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274Y1 -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274Y1
KR200236274Y1 KR2020010007648U KR20010007648U KR200236274Y1 KR 200236274 Y1 KR200236274 Y1 KR 200236274Y1 KR 2020010007648 U KR2020010007648 U KR 2020010007648U KR 20010007648 U KR20010007648 U KR 20010007648U KR 200236274 Y1 KR200236274 Y1 KR 2002362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hinge
hole
coupled
suppor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6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국모
Original Assignee
차국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국모 filed Critical 차국모
Priority to KR20200100076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2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2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274Y1/ko

Links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 구성품이 상호 조립되어진 상태로 제공되어, 공구의 사용없이 체결볼트를 조여주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차량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상측의 슬라이드면(11) 및 그 양측의 벽체(12)를 구비하며, 상기 벽체에 천공되는 수직장홀(16)로 힌지축(15)의 양단이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 브래킷(10)과; 상기 힌지축 상에 순차적으로 힌지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20), 누름부재(30) 및 회동부재(40)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힌지축 상에 편심 결합되어 회동시 상기 누름부재를 상측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가이드 부재를 하방향으로 당김 동작하게 되는 회동가압체와; 하부에 차량의 루프 패널(1)과 도어 패널(2)과의 융착부에 걸려 지지되는 절곡부(51)를 형성한체 상기 회동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날개(50)와; 상기 결합날개의 체결홀(53)을 통과하여 상기 회동부재와 나사 결합되는 체결볼트(60)와; 상기 체결볼트와 그 나사 결합부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커버부재(70) 및; 저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92)이 상기 슬라이드면 상측으로 인출되는 가이드 부재의 상부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바(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Roof Carrier for Car}
본 고안은 자동차에 제공되는 루프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루프 캐리어가 각 구성품이 상호 조립되어진 상태로 제공되어, 공구의 사용없이 체결볼트를 조여주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차량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프 캐리어는 차량의 루프 패널 상면에 설치되며, 스키 장비와 같이 차량 내부에 적재하기 어려운 물품을 적재하는데 이용되는 것이었다.
이같은 루프 캐리어는, 루프 패널과 도어 패널이 상호 융착되는 부위에 차량의 폭방향으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루프 캐리어와, 상하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을 형성한체 상기 한 쌍의 루프 캐리어를 연결하는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루프 캐리어 및 그에 결합되는 레일은 루프 패널의 상면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구성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레일에는, 보조 캐리어 및 그에 결합되는 지지봉과, 상기 전후측 레일에 그 양단을 각기 결합한체 상호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안치봉 등이 구비되어 적재되는 물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상기한 루프 캐리어의 경우, 루프 캐리어와 그에 결합되는 레일이 상호 간에 분리가 불가능한 일체형 구조를 가짐에 따라, 차폭을 달리하는 다양한 차량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없는 것이었으며, 이로 인해 각종 차량의 폭에 준하는 다양한 길이의 루프 캐리어를 개별적으로 제공함에 따라 생산공정이 복잡해지는 것이었다. 또한, 루프 캐리어의 소정 부위가 파손되더라도 부분적인 교체가 불가능하여 루프 캐리어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는 것이었다.
이에, 본원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루프 캐리어에 레일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한 '자동차용 루프 캐리어'를 실용신안 등록출원 제 97-018377호로서 제안한 바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캐리어(100)를 하우징의 형태로 구성하며, 이같은 루프 캐리어(100)의 내측에 상측으로 개방되는 공구삽입홀(101) 및 상기 공구삽입홀(101)과 연통된체 레일(140)과의 연결면을 향해 개방되는 슬라이드홀(102)을 각각 형성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구삽입홀(101)의 내측으로 레일 고정부재(110)가 삽입 설치된다. 이러한 레일 고정부재(110)는 레일(140)의 가이드홈(14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수평편(111)과, 상기 수평편(111)의 중앙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그 절곡 단부가 상기 슬라이드홀(102)로 끼워지는 절곡편(112)으로 구성되며, 상기 절곡편(112)의 중앙부에는 핀통과홀(113)이 천공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루프 캐리어(100)의 슬라이드홀(102)로 삽입 설치되는 홀더부재(120)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같은 홀더부재(120)는 상기 슬라이드홀(102) 상측의 경사면과 대응되도록 그 상면을 하향 경사지게 형성한체 그 중앙부에 체결홀(121)을 천공하고 있는 것이다.
