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412Y1 - 필기구용 팁 - Google Patents

필기구용 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412Y1
KR200342412Y1 KR20-2003-0037694U KR20030037694U KR200342412Y1 KR 200342412 Y1 KR200342412 Y1 KR 200342412Y1 KR 20030037694 U KR20030037694 U KR 20030037694U KR 200342412 Y1 KR200342412 Y1 KR 2003424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tip
diameter
ink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76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기
Original Assignee
동아연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연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연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76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4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4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4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00Nibs; Writing-points
    • B43K1/08Nibs; Writing-points with ball points; Balls or ball beds
    • B43K1/086Nibs; Writing-points with ball points; Balls or ball beds with resilient supporting means for the ball, e.g. spring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동일한 탄성부재를 사용하면서 내경이 커지는 경우에도 볼의 중앙부에 압력이 가해지므로 필기선이 양호하고 잉크가 유출되거나 건조되지 않도록, 지름이 0.7㎜ 이상인 볼과, 볼의 일부가 노출되는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볼안착부가 선단에 형성되고 볼안착부와 선단 반대쪽 끝부분에 조립되는 잉크저장관을 연통시키는 잉크유출통로가 중앙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팁 본체와, 잉크유출통로에 설치되어 볼에 노출되는 방향으로 항상 힘을 가하고 나선형으로 감아서 형성되는 탄성부의 한쪽 끝부분으로부터 곧게 펴진 직선형의 누름부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누름부의 연장되는쪽 끝부분이 볼과 접하는 탄성부재와, 탄성부재 누름부의 연장되는쪽 끝부분이 항상 볼의 중앙부와 접하도록 잉크유출통로의 볼안착부쪽 끝부분 내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중앙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필기구용 팁을 제공한다.
중앙안내부는 볼 지름의 0.4~0.6배에 해당하는 크기의 내경으로 볼안착부쪽 끝분에 형성되는 대경부와, 대경부의 볼안착부 반대쪽에 잉크유출통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이 사다리꼴형상이나 삼각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최대로 돌출되는 부분의 내경이 0.2㎜~0.5㎜인 소경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필기구용 팁 {Tip for Writing Instrument}
본 고안은 필기구용 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름이 0.7㎜ 이상인 볼을 사용하는 경우에 지름이 0.5㎜인 볼의 사용할 때와 마찬가지의 탄성부재를 사용하면서 볼의 중심부에 똑바로 압력이 가해지는 필기구용 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펜 등의 필기구는 내부에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저장관과 상기 잉크저장관에 조립되고 선단에는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볼이 설치되는 팁으로 이루어지는 필기심과, 상기 필기심을 보호하는 외통으로 구성된다.
상기 필기심의 팁은 잉크저장관으로부터 볼로 잉크의 유출이 이루어지는 잉크유출통로를 갖도록 팁 본체를 형성하고 상기 팁 본체의 잉크유출통로에는 볼에 노출되는 방향으로 항상 힘을 가하도록 탄성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직경이 대략 0.1㎜인 선재의 한쪽 끝부분을 나선형상으로 감아서 형성하며 곧게 펴서 형성되는 다른쪽 끝부분을 볼의 중앙과 항상 접하도록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필기심의 팁은 외경의 약 1/2에 해당하는 크기로 내경이 형성되는 잉크유출통로를 갖도록 팁 본체를 형성하고 상기 팁 본체의 선단에는 볼의 지름에 대응되는 크기의 내경을 갖는 볼안착부가 형성된다.
예를들어, 지름이 0.5㎜인 볼이 설치되고 외경이 대략 0.8㎜로 이루어지는 팁 본체에 있어서는, 내경이 대략 0.4㎜로 형성되는 잉크유출통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볼이 설치되는 볼안착부의 내경은 0.5㎜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팁 본체의 잉크유출통로는 볼안착부쪽 끝부분 내경을 대략 0.4㎜로 형성하고 볼안착부 반대쪽 내경을 상기 탄성부재의 나선형상으로 감아서 형성되는 부분이 설치되도록 볼안착부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한다.
상기 잉크유출통로의 내경이 대략 0.4㎜로 형성되는 부분에는 탄성부재의 곧게 펴진 부분이 통과하여 볼의 중앙부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필기심의 팁은 도 1~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름이 0.7㎜ 이상인 볼(2)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외경은 대략 1.4㎜ 이상이고내경은 대략 0.7㎜ 이상으로 팁 본체(10)를 형성하고, 상기의 탄성부재(20)는 지름이 0.5㎜인 볼(2)을 사용할 때와 마찬가지의 것을 이용하여 볼(2)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지름이 0.5㎜인 볼(2)에 압력을 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탄성부재(20)를 지름이 0.7㎜ 이상인 볼(2)에 압력을 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팁 본체(10)의 내경과 탄성부재(20)의 곧게 펴진 부분 사이의 간격차가 많이 발생된다.
