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362Y1 - 녹크식수성볼펜용팁 - Google Patents

녹크식수성볼펜용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362Y1
KR200166362Y1 KR2019990015113U KR19990015113U KR200166362Y1 KR 200166362 Y1 KR200166362 Y1 KR 200166362Y1 KR 2019990015113 U KR2019990015113 U KR 2019990015113U KR 19990015113 U KR19990015113 U KR 19990015113U KR 200166362 Y1 KR200166362 Y1 KR 2001663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elastic
tip
knock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51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경
Original Assignee
동아연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연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연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51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3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3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3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00Nibs; Writing-points
    • B43K1/08Nibs; Writing-points with ball points; Balls or ball beds
    • B43K1/086Nibs; Writing-points with ball points; Balls or ball beds with resilient supporting means for the ball, e.g. spring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탄성부재의 볼과 접촉하는 면을 곡면으로 형성하여 볼과의 마찰이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한쪽 끝부분에는 잉크저장관이 조립되고 반대쪽 끝부분 내면에는 볼삽입부가 형성되는 팁본체와, 일부가 팁본체의 바깥으로 노출되도록 볼삽입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볼과, 팁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볼에 바깥쪽으로 힘을 가하며 볼과 접하는 부분을 곡면으로 형성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녹크식 수성 볼펜용 팁을 제공한다.
탄성부재는 탄성력을 저장하는 나선형상의 탄성부와 탄성부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직선형상의 누름부로 이루어지고, 누름부의 볼과 접하는 직선부 끝부분은 굽힘가공하여 곡면으로 형성한다.