그밖에, 상기 레일 고정부재(110)와 마주보는 루프 캐리어(100)의 벽면 및레일 고정부재(110)의 절곡편(112)에 형성된 핀통과홀(113)을 차례로 통과하여 홀더부재(120)의 체결홀(121)로 끼워지며, 그 머리부가 상기 루프 캐리어(100)의 벽면에 접촉 지지되는 체결핀(130)이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체결핀(130)을 회전시켜 그와 나사 결합되어 있는 상기 홀더부재(120)가 상기 레일 고정부재(110)의 절곡편(112)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홀더부재(120)의 하측 단부가 상기 절곡편(112)을 가압하는 동시에 절곡편(112)과 일체를 이루는 레일 고정부재(110)의 수평편(111)이 당겨져 레일(140)의 가이드홈(141) 내면과 밀착되면서 그 마찰력에 의해 레일(140)은 루프 캐리어(100)에 고정 지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원의 선출원에 따른 루프 캐리어는 케이스 부재 및 그에 설치되는 각 구성품(레일 고정부재, 홀더부재, 체결핀, 고정편)이 개별적으로 제공되며, 작업 현장에서 공구를 사용하여 각 구성품을 조립하면서 차량에 설치하는 형태였다.
이에 따라, 그 설치작업이 복잡할 뿐만아니라 조립에 필요한 공구를 구비하지 못한 경우에는 설치가 불가능해지는 것이었으며, 작업 과정에서 부품 분실의 우려가 높은 것이었다.
또한, 상기한 선출원에 의한 루프 캐리어는, 케이스 부재의 바닥면 및 그에 결합되는 완충부재가 케이스 부재의 몸체와 일체를 이루어 유동이 불가능한 구조였으므로, 루프 패널의 기울기가 상이한 다양한 차량에 공통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상기 완충부재를 다양한 기울기를 갖는 복수개로 제공하는 것이었다.
이같은 이유로, 다양한 규격의 완충부재를 각기 제작함에 따라 생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것이었으며, 설치대상 차량에 적합한 완충부재가 제공되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루프 캐리어의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무리한 설치를 초래하여 부품의 훼손 및 수명단축과 같은 부작용을 가져오게 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각 구성품이 일체로 조립된 상태로 제공되어 체결볼트를 조여주는 간단한 조작을 통해 차량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루프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또한, 설치작업시 공구의 사용이 필요없도록 한 루프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또한, 각종 차량의 루프 패널 기울기에 따라 설치각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작되므로서 다양한 차량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루프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루프 캐리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루프 캐리어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루프 캐리어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루프 캐리어의 구조 및 그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지 브래킷 11: 슬라이드면 11a: 삽입홀 12: 벽체 13: 받침판 13a: 고리편 14: 완충패드 15: 힌지축 16: 수직장홀 20: 가이드 부재 21: 가이드편 22: 연장편 30: 누름부재 31: 수평편 31a: 끼움홀 32: 힌지끼움편 32a: 장홀 40: 회동부재 41: 힌지편 42: 몸체편 43: 체결구 43a: 볼팅홀 44: 경사면 50: 결합날개 51: 절곡부 52: 만곡면 53: 체결홀 54: 로킹홀 55: 경사부 60: 체결볼트 60a: 머리부 61: 손잡이편 61a: 절개부 62: 와셔 70: 커버부재 71: 키홀더 72: 로킹편 80: 차단막 90: 레일바 91: 상측 가이드 레일 92: 하측 가이드 레일 93: 캡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중앙에 삽입홀이 천공된 슬라이드면 및 상기 슬라이드면의 양측 단부에서 연장되는 좌우 벽체를 구비하여 내측에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좌우 벽체에 마주보게 천공되는 수직장홀로 그 양단이 끼워져 지지되는 힌지축을 구비한체, 그 하부에 설치각 조절이 가능토록 힌지 결합되는 받침판을 갖는 지지 브래킷과; 상면과 양측면에 끼움홀과 장홀을 각기 천공한체 상기 슬라이드면과 인접되도록 상기 수용공간 내측으로 설치되는 누름부재 및, 상기 누름부재의 끼움홀에 그 하부를 삽입한체 상부가 상기 삽입홀로인출되어 슬라이드면에 거치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일측에 형성되는 경사면의 하부로 볼팅홀을 갖는 체결구가 제공되며, 상기 누름부재의 장홀과 가이드 부재의 하부를 관통하는 상기 지지 브래킷의 힌지축에 편심 결합되어, 볼트 조임시 그 상부가 상기 누름부재를 상측으로 가압함과 함께 누름부재가 상기 슬라이드면에 규제되어 상승이 억제됨에 따라 하방향으로 누름력을 인가하는 회동가압체와; 상부에 상기 회동 가압체의 경사면과 대응되도록 경사부를 구비하되, 상기 경사부의 양측 단부는 내향 