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955Y1 - 중앙 분리대 - Google Patents

중앙 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955Y1
KR200187955Y1 KR2019960049128U KR19960049128U KR200187955Y1 KR 200187955 Y1 KR200187955 Y1 KR 200187955Y1 KR 2019960049128 U KR2019960049128 U KR 2019960049128U KR 19960049128 U KR19960049128 U KR 19960049128U KR 200187955 Y1 KR200187955 Y1 KR 2001879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einforcement
guide member
post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91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6133U (ko
Inventor
신경환
Original Assignee
신경환
이동명
김신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경환, 이동명, 김신욱 filed Critical 신경환
Priority to KR20199600491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955Y1/ko
Publication of KR199800361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1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9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955Y1/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중앙 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충전수를 채우기 위하여, 조정이 가능한 두께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정/배면부는 곡부를 이루며, 보강을 위하여 정/배면 및 베이스에 형성된 다수 개의 보강부, 정/배면을 관통하는 강도보강용 관통구멍 및 강도보강용 보강홈과, 상기 본체의 상단에 철망체를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포스트 안내부재와, 상기 본체의 일측부에 설치된 드레인 부재와, 상기 철망체는 상기 포스트 안내부재에 삽입되는 포스트를 가지며, 본체의 양측부에 오목부 및 볼록부로 구성되는 접속부와, 상기 오목부 및 볼록부를 관통하는 고정봉 삽입구멍과, 이 고정봉 삽입구멍에 삽입되어 본체를 지중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에 삽입설치될 양단에 고리를 가지는 와이어로프로 구성된다.
따라서, 가벼운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본체를 이용하여 도로의 중앙 분리대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운반성 및 시공성이 뛰어나고 실제 설치 후에는 내부에 충전수를 가득 채워 무게가 매우 무거워 각종의 차량사고에 있어서 완벽한 중앙 분리대로서의 기능을 다하며, 교환 및 보수시에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중앙분리대
본 고안은 중앙 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안전운행을 위하여 도로 중앙에 좌우차선을 분리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부재로서, 무게를 가볍게 하여 시공시에 원활한 설치가 되게 하고 설치 후에는 어느 정도 중량이 있어 중앙 분리대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한 시공성 및 기능성이 뛰어난 중앙 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앙 분리대는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도로, 특히 고속도로 중앙에 설치하여 양쪽차선의 구분을 명확하게 하고 있다. 또 이러한 중앙 분리대는 사고 발생시 가드 역할을 하여 더 큰 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중앙 분리대는 콘크리트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보통 그 무게가 400kg 이상이어서 설치시에 대형 크레인을 이용하여 시공하게 되므로 설치성 내지 시공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이것은 통상 낱개로 되어있기 때문에 시공에 걸리는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의 콘크리트재의 중앙 분리대는 차량에 의한 파손시에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폐기해야 하는데, 이에 따른 산업폐기물 상의 문제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시공시에는 무게를 가볍게 하여 원활한 설치가 되게하고 도로에 설치된 후에는 중량이 있어 중앙 분리대로서의 역할을 다하게 하여 시공성 및 기능이 뛰어난 중앙 분리대를 제공함에 있다.
제 1도는 본 고안의 중앙 분리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 2도는 본 고안의 중앙 분리대를 나타낸 일부절단 횡단면도
제 3도는 본 고안의 중앙 분리대를 나타낸 정면도
제 4도는 본 고안의 중앙 분리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베이스
14 : 보강부 16 : 관통구멍
18 : 보강홈 20 : 공간부
30 : 철망체 32 : 포스트
34 : 포스트 안내부재 36 : 구멍
40 : 드레인 부재 42 : 패킹
50 : 접속부 52 : 오목부
54 : 볼록부 55 : 고정봉 삽입구멍
60 : 고정봉 70 : 와이어로프
72 : 고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중앙 분리대는,
적어도 내부공간에 충전수를 채워서 충격을 완하하기 위한 본체를 가지는 중앙분리대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정/배면부는 곡부를 이루며, 보강을 위하여 정/배면 및 베이스에 형성된 다수개의 보강부, 정/배면을 관통하는 강도보강용 관통구멍 및 강도보강용 보강홈과,
상기 본체의 상단에 철망체를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포스트 안내부재와,
상기 포스트 안내부재를 받아들이고 충전수를 충전하기 위한 구멍과,
본체의 일측에 돌출되지 않고 내부를 향하여 함몰설치되는 드레인 부재와,
상기 철망체는 상기 포스트 안내부재에 삽입되는 포스트를 가지며,
본체의 양측부에 오목부 및 볼록부로 구성되는 접속부와,
상기 오목부 및 볼록부를 관통하는 고정봉 삽입구멍과,
이 고정봉 삽입구멍에 삽입되어 본체를 지중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에 삽입설치될 양단에 고리를 가지는 와이어로프로 구성된다.