Description

녹크식 수성 볼펜용 팁{Tip mechanism for knock-type ballpoint pen}
본 고안은 탄성부재의 볼과 접촉하는 면을 곡면으로 형성하여 볼의 손상을 방지하고 부드러운 필기감을 느끼도록 구성한 녹크식 수성 볼펜용 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성 볼펜은 정적인 상태에서는 높은 점성을 보유하고 필기시에 볼의 회전 등에 의하여 전단력이 작용하면 점성이 저하되는 전단감점성을 부여한 수성겔잉크나 유성겔잉크 등을 사용하는 볼펜으로, 팁부분이 항상 외통의 외부로 노출되는 방식과 팁부분이 외통의 안으로 삽입 및 노출되는 녹크식이 있다.
상기에서 팁부분이 항상 노출되는 방식의 수성 볼펜은 필기하지 않고 휴대하거나 보관하는 경우에 팁부분을 보호하고 잉크가 누출되어도 옷 등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통에 뚜껑을 끼워서 사용한다.
그러나 녹크식 수성 볼펜은 팁의 반대쪽에 설치된 누름수단을 한번 눌러 팁부분을 외통의 외부로 노출시켜 필기를 행하고, 누름수단을 해제시켜 팁부분을 외통의 안으로 삽입하여 휴대하거나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별도의 뚜껑을 사용하지 않는다.
종래의 녹크식 수성 볼펜은 한쪽 끝부분에 누름수단이 설치되는 외통과, 상기한 외통의 안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잉크가 내장되는 잉크저장관과, 상기한 잉크저장관에 조립되고 끝부분에는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볼이 설치되는 팁을 포함한다.
상기한 팁은 한쪽 끝부분이 상기한 잉크저장관에 조립되는 팁본체와, 상기한 팁본체의 다른쪽 끝부분에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볼과, 상기한 팁본체에 내장되고 상기한 볼에 노출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스프링은 코일스프링을 주로 사용하고, 스프링이 설치되는 부분과 볼이 설치되는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위는 좁은 잉크유도구멍으로 형성되므로, 스프링의 볼과 접촉하는 부분은 코일형상으로부터 직선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녹크식 수성 볼펜용 팁은 스프링 선재의 지름이 0.1∼0.3㎜ 정도로 매우 작으므로 스프링의 끝면에 대한 마감처리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볼과 접촉하는 스프링의 끝면이 절단면으로서 날카롭게 형성되므로, 탄성력에 의하여 볼과 소정의 압력으로 접할 때에 볼에 흠집이 발생하거나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상기와 같이 볼에 흠집이 발생하면 볼을 따라 흐르는 잉크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필기시에 선끊김이 발생하거나 군데군데 얼룩이 발생하여 글씨가 매끄럽지 못하다.
또 볼에 흠집이 발생하면 볼이 지면과 접촉할 때에 지면에 긁힘이 발생하면서 필기감이 부드럽지 못하다.
그리고 볼이 회전할 때에 스프링 끝면과의 마찰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탄성부재의 볼과 접촉하는 면을 곡면으로 형성하여 볼과의 마찰이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녹크식 수성 볼펜용 팁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녹크식 수성 볼펜용 팁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녹크식 수성 볼펜용 팁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립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탄성부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탄성부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탄성부재의 제2실시예를 적용한 녹크식 수성 볼펜용 팁을 나타내는 조립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탄성부재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탄성부재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탄성부재의 제4실시예를 적용한 녹크식 수성 볼펜용 팁을 나타내는 조립단면도.
도 9는 도 8의 A-A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녹크식 수성 볼펜용 팁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립단면도.
도 11은 3점지지를 나타내는 도 10의 B-B 단면도.
도 12는 4점지지를 나타내는 도 10의 B-B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탄성부재의 제4실시예를 적용한 녹크식 수성 볼펜용 팁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립단면도.
도 14의 C-C 단면도.
본 고안이 제안하는 녹크식 수성 볼펜용 팁은 한쪽 끝부분에는 잉크저장관이 조립되고 반대쪽 끝부분 내면에는 볼삽입부가 형성되는 팁본체와, 일부가 상기한 팁본체의 표면으로 노출되도록 볼삽입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볼과, 상기한 팁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한 볼에 바깥쪽으로 힘을 가하며 상기한 볼과 접하는 부분을 곡면으로 형성한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한 탄성부재는 탄성력을 저장하는 나선형상의 탄성부와 상기한 탄성부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직선형상의 누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누름부의 볼과 접하는 직선부 끝부분은 굽힘가공하여 곡면으로 형성한다.
또 상기한 탄성부재는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직선부 끝부분을 굽힘가공하는 상기한 누름부를 나선형상의 탄성부를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양쪽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탄성부재는 중간부분을 굽힘가공하여 두겹으로 만든 선재를 이용하여 누름부와 탄성부를 형성하고, 굽힘가공한 부분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직선부로 형성하여 누름부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녹크식 수성 볼펜용 팁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녹크식 수성 볼펜용 팁의 일실시예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 끝부분에는 잉크저장관(2)이 조립되고 반대쪽 끝부분 내면에는 볼삽입부(16)가 형성되는 팁본체(10)와, 일부가 상기한 팁본체(10)의 표면으로 노출되도록 볼삽입부(1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볼(30)과, 상기한 팁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한 볼(30)에 바깥쪽으로 힘을 가하며 상기한 볼(30)과 접하는 부분을 곡면으로 형성한 탄성부재(2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는 콘형(cone type)이라 불리는 방식의 팁본체(10)를 적용한 녹크식 수성 볼펜용 팁을 나타낸다.
상기한 팁본체(10)는 한쪽 끝부분에 계단형상으로 잉크저장관(2)에 삽입되는 조립부(18)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잉크저장관(2)과 연결되어 잉크가 공급되며 상기한 탄성부재(20)가 설치되는 잉크공급로(15)가 형성된다.