절곡되어 상기 경사면을 내측으로 수용하며, 그 하단부에 차량의 루프 패널과 도어 패널과의 융착부에 걸려 지지되는 절곡부를 형성한 결합날개와; 상기 결합날개에 천공되는 체결홀을 통과하여 상기 체결구의 볼팅홀에 나사 결합되며, 조임시 상기 결합날개를 가압하여 상기 절곡부가 상기 융착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구의 볼팅홀로 결합된 체결볼트를 가리워 외부와 차단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결합날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재; 그리고, 상하면에 가이드 레일이 각각 형성되며, 하측의 가이드 레일이 상기 지지 브래킷의 가이드 부재와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지지 브래킷 상측에 이동 가능하게 거치되는 레일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회동가압체가, 상기 지지 브래킷 상측의 슬라이드면에 거치되는 가이드편 및 그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연장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장편은 상기 슬라이드면을 관통하여 지지 브래킷 내측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가이드 부재와; 장홀을 갖는 좌우 한 쌍의 힌지끼움편 및 그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편으로 이루어져 상기 슬라이드면의 저부와 인접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평편에는 상기 연장편 삽입용의 끼움홀이 천공되는 누름부재와; 좌우 한 쌍의 힌지편 및 상기 힌지편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몸체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편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연장편과 상기 누름부재의 힌지끼움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힌지끼움편의 장홀 및 연장편을 관통하는 상기 지지 브래킷의 힌지축에 편심되게 결합되고, 그 일측에 볼팅홀을 갖는 체결구가 구비되는 회동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체결볼트의 머리부에는, 상기 커버부재에 제공되는 키홀더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부에 소정 길이의 절개부를 형성한 손잡이부가 절첩 가능하게 힌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할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루프 캐리어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루프 캐리어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5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루프 캐리어의 구조 및 그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루프 캐리어는, 한 쌍으로 제공되어 차량의 루프 패널 상면에 좌우 대칭되도록 설치되는 지지 브래킷(10), 회동가압체, 결합날개(50), 체결볼트(60), 커버부재(70) 및 레일바(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 브래킷(10)은, 중앙부에 삽입홀(11a)을 천공한체 레일바(90)의 저부와 접하는 슬라이드면(11)을 중심으로 그 좌우측 단부에서 다단 절곡형의벽체(12)가 하향 연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좌우 벽체(12)의 하부에 받침판(13)이 그 양측을 각기 힌지 결합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며, 이같은 받침판(13)의 저부에는 완충패드(14)가 부착되어 금속재의 받침판(13)이 차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벽체(12)와 받침판(13) 간의 힌지 결합은 본 실시예와 같이 받침판(13)의 상면에 고리편(13a)을 돌설하고, 이같은 고리편(13a) 및 상기 받침판(13)의 하단을 차례로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힌지핀을 설치하는 구성이면 족할 것이고, 그밖에 다양한 결합구조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 브래킷(10)의 좌우 벽체(12)는 후술되는 회동가압체가 그 사이에서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는 정도의 간격을 유지한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으로, 즉 상기 지지 브래킷(10)은 그 내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며, 이같은 지지 브래킷(10)의 수용공간에 힌지축(15)이 그 양단을 상기 좌우 벽체(12)에 천공된 수직장홀(16)에 지지시킨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같은 지지 브래킷(10)의 수용공간에 상기 회동가압체가 설치되는 것으로 이같은 회동가압체는 가이드 부재(20), 누름부재(30) 및 