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733Y1 - 끼움식 낚시 대롱 제작용 맨드릴 - Google Patents

끼움식 낚시 대롱 제작용 맨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733Y1
KR200202733Y1 KR2020000012132U KR20000012132U KR200202733Y1 KR 200202733 Y1 KR200202733 Y1 KR 200202733Y1 KR 2020000012132 U KR2020000012132 U KR 2020000012132U KR 20000012132 U KR20000012132 U KR 20000012132U KR 200202733 Y1 KR200202733 Y1 KR 2002027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fishing
inclined portion
talon
fish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2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은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은성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은성사
Priority to KR2020000012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7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7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7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봉체와 외주면에 경사부를 가지는 슬리이브로 구성된 끼움식 낚시 대롱 제작용 맨드릴에 관한 것으로, 정밀도와 진원도가 탁월한 낚시 대롱을 대량으로 제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낚시 대롱 제작을 위한 봉체와,
상기 봉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봉체와 동심을 이룬 채 상기 봉체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봉과,
상기 돌출봉이 삽입되는 구멍이 중심에 형성되며 외면에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의 반대쪽에는 홈이 형성된 슬리이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끼움식 낚시 대롱 제작용 맨드릴{DRILL FOR FISHING ROD MANUFACTURE}
본 고안은 끼움식 낚시 대롱 제작용 맨드릴에 관한 것이다.
낚시 대롱(10, 12, 14)을 하나씩 끼워서 연결시킨 후 사용하는 끼움식 낚시대는 근래에 이르러 크게 사용되고 있지는 않지만, 가격이 저렴하고 간단히 부분 교체가 가능한 등의 장점이 있어 현재까지 제품으로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런데, 비합리적인 방법에 의해 생산되기 때문에 제품의 정밀도가 비교적 낮고 불량의 발생률이 높으며 제작과정이 까다로운 등의 단점이 있다. 즉, 끼움식 낚시대는 의미 그대로 다수개의 낚시 대롱(10, 12, 14 ...)을 하나씩 끼워서 연결시킨 후 사용하도록 되어 있어서, 낚시 대롱끼리 끼울 때 스무드(smooth)하게 조립이 될 수 있도록 어느 한쪽의 끝 부분 안쪽에 경사구멍(12a, 14a)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말해서, 끼움식 낚시대(일명 스트레이트 조립식 낚시대)의 낚시 대롱(10, 12, 14...)들을 끼워서 조립시키고저 할 경우, 낚시 대롱의 도장 두께가 전부 균일하지 못하고 염분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로 인해 서로 잘 끼워지지 않으며 낚시대 대롱 소재(60)의 두께도 사실상 조금씩 다를 수가 있기 때문에 낚시 대롱끼리 쉽게 끼워서 조립시키기 위해서는 낚시 대롱들의 일측 내면에 경사구멍을 형성시키기 않을 수가 없는 것이다. 이를 위한 종래의 제작방법을 살핀다. 도 2a와 같이 봉체(50)의 일측에 삼각형 형태의 비닐(52)을 감아서 접착제로 끝 부분을 접착시킨다. 즉, 이 과정을 거치면 도 2b와 같이 비닐(52)은 봉체(50)의 끝 부분에 감겨진 채 고정이 되는데, 도 2b를 기준 하여서 볼 때 좌측 끝 부분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은 경사부를 형성하게 된다. 다음, 도 2c와 같이 봉체(50) 및 비닐(52)의 외측부에 낚시대 대롱 소재(60)를 층층이 감아서 접착제로 고정시킨다. 이후 건조 및 경화 시간을 거치게 되면 낚시대 대롱 소재(60)로부터 봉체(50)를 먼저 빼내고 마지막으로 비닐(52)을 낚시대 대롱 소재(60)로부터 빼낸다.
