성된다.
그리고 포토다이오드 영역(63)(64)과 n+ 영역(67)의 사이의 p형 에피택셜층(62)의 상측에 트랜스퍼 게이트(65)가 형성된다.
그리고 n+ 영역(67)의 타측 p형 에피택셜층(62)상에는 리셋 게이트(6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회로 구성 및 단면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CMOS 이미지 센서의 전하 센싱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CMOS 이미지 센서의 전하 생성 및 리드 아웃 과정을 나타낸 동작도이다.
먼저, 도 7a에서와 같이, 포토다이오드에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에 의하여 전하들이 축적된다.
이때, 전하의 축적은 포토 다이오드 영역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하 축적/배출 신호(VPX)가 인가되는 전하 축적용 게이트 하측으로 전하들이 이동되어 축적된다.
즉, 전하 생성 단계에서 전하 축적용 게이트에 전하와 반대되는 극성의 전압을 인가하여 포토 다이오드 영역에 축적되는 전하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저장한다.
여기서, 전하 축적량은 포토 다이오드 영역에 축적되는 전하량보다 전하 축적용 게이트 하측에 축적되는 전하량이 더 많을 수도 있다.
그리고 도 7b에서와같이, 리셋 게이트에 리셋 신호(Vreset)를 인가하여 리드 아웃 노드(플로우팅 노드)를 리셋시킨후에 도 7c에서와 같이 축적된 신호 전하가 트랜스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트랜스퍼 신호(VTX)가 입력되어 턴온되면 플로우팅 노드로 신호 레벨이 전달된다.
이때, 전하 축적용 게이트에 전하와 동일 극성의 전압 또는 접지 전압을 인가하여 전하 축적용 게이트 하측의 전하들이 플로우팅 노드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도 7d에서와 같이, 리셋 트랜지스터는 off 상태를 유지하고 플로우팅 노드에 축적된 신호 전하에 의하여 리셋 트랜지스터의 소오스단인 플로우팅 노드의 전위를 변화시키며 이는 소오스-팔로워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포텐셜을 변화시키게 된다.
소오스-팔로워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포텐셜 변화는 소오스-팔로워 트랜지스터의 소오스단 또는 셀렉트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노드의 바이어스를 변화시킨다.
셀렉트 트랜지스터는 이미 리드 아웃 노드(플로우팅 노드)를 리셋 시키기 바로 전부터 셀렉트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로우 선택 신호(VROW)가 입력되면 리셋된 리드 아웃 노드(플로우팅 노드)의 레퍼런스 포텐셜과 포토다이오드에서 생성된 신호 전하에 의한 전위차를 출력단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포토다이오드의 전하 생성에 의한 신호 레벨을 검출한후에 리셋 신호에 의해 리셋 트랜지스터가 ON 상태로 바뀌게 되면서 신호 전하는 전부 리셋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각각의 리셋후의 레퍼런스 포텐셜을 리드하고 신호 레벨도 리드 아웃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전하 축적용 게이트는 포토 다이오드 영역의 전하 축적 용량의 실제적인 증대 효과를 갖도록 한다.
전하 축적용 게이트의 전하 축적 능력이 포토 다이오드 영역보다 훨씬 클 수도 있기 때문에 작은 면적의 게이트로도 충분한 전하 축적 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CMOS 이미지 센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포토 다이오드의 전하 축적 용량의 확보를 불순물 농도 조절에 의존하지 않고 포토다이오드 영역의 일측에 전하 축적용 게이트를 형성하여 셀당 전하 축적 용량(charge capacity)을 증대시키므로 포토 다이오드의 면적 축소가 가능하여 해상도 증대에 유리하다.
