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154Y1 - 가림막 장치 - Google Patents

가림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154Y1
KR200479154Y1 KR2020140007182U KR20140007182U KR200479154Y1 KR 200479154 Y1 KR200479154 Y1 KR 200479154Y1 KR 2020140007182 U KR2020140007182 U KR 2020140007182U KR 20140007182 U KR20140007182 U KR 20140007182U KR 200479154 Y1 KR200479154 Y1 KR 2004791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support
upper mounting
pipe
moun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1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현
송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큐
Priority to KR20201400071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1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1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1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부지지체(100)에 연결지지체(200)에 의해 체결되는 상부가림막(300)으로 이루어진 가림막 장치로서, 상기 하부지지체(100)에는, 몸체부(110)의 좌우측 중 일측에는 돌기(12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홈(130)이 형성되어 인접하는 하부지지체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홈(130)의 상측 및 하측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상부돌출단(140)과 하부돌출단(150)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돌출단과 하부돌출단에는 제1장착홀(145)와 제2장착홀(155)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지지체(200)는, 연결플레이트(2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장착홀(145)와 제2장착홀(155)에 삽입 장착되는 하부장착관(220)과 연결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장착관(230,2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가림막(300)은, 가림막(310)과 상기 가림막을 테두리에서 지지하면서 상기 상부장착관(230,240)에 삽입장착되는 가림막 프레임(3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막 장치이다. 본 고안은 상기 구성에 의해서 가림막 장치를 공사 현장에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시공현장의 시공효율이 증대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림막 장치{SCREEN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SITE}
본 고안은 공사장 현장에 사용되는 가설 가림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사현장 둘레에 합성수지 재질의 가림판을 효과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구성과 구조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사현장에 설치되는 조립식 가림막은 공사현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 또는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조립식 가림막은 공사 현장의 경계부를 따라 다수의 가림막이 상호 끼워져 결합 되고, 다수의 가림막을 일체화시키기 위해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지주가 배치되면, 상기 지주 파이프에 고정 프레임을 끼운 다음 상기 가림막을 연결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림막은 건물 등의 공사현장에서 한시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경제성을 고려하여 설치 및 철거를 용이하게 하고 동시에 설치에 따른 견고성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종래에 개발되어 사용되는 공사장 가림막 설치용 체결구의 경우 조립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 및 철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림막은 지주와 가림막을 결착기구로 하나하나 결착시킴으로 체결작업이 불편하여 설치와 해체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용되는 비능률적인 결점이 있다.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특허출원 제10-2010-0129873호의 "가설방음벽 설치용 체결구" 와 실용신안출원 제10-2009-0002224호의 "공사장 가림막 설치용 체결구" 가 있으나 설치 및 해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공사 현장에 사용되는 가설 가림막 패널을 효과적으로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는 조립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하부지지체(100)에 연결지지체(200)에 의해 체결되는 상부가림막(300)으로 이루어진 가림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체(100)에는, 몸체부(110)의 좌우측 중 일측에는 돌기(12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홈(130)이 형성되어 인접하는 하부지지체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홈(130)의 상측 및 하측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상부돌출단(140)과 하부돌출단(150)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돌출단과 하부돌출단에는 제1장착홀(145)와 제2장착홀(155)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지지체(200)는, 연결플레이트(2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장착홀(145)와 제2장착홀(155)에 삽입 장착되는 하부장착관(220)과 연결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장착관(230,2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가림막(300)은,
