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2041A - 한방 미곡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한방 미곡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2041A
KR20030002041A KR1020010038776A KR20010038776A KR20030002041A KR 20030002041 A KR20030002041 A KR 20030002041A KR 1020010038776 A KR1020010038776 A KR 1020010038776A KR 20010038776 A KR20010038776 A KR 20010038776A KR 20030002041 A KR20030002041 A KR 20030002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herbal
extract
win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8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종현
Original Assignee
남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종현 filed Critical 남종현
Priority to KR1020010038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2041A/ko
Publication of KR20030002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204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1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of botanical family Poaceae, e.g. wheat, millet, sorghum, barley, rye, or corn
    • C12G3/02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of botanical family Poaceae, e.g. wheat, millet, sorghum, barley, rye, or corn of botanical genus Oryza, e.g. ric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 C12G3/05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1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without precipitation
    • C12H1/16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without precipitation by physical means, e.g. ir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1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without precipitation
    • C12H1/16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without precipitation by physical means, e.g. irradiation
    • C12H1/18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without precipitation by physical means, e.g. irradiation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22Ageing or ripening by storing, e.g. lagering of be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의 양조 미곡주에 스테미너 증진용 한약재 추출물을 혼합하여 숙성시킨, 우수한 풍미를 가지면서도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한방 미곡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증자미(蒸煮米) 제공 단계, 코오지 제조 단계, 주모 제조 단계, 술덧 담금 단계, 숙성시키는 본 발효 단계를 포함하는 미곡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술덧 담금 단계가 1단 담금 단계 및 2단 담금 단계로 구성되며, 2단 담금 단계가 1단 담금물 및 증자미와, 물, 그리고 홍경천, 토사자, 사상자, 육종용, 개종용, 초종용, 복분자, 단삼, 원지, 산수유, 두릅, 오미자, 구기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의 가열 추출액을 포함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한방 미곡주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되는 한방 미곡주가 제공되며,
한방 약재 가열 추출액을 2단 담금 단계에서 첨가함으로 인하여, 알코올 발효를 원활히 달성함과 아울러, 풍미도 양호할 뿐만 아니라, 스테미너 증진 효과가 우수하며, 또한 보관 안정성도 양호하여, 우리의 전통 미곡주의 소비 증진을 촉진하고 국민 건강에도 기여할 수가 있는 신규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한방 미곡주 및 그 제조 방법{HERB MEDICINAL RICE WINE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한방 미곡주(米穀酒)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전통적인 천연의 양조 미곡주에 스테미너 증진용 한약재 추출물을 혼합하여 숙성시킨, 우수한 풍미를 가지면서도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한방 미곡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곡주란 쌀로 빚은 술로서, 그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우리나라 전통주인 약주와 탁주 및 일본식 청주를 들 수 있다. 약주와 탁주는 당화 균주 및 알코올 발효 균주를 제균 또는 살균 처리하지 않는 반면, 청주는 제균 또는 살균 처리한다.
약주는 조선시대에는 양반층이, 조선시대 말기에서 일제 초기에 이르는 동안에는 서울 부근의 중류층 이상이 소비하던 전통주로서, 단맛과 신맛이 강하고 특수한 향기를 가지는 약간 흐린 담황색의 액체로서 누른색이 강할수록 순주(醇酒)라 하여 선호되었다. 약주는 약 20℃ 이하에서 저장하는 것이 풍미가 좋아질 뿐만 아니라 맑아지게 되며, 알코올 도수는 약 12∼20도의 범위이다.
약주의 양조법은 먼저 술밑(酒母)을 만든 다음 술덧을 담아 숙성시켜서 양조한다. 술밑은 멥쌀을 세정, 침지후 부수어 찐 다음 식히고, 부순 누룩과 물을 가하여 섞은 수국을 가하여 잘 섞고 10∼15일 경과후 완전히 숙성된 술밑이 완성된다. 술덧은 찹쌀 및/또는 멥쌀을 세정, 침지한 후 쪄서 식힌 다음, 완성된 술밑과 물을 섞어서 술덧을 담그고 8∼14일이 경과하면 완전히 숙성되며, 숙성된 다음에는 대마무나 싸리를 원통상으로 만든 용수를 박아 그 내부에 고이는 비교적 투명한 전주(前酒)를 떠내거나 또는 압착하여 전국(前麴)을 분리해 낸다. 전통적인 약주는 제균 또는 살균 처리를 하지 않으므로 탁주와 마찬가지로 유통 기간에 제약이 뒤따를 뿐 아니라 맛이 단조로운 단점이 있다.
탁주는 전통주 가운데서 가장 역사가 오래된 술이며, 주로 서울 이남 지역에서 서민층이 소비하던 술로 농주(農酒)라고도 불리워지는 유백색의 흐린 액으로서, 알코올 도수는 약 5∼16도의 범위이며 보통은 6∼7도이다. 막걸리라 불리워지는 탁주의 양조법은 지방에 따라 다르기는 하나, 가장 일반적인 양조법은 찹쌀 또는 멥쌀을 세정하고 침지, 찌기를 하여 만든 찐쌀에 누룩과 물을 섞어 만든 수국(水麴)을 넣어 술덧을 담그고 10일 정도 경과하면 숙성되므로 술덧을 떠서 체로 걸러 탁주로 분리하게 된다. 탁주는 음주후 두통이 거의 없고 그윽한 풍미와 감칠맛이 일품인 우리 민족 고유의 가장 서민적인 전통 대중주이나, 포장 후에도 알코올발효가 계속 진행될 뿐만 아니라 나중에는 초산 발효가 우세하게 되어 신맛이 강해지게 되는 보관상의 문제점과 음주후 구강 내에 불쾌한 냄새가 생성되어 비교적 상당 기간 잔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탁주 특유의 그윽한 풍미와 음용시의 유순함, 위장장애가 적다는 장점 등에도 불구하고, 그 소비가 오히려 감소되고 있으며 그 상실된 점유율을 외국산 술이 차지해 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정종이라고도 불리는 청주는 쌀을 극도로 도정하여 만든 쌀누룩인 입국으로 저온에서 발효시킨 후 여과시킨 약 16∼20도 정도의 맑은 곡주로서, 일본 청주는 백제의 수수보리가 전해준 백제의 주조기술을 발전시켜 오늘날의 청주가 되었다고 하며, 우리의 전통 청주와 일본 청주의 차이는 누룩의 차이로서 우리의 전통 청주가 밀막 누룩을 쓰는 데 비해 일본 청주는 쌀누룩을 사용한다는 것이 차이점이라 할 수 있으나, 오늘날 청주라고 하면 통상적으로 일본 청주를 지칭한다.
청주의 양조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청주의 양조시에는 양질의 도정도가 높은 쌀 및 양질의 물을 이용하는 것이 고품질의 청주 제조에 유리하다. 찐쌀, 코오지 및 물을 혼합하여 배양액을 만들고 여기에 청주 효모를 증식시키는 것에 의하여 술밑을 제조하며, 코오지 중의 아밀라아제에 의해 찐쌀을 당화시키는 동시에 젖산균의 증식에 의해 잡균의 증식을 저해시키고, 당화 작용에 따른 청주 효모의 왕성한 증식에 의해 알코올이 생성된다. 술덧은 숙성된 술밑에 찐쌀, 코오지 및 물을 넣어 섞은 혼합물로서, 이들 원료는 수회에 걸쳐 나눠 담그며 이는 술덧 중의 일코올 및 산의 함량에 급격한 변화를 주지 않는 동시에, 유해균의 증식을 방지하면서 청주 효모를 증식시키기 위한 것이다. 최종 담금이 종료된 술덧은 본발효시키게 되며 최종 담금일로부터 20∼25일 경과에 의하여 술덧의 발효가 끝나고 알코올 함량은 15∼20% 정도가 된다. 이어서, 숙성된 술덧을 압착하여 짜고, 압착된 직후의 흐린술을 찬 곳에 7∼10일간 정치하여 백미의 찌꺼기인 전분, 덱스트린, 효모균 등을 가라앉혀 앙금빼기를 한 신주(新酒)를 찬 곳에 저장한다. 신주 중의 청주 효모, 화락균(火落菌), 젖산균 등의 잡균을 살균시키는 동시에 산화 작용 및 효소 작용을 촉진시켜 적당히 숙성되도록 압착 후 대략 30∼40일 경과 시점에서 55∼60℃에서 5∼15분간 가온한다. 그 후, 삼나무통 등에 넣고 공기를 차단하여 저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우리 전통주는, 1907년 일제에 의한 주세령 공포 및 강제 집행으로 인하여 맥이 끊어지기 시작했으며, 주류 단속 강화와 함께 전통 주류를 약주, 막걸리, 소주로 획일화시켜 우리의 전통 고급주를 사장시켰고, 1917년부터는 자가 양조를 전면적으로 금지함에 따라, 1930년대에는 각 고을에 고유한 집에서 담그는 우리의 전통주 제조 비법은 거의 사라지게 되었으며, 일제는 주세 징수에만 치중하고 품질개량은 소홀히 하였던 바, 일본 청주는 범람하는 대신, 우리의 전통주는 전혀 개량되지 못하였으며, 이로써 우리의 주류 문화도 함께 침몰하게 되는 주조사(酒造史)를 기록하게 되었다. 광복 후에도 만성적인 식량부족 및 조세원 부족을 이유로 일제 치하의 주세 행정이 그대로 이어져 다양했던 전통 주류는 잠적을 거듭하였음과 아울러, 품질의 저하로 우리의 입맛에서 멀어지게 되었으며, 격동의 현대사를 지나면서 외국문화와 함께 들어 온 양주나 맥주가 현대화라는 대중적 인식 속에 빠르게 우리의 입맛을 잠식해 우리의 술은 대중에게서 더욱 더 멀어지게되었다.
그러나, 90년대에 들어 주류 제조에 관한 규제 및 제한이 풀리면서 막걸리의 원료가 100% 쌀로 바뀌게 되었고 이에 따라 우리의 맛을 조금씩 다시 찾게 되었는바, 근래 각 지방의 민속주가 발매되게 되었으나, 전래 비법에 의해 제조되는 데 따른 많은 특징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고가이며 생산량도 한정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도 양호한 품질의 전통주를 계승 발전 또는 적극적으로 개발하여 할 시점에 와 있다.