이로써 하나의 낚시 대롱의 제작이 완성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삼각형 형태의 비닐(52)을 봉체(50)의 끝 부분에 감으면 외측으로 나선형의 단이 여러개 형성이 될 수밖에 없고, 진원도가 양호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비닐(52) 위에 감겨진 낚시대 대롱 소재(60)의 내경 다시 말해서, 도 1을 기준하여서 볼 때 경사구멍(12a, 14a)의 안쪽에도 나선형의 단이 형성되고, 경사구멍(12a, 14a)의 진원도도 불량한 상태로 제작이 된다. 그러므로 2차 마무리 작업이 가해져야 한다. 즉, 1차로 제작된 경사구멍(12a, 14a)의 진원도를 양호하게 하면서 내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하여 연마작업을 가하여야 하는데, 연마작업이 까다로움은 물론 이 과정에서 경사구멍이 크게 가공되거나 혹은 작게 가공되는 등의 정밀도 저하 현상이 유발되고, 균열이 발생되는 등 불량이 발생되는 예가 많았다. 또한 연마면은 매끄럽지 못하기 때문에 낚시 대롱을 서로 끼우거나 분리시킬 때 부드럽지 못하고, 연마시 편심이 발생될 가능성이 커서 낚시 대롱을 끼우고 분리시킬 때 균열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아서 결국 낚시대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야기 시킨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경사구멍에 해당하는 부분에 낚시대 대롱 소재(60)를 더욱 두껍게 형성시키거나 또는 별도로 테이프를 덧 붙여주거나 혹은 실을 감아주는 보강수단을 적용하여 경사구멍에 해당하는 부분에 균열이 발생되는 현상을 예방코저 하였으나 이는 낚시 대롱의 중량이 증가하고 휨 밸런스가 양호하지 못하며 미관상으로도 불량한 등의 단점이 있음은 물론 제작단가가 상승되는 요인이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감겨져 있던 비닐을 낚시대 대롱 소재(60)로부터 빼낼 때 숙련도가 요구되고 이 과정에서 불량의 발생 가능성이 크며 소요되는 시간도 많아서 대량생산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낚시 대롱의 경사구멍이 균일하게 제작되고 불량이 발생되지 않으며 2차 연마작업이 불필요하여 보강수단을 적용하지 않아도 되며 대량생산이 가능한 등의 특징을 가지는 끼움식 낚시 대롱 제작용 맨드릴을 제공코저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낚시 대롱 제작을 위한 봉체와, 상기 봉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봉체와 동심을 이룬 채 상기 봉체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봉과, 상기 돌출봉이 삽입되는 구멍이 중심에 형성되며 외면에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의 반대쪽에는 홈이 형성된 슬리이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끼움식 낚시대의 구조를 나타낸 참고도.
도 2a, 2b, 2c는 끼움식 낚시 대롱의 종래 제작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참고도.
도 3은 본 고안을 나타낸 참고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2, 14 : 낚시 대롱 12a, 14a : 경사구멍
50 : 봉체 60 : 낚시대 대롱 소재
52 : 비닐 100 : 봉체
102 : 돌출봉 104 : 슬리이브
106 : 경사부 108 : 홈
110 : 구멍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기 위하여 생략할 것이다.
