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840Y1 - 도로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 - Google Patents

도로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840Y1
KR200252840Y1 KR2020010022227U KR20010022227U KR200252840Y1 KR 200252840 Y1 KR200252840 Y1 KR 200252840Y1 KR 2020010022227 U KR2020010022227 U KR 2020010022227U KR 20010022227 U KR20010022227 U KR 20010022227U KR 200252840 Y1 KR200252840 Y1 KR 2002528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variable
barrier
road
rea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의철
김태용
나현애
Original Assignee
노의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의철 filed Critical 노의철
Priority to KR2020010022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8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8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840Y1/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은, 폐합성수지를 주 원료로 석분, 카본 등 보강재를 혼합, 용해하여 압축ㆍ성형ㆍ제작하여 통상의 도로용 방호벽의 전후면에 설치되며, 적어도 방호벽의 상,하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그 몸체의 소정 부위에는 앵커 볼트의 체결을 위한 장공이 형성되고, 몸체의 양단에는 코너면 접이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가변형 전후면 커버부재; 상기 복수의 가변형 전후면 커버부재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코너면 접이부의 내측에 각각 밀착 설치되며, 방호벽의 좌우 측면을 커버링하는 좌우측면 커버부재; 및 상기 방호벽의 상면에 설치되며, 방호벽의 상면을 커버링하는 상면 커버부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방호벽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분리형의 커버부재로 되어 있고, 그 커버부재에는 앵커 볼트의 체결을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되, 커버부재의 상하 방향 또는 상하좌우 방향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관통공이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기존의 방호벽에 용이하게 장착하여 필요시 방호벽의 좌우측 길이, 높이 및 두께를 간단히 보강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도로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Variable structures for a protective wall of a road}
본 고안은 도로나 교량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는 교통안전용 방호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설치된 방호벽에 설치하여 측면 길이, 높이, 두께를 가변시켜 줌으로써 규정치에 미달하는 방호벽의 길이, 높이, 두께를 규정치에 적합하게 용이하게 조정해 줄 수 있는 도로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교통안전을 위해 가드 레일, 차광망, 방향 유도등, 방향유도 표지판, 방음벽, 방호벽 등 각종 교통안전 시설물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 중에 방호벽은 도로의 양측 혹은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도로 측방이 비탈진 곳이나 급커브 도로에서 차량이 도로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구조물이다.
도 1은 종래의 도로용 방호벽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도로용 방호벽(100)은 차량 충돌에 대한 항거력을 가질 수 있도록 그 내부에 철근을 갖는 직육면체형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방호벽 몸체의 전면과 측면에는 운전자의 야간 주행중 방호벽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전체 바탕(101)은 통상 노란색 페인트로 도포되어 있고,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는 보통 흰색 혹은 흑색의 페인트로 소정 폭의 줄띠(102)가 그려져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방호벽은 일정 규정치(좌우측 길이가 1000mm, 두께가 200mm, 높이가 550mm)로 설치되는데, 전국의 도로 등에 기설치되어 있는 방호벽의 경우 규정치에 미달되는 것이 많이 산재해 있다. 따라서,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방호벽을 철거하고, 방호벽을 새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대두되는 바, 그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수반된다. 또한, 규정치 대로 제작 설치된 방호벽의 경우에도 도로의 노면 보수 공사(덧씌우기) 등으로 인해 노면이 높아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도로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방호벽의 높이가 낮아지는 결과가 초래되어 교통안전 시설물의 일정 기준에 미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 경우에도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방호벽을 철거하고, 방호벽을 새로 설치하거나 도로의 바닥면을 걷어내야 하는 문제가 대두되며, 따라서 그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수반된다.