가림막(310)과 상기 가림막을 테두리에서 지지하면서 상기 상부장착관(230,240)이 삽입장착되는 가림막 프레임(3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막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지지체(200)의 상부장착관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상부장착관(230)과 제2상부장착관(240)으로 이루어지져서, 각각 인접하는 가림막 프레임이 삽입장착되고, 상기 하부장착관(220)은 상기 제1상부장착관(230)과 제2상부장착관(240)의 가운데 지점에서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연결플레이트에는 상기 하부지지체와 나사 체결을 위한 체결홈(250)이 형성되고, 상기 제1상부장착관(230)과 제2상부장착관(240)에는 상기 가림막 프레임과 나사 체결을 위한 체결홈(270)이 형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 구성에 의해서 가림막 장치를 공사 현장에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시공현장의 시공효율이 증대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모습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 장치 중 하부지지체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 장치 중 연결지지체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 장치 중 하부지지체에 연결지지체가 결합된 모습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모습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 장치 중 하부지지체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 장치 중 연결지지체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 장치 중 하부지지체에 연결지지체가 결합된 모습이다.
본 고안은 공사 현장에 사용되는 가림막 장치로서, 상부가림막(300)이 하부지지체(100)에 고정되어 가림 역할을 하는 것이며, 상부가림막(300)이 하부지지체(10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 연결지지체(200)를 이용한다.
상기 하부지지체(100)는 좌우측방에 돌기와 홈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요철부가 서로 상응하여 끼워지면서 측방으로 연결된다. 즉, 하부지지체의 몸체부(110)의 좌우측 중 일측에는 돌기(12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홈(130)이 형성되어 인접하는 하부지지체가 서로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홈(130)의 상측 및 하측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상부돌출단(140)과 하부돌출단(150)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돌출단과 하부돌출단에는 제1장착홀(145)와 제2장착홀(155)이 수직하게 형성되며, 제1장착홀(145)와 제2장착홀(155)에 상기 연결지지체(200)가 결합된다.
상기 연결지지체(200)는, 연결플레이트(2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장착홀(145)와 제2장착홀(155)에 삽입 장착되는 하부장착관(220)과 연결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장착관(230,2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지지체(200)의 상부장착관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수직하게 구비되는 제1상부장착관(230)과 제2상부장착관(240)으로 이루어지져서, 각각 인접하는 가림막 프레임(310)이 삽입장착된다. 상기 하부장착관(220)은 일정 거리 이격된 상기 제1상부장착관(230)과 제2상부장착관(240)의 가운데 지점에서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장착홀(145)과 제2장착홀(155)에 삽입되어 인접하는 하부지지체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파이프(P)가 더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체(200)의 하부장착관(220)은 상기 연결파이프(P)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상부가림막(300)은, 가림막(320)과 상기 가림막을 테두리에서 지지하면서 상기 상부장착관(230,240)이 삽입장착되는 가림막 프레임(31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장착관(230,240)이 상기 가림막 프레임(320)에 체결되는 모습은 둘 중의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모습이다. 다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장착관(230,240)이 상기 가림막 프레임(3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이 좋다.
그 이유는, 가림막 장치가 공사 현장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가림막(320)과 하부지지체(100) 사이에는 약간의 공간(상하로 이격되어 생긴 틈)이 존재하게 되는데(도 5 내지 도 6 참조), 경우에 따라서는 이 공간을 없애는 것이 좋기 때문이다.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상기 상부장착관(230,240)이 상기 가림막 프레임(320)의 내부로 삽입되어 가림막 프레임이 외부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림막(320)을 아래로 끌어내려서 이 공간(틈)을 없애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상기 연결플레이트(210)에는 체결홈(250)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체 몸체(110)의 상단과 연결플레이트(210)를 나사 체결을 통해 결합한다. 나사 체결은 가림막 장치를 견고하게 결합하여 강도를 보강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상부장착관(230)과 제2상부장착관(240)에는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가림막 프레임(310)과 나사 체결을 위한 체결홈(270)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조립식 가림막 벽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의해 보다 손쉽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하부지지체 110: 하부지지체 몸체
120: 돌기 130: 홈
140: 상부돌출단 145: 제1장착홀
150: 하부돌출단 155: 제2장착홀
200: 연결지지체 210: 연결플레이트
220: 하부장착관 230: 제1상부장착관
240: 제2상부장착관
300: 상부가림막 310: 가림막 프레임
320: 가림막