따라서 볼(2)이 회전하여 필기가 이루어지는 경우 탄성부재(20)의 곧게 펴진 부분에 유동이 발생하여 볼(2)의 중앙부에 똑바로 압력이 가해지지 않고 볼의 중앙부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친 부분에 압력이 가해지므로 필기시 필기선에 방향성이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볼안착부(12)에 편마모가 발생하여 잉크가 유출되거나 건조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지름이 0.7㎜이상인 볼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탄성부재가 볼의 중심부에 똑바로 압력을 가하고 잉크의 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잉크유출통로에 중앙안내부를 형성하는 필기구용 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필기구용 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확대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용 팁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용 팁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앙유지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본 고안이 제안하는 필기구용 팁은 지름이 0.7㎜ 이상인 볼과, 상기 볼의 일부가 노출되는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볼안착부가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볼안착부와 선단 반대쪽 끝부분에 조립되는 잉크저장관을 연통시키는 잉크유출통로가 중앙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팁 본체와, 상기 잉크유출통로에 설치되어 상기 볼에 노출되는 방향으로 항상 힘을 가하고 나선형으로 감아서 형성되는 탄성부의 한쪽 끝부분으로부터 곧게 펴진 직선형의 누름부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의 연장되는쪽 끝부분이 상기 볼과 접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 누름부의 연장되는쪽 끝부분이 항상 상기 볼의 중앙부와 접하도록 상기 잉크유출통로의 볼안착부쪽 끝부분 내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하여 형성되는 중앙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재의 누름부는 상기 볼과 접하는 부분을 180°굽힘가공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중앙안내부는 상기 볼 지름의 0.4~0.6배에 해당하는 크기의 내경으로 상기 볼안착부쪽 끝부분에 형성되는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의 볼안착부에 상기 잉크유출통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이 사다리꼴형상이나 삼각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최대로 돌출되는 부분의 내경이 0.2㎜~0.5㎜인 소경부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용 팁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용 팁의 일실시예는 도 3~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름이 0.7㎜ 이상인 볼(2)과, 상기 볼(2)의 일부가 노출되는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볼안착부(12)가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볼안착부(12)와 선단 반대쪽끝부분에 조립되는 잉크저장관(4)을 연통시키는 잉크유출통로(14)가 중앙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팁 본체(10)와, 상기 잉크유출통로(14)에 설치되어 상기 볼(2)에 노출되는 방향으로 항상 힘을 가하고 나선형으로 감아서 형성되는 탄성부(22)의 한쪽 끝부분으로부터 곧게 펴진 직선형의 누름부(24)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24)의 연장되는 쪽 끝부분이 상기 볼(2)과 접하는 탄성부재(20)와, 상기 탄성부재(20) 누름부(24)의 연장되는 쪽 끝부분이 항상 상기 볼(2)의 중앙부와 접하도록 상기 잉크유출통로(14)의 볼안착부(12)쪽 끝부분 내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하여 형성되는 중앙안내부(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볼(2)은 필기를 위하여 필기면과 접촉하게 되면 회전운동이 이루어지면서 잉크저장관(4)으로부터 잉크유출통로(14)를 거쳐서 필기면으로 잉크를 유출시키게 된다.
상기 볼안착부(12)는 일반적으로 필기구용 팁에 형성되는 볼안착부와 마찬가지로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팁 본체(10)는 금속재로 형성되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직선부(11)와 상기 직선부(11)의 한쪽 끝부분에 연장 형상되고 선단 끝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서서히 작아지도록 꼬깔형상으로 형성되는 테이퍼부(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직선부(11)의 다른쪽 끝부분에는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저장관(4)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외경을 감소시킨 삽입부(15)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팁 본체(10)의 선단쪽 끝부분에 테이퍼부(13)를 형성하면, 필기시일정각도의 범위내에서 볼(2)이 필기면과 접촉되어 원활하게 필기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용 팁의 본체(1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경의 1.5~2.5 배에 해당하는 크기로 외경을 형성하는 것이 일정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20)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필기구용 팁의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마찬가지로 직경이 대략 0.1㎜인 선재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20)의 탄성부(2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팁 본체(10)의 선단 반대쪽 끝부분에서 상기 잉크유출통로(14) 안쪽으로 돌출되는 지지돌기(17)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탄성부재(20)는 상기 볼(2)이 회전할 때 긁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누름부(24)의 볼(2)과 접하는 부분을 180°굽힘가공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중앙안내부(16)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볼(2) 지름의 0.4~0.6배에 해당하는 크기의 내경으로 상기 볼안착부(12)쪽 끝부분에 형성되는 대경부(16a)와, 상기 대경부(16a)의 볼안착부(12) 반대쪽에 상기 잉크유출통로(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이 사다리꼴형상이나 삼각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소경부(16b)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소경부(16b)의 최대로 돌출되는 부분의 내경은 0.2㎜~0.5㎜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중앙안내부(16)를 형성하면, 상기 탄성부재(20)의 누름부(24)와 상기 잉크유출통로(14) 내주면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므로 상기 누름부(24)의 볼(2)과 접하는 끝부분이 볼(2)의 중앙부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방지되면서 잉크의 유출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안내부(16)는 2단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안내부(16)를 1단으로 형성하면서 최대로 돌출되는 부분의 내경을 0.2㎜~0.5㎜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소경부(16b)의 길이가 길어져서 잉크의 유출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소경부(16b)의 길이를 짧게 하기 위해서는 경사면을 예각으로 길게 형성하여야 하므로 가공이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중앙안내부(16)를 대경부(18a)와 소경부(16b)의 2단으로 형성하게 되면, 소경부(16b)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잉크의 유출성과 가공성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용 팁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고안의 상세한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내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용 팁에 의하면, 지름이 0.5㎜이하인 볼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내경이 크게 형성되는 잉크유출통로에 중앙안내부를 돌출하여 형성하므로 지름이 0.5㎜ 이하인 볼을 사용할 때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탄성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볼의 중앙부에 똑바로 압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필기시 필기선에 방향성이 나타나지 않고 균일하게 필기선이 나타난다.
