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529Y1 - 창문개폐용 연결암구조 - Google Patents

창문개폐용 연결암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529Y1
KR200265529Y1 KR2020010036182U KR20010036182U KR200265529Y1 KR 200265529 Y1 KR200265529 Y1 KR 200265529Y1 KR 2020010036182 U KR2020010036182 U KR 2020010036182U KR 20010036182 U KR20010036182 U KR 20010036182U KR 200265529 Y1 KR200265529 Y1 KR 2002655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iece
piece
rivet
window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1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선재
Original Assignee
주선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재 filed Critical 주선재
Priority to KR20200100361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5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5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529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문개폐용 연결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암의 가장지리 끝부분을 리벳의 머리 두께만큼 절곡시켜 리벳의 체결시 별도의 경사진 홈을 형성하지 않고도 리벳팅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반복적으로 개폐되는 창문의 하중에 의한 역힘으로 리벳팅부분이 풀리거나 와셔부분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창문개폐용 연결암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하측 연결편과, 그 상부에 위치하는 상측 연결편과, 상기 하측 연결편과 상측 연결편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중간 연결편, 그리고 상기 하측 연결편과 중간 연결편의 사이 및 상측 연결편과 중간 연결편 사이에 위치하는 와셔와, 상기 와셔의 통공을 관통하여 체결되어 상기 하측 연결편과 상측 연결편 그리고 중간 연결편을 결합시키는 리벳을 구비한 연결암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측 연결편과 상측 연결편의 가장자리 끝부분을 단면형상이 절곡되는 절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리벳이 상기 하측 연결편 및 상측 연결편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용 연결암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창문개폐용 연결암구조{Structure of connecting arm for window}
본 고안은 창문개폐용 연결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암의 가장지리 끝부분을 리벳의 머리 두께만큼 절곡시켜 리벳의 체결시 별도의 경사진 홈을 형성하지 않고도 리벳팅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반복적으로 개폐되는 창문의 하중에 의한 역힘으로 리벳팅부분이 풀리거나 와셔부분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창문개폐용 연결암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창문개폐용 연결암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창문개폐용 연결암의 체결부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하측 연결편(100)과 상측 연결편(200) 그리고 중간 연결편(300)으로 이루어진 연결암의 기존 체결방식에서는 하측 연결편(100)과, 그 상부에 위치하는 상측 연결편(200)과, 상기 하측 연결편(100)과 상측 연결편(200)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중간 연결편(300), 그리고 상기 하측 연결편(100)과 중간 연결편(300)의 사이 및 상측 연결편(200)과 중간 연결편(300) 사이에 평와셔(400)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하측 연결편(100)과 상측 연결편(200) 및 중간 연결편(300)의 체결공 및 평와셔(400)의 통공을 리벳(500)이 관통하도록 체결하여 하측 연결편(100)과 상측 연결편(200) 및 중간 연결편(300)이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리벳(500)의 체결구조에서는, 리벳 부분이 재질이 스텐인 연결편과 체결시 연결편상에 돌출되지 못하도록 연결편 중 체결부분을 전동드릴로 홈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리벳팅하여 만들어진 연결암을 창문(600) 또는 창틀(700)의 결합면에 밀착되게 결합시키게된다.
그러나, 상기 하, 상측 연결편(100)(200)에 리벳(500)이 체결되도록 홈을 경사지게 형성하는데 이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과, 또 창문(600)하중으로 인한 역힘(한 쪽에서 당기고 또 다른 쪽에서 반대 힘이 작동함을 말함) 발생시, 그 역힘이 리벳(500)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해주는 부분이 없어 역힘이 직접적으로 리벳(500)으로 전달되며, 이로 인해 리벳이 이완되어 창문의 부드러운 개폐가 힘들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연결편 중 리벳체결부위에 리벳의 체결시 리벳의 머리부분이 연결편상에 돌출되지 않도록 만들어지는 경사진 홈 대신 연결편의 가장지리 끝부분을 절곡시키므로 써, 별도의 경사진 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반복적으로 개폐되는 창문의 하중에 의한 역힘으로 연결편에 체결되어 있는 리벳팅부분이 풀리거나 와셔부분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게되는 창문개폐용 연결암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창문개폐용 연결암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창문개페용 연결암의 체결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창문개페용 연결암의 체결부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측 연결편 200: 상측 연결편
300: 중간 연결편 400: 평와셔
500: 리벳 10: 절곡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하측 연결편과, 그 상부에 위치하는 상측 연결편과, 상기 하측 연결편과 상측 연결펀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중간 연결편, 그리고 상기 하측 연결편과 중간 연결편의 사이 및 상측 연결편과 중간 연결편 사이에 위치하는 와셔와, 상기 와셔의 통공을 관통하여 체결되어 상기 하측 연결편과 상측 연결편 그리고 중간 연결편을 결합시키는 리벳을 구비한 연결암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측 연결편과 상측 연결편의 가장자리 끝부분을 단면형상이 절곡되는 절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리벳이 상기 하측 연결편 및 상측 연결편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용 연결암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측 연결편(100)과, 그 상부에 위치하는 상측 연결편(200)과, 상기 하측 연결편(100)과 상측 연결펀(200)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중간 연결편(300), 그리고 상기 하측 연결편(100)과 중간 연결편(300)의 사이 및 상측 연결편(200)과 중간 연결편(300) 사이에 위치하는 평와셔(400)와, 상기 와셔(400)의 통공을 관통하여 체결되어 상기 하측 연결편(100)과 상측 연결편(200) 그리고 중간 연결편(300)을 결합시키는 리벳(500)을 구비한 연결암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측 연결편(100)과 상측 연결편(200)의 가장자리 끝부분을 단면형상이 절곡되는 절곡부(10)를 형성하여 상기 리벳(500)이 상기 하측 연결편(100) 및 상측 연결편(200)에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체결홈이 형성된 하측 연결편(100)과 상측 연결편(200)의 가장자리 끝부분을 절곡기(folding machine)를 이용하여 리벳(500)의 머리 두께만큼 절곡된 절곡부(10)가 형성된다.
다음, 상기 하측 연결편(100)과 상측 연결편(200) 그리고 중간 연결편(300)을 리벳(500)을 이용 절첩되게 체결하게 되며 이때, 하측 연결편(100)과 상하측 연결편(200) 그리고 중간 연결편(300)의 체결구멍 안쪽으로 평와셔(400)를 삽입시킨 후, 평와셔(400) 내부를 관통하여 스텐 재질의 리벳(500)으로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리벳(500)의 머리부분은 하, 상측 연결편(100)(200)상에 돌출되어 있으나, 상기 연결편의 가장자리 끝부분이 절곡된 절곡부(10)에 의해 상기 창문(600) 또는 창틀(700)의 결합시 밀착되게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연결편의 절곡부(10)에 의해 연결편의 강도 또한 증가됨에 따라 창문 개폐시 창문의 하중으로 리벳(500)에 발생하는 역힘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항상 안전된 리벳(500) 고정이 유지되고, 또 창문을 항상 부드럽게 열고 닫힐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된 본 고안은 연결편의 가장자리 끝부분인 절곡부에 의해 연결편의 강도는 증가되며, 또 창문 개폐시 창문의 하중으로 리벳에 발생하는 역힘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안전된 리벳 고정이 유지되고, 또 창문을 항상 부드럽게 열고 닫힐 수 있게 되며, 제품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1)