따라서, 가벼운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본체를 이용하여 도로의 중앙 분리대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운반성 및 시공성이 뛰어나고 실제 설치 후에는 내부에 충전수를 가득 채워 무게가 매우 무거워 각종의 차량차고에 있어서 완벽한 중앙 분리대로서의 기능을 다하며, 교환 및 보수시에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중앙 분리대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중앙 분리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중앙 분리대를 나타낸 일부절단 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부호 10은 합성수지재, 예를들면 UV안정제를 함유한 HDPE로 성형된 본체이다. 이 본체(10)는 조정가능한 두께 7∼8mm 이며, 내부가 공간부(20)로 되어 있고 이 공간부(20)에는 충전수를 채우게 된다. 물 충전 전의 무게는 30∼40kg이고, 물 충전 후의 무게는 400∼450kg 이다.
이 본체(10)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만큼 색상의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하게 변화를 줌으로써 밝은 도로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상단은 철망체(30)를 지지하기 위하여 고무체로된 포스트 안내부재(34)를 받아 들이기 위한 접속구멍을 가지고 있고, 정/배면부는 곡부를 이루며 보강을 위하여 다수개의 보강부(14)를 형성하고 있다. 또 상기 본체(10)의 정/배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2개의 강도보강용 관통구멍(16)이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11)에도 강도보강용 보강홈(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의 일측부에는 드레인 부재(40)가 설치된다. 이 드레인 부재(40)는 어느 형식의 것을 사용해도 좋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날개붙이 나사를 채택하여 나사맞춤/풀림에 의한 배수를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부호 42는 상기 드레인 부재(40)의 설치시에 사용하는 패킹이다.
부호 32는 상기 철망체(30)를 상기 본체(10)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철망체(30)의 양측에 설치된 포스트이다. 상기 포스트(32)는 상기 포스트 안내부재(34)에 뚫린 구멍(36)에 삽입되어 상기 철망체(30)를 본체(10)에 고정 접속하게 된다.
상기 구멍(36)은 충전수 공급구멍의 역할도 한다. 즉, 본 고안의 중앙 분리대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급수차로부터 충전수를 공급받아 이 구멍(36)을 통하여 공간부(20)내로 충전수를 채우게 된다.
부호 50은 본체(10)의 양측부에 요철형상으로 형성된 접속부이다. 즉, 상기 본체(10)는 낱개로 제작되어 실제 시공에서는 각 엘레멘트를 조합하여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조립에 있어서 오목부(52) 및 볼록부(54)로 구성된 요철 접속부(50)를 이용하여 낱개의 본체(10)를 조립한다. 즉 엘레멘트로서 어느 하나의 본체(10)의 오목부(52)는 접속될 다른 하나의 본체(10)의 볼록부(54)와 끼워맞춤하여 접속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중앙 분리대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중앙 분리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부호 60은 고정봉이다. 이 고정봉(60)은 상기 오목부(52) 및 볼록부(54)를 관통하는 고정봉 삽입구멍(56)에 삽입되어 각 엘레멘트로서의 본체(10)를 지중(地中)에 고정한다. 이 고정봉(60)의 길이는 상기 본체(10)의 높이보다 길게 설정되어 땅속에 매설됨으로써 견고하게 본체(10)를 고정한다.
