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743Y1 - 세관 청소용 면봉 - Google Patents

세관 청소용 면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743Y1
KR200284743Y1 KR2020020011749U KR20020011749U KR200284743Y1 KR 200284743 Y1 KR200284743 Y1 KR 200284743Y1 KR 2020020011749 U KR2020020011749 U KR 2020020011749U KR 20020011749 U KR20020011749 U KR 20020011749U KR 200284743 Y1 KR200284743 Y1 KR 2002847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leaning
swab
diameter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7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까무라다께시
Original Assignee
(주)메덱스
일본면봉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덱스, 일본면봉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메덱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7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7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작은 직경의 단부에 소량의 섬유를 확실하게 돌려감아 고정할 수 있는 축체를 구비한 면봉에 있어서, 세관의 내측을 청소할 수 있는 세관 청소용 면봉을 제공하기 위하여, 면 등의 섬유를 돌려감아 고정된 축체(10)의 선단부에는 다른 부분의 직경A 보다도 작은 직경B의 권회부(11)가 형성되고, 권회부(11)의 외주 벽에는 섬유가 감기기 쉽도록 스파이럴상의 홈이 형성되며, 권회부(11)와 축체(10)의 다른 부분과의 사이에는 경사부(12)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세관 청소용 면봉{ Cotton rod for cleaning fine pipe }
본 고안은, 세관의 내측을 닦기 위한 세관 청소용 면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면봉의 구성을 도 4a에 나타내고, 그 단부의 단면도를 도 4b에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면봉은 봉상의 축체(10)의 끝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해 놓고, 축체(1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면 등의 섬유(20)에 접착하여, 그 섬유(20)를 축체(10)의 단부에 돌려감아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면봉은, 신체뿐만 아니라 정밀기계의 청소용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들어, 광통신의 발전에 따라 광화이버들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어뎁터가 다수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어뎁터의 접속공을 확실하게 청소할 수 있는 면봉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부터 시판되고 있는 면봉의 섬유부분의 직경은 최소의 것이라도 1.8㎜이어서, 그 종래의 면봉으로는 1.25㎜ 직경의 어뎁터의 접속공을 청소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여기서, 현재의 기술로는 면 등의 섬유의 양을 줄여서 그 두께를 줄인다고 하여도 청소용 면봉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해서는 그 두께를 0.3㎜이하로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1.25㎜ 직경의 어뎁터의 접속공의 청소용 면봉으로는, 약 0.8㎜ 직경의 축체(10)에 섬유를 돌려감아 고정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여기서 축체(10)의 직경을 약 0.8㎜로 한 경우에는, 축체(10)가 바늘처럼 가늘어지기 때문에 소량의 섬유를 확실하게 돌려감아 고정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작은 직경의 단부에 소량의 섬유를 확실하게 돌려감아 고정할 수 있는 축체를 구비한 면봉으로서, 세관의 내측을 청소할 수 있는 세관 청소용 면봉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a, 1b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축체의 구성이 표현된 구성도,
도 2a, 2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의 설명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방법의 설명도,
도 4a, 4b는 종래의 면봉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축체 11 : 권회부
12 : 경사부 20 : 섬유
30 : 성형기 31 : 간극
32 : 습윤공 40 : 접착제
50 : 어뎁터 A,B : 직경
C,D,E : 길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고안은, 봉상의 축체의 단부에 섬유가 돌려감아wu 고정되어 있는 세관 청소용 면봉에 있어서, 상기 섬유가 돌려감아wu 고정되는 상기 축체의 권회부는, 그 직경이 상기 축체의 다른 부분의 직경 보다도 작게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권회부의 외주벽에는 凹부 또는 凸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세관 청소용 면봉의 봉상의 축체(1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그 단부의 확대도이다.
상기의 축체(10)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그 선단부에 면 등의 섬유를 돌려감아 고정한 것이고, 본 실시예와 같이 섬유가 돌려감기는 권회부(11)의 직경B가 작은 것은 그 강도가 문제가 된다. 따라서 상기의축체(10)의 재료로서는, 강도가 높은 알루미늄, 스텐레스 등의 금속이나 합성수지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강도와 유연성이 풍부한 폴리카보네이트를 그 재료로 하고 있다.
축체(10)의 선단부에는, 섬유가 돌려감아wu 고정되는 권회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권회부(11)의 직경B는, 축체(10)의 다른 부분의 직경A 보다도 작은 값이 되도록 선택되어져 있다. 상기 권회부(11)와 축체(10)의 다른 부분과의 사이에는 경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의 직경A를 권회부(11)의 직경보다도 두껍게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그 부분의 강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권회부(11)의 외주벽에는, 섬유가 휘감기기 쉽게 되도록 凹부 또는 凸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b에 표현된 바와 같이 스파이럴상의 홈이 형성되도록 凸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광화이버용 어뎁터의 접속공을 청소하기 위한 면봉의 축체(10)이고, 권회부(11)의 직경B는 0.8㎜, 길이C는 16㎜가 선정되어 있다. 또, 축체(10)의 다른 부분의 직경A는 1.5㎜가 선정되고 경사부(12)의 길이D는 6㎜가 선정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축체(10)를 사용한 면봉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권회부(11)의 길이C와 거의 같은 폭을 가지고 있는 띠상의 적량의 섬유(20)와 함께 축체(1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성형기(30)에 형성되어 있는 간극(31)에 삽입한다.
성형기(30)에는, 외부로 부터 공급되는 접착제(40)의 습윤공(32)이 설치되어 있고, 또 간극(31)의 간격E는 소정의 간격으로 선택되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성형기(30)를 통과한 시점에서, 축체(10)의 선단부의 권회부(11)에는, 도 2b에 표현된 바와 같이 소정의 직경의 섬유(20)가 돌려감아져 고정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권회부(11)에 스파이럴 모양의 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성형기(30)를 이용하여 섬유(20)를 돌려감아 고정할 때 여분의 섬유(20)가 경사부(12)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권회부(11)위에 돌려감아져 고정된 섬유(20)의 직경이 1.1㎜가 되도록, 성형기(30)의 간극(31)의 간격E가 선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하여 제조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축체(10)의 선단부에 1.1㎜ 직경의 섬유(20)가 약 16㎜ 권회부(11)의 길이C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3에 표현된 바와 같은 통상의 길이가 26㎜인 광화이버용의 어뎁터(50)에 형성되어 있는 접속공을 확실하게 청소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작은 지름의 단부에 소량의 섬유를 확실하게 돌려감아서 고정할 수 있는 축체를 가지고 있는 면봉으로서, 세관 내측을 청소할 수 있는 세관 청소용 면봉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봉상의 축체의 단부에 섬유가 돌려감아져 고정된 세관 청소용 면봉에 있어서, 상기 섬유가 돌려감아져 고정된 상기 축체의 권회부는, 그 직경이 상기 축의 다른 부분의 직경보다도 작게 형성되고, 상기 권회부의 외주벽에는 凹부 또는 凸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관 청소용 면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체의 상기 권회부의 외주벽에 형성되어 있는 凹부 또는 凸부는, 상기외주벽에 스파이럴상의 홈을 구성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관 청소용 면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체의 상기 권회부와 상기 다른 부분과의 사이에는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관 청소용 면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체의 상기 권회부와 상기 다른 부분과의 사이에는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관 청소용 면봉.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체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관 청소용 면봉.
KR2020020011749U 2001-06-01 2002-04-18 세관 청소용 면봉 KR20028474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03512U JP3082359U (ja) 2001-06-01 2001-06-01 細管清拭用綿棒
JPJP-U-2001-00003512 2001-06-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743Y1 true KR200284743Y1 (ko) 2002-08-13