종래의 탁주 및 약주는 일반적으로 미숙주(발효가 완전히 끝나지 않은 술) 상태로 용기에 주입한 후, 유통 과정에서의 후발효에 의하여 술 중에 침전물이 형성되는 것을 지연시킴과 아울러, 후발효에서 생성되는 탄산 맛을 느끼게 하고 있으나, 열등한 보존성을 높이기 위하여 단순 가열 처리하여 미생물을 사멸시키게 되면, 탁주 및 약주의 내용물 특성상 가열시 발생되는 이취(화독내)가 심하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되고, 살균에 의해 발효가 정지되면 탄산 맛이 전혀 없어지게 되어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상적인 종래의 한방주는 쌀, 보리, 조, 옥수수, 감자, 고구마 등을 누룩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다음, 이를 술덧과 함께 증류기(pot still)로 증류하여 그 알코올을 술덧 중의 특유한 향기 성분과 함께 유출(溜出)시킨 양조식 소주 또는 알코올을 희석시킨 희석식 소주에 인삼이나 더덕 등의 한방 약재를 침지시킨 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이러한 한방주는 한방 약재의 추출에 장기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약재 성분의 추출량도 적으며, 알코올 함량이 25∼65% 정도로서 독주에 속하고 증류주인 관계로 고가이며 과음시에는 숙취로 인한 고통을 주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탁주, 약주 및 청주와 같이 알코올 함량이 낮은 술의 경우에는 약재 성분의 추출에 적합치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한방 약재를 분말화하거나 또는 착즙한 다음, 가수하고 누룩을 이용하여 발효시키는 방법이 종래 제안되어 있으나, 상기한 한방 약재 중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효소들로 인하여 발효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알코올이 분해되는 경우가 많고, 또한 한방 약재 특유의 풍미가 사라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전통 미곡주 특유의 온화하고 그윽한 풍미를 가지면서도 건강 기능성(특히, 스테미너 증진 효과)을 부여한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한방 미곡주(米穀酒)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보관 저장성을 향상시킨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에 따른 한방 미곡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목적에 따른 한방 미곡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곡주에 포함될 수 있는 한방재로서는, 토사자, 사상자, 홍경천, 더부살이풀, 복분자, 단삼, 원지, 산수유, 두릅, 백복령, 구기자, 오미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재를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이들 한방재 각각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토사자(Cuscutae Semens)는 메꽃과(Convolvulaceae)에 속하는 식물로서 학명 Cuscuta chinensis Lam.(새삼)의 종자이며 한방에서는 분말화하여 자양, 강정, 강장제로서, 음위, 유정, 몽설, 요통에 사용하고 있으며 동의보감에서는 정력을 증강시키고 기운을 북돋우며 당뇨 등에도 효험이 있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다.
사상자(Torilidis Fructus)는 산형과(Umbelliferae)의 식물로서 학명 Cnidium monieri Cuss.의 과실이며, 한방에서는 조양, 자궁허냉 등에 사용하고 있다.
홍경천은 분류학적 학명이 Rhodiola sachalinensis A. Bor로서, 돌나물과 (Crassulaceae)의 돌꽃속(Rhodiola)에 속하며, 주요 성분은 살리드로시드 및 그 배당체이다. 최근 중국에서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홍경천은 인삼에 필적하는 약리 작용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부작용이 전혀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홍경천은 전초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뿌리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좋다. 한방에서는 홍경천을 신경쇠약, 노인성 심근쇠약, 빈혈, 관절염, 당뇨병, 저혈압, 건망증, 시력감퇴, 이명증, 정력 감퇴 등의 치료나 예방에 사용되고 있다.
더부살이풀에는 육종용, 초종용 및 개종용이 있다.
육종용(Cistanchis Herba)은 열당과(Orobanchaceae)의 식물로서 학명은 Cistanche deserticola Y.C.Ma이며, 통상 껍질을 제거하여 사용하며 한방에서는 혈압강하작용, 강장 및 강정 작용, 통변작용 및 타액분비촉진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종용은 열당과의 식물로서 학명은 Orobanche coerulescens Steph이며, 민간에서는 전초를 강장, 강정 등에 약용하여 왔다.
개종용은 열당과의 육종용속에 속하는 식물로서 학명은 Lathraea japonica Miq.이며, 한방에서는 꽃이 필 때 전초를 일광하에 건조시켜 강장, 강정, 대하, 강심제 등으로 이용하고 있다.
복분자는 낙엽 관목으로서, 학명은 Rubus crataegifolius BUNGE이며, 한방에서는 맛이 달고 남자의 신장허갈과 여자의 자식없는 것을 치료하고 남자의 음위를 강하게 하며 간을 보하고 눈을 밝게 하며 모발을 검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단삼(Salviae Radix)은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식물로서 학명 Salvia miltiorrhiza Bge.의 뿌리이며, 한방에 의하면 혈관확장작용, 항균작용, 진정 및 진통작용, 강정 효과가 있으며, 부인경맥을 고르게 하고 붕루와 대하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지(Polygalae Radix)는 원지과(Polygalaceae)에 속하는 학명 Polygala tenuifolia Willd.의 뿌리로서, 한방에 의하면 심기 안정하고 건망증을 개선하며 피로를 회복시키고 불면증에 좋으며 거담지해 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수유 나무(Cornus officinalis)는 층층 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서, 한방에서는 그 과육(果肉)을 산수유라고 하며, 자양강장, 강정, 수렴 등의 효능이 있어 현기증, 월경과다, 자궁 출혈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릅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송 소고목(小高木)으로서 학명은 Aralia elata Seem.이며, 나무 껍질(총백피)과 뿌리(총근피)는 한방 약제로 사용되며, 건위, 이뇨, 진통, 거풍, 강정, 신장염, 각기, 수종, 당뇨, 신경쇠약, 음위, 관절염 등에 사용된다.
오미자는 오미의 열매로서 한방에서는 시력 증강, 자양, 강장, 진해, 거담, 지한 등에 효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기자는 구기의 열매로서 한약집성방에 의하면 강장, 세안, 정신 안정 등에 효험이 있으며, 옛부터 기를 보하는 한약재에는 빠짐없이 등장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한방 약재는 가열 하에 추출하고 여과한 여액을 마감담금(留添)(2단 담금) 단계에서 첨가하여 발효시키게 되며, 한방 약재 성분의 가열 추출시 한방 약재 중의 잡균이 사멸됨과 아울러, 한방 약재 중의 효소가 실활(失活)되므로, 발효 과정에 있어서의 잡균 및 효소에 의한 영향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건강 증진, 특히 스테미너 증강용 한방 약재는 통상적인 세정, 정선, 탈수, 사열 등의 과정을 거친 후, 물, 에틸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바람직하게는 50% 에틸 알코올 용매를 이용하여 60∼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65∼90℃, 가장 바람직하게는 80∼90℃의 온도 하에 1∼24시간, 바람직하게는 4∼12시간 동안 추출한다(추출 단계). 이어서, 상청액을 취하고 용매인 알코올을 회수한다. 상기한 상청액을 취하는 대신에 여과하여 여액을 취할 수도 있으며, 예컨대, 3㎛ 포어 사이즈를 갖는 필터, 1㎛ 포어 필터, 0.45㎛ 포어 필터, 0.2㎛ 포어 필터 등과 같은 마이크로 필터를 순차적으로 사용하는 여과 조작에 의하여 추출액과 고형분을 분리시킬 수 있다(고형분 분리 단계). 추출 용매로서 물만을 사용한 경우에는 고형분이 제거된 추출액 또는 여액을 2단 담금시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나, 에틸 알코올 또는 물과의 그 혼합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에틸 알코올 회수 단계를 더욱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의 에틸 알코올 회수는 에틸 알코올의 비등점 이상이고 물의 비등점 이하인 온도 범위, 예컨대, 75∼85℃ 정도의 온도 범위에서 증류시키는 것에 의하여 에틸 알코올을 분리 회수할 수 있다. 상기한 에틸 알코올의 분리 회수는 경제성 측면에서 추출 과정과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추출 용매 중의 알코올 농도는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된다(에틸 알코올 회수 단계).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한방 미곡주의 제조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7∼9분도로 도정한 알맞게 익은 굵은 알을 갖는 양질의 연질미(멥쌀, 찹쌀, 또는 멥쌀 및 찹쌀의 혼합미)를 12∼36 시간 침지하고 세정후 탈수한 다음, 30분∼2시간 정도 스팀으로 증자한다. 증자 전에 부수기를 할 수도 있으며 이는 임의적이다. 사용되는 물은 제품의 품질에 영향이 크므로 색과 맛이 없을 뿐만 아니라 냄새가 없고 중성 또는 알칼리성이며, 경도가 5∼9°정도인 것이 적당하고 염분이 들어 있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증자미(蒸煮米) 제공 단계). 증자한 쌀을 18∼28℃ 정도로 냉각시킨 다음, 코오지 및 주모(酒母) 제조를 위해 사용한다.