그리고 볼이 안착되는 볼안착부의 일부분이 집중적으로 마모되지 않으므로 볼의 탈락이 방지되고 필기를 하지 않을 때 잉크가 유출이나 건조될 염려가 없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용 팁에 의하면, 직경이 가장 작은 부분의 표면길이를 최소화시키도록 중앙안내부의 소경부 단면을 삼각형상이나 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하므로 잉크의 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Claims (3)

  1. 지름이 0.7㎜ 이상인 볼과,
    상기 볼의 일부가 노출되는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볼안착부가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볼안착부와 선단 반대쪽 끝부분에 조립되는 잉크저장관을 연통시키는 잉크유출통로가 중앙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팁 본체와,
    상기 잉크유출통로에 설치되어 상기 볼에 노출되는 방향으로 항상 힘을 가하고 나선형으로 감아서 형성되는 탄성부의 한쪽 끝부분으로부터 곧게 펴진 직선형의 누름부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의 연장되는쪽 끝부분이 상기 볼과 접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 누름부의 연장되는쪽 끝부분이 항상 상기 볼의 중앙부와 접하도록 상기 잉크유출통로의 볼안착부쪽 끝부분 내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중앙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필기구용 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안내부는 2단이상으로 이루어지는 필기구용 팁.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앙안내부는
    상기 볼 지름의 0.4~0.6배에 해당하는 크기의 내경으로 상기 볼안착부쪽 끝분에 형성되는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의 볼안착부 반대쪽에 상기 잉크유출통로의길이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이 사다리꼴형상이나 삼각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최대로 돌출되는 부분의 내경이 0.2㎜~0.5㎜인 소경부로 이루어지는 필기구용 팁.
KR20-2003-0037694U 2003-12-03 2003-12-03 필기구용 팁 KR2003424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694U KR200342412Y1 (ko) 2003-12-03 2003-12-03 필기구용 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694U KR200342412Y1 (ko) 2003-12-03 2003-12-03 필기구용 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412Y1 true KR200342412Y1 (ko) 2004-02-21

Family

ID=49343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7694U KR200342412Y1 (ko) 2003-12-03 2003-12-03 필기구용 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4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05161A (ja) * 2015-12-01 2017-06-15 ゼブラ株式会社 ボールペンチップ及び該ボールペンチップを具備した筆記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05161A (ja) * 2015-12-01 2017-06-15 ゼブラ株式会社 ボールペンチップ及び該ボールペンチップを具備した筆記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0045B1 (en) Ballpoint pen
EP1970212B1 (en) Ballpoint pen tip
KR930007626B1 (ko) 도포기구용 삽입물
KR200342412Y1 (ko) 필기구용 팁
EP1055523B1 (en) Tip mechanism for knock-type ballpoint pen
US6220774B1 (en) Ballpoint tip for ballpoint liquid container
JP3416677B2 (ja) 塗布具
JP2008246804A (ja) ボールペンチップの製造方法
JP4420451B2 (ja) 塗布具
KR200166362Y1 (ko) 녹크식수성볼펜용팁
KR200342413Y1 (ko) 필기구용 팁
KR100360613B1 (ko) 볼식 액체용기의 선단팁
GB2067475A (en) Ball point pen tip
JP5034745B2 (ja) ボールペン
JP4632280B2 (ja) ボールペンチップ
JP3304906B2 (ja) ボール式液体容器の先端チップ
JP2001225585A (ja) ボールペンのチップ
EP1031436B1 (en) Fibre-tip pen
JPH0345835Y2 (ko)
JP2023007039A (ja) 筆記具用軸筒及びこの筆記具用軸筒を具備した筆記具
KR200331274Y1 (ko) 볼펜의 마이크로볼 지지용 스프링 구조
KR20110060097A (ko) 볼 펜
JP2011031542A (ja) ペン先
JPH0524558Y2 (ko)
JP2005059314A (ja) ボールペンチップ及びボールペ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