부호 70은 상기 고정봉(60)에 삽입 설치될 양단에 고리(72)를 가지는 와이어 로프이다. 이 와이어로프(70)는 그 고리(72)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봉(60)에 미리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봉 삽입구멍(56)에 고정봉(60)이 삽입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것으로 된다. 이 와이어로프(7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본체(10)끼리 얽어매는 형태로 조립되어 각각의 본체(10)를 견고하게 결속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중앙 분리대는,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운반성이 좋고 시공시에는 1인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비를 절약한다. 충전수를 채운 후, 즉 시공 후에 차량 등이 돌진하여 본체(10)를 가격할 때에 내부의 공간부(20)에 충전수가 채워져 있기 때문에, 가드역할을 확실하게 하여 반대차선으로 차량이 튕겨나가 2차 연쇄충돌을 방지하며, 충돌 후에는 본체(10)가 파손되는 것이 아니라 형상이 변경되는 것이어서 재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 수리 및 교환시에는 충전수를 상기 드레인 부재(40)를 이용하여 빼내고 상기 고정봉(60)을 상기 고정봉 삽입구멍(56)으로부터 빼내어 와이어로프(70)를 해체할 뿐으로 분해가 가능하여 신속하게 교환할 수 있는 교환성이 우수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중앙 분리대에 의하면, 가벼운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본체를 이용하여 도로의 중앙 분리대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운반성 및 시공성이 뛰어나고 실제 설치 후에는 내부에 충전수를 가측 채워 무게가 매우 무거워 각종의 차량신고에 있어서 완벽한 중앙 분리대로서의 기능을 다하며, 교환 및 보수시에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적어도 내부공간에 충전수를 채워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본체를 가지는 중앙분리대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정/배면부는 곡부를 이루며, 보강을 위하여 정/배면 및 베이스에 형성된 다수개의 보강부, 정/배면을 관통하는 강도보강용 관통구멍 및 강도보강용 보강홈과,
    상기 본체의 상단에 철망체를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포스트 안내부재와,
    상기 포스트 안내부재를 받아들이고 충전수를 충전하기 위한 구멍과,
    본체의 일측에 돌출되지 않고 내부를 향하여 함몰설치되는 드레인 부재와,
    상기 철망체는 상기 포스트 안내부재에 삽입되는 포스트를 가지며,
    본체의 양측부에 오목부 및 볼록부로 구성되는 접속부와,
    상기 오목부 및 볼록부를 관통하는 고정봉 삽입구멍과,
    이 고정봉 삽입구멍에 삽입되어 본체를 지중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에 삽입설치될 양단에 고리를 가지는 와이어로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분리대.
KR2019960049128U 1996-12-14 1996-12-14 중앙 분리대 KR2001879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9128U KR200187955Y1 (ko) 1996-12-14 1996-12-14 중앙 분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9128U KR200187955Y1 (ko) 1996-12-14 1996-12-14 중앙 분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133U KR19980036133U (ko) 1998-09-15
KR200187955Y1 true KR200187955Y1 (ko) 2000-07-15

Family

ID=19479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9128U KR200187955Y1 (ko) 1996-12-14 1996-12-14 중앙 분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9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091B1 (ko) * 2002-03-05 2005-03-14 주식회사 평화티씨엠 건축사사무소 도로용 고탄력 중앙/차선 분리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154Y1 (ko) * 2014-10-02 2015-12-23 주식회사 하이큐 가림막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091B1 (ko) * 2002-03-05 2005-03-14 주식회사 평화티씨엠 건축사사무소 도로용 고탄력 중앙/차선 분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133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7955Y1 (ko) 중앙 분리대
KR20080079361A (ko) 가로등 등주의 연결구조
KR20070011703A (ko) 절연성 맨홀구조
KR200403742Y1 (ko) 절연성 맨홀구조
KR102057202B1 (ko) 도로 방호블록 연결기구
KR200163762Y1 (ko) 교량용조립식방호벽
KR200233400Y1 (ko) 와이어 로우프 외장형 난간
KR200259641Y1 (ko) 도로 교통시설물의 지주 설치구조
KR100400936B1 (ko) 도로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
KR100660804B1 (ko) 합성수지 하우징에 콘크리트가 충전된 조립형 중앙분리대
KR200252840Y1 (ko) 도로의 방호벽용 가변 구조물
KR200412189Y1 (ko) Pe 도로중앙분리대
KR200305611Y1 (ko) 다종류의 완충재로 형성된 자동차 충돌방지대
KR100372977B1 (ko) 조립식 가드레일
KR200270838Y1 (ko) 폐타이어를주재로한도로중앙분리대장치
MXPA02000775A (es) Barrera contra accidentes para carreteras o similares que comprende barandas reforzadas con fibra de madera.
JP5004131B2 (ja) 道路用標示体
KR200152834Y1 (ko) 조립식 과속 방지턱
KR200205618Y1 (ko) 보·차도용 블록
KR200304277Y1 (ko) 도로 중앙분리대의 높이인상구조
KR200151916Y1 (ko) 폐타이어 수납케이스
KR200163760Y1 (ko) 도로의중앙분리대용방호벽
KR200268166Y1 (ko) 완충기능을 갖춘 교량용 도로경계 구조물
KR200233145Y1 (ko) 과속방지턱
KR200215194Y1 (ko) 조립식 과속방지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