코오지(Koji)는 술밑(주모)용(입국)과 술덧용(분국)에 따라 출국 시기를 약간 다르게 할 수도 있으나 동일하게 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는, 술밑 코오지는 약간 늦게 출국하고, 술덧용의 코오지는 다소 빠르게 출국하며, 첫담금용 보다는 중담금용 또는 마감 담금용이 더 젊은 코오지를 사용하나, 이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제한적이지 않다. 코오지 제조는 증자미의 0.2∼25부피% 정도를 사용하며, 술밑 코오지는 통상적으로 증자미의 0.2∼3부피% 정도를 사용한다. 분국용 코오지는 입국미의 0∼22부피% 정도를 사용한다. 코오지는 입국미에 코오지 곰팡이(Aspergillus), 예컨대, Aspergillus oryzae(백국균 또는 황국균), Aspergillus awamori(흑국균), Aspergillus niger, Aspergillus kawachii를 증식시켜 다량의 아밀라아제 및 프로테아제를 생성시킨 것이다. Aspergillus oryzae는 코오지 곰팡이의 대표적인 것으로서 처음에는 백색이나 배지의 종류에 따라 황색, 황갈색, 암록색 등을 띠게 되며 아밀라아제를 많이 분비하는 종류와 프로테아제를 많이 분비하는 종류가 있으나, 전자가 적합하다. 상기한 코오지 곰팡이는 호기성균으로서 30∼40℃의 온도 및 약 40% 수분 함량에서 최적하게 증식한다. 코오지의 제조 원리는 가급적 순수하게 분리된 코오지 곰팡이를 영양분과 수분이 적당한 곡물 배지에 접종시켜서 가급적 무균 상태에서 증식시키는 것으로서, 코오지 중에는 상기한 다량의 아밀라아제 및 프로테아제가 생성되어 있으므로 전분 및 단백질을 분해하게 되며 코오지의 목적은 이들 효소를 이용하는 것이다(코오지(입국 및 분국) 제조 단계). 한편, 종국(種麴)은 다량의 코오지 곰팡이 포자를 증식용 종균으로써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코오지 및/또는 종국은 전문제조업자에 의해 제조된 상업적으로 다양한 종류가 시판되고 있다.
주모의 제조는 증자미의 1∼5부피% 정도, 통상적으로는 2∼4부피% 정도를 사용한다. 증자미:코오지:물의 비율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나, 부피비로 대략 1:0.05∼0.4:1.2∼1.6의 비율, 통상적으로는 대략 1:0.1∼0.3:1.3∼1.5의 비율이나 본 발명에 있어서 이는 제한적이지 않다. 주모 담그기는 통상적으로 10∼18℃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12∼15℃에서 수행하고 교반없이 정치하며, 1 주일 정도 경과하면 품온이 20∼28℃ 정도로 상승한 후에 다시 떨어지며, 담근 후 10∼15일이 경과되면 완전히 숙성되어 주모가 완성된다. 또한, 개량 술밑 또는 속양 술밑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은 젖산균에 의한 젖산 생성없이 별도로 젖산을 첨가하는 대신에 젖산균의 증식은 배제하고 효모만을 순수하게 증식시켜서 비교적 단시간에 제조한 것으로서, 이는 모두 당업계 공지이다(주모 제조 단계).
주모는 청주 효모, 약주 효모(Saccharomyces coreanus) 등을 다량 증식시켜 둠으로써, 술덧으로 하여금 알코올 발효가 일어나게 함과 동시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젖산에 의하여 술덧 중의 유해균이 증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증자된 쌀, 코오지 및 물을 혼합하면, 코오지 중의 아밀라아제에 의해 쌀의 전분이 당화되는 동시에 젖산균의 증식이 초기에 활발히 진행되어 젖산이 생성되고 젖산의 생성에 의해 산성화된 환경에서는 약알칼리성에서 최적 생육 조건을 나타내는 유해균의 증식이 억제됨과 아울러, 산성 조건에서 활발한 증식을 나타내는 상기한 알코올 발효 효모의 증식에 의하여 당분은 감소하고 알코올 함량은 증가된다.
술덧은 숙성된 술밑(주모)에 증자된 쌀, 코오지 및 물을 넣어 섞은 혼합물로서, 술덧 중의 알코올 및 산을 갑작스럽게 줄이지 않고 유해균이 증식하는 것을방지하면서 알코올 생성 효모를 증식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2차례 이상으로 나누어 담글 수 있다.
1단 담금 및 2단 담금법을 사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나, 담금 조작의 횟수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제한적이지 않으며 임의적이다.
1단 담금은 증자된 쌀, 코오지, 주모 및 물을 혼합하여 담금하며, 증자된 쌀의 도입량은 증자미의 15∼30부피%를 사용한다. 증자미:코오지:주모:물의 혼합 부피비는 일반적으로 약 1:0∼0.7:0.1∼1.4:1.4∼1.7의 비율이나, 본 발명에 있어서 이는 제한적이지 않다.
원료량은 용기의 대략 20∼35부피%를 점유하도록 한다. 용기에 주모를 넣은 다음, 담금물을 넣고 저으면서 증자한 쌀을 넣는다. 코오지를 넣는 경우, 코오지(분국)는 수회에 걸쳐 나누어 넣으므로서 발효 속도를 조절하고 술덧 중의 알코올 및 산을 급격히 줄이지 않고 유해균의 증식을 방지하면서 효모를 증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1단 담금시의 품온은 22∼28℃로 하고, 1일 2∼3회 교반하여, 당화 및 효모의 증식이 일어나도록 한다(1단 담금 단계).
2단 담금은 1단 담금후 1∼2일 후에 수행하며, 증자된 쌀, 코오지, 1단 담금액 및, 물과 한방 약재 추출액의 혼합물을 혼합하여 담금하며, 증자된 쌀의 도입량은 증자미의 45∼85부피%를 사용한다. 증자미:코오지:1단 담금액:한방 약재 추출 혼합물의 혼합 부피비는 일반적으로 약 1:0∼0.3:0.4∼2.6:1.4∼1.7의 비율이나, 본 발명에 있어서 이는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원료량은 용기의 대략 70∼85%를 점유하도록 한다. 1단 담금된 용기에 2단담금 원료를 서서히 나누어 넣는다. 코오지를 넣는 경우, 코오지(분국)는 수회에 걸쳐 나누어 넣는 것이 전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2단 담금 단계에서 첨가되는 전술한 한방 약재 추출액은 한방 약재 추출 원액:물의 비율이 1:9∼9:1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3∼3:1의 범위가 되게 물과 혼합된다(2단 담금 단계).
이어서, 품온 28∼30℃에서 4∼5일간 숙성시키는 본 발효가 진행되며, 10시간 정도 정치한 후, 1일 2∼3회 교반한다(본 발효 단계). 2차 담금 단계후 4∼5일간의 본 발효 단계가 지나면, 술덧의 발효가 끝나고 알코올 함량은 16∼20% 정도가 된다. 본 발효 단계에서는, 쌀알 중의 전분은 코오지의 아밀라아제에 의해서 당화되며, 생성된 당은 효모에 의하여 알코올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된다. 처음의 효모 증식 기간에는 알코올 발효 보다 당화가 우세하게 진행되나 조금 지나면 두 가지가 병행되고 후기에는 알코올 발효가 우세하게 일어나 결국 숙성하게 된다. 첨가된 한방 약재 추출액은 60∼100℃의 온도 범위에서 추출한 관계로 추출액 중의 한방 약재로부터 유래하는 다양한 효소 및 미생물은 모두 실활 및 사멸된 상태로서, 다량의 한방 성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한방 약재 추출물의 첨가에 의한 알코올의 분해와 같은 현상은 전혀 나타나지 않게 된다.
본 발효 단계 후에는, 발효액을 4℃로 감온시켜 48시간 동안 정치하는 것에 의하여 고형분을 침전시킨다(침전 단계).
이어서, 고형분이 침전된 상청액을 분리한다(상청액 분리 단계). 이러한 상청액 분리 단계는 침전물을 원심분리하여 수율 증대를 도모할 수도 있다.
분리된 상청액은 4℃에서 보관 숙성시키며 이러한 후숙 기간은 1∼100일 정도, 바람직하게는 20∼50일 정도이다(후숙 단계). 이러한 후숙 단계에서는, 필요하다면, 기호에 따라 상청액 중량에 대하여 3∼50중량%의 설탕, 포도당, 과당, 또는 그 혼합물을 첨가할 수도 있다(선택적 단계로서의 당 혼합 단계).
이어서, 고온순간 살균법(HTST:High Temperature Short Time)에 의해 130∼145℃에서 1∼3초간 순간 살균시킨다(고온 순간 살균 단계).
본 발명에 따른 한방 미곡주가 탁주 및 약주인 경우에는 약 4℃로 재냉각시킨 다음, 진공조로 이송하여 발생된 이취(화독내)를 탈기시킨다. 진공 탈기 처리에 의하여 탁주 및 약주 특유의 가열에 의한 이취를 최대한 줄이고 용존 산소를 탈기시킨다(진공 탈기 처리 단계).
이어서, 탄산가스를 탄산압력 약 1.5∼2.0㎏/㎠이 되도록 주입시킨다(탄산 가스 주입 단계). 통상적으로 탁주 및 약주는 후발효 과정에서 생성되는 탄산가스의 존재로 인하여 청량감이 존재하나, HTST법의 사용시 용존 탄산가스가 상당량 소실되므로 이를 보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한방 미곡주가 청주인 경우에는, 0.45㎛ 이하의 직경을 갖는 제균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시키는 것에 의하여 사멸균 및 잔존하는 생균을 제거한다(제균 및 고형분 제거 단계).
마지막으로 일정량씩 용기에 충진한다(충진 단계).
선택적으로는, 충진 단계에 이어서, 60℃에서 30분간 저온 살균하는 저온살균법(파스퇴라이제이션)을 더욱 수행할 수도 있다(저온살균법). 상기한 제균 및 고형분 제거 단계를 거친 본 발명의 한방 청주는 저온 살균법으로 처리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이취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 1단 담금 술덧의 제조
8분도로 도정한 연질미(멥쌀) 20ℓ를 18시간 동안 수중에 침지한 다음, 1시간 동안 스팀으로 증자한 후, 20℃로 냉각시켰다.
증자된 연질미 4ℓ(20부피%)에 코오지 종국을 접종하고 상대 습도 40%로 유지하면서 35∼38℃에서 채우기, 섞기, 뒤치기, 담기, 바꿔 쌓기, 헤치기, 바꿔쌓기, 헤치기, 바꿔쌓기 등의 조작을 32시간∼44시간에 걸쳐 수행하고 38∼41 ℃에서 출국하였다.
상기한 증자된 연질미 20ℓ중 연질미 0.5ℓ를 취하고 상기한 코오지 중에서 취한 0.05ℓ과 물 0.8ℓ를 혼합하고 12일 경과 후 주모로 사용하였다. 주모의 최종 부피는 1.3ℓ이었다.