또한, 상기 방호벽이 장기간 시간이 경과할 경우 염해, 동해 등의 풍화작용에 의해 콘크리트층의 박리, 박락 등으로 내구성이 약화되어 그 성능이 약화되어 그 성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페인트가 표면에서 떨어지게 되어 야간 운행 중운전자가 방호벽을 육안으로 확인하기가 어려워 지게 된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사항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기존의 방호벽에 용이하게 장착하여 기준 미달의 방호벽의 측면 길이, 높이, 두께를 기준치에 적합하게 가변 조정하여 줄 수 있는 도로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로용 방호벽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을 방호벽에 설치한 상태에서의 조립 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을 방호벽에 설치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5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가변형 전후면 커버부재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본 고안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의 분해 상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을 방호벽에 설치한 상태에서의 조립 상태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을 방호벽에 설치한 상태에서의 횡단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을 방호벽에 설치한 상태에서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500...방호벽 201a,201b...가변형 전후면 커버부재
201h,501h,501k...장공 201f,501f...코너면 접이부
201t,501t...걸림턱 202a,202b,502a,502b...좌우측면 커버부재
203...상면 커버부재 203h,503h...관통공
204,504...앵커 볼트 205,505...운전자 시선 유도수단
400,700,800...모르타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은,
통상의 도로용 방호벽의 전후면에 설치되며, 적어도 방호벽의 상,하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그 몸체의 소정 부위에는 앵커 볼트의 체결을 위한 장공이 형성되고, 몸체의 양단에는 코너면 접이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가변형 전후면 커버부재;
상기 복수의 가변형 전후면 커버부재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코너면 접이부의 내측에 각각 밀착 설치되며, 방호벽의 좌우 측면을 커버링하는 좌우측면 커버부재; 및
상기 방호벽의 상면에 설치되며, 방호벽의 상면을 커버링하는 상면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가변형 전후면 커버부재는 상하좌우 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분리형 상하좌우 가변형 측판부재와, 그 측판부재를 보강 고정하기위한 보강고정용 중앙판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2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방호벽에 설치한 상태에서의 조립 상태 사시도이며, 도 4는 방호벽에 설치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은 가변형 전후면 커버부재(201a)(201b), 좌우측면 커버부재(202a)(202b) 및 상면 커버부재(203)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가변형 전후면 커버부재(201a)(201b)는 통상의 도로용 방호벽(200)의 전후면에 설치되며, 적어도 방호벽(200)의 상,하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그 몸체의 소정 부위에는 앵커 볼트(204)의 체결을 위한 장공(201h)이 형성되고, 몸체의 양단에는 코너면 접이부(201f)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전후면 커버부재(201a) (201b)의 내면부 상단에는 상기 상면 커버부재(203)의 안착을 용이하게 하고, 상면 커버 부재(203)에 의해 커버링되는 방호벽(200) 상면부의 기밀 상태를 양호하게 하기 위한 걸림턱(201t)이 각각 마련된다. 이와 같은 전후면 커버부재(201a)(201b)는 폐합성수지를 재활용하여 공장에서 압축, 성형 제작한 폴리에틸렌 재질로 제작된다. 또한, 커버부재(201a)(201b)의 외면부는 운전자의 눈에 잘 띄도록 단색(예컨대, 황색)으로 색처리되는데, 황색 페인트로 외면부를 도포할 수도 있고, 황색 스티커 페이퍼로 도배할 수도 있다.
상기 좌우측면 커버부재(202a)(202b)는 상기 가변형 전후면 커버부재(201a)(201b)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코너면 접이부(201f)의 내측에 각각 밀착 설치되며, 방호벽(200)의 좌우 측면을 커버링하게 된다. 이 좌우측면 커버부재(202a) (202b)의 외면부도 황색 페인트나 황색 스티커 페이퍼로 외면처리되며, 재질은 전후면 커버부재(201a)(201b)와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좌우측면 커버부재(202a)(202b)에 앵커 볼트의 체결을 위한 관통공을 형성하여 앵커 볼트로 체결할 수도 있다.