Family

ID=43215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749U KR200284743Y1 (ko) 2001-06-01 2002-04-18 세관 청소용 면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82359U (ko)
KR (1) KR2002847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8122A3 (ko) * 2014-08-01 2016-03-24 서동진 회전식 흡인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54296A (ja) * 2013-09-12 2015-03-23 エヌ・ティ・ティ・アドバンステクノロジ株式会社 清掃具
JP7391311B1 (ja) 2022-08-29 2023-12-05 広陵化学工業株式会社 ロッド及び検体採取スワブ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8122A3 (ko) * 2014-08-01 2016-03-24 서동진 회전식 흡인기
US10485709B2 (en) 2014-08-01 2019-11-26 Dong Jin Seo Rotary aspi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82359U (ja) 200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6503B2 (en) Dual inner diameter ferrule device and method
KR850005620A (ko) 페루울 부(代) 플라스틱 광파이버 코오드
KR200284743Y1 (ko) 세관 청소용 면봉
JP3132998B2 (ja) 光コネクタ用フェルール
KR930007626B1 (ko) 도포기구용 삽입물
JP4836182B2 (ja) 穂先竿
JP2011164548A (ja) 光ファイバ付きフェルール
US5018818A (en) Field installable fiber optic connector
JPH09288225A (ja) 光コネクタ用フェルール
JP2551407B2 (ja) 光フアイバ−コネクタ
JPS61246716A (ja) 内視鏡光学繊維束の保護装置
KR100549430B1 (ko) 광섬유 복합 페룰
JP2004287198A (ja) 精密スリーブ型レセプタクル
JPS6330404Y2 (ko)
JP3660824B2 (ja) 内視鏡の可撓管
JPH06269400A (ja) 内視鏡のアングル操作ワイヤ取り付け構造
JP2847448B2 (ja) ファイバスコープ首振構造
KR200202733Y1 (ko) 끼움식 낚시 대롱 제작용 맨드릴
JPH0641527Y2 (ja) 内視鏡の先端部
JP3188180B2 (ja) 釣り竿
JPH1052194A (ja) 釣り竿
KR200342412Y1 (ko) 필기구용 팁
JPH10227944A (ja) フェルール用筒状体およびフェルール並びに光コネクタ
JP3402008B2 (ja) 光ファイバとフェルールとの接続構造
JP3242210B2 (ja) 光ファイバ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