증자된 연질미 5ℓ(25부피%)에 상기한 주모 1.3ℓ과 물 8ℓ를 가하였다. 품온은 22∼28℃로 유지하였다. 1일 2∼3회 교반하였다. 코오지 2ℓ은 0.5ℓ씩 4회로 나누고 교반 전에 각각 분할 첨가하였다. 1단 담금 후 36 시간 경과시켰다.
1단 담금 술덧의 36시간 경과 후의 부피는 약 16ℓ이었다. 이것을 16 등분하여 1ℓ씩 취하고 2단 담금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 토사자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상기한 실시예 1 에서의 1단 담금 술덧의 제조와는 별도로, 토사자를 세정한 후 물기를 없애고 파쇄한 다음, 3g을 95% 에탄올 200cc와 물 600cc의 혼합 용매 중에서 65℃로 8시간 동안 추출기로 추출하고 85℃에서 2시간 동안 에탄올을 증류 제거한 다음, 추출액을 4℃에서 8시간 정치하고 상청액으로서의 토사자 추출액 550cc를 얻었다. 그 다음, 0.45㎛ 포어 사이즈를 갖는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미세 고형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제균 처리하였다.
증자된 연질미의 잔량인 10.5ℓ(52.5부피%)를 16 등분하여 약 0.67ℓ에 상기한 1단 담금 술덧 1ℓ과 물 0.5ℓ 및 상기한 토사자 추출액 0.5ℓ를 가하였다. 품온은 24∼28℃로 유지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분국 코오지 잔량 1.95ℓ도 마찬가지로 16 등분하여 0.12ℓ를 4회에 걸쳐 분할 첨가하였다.
이어서, 품온 28∼30℃에서 5일간 숙성시키는 본 발효를 수행하였다. 본 발효시 10시간 정치한 후 1일 2∼3회 교반하였다. 5일간의 숙성 후 알코올 함량은 16.7°였다.
발효액을 4℃로 감온시켜 48시간 동안 정치하는 것에 의하여 고형분을 침전시켰다.
분리된 상청액을 4℃에서 30일간 보관 후숙성시켰다.
이어서, 142℃, 2초간의 HTST법으로 후숙성된 탁주를 순간적으로스파징(sparging)시켜 살균하고 4℃로 냉각시킨 다음, 진공 탈기조로 이송하여 이취를 탈기 제거하였다. 이어서, 탄산가스 압력이 약 1.8kg/cm2가 되도록 탄산가스를 주입하여 살균 과정에서의 탄산가스 상실로 인한 청량감 소실을 보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토사자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실시예 3 : 토사자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실시예 2에서 탈기 처리 및 탄산가스 보충 과정을 수행하지 않은 HTST법으로 살균된 물료를 0.45㎛ 포어 사이즈의 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하여 제균시킴과 동시에 미세 고형분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60℃에서 30분간 가열하는 저온 살균법에 의해서 재차 살균 처리하여, 토사자 첨가 미곡 청주약 1.4ℓ를 얻었으며, 제조된 청주는 4℃로 냉각시켜 보관하였다.
실시예 4 : 사상자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사상자를 세정한 후 물기를 없애고 파쇄한 후, 3g을 95% 에탄올 130㏄와 물 700㏄의 혼합액에서 85℃로 6시간 동안 추출기로 추출하고 에탄올을 증류 제거하여 사상자 추출액 620㏄를 얻었다. 이어서, 0.45㎛ 포어 사이즈를 갖는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미세 고형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제균 처리하였다.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상자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실시예 5 : 사상자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서 실시예 4의 탁주로부터 사상자 첨가 미곡 청주 약 1.4ℓ를 얻었으며, 제조된 청주는 4℃로 냉각시켜 보관하였다.
실시예 6 : 홍경천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홍경천의 뿌리를 세정한 후 물기를 없애고 잘게 자른 후, 8g을 사용하여 95% 에탄올 130㏄와 물 600㏄의 혼합액 중에서 75℃로 8시간 동안 추출기로 추출하고 에탄올을 증류 제거하여 홍경천 추출액 580㏄를 얻었다. 이어서, 0.45㎛ 포어 사이즈를 갖는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미세 고형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제균 처리하였다.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홍경천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실시예 7 : 홍경천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서 실시예 6의 탁주로부터 홍경천 첨가 미곡 청주 약 1.4ℓ를 얻었으며, 제조된 청주는 4℃로 냉각시켜 보관하였다.
실시예 8 : 육종용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육종용 전초(全草)를 세정한 후 물기를 없애고 껍질을 벗긴 다음 잘게 자른 후, 3g을 사용하여 95% 에탄올 380㏄와 물 650㏄의 혼합액에서 80 ℃로 6시간 동안추출기로 추출하고 에탄올을 증류 제거시켜서 육종용 추출액 620㏄를 얻었다. 이어서, 0.45㎛ 포어 사이즈를 갖는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미세 고형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제균 처리하였다.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육종용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실시예 9 : 육종용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서 실시예 8의 탁주로부터 육종용 첨가 미곡 청주 약 1.4ℓ를 얻었으며, 제조된 청주는 4℃로 냉각시켜 보관하였다.
실시예 10 : 초종용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초종용 전초(全草)를 세정한 후 물기를 없애고 껍질을 벗긴 다음 잘게 자른 후, 3g을 사용하여 95% 에탄올 250㏄와 물 550㏄의 혼합액에서 80 ℃로 6시간 동안 추출기로 추출하고 에탄올을 증류 제거시켜서 초종용 추출액 520㏄를 얻었다. 이어서, 0.45㎛ 포어 사이즈를 갖는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미세 고형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제균 처리하였다.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초종용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실시예 11 : 초종용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서 실시예 10의 탁주로부터 초종용 첨가 미곡 청주 약 1.4ℓ를 얻었으며, 제조된 청주는 4℃로 냉각시켜 보관하였다.
실시예 12 : 개종용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실시예 10에서 초종용 대신에 개종용을 동일한 양 및 조건으로 처리하여 개종용 추출액 530㏄를 얻었다. 이어서, 0.45㎛ 포어 사이즈를 갖는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미세 고형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제균 처리하였다.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종용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실시예 13 : 개종용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실시예 11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서 실시예 12의 탁주로부터 개종용 첨가 미곡 청주 약 1.4ℓ를 얻었으며, 제조된 청주는 4℃로 냉각시켜 보관하였다.
실시예 14 : 복분자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초종용 대신에 복분자를 30g 사용하고 동일한 조건으로 처리하여 복분자 추출액 510㏄를 얻었다. 이어서, 0.45㎛ 포어 사이즈를 갖는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미세 고형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제균 처리하였다.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분자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실시예 15 : 복분자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서 실시예 14의 탁주로부터 복분자 첨가 미곡 청주 약 1.4ℓ를 얻었으며, 제조된 청주는 4℃로 냉각시켜 보관하였다.
실시예 16 : 단삼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단삼을 세정한 후 물기를 없애고 파쇄한 후, 3g을 95% 에탄올 130㏄와 물 700㏄의 혼합액에서 85℃로 6시간 동안 추출기로 추출하고 에탄올을 증류 제거하여 단삼 추출액 560㏄를 얻었다. 이어서, 0.45㎛ 포어 사이즈를 갖는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미세 고형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제균 처리하였다.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삼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실시예 17 : 단삼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서 실시예 16의 탁주로부터 단삼 첨가 미곡 청주 약 1.4ℓ를 얻었으며, 제조된 청주는 4℃로 냉각시켜 보관하였다.
실시예 18 : 원지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원지를 세정한 후 물기를 없애고 파쇄한 후, 3g을 95% 에탄올 220㏄와 물 650㏄의 혼합액에서 85℃로 6시간 동안 추출기로 추출하고 에탄올을 증류 제거하여 원지 추출액 630㏄를 얻었다. 이어서, 0.45㎛ 포어 사이즈를 갖는 마이크로 필터를이용하여 미세 고형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제균 처리하였다.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지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실시예 19 : 원지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서 실시예 18의 탁주로부터 원지 첨가 미곡 청주 약 1.4ℓ를 얻었으며, 제조된 청주는 4℃로 냉각시켜 보관하였다.
실시예 20 : 산수유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산수유를 세정한 후 물기를 없애고 파쇄한 후, 5g을 95% 에탄올 180㏄와 물 610㏄의 혼합액에서 80℃로 8시간 동안 추출기로 추출하고 에탄올을 증류 제거하여 산수유 추출액 580㏄를 얻었다. 이어서, 0.45㎛ 포어 사이즈를 갖는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미세 고형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제균 처리하였다.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산수유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실시예 21 : 산수유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서 실시예 20의 탁주로부터 산수유 첨가 미곡 청주 약 1.4ℓ를 얻었으며, 제조된 청주는 4℃로 냉각시켜 보관하였다.
실시예 22 : 두릅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두릅을 세정한 후 물기를 없애고 파쇄한 후, 20g을 95% 에탄올 150㏄와 물 580㏄의 혼합액에서 80℃로 8시간 동안 추출기로 추출하고 에탄올을 증류 제거하여 두릅 추출액 540㏄를 얻었다. 이어서, 0.45㎛ 포어 사이즈를 갖는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미세 고형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제균 처리하였다.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두릅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실시예 23 : 두릅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서 실시예 22의 탁주로부터 두릅 첨가 미곡 청주 약 1.4ℓ를 얻었으며, 제조된 청주는 4℃로 냉각시켜 보관하였다.
실시예 24 : 오미자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오미자를 세정한 후 물기를 없애고 파쇄한 후, 10g을 95% 에탄올 200㏄와 물 650㏄의 혼합액에서 80℃로 8시간 동안 추출기로 추출하고 에탄올을 증류 제거하여 오미자 추출액 590㏄를 얻었다. 이어서, 0.45㎛ 포어 사이즈를 갖는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미세 고형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제균 처리하였다.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미자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실시예 25 : 오미자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서 실시예 24의 탁주로부터 오미자 첨가 미곡 청주 약 1.4ℓ를 얻었으며, 제조된 청주는 4℃로 냉각시켜 보관하였다.