또한, 소자의 광학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소자의 신뢰성 및 제품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Claims (7)

  1. 빛에 관한 영상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영상 신호 전하를 생성하는 포토 다이오드 영역;
    상기 포토 다이오드 영역에 인접하여 구성되는 전하 축적용 게이트를 포함하고 전하 생성 단계에서 포토 다이오드 영역의 전하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전하 축적용 게이트 하측으로 이동시켜 저장하고 리드 아웃 단계에서 축적된 전하를 리드 아웃 노드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전하의 저장 단계에서 전하 축적용 게이트에 전하와 반대 극성의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전하를 리드 아웃 노드로 이동시키는 단계에서 전하 축적용 게이트에 전하와 동일 극성의 전압 또는 접지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4. 게이트에는 리셋 신호(RX)가 인가되고 한쪽 전극은 플로우팅 노드에 연결되고 다른쪽 전극은 VDD 단자에 연결되는 리셋 트랜지스터;
    게이트가 플로우팅 노드에 연결되고 한쪽 전극은 VDD 단자에 연결되는 소오스-팔로워 트랜지스터;
    게이트에는 칼럼 선택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소오스-팔로워 트랜지스터에 직렬 연결되되어 한쪽 전극이 출력단(Vout)에 연결되는 셀렉트 트랜지스터;
    상기 플로우팅 노드에 한쪽 전극이 연결되고 게이트에 트랜스퍼 신호(TX)가 입력되어 축적 전하의 리드시에 전하를 트랜스퍼시키는 트랜스퍼 트랜지스터;
    상기 트랜스퍼 트랜지스터와 접지 단자사이에 구성되는 포토다이오드 그리고 상기 포토다이오드의 일측에 대응하여 전하 축적/배출 신호(PX)가 인가되어 하측에 전하를 저장 또는 배출하는 전하 축적용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5. 제 4 항에 있어서, 전하 축적/배출 신호가 생성된 전하와 반대 극성의 전압 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생성된 전하를 게이트 하측에 저장하고, 전하와 동일한 극성의 전압 또는 접지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저장된 전하를 트랜스퍼 트랜지스터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6. 제 4 항에 있어서, 전하 축적량은 포토 다이오드 영역에 축적되는 전하량보다 전하 축적용 게이트 하측에 축적되는 전하량이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7. 게이트에는 리셋 신호(RX)가 인가되고 한쪽 전극은 플로우팅 노드에 연결되고 다른쪽 전극은 VDD 단자에 연결되는 리셋 트랜지스터;
    게이트가 플로우팅 노드에 연결되고 한쪽 전극은 VDD 단자에 연결되는 소오스-팔로워 트랜지스터;
    게이트에는 칼럼 선택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소오스-팔로워 트랜지스터에 직렬 연결되되어 한쪽 전극이 출력단(Vout)에 연결되는 셀렉트 트랜지스터;
    상기 플로우팅 노드와 접지 단자사이에 구성되는 포토다이오드 그리고 상기 포토다이오드의 일측에 대응하여 구성되고 전하 축적/배출 신호(PX)가 인가되는 것에 의해 하측에 전하를 저장하거나 플로우팅 노드쪽으로 이동시키는 전하 축적용 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KR10-2001-0043140A 2001-07-18 2001-07-18 씨모스 이미지 센서 KR100504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140A KR100504562B1 (ko) 2001-07-18 2001-07-18 씨모스 이미지 센서
JP2002208019A JP4472236B2 (ja) 2001-07-18 2002-07-17 Cmosイメージセンサ
TW091116015A TW552719B (en) 2001-07-18 2002-07-18 CMOS image sensor
US10/197,491 US6809309B2 (en) 2001-07-18 2002-07-18 CMOS image sensor
CNB02142909XA CN1258228C (zh) 2001-07-18 2002-07-18 互补金属氧化物半导体图像传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140A KR100504562B1 (ko) 2001-07-18 2001-07-18 씨모스 이미지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481A true KR20030008481A (ko) 2003-01-29
KR100504562B1 KR100504562B1 (ko) 2005-08-03

Family

ID=19712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140A KR100504562B1 (ko) 2001-07-18 2001-07-18 씨모스 이미지 센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09309B2 (ko)
JP (1) JP4472236B2 (ko)
KR (1) KR100504562B1 (ko)
CN (1) CN1258228C (ko)
TW (1) TW552719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704B1 (ko) * 2004-10-20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평면 구조의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cmos 이미지 센서및 그 제조 방법
US7378694B2 (en) 2004-11-25 2008-05-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MOS image sensor
US7652352B2 (en) 2007-03-14 2010-01-26 Hynix Semiconductor Inc. Active structure of a semiconductor device
US8264579B2 (en) 2006-01-13 2012-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hared-pixel-type image sensors for controlling capacitance of floating diffusion reg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53392B2 (en) 2003-09-08 2007-08-07 Micron Technology, Inc. Image sensor with photo diode gate
US7420233B2 (en) * 2003-10-22 2008-09-02 Micron Technology, Inc. Photodiode for improved transfer gate leakage
JP4359539B2 (ja) * 2004-07-02 2009-11-04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固体撮像装置の制御方法
KR100649023B1 (ko) * 2004-11-09 2006-11-28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JP4416668B2 (ja) * 2005-01-14 2010-02-17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カメラ
US7847847B2 (en) * 2005-01-27 2010-12-0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tructure for CMOS image sensor with a plurality of capacitors