상기 상면 커버부재(203)는 상기 방호벽(200)의 상면에 설치되며, 방호벽 (200)의 상면을 커버링하게 된다. 이 상면 커버부재(203)에는 앵커 볼트의 체결을 위한 관통공(203h)이 형성된다. 이 상면 커버부재(203)도 폴리에틸렌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상과 같은 전후면 커버부재(201a)(201b) 및 좌우측면 커버부재 (202a)(202b)의 대략 상단부에는 통상 운전자 시선 유도수단(205)이 마련된다. 이 운전자 시선 유도수단(205)은 자동차의 운행 시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여 방호벽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 백색 야광띠나 흑색띠(페인트칠이나 스티커 부재를 부착)가 사용되나, 그외에 자동차의 헤드 라이트 불빛을 받으면 난반사하여 발광 효과를 내는 반사경이나 특정 형태의 반사구조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전후면 커버부재(201a)(201b)의 소정 부위에는 비나 눈, 안개 등으로 인한 기상악화시 점멸 작동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방호벽 식별력을 높여주기 위한 점멸기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은 기존의 방호벽중에서 규정치 대로의 길이와 두께를 가지나 단지 높이만 낮아진 경우의 방호벽이나, 신축 방호벽에 주로 채용된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면 커버부재(201a)(201b)와 좌우측면 커버부재(202a)(202b)를 방호벽(200)의 전후면과 좌우측면에 각각 설치한 상태에서, 방호벽(200)의 상면에 모르타르(400)를 방호벽의 낮아진 높이를 보상할 만큼의 높이로 타설한 후, 상면 커버부재(203)를 앵커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본 고안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렇게, 본 고안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을 방호벽(200)에 설치하여 사용하다가, 어떤 원인에 의해 방호벽(200)의 높이가 낮아져 다시 그 높이를 보강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먼저 전후면 커버부재(201a)(201b) 및 상면 커버부재(203)를 고정하고 있는 너트를 각각 푼다. 그런 후, 상면 커버부재(203)를 벗겨 낸 후 전후면 커버부재(201a)(201b)와 좌우 측면 커버부재(202a)(202b)를 필요한 높이 만큼 위로 각각 끌어올린다. 이때, 전후면 커버부재(201a)(201b)는 앵커 볼트(204)가 관통 삽입되어 있는 장공(201h)에 의해 쉽게 위로 끌어올려지게 된다. 전후면 커버부재 (201a)(201b)와 좌우 측면 커버부재(202a)(202b)를 필요한 만큼 끌어 올린 후, 전후면 커버부재(201a)(201b) 고정용 너트를 다시 각각의 앵커볼트(204)에 조여, 전후면 커버부재(201a)(201b)를 방호벽(200)에 고정시킨다. 전후면 커버부재(201a) (201b)가 단단히 고정됨에 따라 방호벽(200)의 측면과 전후면 커버부재(201a) (201b)의 코너면 접이부(201f) 사이에 위치하는 좌우 측면 커버부재(202a)(202b)도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렇게 하여, 방호벽(200)의 상단면에 형성된 공간에 모르타르를 다시 타설하고 상면 커버부재(203)를 앵커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방호벽 높이의 재보강 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은 상기 가변형 전후면 커버부재(201a)(201b)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본 고안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5는 분해 상태 사시도이고, 도 6은 방호벽에 설치한 상태에서의 조립 상태 사시도이며, 도 7은 방호벽에 설치한 상태에서의 횡단면도이고, 도 8은 방호벽에 설치한 상태에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이 다른 실시예의 경우는 상기 가변형 전후면 커버부재(201a)(201b)를 상하좌우 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분리형 상하좌우 가변형 측판부재(501a)(501b)와, 그 측판부재(501a)(501b)를 보강 고정하기 위한 보강고정용 중앙판부재(501c)로 구성한 것이다. 즉, 앞에서의 전후면 커버부재(201a)(201b)가 상,하측의 2방향으로만 움직임이 가능한 것에 반해, 이 다른 실시예의 경우는 상하좌우 4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상하좌우 가변형 측판부재(501a)(501b)의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하좌우 가변형 측판부재(501a)(501b)에는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장공이 합쳐진 형태의 장공(501h)이 형성된다. 여기서, 이 장공(501h)의 형태는 산(山)자를 거꾸로 한 형태나 왕(王)자를 옆으로 누인 것과 같은 형태 등 다양한 변경 응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보강고정용 중앙판부재(501c)에도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임이가능하도록 장공(501k)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분리형 전후면 커버부재, 즉 상하좌우 가변형 측판부재(501a) (501b)와 보강고정용 중앙판부재(501c)로 구성된 이 다른 실시예의 경우는 좌우측 길이, 높이, 두께가 규정치에 미달되는 기존의 방호벽에 적용할 경우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좌우측 측면길이, 높이 등이 기준에 미달인 기존의 방호벽(500)에 적용할 경우,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좌우 가변형 측판부재(501a) (501b), 보강고정용 중앙판부재(501c) 및 좌우 측면 커버부재(502a)(502b)를 설치한 후, 방호벽(500)의 좌우측면의 빈 공간에 모르타르(700)를 각각 타설하여 좌우측면 길이를 보강한다. 