실시예 26 : 구기자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구기자를 세정한 후 물기를 없애고 파쇄한 후, 15g을 95% 에탄올 230㏄와 물 670㏄의 혼합액에서 80℃로 8시간 동안 추출기로 추출하고 에탄올을 증류 제거하여 오미자 추출액 630㏄를 얻었다. 이어서, 0.45㎛ 포어 사이즈를 갖는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미세 고형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제균 처리하였다.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기자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실시예 27 : 구기자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서 실시예 26의 탁주로부터 구기자 첨가 미곡 청주 약 1.4ℓ를 얻었으며, 제조된 청주는 4℃로 냉각시켜 보관하였다.
실시예 28 : 홍경천/육종용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홍경천의 뿌리를 세정한 후 물기를 없애고 잘게 자른 8g과, 육종용 전초(全草)를 세정한 후 물기를 없애고 껍질을 벗긴 다음 잘게 자른 3g을 사용하여 95% 에탄올 230㏄와 물 820㏄의 혼합액 중에서 85℃로 7시간 동안 추출기로 추출하고 에탄올을 증류 제거하여 홍경천/육종용 혼합 추출액 730㏄를 얻었으며, 2 단 담금 단계에서 물:상기 추출액의 혼합 비율을 3:7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홍경천/육종용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실시예 29 : 홍경천/육종용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서 실시예 28의 탁주로부터 홍경천/육종용 첨가 미곡 청주 약 1.4ℓ를 얻었으며, 제조된 청주는 4℃로 냉각시켜 보관하였다.
실시예 30 : 홍경천/육종용/단삼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홍경천의 뿌리를 세정한 후 물기를 없애고 잘게 자른 8g과, 육종용 전초(全草)를 세정한 후 물기를 없애고 껍질을 벗긴 다음 잘게 자른 3g과, 단삼을 세정한 후 물기를 없애고 세절한 2g을 사용하여 95% 에탄올 280㏄와 물 750㏄의 혼합액 중에서 85℃로 6시간 동안 추출기로 추출하고 에탄올을 증류 제거하여 홍경천/육종용/단삼 혼합 추출액 720㏄를 얻었으며, 2 단 담금 단계에서 물:상기 추출액의 혼합 비율을 4:6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홍경천/육종용/단삼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실시예 31 : 홍경천/육종용/단삼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서 실시예 30의 탁주로부터 홍경천/육종용/단삼 첨가 미곡 청주 약 1.4ℓ를 얻었으며, 제조된 청주는 4℃로 냉각시켜 보관하였다.
실시예 32 : 홍경천/육종용/원지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홍경천 뿌리 6g, 육종용 전초 6g, 세절한 원지 2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본질적으로 실시예 30과 동일한 절차 및 방법에 의하여 홍경천/육종용/원지 추출액 710㏄를 얻었다. 2 단 담금 단계에서 물:상기 추출액의 혼합 비율을 3:7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홍경천/육종용/단삼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실시예 33 : 홍경천/육종용/원지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서 실시예 32의 탁주로부터 홍경천/육종용/원지 첨가 미곡 청주 약 1.4ℓ를 얻었으며, 제조된 청주는 4℃로 냉각시켜 보관하였다.
실시예 34 : 홍경천/육종용/토사자/단삼/원지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홍경천 뿌리 4g, 육종용 전초 3g, 토사자 2g, 단삼 1g, 원지 1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2와 동일한 절차 및 방법에 의하여 혼합 추출액 710㏄를 얻었다. 2 단 담금 단계에서 물:상기 추출액의 혼합 비율을 6:4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홍경천/육종용/토사자/단삼/원지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실시예 35 : 홍경천/육종용/토사자/단삼/원지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서 실시예 34의 탁주로부터 홍경천/육종용/토사자/단삼/원지 첨가 미곡 청주 약 1.4ℓ를 얻었으며, 제조된 청주는 4℃로 냉각시켜 보관하였다.
실시예 36: 홍경천/육종용/토사자/사상자/단삼/원지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홍경천 뿌리 4g, 육종용 전초 3g, 토사자 2g, 사상자 1g, 단삼 1g, 원지 1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2와 동일한 절차 및 방법에 의하여 혼합 추출액 680㏄를 얻었다. 2 단 담금 단계에서 물:상기 추출액의 혼합 비율을 4:6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홍경천/육종용/토사자/사상자/단삼/원지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실시예 37: 홍경천/육종용/토사자/사상자/단삼/원지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서 실시예 36의 탁주로부터 홍경천/육종용/토사자/사상자/단삼/원지 첨가 미곡 청주 약 1.4ℓ를 얻었으며, 제조된 청주는 4℃로 냉각시켜 보관하였다.
실시예 38 : 홍경천/토사자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홍경천의 뿌리를 세정한 후 물기를 없애고 잘게 자른 6g과, 토사자 2g을 사용하여 95% 에탄올 250㏄와 물 750㏄의 혼합액 중에서 80℃로 9시간 동안 추출기로 추출하고 에탄올을 증류 제거하여 홍경천/토사자 혼합 추출액 710㏄를 얻었으며, 2 단 담금 단계에서 물:상기 추출액의 혼합 비율을 3:7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홍경천/토사자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실시예 39 : 홍경천/토사자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서 실시예 38의 탁주로부터 홍경천/토사자 첨가 미곡 청주 약 1.4ℓ를 얻었으며, 제조된 청주는 4℃로 냉각시켜 보관하였다.
실시예 40 : 홍경천/토사자/사상자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홍경천의 뿌리를 세정한 후 물기를 없애고 잘게 자른 6g과, 토사자 2g 및 사상자 1g을 사용하여 95% 에탄올 320㏄와 물 930㏄의 혼합액 중에서 80℃로 10시간 동안 추출기로 추출하고 에탄올을 증류 제거하여 얻은 홍경천/토사자/사상자 혼합 추출액 900㏄를 얻었으며, 2 단 담금 단계에서 물:상기 추출액의 혼합 비율을 1:9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홍경천/토사자/사상자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실시예 41 : 홍경천/토사자/사상자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서 실시예 40의 탁주로부터 홍경천/토사자/사상자 첨가 미곡 청주 약 1.4ℓ를 얻었으며, 제조된 청주는 4℃로 냉각시켜 보관하였다.
실시예 42 : 홍경천/토사자/사상자/단삼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단삼 1g을 더욱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9와 동일한 절차 및 방법에 의하여 홍경천/토사자/사상자/단삼 혼합 추출액 900㏄를 얻었으며, 2 단 담금 단계에서 물:상기 추출액의 혼합 비율을 2:8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홍경천/토사자/사상자/단삼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실시예 43 : 홍경천/토사자/사상자/단삼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서 실시예 42의 탁주로부터 홍경천/토사자/사상자/단삼 첨가 미곡 청주 약 1.4ℓ를 얻었으며, 제조된 청주는 4℃로 냉각시켜 보관하였다.
실시예 44 : 홍경천/육종용/토사자/단삼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실시예 41에서 사상자 대신에 육종용 2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1과 동일한 절차 및 방법에 의하여 홍경천/육종용/토사자/단삼 혼합 추출액 840㏄를 얻었으며, 2 단 담금 단계에서 물:상기 추출액의 혼합 비율을 7:3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홍경천/육종용/토사자/단삼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실시예 45 : 홍경천/육종용/토사자/단삼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서 실시예 44의 탁주로부터 홍경천/육종용/토사자/단삼 첨가 미곡 청주 약 1.4ℓ를 얻었으며, 제조된 청주는 4℃로 냉각시켜 보관하였다.
실시예 46 : 홍경천/사상자/단삼/원지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홍경천 뿌리 4g, 사상자 1g, 단삼 1g, 원지 1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2와 동일한 절차 및 방법에 의하여 혼합 추출액 630㏄를 얻었다. 2 단 담금 단계에서 물:상기 추출액의 혼합 비율을 4:6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홍경천/사상자/단삼/원지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실시예 47 : 홍경천/사상자/단삼/원지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서 실시예 46의 탁주로부터 홍경천/사상자/단삼/원지 첨가 미곡 청주 약 1.4ℓ를 얻었으며, 제조된 청주는 4℃로 냉각시켜 보관하였다.
실시예 48 : 홍경천/육종용/사상자/단삼/원지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실시예 36에서 토사자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6과 동일한 절차 및 방법에 의하여 혼합 추출액 630㏄를 얻었다. 2 단 담금 단계에서 물:상기 추출액의 혼합 비율을 4:6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홍경천/육종용/사상자/단삼/원지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실시예 49 : 홍경천/육종용/사상자/단삼/원지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서 실시예 48의 탁주로부터 홍경천/육종용/사상자/단삼/원지 첨가 미곡 청주 약 1.4ℓ를 얻었으며, 제조된 청주는 4℃로 냉각시켜 보관하였다.
실시예 50 : 홍경천/육종용/토사자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실시예 42에서 단삼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2와 동일한 절차 및 방법에 의하여 혼합 추출액 800㏄를 얻었다. 2 단 담금 단계에서 물:상기 추출액의 혼합 비율을 2:8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홍경천/육종용/토사자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실시예 51 : 홍경천/육종용/토사자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서 실시예 50의 탁주로부터 홍경천/육종용/토사자 첨가 미곡 청주 약 1.4ℓ를 얻었으며, 제조된 청주는 4℃로 냉각시켜 보관하였다.
실시예 52 : 오미자/구기자/산수유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오미자 6g, 구기자 3g, 산수유 4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절차 및 방법에 의하여 혼합 추출액 530㏄를 얻었다. 2 단 담금 단계에서 물:상기 추출액의 혼합 비율을 5:5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미자/구기자/산수유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실시예 53: 오미자/구기자/산수유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서 실시예 52의 탁주로부터 오미자/구기자/산수유 첨가 미곡 청주 약 1.4ℓ를 얻었으며, 제조된 청주는 4℃로 냉각시켜 보관하였다.