회동부재(4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 부재(20)는 'T'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술한 지지 브래킷(10)의 슬라이드면(11) 상측에 거치되는 가이드편(21)과, 상기 가이드편(21)의 저부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드면(11)에 천공된 삽입홀(11a)로 끼워지는연장편(22)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누름부재(30)는, 중앙부에 끼움홀(31a)을 형성한체 상기 지지 브래킷(10)의 슬라이드면(11) 저부와 마주보게 위치하는 수평편(31)과, 이같은 수평편(31)의 양단에서 수직 연장되는 한 쌍의 힌지끼움편(32)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슬라이드면(11)을 통과한 가이드 부재(20)의 연장편(22)이 상기 수평편(31)의 끼움홀(31a)로 삽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힌지끼움편(32)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홀(32a)이 각기 천공되는 것이다.
상기 회동부재(40)는, 마주보는 한 쌍의 힌지편(41)과, 이같은 힌지편(41)의 하단에서 일측에 경사면을 형성한체 연장되는 몸체편(42)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볼팅홀(43a)을 갖는 체결구(43)가 상기 몸체편(42)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힌지편(41)이 상기 가이드 부재(20)의 연장편(22)과 상기 누름부재(30)의 힌지끼움편(32) 사이로 끼워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누름부재(30)와 회동부재(40) 및 가이드 부재(20)는, 그 힌지끼움편(32)의 장홀(32a)과 힌지편(41) 및 연장편(22)을 차례로 통과하는 상기 지지 브래킷(10)의 힌지축(15)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체 지지 브래킷(10)의 수용공간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즉, 전술한 지지 브래킷(10)과 상기 회동가압체를 구성하는 각 구성품은 상호 결합된 일체형 구조를 이루는 것이며, 이때, 상기 회동부재(40)의 힌지편(41)에는 상기 힌지축(15)이 편심된 상태로 끼워지는 것이다.
그리고, 회동가압체의 회동부재(40)와 연결되는 결합날개(50)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같은 결합날개(50)는 상기 회동부재(40)를 구성하는 몸체편(42)의 경사면(44)과 대응되도록 그 상측에 경사부(55)가 형성되며, 이같은 경사부(55)의 양측 단부는 내향 절곡되어 그 내측으로 상기 몸체편(42)의 경사면(44)이 수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결합날개(50)의 하단에는 차량의 루프 패널(1)과 도어 패널(2) 간의 융착부에 걸려 지지되는 용도의 내향 절곡부(51)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밖에, 상기 결합날개(50)에는 체결볼트(60) 삽입용의 체결홀(53)이 천공되는 것이며, 이같은 체결홀(53)이 천공되는 결합날개 면은 내측 방향으로 만곡되게 이루어져 그 만곡면(52)에 상기 체결홀(53)이 천공되는 것이다. 이같은 체결홀(53)은 장홀의 형태로 이루어져 체결볼트(60)가 보다 다양한 각도에서 원활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날개(50)의 상기 체결홀(53)을 통해 지지 브래킷(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몸체편(42)에 구비되는 체결구(43)의 볼팅홀(43a)에 결합되는 체결볼트(60)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같은 체결볼트(60)는 공구를 사용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보편적인 볼트 형태로 구성하여도 무방하겠지만,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와 같이 그 머리부(60a)에 손잡이편(61)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공구의 사용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손잡이편(61)은 절첩이 가능하도록 체결볼트(60)의 머리부(60a)에 힌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볼트(60)의 수평을 이루는 머리부(60a)가 상기 체결홀(53) 주연의 만곡면(52)에 보다 긴밀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볼트(60)와 체결홀(53) 사이에 일면이 반원형으로 만곡된 와셔(62)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볼트(60)의 완전조임시 상기 와셔(62)의 반원형면이 상기 체결홀(53) 주연의 만곡면(52)에 밀착되는 것이며, 체결볼트(60)의 머리부(60a)는 상기 와셔(62)의 반대측 수평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체결홀(53)을 통과하여 전술한 몸체편(42)의 볼팅홀(43a)로 나사 결합되는 상기 체결볼트(60)를 가리워 