그런 후, 방호벽(500)의 상면에도 모르타르(800)를 타설하여 높이를 보강한 후, 상면 커버부재(503)를 앵커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전후면 커버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상과 같은 상하좌우 가변형 측판부재(501a)(501b)와 보강고정용 중앙판부재(501c)를 구비하는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도, 기존 방호벽에 설치되어 사용되다가 방호벽의 좌우측면 길이 및/또는 높이를 보강해야 할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각각의 너트를 풀고, 해당 커버 부재들을 가변 조정한 후, 모르타르를 새로이 타설하고, 최종적으로 상면 커버부재(503)를 다시 고정 시킴으로써, 필요한 보강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8에서 참조 부호 501f는 코너면 접이부, 501t는 걸림턱, 504는 앵커 볼트, 505는 운전자 시선 유도수단을 각각 나타낸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은 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방호벽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분리형의 커버부재로 되어 있고, 그 커버부재에는 앵커 볼트의 체결을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되, 커버부재의 상하 방향 또는 상하좌우 방향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관통공이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기존의 방호벽에 용이하게 장착하여 필요시 방호벽의 좌우측 길이, 높이 및 두께를 간단히 보강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통상의 도로용 방호벽의 전후면에 설치되며, 적어도 방호벽의 상,하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그 몸체의 소정 부위에는 앵커 볼트의 체결을 위한 장공이 형성되고, 몸체의 양단에는 코너면 접이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가변형 전후면 커버부재;
    상기 복수의 가변형 전후면 커버부재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코너면 접이부의 내측에 각각 밀착 설치되며, 방호벽의 좌우 측면을 커버링하는 좌우측면 커버부재; 및
    상기 방호벽의 상면에 설치되며, 방호벽의 상면을 커버링하는 상면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전후면 커버부재의 내면부 상단에는 상기 상면 커버부재의 안착을 용이하게 하고, 상면 커버부재에 의해 커버링되는 방호벽 상면부의 기밀 상태를 양호하게 하기 위한 걸림턱이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전후면 커버부재는 상하좌우 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분리형 상하좌우 가변형 측판부재와, 그 측판부재를 보강 고정하기 위한 보강고정용 중앙판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좌우 가변형 측판부재에는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장공이 합쳐진 형태의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고정용 중앙판부재에는 상하방향의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좌우 가변형 측판부재의 내면부 상단에는 상기 상면 커버부재의 안착을 용이하게 하고, 상면 커버부재에 의해 커버링되는 방호벽 상면부의 기밀 상태를 양호하게 하기 위한 걸림턱이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
KR2020010022227U 2001-07-23 2001-07-23 도로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 KR2002528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227U KR200252840Y1 (ko) 2001-07-23 2001-07-23 도로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227U KR200252840Y1 (ko) 2001-07-23 2001-07-23 도로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4229A Division KR100400936B1 (ko) 2001-07-23 2001-07-23 도로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2840Y1 true KR200252840Y1 (ko) 2001-11-17

Family

ID=73105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227U KR200252840Y1 (ko) 2001-07-23 2001-07-23 도로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8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2840Y1 (ko) 도로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
KR100400936B1 (ko) 도로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
KR100659735B1 (ko) 유턴 가능한 비상용 도로의 중앙분리대
KR100625468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0374000B1 (ko) 도로에 설치된 지주바의 지지용 기초 보호판
GB2165873A (en) Reflective road markers
KR20060035554A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JP3914376B2 (ja) 道路鋲
KR200371172Y1 (ko)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KR200160931Y1 (ko) 조립식 중앙분리대의 구조
KR0119966Y1 (ko) 도로용 경계블록
KR102638338B1 (ko) 고강도의 경량화 도로 경계 구조물
KR200187955Y1 (ko) 중앙 분리대
KR200376037Y1 (ko) 도로 표지병
KR200274543Y1 (ko) 조립식 차선분리대
KR200245240Y1 (ko) 도로 경계용 블록
KR102566802B1 (ko) 지주에 설치되는 보행자용 안전 장치
KR19980014564U (ko) 배수보도블럭야광경계석
JPH07233511A (ja) 路面標識及びその取付方法
KR20000017885U (ko) 운전자 시선유도표지
KR200352001Y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200184733Y1 (ko) 재활용 도로 표지병
KR200391852Y1 (ko) 조립식 횡단보도
KR200233145Y1 (ko) 과속방지턱
KR200151916Y1 (ko) 폐타이어 수납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