먼저, 낚시 대롱 하나의 길이에서 경사구멍의 길이를 뺀 길이를 가지는 원형 단면의 봉체(10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상술한 돌출봉(102)을 슬리이브(104)의 구멍(106) 안으로 끼운다. 이 상태는 도 4와 같다. 즉, 상기 봉체(100)와 돌출봉(102)의 길이를 합한 길이는 낚시 대롱 하나의 길이가 되는 것이다. 도 4와 같이 봉체(100)와 슬리이브(104)가 조립되면 봉체(100) 및 슬리이브(104)의 경사부(106)에 통상의 낚시대 대롱 소재(60)를 감아서 접착제로 고정시킨다. 이후 통상의 작업방법대로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슬리이브의 홈(108)에 적당한 공구를 끼워서 돌출봉(102)으로부터 슬리이브를 당겨서 간단히 빼낸다. 이때 숙련공이 아니더라도 슬리이브의 제거작업은 매우 간단히 이루어진다. 다음, 낚시대 대롱 소재(60)로부터 봉체(100)를 빼내면 하나의 낚시 대롱이 완성이 되며, 이러한 요령에 의해 직경이 각기 다른 낚시 대롱을 간단히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슬리이브(104)의 경사부(106)는 매우 정교하게 가공이 되어 있어서 표면이 매끄럽고 돌출봉(102)과 슬리이브(104)도 정밀한 공차를 가진 채 조립이 되기 때문에, 본 고안에 의해 제작된 낚시 대롱의 경사구멍(12a, 14a)은 후가공(연마작업)을 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정밀도 및 표면조도, 진원도가 양호하다. 따라서 경사구멍의 두께도 균일하게 되고 불량품이 발생될 요인이 없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와 같이 경사구멍의 외면에 보강수단을 가할 이유도 없어져서, 중량이 가벼워지고 휨 밸런스가 양호하여 짐은 물론 외관상으로도 깨끗하고 보기가 좋게 된다.
이상과 같이 살펴본 본 고안을 이용하여 낚시 대롱을 제작하면 종래의 제작방법으로부터 비롯되었던 각종 문제와 단점들이 일시에 해소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단위 시간당 정밀한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제작단가를 하락시켜 경쟁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낚시 대롱 제작을 위한 봉체와,
    상기 봉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봉체와 동심을 이룬 채 상기 봉체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봉과,
    상기 돌출봉이 삽입되는 구멍이 중심에 형성되며 외면에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의 반대쪽에는 홈이 형성된 슬리이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식 낚시 대롱 제작용 맨드릴.
KR2020000012132U 2000-04-28 2000-04-28 끼움식 낚시 대롱 제작용 맨드릴 KR2002027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132U KR200202733Y1 (ko) 2000-04-28 2000-04-28 끼움식 낚시 대롱 제작용 맨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132U KR200202733Y1 (ko) 2000-04-28 2000-04-28 끼움식 낚시 대롱 제작용 맨드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733Y1 true KR200202733Y1 (ko) 2000-11-15

Family

ID=19654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132U KR200202733Y1 (ko) 2000-04-28 2000-04-28 끼움식 낚시 대롱 제작용 맨드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73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85218A1 (en) Two piece bonded fishing rod blank and fishing rod
JP2003009722A (ja) 竿体の製造方法
KR200202733Y1 (ko) 끼움식 낚시 대롱 제작용 맨드릴
CN107486514A (zh) 一种双体扭簧成型装置
US6641551B1 (en) Cotton buds and swabs for medical use
US4003776A (en) Method of fabricating a demountable rod
DE19701914A1 (de) Optisches Verbindungsstück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JP2009523557A (ja)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76614B1 (ko) 손상된 나사산 보강을 위한 탭 보강 수단 및 이의 제조 방법
JPS5869665A (ja) 紡績用木管
JPH0740965Y2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用キャピラリ
JPH0829037B2 (ja) 釣り竿を形成すべく互いに嵌合される熱硬化性樹脂含浸補強繊維において管状要素を具現化する管状要素具現化方法
KR910004298B1 (ko) 보이스 코일용 보빈의 제조방법
JP2009159836A (ja) 釣竿
KR200284743Y1 (ko) 세관 청소용 면봉
JPH0537A (ja) 並継ぎ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23471Y2 (ko)
KR100213563B1 (ko) 대롱내면에 나선형가이드가 돌출되는 중간통과 낚시대대롱의 제조방법
CN209601727U (zh) 一种薄带卷筒放卷卡箍装置
JPH023472Y2 (ko)
KR100683959B1 (ko) 복합재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롤 브러시
JPH0739277A (ja) 中通し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55164126A (en) Manufacture of fiber-reinforced plastic coil spring
JPS6329010B2 (ko)
JPH011869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