외부와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커버부재(70)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같은 커버부재(70)는 그 하측에 키홀더(71)가 설치되며, 상기 키홀더(71)에 구비되는 로킹편(72)이 상기 결합날개(50)에 천공되는 로킹홀(54)로 삽입되어 회동되면서 로킹 및 해제동작을 반복 수행하므로서, 상기 커버부재(70)는 상기 결합날개(50)의 표면에 탈착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체결볼트(60)의 손잡이편(61)을 절첩하는 과정에서 상기 키홀더(71)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토록, 상기 손잡이편(61)의 하부에 소정 길이의 절개부(61a)를 형성하여 상기 키홀더(71)가 통과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밖에, 상기 지지 브래킷(10)과 커버부재(70)를 연결하도록 신축성을 갖는 차단막(80)을 설치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지지 브래킷(10)의 수용공간 및 그 내측에 설치되는 각 부재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지지 브래킷(10)과 슬라이드 결합되는 레일바(90)는 상하부에 가이드 레일(91,92)이 각각 형성되며, 그 양측 단부에는 캡(93)이 끼워지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루프 캐리어가 차량에 설치되는 과정 및 그 작용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도 5의 (b)는 체결볼트 및 결합날개가 회동가압체와 지지 브래킷 상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a)는 각 구성품이 상호 조립되어 설치가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차량의 루프 패널(1) 상면으로 지지 브래킷(10)을 설치하는 것으로, 그 설치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지 브래킷(1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는 받침판(13)을 루프 패널(1)의 적정 위치에 앉착시킨 다음, 결합날개(50)의 절곡부(51)가 차량의 루프 패널(1)과 도어 패널(2)과의 융착부위에 걸쳐져 지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받침판(13)은 회동이 가능하여 그 설치각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므로 루프 패널(1) 면의 기울기를 달리하는 각종 차량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지지 브래킷(10)을 적정 위치에 지지시킨 다음, 레일바(90)를 지지 브래킷(10)의 슬라이드면(11) 상측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거치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레일바(90)는 그 하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92)이 상기 슬라이드면(11) 상측으로 돌설되는 가이드 부재(20)의 가이드편(21)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므로서, 상기 지지 브래킷(10)의 상측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 브래킷(10)의 상면에 레일바(90)를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먼저 거치시킨 다음, 상기 지지 브래킷(10)을 차량의 루프 패널(1) 상면으로 설치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날개(50)의 체결홀(53) 및 상기 회동부재(40)의 체결구(43)에 천공된 볼팅홀(43a)로 삽입 설치되는 체결볼트(60)를 조여주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볼트(60)의 조임은 그 상측에 제공되는 손잡이편(61)을 접힘 상태에서 볼트(60)와 수평을 이루도록 전개시켜 수작업으로 회전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같이 체결볼트(60)를 조여주게 되면, 상기 체결볼트(60)가 상기 체결구(43)의 볼팅홀(43a)로 삽입됨과 함께 체결편(43)은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당겨지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체결편(43)과 일체형 구조를 이루는 회동부재(40)가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동부재(40)는 그 힌지편(41)이 지지 브래킷(10)의 좌우 벽체(12)에 설치되는 힌지축(15)에 편심되게 결합된 구조이므로, 그 회동시 상기 힌지편(41)의 상부 일측이 상기 누름부재(30)의 수평편(31)을 상측으로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수평편(31)의 상향 이동에 의해 상기 누름부재(30)는 상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지지 브래킷(10)의 슬라이드면(11) 저부로 밀착되는 것이며, 이렇게 슬라이드면(11)에 의해 규제되어 더 이상의 상승이 억제된 상기 수평편(31)과 접하면서 상기 힌지편(41)이 회전하게 되어 하측으로 