실시예 54 : 토사자/사상자/복분자/두릅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토사자 2g, 사상자 1g, 복분자 8g, 두릅 5g을 사용하여 95% 에탄올 320㏄와 물 930㏄의 혼합액 중에서 80℃로 10시간 동안 추출기로 추출하고 에탄올을 증류 제거하여 토사자/사상자/복분자/두릅 혼합 추출액 910㏄를 얻었으며, 2 단 담금 단계에서 물:상기 추출액의 혼합 비율을 1:9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토사자/사상자/복분자/두릅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실시예 55 : 토사자/사상자/복분자/두릅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서 실시예 54의 탁주로부터 토사자/사상자/복분자/두릅 첨가 미곡 청주 약 1.4ℓ를 얻었으며, 제조된 청주는 4℃로 냉각시켜 보관하였다.
실시예 56 : 원지/산수유/오미자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원지 2g, 산수유 3g, 오미자 4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절차 및 방법에 의하여 혼합 추출액 930㏄(물 사용량 1ℓ)를 얻었다. 2 단 담금 단계에서 물:상기 추출액의 혼합 비율을 1:9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지/산수유/오미자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실시예 57 : 원지/산수유/오미자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서 실시예 56의 탁주로부터 원지/산수유/오미자 첨가 미곡 청주 약 1.4ℓ를 얻었으며, 제조된 청주는 4℃로 냉각시켜 보관하였다.
실시예 58 : 복분자/두릅/구기자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복분자 8g, 두릅 4g, 구기자 4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절차 및 방법에 의하여 혼합 추출액 950㏄(물 사용량 1ℓ)를 얻었다. 2 단 담금 단계에서 물:상기 추출액의 혼합 비율을 1:9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분자/두릅/구기자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실시예 59 : 복분자/두릅/구기자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서 실시예 58의 탁주로부터 복분자/두릅/구기자 첨가 미곡 청주 약 1.4ℓ를 얻었으며, 제조된 청주는 4℃로 냉각시켜 보관하였다.
실시예 60 : 토사자/사상자/단삼/원지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토사자 2g, 사상자 1g, 단삼 1g, 원지 1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6과 동일한 절차 및 방법에 의하여 혼합 추출액 620㏄를 얻었다. 2 단 담금 단계에서 물:상기 추출액의 혼합 비율을 4:6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토사자/사상자/단삼/원지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실시예 61 : 토사자/사상자/단삼/원지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서 실시예 60의 탁주로부터 토사자/사상자/단삼/원지 첨가 미곡 청주 약 1.4ℓ를 얻었으며, 제조된 청주는 4℃로 냉각시켜 보관하였다.
실시예 62 : 육종용/토사자/사상자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실시예 44에서 홍경천 대신에 사상자 2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4와 동일한 절차 및 방법에 의하여 육종용/토사자/사상자 혼합 추출액 830㏄를 얻었으며, 2 단 담금 단계에서 물:상기 추출액의 혼합 비율을 2:8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육종용/토사자/사상자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실시예 63 : 육종용/토사자/사상자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서 실시예 62의 탁주로부터 육종용/토사자/사상자 첨가 미곡 청주 약 1.4ℓ를 얻었으며, 제조된 청주는 4℃로 냉각시켜 보관하였다.
실시예 64 : 토사자/사상자/산수유/두릅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실시예 54에서 복분자 대신에 산수유 3g을 사용하여 95% 에탄올 320㏄와 물 930㏄의 혼합액 중에서 85℃로 6시간 동안 추출기로 추출하고 에탄올을 증류 제거하여 토사자/사상자/산수유/두릅 혼합 추출액 900㏄를 얻었으며, 2 단 담금 단계에서 물:상기 추출액의 혼합 비율을 1:9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토사자/사상자/산수유/두릅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실시예 65 : 토사자/사상자/산수유/두릅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서 실시예 64의 탁주로부터 토사자/사상자/산수유/두릅 첨가 미곡 청주 약 1.4ℓ를 얻었으며, 제조된 청주는 4℃로 냉각시켜 보관하였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추출 용매를 95% 에탄올과 물의 혼합 용매에 의한 추출로 통일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한 희석 알코올 용매를 사용하거나, 원료에 따라 물로 추출하고 일부 원료는 에탄올만으로 추출하는 등 용매를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영역 내이며, 필요하다면, 비등에 의해 완전히 제거될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실시예의 제품을 다양한 방식으로 실험한 결과, 본 발명의 천연차는 어느 것이나 풍미 및 스테미너 증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나, 특히 홍경천과, 토사자 및/또는 사상자, 또는 홍경천과, 더부살이풀 (육종용, 개종용, 및/또는 초종용)을 포함하는 한방 약재 추출액을 이용한 미곡주가 스테미너 증진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여기에 단삼, 원지, 구기자, 오미자, 두릅,산수유, 및/또는 복분자 등을 포함시킨 추출액을 이용한 미곡주도 스테미너 증진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위의 추출물은 원료를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에탄올 또는 물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시간은 추출 용제로서의 에탄올(알코올) 사용 여부 및 그 물 대비 함량, 그리고 온도 조건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이러한 매개 변수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제한적이지 않으며 선택적인 임의적 사항에 불과함을 이해하여야만 할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에탄올 추출 또는 물 추출에 의해 본 발명의 천연차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실험하였으나, 녹차 등의 제법과 마찬가지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배합 비율에 따른 원료를 오토클레이브에 함께 넣어 찐 후에 미세하게 크러쉬하여 동결 건조시킨 것을 이용하더라도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미곡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한 미곡주에 있어서는 식감 또는 풍미를 보다 높이기 위해 당업계에 관용되는 통상적인 감미료나 향료, 또는 기호에 따라 설탕 등의 당분을 부가적으로 첨가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비교예 1 : 한방 약재 추출물 미포함 HTST 살균 탁주(약주)의 제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약 16ℓ의 1단 담금 술덧을 제조한 후, 1ℓ을 취하여 2단 담금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에서 토사자 추출액을 제조하여 사용한 것과는 달리, 비교예 1 에서는 한방 약재 추출액을 전혀 사용치 아니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하게 증자된 연질미의 잔량인 10.5ℓ(52.5부피%)를 16 등분한 약 0.67ℓ에 상기한 1단 담금 술덧 1ℓ과 물 1.0ℓ를 가하였다. 품온은 24∼28℃로 유지하였으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제조한 분국 코오지 잔량 1.95ℓ도 마찬가지로 16 등분하여 0.12ℓ를 4회에 걸쳐 분할 첨가하였다.
이어서, 품온 28∼30℃에서 5일간 숙성시키는 본 발효를 수행하였으며, 발효 완료 후, 발효액을 4℃로 감온시켜 48시간 동안 정치하는 것에 의하여 고형분을 침전시켰으며, 분리된 상청액을 4℃에서 30일간 보관 후숙성시켰다.
그 다음, 142℃, 2초간의 HTST법으로 후숙성된 탁주를 순간적으로 스파징(sparging)시켜 살균하고 4℃로 냉각시키고 봉입하여, 약 1.5ℓ의 미곡 탁주(약주)를 얻었다.
비교예 2 : 한방 약재 추출물 미포함 저온 살균 처리 탁주(약주)의 제조
비교예 2에서 제조된 HTST 처리 탁주를 다시 60℃에서 30분간 저온 살균하여, 약 1.5ℓ의 미곡 탁주(약주)를 얻었다.
비교예 3 : 토사자 상온 추출물 첨가 미곡 청주의 제조
토사자를 세정한 후 물기를 없애고 파쇄하여 분말화한 다음, 분말 3g을 물 800cc 중에 교반하여 혼합하고, 추출액을 4℃에서 8시간 정치하여 상청액으로서의토사자 추출액 650cc를 얻은 다음, 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5일간의 숙성 후 알코올 함량은 2.8°였으며, 이는 토사자 중의 알코올 분해 효소에 의해 알코올이 분해되었거나, 다른 어떤 효소에 의해 알코올 발효가 심각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되었다.
비교예 4 : 홍경천/토사자/사상자/단삼 분말 첨가 미곡 탁주의 제조
홍경천 6g, 토사자 2g, 사상자 1g 및 단삼 1g을 건조 분말화하고, 이를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한방 약재 첨가 미곡 탁주(약주) 약 1.5ℓ를 얻었다. 알코올 도수는 3.8°에 불과하였다. 이 역시 상기한 한방 약재 분말 중에 실활되지 않고 복원된 알코올 분해 효소에 의해 알코올이 분해되었거나, 다른 효소에 의해 알코올 발효가 심각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되었다.
시험예 1:
본 발명의 미곡주에 의한 스테미너 증진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40대∼70대의 남성 181명에 대하여 매일 2회, 즉 저녁 식사 중 및 취침 전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미곡주 및 비교예 1의 신선한 미곡주를 소주잔으로 1잔씩 30일간 음용하도록 하고 만족도를 조사하였으며, 미곡주 제공시 제공된 미곡주 중의 50%는 효능이 있는 진짜이며 나머지 50%는 효과가 없는 것이라고 공표하여 위약(plasebo) 효과에 의한 기여도를 최소화하고 블라인드 테스트하였다.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구분 40대 50대 60대 70대
비교예 1 효과 있음 2 1 0 0
효과 없음 8 9 10 10
비교예 2 효과 있음 2 1 0 0
효과 없음 8 9 10 10
실시예 1 효과 있음 6 7 2 0
효과 없음 4 3 8 10
실시예 6 효과 있음 7 8 4 1
효과 없음 3 2 6 9
실시예 29 효과 있음 8 7 4 3
효과 없음 2 3 6 7
실시예 36 효과 있음 9 8 6 4
효과 없음 1 2 4 6
실시예 42 효과 있음 8 6 6 3
효과 없음 2 4 4 7
실시예 48 효과 있음 8 7 5 3
효과 없음 2 3 5 7
실시예 51 효과 있음 7 6 3 2
효과 없음 3 4 7 8
실시예 62 효과 있음 7 6 3 2
효과 없음 3 4 7 8
실험대상자의 건강 상태 또는 스테미너 특성과 심리적 상태 등에 따라 차이가 있겠으나, 상기한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곡주는 스테미너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2:
본 발명의 스테미너 증진용 미곡주(실시예 41,45,61의 미곡주)를 음료 형태로서 실험 동물에 급여하였을 경우의 정소 무게와 정자능력에 미치는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실험 방법은 하기의 조건하에 수행하였다.