JP4878123B2 (ja) * 2005-02-07 2012-02-15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US7446357B2 (en) * 2005-05-11 2008-11-04 Micron Technology, Inc. Split trunk pixel layout
KR100787938B1 (ko) 2005-07-15 2007-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유 능동 화소 센서 구조의 씨모스 이미지 센서 및 그구동 방법
JP4669768B2 (ja) * 2005-09-30 2011-04-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解像度可変型x線撮像装置及びx線ct装置
US20070272828A1 (en) * 2006-05-24 2007-11-29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dark current reduction in an active pixel sensor
US8053287B2 (en) 2006-09-29 2011-11-0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 for making multi-step photodiode junction structure for backside illuminated sensor
FR2961347B1 (fr) 2010-06-15 2012-08-24 E2V Semiconductors Capteur d'image a multiplication d'electrons
WO2018155297A1 (ja) * 2017-02-27 2018-08-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CN112565642B (zh) * 2020-11-27 2023-07-04 上海华力微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线性对数输出的cis传感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0759A (ja) * 1986-01-10 1987-07-16 Fujitsu Ltd 光電変換装置
JPS63318153A (ja) * 1987-06-19 1988-12-27 Fujitsu Ltd 半導体装置
GB9308543D0 (en) * 1993-04-24 1993-06-09 Philips Electronics Uk Ltd An image sensor
JPH10173164A (ja) * 1996-12-12 1998-06-26 Sony Corp 固体撮像素子
JP3915161B2 (ja) * 1997-03-04 2007-05-16 ソニー株式会社 ブルーミング防止構造を備えた固体撮像素子のダイナミックレンジ拡大方法とその固体撮像素子
US6369853B1 (en) * 1997-11-13 2002-04-09 Foveon, Inc. Intra-pixel frame storage element, array, and electronic shutter method suitable for electronic still camera applications
US6512544B1 (en) * 1998-06-17 2003-01-28 Foveon, Inc. Storage pixel sensor and array with compression
JP4081188B2 (ja) * 1998-09-16 2008-04-2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増幅型固体撮像素子を用いた撮像装置
JP2000174247A (ja) * 1998-12-09 2000-06-23 Fuji Xerox Co Ltd 固体撮像素子
JP2000253316A (ja) * 1999-03-02 2000-09-14 Kawasaki Steel Corp Cmosイメージセンサ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704B1 (ko) * 2004-10-20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평면 구조의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cmos 이미지 센서및 그 제조 방법
US7378694B2 (en) 2004-11-25 2008-05-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MOS image sensor
US7652312B2 (en) 2004-11-25 2010-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MOS image sensor
US8264579B2 (en) 2006-01-13 2012-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hared-pixel-type image sensors for controlling capacitance of floating diffusion region
US7652352B2 (en) 2007-03-14 2010-01-26 Hynix Semiconductor Inc. Active structure of a semiconduc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72236B2 (ja) 2010-06-02
CN1400665A (zh) 2003-03-05
KR100504562B1 (ko) 2005-08-03
US6809309B2 (en) 2004-10-26
TW552719B (en) 2003-09-11
US20030015738A1 (en) 2003-01-23
CN1258228C (zh) 2006-05-31
JP2003142675A (ja) 200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4562B1 (ko) 씨모스 이미지 센서
TWI389307B (zh) 固態成像裝置及攝影機
US6897519B1 (en) Tunneling floating gate APS pixel
US8242546B2 (en) Small pixel for image sensors with JFET and vertically integrated reset diode
US10367029B2 (en) Image sensors having a separation impurity layer
JP2010161390A (ja) イメージセンサ
US8114696B2 (en) CMOS image sensor with asymmetric well structure of source follower
US8367998B2 (en) Image sensor having a charge pump circuit and a drive transistor
CN112243094B (zh) 图像感测装置
KR20020061502A (ko) 분할된 광전변환부를 구비한 고체촬상장치
KR100298199B1 (ko) 피엔 다이오드를 갖는 씨모스 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
KR100303773B1 (ko) 플로팅센싱노드에 접속된 피앤 다이오드를 갖는 씨모스 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
KR100388459B1 (ko) 포토다이오드 영역에 트렌치를 구비하는 이미지 센서 및그 제조 방법
KR100532286B1 (ko) 새로운 단위화소를 구비한 시모스 이미지센서
KR100792335B1 (ko) 이미지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08105B1 (ko) Cmos 이미지 센서
KR100298198B1 (ko) 쇼트키 다이오드를 갖는 씨모스 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
KR20060090540A (ko) 씨모스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0436060B1 (ko) 전하운송효율을 높인 시모스 이미지센서
KR20070071053A (ko) 씨모스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0689585B1 (ko) 시모스 이미지 센서
CN115529429A (zh) 图像感测装置
KR20040093971A (ko) 씨모스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20941A (ko) 이미지 센서의 단위 화소 레이아웃
KR20020058458A (ko) 포토다이오드의 유효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