Claims (4)

  1. 하부지지체(100)에 연결지지체(200)에 의해 체결되는 상부가림막(300)으로 이루어진 가림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체(100)에는,
    몸체부(110)의 좌우측 중 일측에 형성되는 돌기(120);와, 타측에 상기 돌기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홈(130);과 상기 홈(130)의 상측 및 하측에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상부돌출단(140)과 하부돌출단(150);과 상기 상부돌출단과 하부돌출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장착홀(145)와 제2장착홀(155); 및 상기 제1장착홀(145)과 제2장착홀(155)에 삽입되어 인접하는 하부지지체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파이프(P);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지지체(200)는,
    연결플레이트(2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파이프(P)에 삽입 장착되는 하부장착관(220)과 연결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장착관(230,2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가림막(300)은,
    가림막(310)과 상기 가림막을 테두리에서 지지하면서 상기 상부장착관(230,240)과 체결되는 가림막 프레임(3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지지체(200)의 상부장착관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상부장착관(230)과 제2상부장착관(240)으로 이루어지져서, 각각 인접하는 가림막 프레임이 삽입장착되고,
    상기 하부장착관(220)은 상기 제1상부장착관(230)과 제2상부장착관(240)의 가운데 지점에서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장착관(230,240)이 상기 가림막 프레임(3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막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40007182U 2014-10-02 2014-10-02 가림막 장치 KR2004791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182U KR200479154Y1 (ko) 2014-10-02 2014-10-02 가림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182U KR200479154Y1 (ko) 2014-10-02 2014-10-02 가림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154Y1 true KR200479154Y1 (ko) 2015-12-23

Family

ID=55170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182U KR200479154Y1 (ko) 2014-10-02 2014-10-02 가림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15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8776A (ko) 2018-05-09 2019-11-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설 가림막 구조체
KR102370260B1 (ko) 2021-03-16 2022-03-03 고광식 이동식 다용도 안전 가림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133U (ko) * 1996-12-14 1998-09-15 신경환 중앙 분리대
KR200439584Y1 (ko) * 2007-03-08 2008-04-21 배대환 심신단련용 데크로드의 펜스지주 결속구
KR200464367Y1 (ko) * 2012-08-10 2013-01-02 (주)코리아시스템 이동식 휀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133U (ko) * 1996-12-14 1998-09-15 신경환 중앙 분리대
KR200439584Y1 (ko) * 2007-03-08 2008-04-21 배대환 심신단련용 데크로드의 펜스지주 결속구
KR200464367Y1 (ko) * 2012-08-10 2013-01-02 (주)코리아시스템 이동식 휀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8776A (ko) 2018-05-09 2019-11-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설 가림막 구조체
KR102370260B1 (ko) 2021-03-16 2022-03-03 고광식 이동식 다용도 안전 가림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1112B1 (ko) 패널조립구조체
US20160352080A1 (en) Profiled frame of a frame structure for an electrical enclosure or a distribution cabinet
KR200479154Y1 (ko) 가림막 장치
TWM542051U (zh) 嵌板之安裝系統
KR20160056662A (ko) 주거형 컨테이너 구조물의 조립구조
KR101566325B1 (ko) 건축물용 알루미늄 단열 하지틀 및 설치방법
KR20140052187A (ko) 모듈러 건축물의 벽체구조
KR101703982B1 (ko) 조립식 천장구조물
KR20090062089A (ko) 벽체에 부착되는 이중고정식 흡음패널
KR20140139728A (ko) 오픈조인트 방식의 마감판넬 설치구조
KR20100007098U (ko) 가로바를 이용한 판넬 설치 유닛
KR20150046588A (ko) 비닐하우스의 비닐고정 구조
JP6099391B2 (ja) 横桟取り付け構造
KR101419264B1 (ko) 경사 방향 결합용 방음판을 갖는 방음벽
JP3178601U (ja) 間仕切板の取付金具
KR20110019231A (ko) 문틀 결합구조
KR20170008953A (ko) 지주 매입 일체형 가설 방음벽 및 그 설치 공법
JP2009287243A (ja) ガラスパネルにおけるガラスの取付け構造
KR101493285B1 (ko) 유지보수 패널형 방음판 설치구조
JP4659608B2 (ja) 壁面装置
KR101543268B1 (ko) 외단열 시스템
KR101404384B1 (ko) 욕실용 천정패널
KR101247163B1 (ko) 패널 어셈블리
KR100528157B1 (ko) 건물의 천정판 지지구조
JP2007254989A (ja) 簡易構築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