ㆍ시험기간 : 9주간
ㆍ실험처리 : 4 처리군(대조군(순수한 물), 본 발명의 실시예 41, 45 및61의 미곡 청주)
ㆍ실험식이 : 퓨리나 흰쥐 사료를 급여함.
ㆍ실험음료 :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매일 2회 1cc 씩을 순수한 물과 실시예 41, 45 및 61의 본 발명의 미곡주를 1:12(v/v)로 희석한 것을 공급.
ㆍ실험동물 : 생후 3주된 S. D. Rat 40마리를 구입하여 처리군 당 10 마리씩 할당.
ㆍ측정항목 : 성장률, 간 및 정소무게, 정자활력 및 농도
성장률은 1일당 체중 증가율을 기록하였으며, 정소의 무게는 좌우 양쪽을 합산하였다.
실험 결과, 성장률에 있어서 통계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실시예 41 및 실시예 45 처리 군이 다소 높았다. 간 무게는 실시예 41 처리 군이 통계적으로 높았고(P<0.05), 정소 무게는 처리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한편, 5 단계로 분류한 정자 활력지수는 대조군에 비해 실시예 41, 45 및 61 처리 군에서 통계적으로 높았으며(P<0.05), 활력소 지수가 5' 이상이 되는 개체수는 대조군에서는 전혀 없었던 반면, 실시예 41, 45 및 61 처리 군에서는 각각 4, 6, 7마리씩으로 나타났다. 한편, 간장과 정소 조직에 대한 병리 조직 조건에서 어떠한 병변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시험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낸다.
측정 항목 처리군
(n-10) 대조군 실시예 41 실시예 45 실시예 61
개시 체중(g) 105.9± 16.5 102.4± 20.1 99.8± 10.0 100.2± 10.7
종료 체중(g) 336.1± 28.7 345.4± 56.1 350.6± 19.3 363.0± 46.1
성장율 3.85± 0.70 3.97± 0.67 4.38± 0.41 4.69± 0.38
간 무게(g) 3.03± 0.24 3.04± 0.72 2.91± 0.18 2.84± 0.21
정소 무게(g) 0.965± 0.057 0.972± 0.141 0.965± 0.040 0.870± 0.142
정자 활력 4.3± 0.6 4.8± 0.2 4.9± 0.0 4.8± 0.2
활력지수(5′ )′이상 0 4 6 7
정자 농도(× 108) 15.07± 1.84 15.42± 1.61 14.24± 1.81 14.31± 1.75
상기한 표 2의 결과로부터 간 무게와 정자의 활력은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으며(P<0.05), 실험용 흰쥐에 9주간에 걸쳐 실시예 41, 45 및 61의 본 발명에 따른 미곡주를 급여한 결과, 정자 활력 지수는 대조군보다 상당히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시험예 3:
본 발명의 미곡주(실시예 37)에 의한 스테미너 증진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40대에서 60대의 남성 30명을 대상으로 매일 저녁 식간 및 취침 전에 소주잔으로 한잔 씩 30일간 복용케 한 후 만족도 및 회수를 조사 및 측정한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낸다.
부부간 성교 횟수(평균치):
40대 50대 60대
정상이라고 생각하는 횟수 12회/월 7회/월 4회/월
음용 전 6회/월 3회/월 2회/월
음용 후 14회/월 12회/월 9회/월
상기한 표 3의 결과는 위약 효과를 고려한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미곡주의 효과를 인정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인정되었다.
시험예 4:
본 발명의 미곡주(실시예 2 및 3)과 비교예 1 및 2의 미곡주에 대한 경시적 관응 시험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은 탁주이며, 실시예 3 및 비교예 2는 청주이다.
하기한 관능시험 결과는 40대∼에서 70대의 남성 10명을 대상으로 한 풍미에 대한 것으로서, 8인 이상이 양호한 것으로 판정한 것은 ◎ 를, 6인이 양호한 것으로 판정한 것은 O, 4인이 양호한 것으로 판정한 것은 △ , 2인 이하가 양호한 것으로 판정한 것은 X로 하였다.
경시적 풍미 변화 평가 :
주조 후 3일 15일 경과후 3개월 경과후
실시예 2 O
실시예 3
비교예 1 X
비교예 2 O X
상기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미곡 탁주 및 청주는 저장성도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비교예 1의 탁주가 좋치 못한 평가를 받은 것은 살균시 탄산가스의 소실 및 그 보충이 없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홍경천, 토사자, 사상자, 육종용, 개종용, 초종용, 복분자, 단삼, 원지, 산수유, 두릅, 오미자, 구기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을 가열 추출한 추출액을 미곡주의 2단 담금 단계에서 첨가함으로 인하여, 알코올 발효를 원활히 달성함과 아울러, 풍미도 양호할 뿐만 아니라, 스테미너 증진 효과가 우수하며, 또한 보관 안정성도 양호하여, 우리의 전통 미곡주의 소비 증진을 촉진하고 국민 건강에도 기여할 수가 있는 신규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1)

  1. 홍경천, 토사자, 사상자, 육종용, 개종용, 초종용, 복분자, 단삼, 원지, 산수유, 두릅, 오미자, 구기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의 가열 추출액을 포함하여 발효시킨 한방 미곡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열 추출액이 60∼100℃에서의 가열 추출물인 한방 미곡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한방 미곡주가 탁주 또는 약주인 한방 미곡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한방 미곡주가 청주인 한방 미곡주.
  5.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열 추출액이 에틸 알코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의한 추출물인 한방 미곡주.
  6. 홍경천, 토사자, 사상자, 육종용, 개종용, 초종용, 복분자, 단삼, 원지, 산수유, 두릅, 오미자, 구기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의 가열 추출액을 포함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방 미곡주의 제조 방법.
  7. 증자미(蒸煮米) 제공 단계, 코오지 제조 단계, 주모 제조 단계, 술덧 담금 단계, 숙성시키는 본 발효 단계를 포함하는 미곡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한 술덧 담금 단계가 1단 담금 단계 및 2단 담금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한 2단 담금 단계가 상기한 1단 담금물 및 증자미와, 물, 그리고 홍경천, 토사자, 사상자, 육종용, 개종용, 초종용, 복분자, 단삼, 원지, 산수유, 두릅, 오미자, 구기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의 가열 추출액을 포함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한방 미곡주의 제조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가열 추출액이 60∼100℃에서의 가열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물인 한방 미곡주의 제조 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열 추출액이 에틸 알코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지는 추출물로서, 추출 용매로서 에틸 알코올이 사용되는 경우 에틸 알코올은 증류 제거시키는 한방 미곡주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열 추출액이 마이크로 필터를 통하여 여과 처리되는 한방 미곡주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마이크로 필터가 포어 사이즈 0.45㎛의 마이크로필터인 한방 미곡주의 제조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증자미 제공 단계가 7∼9분도로 도정한 멥쌀, 찹쌀, 또는 멥쌀 및 찹쌀의 혼합미를 12∼36 시간 침지하고 세정후, 탈수한 다음, 30분∼2시간 정도 스팀으로 증자후 18∼28℃로 냉각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한방 미곡주의 제조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코오지 제조 단계가 Aspergillus oryzae(백국균 또는 황국균), Aspergillus awamori(흑국균), Aspergillus niger, Aspergillus kawachii, 또는 이들의 혼합 균주를 접종시켜 증식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한방 미곡주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한 코오지가 입국용 코오지로서, 증자미의 0.2∼3부피%를 사용하는 한방 미곡주의 제조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한 코오지가 입국 및 분국용 코오지로서, 입국 코오지는 증자미의 0.2∼3부피%, 분국 코오지는 증자미의 0∼22부피%를 사용하는 한방 미곡주의 제조 방법.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주모 제조 단계가 증자미의 1∼5부피%를 사용하며,증자미:코오지:물의 부피 비율이 1:0.05∼0.4:1.2∼1.6의 비율이고, 10∼18℃의 온도의 온도에서 담그며, 10∼15일 숙성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한방 미곡주의 제조 방법.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1단 담금 단계가 증자미, 코오지, 주모 및 물을 혼합하여 담금하며, 증자미의 15∼30부피%가 사용되고, 증자미:코오지:주모:물의 혼합 부피비가 1:0∼0.7:0.1∼1.4:1.4∼1.7의 비율이며, 1단 담금시의 품온이 22∼28℃인 한방 미곡주의 제조 방법.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2단 담금 단계가 1단 담금후 1∼2일 후에 수행하며, 증자미의 45∼85부피%가 사용되고, 증자미:코오지:1단 담금물:한방 약재 추출액의 혼합 부피비가 1:0∼0.3:0.4∼2.6:1.4∼1.7의 비율인 한방 미곡주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한 2단 담금 단계에서 첨가되는 상기한 한방 약재 추출액이 한방 약재 추출액:물의 비율이 1:9∼9:1의 범위인 한방 미곡주의 제조 방법.
  20.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본 발효 단계가 품온 28∼30℃에서 4∼5일간 숙성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한방 미곡주의 제조 방법.
  21.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본 발효 단계에 후속하여, 발효액을 4℃로 감온시켜 정치해서 고형분을 침전시키는 침전 단계를 더욱 수행하는 한방 미곡주의 제조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한 침전 단계에 후속하여, 고형분이 침전된 상청액을 분리시키는 상청액 분리 단계를 더욱 수행하는 한방 미곡주의 제조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한 침전 단계에 후속하여, 분리된 상청액을 4℃에서 1∼100일 정도 보관 숙성시키는 후숙 단계를 더욱 수행하는 한방 미곡주의 제조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한 후숙 단계에 있어서, 기호에 따라 상청액 중량에 대하여 3∼50중량%의 설탕, 포도당, 과당, 또는 그 혼합물을 첨가하는 당 혼합 단계를 아울러 수행하는 한방 미곡주의 제조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한 후숙 단계에 후속하여, 고온순간 살균법(HTST: High Temperature Short Time)에 의해 130∼145℃에서 1∼3초간 순간 살균시키는 고온순간살균 단계를 더욱 수행하는 한방 미곡주의 제조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온순간살균 단계에 후속하여, 약 4℃로 재냉각시킨 다음, 진공조로 이송하여 이취를 탈기시키는 진공 탈기 처리 단계를 더욱 수행하는 한방 미곡주의 제조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한 진공 탈기 처리 단계에 후속하여, 탄산가스를 탄산압력 약 1.5∼2.0㎏/㎠이 되도록 주입시키는 탄산가스 주입 단계를 더욱 수행하는 한방 미곡주의 제조 방법.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한 한방 미곡주가 탁주 또는 약주인 한방 미곡주의 제조 방법.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온순간살균 단계에 후속하여, 0.45㎛ 이하의 포어 사이즈를 갖는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시키는 제균 및 고형분 제거 단계를 더욱 수행하는 한방 미곡주의 제조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균 및 고형분 제거 단계에 후속하여, 60℃에서 30분간 살균하는 저온살균법을 더욱 수행하는 한방 미곡주의 제조 방법.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한 한방 미곡주가 청주인 한방 미곡주의 제조 방법.