누름력이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누름력에 의해 상기 힌지편(41)과 결합된 힌지축(15)이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힌지축(15)에 연장편(22)을 결합한 가이드 부재(20)가 하향되는 것이며, 이로 인해 상기 가이드 부재(20)의 가이드편(21)이 당겨지면서 레일바(90)를 하측으로 누르게 되어 상기 레일바(90)의 저면이 지지 브래킷(10)의 슬라이드면(11)과 긴밀하게 밀착되고, 그 마찰력에 의해 상기 레일바(90)는 이동이 방지되는 상태로 지지 브래킷(10)의 슬라이드면(11) 상측에 고정 지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누름부재(30)의 힌지끼움편(32)에 장홀(3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같은 장홀(32a)을 관통하는 힌지축(15) 역시 상기 지지 브래킷(10)의 벽체(12)에 천공되는 수직장홀(16)에 끼워져 지지되는 것이므로, 상기 회동부재(40)의 회동시 상기 힌지축(15)이 상기 장홀(32a)과 수직장홀(16)을 따라 안내되므로서 누름부재(30) 및 힌지축(15)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볼트(60)가 조여지면서 그 조임력이 와셔(62)를 통해 결합날개(50)의 표면에 전달되는 것이므로, 상기 결합날개(50)는 그 경사부(55)의 내측으로 상기 회동부재(40)의 경사면(44)이 끼워지면서 차체 방향으로 가압되고, 그 가압력에 의해 절곡부(51)가 차량의 루프 패널(1)과 도어 패널(2)과의 융착부에 견고하게 고정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회동가압체와 결합날개(50)가 체결볼트(60)를 통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지지 브래킷(10) 및, 레일바(90)를 차량의 루프 패널(1)상에 고정 지지시킨 다음, 기타 보조 캐리어 및 안치봉 등을 통상의 방법으로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을 따른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에 의하여, 루프 캐리어가 각 구성품이 상호 조립된 상태로 제공되며, 이같은 루프 캐리어를 조임 손잡이가 구비된 체결볼트를 조여주는 간편한 작업에의해 차량의 루프 패널 상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므로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또한, 루프 캐리어가 루프 패널의 기울기를 달리하는 각종 차량에 공통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것이므로, 효율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생산원가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중앙에 삽입홀이 천공된 슬라이드면 및 상기 슬라이드면의 양측 단부에서 연장되는 좌우 벽체를 구비하여 내측에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좌우 벽체에 마주보게 천공되는 수직장홀로 그 양단이 끼워져 지지되는 힌지축을 구비한체, 그 하부에 설치각 조절이 가능토록 힌지 결합되는 받침판을 갖는 지지 브래킷과;
    상면과 양측면에 끼움홀과 장홀을 각기 천공한체 상기 슬라이드면과 인접되도록 상기 수용공간 내측으로 설치되는 누름부재 및, 상기 누름부재의 끼움홀에 그 하부를 삽입한체 상부가 상기 삽입홀로 인출되어 슬라이드면에 거치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일측에 형성되는 경사면의 하부로 볼팅홀을 갖는 체결구가 제공되며, 상기 누름부재의 장홀과 가이드 부재의 하부를 관통하는 상기 지지 브래킷의 힌지축에 편심 결합되어, 볼트 조임시 그 상부가 상기 누름부재를 상측으로 가압함과 함께 누름부재가 상기 슬라이드면에 규제되어 상승이 억제됨에 따라 하방향으로 누름력을 인가하는 회동가압체와;
    상부에 상기 회동 가압체의 경사면과 대응되도록 경사부를 구비하되, 상기 경사부의 양측 단부는 내향 절곡되어 상기 경사면을 내측으로 수용하며, 그 하단부에 차량의 루프 패널과 도어 패널과의 융착부에 걸려 지지되는 절곡부를 형성한 결합날개와;
    상기 결합날개에 천공되는 체결홀을 통과하여 상기 체결구의 볼팅홀에 나사 결합되며, 조임시 상기 결합날개를 가압하여 상기 절곡부가 상기 융착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구의 볼팅홀로 결합된 체결볼트를 가리워 외부와 차단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결합날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재; 그리고,
    상하면에 가이드 레일이 각각 형성되며, 하측의 가이드 레일이 상기 지지 브래킷의 가이드 부재와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지지 브래킷 상측에 이동 가능하게 거치되는 레일바;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가압체는,
    상기 지지 브래킷 상측의 슬라이드면에 거치되는 가이드편 및 그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연장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장편은 상기 슬라이드면을 관통하여 지지 브래킷 내측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가이드 부재와;