상기한 잉크공급로(15)에는 상기한 탄성부재(2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링(19)이 삽입된다.
또 상기한 탄성부재(20)는 상기한 잉크저장관(2)의 상기한 팁본체(10)와 연결되는 부분을 상기한 잉크공급로(15)의 지름보다 작은 안지름으로 형성하여 상기한 잉크공급로(15)에 걸리도록 구성하여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이외에도 상기한 팁본체(10)에 잉크공급로(15) 안쪽으로 돌기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한 탄성부재(20)가 걸리도록 구성하여 위치를 고정시키는 등의 여러가지 방법이 사용 가능하다.
또 상기한 팁본체(10)의 볼삽입부(16)와 잉크공급로(15)는 복수의 돌기(14)에 의하여 형성되는 잉크유도홈(13)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상기한 돌기(14)는 3∼5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탄성부재(20)의 제1실시예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력을 저장하는 나선형상의 탄성부(22)와, 상기한 탄성부(22)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직선형상의 누름부(24)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누름부(24)의 볼(30)과 접하는 직선부 끝부분인 접촉부(25)는 굽힘가공하여 곡면으로 형성한다.
또 상기한 탄성부재(20)의 누름부(24) 끝부분인 접촉부(25)를 굽힘가공하여 예를 들면 180°꺽어올린 부분의 끝면은 잉크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유연하게 유도하도록 경사면(26)으로 형성한다.
상기한 탄성부재(20)의 누름부(24)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면에서 보아서 상기한 탄성부(22)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한 탄성부(22)의 아래쪽 끝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중앙쪽으로 대략 수평으로 굽어지는 연결부(23)를 형성하고, 상기한 연결부(23)로부터 연장되고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굽어지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탄성부재(2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직선부 끝부분을 굽힘가공하는 상기한 누름부(24)를 나선형상의 탄성부(22)를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양쪽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대칭으로 누름부(24)를 형성하면, 상기한 탄성부재(20)가 길이는 대략 8∼15㎜ 정도이고 탄성부(22)의 지름은 대략 0.7∼1.2㎜ 정도로 매우 작으므로, 한쪽에 누름부(24)를 형성하는 것에 비하여 조립방향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되어 조립작업이 매우 편리하다.
또 상기한 탄성부재(2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부분을 굽혀 밀착시키는 것에 의하여 두겹으로 만든 선재를 이용하여 형성하고, 나선형상의 탄성부(22)와 직선형상의 누름부(24)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두겹으로 만든 선재를 이용하여 탄성부재(20)를 형성하면, 강도및 탄성력이 향상되므로 하나의 선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작은 지름의 선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탄성부재(20)는 도 7∼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력을 저장하는 나선형상의 탄성부(22)와, 상기한 탄성부(22)와 연결되어 형성되고 직선부와 2번이상 굽힘가공되어 상기한 볼(30)과 곡면 접촉하는 누름부(27)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누름부(24)를 2번이상 굽힘가공하여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하면, 상기한 팁본체(12)에 형성되고 대각방향으로 위치하는 잉크유도홈(13)을 양쪽으로 걸치면서 삽입되므로 탄성부재(20)의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한 볼(30)을 누르는 탄성력이 항상 정확하게 작용한다.
상기한 누름부(27)는 상기한 탄성부(22)로부터 연장하여 직선형상으로 형성하고, 끝부분인 접촉부(28)는 2번이상 굽힘가공하여 대략 삼각형상 또는 사다리꼴형상 등으로 형성한다.
도 10∼도 14에는 니이들파이프형(needle pipe type)이라 불리는 방식의 팁본체(40)를 적용한 녹크식 수성 볼펜용 팁을 나타낸다.
먼저 도 10∼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니이들파이프형의 팁본체(40)는 한쪽 끝부분에 계단형상으로 잉크저장관(2)에 삽입되는 조립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잉크저장관(2)과 연결되는 잉크공급로(43)가 형성되는 연결몸체(42)와, 상기한 연결몸체(42)에 삽입되고 끝면에는 볼(30)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볼삽입부(46)가 형성되는 니이들파이프(44)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볼삽입부(46)는 상기한 니이들파이프(44)의 끝부분에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힘을 가하여 안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부(45)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한 돌출부(45)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2개 또는 5개 이상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니이들파이프형 팁본체(40)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탄성부재(20)를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지만, 도 4 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탄성부재(20)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니이들파이프형 팁본체(40)에는 도 13∼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탄성부재(20)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상기한 돌출부(45)에 의하여 탄성부재(20)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볼(30)에 작용하는 탄성력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흔들림이 적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녹크식 수성 볼펜용 팁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녹크식 수성 볼펜용 팁에 의하면, 탄성부재의 누름부 끝부분인 접촉부가 곡면으로 형성되므로 볼이 접하여 회전할 때에 긁힘이나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필기시에 잉크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선끊김 등이 발생하지 않으며 항상 일정한 형태의 필기가 이루어진다.
또 필기시에 볼과의 마찰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필기감이 부드럽게 느껴진다.