KR1020010038776A 2001-06-30 2001-06-30 한방 미곡주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020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8776A KR20030002041A (ko) 2001-06-30 2001-06-30 한방 미곡주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8776A KR20030002041A (ko) 2001-06-30 2001-06-30 한방 미곡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041A true KR20030002041A (ko) 2003-01-08

Family

ID=27712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8776A KR20030002041A (ko) 2001-06-30 2001-06-30 한방 미곡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2041A (ko)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864A (ko) * 2002-04-12 2002-12-31 이광현 버섯균 또는 곰팡이균을 이용한 주류의 제조 방법
KR100457892B1 (ko) * 2002-02-05 2004-11-18 이성율 한약제 토종약주 및 그 제조방법
KR100586801B1 (ko) * 2005-11-30 2006-06-08 대한민국 산마를 이용한 탁주의 제조방법
KR100979878B1 (ko) * 2008-03-14 2010-09-02 염성관 발효주의 제조 방법
KR101066459B1 (ko) * 2008-12-22 2011-09-23 홍승희 오미자가 첨가된 건강 증진 기능성 오미자 생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152817B1 (ko) * 2010-05-12 2012-06-11 남종현 막걸리, 막걸리 와인 및 그 제조방법
KR101291321B1 (ko) * 2011-01-12 2013-07-30 전주시 자양강장 한약재를 이용한 모주의 제조 방법
KR101303171B1 (ko) * 2011-06-23 2013-09-09 강원도내린천고냉지배추영농조합법인 곰취 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329415B1 (ko) * 2006-12-11 2013-11-14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주류의 향기성분을 증가시키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t084 및 식물약재를 이용한 약주의 제조방법
KR101330274B1 (ko) * 2011-11-03 2013-11-15 주식회사 일화 천연소재의 발효공정을 이용한 발효탄산음료 제조방법
KR101329183B1 (ko) * 2011-11-17 2013-11-15 (주)우리술 사과 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336341B1 (ko) * 2011-02-15 2013-12-06 김해시청 산딸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CN103436423A (zh) * 2013-09-12 2013-12-11 丹寨县百草香土酒药开发有限公司 一种植物酒曲制的米酒的制备方法
KR101357658B1 (ko) * 2013-08-29 2014-02-11 조진아 약술 및 약술의 제조방법
KR101383962B1 (ko) * 2012-09-24 2014-04-10 권미송 약술 및 그 제조방법
CN103789167A (zh) * 2014-01-21 2014-05-14 甘孜州华康进出口有限责任公司 一种佛手松茸酒及其制备方法
CN104012275A (zh) * 2014-06-06 2014-09-03 甘肃省农业科学院作物研究所 一种肉苁蓉接种方法
CN104489808A (zh) * 2014-12-11 2015-04-08 揭阳市普侨区富德园果蔬种植有限公司 一种佛手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60031157A (ko) * 2014-09-12 2016-03-22 이상협 방풍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방풍주
CN105482945A (zh) * 2015-12-21 2016-04-13 贵州黔贵天赐大健康集团有限公司 一种丹参白兰地酒的制作方法
KR20160094044A (ko) 2015-01-30 2016-08-09 주은표 민속 독계산주의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5697A (ko) * 1990-02-06 1991-09-30 조판래 한약재를 원료로한 보양주의 제조방법
KR930005450A (ko) * 1991-08-14 1993-03-23 정용문 병렬라인 센서 방식의 영상처리 테스터
KR940001304A (ko) * 1992-06-05 1994-01-11 김주용 석영 보트 자동세척 시스팀
KR950011609A (ko) * 1993-10-11 1995-05-15 최기범 한약재를 원료로한 증류주의 제조방법
KR20000025268A (ko) * 1998-10-09 2000-05-06 김성환 변산 팔선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5697A (ko) * 1990-02-06 1991-09-30 조판래 한약재를 원료로한 보양주의 제조방법
KR930005450A (ko) * 1991-08-14 1993-03-23 정용문 병렬라인 센서 방식의 영상처리 테스터
KR940001304A (ko) * 1992-06-05 1994-01-11 김주용 석영 보트 자동세척 시스팀
KR950011609A (ko) * 1993-10-11 1995-05-15 최기범 한약재를 원료로한 증류주의 제조방법
KR20000025268A (ko) * 1998-10-09 2000-05-06 김성환 변산 팔선주의 제조방법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892B1 (ko) * 2002-02-05 2004-11-18 이성율 한약제 토종약주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96864A (ko) * 2002-04-12 2002-12-31 이광현 버섯균 또는 곰팡이균을 이용한 주류의 제조 방법
KR100586801B1 (ko) * 2005-11-30 2006-06-08 대한민국 산마를 이용한 탁주의 제조방법
KR101329415B1 (ko) * 2006-12-11 2013-11-14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주류의 향기성분을 증가시키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t084 및 식물약재를 이용한 약주의 제조방법
KR100979878B1 (ko) * 2008-03-14 2010-09-02 염성관 발효주의 제조 방법
KR101066459B1 (ko) * 2008-12-22 2011-09-23 홍승희 오미자가 첨가된 건강 증진 기능성 오미자 생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152817B1 (ko) * 2010-05-12 2012-06-11 남종현 막걸리, 막걸리 와인 및 그 제조방법
KR101291321B1 (ko) * 2011-01-12 2013-07-30 전주시 자양강장 한약재를 이용한 모주의 제조 방법
KR101336341B1 (ko) * 2011-02-15 2013-12-06 김해시청 산딸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303171B1 (ko) * 2011-06-23 2013-09-09 강원도내린천고냉지배추영농조합법인 곰취 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330274B1 (ko) * 2011-11-03 2013-11-15 주식회사 일화 천연소재의 발효공정을 이용한 발효탄산음료 제조방법
KR101329183B1 (ko) * 2011-11-17 2013-11-15 (주)우리술 사과 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383962B1 (ko) * 2012-09-24 2014-04-10 권미송 약술 및 그 제조방법
KR101357658B1 (ko) * 2013-08-29 2014-02-11 조진아 약술 및 약술의 제조방법
CN103436423A (zh) * 2013-09-12 2013-12-11 丹寨县百草香土酒药开发有限公司 一种植物酒曲制的米酒的制备方法
CN103789167A (zh) * 2014-01-21 2014-05-14 甘孜州华康进出口有限责任公司 一种佛手松茸酒及其制备方法
CN103789167B (zh) * 2014-01-21 2016-02-24 甘孜州华康进出口有限责任公司 一种佛手松茸酒及其制备方法
CN104012275A (zh) * 2014-06-06 2014-09-03 甘肃省农业科学院作物研究所 一种肉苁蓉接种方法
KR20160031157A (ko) * 2014-09-12 2016-03-22 이상협 방풍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방풍주
CN104489808A (zh) * 2014-12-11 2015-04-08 揭阳市普侨区富德园果蔬种植有限公司 一种佛手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60094044A (ko) 2015-01-30 2016-08-09 주은표 민속 독계산주의 제조 방법
CN105482945A (zh) * 2015-12-21 2016-04-13 贵州黔贵天赐大健康集团有限公司 一种丹参白兰地酒的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02041A (ko) 한방 미곡주 및 그 제조 방법
KR101066459B1 (ko) 오미자가 첨가된 건강 증진 기능성 오미자 생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278657B1 (ko) 하수오주 및 그 제조방법
KR100998329B1 (ko) 냄새를 없앤 마늘과 솔잎을 이용하여 제조한 식초 및 그제조방법
KR101190165B1 (ko) 울금을 이용한 약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34924A (ko) 감식초를 이용한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
JP2008194040A (ja) 山参培養根を利用した酒類の製造方法
KR101297610B1 (ko) 석이버섯 발효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석이버섯 발효주
KR101120286B1 (ko) 산겨릅나무가 함유된 증류주의 제조방법
KR100303191B1 (ko) 인동초 발효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90166B1 (ko) 울금을 이용한 탁주 및 그 제조방법
KR100550446B1 (ko) 콩 부산물을 이용한 전통 약주 제조방법
KR101930764B1 (ko) 호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통주의 제조방법
KR101329186B1 (ko) 잣 함유 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KR102346415B1 (ko) 천연물질을 이용한 막걸리의 제조방법
KR101752571B1 (ko) 갈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배양, 숙성시킨 청국장 및 이를 이용한 갈화고추장 제조방법
KR101142051B1 (ko) 상황버섯추출액을 함유한 발효주 및 증류주의 제조방법
KR20090042627A (ko) 석창포와 연 그리고 알칼리수를 이용한 약주의 제조방법 및그 약주
KR20120041413A (ko) 흑마늘 막걸리 제조방법
KR101234375B1 (ko) 솔잎 막걸리 제조방법
KR20110003186A (ko) 복분자를 이용한 발효분말 제조방법
KR20210056007A (ko) 맛과 향이 우수한 증류주의 제조방법
KR102621087B1 (ko) 개암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효주 또는 죽의 제조방법
KR101790414B1 (ko) 대추 식초의 제조 방법 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대추 식초
KR20130072096A (ko) 비파엽 추출물 또는 비파엽 발효물을 이용한 비파엽 주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