    장홀을 갖는 좌우 한 쌍의 힌지끼움편 및 그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편으로 이루어져 상기 슬라이드면의 저부와 인접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평편에는 상기 연장편 삽입용의 끼움홀이 천공되는 누름부재와;
    좌우 한 쌍의 힌지편 및 상기 힌지편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몸체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편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연장편과 상기 누름부재의 힌지끼움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힌지끼움편의 장홀 및 연장편을 관통하는 상기 지지 브래킷의 힌지축에 편심되게 결합되고, 그 일측에 볼팅홀을 갖는 체결구가 구비되는 회동부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볼트의 머리부에는, 상기 커버부재에 제공되는 키홀더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부에 소정 길이의 절개부를 형성한 손잡이부가 절첩 가능하게 힌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
KR2020010007648U 2001-03-20 2001-03-20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 KR2002362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648U KR200236274Y1 (ko) 2001-03-20 2001-03-20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648U KR200236274Y1 (ko) 2001-03-20 2001-03-20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274Y1 true KR200236274Y1 (ko) 2001-10-08

Family

ID=73063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648U KR200236274Y1 (ko) 2001-03-20 2001-03-20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27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486B1 (ko) 2020-04-29 2021-09-16 차재호 차량용 루프 캐리어 결속 기구
KR102561106B1 (ko) 2023-05-30 2023-07-27 차재호 차량용 루프 캐리어 결속 기구
KR102582753B1 (ko) 2023-07-04 2023-09-22 차재호 밴드형 루프랙 결속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486B1 (ko) 2020-04-29 2021-09-16 차재호 차량용 루프 캐리어 결속 기구
KR102561106B1 (ko) 2023-05-30 2023-07-27 차재호 차량용 루프 캐리어 결속 기구
KR102582753B1 (ko) 2023-07-04 2023-09-22 차재호 밴드형 루프랙 결속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PA06009730A (es) Cerradura para instalarse en aberturas en una pared delgada.
JP3795934B2 (ja) 自動車ドア用ドア蝶番
KR101676596B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 결속 기구
US6148479A (en) Hinge
KR200236274Y1 (ko)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
JP3707792B2 (ja) 窓ステー
KR100766620B1 (ko) 가구용 힌지의 힌지 암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
EP0774371B1 (de) Festelement zur Befestigung eines Faltverdecks
JP2001355368A (ja) 止め金具及び該止め金具の製造方法
KR100449867B1 (ko)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
CN213573481U (zh) 一种用于门窗且具有偏心连接结构的传动器和门窗结构
KR200242603Y1 (ko)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
KR200494599Y1 (ko) 원터치식 호차용 결합장치
DE20114422U1 (de) Beschlag an einem Fenster, einer Tür o.dgl. mit einem Riegelzapfen sowie einem Kippverriegelungsteil
CN211223734U (zh) 一种加强型折叠滑板车
CN214117844U (zh) 窗用铰链
JP2000120259A (ja) 天井点検口装置
CN215889684U (zh) 一种新型门内饰板拉手盒
KR200229552Y1 (ko) 도어손잡이
KR100377735B1 (ko) 도어용 핸들장치
JPH0728023Y2 (ja) 着脱式ルーフのロック機構
KR200265529Y1 (ko) 창문개폐용 연결암구조
JPS6017477Y2 (ja) 錠保持装置
JP2536992Y2 (ja) 軒樋支持具
KR200363760Y1 (ko) 미닫이 도어용 가이드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