Claims (5)

  1. 한쪽 끝부분에는 잉크저장관이 조립되고 반대쪽 끝부분 내면에는 볼삽입부가 형성되는 팁본체와,
    일부가 상기한 팁본체의 표면으로 노출되도록 볼삽입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볼과,
    상기한 팁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한 볼에 바깥쪽으로 힘을 가하며 상기한 볼과 접하는 부분을 굽힘가공하여 곡면으로 형성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녹크식 수성 볼펜용 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부재는 탄성력을 저장하는 나선형상의 탄성부와 상기한 탄성부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직선형상의 누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누름부의 볼과 접하는 직선부 끝부분인 접촉부는 180°굽힘가공하여 곡면으로 형성하는 녹크식 수성 볼펜용 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부재는 탄성력을 저장하는 나선형상의 탄성부와 상기한 탄성부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직선형상의 누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누름부의 볼과 접하는 직선부 끝부분인 접촉부는 2번이상 굽힘가공하여 삼각형상 또는 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하는 녹크식 수성 볼펜용 팁.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부재는 상기한 누름부를 나선형상의 탄성부를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양쪽에 형성하는 녹크식 수성 볼펜용 팁.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부재는 중간부분을 굽힘가공하여 두겹으로 만든 선재를 이용하여 탄성력을 저장하는 나선형상의 탄성부와 상기한 탄성부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직선형상의 누름부를 형성하는 녹크식 수성 볼펜용 팁.
KR2019990015113U 1999-07-27 1999-07-27 녹크식수성볼펜용팁 KR2001663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113U KR200166362Y1 (ko) 1999-07-27 1999-07-27 녹크식수성볼펜용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113U KR200166362Y1 (ko) 1999-07-27 1999-07-27 녹크식수성볼펜용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6362Y1 true KR200166362Y1 (ko) 2000-02-15

Family

ID=19582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113U KR200166362Y1 (ko) 1999-07-27 1999-07-27 녹크식수성볼펜용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3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350B1 (ko) 2011-01-18 2013-02-28 유동곤 필기구용 볼 홀더 및 이를 이용한 필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350B1 (ko) 2011-01-18 2013-02-28 유동곤 필기구용 볼 홀더 및 이를 이용한 필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5813B2 (en) Ball pen
KR0151506B1 (ko) 볼펜
JP4583291B2 (ja) 筆記具用クリップ
EP0080627A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retractable nib fountain pen
KR200166362Y1 (ko) 녹크식수성볼펜용팁
CN1119995A (zh) 笔记文具用帽
EP1055523B1 (en) Tip mechanism for knock-type ballpoint pen
JP2001180178A (ja) ニードル形ボールペンリフィール
KR200182795Y1 (ko) 니들형 볼펜리필
ITMI951790A1 (it) Matita meccanica
JP3502522B2 (ja) 複式筆記具
KR200214559Y1 (ko) 심회전식 필기구
KR200342412Y1 (ko) 필기구용 팁
KR200248171Y1 (ko) 녹크식 수성 볼펜용 팁의 심부구조
KR100360613B1 (ko) 볼식 액체용기의 선단팁
JP7469185B2 (ja) 万年筆
JP3304906B2 (ja) ボール式液体容器の先端チップ
KR200214558Y1 (ko) 심회전식 필기구
KR200214557Y1 (ko) 심회전식 필기구
KR940005257Y1 (ko) 복식 필기구
KR200244628Y1 (ko) 필기심
KR200251938Y1 (ko) 필기심
JPH022629Y2 (ko)
JP3393102B2 (ja) ボールペンのチップ
KR200324665Y1 (ko) 녹크식 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