  1. 하측 연결편과, 그 상부에 위치하는 상측 연결편과, 상기 하측 연결편과 상측 연결펀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중간 연결편, 그리고 상기 하측 연결편과 중간 연결편의 사이 및 상측 연결편과 중간 연결편 사이에 위치하는 와셔와, 상기 와셔의 통공을 관통하여 체결되어 상기 하측 연결편과 상측 연결편 그리고 중간 연결편을 결합시키는 리벳을 구비한 연결암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측 연결편과 상측 연결편의 가장자리 끝부분을 단면형상이 절곡되게 형성하여 상기 리벳이 상기 하측 연결편 및 상측 연결편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용 연결암구조.
KR2020010036182U 2001-11-23 2001-11-23 창문개폐용 연결암구조 KR2002655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182U KR200265529Y1 (ko) 2001-11-23 2001-11-23 창문개폐용 연결암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182U KR200265529Y1 (ko) 2001-11-23 2001-11-23 창문개폐용 연결암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529Y1 true KR200265529Y1 (ko) 2002-02-25

Family

ID=73112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182U KR200265529Y1 (ko) 2001-11-23 2001-11-23 창문개폐용 연결암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52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2073045A3 (de) Selbststanzender nie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etzen eines nietelements und seine verwendung
DE60129429T2 (de) Türgriff für ein Kraftfahrzeug
KR200265529Y1 (ko) 창문개폐용 연결암구조
KR100377735B1 (ko) 도어용 핸들장치
KR200236274Y1 (ko)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
KR100351760B1 (ko) 차량 도어의 도어 트림 결합구조
KR200213297Y1 (ko) 창문 개폐용 링크의 지지대 구조
KR200165712Y1 (ko) 냉장고의 힌지고정구조
KR200261788Y1 (ko) 자전거용 절첩구
JPH1135261A (ja) エレベータ用ドア
KR920008469Y1 (ko) 창틀 보강 지지구
KR200229552Y1 (ko) 도어손잡이
KR0140434Y1 (ko) 명찰용 클립
KR100528522B1 (ko) 자동차용 가니쉬의 고정구조
KR0122653Y1 (ko) 버스의 사이드 도어용 힌지조립체
KR200150890Y1 (ko) 쿼터 클라스 마운팅장치
KR100381282B1 (ko) 차량용 와이퍼
KR20000016870U (ko) 옷장용 경첩의 안전커버
KR100475963B1 (ko) 도어 샤시 내측 선단의 웨더스트립 센터씰 취부 구조
KR200186318Y1 (ko) 소형버스의스윙도어구조
KR950008153Y1 (ko) 경 첩
KR910009346Y1 (ko) 셔터부재의 연결홀더
JP3029382B2 (ja) 分電盤の蝶番装置
KR0139411Y1 (ko) 도어 힌지 장착용 브래킷
KR200238265Y1 (ko) 쌍여닫이문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